首页 / 专利分类库 / 有机化学 / 无环或碳环化合物 / 羧酸酰胺,酸部分的碳架进一步被氧原子取代 / ·带有连接在同一碳架上的羧酰胺基的碳原子和双键氧原子 / 스쿠알렌 합성 효소 억제활성을 갖는 신규 화합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조성물

스쿠알렌 합성 효소 억제활성을 갖는 신규 화합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조성물

专利类型 发明公开 法律事件
专利有效性 无效专利 当前状态 Rejected
申请号 KR1019970050895 申请日 1997-10-02
公开(公告)号 KR1019990030614A 公开(公告)日 1999-05-06
申请人 주식회사 엘지; 申请人类型 企业
发明人 안인애; 유영준; 장호진; 노성구; 이영진; 第一发明人 안인애
权利人 주식회사 엘지 权利人类型 企业
当前权利人 주식회사 엘지 当前权利人类型 企业
省份 当前专利权人所在省份: 城市 当前专利权人所在城市:
具体地址 当前专利权人所在详细地址:***, Yeoui-daero, Yeongdeungpo-gu, Seoul, (***-***), Republic of Korea 邮编 当前专利权人邮编:
主IPC国际分类 C07C235/70 所有IPC国际分类 C07C235/70
专利引用数量 0 专利被引用数量 0
专利权利要求数量 0 专利文献类型 A
专利代理机构 专利代理人 이원희;
摘要 본 발명은 새로운 구조의 스쿠알렌 합성 효소 억제 활성을 갖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 화합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체내 콜레스테롤 축적을 촉진하는 효소인 스쿠알렌 합성 효소의 활성을 효과적이고 강력하게 억제하고 합성이 용이하여 고지혈증, 관상동맥심장병, 동맥경화증, 심근경색증 등과 같은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식에서 A, B 및 R
1 및 R
2 는 명세서에 정의한 바와 같다.)
权利要求
  • 하기 화학식 1의 바이싸이클로[2.2.2]옥트-7-엔-2,3,5-트리카르복실산의 유도체 화합물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 1 및 R 2 는 각각 수소; 각종 알킬, 알케닐, 방향족; 산소, 질소 및 황 원자가 포함된 방향족이 치환된 알킬, 알케닐, 방향족; 그리고 산소, 질소 및 황 원자가 포함된 방향족;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작용화된 알킬이다.
    또한 A 및 B 는 수소, 히드록시, 카박실릭산 중에서 선택된다.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2 에서 X 는 탄소, 산소, 질소, 황, 할로겐 원소 및 수소를 의미한다. 여기서 X 가 수소일 때는 C 는 무시된다. Y, W, Z 는 탄소, 산소, 질소, 황 및 수소를 의미하며 Y 가 수소일 때 D 는 무시된다. C 및 D 는 각종 알킬, 알케닐, 방향족 그리고 산소, 질소 및 황원자가 포함된 방향족이 치환된 알킬, 알케닐, 방향족 그리고 산소, 질소 및 황원자가 포함된 방향족 중에서 선택된다.
    그리고 상기식에서 n 은 0 에서 10 까지의 메틸렌 수를 의미한다.
  • 제 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6-(트리데카닐카바모일)-바이싸이클로[2.2.2]옥트-7-엔-2,3,5-트리카르복실산;
    6-(네릴카바모일)-바이싸이클로[2.2.2]옥트-7-엔-2,3,5-트리카르복실산;
    6-(다이벤질-카바모일)-바이싸이클로[2.2.2]옥트-7-엔-2,3,5-트리카르복실산;
    6-(벤질옥시카바모일)-바이싸이클로[2.2.2]옥트-7-엔-2,3,5-트리카르복실산;
    6-(페닐-프로필카바모일)-바이싸이클로[2.2.2]옥트-7-엔-2,3,5-트리카르복실산;
    6-(m-하이드록시페닐에틸카바모일)-바이싸이클로[2.2.2]옥트-7-엔-2,3,5-트리카르복실산;
    6-(2-페닐-프로필카바모일)-바이싸이클로[2.2.2]옥트-7-엔-2,3,5-트리카르복실산;
    6-(o-플루오로페닐에틸카바모일)-바이싸이클로[2.2.2]옥트-7-엔-2,3,5-트리카르복실산; 및
    6-(2-히드록시-1-메틸-에틸카바모일)-바이싸이클로[2.2.2]옥트-7-엔-2,3,5-트리카르복실산.
  • 바이싸이클로[2.2.2]옥트-7-엔-2,3,5,6-테트라카르복실 디안히드리드에 같은 당량의 각종 아민을 반응시켜 아미드를 형성하는 단계 (제 1단계) 및 생성된 아미드 화합물을 가수분해하는 단계 (제 2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의 바이싸이클로[2.2.2]옥트-7-엔-2,3,5-트리카르복실산의 유도체의 제조방법.
    반응식 1
  • 제 1항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관상동맥경화증, 심근경색증 등과 같은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제 및 치료제용 약학적 조성물.
  • 说明书全文

