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용 정미기

申请号 KR2020040019935 申请日 2004-07-13 公开(公告)号 KR200363878Y1 公开(公告)日 2004-10-08
申请人 송병양; 发明人 송병양;
摘要 본 고안은 이동용 정미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트럭에 정미기를 안착하여 소비자를 직접 방문하여 정미작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진 것으로서, 차량의 엔진에 의해 회전하는 차축의 일정부분에 기어박스가 구성되어 지고, 상기 기어박스의 일측부에 풀리가 형성되어 회전되며, 상기 풀리에 걸린 벨트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트럭에 적재된 정미기가 작동되어 지도록 구성을 가지는 이동용 정미기에 관한 것이다.
权利要求
  • 정미작업을 할 수 있는 정미기에 있어서,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차량(1)과, 상기 차량(1)에 적재되어 안착된 정미기(2)와, 상기 정미기(2)가 구동되도록 상기 차량(1)의 엔진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는 동력전달부(10)와, 상기 동력전달부(10)의 일측에 구성된 동력차단부(100)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이동용 정미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10)는 상기 차량(1)의 엔진에 의해 회전되는 차축(11)과, 상기 차축(11)의 일정부분에 구성된 기어박스(12)와, 상기 기어박스(12)의 내부에서 상기 차축(11)의 일정부분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기어(13a)와, 상기 기어(13a)와 맞물려 회전하는 기어(13b)와, 상기 기어(13b)의 중심에서 축을 형성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축(14)과, 상기 회전축(14)의 끝단부에 구성된 풀리(15)와, 상기 풀리(15)의 회전을 상기 정미기(2)에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16)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이동용 정미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차단부(100)는 상기 회전축(14)의 풀리(15)측의 타측에 형성된 두개의 돌출부(101)와, 상기 두개의 돌출부(101) 사이에 구성된 상기 회전축(14)을감싼 형태의 링(102)과, 상기 링(102)의 일측부에 형성된 레버(103)로 구성되어 상기 기어박스(12)내면의 안내홈(104)을 따라 상기 회전축(14)이 이동가능한 것이 특징인 이동용 정미기.
  • 说明书全文

    이동용 정미기{The moving rice-polishing machine}

    본 고안은 이동용 정미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을 적재할 수있는 트럭에 정미기를 안착하여 소비자를 직접 방문하여 정미작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진 것으로서, 차량의 엔진에 의해 회전하는 차축의 일정부분에 기어박스가 구성되어 지고, 상기 기어박스의 일측부에 풀리가 형성되어 회전되며, 상기 풀리에 걸린 벨트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트럭에 적재된 정미기가 작동되어 지도록 구성을 가지는 이동용 정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가에서 수확된 벼를 쌀로 가공하기 위해서는 정미기가 설치된 정미소로 벼를 실어 날라 정미를 하였으며, 이런 종래의 과정은 대량으로 정미를 하기 때문에 대부분 장기간 보관하여 정미작업을 하였다. 그리고 장기간 보관하는 과정에서 주위의 환경에 의해 쌀이 변질되거나 부패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던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종래에 정미소를 찾아가 대량으로 정미하는 단점을 보완하고자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소형의 가정용 정미기가 개발되어 일반 가정에 보급되기 시작하였으나, 상기와 같은 가정용 정미기를 구입하는 것은 경제적 부담감을 가지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농촌인구의 고령화에 따라 정미기가 각 농가에 설치되어 있더라도 정미기의 작동에 어려움을 겪는 것도 현실이다. 또한 가정용 정미기를 구입한 일반가정에서도 일정공간의 설치공간이 마련되어야 하기 때문에 협소한 공간을 가진 일반 가정에서는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차량에 정미기를 안착하여 소비자를 직접 방문하여 정미작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진 것으로서, 차량의 엔진에 의해 회전하는 차축에 기어를 장착된 기어박스가 구비되어 지고, 상기 기어박스의 일측면에 구성된 풀리가 회전되고, 상기 풀리에 걸린 벨트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트럭에 적재된 정미기가 작동되어 지도록 구성을 가지는 이동용 정미기를 만드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어박스내의 동력전달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어박스내의 동력차단부의 차단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회전축과 레버의 관계를 나타낸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차량 2. 정미기

