감염 예방제

申请号 KR1020097002329 申请日 2007-08-02 公开(公告)号 KR101250323B1 公开(公告)日 2013-04-03
申请人 유키지루시 메그밀크 가부시키가이샤; 发明人 카와카미히로시;
摘要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제 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용 음식품을 제공한다. 지방구 피막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제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용 음식품. 스핑고신을 갖는 인지질 및/또는 그 유도체, 특히 스핑고미엘린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제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용 음식품.
감염 예방제
权利要求
  • 삭제
  • 스핑고신을 갖는 인지질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제.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핑고신을 갖는 인지질은 스핑고미엘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제.
  • 삭제
  • 스핑고신을 갖는 인지질을 유효성분으로서 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용 음식품.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핑고신을 갖는 인지질은 스핑고미엘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용 음식품.
  • 说明书全文

    감염 예방제{AGENT FOR PREVENTING INFECTION}

    본 발명은 지방구 피막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스핑고신(sphingosine)을 갖는 인지질 및/또는 그 유도체, 특히 스핑고미엘린(sphingomyelin)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제에 관한 것이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공기중으로부터 사람에게 감염되어 매년과 같이 유행을 일으키고 있다. 최근에는 위생면의 개선이나 의학의 진보에 의해 그 위협이 감퇴되고는 있지만, 여전히 사망자를 발생시키는 케이스도 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는 A형, B형, C형의 3개의 종류가 있지만, 이 중 A형 바이러스는 변이를 일으키기 쉬워 세계적인 대유행을 일으키기 쉽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예방은 주로 백신의 접종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항원 시프트, 항원 드리프트라는 변이를 발생시키기 쉬우므로, 유행하고 있는 바이러스와, 백신의 항원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고, 백신에 의한 예방의 효과는 만족할 만한 것은 아닌 것이 현상황이다.

    이 때문에, 현재에서는 아동에게의 백신의 예방접종도 의무화되어 있지 않 다. 인플루엔자의 치료약으로서는 아만타딘이나 오셀타미비르(oseltamivir) 등을 들 수 있지만, 부작용이나 내성균의 출현이라는 문제를 고려할 필요가 있고, 그 사용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이러한 상황으로부터, 일상적으로 안전하게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 예방에 유효한 제 또는 음식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일상적으로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여러가지 생리활성을 갖는 젖성분에 착안해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 예방 효과에 대해서 예의 연구를 행한 결과, 지방구 피막성분, 및 스핑고신을 갖는 인지질 및/또는 그 유도체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 효과를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키는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로 이루어진다.

    1. 지방구 피막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제.

    2. 스핑고신을 갖는 인지질 및/또는 그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제.

    3. 스핑고신을 갖는 인지질은 스핑고미엘린인 전항 3에 기재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제.

    4. 지방구 피막성분을 배합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용 음식품.

    5. 스핑고신을 갖는 인지질 및/또는 그 유도체를 배합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용 음식품.

    6. 스핑고신을 갖는 인지질은 스핑고미엘린인 전항 5에 기재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용 음식품.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제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용 음식품에 의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제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용 음식품은 지방구 피막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하므로, 비교적 저렴하게 대량 공급이 가능하며, 또한 매우 안전성이 높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제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용 음식품은 스핑고신을 갖는 인지질 및/또는 그 유도체, 특히 스핑고미엘린을 유효성분으로 하므로, 비교적 저렴하게 대량 공급이 가능하며, 또한 매우 안전성이 높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지방구 피막성분)

    본 발명은 지방구 피막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제이며, 또한 지방구 피막성분을 배합하여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 작용을 부여한 음식품에 관한 것이다.

