首页 / 专利库 / 动物学 / 蜂毒 / 벌침없는 봉독요법

벌침없는 봉독요법

阅读:215发布:2020-11-13

专利汇可以提供벌침없는 봉독요법专利检索,专利查询,专利分析的服务。并且PURPOSE: An apitherapy without using bee's sting is provided, therefore various diseases can be effectively and stably treated using the bee's venom without a pain or danger. CONSTITUTION: The apitherapy without using bee's sting comprises administrating an effective amount of the bee's venom and an appropriate amount of a local anesthetic sufficient to decrease a pain caused by administrating the bee's venom at the same time or successively, in which the local anesthetic is lidocaine chlorate; the bee's venom is filtered through a 25 micrometer filter; the amount ratio of the bee's venom and the local anesthetic is 10:1 to 1:5, preferably 3:1 to 1:1. A bee's venom-containing injection comprises 0.5 mg to 5 mg, preferably 1 mg of the bee's venom per 1 ml of the injection.,下面是벌침없는 봉독요법专利的具体信息内容。

  • 봉독주사액의 제제화를 위해서 봉독주사액 1ml당 봉독이 0.1mg 내지 10mg이 제공될 수 있도록 액상담체를 포함하는 봉독 주사액과 봉독의 주입에 의해 나타나는 통증(얼얼한 자극)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봉독과 국소마취제의 비율을 중량대비 10:1 내지 1:5 비율로 국소마취제를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투여 할 수 있도록 제제화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류마토이드성 관절염, 골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근육통, 테니스 엘보우, 골프 엘보우, 오십견, 연조직과 골조직의 만성 외과적 염증, 대상포진성 신경통, 건선, 다발성 경화증의 치료제로 사용되는 봉독 주사제.
  • 제 1항에 있어서, 국소마취제는 염산 리도케인이고, 봉독 주사액은 25㎛의 필터를 통과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봉독 주사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봉독과 국소마취제의 비율은 중량대비 3:1 내지 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독 주사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봉독주사액의 제제화를 위해서 봉독주사액 1ml당 봉독이 0.5mg 내지 5mg이 제공될 수 있도록 액상 담체를 포함하는 봉독 주사제.
  • 제 6항에 있어서, 봉독주사액의 제제화를 위해서 봉독주사액 1ml당 봉독이 1mg이 제공될 수 있도록 액상 담체를 포함하는 봉독 주사제.
  • 삭제
  • 다음 조성으로 이루어진 류마토이드성 관절염, 골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근육통, 테니스 엘보우, 골프 엘보우, 오십견, 연조직과 골조직의 만성 외과적 염증, 대상포진성 신경통, 건선, 다발성 경화증의 치료제로 사용되는 봉독 크림제제.
    마른 봉독 1-25%
    메칠 살리실레이트 1-20%
    정제된 켑사이신 0.01-0.05%
    알로에 추출액
    멘톨
    카보마 940
    세칠 알코올
    메칠파라벤
    향료
    밀랍
    정제된 물
  • 다음 조성으로 이루어진 류마토이드성 관절염, 골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근육통, 테니스 엘보우, 골프 엘보우, 오십견, 연조직과 골조직의 만성 외과적 염증, 대상포진성 신경통, 건선, 다발성 경화증의 치료제로 사용되는 봉독 패취 제제.
    마른 봉독 1-25%
    메칠 살리실레이트 1-15%
    정제한 켑사이신 0.01-1%
    알로에 추출액
    멘톨
    위트 점 글리세라이드
    메칠파라벤
  • 说明书全文

    벌침없는 봉독요법{BEE VENOM TREATMENT WITHOUT THE STING}

    본 발명은 봉독요법에 관련된 것으로서, 봉독액의 제제화, 봉독액의 제조방법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봉산물의 치료법(Apitherapy)은 꿀벌이 산생하는 여러 물질 즉 벌꿀, 화분(pollen), 봉랍, 봉밀, 왕유 및 봉독의 의학적인 용법을 일컬른다. 여러 연구에 의하면 벌꿀이 항세균, 항진균, 항염증, 항증식 및 항암적 용도를 지닌 것을 나타낸다. 한 예를 들면, 중국에서는 벌꿀을 화상에 진통제와 소독제로 사용해 왔다. 근래에는 봉랍에 들어있는 카페인 산(酸)이 쥐의 대장에 발암물질을 주입했을 때 전암성 변화를 방지하는 역할이 있는 것을 알아냈다. 화분이 많이 들어있는 꿀벌집의 조각에서 만들어낸 제제는 알레르기 치료에 성공했을 뿐만 아니라 뛰어난 식품 대용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이곳에 기술한 것은 봉독이 만성 염증적 통증 질환을 치료하는 연구에 관한 것을 주로 한다.

    참으로, 고대로부터 봉산물치료의 여러 형태를 사용해왔다. 고대의 저자들 즉 헤시오드(기원전 800년), 아리스토파네스(기원전 450-388년), 바로(기원전 166-27년), 콜러멜라(기원후 1세기) 등 광범위한 저자들이 꿀벌집의 배양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의학의 아버지라 불리우는 히포크라테스(기원전 460-377)는 치료에 사용했고 또한 아르카눔 즉 아주 신비한 치료약이라고 명명했다. 실험적 생리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갈란(기원후 131-201)은 그의 의학에 관한 논문집에 기록해 놓았다. 샤러메인 황제(기원후 742-814)는 자신이 벌침으로 치료했다고 말했다. 코란의 16장 71절에는 봉독에 관해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그들의 복부로부터 진행된 액은 사람에 있어서는 약이다."

    봉산물요법에 대해 꿀벌의 과학적 이해는 약 100년전에 오스트리아 의사인 필립 터크의 연구논문인 '벌침과 류머티스 사이에 특이한 상관관계에 관한 보고'가 발표되면서부터 본격화 되었다.

