序号 | 专利名 | 申请号 | 申请日 | 公开(公告)号 | 公开(公告)日 | 发明人 |
---|---|---|---|---|---|---|
161 | 분말,건불의 처리장치 | KR1020140139748 | 2014-10-16 | KR1020160044812A | 2016-04-26 | 송인호 |
본발명은분말, 건불의처리장치에관한것으로, 곡물의도정시생성되는부산물을분류하여포대에담는과정에서분진또는건불의누출을억제하는청결성과함께이송탱크내의분말이나건불이남아있지않고신속하게빨리면서이동할수 있도록한 것이다. 본발명은포집호퍼(1)를통해분말이나건불이유입되어이송탱크(4)에일정량쌓이면상단센서(5)에서이를감지하여게이트(2)를닫으면서공기공급관(3)을통해공기를주입함과동시에하부의흡입노즐(6)에서공기를흡입하게되는데제2흡입노즐(6b)을통해간극(d)을조정하여분말이나검불을선별하여이송관(7)을통해흡입탱크(10)로보내며흡입탱크(10)내에일정량쌓이면저장게이트(12)가열려대형자루(13)에넣어지는것으로, 공기공급관(3)과흡입노즐(6)에의해이송탱크(4)내에분말이나건불이남아있지않고원활하게이송관(7)을통해흡입탱크(10)로이송되는효과가있다. | ||||||
162 | 현미 분리장치 | KR1020140081120 | 2014-06-27 | KR1020160001555A | 2016-01-06 | 박준영; 박준성 |
본발명은현미탈피기를통해분리된현미중에왕겨가완전히제거되지않은낟알을분리하여현미탈피기로회귀시켜완전한현미상태로배출이동되게함으로써후공정인미강분리공정에서미강을완전분리시킬수 있음은물론, 미강분리공정에서의과부하를방지하도록하는현미분리장치에관한것으로, 현미탈피기를통해현미를공급받는투입부, 상기투입부에서공급되는현미를하향안내하는가이드부, 상기가이드부를통해현미를안착시키고, 경사지게형성되어롤러에의해상향회전이동되는흡착벨트에의해왕겨가제거되지않은낟알을경사상향이동시키고, 왕겨가제거된현미를자중에의해경사하향이동시키는낟알분리부, 상기흡착벨트의바닥측에설치되어흡착벨트에묻은낟알을이탈시키는스크레이퍼부, 상기흡착벨트를따라경사하향이동되는왕겨가제거된현미를배출하는현미배출부를포함하여이루어짐을특징으로하는현미분리장치를설치하여서된 것이다. | ||||||
163 | 도정기 | KR1020140020099 | 2014-02-21 | KR1020150099634A | 2015-09-01 | 이철희; 고병태 |
본 발명의 도정기는, 미강이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된 롤러케이스; 및 상기 롤러케이스 내부에 삽입되어 회전하며 모서리가 형성되도록 다각형인 가압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원형의 롤러케이스 내에 다각형 가압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고압-저압순환구조를 통한 순환 마찰로 쌀의 표면을 매끈하게 도정하는 효과가 있다. |
||||||
164 | 저품위 현미의 도정 방법 및 그 장치 | KR1020147030740 | 2013-06-10 | KR1020140140638A | 2014-12-09 | 구마모토가쓰유키; 후지카와히데후미; 오구라요이치로 |
미숙미 및 크랙미 등 불량물을 많이 포함한 외국산의 저품위 현미라도, 쇄미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는 저품위 현미의 도정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세로형 연삭식 정곡기의 연삭식 제강 금망통을 지지하는 지주에는, 상기 도정실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연삭식 정백 롤의 원주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곡물의 이동에 저항을 부여하는 장척형의 저항체가 설치되고, 상기 세로형 마찰식 정곡기의 마찰식 제강 금망통에는, 그 내각부에 복수의 저항 바가 설치되고, 상기 세로형 마찰식 정곡기의 마찰식 교반 롤의 길이 방향으로는, 상기 마찰식 교반 롤의 원주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저항 바와 중첩되어 곡물의 이동에 저항을 부여하는 장척형의 교반 바를 구비하였다. |
||||||
165 | 수동현미기 | KR1020130053314 | 2013-05-10 | KR1020140133307A | 2014-11-19 | 홍미숙 |
본 발명은 수동으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설계되어 가정 내 전기료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수동으로 작동이 이루어지더라도 탈피 효율을 기존 현미기보다 높일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현미기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 껍질 제거를 위한 벼가 투입되는 투입구를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투입된 벼의 껍질을 벗기는 작업을 위한 가압롤러가 구비되는 껍질제거부와, 상기 껍질제거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껍질제거 후 알곡과 껍질로 분리시키기 위한 팬이 구비되는 껍질분리부와, 상기 껍질분리부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분리된 껍질과 알곡을 각각 수용하는 저장부와, 상기 가압롤러의 회전을 위한 제1 기어풀리와, 상기 팬 회전을 위한 제2 기어풀리와, 상기 제1 기어풀리와 제2 기어풀리를 연동시키는 벨트로 이루어지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에는 제1 기어풀리와 연결된 핸들이 더 구비되어 사용자가 핸들을 회전시킴으로써 현미기를 작동시키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
||||||