    스쿠알렌 합성 효소 억제활성을 갖는 신규 화합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조성물

    본 발명은 스쿠알렌 합성 효소 (squalene synthase 또는 farnesyl-diphosphate:farnesyl-diphosphate farnesyltransferase)를 억제하는 신규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콜레스테롤 생합성을 저해하여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강하시킬 수 있는 효소인 스쿠알렌 합성 효소 억제활성을 갖는 새로운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관상동맥심장병, 동맥경화증, 심근경색증 등의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심장순환계 질환은 현재 전세계적으로 사망율 1위를 차지하는 질병으로 구미 등 선진국에서는 이로 인한 사망이 전체 사망의 1/3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미 서구화한 일본의 경우도 같은 경향을 보이고 있고, 식생활 문화를 비롯하여 매우 빠른 속도로 서구화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도 수년 내에 비슷한 경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혈장내 콜레스테롤 농도가 높으면 심장순환계 질병을 야기시킬 확률이 높다는 연구 보고들과 일맥상통하는 것으로서, 심장순환계 질환의 근본적 원인중 하나인 혈중 콜레스테롤에 대한 현대인의 관심은 날로 증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높은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가 심장순환계 질환의 근본적 원인이 된다는 연구 결과들이 많이 알려져 있고, 이에 따라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저하시켜서 심장순환계 질환을 예방하려는 노력들이 계속되어 왔다.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저하시키는 방법으로는 음식물로부터 섭취되는 콜레스테롤의 양을 줄이거나, 콜레스테롤의 대사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콜레스테롤의 생합성 자체를 저해하는 것 등이 있다.

    그러나 생체내 존재하는 콜레스테롤의 대부분은 생체내 합성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위의 방법들 중에서 생합성 자체를 저해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한 예로 콜레스테롤 생합성의 여러반응 단계 중 첫 번째 단계는 3-히드록시-3-메틸글루타릴 조효소 A (3-hydroxy-3-methylgluataryl coenzyme A, 이하 "HMG CoA"라 약칭함)로부터 메발로닉산을 만드는 것인데, 이 반응에 관여하는 효소인 HMG CoA 리덕테이즈(reductase)를 저해하여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강하시키는 방법은 이미 임상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고 있다.

    그러나 HMG CoA 리덕테이즈는 콜레스테롤의 생합성 이외에도 우리 몸에 필요한 많은 물질을 합성하기 위해 꼭 필요한 효소로서, 이를 지나치게 억제하면 부작용이 유발될 우려가 있다. 즉 메발로닉산이 조효소 Q(coenzyme Q), 헴 A(heme A) 및 도리콜 등과 같은 아이소프레노이드의 공동 선구물질이기 때문에, 이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면 아이소프레노이드에 관련된 다른 대사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부작용의 가능성 때문에, 콜레스테롤의 생합성 단계 중에서 다른 물질의 합성에는 영향을 주지않고 오직 콜레스테롤의 합성에만 관련된 효소 반응 단계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효소들에 대한 선택적인 저해는 오직 콜레스테롤의 생합성만을 방해할 것이고 다른 아이소프레노이드들의 합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다른 물질의 합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콜레스테롤의 합성에만 관여하는 반응들 중 하나는 두 개의 파네실디포스페이트를 합쳐서 스쿠알렌을 만드는 반응이고, 이 반응에 관여하는 효소는 스쿠알렌 합성효소이다 (Poulter, CD; Rilling, HC In "Biosynthesis of Isoprenoid Compounds", Porter, JW and Spurgeon, SL Eds,; Wiley, New York, 1981, Vol. 1, Chapter 1). 최근 여러 연구기관에서 이 효소의 저해제에 대해 많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Chan, C.; Andreotti, D.; Cox, B.; Dymock, BW; Huston, JL; Keeling, SE; McCarthy, AD; Procopiou, PA; Ross, BC; Sareen, M.; Scicinski, JJ; Sharratt, PJ; Snowden, MA; Watson, NS J. Med. Chem. 1996 , 39 , 207. Koert U., Angew.Chem. Int. Ed. Engl. 1995 , 34 , 773. Wilson, KE; Burk, RM; Biftu, T.; Ball, RG; Hoogsteen, K. J. Org. Chem. 1992 , 57 , 7151. Dickson, JK Jr.; Biller, SA; Magnin, DR; Petrillo, EW Jr.; Hillyer, JW; Hsieh, DC; Lan, SJ; Rinehart, JK; Gregg, RE; Harrity, TW; Jolibois, KG; Kalinowski, SS; Kunselman, LK; Mookhtiar, KA; Ciosek, CP Jr. J. Med. Chem. 1996 , 39 , 661. Oehlschlager, AC; Singh, SM; Sharma, S. J. Org. Chem. 1991 , 56 , 3856.).