    봉산물치료의 근래의 지지자들은 봉독과 다른 봉산물이 만성통증과 다른 많은 질환들 즉 연결조직의 퇴행과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여러 종류의 관절염), 신경성 질환(편두통, 말초 신경염, 만성 요통), 자가면역성 질환(다발성 경화증, 낭창), 피부성 질환(습진, 건선, 헤르페스 바이러스 염증) 등의 질환에 효험이 있다고 주장한다. 이와는 반대로 관습적 의학은 봉산물에 관해서는 드물게 관심을 나타내고 있으며 위에 기술한 효험과는 관계가 없는 다음 두 영역 즉 (i) 꿀벌에 쏘였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아나필락시 쇽을 비롯한 과민반응의 위험; (ii) 벌침에 쏘여 나타나는 알레르기 반응 특히 성인에 있어 생명이 위독한 아나필락시 반응에 대한 면역치료로 봉독 자체를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대체의학의 범주 내에서 봉산물치료가 유망한 증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위에 기술한 이유와 또한 표준 봉독주사제의 결여, 봉독의 효과적 사용에 대한 제한된 프로토콜 등 때문에 봉독의 임상학적 적용은 의학의 주류에서 밀려나 시들해졌던 것이 사실이다. 앞서 기술한 것 외에도 봉독요법은 흔히 통증을 수반한다. 생벌에 쏘여 봉독을 주입하는 방법은 위험하며, 조절하기가 힘들다. 이 방법은 또한 환자들이 곤충과 이에 쏘이는 혐오감을 이겨내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다. 침술과 같이 통증이 적게 오는 기술을 이용한다 하더라도 봉독 자체가 통증, 화끈거리게 아픔과 얼얼한 통증을 야기한다. 이런 치료법은 치료 자체가 질환보다 더 나쁜지 어떤지 의문을 갖지 않을 수 없게 만든다. 앞서 기술한 관점에서 보면 표준 봉독액의 제제화와 이런 치료가 필요로 하는 환자들에 주입하는 방법 등이 요구된다. 생벌을 사용하지 않고 특히 봉독으로 치료 시에 그 통증을 덜어주는 방법이 요망된다. 본 발명은 이런 문제들을 본격적으로 풀어나간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사에 의해 주입하는데 적절한 표준봉독액제제를 제공한다. 이 봉독제제는 주사액의 1 밀리리터(mL)에 마른 봉독의 약 0.1 내지 약 10 밀리그람 (mg)을 섞은 주사액으로 조성되어 있다. 이 제제는 또한 희석액, 방부제, 완충제, 점액 변형제, 보용매(co-solvent)와 그 유사물질 등과 같은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봉독제제는 주사액의 1 밀리리터에 봉독이 0.5 내지 5 밀리그람 들어있는 것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봉독주사제는 멜리틴(melittin)이 약 0.01 내지 약 1 밀리그람 들어있고 담백질 총량이 약 80 내지 약 9500 마이크로그람 (mcg) 들어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봉독주사제는 주사액 1 밀리리터에 멜리틴이 약 0.04 내지 약 0.05 밀리그람 들어 있고, 담백질 총량은 약 800 내지 약 950 마이크로그람 들어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부합되는 표준 봉독주사제는 25 마이크로미터 (㎛) 필터를 통해 세균, 세균 파편, 바이러스 및 기타 오염물질을 여과한다. 본 발명의 제제는 피내, 피하, 근육 등의 표준 주사제로 안전하고 적절한 치료를 제공하기에 충분하게 순수하다. 이것은 지금까지 알려진 다른 어떤 봉독제제보다도 가장 순수한 주사제제이다. 그럼에도 봉독의 가장 활동성인 요소를 다 가지고 있으며 상업적으로 행할 수 있는 기술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 표준주사제는 안전성, 유효성 뿐만 아니라 간편함, 비용 등 독특한 절충점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은 봉독요법 때 흔히 수반되는 통증을 많이 감소한다는 것이다. 보통 봉독요법은 소량의 봉독을 여러군데 주사하는 치료법이다. 한 예를 든다면, 주사제 1 밀리리터에 마른 봉독이 1 밀리그람이 들어있는 봉독액은 염증이나 그 주변에 50대 정도도 주입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약 0.1 밀리그람의 마른 봉독이 들어있는 0.1 밀리리터 주사액을 각각의 주사마다 주입하게 된다. 50대의 각각의 주사는 통증, 화끈거리게 아픔, 가려움, 얼얼한 통증 뿐만 아니라 벌침에 쏘였을 때 정상적으로 나타나는 부어오름과 염증을 수반하게 된다. 이제부터 이런 증상들을 종합하여 "얼얼한 자극"으로 기술한다. 지금까지 관습적으로 사용해온 마취제를 국소적으로 발라도 이런 불행한 부작용을 감소시키거나 없애주는데 효과가 없다. 그것들은 주사바늘을 찌를 때 불유쾌감을 약간 감소시킬 수는 있으나 주입된봉독에 의해 생겨나는 얼얼한 자극이 퍼져나가는 것을 막지는 못한다.

    그러므로 봉독과 함께 주입하거나 또는 봉독 주사부위에 주사 직전이나 주사 직후에 바로 주사할 수 있는 마취제 특히 국부 및 국소마취제를 발견한다는 것은 전혀 예상치 못한 일이다. 이런 방법으로 적용할 때에는, 봉독만한 통증의 치료시에 대개 국부 및 국소마취제 2%나 그 미만을 사용하는데, 이것보다 훨씬 낮은 농도나 용량을 적용하여도 봉독주사에 수반되는 얼얼한 자극을 상당히 감소하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실제로, 흔히 임상에서 1% 내지 2% 국소마취제를 국부로 적용하는데, 아주 심한 통증이 유발되는 의료 조치 때에는 이보다 높은 농도와 용량이 흔히 요구된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주사 한 대에 2 밀리그람이나 그보다 낮은 용량이 들어 있어도 봉독주사에 수반되는 불유쾌한 증상을 의미있게 낮춰주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봉독량의 10배만 적용하더라도 이런 잇점을 관찰한 것은 특히 놀라운 발견이다.

