序号 专利名 申请号 申请日 公开(公告)号 公开(公告)日 发明人
101 가스 부유 탱크 KR1020167007546 2014-08-08 KR101824064B1 2018-01-31 커크,토드윌리엄; 휘트니,다니엘클리포드; 이,더글라스워커
인접하는챔버들내에서회전흐름이일어나게하는그러한일련의인접하는챔버들을포함하는가스부유탱크가제공된다. 각각의챔버는스키밍위어에의해스킴오일통으로부터분리된다. 각각의챔버는하나걸러인접챔버들사이에유체소통장치를포함하며, 여기서유체소통장치는인접챔버들사이의분할벽에서소통포트의형태로인접챔버들간의유체소통이가능하게하고, 다공성판과결합된챔버유출부가포함되며, 유출부는마지막챔버와유체소통을행하도록위치하고있다.
102 바람직하게 선박 상에서 폐수를 정화하기 위한 장치 KR1020117027158 2010-04-19 KR1020120016096A 2012-02-22 하만크누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선박 상에서 폐수를 정화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처리되지 않은 물을 위한 탱크가 해리기 및 공급 펌프를 통해 압력 탱크에 연결되어 있는, 폐수를 정화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압력 탱크는, 상기 압력 탱크 내의 처리되지 않은 물이 공기로 포화되도록, 압축 공기원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압력 탱크는 라인을 통해 감압 탱크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감압 탱크 내에서, 플로테이트 및 정화수가 서로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팽창 밸브는 상기 라인 내에 삽입되어 있고, 엉김제를 위한 투약 펌프는 상기 팽창 밸브와 상기 감압 탱크 사이의 상기 라인에 연결되어 있다.
103 토양 속의 식물유체 및 유물을 수동으로 분리하는 장치 KR1020050072539 2005-08-09 KR1020070018154A 2007-02-14 유기정
본 발명은 고고학 및 고민족식물학(Paleoethnobotany) 등의 조사과정에서 식물유체나 유물이 포함된 문화재 조사지역의 토양을 유물분리통으로 주입하여 수동으로 식물유체 및 유물을 분리ㆍ선별ㆍ채집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식물유체와 유물이 포함된 토양에서 비교적 큰 부피와 무게를 가진 유물을 크기별로 거를 수 있도록 다단계 거름 크기를 가진 원통형거름망을 구비한 구조물이 설치되어 소정크기의 유물들을 분리할 수 있는 유물 분리탱크를 구비하며, 유물 분리탱크에는 식물유체 및 유물들이 물과 함께 존재하며 이들을 원통형거름망으로 이루어진 구조물을 잡고 흔들어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면서 용이한 운반을 위하여 손잡이가 부착 설치되고, 유물 분리탱크의 상단 일측에는 비교적 큰 부피와 무게를 가진 유물들을 분리한 후에 부유물속에 존재하는 비교적 작은 크기의 식물유체들을 분리하기 위하여 인접하여 설치된 다단계 소형 원형거름체로 이루진 구조물을 구비하며, 유물분리통 상단에는 부유물을 용이하게 따를 수 있도록 돌출되게 형성시킴과 동시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계 제작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 효율적으로 식물유체 및 유물을 동시에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고고학, 문화재, 식물유체, 소형 유물
104 현탁 물질을 포함한 물을 정화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047014215 2003-03-06 KR1020040091712A 2004-10-28 비옹,파트릭
본 발명은 현탁 물질로 오염된 물을 부유에 의해 정화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정화 처리는 단일 설비에서 2개의 연속 스테이지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방법은, 가장 무거운 입자의 1차 분리 단계를 합체한 하향류 정적 응집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가장 무거운 입자의 1차 분리가 수행되는 구역은 정적 응집 단계가 수행되는 구역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가장 무거운 입자의 제거를 포함하며 또한 가벼운 입자의 제거를 보장하는 부유 단계를 구비하고, 그의 침전 속도가 부유 작용제를 분열하기 위한 임계치보다 낮다.
105 기포플로테이션(flotation)을위한장치 KR1019960704785 1995-03-02 KR100364063B1 2003-02-05 멘케루카스
An apparatus for gas bubble flotation comprises an angular flotation tank (1a, 1b), at least one liquid inlet (2a, 2b) for a liquid containing suspended matter and a liquid admixed with gas bubbles, in which apparatus at least one liquid inlet (2a, 2b) is arranged in the vicinity of at least one flotation tank corner. Preferably, the flotation tank has a square cross section. This permits optimal utilization of the available space, and results in a continuously decreasing flow velocity and thus an improved flotation effect.