    10. 동력전달부 11. 차축

    12. 기어박스 13a. 13b. 기어

    14. 회전축 15. 풀리

    16. 벨트 100. 동력차단부

    101. 돌출부 102. 링

    103. 레버 104. 안내홈

    본 고안은 이동용 정미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트럭에 정미기를 안착하여 소비자를 직접 방문하여 정미작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진 것으로서, 차량의 엔진에 의해 회전하는 차축의 일정부분에 기어박스가 구성되어 지고, 상기 기어박스의 일측부에 풀리가 형성되어 회전되고, 상기 풀리에 걸린 벨트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트럭에 적재된 정미기가 작동되어 지도록 구성을 가지는 이동용 정미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대표도로서 본 고안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도면에 도시된 정미기는 일반정미기의 원리와 유사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인 차량에서의 엔진에 의해 정미기가 작동되는 원리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차량(1)과, 상기 차량(1)에 적재되어 안착된 정미기(2)와, 상기 정미기(2)가 가동되도록 상기 차량(1)의 엔진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는 동력전달부(10)와, 상기 동력전달부의 일측에 구성된 동력차단부(100)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기어박스내의 동력전달부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력전달부(10)는 상기 차량(1)의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차축(11)의 일정부분에는 기어박스(12)가 형성되고, 상기 기어박스(12)의 내부에는 상기 차축(11)을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차축(11)과 일체로 회전하는 기어(13a)와 상기 기어(13a)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상기 기어(13a)와 대향되는 기어(13b)가 구성되며, 상기 기어(13b)의 중심에는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회전축(14)이 구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14)의 일측 끝단부에는 풀리(15)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풀리(15)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정미기(2) 내부에 구성되어 있는 풀리와 벨트(20)로 연결되어 동력을 상기 정미기(2)에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 엔진에서 정미기(2)로 가는 동력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도 2에서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레버(103)를 당기면 도 4의 도면과 같은 상태가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기어박스내의 동력차단부의 차단상태를 나타낸 상태도로서, 도 2의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레버(103)를 당기면 상기 레버(103)의 일측에 상기 레버(103)와 일체로 형성된 링(102)이 상기 회전축(14)의 일측에 형성된 두개의 돌출부(101)사이에서 상기 회전축(14)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축(14)은 상기 기어박스(12)내부에 형성된 안내홈(16)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차축(11)의 기어(13a)와 회전축(14)의 기어(13b)가 분리가 되어 상기 정미기(2)에 동력을 전달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다시 정미기(2)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도 3에서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레버(103)를 밀면 상기 차축(11)의 기어(13a)와 회전축(14)의 기어(13b)가 맞물리는 도 2의 상태가 되어 동력전달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회전축과 레버의 관계를 나타낸 상태도로서, 상기 도면에 도시된 형태와 같이 회전축(14)의 일측에는 두개의 돌출부(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두개의 둘출부(15)의 사이에는 도면에 도시된 형태의 링(102)이 상기 회전축(14)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링(102)의 일측부에는 손잡이 형태의 레버(10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레버(103)의 링(102)의 내경은 상기 회전축(14)의 두께보다는 약간 넓기 때문에 상기 링(102)은 상기 회전축(14)의 회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본 고안의 정미기의 디자인은 여러 가지 모습으로 개조 될 수 있으나 본 고안의 특징인 차량의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이동용 정미기임을 강조하고자 한다.

    차량으로 인해 직접 소비자에게 방문하여 정미작업을 함으로서 정미작업 공정의 신뢰와 함께, 고가의 정미기를 일일이 일반가정에서 구입하는 경제적 부담감을 줄이고, 동시에 소량의 쌀을 정미함으로서 장기간 보관하여 눅눅해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신선도 높은 쌀을 유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