    이런 방법으로 적용하는 국소마취제의 양이 적은 것에 놀랄뿐만 아니라 그것이 작용하는 것에도 놀라게 된다. 국소마취제의 이런 용량과 농도를 국부나 국소적으로 적용하면 거의 효과가 없거나 순간적인 진통효과를 기대하게 된다. 이것들은 주사시의 즉각적인 통증을 약간 도와줄 수 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봉독주사는 주사 후 10-15 분 정도 매우 아프며, 이 시간은 소량의 국소마취제에서 기대되는 어떤 경감보다도 훨씬 긴 시간이다. 그런데도 이곳에 기술한 국소마취제의 적용은 주사 후 상당 시간 통증을 경감하는 것은 놀라운 발견이었다. 진실로 통증의 경감은 시종 일관이었다. 이것을 다시 말하면 환자들이 주사 5-10분 후 국소마취제가 차츰소멸되어 없어져도 갑자기 통증이 더 심해지는 것을 전혀 느끼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봉독의 치료적으로 유효한 용량과 봉독 주사에 수반되는 얼얼한 아픔을 감소시켜주는 용량의 적어도 하나의 마취제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는 봉독과 마취제를 섞어 하나의 제제로 주입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과 일치된 조성물은 본래대로 생산할 수도 있고, 환자의 주사 부위에 적절한 량의 마취제를 먼저 주입하고 후에 적절한 량의 봉독을 주사하거나, 그 순서를 반대로 하여 주입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마취제는 봉독의 중량에 비교해 대략 20:1 내지 10:1의 비율로 제공한다. 바람직한 비율은 중량으로 10:1-1:10이다. 그러나, 보다 바람직한 마취제와 봉독의 비율은 중량으로 3:1에서 대략 1:1이다. 봉독이나 마취제 모두 적어도 하나의 부형제 및 적어도 하나의 액상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 1ml에는 봉독이 약 0.1 내지 약 10 밀리그람 들어있고, 바람직한 표준 봉독주사제는 위에 기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은 또한 봉독의 주입방법을 제공한다. 치료 시 환자의 불쾌감을 덜어주기 위하여, 위에 기술한 바와 같이, 치료량의 봉독과 적어도 하나의 마취제를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주입하는 것이다. 둘 다 피내, 피하, 근육에 같은 부위에 주사한다. (즉, 만약 마취제를 환자의 왼쪽 무릎의 특정 점에 피내주사하면, 봉독도 똑같은 점에 피내주사한다.)

    이 방법과 부합되는 마취제의 용량은 봉독의 치료효과 용량과 관련되어 얼얼한 아픔을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가장 적은 용량이다. 특징적으로, 이 방법과 부합하는 매 주사는 봉독 약 0.01 내지 약 1.0 밀리그람의 봉독을 주입하며, 바람직한 용량은 약 0.05 내지 약 0.5 밀리그람이다. 가장 바람직한 용량은 매 주사마다 약 0.1 밀리그람을 주입하는 것이다. 매 치료마다 봉독의 총량은 주사 수에 달려있다. 이와 유사하게 마취제의 용량은 매 주사마다 약 0.01 내지 약 10 밀리그람이고, 바람직한 용량은 약 0.1 내지 약 1.0 밀리그람이다. 가장 바람직한 마취제의 용량은 매 주사마다 약 0.1 내지 약 0.3 밀리그람을 주입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류마토이드성 관절염, 골관절염, 통풍, 건선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근육통, 근섬유염, 근막장애 통증군, 테니스 엘보우, 골프 엘보우, 오십견, 활액낭염, 건염, 연조직과 골조직의 만성 외과적 염증, 말초 신경염, 신경통, 편두통, 습진, 건선, 다발성 경화증, 낭창 뿐만 아니라 자가 면역성, 신경성, 피부성 및 퇴행성 고질 질환 등을 위에 상기한 약리학적 조성물로서 주사용 봉독제제로 치료하는 방법이다.

    바람직한 양태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과 부합되는 봉독은 아피스 멜리훼라 (꿀벌)에서 얻은 독소를 뜻한다. 봉독의 성분 조성에 관한 것은 아래 표 1에 제공한다.

    구성성분 분자량(wt.) %(마른봉독)
    펩타이드 멜리틴아파민엠시디펩타이드(펩타이드 401)아돌라핀프로테아제 저해제세카핀테르티아핀멜리틴 F프로카민 A,B미니민카르디오펩 2,8402,0362,58811,50090006,000 40-502-32-31.0<0.80.50.10.011.42-3<0.7
    효소 히아루로니다아제포스포리아제 A2알파-글루코시다아제산 포스폼포네스테라아제리소포스포리파아제 38,00019,000170,00055,00022,000 1.5-2.010-120.61.01.0
    생리적 활성 아민 히스타민도파민노르에피네피린 0.6-1.60.13-1.00.1-0.7
    비펩타이드 성분 탄수화물: 글루코오스 및 프룩토오스지질: 6포스포리피드아미노산: 감마-아미노부티릭산베타-아미노이소부티릭 산 <0.24-5<0.5<0.01

    마른 봉독의 가장 중요한 성분은 멜리틴(Melittin)으로 알려진 펩타이드로서 뇌하수체와 부신을 자극하여 코티손을 생산한다. 이것은 하이드로코티손보다 100배 더 강력하다. 멜리틴은 또한 염증에 대항하여 보호하는 세포막 리소좀을 안정시키는 작용이 있다. 다른 주요 약리학적 성분은 아파민(apamin), 엠시디펩타이드 (MCD-peptide 펩타이드 401), 아돌라핀(adolapin) 및 여러 종류의 단백분해효소 억제제 등이다. 아파민은 멜리틴처럼 작용한다. 이는 또한 보체 체계, 염증에 관여하는 C 3 를 억제한다. 엠시디펩타이드는 아라키도닉산을 억제하여 프로스타글란딘 합성을 방지한다. 아돌라핀은 마이크로솜의 시클로옥시저네이스(Cyclooxygenase)를 억제한다. 이것은 또한 리포옥시저네이스(Lipoxygenase)와 트롬복산(tromboxan)을 차단한다. 단백분해효소 억제제는 카라기닌, 프로스타글란딘 E1, 브라디키닌 및 히스타민에 의해 생기는 염증을 차단한다. 그러므로, 이곳에 기술한 용어 "봉독"은 봉독의 약리학적으로 활동적 성분인 멜리틴 또는 멜리틴과 펩타이드 401의 혼합 등을 주입하는 것을 말한다. 용어 "봉독"은 또한 물론 전체 봉독액을 칭하는 것이며, 전체 봉독이나 그 구성성분을 본 발명에 부합되게 순수하게 만들고 정제한 제제이다.