166 | 도정미의 티끌 제거장치 | KR2020130004239 | 2013-05-28 | KR200469871Y1 | 2013-11-14 | 정상진; 최상억 |
본 고안은 가정용 벼도정기를 통해 조정된 쌀의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와 연계되는 석발부 선별망 사이에 티끌제거장치를 설치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것은, 현미부와 정미부와 석발부가 하나의 케이스에 조합된 가정용 도정기에 있어서, 도정된 쌀이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와 연계되는 석발부의 선별망 사이에 티끌제거장치를 부착하여 도정된 쌀이 석발부로 투입될 때 쌀에 혼합된 겨와 티끌을 먼저 제거함으로써, 석발된 쌀에 겨와 티끌이 없는 청결미가 될 수 있도록 구성한 도정미의 티끌 제거장치이다.
|
||||||
167 | 가정용 도정기 | KR1020100003171 | 2010-01-13 | KR1020110083122A | 2011-07-20 | 오치성 |
PURPOSE: A rice-pounding machine for household use is provided to polish rice by adopting a ceramic screw while making exterior appearance beautiful, and to automatically control protracter in the rice polishing process. CONSTITUTION: The rice-pounding machine for household use includes an upper case; a middle case; a lower case and a drawer. The upper case(10) can be hinged, and a rice storage box(1) made of while porcelain is put on the upper case. The middle case(30) leaves a constant space in the lower part of the upper case, and a rice polishing apparatus(20) is placed on the middle case. In the lower case(40), a rice husk box(41) and a blower(42) are included in the lower part of the middle case(30). The drawer(50)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lower case in the front side to possibly store. | ||||||
168 | 쌀보관실이 부설된 도정기 | KR1020090040440 | 2009-05-08 | KR1020100121338A | 2010-11-17 | 정홍식 |
PURPOSE: A rice-pounding machine having a rice storage warehouse is provided to instantly peeling rice. CONSTITUTION: In the side of the barley pearling machine(100), the rice storage room(200) safekeeping 1 minutes the sea bream is into one body composed with the barley pearling machine. In the rice storage room, the housing(210) separating is included based on the slope diaphragm(224) to the top and lower part. The vortex screw(220) and supply screw(230) are installed on the top of the housing. In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the first motor(250), the blower(240) and filter(241) are installed. In the vortex screw, a plurality of vortex wings(222)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holes(223) is formed i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ollow bar body(221) which is built-in is formed. With turning on 1 minutes the stagnant sea bream the vortex time, the fresh air is supplied to 1 minutes the sea bream spaces. The lower edge of the hollow bar body is connected through the ventilation pipe laying(242) to blower. In the rearward of blower, the filter for inhaling the fresh air is installed. The feed screw is installed in the sidewall of the housing. | ||||||
169 | Collection tank of manufacturing apparatus of grain powder | KR20080104390 | 2008-10-23 | KR20100045279A | 2010-05-03 | KIM KI DAE |