    본 발명자들은 심장순환계 질병의 주원인이 되는 혈중 콜레스테롤을 효과적으로 강하시킬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를 계속하던 중, 인체에 필요한 다른 물질의 합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콜레스테롤의 합성에만 관여하는 반응인 스쿠알렌 합성을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스쿠알렌 합성 효소 저해물질을 합성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체내 콜레스테롤 축적에 관여하는 새로운 구조의 스쿠알렌 합성 효소 활성 저해 화합물, 그의 제조방법 및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심장순환계 질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 1 및 R 2 는 각각 수소; 각종 알킬, 알케닐, 방향족; 산소, 질소 및 황 원자가 포함된 방향족이 치환된 알킬, 알케닐, 방향족; 그리고 산소, 질소 및 황 원자가 포함된 방향족;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작용화된 알킬이다.

    또한 A 및 B 는 수소, 히드록시, 카박실릭산 중에서 선택된다.

    상기 화학식 2 에서 X 는 탄소, 산소, 질소, 황, 할로겐 원소 및 수소를 의미한다. 여기서 X 가 수소일 때는 C 는 무시된다. Y, W, Z 는 탄소, 산소, 질소, 황 및 수소를 의미하며 Y 가 수소일 때 D 는 무시된다. C 및 D 는 각종 알킬, 알케닐, 방향족 그리고 산소, 질소 및 황원자가 포함된 방향족이 치환된 알킬, 알케닐, 방향족 그리고 산소, 질소 및 황원자가 포함된 방향족 중에서 선택된다.

    그리고 상기식에서 n 은 0 에서 10 까지의 메틸렌 수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산소, 질소 및 황 원자가 포함된 방향족"은 모노 또는 디사이클릭 방향족으로 한 개 내지 두 개의 질소 또는 황 원자가 방향족환 안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비대칭 탄소 중심을 가질 수 있으며, 라세미체, 라세미 화합물, 부분 입체 이성체 혼합물 및 개개 부분 입체 이성체로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들 모든 이성체 형태는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 중 대표적인 예로는 다음 화합물이 포함된다.