    봉독요법의 관습적 형태는 생벌을 이용해 왔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표준 봉독제제는 액체 담체와 혼합하는 것이다. 어떤 액체이던 마른 봉독을 잘 용해할 수 있고, 피내주사, 피하주사, 근육주사용으로 약리학적으로 적절하다면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다. 가장 적절한 담체는 살균된 이온이 제거된 물 또는 염화나트륨이 0.9% 들어있는 생리적 식염수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과 부합되는 액체 담체는 각 밀리리터마다 봉독을 약 0.1 내지 약 10 밀리그람 함유하도록 충분하여야 한다. 보다 바람직한 것은 각 밀리리터마다 약 0.5 내지 약 5 밀리그람의 봉독이 들어있는 것이다. 가장 적절한 것은 액체 담체의 각 밀리리터마다 봉독 약 1 밀리그람이 들어있도록 하는 양이다. 예를 들면, 마른 봉독 1 그람을 통상의 주사용 생리적 식염수 (0.9% 염화나트륨)의 1 리터 (1,000 밀리리터)에 섞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온 20 도의 살균된 방에서 조제한다. 그 결과는 표준 봉독주사제 각 밀리리터마다 봉독 1 밀리그람이 들어있다.

    25 마이크로미터 필터를 통과한 후, 표준 봉독주사제는 각 밀리리터에 멜리틴 약 0.01 내지 약 1.0 밀리그람과 단백질 총량이 약 80 내지 약 9,500 마이크로그람 함유되어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리학적 조성물이 각 밀리리터마다 멜리틴 약 0.01 내지 약 0.1 밀리그람과 단백질 총량이 약 400 내지 약 4,500 마이크로그람 들어있으며, 가장 바람직한 표준액은 각 밀리리터마다 멜리틴이 약 0.04 내지 약 0.05 밀리그람과 단백질 총량이 약 800 내지 약 950 마이크로그람 들어있는 것이다. 가장 적절한 표준액은 각 밀리리터마다 히알우론산분해효소(Hyaluronidase) 활동이 40-100HHU/mL (100mcg/mL희석)이고 젤라틴 유도 적혈구 응집이 3-5mm/H로 나타나는 것이다.

    25 ㎛ 필터에 의해 얻어지는 결과와 유사한 봉독의 순도를 제공하는 어떤 정제 방법도 그 가치를 인정할 것이다. 그런 방법들은 정상 및 역류 단계성 크로마토그라피, 친화성 크로마토그라피, 재결정, 면역학적 침전, 막투과 방법 및 다른 여과 방법을 망라한다.

    액성 담체에 부가하여, 본 발명에 일치하는 봉독주사제는 다른 관습적 부형제인 점액 변형제, 방부제 및 염화나트륨, 사카라이드와 그 유사물 등과 같은 첨가제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부형제들은, 아무 제한없이 벤질알코올, 메칠파라반(methyl paraban), 링거액 및 주사용 치료약에 보통 사용하는 생물학적, 제제학적으로 적합한 물질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부합되는 액상 담체에는 생리적 식염수 뿐만아니라 인산염완충액 (pH. 4.0) 등 인체에 사용될 수 있는 액상 담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주사제의 가용화제로 흔히 사용되는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에칠 다이골 (Ethyl Digol) 등과 같이 생물학적, 제제학적으로 적합한 모든 물질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부합되는 대표적인 제제는 각 1 밀리리터의 물에 이탈리안 꿀벌의 순수한 마른 독 1.0 밀리그람과 염화나트륨 9.0 밀리그람이 들어있다. 또다른 바람직한 처방은 순수 마른 봉독 1.0 밀리그람, 염화나트륨 9.0 밀리그람, 벤질알코올 0.009 밀리리터와 물 0.991밀리리터로 조성되어 있다. 다시 언급하지만, 이런 처방들은 여과기구를 통하여 어떤 물질이든 25 마이크로미터보다 큰 물질은 제거시킨 것이다. 이것 보다도 더 가는 필터를 사용하는 것도 주의깊게 사려하고 있다.

    봉독만으로 여러 질환들 즉 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관절이나 요통의 완화 등을 예로 들어 치료할 때에 특징적으로 여러 대의 주사를 놓게 된다. 일반적으로 봉독요법은 6주에서 12주 정도 치료하는 것이 보통이고, 1주에 한두 번 치료하며, 주사수는 한두 대에서 시작하여 점점 증가시켜 나중에는 한 번 치료에 20대에서 50대까지도 주사를 놓게된다. 이곳에 기술하는 봉독의 용량은 주사 1대 마다 약 0.01에서 약 1.0 밀리그람까지 주입한다. 바람직하게, 봉독의 용량은 매 주사마다 약 0.05 에서 약 0.5 밀리그람이 좋으며, 가장 좋은 용량은 매 주사마다 약 0.1 밀리그람이 들어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바로 위에 기술한 두 처치방법의 1 밀리리터는 봉독 0.1 밀리그람이 들어있는 0.1 밀리리터씩의 분할약 용량 10대분을 공급하게 된다.