PURPOSE: A collection tank for crushing grains is provided to block the outflow of powder to the outside with a wind discharge unit capable of easily and rapidly discharging wind to the outside through a discharge hole of a crusher. CONSTITUTION: A grain crushing device includes the following: a crusher crushing inputted grains into powder on the top of a frame at high speed; a collection tank(110) collecting and receiving the crushed powder on the bottom of the crusher; an air discharging unit(111) capable of preventing the backflow of the wind to the crusher by rapidly discharging the wind to the outside; and a powder bag(112), collecting the powder while discharging the wind,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ollection tank. | ||||||
170 | 현미기의 왕겨처리풍구 | KR2020070015911 | 2007-09-28 | KR2020090003112U | 2009-04-01 | 김인수; 유용진 |
본 고안은 현미기의 왕겨처리풍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왕겨풍구의 팬을 간편하게 교체할수있도록 개전되는 덮개를 구성하여 간단히 분리한후 세로운 풍구팬을 교체하여 풍구팬의 교체시간을 줄이어 현미작업효율을 높일수있는 왕겨처리풍구를 제공함에 있다. 일반적으로 풍구팬이 마모되면 왕겨배출관을 분리하여 적당한 위치에 고정하고 풍구팬을 분리하고 교체한후에 다시 왕겨배출관을 결합시키는 번잡한 작업으로 풍구팬을 교체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마모된 풍구팬을 간단히 교체할수 있도록, 왕겨풍구의 왕겨배출측의 벽대신에 볼트로 분리 및 결합할수있는 캡형덮개를 구성하여 간단한 방법으로 마모팬을 효율적으로 교체하여 작업성을 높이고 시간과 경비를 절감함에 그특징이 있다. | ||||||
171 | 가정용 도정기 | KR1020070079615 | 2007-08-08 | KR1020090015353A | 2009-02-12 | 염명옥 |
A home rice-polishing machine is provided to peel hulls from the rice or unpolished rice without damaging rice or unpolished rice, and to minimize the generation of noise and dust by forming a curved surface on a part of the rice-polishing machin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ice or unpolished rice during the rice polishing operation. In a rice-polishing machine comprising: a case(10); a housing(20) which is installed within the case, and which has a hopper(21) such that rice is injected into the hopper; a rice-polishing case(30) combined with one side of the housing; a rice-polishing shaft rotatably installed within the housing and rice-polishing case to peel the hulls of rice by transferring rice; and a drive motor(50) combined with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to transmit rotary power to the rice-polishing shaft, a home rice-polishing machin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ice-polishing shaft includes a screw(41) transferring rice, a rice-polishing rod(42)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crew, and a plurality of vanes(43) which are install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ice-polishing rod, and which have curved surfaces formed on rice-contacting parts thereof, one side of the rice-polishing shaft is fixed between the rice-polishing case and housing while the other side of the rice-polishing shaft is joined with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ice-polishing case, and the rice-polishing machine further comprises a rice bran discharge part(60) having a plurality of slots(61) formed therein to discharge the hulls of the rice peeled by the vanes of the rice-polishing shaft. | ||||||
172 | 도정기 분도 조절 장치 | KR2020070011746 | 2007-07-16 | KR2020090000597U | 2009-01-21 | 김보현 |