106 현탁액 세정 장치 KR1020007002878 1998-09-17 KR1020010024122A 2001-03-26 하우탈라조우코; 헤이모넨주카; 라잘라벨리-매티; 하우룰라이스모
섬유매스현탁액을정화하는장치로서, 이장치는용기(1)와, 각각현탁액을상기용기로공급하고이로부터현탁액을방출시키기위한유입채널(2) 및유출채널(3)을포함한다. 또한, 이장치는용기(1)의하부로공기를공급하는공기공급수단을포함한다. 본장치는용기를복수개의공간으로구획하는적어도하나의격벽(4)을포함하여, 현탁액이공간들사이를격벽의하부와상부에서각각유동하도록한다. 공기공급수단은하나의폭기공간(5a)으로공기를공급하도록배치되며, 이로써공기는현탁액으로부터불순물을분리하고현탁액유동이격벽(4)의다른측부에서각각상향및 하향으로유동하도록하며, 이에따라나선유동이격벽주위에서유입채널로부터유출채널로형성된다.
107 화학적 변환을 일으키는데 사용되는 이중 임펠러 방법 및 장치 KR1019920701320 1990-12-05 KR100151705B1 1998-10-15 제임스더블유.스미스; 님얀리
Hydrogen sulfide or other gaseous component is removed from a gas stream containing the same by distribution of the gas stream in the form of fine bubbles by a rotary impeller and stationary shroud arrangement at a submerged location in an aqueous iron or other transition metal chelate solution, or other suitable catalyst, contained in an enclosed reaction vessel. Sulfur particles, or other insoluble phase product, of narrow particle size range formed in the reaction are floated off from the iron chelate solution. An oxygen-containing gas stream also is distributed in the form of fine bubbles by a separate rotary impeller and stationary shroud arrangement at a separate submerged location in the iron chelate solution. The second submerged location is separated from the first by a bafle extending downwardly in the reaction vessel from a top closure towards a bottom closure.
108 탈잉크용 부유 선별 장치 KR1019900015350 1990-09-27 KR1019960015816B1 1996-11-21 이와시게나오유끼; 에구찌마사까즈
A flotation machine for de-inking waste paper stock comprises a horizontally extending flotation cell (5) defining a reservoir for a stock liquid which forms a free liquid surface in the cell. A froth receptacle (4) extends along the entire length of the cell and receives froth floating up to the liquid surface. At opposite ends of the cell are a stock inlet (1) and a stock outlet (2). Situated within the lower portion of the cell is a rotary air bubble generator (3) which extends between the two ends of the cell with its axis of rotation extending generally horizontally whereby stock liquid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 flows along the length of the cell towards the outlet (2) in at least one spiral flow pattern (11) with a generally horizontal axis.
109 가압부유선별 모듈과 가압거품 분리방법 KR1019870014108 1987-12-10 KR1019930002071B1 1993-03-26 샴베르린제프레이로엘; 맥콜미카엘안토니
내용 없음.
110 유체 역학적 혼합 방법 및 장치 KR1019870009109 1987-08-20 KR1019920007009B1 1992-08-24 보르제이프레드릭손; 제퍼리로우엘스테펜타운싸우쓰스테펜타운로드
A plurality of fluent substances are combined in a distributor (11) and caused to flow in a continuous, pressurized stream through a mixing zone (13) wherein the substances are intimately mixed by turbulent dispersion effected by a series of conically shaped surfaces (24,27) and alternate restrictions (25) and expansion chambers (28). While various fluent substances may be advantageously mixed, a typical utility is for effecting a thorough air binding of ink particles to attain efficient foaming in the deinking of reconstituted printed paper slurry.
111 다중 기포 주입 방식의 용존공기부상 수처리 장치 KR1020150062717 2015-05-04 KR101690510B1 2016-12-28 박용해; 박병성
본발명은다중기포주입방식의용존공기부상수처리장치에관한것으로서, 더욱상세하게는주입을위한포화수(saturated water) 분사를통해주입되는미세기포가부상조(flotation basin)의접촉영역(contact zone) 하부영역뿐아니라분리영역(separation zone) 하부영역에도공급되도록함으로써플록의제거효율을증진시키기위한용존공기부상(Dissolved air flotation, DAF) 기반의수처리기술에관한발명이다.