    본 발명과 부합되는 일반적인 봉독주사제는 0.1 밀리리터씩 눈금이 매겨있고 25 내지 27 규격의 바늘이 달린 주사기로 피내주사한다. 바늘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약 1/4 내지 약 5/8 인치 길이를 사용한다. 환자를 치료하기 전에 알레르기 반응의 가능성을 가늠하기 위해 피부시험을 하는 것이 적절하다. 피부반응시험의 적절한부위는 전완의 굴근 표면을 이용하고 정상 용량의 반인 0.05 밀리리터를 피내에 주입하여 반구적 수포를 만든다. 피부반응의 해석은 팽진의 크기, 홍반의 크기, 불규칙적인 퍼짐, 시험 부위로 부터 위족의 돌출 등 등에 기인하여 해석한다. 정상 반응은 바늘이 들어갔던 자리에 바늘끝만한 핏점이 보이고 팽진은 약 0.5 내지 약 1.0 센티미터, 홍반은 주사바늘 점에서 둥그렇게 약 1 내지 약 2 인치 퍼져나가는 것이다. 주사 후 15분 내지 30분 동안에 전신 반응이 나타나지 않으면 시험은 음성으로 간주한다.

    피내로 주사할 때에, 주사바늘이 피내에 들어가면 봉독을 주입하기 전에 주사 플런저를 조금 잡아당겨 주사기내에 피가 딸아들어오나 않나를 관찰하여 정맥내주사를 방지하는 것을 추천한다. 주사는 환자의 환부에 따라 여러 다른 부위에도 주입하게 된다. 그러나 관절염 환자를 치료할 경우 가장 아픈 부위의 통증을 먼저 덜어주기 위하여 그 부위부터 먼저 치료를 시작한다. 바람직하게는, 주사는 압통점이나 방아쇠점에 주사하는 것이 좋다. 나중에는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척수후근에 지배되는 피부지각영역인 척추 부위에도 주사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치료를 받는 동안에는 술은 삼가도록 한다. 국소반응이 심할 경우에는 냉찜질이나 멘톨 연고를 바르도록 하고, 만약 가려움증이 아주 심한 경우에는 잠잘 때 베나드릴 75 밀리그람을 복용하고 낮에는 50 밀리그람을 복용해도 좋다. 저열이나 오한이 생길 경우에는 아세타미노펜이나 다른 해열제를 복용해도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저볼트 전기충격법을 사용하여 꿀벌로부터 독을 가장 순수하게 채집하는 장치도 포함한다. 이 추출기는 안쪽과 바깥쪽의 두 개의 나무틀로 구성되어 있다. 전기선이 바깥쪽 틀의 앞쪽에 부착되어 있고 이것은 교대로 그라운드되고 충전된다. 꿀벌이 닥아와 두 전선에 접촉하게 되면 회로가 완성되고 결과적으로 충격을 주게된다.

    추출기를 벌집 앞에 놓고 9 볼트 베터리에 연결한다. 베터리를 연결시키면 전류가 반복적으로 5초간 흐르고 3초간 꺼지도록 흐른다. 이 기구를 키자마자 벌들은 흥분하여 벌집에서 달려나오고 추출기를 향해 공격하게 된다. 동시에 벌들은 페로몬을 공기에 살포하여 다른 벌들도 흥분하여 공격하게 만든다. 벌들이 전기 쇽을 받게되면 아랫배가 굽게되고 안쪽 나무틀의 윗면에 덮혀있는 실리콘 고무시트에 침을 쏘게 된다. 전류가 3초간 정지되면 벌들은 벌침을 빼내어 죽지 않는다. 실리콘 고무시트 밑에는 순수한 액체 봉독이 묻어있게 된다. 안쪽 나무틀을 바깥쪽 틀에서 빼내 멸균된 상자 속에 보관한다.

    이 상자는 멸균된 냉장고 (섭씨 4도)에 4시간 내지 6시간 넣어 말린다. 안쪽 나무틀을 상자에서 꺼내 커다란 멸균 케이지에 넣어 멸균된 의약용 면도날로 마른 봉독 결정체를 문질러 떼어낸다. 수집된 봉독 결정체는 멸균 병에 넣어 봉한다. 봉독은 미국 특허 번호 4,739,531 및 3,163,871에 기술한 방법으로도 생산할 수도 있다.

    여러 질환들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본 발명에 부합되는 표준 봉독주사제 제제화는, 특히 이곳에 기술한 것은 예술을 뛰어넘은 중요한 발전을 보여주고 있다. 더구나, 생벌에 쏘인다는 것은 유쾌한 경험이 결코 아니다. 30 여군데 쏘인다는 것은 당연히 불쾌감의 정도를 높혀줄 것이다. 봉독에 의해 경험하는 타는듯한 통증은 다른 통증과 자극과는 닮지않은 독특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과 부합되는, 표준 제제를 피내로 주입하는 것은 실제 벌침보다 훨씬 유쾌하지만 봉독의 주입에 의해 발생하는 얼얼한 아픔은 봉독요법으로 치료받는 것을 주저하게 만들고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면은 봉독주사에 의해 발생하는 불유쾌한 자극을 누그러뜨리거나, 감소하거나, 때로는 없애주는 조성물과 그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이 발견은 놀라운 일이다. 첫 번째는 마취제 특히 국소마취제를 국부에 적용하더라도 봉독을 피내에 주입했을 때 발생하는 화끈한 통증, 톡 쏘는 통증 및 다른 얼얼한 아픔을 없애주지 못했다. 그런데도 국소마취제를 봉독과 함께 또는 동시에 같은 점에 주입하면 통증을 경감내지 제거해주었다.

    불행하게도, 국소마취제를 이런 방법으로 주입했을 때 예상치못한 문제가 발견되었다. 예를 들면, 리도케인(lidocaine)이 2% 들어있는 봉독주사제를 사용하면 (리도케인 20mg/mL: 1mg/mL 봉독), 피내로 주입할 때 일어나는 톡 쏘는 통증, 화끈거리는 통증 및 다른 얼얼한 자극들은 경감시킨다. 그러나, 리도케인 자체가 봉독의 자극과는 관계없이 얼얼한 자극을 유발한다. 그 결과는 봉독만을 사용했을 때보다는 훨씬 개선되었다. 그러나 여기서 예를 든 용량의 국소마취제를 봉독과 함께 국부 및 국소로 주입했을 때 또다른 얼얼한 통증이 생겨나게 된다.