고안은 정, 역기능과 각도를 분할할 수 있는 스탭모터(20)을 사용하여 일정량의 거리를 분할하여 이동할 수 있어 정량의 정미분도를 쉽게 조정할 수 있으며, 도정시 나락의 정미 분도를 쉽게 조정할 수 있는 도정기의 분도 조절 장치를 공급하는 데 있다. 본체, 스텝모터, 이동나사, 이동축, 배출스프링, 배출판 | ||||||
173 | 가정용 정미기 | KR1020070061865 | 2007-06-22 | KR1020080112872A | 2008-12-26 | 김정호 |
A household rice polishing machine with improved structure is provided to obtain a decoration effect even in a case that the rice polishing machine is installed at a kitchen or other places without greatly defiling the appearance inside a room. As a rice polishing machine used for polishing rice at home, a household rice polishing machine comprises a housing(10), a rice storage tank(20) which is disposed on the top of the housing, and in which rice to be polished is stored, and a rice polishing unit embedded in the housing to polish rice discharged and supplied from the rice storage tank. The rice storage tank is made of porcelain. | ||||||
174 | 도정기용 쓰레기 배출 커버 | KR2020070006759 | 2007-04-24 | KR2020080004981U | 2008-10-29 | 이숙자; 윤풍국 |
본 고안은 도정기용 배출 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정기에서 파쇄되어 나오는 왕겨, 등겨 및 분진 등의 도정 쓰레기의 배출시 소음을 감소시키고 분진이 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회용 용기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배출 커버에 관한 것이다. 도정기, 배출 커버, 1회용 | ||||||
175 | 고추분말 풀림장치 | KR2020070013784 | 2007-08-21 | KR2020070000994U | 2007-09-10 | 엄기종 |
(1)기술분야 고추분말 가공기술 (2)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1차 분쇄된 날카로운 입자를 부드럽게 하고 표피의 검붉은 색상을 마찰시켜 고운빛 을 띠게하며 덩어리진 분말을 풀어주는 장치 의 고안 (3)과제의 해결 수단 도1의 그림과 같이 홉퍼(1)에 저장된 분말이 회전하는 스크류(3)에 의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 압축되어 돌출부를 가미한 마찰판(4)에 의하여 마찰되어 날카로운 입자의 형태를 부드럽게 하고 검붉은 색상의 표피를 마찰시켜 붉은색을 띠게 한다 일련의 진행에 의하여 스프링(5)이 압축 되어 배출구가 열리고 풀림통(18) 으로 유입된 분말은 동심원 상 에 가설된 내축(14)와 외축(15)에 삽설 되어 상호 반대방향 으로 회전하는 날개(19)(20)에 의하여 덩어리 형태의 분말을 낱개의 입자로 풀어준다 (4)효과 1.부드럽고 고운빛 을 내는 작업과 풀림작업을 병행하여 경제적임 2.동심원상의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2개의 날개를 이용하여 풀림작업이 효과적 임 스크류, 이송관, 베어링, 외축관, 내축, 평기어, 벨트, 벨트풀리, 마찰판, 홉퍼 | ||||||
176 | 무세미(無洗米) 제조방법 및 그 장치 | KR1020067010331 | 2004-11-17 | KR1020070008527A | 2007-01-17 | 이스히즈카타케시 |
There is provided a process for separating brans and foreign matter from rice to thereby attain fractionation into wash-free rice and brans, which process comprises the mixing agitation step of realizing receiving in a switchover manner of each of milled rice supplied through a sifting machine from a rice milling machine provided for treating of unmilled rice and milled rice otherwise treated and supplied, mixing in a desirable ratio the milled rice with a polishing material consisting of bran for rice milling (parched bran) having been invented and patented by the applicant to thereby obtain a mixed raw material and performing mixing agitation of this mixed raw material by revolving an agitation blade so that the milled rice and the polishing material are rubbed against each other to isolate brans including skin bran adhering to the surface of milled rice together with foreign matter; the sifting step of separating the brans and foreign matter by sifting; and the separation finishing step of performing finishing of rice into wash-free rice. ® KIPO & WIPO 2007 | ||||||
