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미도정기능 겸용 식품가공기

申请号 KR2020050012122 申请日 2005-04-29 公开(公告)号 KR200390487Y1 公开(公告)日 2005-07-21
申请人 주식회사 서강물산; 发明人 강성빈;
摘要 본 고안은 본체(2)의 모터회전축(10)의 상부에 스플라인축봉(12)을 형성하여 안착 고정된 용기(4)내에서 위치하며 회전가능한 칼날구(8)(32)의 내부 스플라인축홈과 스플라인축 결합 되게하고, 용기뚜껑(6)이 닫힌 상태에서 칼날구(8)(32)의 상부 축심(22)이 용기뚜껑(6)의 축받이(24)에서 축회전지지되게 구성하되, 식품가공기능시에는 용기(4)내에 모터회전축(10)과 일체로 회전하는 식품가공용 칼날구(8)를 장착하고, 현미도정기능시에는 용기(4)내에 고정 안착된 철망용기(30)와 모터회전축(10)과 일체로 회전하는 현미도정용 칼날구(32)를 장착하도록 구성한다.
权利要求
  • 본체(2)의 모터회전축(10)의 상부에 스플라인축봉(12)을 형성하여 안착 고정된 용기(4)내에서 위치하며 회전가능한 칼날구(8)(32)의 내부 스플라인축홈과 스플라인축 결합 되게하고, 용기뚜껑(6)이 닫힌 상태에서 칼날구(8)(32)의 상부 축심(22)이 용기뚜껑(6)의 축받이(24)에서 축회전지지되게 구성하되, 식품가공기능시에는 용기(4)내에 모터회전축(10)과 일체로 회전하는 식품가공용 칼날구(8)를 장착하고, 현미도정기능시에는 용기(4)내에 고정 안착된 철망용기(30)와 모터회전축(10)과 일체로 회전하는 현미도정용 칼날구(32)를 장착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도정기능 겸용 식품가공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본체(2)에 서랍식 제어패널(14)을 설치하되, 제어패널(14)에는 식품가공기능버튼들(54,56,58)과 현미도정기능버튼(52)을 구비하고, 현미도정기능버튼(52) 선택시에 작동 가능한 3∼4개의 분도수 버튼들(6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도정기능 겸용 식품가공기.
  • 说明书全文

    현미도정기능 겸용 식품가공기{FOOD PROCESSOR}

    본 고안은 식품가공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미도정기능 겸용 식품가공기에 관한 것이다.

    식품가공기는 식품을 분쇄하거나 절단하며 또한 야채의 즙을 내기 위해 주로 사용되며, 다양한 기능의 칼날들이나 원반을 사용하게 되면 반죽 및 다지기, 채썰기, 얄팍썰기, 거품내기 등까지도 수행할 수 있어 각종 요리재료를 다양하고 손쉽게 마련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식품가공기에는 각종 요리재료를 다양하고 손쉽게 마련해 줄 수 있어 편리하지만 아직까지 현미도정기능은 없다.

    따라서 현미도정기능이 함께 수행할 수 있는 식품가공기가 요망되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현미도정기능 겸용 식품가공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가격경쟁력이 있으면서도 도정기능까지 수행하는 식품 가공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식품가공기능과 현미도정기능이 안전하게 동작하는 현미도정기능 겸용 식품가공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고안은, 본체(2)의 모터회전축(10)의 상부에 스플라인축봉(12)을 형성하여 안착 고정된 용기(4)내에서 위치하며 회전가능한 칼날구(8)(32)의 내부 스플라인축홈과 스플라인축 결합 되게하고, 용기뚜껑(6)이 닫힌 상태에서 칼날구(8)(32)의 상부 축심(22)이 용기뚜껑(6)의 축받이(24)에서 축회전지지되게 구성하되, 식품가공기능시에는 용기(4)내에 모터회전축(10)과 일체로 회전하는 식품가공용 칼날구(8)를 장착하고, 현미도정기능시에는 용기(4)내에 고정 안착된 철망용기(30)와 모터회전축(10)과 일체로 회전하는 현미도정용 칼날구(32)를 장착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현미도정기능 겸용 식품가공기(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식품가공기(100)가 식품가공기능시 조립부품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식품가공기(100)가 현미도정기능시 조립부품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현미도정기능 겸용 식품가공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4)내에 S날과 같은 식품가공용 칼날구(8)를 모터회전축(10)에 장착하였을 경우에는 썰기나 다지기와 같은 식품가공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4)내에 철망용기(30)가 탑재되고 모터회전축(10)에 절곡날과 같은 현미도정용 칼날구(32)를 장착하였을 경우에는 현미 도정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식품가공기(100)는, 본체(2)의 용기안착부(3)에 모터회전축(10)을 돌출되게 설치하되, 모터회전축(10)의 상부에는 스플라인축봉(12)을 형성하여줌으로써 도 2 및 도 3의 칼날구(8)(32)내부의 스플라인축홈과 스플라인축 결합을 할 수 있다.