    보통 국부 또는 국소에 적용하는 국소마취제의 용량보다 훨씬 적은 용량 (즉, 1% 미만)을 주입했을 때 봉독에 의한 자극을 많이 감소시키고 동시에 국소마취제의 피내주사 시에 발생하는 얼얼한 자극도 없애주는 것은 예상하지 못한 발견이었다.

    본 발명에서 봉독을 사용한 것은 위에 기술한 것이거나, 또는 필터를 했거나 안했거나, 정제를 했거나 안했든, 다른 봉독제제도 사용할 수 있다. 문제로 삼는 약리학적 조성물은 국소마취제를 섞어 단일 액으로 단일 주사기로 주입할 수도 있다. 그러나 봉독액과 국소마취제를 단액으로 만들어 주사하거나 동시에 주사하는 것이 꼭 필요한 것은 아니다. 국소마취제를 따로 만들어 봉독주사 후 같은 점에 주입할 수도 있고 바로 직전에 주입할 수도 있다. 국소마취제를 연속적으로 주입할 경우에는 봉독주사전 1시간 내와 주사 후 10분내에 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봉독과 국소마취제를 연속적으로 주입할 경우에는 봉독 주사전 10분내나 주사후 수분내가 좋다.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국소마취제를 봉독주사 바로 전이나 후에 주입하는 것이 좋다.

    만약 봉독을 근육에 주사할 경우에는 국소마취제도 같은 점의 근육에 주사하게 된다. 피하로 줄 때도 마찬가지이고 가장 좋은 방법인 피내로 주입할 때도 마찬가지이다.

    봉독주사에 수반되는 얼얼한 자극의 경감은 얼마간 주관적이다. 이것은 여러 가지 요인 즉 환자 개인의 통증에 대한 고통역; 주사 수; 매 주사에 주입된 봉독의 용량; 주사 부위; 피내, 피하, 근육 주사에 따른 주사의 깊이 등에 따라 다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말해, 이곳에 기술한 국소마취제의 적정량은 같은 환자에게 같은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같은 용량으로 주입했을 경우에 국소마취제 없이 같은 용량을 주입한 때보다 나타나는 얼얼한 자극이 훨씬 경감되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부합되는 국소마취제는 봉독주사에 의한 얼얼한 자극을 감소할 수있는 어떤 조성물도 다 포함한다. 마취제는 국부 및 국소마취제에만 국한하지 않는다. 그러나 국소마취제를 선호한다. 본 발명과 일치하는 마취제는 다음과 같다. Ambucaine, Amolanone, Amylocaine Hydrochloride, Benoxinate, Benzocaine, Betoxycaine, Biphenamine, Bupivacaine, Butacaine, Butamben, Butanilicaine, Butethamine, Butoxycaine, Carticaine, Chloroprocaine Hydrochloride, Cocaethylene, Cocaine, Cyclomethycaine, Dibucaine Hydrochloride, Dimethisoquin, Dimethocaine, Diperodon Hydrochloride, Dyclonine, Ecgonidine, Ecgonine, Ethyl Chloride, Etidocaine, b-Eucaine, Euprocin, Fenalcomine, Fomocaine, Hexylcaine Hydrochloride, Hydroxytetracaine, Isobutyl p-Aminobenzoate, Leucinocaine Mesylate, Levoxadrol, Lidocaine, Mepivacaine, Meprylcaine, Metabutoxycaine, Methyl Chloride, Myrtecaine, Naepaine, Octacaine, Orthocaine, Oxethazaine, Parethoxycaine, Phenacaine Hydrochloride, Phenol, Piperocaine, Piridocaine, Polidocanol, Plidocanol, Pramoxine, Prilocaine, Procaine, Propanocaine, Proparacaine, Propipocaine, Propoxycaine Hydrochloride, Pseudococaine, Pyrrocaine, Ropivacaine, Salicyl Alcohol, Tetracaine Hydrochloride, Tolycaine, Trimecaine, Zolamine 등이 다. 이것들 중에서 본 발명에 부합되는 가장 바람직한 국소마취체는 리도케인이다.

    충분히 이해하듯이, 국소마취제의 용량은 사용되는 봉독제의 양에 따라 조절된다. 그러나, 그 용량은 환자의 특정한 상태와 통증의 심한 정도 및 치료의 과정 등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국소마취제의 용량은 마른 봉독 중량에 비해 약 20:1 내지 약 1:10의 비율로 쓴다. 바람직한 비율은 약 10:1 내지 약 1:5가 좋고, 가장 바람직한 비율은 약 3:1 내지 약 1:1이 좋다.

    본 발명과 부합되는 국소마취제의 제제화에 사용되는 액상 담체나 부형제는 봉독제제를 만들 때 사용하는 것과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또한 국소마취제는 액체이며 또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액상 담체와 부형제가 미리 섞여진 처방약을 살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는 또다른 액상 담체나 부형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더욱이, 국소마취제 처방약의 이런 종류들은 봉독제의 담체로 사용되어질 수도 있고, 이미 상기한 바와 같이 표준 봉독주사제에 섞어 사용할 수도 있다.

    국소마취제의 주입량은 매 주사마다 약 0.01 내지 약 2.0 밀리그람이고, 바람직하게는 약 0.05 내지 약 1.0 밀리그람이다. 가장 바람직한 용량은 매 주사마다 약 0.1 밀리그람이다.

    대표적인 처방 제제는 다음과 같다. (1) 주사용 증류수 1.0 밀리리터마다 꿀벌의 마른 봉독 1.0 밀리그람, 염화나트륨 9.0 밀리그람, 염산 리도케인 1.0 밀리그람이 들어있다. (2) 주사용 증류수 1.0 밀리리터에 꿀벌의 마른 봉독 1.0 밀리그람, 염화나트륨 9.0 밀리그람, 염산 리도케인 1.0 밀리그람, 벤질 알코올 0.009 밀리리터, 물 0.991 밀리리터 들어있다. (3) 주사용 물 1.0 밀리리터에 꿀벌의 마른 봉독 1.0 밀리그람, 염화나트륨 9.0 밀리그람, 염산 리도케인 1.0 밀리그람, 메틸파라벤 0.1 밀리그람이 들어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사제 이외에 봉독액이 들어있는 크림, 연고 및 패치도 포함한다.