    지방구 피막성분은 유선으로부터 분비되어지는 유지방구를 피복하고 있는 막으로서, 지방을 유즙중에 분산시키는 기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신생 동물의 음식 물로서 많은 생리적 기능을 갖고 있다. 우유의 유지방구 피막은 약 45질량%의 단백질과 약 55질량%의 지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단백질로서 밀크 뮤신이라고 불리는 고분자의 당 단백질을 함유한다. 또한 지질로서 약 70질량%의 트리아실글리세롤, 약 27질량%의 인지질, 약 3질량%의 콜레스테롤 등을 함유한다.

    우유의 유지방구 피막에 대해서는 유지방구의 보호, 유지방 에멀젼의 안정화, 지질의 소화 촉진, 특정 세균에 대한 감염 방어 등의 기능이 알려져 있다. 한편, 동물의 점막조직으로부터 분리한 시알산을 고함유하는 뮤신이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것이 알려져 있지만(Biochem. J., 277, 713-718, 1991), 본 발명에 따른 유지방구 피막성분과는 구성되는 성분의 조성이 전혀 다른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지방구 피막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소 등의 포유 동물의 젖을 원심분리해서 얻어지는 크림을 교유기(churn) 등으로 처리해서 버터 입자를 제조할 때에 얻어지는 버터 밀크를 그대로 사용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크림에 동량의 물을 첨가해서 혼합하고, 원심분리해서 원래의 지방률의 크림을 조제한다는 조작을 수회 반복함으로써 무지유 성분을 제거한 크림을 교유기 등으로 처리해서 버터 입자를 제조하여 얻어지는 버터 밀크를 지방구 피막성분으로서 사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 버터 입자를 가온해서 원심분리에 의해 버터 오일을 제조할 때에 잔사로서 얻어지는 버터 세럼을 지방구 피막성분으로서 사용해도 좋다.

    이와 같이, 이들 버터 밀크나 버터 세럼 중에는 충분량의 지방구 피막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이들 버터 밀크나 버터 세럼을 지방구 피막성분으로서 그대로 사용해도 좋지만, 이들 버터 밀크나 버터 세럼을 투석, 유안분획, 겔여과, 등전점침전,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용매분획, 한외여과(UF), 및 정밀여과(MF) 등의 방법에 의해 더 정제해서 지방구 피막성분의 순도를 높여 사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지방구 피막성분의 함유량을 높인 조성물을 얻기 위해서는 UF막이나 MF막에 의한 분리·여과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지질획분은 UF막이나 MF막을 투과할 수 없어 단백질, 유당, 및 미네랄을 제거할 수 있다.

    UF막의 분획 분자량이나 MF막의 포어 사이즈는 그다지 엄밀하지는 않고, 당업자라면 실험에 기초하여 적절한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F의 경우, 포어 사이즈가 1.2㎛ 이하, 바람직하게는 0.2㎛ 이하, UF의 경우, 분획 분자량이 10,000이상, 바람직하게는 50,000∼100,000이 일단 목표이다.

    여과된 농축액은 분무 건조시켜 지방구 피막성분 함유량이 높은 조성물로 해도 좋고, UF막 또는 MF막 처리한 농축액을 호모지나이징(100kg/㎠ 이상)후, MF 또는 UF 처리하고 분무 건조시켜 지방구 피막성분 함유량을 더욱 높인 조성물로 해도 좋다.

    지방구 피막성분의 조획분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해서 얻을 수 있다. 지방구 피막성분 함유량을 높인 조성물을 에탄올, 메탄올 등의 극성용매, 및 비극성용매와 극성용매의 조합, 예를 들면 에테르-에탄올(1:3v/v), 클로로포름-메탄올(2:1v/v), 클로로포름-메탄올-물(1:2:0.8v/v) 등으로 처리해서 조지방을 추출한다. 이 조지방을 아세톤 분획하여 지방구 피막성분이 풍부한 아세톤 불용성 획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크림으로부터 버터 오일을 조제한 잔사인 버터 세럼은 지방구 피막성분을 많이 함유하여 원료로서 바람직한 것 중 하나이다. 이 버터 세럼으로부터 에탄올로 조지방을 추출하고, 이 조지방을 아세톤 분획한 것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헥산-에탄올-물의 혼합 용매의 추출 획분(일본 특허 공개 평7-173182호 공보)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시판의 우유 유래의 지방구 피막성분을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제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용 음식품에 있어서의 지방구 피막성분의 배합량으로서는 성인의 경우 지방구 피막성분을 1일당 약 0.1mg∼5000mg 섭취할 수 있도록 지방구 피막성분의 배합량을 조정하면 좋다. 이 범위 내로 함으로써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 작용을 발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제의 유효성분인 지방구 피막성분은 젖성분이므로, 다량의 섭취에 의해서도 그 안전성은 전혀 문제 없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스핑고신을 갖는 인지질)