    용기(4)를 용기 안착부(3)에 안착시키면 돌출된 모터회전축(10)은 용기축관(5)내에 자연스럽게 위치하게되며,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기능(식품가공기능 또는 현미도정기능)에 맞춰 칼날구(8) 결합 또는 철망용기(30),칼날구(32)를 결합하고, 상방에 투입구(16)가 있는 용기뚜껑(6)을 회전결합하여 닫는다. 사용자는 용기뚜껑(6)의 투입구(16)를 통하거나 또는 용기뚜껑(6)을 열어 가공할 식품이나 도정할 현미를 용기(4)내 또는 철망용기(30)내에 넣을 수 있으며, 가공할 식품이나 도정할 현미를 넣은 후에는 전원을 인가하고 제어패널(14)을 조작함으로써 칼날구(8)(32)가 회전하게 되고 그 결과 식품 가공이 되어지거나 현미 도정이 되어진다.

    도 4는 도 1의 식품가공기(100)가 식품가공기능시 조립부품 주요부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식품가공기(100)가 현미도정기능시 조립부품 주요부 단면도이다.

    먼저 도 2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식품가공용 칼날구(8)의 조립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식품가공용 칼날 예컨대 S날(도 2의 18)을 구비하고 칼날축부(20)의 상부에는 금속재질의 축심(22)이 설치된다. 식품가공용 칼날구(8)의 내부에는 도 4의 단면도에서와 같이, 모터회전축(10)의 스플라인축봉(12)이 식품가공용 칼날구(8)의 스플라인축홈에 스플라인축 결합하고, 용기(4)의 축관(5)은 칼날구(8)의 내측 환형홈(21)에 비접촉되게 끼워진다. 용기뚜껑(6)이 회전결합되어 용기(4)에 닫혀지게되면 "A"부분 확대도와 같이 용기뚜껑(6)의 중심부에 삽설된 내마모성재질의 축받이(24)가 식품가공용 칼날구(8)의 축심(22)을 축받침하며 회전지지하므로 식품가공용 칼날구(8)가 회전시에도 전혀 편심이 생기지 않도록 해주어 고속회전시에도 식품가공기(100)는 안전하게 동작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현미도정용 칼날구(32)의 조립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현미도정용 칼날구(32)는 현미도정용 칼날 예컨대 절곡날(도 3의 34)을 구비하고 칼날축부(36)의 상부에는 금속재질의 축심(38)이 설치된다. 현미도정용 칼날구(32)의 내부에는 도 5의 단면도에서와 같이, 모터회전축(10)의 스플라인축봉(12)이 현미도정용 칼날구(32)의 스플라인축홈에 스플라인축 결합하는바, 용기(4)의 축관(5)과 철망용기(30)의 축관(31)이 칼날구(32)의 내측 환형홈에 비접촉되게 차례로 끼워져있다.

    용기안착부(3)에 안착된 용기(4)의 축관(5)에 철망용기(30)의 축관(32)이 끼워지게 되면 "C"부분 확대도와 같이, 철망용기(30)의 상측 테두리부(40)는 용기(4)의 턱받이에 턱받침 되고, 용기뚜껑(6)이 회전결합되어 용기(4)에 닫히면 용기뚜껑(6)이 철망용기(30)의 상측 테두리부(40)를 상부 압박하여주므로 철망용기(30)는 든든히 고정된다. 아울러 용기뚜껑(6)이 회전결합하여 용기(4)에 닫혀지게 되면, "B"부분 확대도와 같이, 용기뚜껑(6)의 중심부에 삽설된 내마모성재질의 축받이(24)가 현미도정용 칼날구(32)의 축심(38)을 축받침하며 회전지지하므로 현미도정용 칼날구(32)가 회전시에도 전혀 편심이 생기지 않도록 해주어 고속회전시에도 식품가공기(100)는 안전하게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식품가공용 칼날구(8)나 현미도정용 칼날구(32) 밑에 식품이나 도정미가 끼여있게 되면 그로 인해 칼날구(8)(32)가 조금 뜨게되고 칼날구(8)(32)의 축심(22)(38)도 그만큼 뜨게 되므로 용기뚜껑(6)은 닫기지 않게 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용기뚜껑(6)을 닫기위해 칼날구(8)(32) 밑에 있는 이물질을 가공기작업 이전에 반드시 제거하게 되므로 식품가공기(100)를 안전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

    벼에서 겉껍질(왕겨)만 한 번 벗겨낸 1분도미를 현미라고 하며, 우리가 평소에 먹는 백미는 벼를 10번 도정한 것이고, 현미와 백미의 중간 단계로 5분도미와 7분도미가 있다.