    1) 6-(트리데카닐카바모일)-바이싸이클로[2.2.2]옥트-7-엔-2,3,5-트리카르복실산

    2) 6-(네릴카바모일)-바이싸이클로[2.2.2]옥트-7-엔-2,3,5-트리카르복실산

    3) 6-(다이벤질-카바모일)-바이싸이클로[2.2.2]옥트-7-엔-2,3,5-트리카르복실산

    4) 6-(벤질옥시카바모일)-바이싸이클로[2.2.2]옥트-7-엔-2,3,5-트리카르복실산

    5) 6-(페닐-프로필카바모일)-바이싸이클로[2.2.2]옥트-7-엔-2,3,5-트리카르복실산

    6) 6-(m-히드록시페닐에틸카바모일)-바이싸이클로[2.2.2]옥트-7-엔-2,3,5-트리카르복실산

    7) 6-(2-페닐-프로필카바모일)-바이싸이클로[2.2.2]옥트-7-엔-2,3,5-트리카르복실산

    8) 6-(o-플루오로페닐에틸카바모일)-바이싸이클로[2.2.2]옥트-7-엔-2,3,5-트리카르복실산

    9) 6-(2-히드록시-1-메틸-에틸카바모일)-바이싸이클로[2.2.2]옥트-7-엔-2,3, 5-트리카르복실산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4의 바이싸이클로[2.2.2]옥트-7-엔-2,3,5,6-테트라카르복실 디안히드리드에 각종아민을 반응시켜 아미드 커플링 등의 반응을 거쳐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하기 반응식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반응식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바이싸이클로[2.2.2]옥트-7-엔-2,3,5-트리카르복실산의 유도체는 바이싸이클로[2.2.2]옥트-7-엔-2,3,5,6-테트라카르복실 디안히드리드에 같은 당량의 각종 아민을 반응시켜 아미드를 형성하는 단계 (제 1단계) 및 생성된 아미드 화합물을 가수분해하는 단계 (제 2단계)를 거쳐 제조된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130> 바이싸이클로[2.2.2]옥트-7-엔-2,3,5-트리카르복실산 유도체들 의 합성

    바이싸이클로[2,2,2]옥트-7-엔-2,3,5,6-테트라카르복실 디안히드리드 50mg (0.20mmol)과 같은 당량의 각종 아민(하기 표 1 참조)을 테트라히드로퓨란 5ml에 넣고 상온에서 1일 동안 교반하였다.

    아민 사용한 양(0.20mmol)
    1 4-아미노-1-벤질피페리딘 0.020ml
    2* 2-디엘-아미노-1-프로판올 0.016ml
    3 씨클로헥실아민 0.023ml
    4 N-에틸에틸렌디아민 0.021ml
    5 1-메틸피페라진 0.022ml
    6 에탄올아민 0.012ml
    7 페닐히드라진 0.019ml
    8 노말-부틸아민 0.020ml
    9 아닐린 0.018ml
    10* O-벤질히드록실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0.032g

    11 2-메틸피페라진 0.021g
    12* 트리데실아민 0.041g
    13 히드록실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0.014g
    14 O-터셔리-부틸히드록실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0.025g
    15 O-페닐히드록실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0.030g
    16 O-에틸히드록실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0.020g
    17 알릴아민 0.015ml
    18 메톡실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0.061ml
    19 이소아밀아민 0.023ml
    20 2-(메틸아미노)에탄올 0.016ml
    21 N,O-디메틸히드록실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0.020g
    22 디메틸아민 0.021ml
    23 N-에틸이소프로필아민 0.024ml
    24 1,3-디아미노-2-히드록시프로판 0.018g
    25 2-피페리딘에탄올 0.026ml
    26 4-히드록시페딘 히드로클로라이드 0.028g
    27 4-(2-아미노에틸)모폴린 0.026ml
    28 1-(2-아미노에틸)피페라진 0.026ml
    29 1-(2-아미노에틸)피롤리딘 0.026ml
    30 3-(아미노메틸)피리딘 0.020ml
    31 2-아미노-5-브로모피리딘 0.035g
    32 4-니트로아닐린 0.028g
    33 2-아미노벤질 알콜 0.025g
    34 퍼퓨릴아민 0.018ml
    35 2-(아미노에틸)벤지미다졸 디히드로클로라이드 히드레이트 0.044g
    36 2-아미노나프탈렌 0.029g

    37 D-페니실아민 0.030g
    38 2-아미노-3,5-디클로로피리딘 0.033g
    39 3-페닐-1-프로필아민 0.0292ml
    40* 씨클로헥산메틸아민 0.0267ml
    41 테트라히드로퍼퓨릴아민 0.0212ml
    42 3,4-디히드록시벤질아민 히드로브로마이드 0.045g
    43 2-에톡시벤질아민 0.0306ml
    44 2-메톡시벤질아민 0.0268ml
    45 2-메틸벤질아민 0.0260ml
    46 3-메틸벤질아민 0.0258ml
    47 2-클로로벤질아민 0.0248ml
    48 3-클로로벤질아민 0.0251ml
    49 4-클로로벤질아민 0.025ml
    50 2-메톡시페네틸아민 0.032ml
    51* 3-메톡시페네틸아민 0.0302ml
    52 2-플루오로페네틸아민 0.0268ml
    53 2-(2-클로로페닐)에틸아민 0.0289ml
    54* 베타-메틸페네틸아민 0.0298ml
    55 4-아미노-1-벤질피페리딘 0.0411ml
    56 3-아미노-1,2-프로판올 0.0156ml
    57 2-아미노-1-페닐에탄올 0.0276g
    58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0.0192ml
    59 4-아미노-3-히드록시벤조산 0.0309g
    60 3,4-디아미노벤조산 0.0307g
    61 2-아미노티아졸 0.020g
    62 7-아미노-4-히드록시-2-나프탈렌술폰산 모노수화물 0.052g