    봉독 크림제제

    마른 봉독 5% (1-25%)

    메칠 살리실레이트 4% (1-20%)

    정제된 켑사이신 0.03% (0.01-0.05%)

    알로에 추출액

    멘톨

    카보마 940

    세칠 알코올

    메칠파라벤

    향료

    밀랍

    정제된 물

    * 용법: 찻숟가락 1/16 내지 1/8의 분량을 환부에 문질러 바른다.

    1일 1-2회 사용한다.

    봉독 패취제제

    마른 봉독 10mg

    메칠 살리실레이트 150mg

    정제한 켑사이신 1mg

    알로에 추출액

    멘톨

    위트 점 글리세라이드

    메칠파라벤

    * 성상: 패치의 크기는 100mm X 140mm이며, 위 제제를 부직포에 도포하고 고체면에 박리지를 덮은 것이다.

    * 용법: 1일 1-2회, 1회 1매씩 환부에 부착한다.

    실시예

    다음 실시예에 기술한 환자들은 관습적인 현대 의학으로 치료를 받은 환자들로서 아직도 상당한 통증이 지속되어 고통을 받고 있다. 진통제, 근육이완제 및 소염제 등 수많은 약을 복용했고, 다양한 주사도 맞았고, 척추교정술, 물리치료 및 때로는 수술까지 받았는데도 그들의 병적 상태가 좋아지지 않았고, 특히 통증은 심했다.

    다음에 기록한 실시예들은 6번째 치료부터 봉독주사제 매 주사 0.1 밀리리터마다 봉독과 리도케인이 1:1 비율로 들어있는 용액을 사용했다. 첫 번째부터 다섯 번째까지는 순수한 봉독액만을 사용했다. 주사액은 주사용 생리적 식염수로 혼합하여 만들어졌으며 25 마이크로미터 필터를 통해 정제한 것이다. 각각의 환자는 주사 한 대분이 0.1 밀리리터씩 되도록 주입했다. 전체 주사수는 환자의 상태와 치료 횟수에 따라 달라졌다.

    각각의 실시예에서 환자들은 본 발명과 부합되는 처방제제에 따라 피내주사로 주입했으며 일주일에 두 번 치료했고, 평균 12회에서 20회 치료를 했다. 다음의 증례에서, "RA Titer"는 류마티스성 관절염의 진단에 흔히 사용하는 혈액수치이다. 적정량 수치가 20 미만일 경우 음성이며 이런 환자에게 열망되는 결과이다. "ESR"는 "적혈구침전율"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염증을 알아내는데 사용된다. 정상수치는 1-10이다. 이것보다 높은 수치는 전신적 염증을 나타낸다.

    "ROM"은 운동의 범위를 뜻한다. 운동의 범위의 규격치는 문제가 있는 관절에 따라 다르다. 그러나 두 끝의 거리가 멀수록 운동의 범위는 커진다. 압통과 팽윤은 표준 척도로 플러스 사인으로 표시한다. 각 플러스 사인은 대략 20%를 의미한다. 가장 큰 숫자인 5플러스는 가장 큰 압통과 팽윤을 의미한다. "VAS"는 시각 유사어 비율을 뜻한다. 가장 흔히 사용하는 바스(VAS)는 100 밀리미터의 평행선에 왼쪽 끝은 통증이 전혀 없음이고 오른쪽 끝은 지금까지의 가장 심한 통증을 의미한다. 환자는 그가 현재 느끼는 통증의 강도가 어느 정도인지 100 밀리미터 선 상에 표시하도록 한다. 왼쪽 끝에서 환자가 표시한 지점까지의 수치로 통증의 강도를 측정한다. 이런 방법은 처칠 리빙스턴에서 발행한 통증 교과서 (뉴욕, 3차 발행, 1994년) 338-339 페이지와 리 엔드 훼비거에서 발행한 통증의 관리 (필라델피아, 2차 발행, 1990년) 581-582 페이지에 기술되어 있다.

    실시예 1: 류마토이드성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RA))

    NG는 39세의 여자 환자로 류마토이드성 관절염을 19년 앓아왔다.그녀는 항암제를 포함하여 온갖 치료를 해 보았지만 소용이 없었다. 그녀의 손목과 손의 통증과 팽윤은 너무 심해 견딜 수 없을 정도였고 결과적으로 그녀는 불구가 되었다. 이 환자는 본 발명과 일치하는 치료를 받고 95% 정도 호전되었다. 환자의 상태는 안정되었고 통증과 팽윤은 더 이상 나타나지 않았다.

    치료 전 치료 후
    RA Titer (<20 = 음성) 268 18
    적혈구침강율 (정상:0-10) 49 7
    운동 범위 (굴곡: 0-70) 팔목 - 우:15, 좌:10 팔목 - 우:55, 좌:60
    압통 및 팽윤 +++++ +
    VAS (통증 수치) 98 15

    실시예 2: 골관절염

    HR은 75세의 여성으로 지난 25년 동안 퇴행성 관절염으로 고행해왔다. 그녀의 무릎과 척추가 다른 관절보다 더 심했다. 이 환자는 본 발명과 일치하는 치료법으로 18회 치료 후에 상태가 아주 좋아졌다. 현재 다른 약물은 복용하지 않고 잘 지내고 있다.