    현미에는 쌀겨와 씨눈이 있어 현미밥을 짓게 되면 영양이 풍부하여 각종 성인병을 예방하고 노화를 방지할 뿐더러 변비를 예방해주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현미는 백미로 지은 쌀밥보다 짓기도 어렵고 맛도 없다는 것이 문제이고 특히 현미는 단단한 쌀겨층으로 싸여 있어 소화기능이 약한 사람은 꼭꼭 씹어 먹어야 몸에 효과적으로 흡수될 수 있다.

    한편 쌀겨를 벗겨 낸 백미는 36시간 안에 먹는 것이 가장 좋으나 7일이 지나면 산화가 시작되어 15일 후면 쌀의 맛과 영양이 떨어지는 바, 본 고안의 식품가공기(100)의 현미도정기능을 이용하게 되면 현미를 자신이 원하는 분도수에 맞춰 즉석 도정할 수 있어 쌀의 맛과 영양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고 그것을 밥으로 지어 먹으면 일년 내내 햅쌀 같은 신선한 밥맛을 느낄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라 식품가공기능과 현미도정기능 조작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제어판넬(14)의 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체(2) 전면에 서랍식 제어패널(14)을 설치하되, 제어패널(14)상에는 전원버튼(50), 현미도정기능버튼(52), 식품가공기능 버튼들(54,56,58)을 구비한다. 식품가공기능버튼들(54,56,58)로는 예컨대, 커트저속버튼(54), 커트고속버튼(56) 및 순간작동을 위한 순간버튼(58)이 있다. 현미도정기능 버튼(52)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시에 작동가능한 3∼4개의 분도수 버튼들(60) 예컨대, 3분도, 5분도, 7분도, 백미에 대응된 버튼들이 제어판넬(14)상에 구비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식품가공기(100)의 제어회로 블록구성도로서, 제어패널(14), 제어부(70), 메모리부(72), 및 구동모터(74)를 포함하고 있다.

    도 8은 현미도정기능시 식품가공기(100)의 제어부(도 7의 70)에서 수행하는 동작제어 흐름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2분도부터 백미(10분도)까지 각단계에 대응된 분도수 버튼들을 모두 구비하지 않고 도 6의 제어패널(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4개의 분도수(3분도,5분도,7분도,백미) 버튼들(60)만 구비하여 경제적이며 실용적으로 구현하였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식품가공기(100)의 구동모터(74)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식품가공기(100)의 모터회전속도를 식품가공기 구동모터의 모터회전속도값을 일정한 값으로 고정시켜서 메모리부(72)에 맵핑해 놓는다(도 8의 200단계).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망용기(30)에 하나의 표시선(42)만을 마킹해 놓아 한번에 도정할 현미량을 획일적으로 미리 정해놓는다. 그리고는 제어패널(14)의 분도수(3분도,5분도,7분도,백미)에 대응된 도정시간값들도 각각 메모리부(72)에 맵핑하게되는 바(도 8의 200단계), 상기 획일적으로 미리 정해 놓은 현미량에 근거하여 각 분도수의 도정시간값으로 환산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철망용기(30)에 미리 마킹해둔 표시선(42)까지만 현미를 채워야하며, 제어패널(14)의 전원버튼(50)을 눌러 전원을 인가한 상태(도 8의 202단계)에서, 현미도정기능버튼(52)을 누르고 난후 분도수 버튼들(60)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분도수버튼을 누르게 되면, 제어부(70)는 도 8의 204단계의 판단에서 이를 인식하고 도 8의 206단계로 진행한다. 도 8의 206단계에서 제어부(70)는 선택된 분도수에 대응하여 메모리부(72)에 맵핑된 도정시간 설정값을 읽어내고 그에 근거하여 구동모터(74)를 미리 고정설정된 모터회전속도로 정속 회전제어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현미도정기능을 선택하지 않고 다른 버튼을 선택하였다면 제어부(70)는 그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도 8의 208단계).

    상술한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식품가공기가 식품가공기능뿐만 아니라 현미도정기능도 겸용하면서도 가격경쟁력이 있고, 각 기능(식품가공기능,현미도정기능)이 안전하게 동작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식품가공기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식품가공기가 식품가공기능시 조립되는 부품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식품가공기가 현미 도정기능시 조립되는 부품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식품가공기가 식품가공기능시 조립부품 주요부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식품가공기가 현미도정기능시 조립부품 주요부 단면도,

    도 6은 도 1의 제어판넬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회로 블록구성도,

    도 8은 현미도정기능시 식품가공기 제어부에서 수행하는 동작제어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본체

    4 ... 용기

    6 ... 용기뚜껑

    8 ... 식품가공용 칼날구

    10 ... 모터 회전축

    12 ... 스플라인축봉

    14 ... 제어패널

    30 ... 철망용기

    32 ... 현미가공용 칼날구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