    또한 본 발명은 스핑고신을 갖는 인지질 및/또는 그 유도체, 특히 스핑고미엘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제이며, 또한 스핑고신을 갖는 인지질 및/또는 그 유도체, 특히 스핑고미엘린을 배합해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 작용을 부여한 음식품에 관한 것이다.

    스핑고미엘린은 인지질중의 20∼30질량%와 젖중에 많이 함유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기능에 관한 연구는 세포 레벨에 머물러 있고, 생체에 있어서의 생리학적 기능에 관한 지견은 적다. 그 때문에 지금까지 영양소의 1성분으로서의 유효 성은 인식되어 있지 않았다.

    스핑고미엘린의 이용에 관해서는 소염진통 외용제, 지질의 소화 흡수 기능 개선제, 장관운동 기능 부전성 질환 치료제(일본 특허 공개 평5-18633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11-26907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3-252765호 공보) 등이 알려져 있지만,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 예방 효과에 대해서는 아무런것도 발혀져 있지 않고,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 예방을 목적으로 해서는 이용되고 있지 않다.

    한편, 항바이러스 작용을 갖는 성분(일본 특허 공표 2006-508045호 공보)이나, 백신으로서 사용하는 항원(일본 특허 공개 평5-339169호 공보)을 유화시켜, 리포솜을 형성시키기 위한 지질성분으로서 스핑고미엘린을 이용하는 사례는 보고되어 있지만, 스핑고미엘린 자체에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활성이 있는 것은 알려져 있지 않다.

    또한 젖에 함유되는 당지질인 강글리오시드가 항인플루엔자 활성을 갖는 것은 공지(일본 특허 공개 평4-105616호 공보)이지만, 구성 성분인 시알산이 이 작용에 중요하며, 시알산을 함유하는 당지질이 바이러스와 점막 상피 세포의 결합을 길항적으로 저해하는 메커니즘에 의해 발현되는 기능이다. 따라서, 시알산을 함유하지 않는 스핑고미엘린의 기능을 상기시키는 것이 아닌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스핑고신을 갖는 인지질 및/또는 그 유도체, 특히 스핑고미엘린은 정제한 것이어도 좋고, 스핑고미엘린 함유 인지질로서 사용해도 좋다.

    스핑고미엘린은 동물뇌나 유지방에 많이 함유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상, 젖 유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젖유래 스핑고미엘린으로서는 생유(生乳)나 훼이 단백질 농축물(WPC) 등을 원료로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생유나 WPC 등으로부터 스핑고미엘린 함유 인지질 획분을 얻는 방법으로서는 에테르나 아세톤으로 추출하는 방법(일본 특허 공개 평3-47192호 공보), 버터를 가온 융해해서 얻어지는 버터 카드나 버터 세럼을 포함하는 수용성 획분을 사용하는 방법 등, 공지의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의 원료와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얻어지는 획분의 스핑고미엘린 함유량은 각각 약 28질량%, 약 9질량%이다.

    또한, 상기 스핑고미엘린 함유 인지질 획분을 투석, 유안분획, 겔여과, 등전점침전,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용매분획, 한외여과(UF), 및 정밀여과(MF) 등의 방법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순도를 높인 스핑고미엘린을 얻을 수 있다.