112 유체 처리 장치 KR1020107028849 2009-04-22 KR101672964B1 2016-11-16 랭네빌어니스트; 세버링케네스웨인
유체처리장치(10)는제1 및제2 유체챔버(14, 16)를갖는유체용기(12)를포함한다. 제1 유체챔버(14)에처리될유체를전달하기위한유체입구(26)가제공된다. 1 이상의노즐어셈블리(34)가제1 챔버(14)와제2 챔버(16) 사이에배열되어제1 유체챔버(14)로부터제2 유체챔버(16)에의유체연통을제공하는데, 여기서상기노즐어셈블리(34)는가스와상기유체의혼합을촉진하도록된다.
113 유체 처리 장치 KR1020167020344 2009-04-22 KR1020160092056A 2016-08-03 랭네빌어니스트; 세버링케네스웨인
유체처리장치(10)는제1 및제2 유체챔버(14, 16)를갖는유체용기(12)를포함한다. 제1 유체챔버(14)에처리될유체를전달하기위한유체입구(26)가제공된다. 1 이상의노즐어셈블리(34)가제1 챔버(14)와제2 챔버(16) 사이에배열되어제1 유체챔버(14)로부터제2 유체챔버(16)에의유체연통을제공하는데, 여기서상기노즐어셈블리(34)는가스와상기유체의혼합을촉진하도록된다.
114 가스 부유 탱크 KR1020167007546 2014-08-08 KR1020160050044A 2016-05-10 커크,토드윌리엄; 휘트니,다니엘클리포드; 이,더글라스워커
인접하는챔버들내에서회전흐름이일어나게하는그러한일련의인접하는챔버들을포함하는가스부유탱크가제공된다. 각각의챔버는스키밍위어에의해스킴오일통으로부터분리된다. 각각의챔버는하나걸러인접챔버들사이에유체소통장치를포함하며, 여기서유체소통장치는인접챔버들사이의분할벽에서소통포트의형태로인접챔버들간의유체소통이가능하게하고, 다공성판과결합된챔버유출부가포함되며, 유출부는마지막챔버와유체소통을행하도록위치하고있다.
115 수평 탱크들을 가스 부상 분리기들로 전환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107007034 2007-09-04 KR101217363B1 2012-12-31 이더글라스더블유; 오웬스니콜라스
부유식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선들(FPSO vessels))위의석유저장고용으로사용되는것들같은수평탱크에사용가능한가스부상분리기(gas flotation separator)는상기탱크를연속하여작용하는복수개의챔버들로나누는것을포함한다. 각각의챔버로들어가기전에상기오염된수성상(aqueous phase)은상기비혼화성상오염물의응집과부상을돕기위해가스버블들을포함하는흐름(stream)과혼합된다. 상기가스버블재순환흐름은상기탱크외부에서의공정에서조절된비율의압축가스를깨끗한생산수의흐름으로주입하거나, 상기탱크로의내부적기상의유입에의해생성될수 있다. 상기혼합물은첫번째챔버로흘러들어가서굽어진유입수위어에부딪힌다. 상기비혼화성상과상기기상의일부는상기챔버의상부로올라오고, 한편, 비혼화성혼합물의나머지는수성상으로상기챔버의바닥을향해아래로흘러간다. 상기수성상은상기각 연속된챔버를분할시키는배플의벽 안으로형성된복수개의평행한라이저도관으로들어감으로써 180°위쪽으로돌게된다. 상기비혼화성오염물의응집및 부상을더욱돕기위해두 번째가스버블흐름은각각의평행한덕트안으로주입된다. 상기수성상은그것이두 번째굽은위어에부딪히는두 번째챔버의상부에서재혼합된다. 이러한공정은각각의연속된챔버내에서마지막챔버에이르기까지반복되며, 마지막챔버에서는정수가액체펌프를거쳐상기챔버의밖으로나간다. 거기서의다양한물 제거비율은마지막챔버내의수위를조절한다. 상기응집되어부상한석유오염물은, 1) 상기챔버내에서수위를올림으로써범람(over-flow) 위어안쪽으로주기적으로걷어내는것 또는, 2) 부상하는석유층을상기물 표면으로부터들어올리거나, 멀리옮겨서수집장치(collector system)로그것을전달하는연속적으로회전하는패달혹은브러쉬같은것에의해제거될수 있다.