177 | 바닥이 그물망식으로 형성된 도정기 흔들이송장치 | KR1020050012531 | 2005-02-16 | KR1020060091727A | 2006-08-21 | 김창균; 전증남 |
본 발명은 쌀눈이 90%이상 붙어있는 쌀 배아미를 도정하는 도정기에 있어 1단의 정미장치에서 도정된 배아미를 2단의 정미장치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쌀눈을 보호하고 쌀이 변질되지 않게 하기위한 흔들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아미를 도정하는 배아미 전용도정기는 1단의 정미장치와 2단의연미장치, 기타부속장치로 크게 구분되는데 쌀눈이 붙어있는 쌀 배아미를 도정하기 위해서는 1단의 정미장치의 타공금망내에서 양날개형 분사관로더가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타공금망내 미곡의 진행방향 사선으로 절개된 다수의 구멍과 미곡간의 마찰 및 미곡상호간의 마찰로 인하여 투입된 현미의 호분층이 박리되면서 미강, 미세분진 및 쇄미는 타공금망의 절개부위로 빠져나가 타공금망케이스 덮개 한쪽끝에 연결된 송풍관 연결호스를 통� � 송풍기의 흡입력에 의해 미강통으로 모이게 되고 호분층이 탈부된 쌀눈이 붙어있는 배아미는 개폐장치 및 이송관을 통하여 본 발명의 흔들이송장치를 거쳐 2단의 연미장치 투입블록으로 들어가 상기 1 단과 거의 같은 방식으로 연미, 연마하여 쌀눈이 90%이상 붙어있으면서 싸래기, 미강등이 완전 제거된 완전 배아미가 연미장치의 개폐장치를 통해 생산된다. 본 발명은 1단의 정미장치에서 쌀눈이 90%이상 붙어있는 배아미를 2단의 연미장치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바닥이 그물식sus망으로 이루어진 흔들이송채를 이용 배아미를 이송하게 되는데 구동모터에 연결된 연미장치의 풀리에 연결된 흔들이송채가 앞,뒤로 1분에 135회정도 진동하면서 배아미가 2단의 연미장치 투입블록으로 이송하게 되는과정에서 1단 정미장치에서 호분층이 박리되면서 미처 탈부되지 못한 미강과 싸래기등이 흔들이송채 그물식망의 바닥을 통과 하면서 빠져나가고 1단 정미과정에서 발생한 배아미의 열을 식혀 배아보존율과 잔존율을 높이면서 미강과 쇄미를 1차 제거하고 이송과정에서 생기는 열을 줄일수 있어 배아미의 밥맛을 좋게 하도록한 배아미 도정기에 있어 흔들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물식sus망, 투입블록, 상하회전장치, 상하고정장치, 흔들이송채 | ||||||
178 | 현미도정기능 겸용 식품가공기 | KR2020050012122 | 2005-04-29 | KR200390487Y1 | 2005-07-21 | 강성빈 |
본 고안은 본체(2)의 모터회전축(10)의 상부에 스플라인축봉(12)을 형성하여 안착 고정된 용기(4)내에서 위치하며 회전가능한 칼날구(8)(32)의 내부 스플라인축홈과 스플라인축 결합 되게하고, 용기뚜껑(6)이 닫힌 상태에서 칼날구(8)(32)의 상부 축심(22)이 용기뚜껑(6)의 축받이(24)에서 축회전지지되게 구성하되, 식품가공기능시에는 용기(4)내에 모터회전축(10)과 일체로 회전하는 식품가공용 칼날구(8)를 장착하고, 현미도정기능시에는 용기(4)내에 고정 안착된 철망용기(30)와 모터회전축(10)과 일체로 회전하는 현미도정용 칼날구(32)를 장착하도록 구성한다. | ||||||
179 | 이동용 정미기 | KR2020040019935 | 2004-07-13 | KR200363878Y1 | 2004-10-08 | 송병양 |
본 고안은 이동용 정미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트럭에 정미기를 안착하여 소비자를 직접 방문하여 정미작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진 것으로서, 차량의 엔진에 의해 회전하는 차축의 일정부분에 기어박스가 구성되어 지고, 상기 기어박스의 일측부에 풀리가 형성되어 회전되며, 상기 풀리에 걸린 벨트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트럭에 적재된 정미기가 작동되어 지도록 구성을 가지는 이동용 정미기에 관한 것이다. | ||||||
180 | 녹즙기용 현미 정미기 | KR2020040009147 | 2004-04-02 | KR200354072Y1 | 2004-06-24 | 강선대 |
본 고안은 녹즙기의 본체에 변속기를 일체로 구성하여 녹즙기 및 현미정미기를 착탈 가능케 부착하여 소량의 현미를 즉석에서 백미로 정미할 수 있는 정미기능과 녹즙기를 작동시킬 수 있는 녹즙기용 현미정미기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구체적인 것은 도 3의 그림과 같이 녹즙기(1)의 내측 구동부(1a)에 모터(300')를 장치하여 그 회전축(302')을 외부로 돌출시켜 그 끝에 고속으로 회전하는 헬리컬기어(302)를 형성하여 끝단에 육각 모터축(302a)을 형성하고, 구동부(1a) 모터케이스(300) 외측에 지지판(2)을 형성하여 내측으로 베어링(3)을 삽설하여 그 외측에 일정비율비를 가지는 3개의 헬리컬기어(4a)를 회전판(4c)의 축봉(4g)에 끼워 각각 회전되게 하고 그 외측에 고정판(4d)을 설치하여 헬리컬기어(4a) 뭉치를 지지시키고 3개의 헬리컬기어(4a)가 맞닿는 중심공간으� � 회전축(302')의 헬리컬기어가(302)가 치합되게하고, 변속기(4')의 외측 고정판(4d) 중심에 회전연결봉(4h)을 부착하여서 된 변속기(4')를 녹즙기 본체 내측에 장치하여서 정미 현미기의 회전축(10)의 회전연결부(10d)를 회전축(302)에 연결케 한 구성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