    이들 스핑고미엘린이나 스핑고미엘린 함유 인지질은 액체, 분말이나 정제 등의 형태를 적당히 취할 수 있고, 직접, 경구 투여할 수 있다. 또한 스핑고미엘린 뿐만 아니라, 인간 영양 소요량에 정해진 유효량의 포스파티딜콜린을 함유하고 있는 인지질 조성물을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제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용 음식품에 있어서의 스핑고신을 갖는 인지질 및/또는 그 유도체의 배합량으로서는, 성인의 경우, 스핑고신을 갖는 인지질 및/또는 그 유도체, 특히 스핑고미엘린을 1일당 약 0.1mg∼5000mg 섭취 할 수 있도록 배합량 등을 조정하면 좋다. 이 범위내로 함으로써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 작용을 발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제의 유효성분인 스핑고신을 갖는 인지질, 특히 스핑고미엘린은 젖성분인 점에서, 다량의 섭취에 의해서도 그 안전성은 전혀 문제 없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제의 제형으로서는, 예를 들면 정제, 캅셀제, 과립제, 산제, 분말제, 및 액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은 경구적으로 투여해도 좋고, 경비적으로 투여해도 좋다. 또한 이들 제형은 종래 알려져 있는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제 제조상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등과 혼합해서 성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 작용을 부여한 음식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지방구 피막성분, 또는 인지질 및/또는 그 유도체를 우유, 우유 음료, 커피 음료, 쥬스, 젤리, 비스켓, 빵, 국수, 및 소세지 등의 음식품이나, 각종분유 외, 영아, 유아 및 저출생 체중아 등을 대상으로 하는 영양 조성물에 배합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이하에 실시예 및 시험예를 나타내며, 본 발명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들은 단지 예시하는 것 뿐이며,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 조금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지방률 40질량%로 조정한 크림을 교유기로 처리해서 버터 입자와 버터 밀크로 분리했다. 그리고, 얻어진 버터 밀크를 동결 건조시켜 지방구 피막성분을 얻었다.

    실시예2

    지방률 40질량%로 조정한 크림에 동량의 물을 첨가해서 혼합하고, 분리기에 의해 지방률 40질량%의 크림을 조제한다는 조작을 3회 반복해서 크림으로부터 무지유성분을 제거한 후, 이 크림을 교유기로 처리해서 버터 입자와 버터 밀크로 분리했다. 그리고, 얻어진 버터 밀크를 동결 건조시켜 농축 지방구 피막성분을 얻었다.

    실시예3

    지방률 40질량%로 조정한 크림에 동량의 물을 첨가해서 혼합하고, 분리기에 의해 지방률 40질량%의 크림을 조제한다는 조작을 3회 반복해서 크림으로부터 무지유성분을 제거한 후, 이 크림을 교유기로 처리해서 버터 입자와 버터 밀크로 분리했다. 다음에 이 버터 밀크를 유안 50% 포화로 밤새 처리한 후, 원심분리에 의해 상청을 채취했다. 그리고, 얻어진 상청을 물로 투석한 후, 동결 건조시켜 고농축 지방구 피막 획분을 얻었다.

    [시험예1]

    (지방구 피막성분의 경구 투여에 있어서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 예방 효과의 확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PR8(H1N1)을 1×10 3 pfu의 바이러스량으로 마우스(Balb/c, 수컷, 6주령)에 감염시켰다. 감염 처리전에 실시예2에서 얻어진 지방구 피막성분을 경구 투여해서 그 감염 예방 효과를 바이러스 감염 3일후의 비강 세정액중의 바이러스가로 판정했다. 경구 투여에 있어서는 지방구 피막성분은 분말을 증류수로 용해해서 사용했다. 판정에는 MDCK 세포를 사용한 플라크법을 사용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지방구 피막성분 투여군에서는 유의하게 비강내 바이러스가가 저하되었다. 이것은 지방구 피막성분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감염 예방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표 1)

    실시예4

    실시예3에서 얻어진 고농축 지방구 피막 획분 5g을 주사용 증류수 200㎖에 용해하고, 비강내 스프레이용 액제를 제조했다.