    63 6-아미노카프론산 0.0264g
    64 3'-아미노아세토페논 0.0272g
    65 2-아미노안트라퀴논 0.0450g
    66 4-아미노베조산 메틸에스터 0.0305g
    67 3-아미노벤질 알콜 0.0248g
    68 2-(2-아미노에톡시)에탄올 0.0202ml
    69 1-아미노호모피페리딘 0.0234ml
    70 5-아미노이소프탈산 0.0365g
    71 3,3-술포닐디아닐린 0.050g
    72 1-아미노피페리딘 0.0217ml
    73 5-아미노살리실산 0.0309g
    74 파라-아니지딘 0.0248g
    75 1,8-디아미노옥탄 0.0291g
    76 에틸아민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0.0164g
    77* 디벤질아민 0.0387ml
    78 노말-디부틸아민 0.0339ml
    79 디씨클로헥실아민 0.0401ml
    80 디에탄올아민 0.0193ml
    81 디에틸아민 0.0208ml
    82 디에틸렌트리아민 0.0218ml
    83 호모베라트릴아민 0.0340ml
    84 3-아미노-1-프로판올 0.0154ml
    85 4-아미노벤조산 0.0276g
    86 3-아미노-9-에틸카바졸 0.0423g
    87 2-아미노에틸 히드로진 술페이트 0.0284g
    88 3-아미노-1,2,4-트리아졸 0.0169g

    89 4-아미노-1,2,4-트리아졸 0.0169g
    90 1-아미노피렌 0.0438g
    91 벤지딘 0.0371g
    92 터셔리-부틸히드라진 히드로클로라이드 0.0251g
    93 씨클로프로필아민 0.0140ml
    94 씨클로펜틸아민 0.0199ml
    95 에틸렌디아민 0.013ml
    96 2-아미노-1,3,4-티아디아졸 0.0204g
    97 4-데실아닐린 0.0470g
    98 N-에틸아닐린 0.0253ml
    99 모폴린 0.0176ml
    100 인돌린 0.0226ml
    101 에틸 4-아미노벤조에이트 0.0333g
    102 에틸 3-아미노벤조에이트 0.0301ml
    103 (+,-)-2-에틸헥실아민 0.0330ml
    104 4-히드록시-2,2,6,6-테트라메틸 피페리딘 0.0317g
    105 이미다졸 0.0137g
    106 1-페닐피페라진 0.0308ml
    107 1-아미노-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 0.0293g
    108 에틸 1-피페라진카르복실레이트 0.0295ml
    109 4-(아미노메틸)피페리딘 0.0230g
    110 디엘-세린 메틸 에스터 히드로클로라이드 0.0314g
    111 인다졸 0.0238g
    112 1,1-디페닐히드라진 히드로클로라이드 0.0445g
    113 히드랄라진 히드로클로라이드 0.0396g
    114 N-페닐-1,4-페닐렌디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0.0445g
    115 1,4-페닐렌디아민 0.0218g

    116 메타-페닐렌디아민-4-술폰산 0.0379g
    117 1,2-페닐렌디아민 0.0218g
    118 (+)-페닐프로판올아민 0.0305g
    119 피페라진 0.0174g
    120 1,2,4-트리아졸 0.0139g
    121* 1,3-페닐렌디아민 0.0218g
    122 3-페녹시아닐린 0.0373g
    123 4-페녹시아닐린 0.0373g
    124 3-아미노메틸-3,5,5-트리메틸씨클로헥산올 0.0349g
    125 메틸 4-아미노시나메이트 0.0357g
    126 2-메틸씨클로헥실아민 0.0266ml
    127 N-메틸벤질아민 0.0260ml
    128 3-메톡시프로필아민 0.0206ml
    129 3-페닐-1-프로필아민 0.0286ml
    130 프로파질아민 0.0138ml

    무기산염형태의 아민인 경우에는 당량을 맞추어 탄산수소나트륨을 넣어 주었다. 이 반응물에 물 3ml을 넣고 다시 상온에서 1일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물의 생성과 아민의 소진을 TLC로 확인한 후 반응을 종결하고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하였다. 사용한 반응이 워낙 수율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물질의 확인은 임의로 선택한 일부의 화합물에 대하여 질량분석을 하였다.