116 플로테이터 KR1020097017765 2008-09-02 KR101190578B1 2012-10-15 이시다미노루; 가시보마사미; 소노다무네타카; 고야나기도모아키; 호사카다쓰미; 아이카와요시히코
A flotation apparatus F includes a tank 1 for receiving a liquid raw material, and introduces air into the tank 1 to generate bubbles for adsorbing print ink in the liquid raw material to the bubbles, thereby floating and separating the print ink. The flotation apparatus F includes a circulating device for circulating the liquid raw material by raising and then lowering the liquid raw material in the tank 1, an air supply tube 4 for supplying air into the tank 1, and an agitating member 5 provided in the tank 1 for taking the air from the air supply tube 4 and agitating the air for forming the air into fine bubbles. The agitating member 5 has a rotary shaft 51 held horizontally and a plurality of members 52 horizontally separately provided around an outer periphery. On a cross section transverse to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ank 1, an outer periphery of the agitating member 5 is arranged on a lower side of the tank 1 and in a position at a downstream side of the liquid raw material relative to a vertical line V passing through a center of the tank 1.
117 유체 처리 장치 KR1020107028849 2009-04-22 KR1020110017394A 2011-02-21 랭네빌어니스트; 세버링케네스웨인
유체 처리 장치(10)는 제1 및 제2 유체 챔버(14, 16)를 갖는 유체 용기(12)를 포함한다. 제1 유체 챔버(14)에 처리될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유체 입구(26)가 제공된다. 1 이상의 노즐 어셈블리(34)가 제1 챔버(14)와 제2 챔버(16) 사이에 배열되어 제1 유체 챔버(14)로부터 제2 유체 챔버(16)에의 유체 연통을 제공하는데, 여기서 상기 노즐 어셈블리(34)는 가스와 상기 유체의 혼합을 촉진하도록 된다.
118 고액 분리 장치 KR1020080084265 2008-08-28 KR100990913B1 2010-11-01 멘주다카시; 아시카가노부유키; 유카와아츠시; 츠쿠이히로미; 노구치히로후미; 오오노신지
A solid-liquid separator that separates raw water containing suspended solids into suspended solids (solid) and treated water (liquid) in easy and a short time is provided. A solid-liquid separator includes a separation tub, an inflow pipe configured to rotate raw water which flowed from the outlet of the inflow pipe in the separation tub, a froth discharge pipe configured to discharge the suspended solids surfaced in the separation tub and a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configured to discharge treated water by which the suspended solids were removed from raw water from the separation tub.
119 플로테이터 KR1020097017765 2008-09-02 KR1020100051038A 2010-05-14 이시다미노루; 가시보마사미; 소노다무네타카; 고야나기도모아키; 호사카다쓰미; 아이카와요시히코
A flotation apparatus (F) includes a reservoir (1) for receiving a stock material liquid for leading the air into the reservoir (1) to generate bubbles, adsorbing print ink in the liquid to the bubbles for floating and separating. The flotation apparatus (F) has a circulating means for circulating the stock material liquid in the reservoir (1) by raising the liquid and then lowering, an air supply tube (4) for supplying the air into the reservoir (1), and a stirring member (5) provided in the reservoir (1) for taking in the air from the air supply tube (4) and stirring the air for forming the air into the fine bubbles. The stirring member (5) has a plurality of members having a rotary shaft held horizontally and also horizontally separately provided around the outer periphery. The outer periphery of the stirring member (5) is provided on a lower part of the reservoir (1) and at a position closer to the downstream side of the stock material liquid than a vertical line (V)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reservoir (1) on a cross section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servoir (1).
120 부양식 수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0097023995 2008-05-16 KR1020100016650A 2010-02-12 두모린,로랑스; 패스토렐리,델리아; 바다드,미쉘
The invention relates to a flotation water treatment plant comprising at least: an inlet zone (31) for the water to be treated, which is coagulated and flocculated beforehand; a mixing zone (32), for mixing pressurized and then depressurized water with said water to be treated; a flotation zone (35) separated from said mixing zone by a wall; a clarified-water take-up zone (36)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said flotation zone (35). According to the technique shown here, said mixing zone accommodates (32) at least one spray nozzle (40, 91, 92) for spraying said pressurized water, said spray nozzle (40, 91, 92) lying close to a panel (33), at least part of which has perforations (331), said panel separating said inlet zone (31) from said mixing zone (32).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