    실시예5

    표 2에 나타낸 배합에 의해 원료를 혼합하고, 입자화한 후, 캅셀에 충전해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용 캅셀제를 제조했다.

    (표 2)

    실시예6

    표 3에 나타낸 배합에 의해 원료를 혼합하고, 용기에 충전한 후, 가열살균해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용 음료를 제조했다.

    (표 3)

    실시예7

    훼이 단백질 농축물(WPC)의 10질량% 수용액에 프로테아제를 작용시켜서 얻어진 반응액을 클로로포름-메탄올(2:1) 용액으로 추출한 후, 농축하고, 다시 아세톤 추출해서 복합 지질 획분을 얻었다. 다음에 이 복합 지질 획분을 클로로실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처리하고, 클로로포름-메탄올 용액으로 단계 추출해서 인지질 획분을 얻었다. 이 인지질 획분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처리하고, 클로로포름-메탄올 용액으로 단계 추출한 것을 동결 건조시켜 스핑고미엘린을 얻었다. 이 스핑고미엘린을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처리한 후, 디트머 시약으로 발색하고, 덴시메트리법으로 측정한 결과, 스핑고미엘린 함유율은 95.2질량%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스핑고미엘린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제로서 그대로 이용 가능하다.

    [시험예2]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감염 예방 효과의 확인)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로서 A/Guinzhou 바이러스를,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로서 B/Ibaraki 바이러스를 마우스(Balb/c, 수컷, 6주령)에 경비 감염시키고, 동시에 실시예1에서 얻어진 스핑고미엘린(SPM) 100㎍/㎖ 용액을 5μℓ/비강내 투여량(투여량:5㎍)으로 경비 투여하고,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 예방 효과를 비강내 세정액중의 바이러스가로 판정했다. 또, 대조로서 각각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단독 경비 감염한 군을 두었다. 판정에는 MDCK 세포를 이용한 플라크법을 사용했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이 결과, 스핑고미엘린의 투여에 의해 A형, B형 모두 감염 예방 효과가 확인되었다. 특히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해서는 보다 현저한 효과가 확인되었다.

    (표 4)

    [시험예3]

    (스핑고미엘린의 경구 투여에 있어서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 예방 효과의 확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PR8(H1N1)을 1×10 3 pfu의 바이러스량으로 마우스(Balb/c, 수컷, 6주령)에 감염시켰다. 감염 처리전에, 스핑고미엘린을 경구 투여 하고, 그 감염 예방 효과를 바이러스 감염 3일후의 비강 세정액중의 바이러스가로 판정했다. 경구 투여에 있어서는 스핑고미엘린은 물에 분산시켜 사용했다. 판정에는 MDCK 세포를 사용한 플라크법을 사용했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스핑고미엘린 투여군에 있어서, 유의하게 비강내 바이러스가가 저하되었다. 이것은 스핑고미엘린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감염 예방 효과를 나타낸다.

    (표 5)

    실시예8

    실시예7에서 얻어진 스핑고미엘린 5g을 주사용 증류수 200㎖에 용해하고, 비강내 스프레이용 액제를 제조했다.

    실시예9

    표 6에 나타낸 배합에 의해 원료를 혼합해서 입자화한 후, 캅셀에 충전해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용 캅셀제를 제조했다.

    (표 6)

    실시예10

    표 7에 나타낸 배합에 의해 원료를 혼합하고, 용기에 충전한 후, 가열 살균 해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용 음료를 제조했다.

    (표 7)

    본 발명을 특정의 형태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의도와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가지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 있어서 명백하다.

    또, 본 출원은 2006년 8월 4일자로 출원된 2개의 일본 특허 출원(일본 특허 출원 2006-213276, 일본 특허 출원 2006-213273)에 기초하고 있으며,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원용된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