    질량분석의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표 1 화합물의 번호 화합물명 Mass(FAB, m/e)
    2 * 6-(2-히드록시-1-메틸-에틸카바모일)-바이싸이클로[2.2.2]옥트-7-엔-2,3,5-트리카르복실산 342(M + + 1)
    5 6-(4-메틸-피페라진-1-카보닐)-바이싸이클로[2.2.2]옥트-7-엔-2,3,5-트리카르복실산 367(M + + 1)
    9 6-페닐카바모일-바이싸이클로[2.2.2]옥트-7-엔-2,3,5-트리카르복실산 360(M + + 1)
    40 * 6-싸이클로헥실메틸카바모일-바이싸이클로[2.2.2]옥트-7-엔-2,3,5-트리카르복실산 380(M + + 1)
    54 * 6-(2-페닐-프로필카바모일)-바이싸이클로[2.2.2]옥트-7-엔-2,3,5-트리카르복실산 402(M + + 1)
    77 * 6-(다이벤질-카바모일)-바이싸이클로[2.2.2]옥트-7-엔-2,3,5-트리카르복실산 464(M + + 1)

    <스쿠알렌 합성 효소의 저해 효과 측정>

    스쿠알렌 합성의 활성은 효소에 의하여 두 개의 파네실디포스페이트가 결합하여 형성된 스쿠알렌의 양을 측정하여 결정하였는데 본발명에는 쉐크터(Shechter) 등의 방법(JBV.,267, 8628-8635 (1992))을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스쿠알렌 합성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먼저 위스터 찰스 리버(Wistar Charles Liver) 쥐로부터 스쿠알렌 합성 효소 활성을 보이는 마이크로좀 분획(microsomal fraction)을 얻었다.

    다음 준비한 반응용액 (100mM 포타슘 포스페이트(pH 7.4), 5mM MgCl 2 , 10mM DTT, 1mM NADPH, 10mM KF)에 상기에서 준비한 스쿠알렌 합성 효소원인 마이크로좀과 방사성 동위원소 3 H로 표지된 파네실 피로포스페이트([ 3 H]FPP)를 기질로 10μM 되게 가한후 35℃에서 15분간 반응시키고 1몰 EDTA (pH 9.2)를 5㎕ 첨가하여 반응을 중지하였다. 이 반응물에 0.5% 스쿠알렌을 5㎕ 첨가하여 잘 섞은 후 이 중 5㎕를 100℃에서 5분간 미리 구어 낸 실리카겔판 위에 일정 간격으로 점착시켰다. 시료가 점착된 실리카겔판을 전개용매인 톨루엔:핵산(5:95)을 이용하여 전개시키고, 전개된 실리카겔판을 요오드 개체에 쐬어 반을 생성물인 스쿠알렌을 판별하였다. 이 판별된 생성물 부위를 오려내어 3ml의 방사성 측정용액 (하이드로플루오르(Hydrofluor), 미국)에 넣은 후 방사성 동위원소 측정기(1900CA, TRI-CARB, 팩카드(Packard)사, 미국)으로 반응산물인 스쿠알렌 내의 방사능을 측정하여 스쿠알렌 합성 효소의 활성을 정량하였다.

    한편, 상기와 같은 조건에서 다양한 농도의 화합물을 가하여 스쿠알렌 합성 효소의 활성을 측정하고, 이 때 각 화합물에 의하여 스쿠알렌 합성 효소의 활성이 억제되는 정도를 백분율로 구하여 각화합물의 억제능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130>에서 합성한 화합물들을 100μM 농도에서 조사했을 때는 15% 에서 90% 까지의 효소 활성 저해의 효과를 보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은 체내 콜레스테롤 축적에 관여하는 스쿠알렌 합성 효소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고지혈증, 관상동맥심장병, 동맥경화증, 심근경색증 등과 같은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