    치료 전 치료 후
    압통 및 팽윤 +++ -
    운동 범위 (외전굴곡:0-120) 무릎- 우:60, 좌:75 무릎- 우:100, 좌:100
    VAS (통증 수치) 73 16

    실시예 3: 강직정 척추염

    MO는 53세의 여자 환자로 허리 문제로 오랫동안 고통을 겪었고 요추 관절유합술 등 여러차례 수술을 받았다. 이 환자는 18개월간 계속해서 재활치료를 받았는데도 별 효과가 없었다. 이 환자는 본 발명에 일치하는 치료법으로 총 26회 치료를 받았고 상당히 호전되었다. 현재 약물은 복용하지 않고 있으나 적어도 한달에 한번 재진료가 필요하다.

    치료 전 치료 후
    압통 및 팽윤 +++++ +
    VAS (통증 수치) 95 20

    실시예 4: 근육통

    PA는 32세의 젊은 여자로 근육통으로 고생해 왔다. 이전의 모든 신체적 및 정신적 요법이 성공하질 못했다. 방아쇠 유발점 주사를 여러군데 놓아 치료했다. 총 16회 치료로 완전히 회복되었다. [주 - "방아쇠 점"은 근육의 특수한 부위를 자극하면 통증을 일으키는 점을 말한다.]

    치료 전 치료 후
    다발 방아쇠 점(Multiple Trigger points) 14 0
    VAS (통증 수치) 82 17

    실시예 5: 테니스 엘보우(Tennis Elbow)

    JK는 43세의 남자로 "테니스 엘보우"로 4년간 고생해왔다. 관습적 현대적 치료가 도움이 되질 않았다. 본 발명의 치료법으로 총 12 회 치료로 완전히 회복되었다.

    치료 전 치료 후
    압통 및 팽윤 +++++ +
    VAS (통증 수치) 65 0

    실시예 6: 오십견 (유착성 낭염)

    BO은 56세의 남자 환자로 오십견으로 고생하고 있다. 약물들의 복용, 다양한 주사 치료, 수술도 성공하지 못했다. 이 환자의 운동 범위는 20%로 제한되었고 지속적인 통증을 호소했다. 본 발명의 치료법으로 총 14회 치료로 완전 회복되었다.

    치료 전 치료 후
    압통 ++++ -
    운동 범위 20%로 제한 완전 범위
    VAS (통증 수치) 85 5

    실시예 7: 만성 외과적 염증

    BC는 49세의 남자로 출혈성 위괴양, 알코올성 간경변, 장폐색 등으로 복부 수술을 10번 이상 받았다. 외과적 통증과 환담낭 통증으로 인해 그는 약물에 중독이 들어 있었다. 본 발명의 치료법으로 총 28회 외과적 상흔에 중점적 치료로 거의 100% 완치되었다.

    치료 전 치료 후
    압통 +++++ +
    VAS (통증 수치) 92 14

    실시예 8: 대상포진성 신경통

    JP는 78세의 여자 환자로 대상포진으로 고통을 겪고 있었다. 내과적 및 외과적 치료가 실패했다. 이 환자는 본 발명의 치료법으로 16회 치료 후 90% 이상 호전되었다.[주 - "수포"는 포진을 뜻한다.]

    치료 전 치료 후
    흉추 부위의 수포 +++ -
    민감성 (접촉) +++++ +
    VAS (통증 수치) 100 28

    실시예 9: 건선

    TH는 28세의 남자 환자로 건선 피부병으로 7년을 고생했다. 현대 약물들은일시적 도움밖에 주지 못했다. 그의 상태가 점점 심해져 무더운 여름에도 짧은 바지를 입지못할 정도였다. 총 24회 치료로 아주 호전되었다. 이 환자는 적어도 한달에 한 번 재진료가 필요하다.

    실시예 10: 다발성 경화증

    SR은 47세의 여자 환자로 15년 동안 다발성 경화증을 앓아왔다. 모든 현대적 치료를 동원해도 이 질환이 점점 나빠져가는 것을 막을 수 없었다. 그녀는 계속해서 하지가 저리고 무감각해졌고, 소변 조절도 40% 정도 잃었고, 사지의 힘이 점점 약해져 신체의 균형도 나뻐져서 지팡이나 사발보행기에 의존해야 했다. 총 28회의 치료로 이 환자의 상태는 많이 호전되었다. 현재는 소변은 100% 조절할 수 있게 되었고, 지팡이나 보행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었다. 이 환자는 앞으로도 상당 기간 적어도 3-4주에 한 번은 재진료가 요구된다.

    치료 전 치료 후
    근육 쇠약 ++++ +
    경련성 +++++ ++
    소변 조절 60% 100%
    균형 저조 양호
    지팡이, 보행기 사용 사용함 사용안함

    실시예 11: 통증

    위 실시예에 열거한 10명의 환자를 합쳐 도합 30명의 환자에게 처음 5회 치료까지 적절한 용량의 봉독만으로 치료했다. 이후 즉 6회 때부터는 위에 기술한 제목에서 "실시예"에 기술한 바와 같이 봉독과 리도케인을 1:1의 비율로 섞은 주사액을 주입했다. 환자들에게는 어떤 처방주사를 주입했는지 알리지 않았고, 매번 치료 후에 통증의 유형 및 그 강도, 불쾌감 등에 질문 조사했다. 또한, 환자의 봉독주사에 대한 신체 언어, 얼굴을 찌푸리는 정도, 치료를 받는 것이 내키지 않는 정도 등 등을 유심히 관찰했다.

    97%의 환자들은 봉독과 리도케인을 섞은 주사제에 대해 주사시 통증과 불쾌감이 많이 감소하는 것을 객관적으로 보고했다. 다음 번에 주사 맞는 것에 대한 공포도 많이 감소했고, 이 치료 도중 탈락자는 극적으로 떨어졌다. 통증이완은 상당 동안 지속되었고, 국소마취제의 아주 적은 양은 단지 순간적으로만 통증이완을 가져와 좀 지나면 통증이 갑자기 증가하는데, 이런 급작스런 통증의 증가도 경험하지 않았다.

    상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봉독과 국소마취제가 혼합된 봉독 주사제를 주입하면 봉독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들의 통증과 불쾌감을 극적으로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高效检索全球专利

    专利汇是专利免费检索,专利查询,专利分析-国家发明专利查询检索分析平台,是提供专利分析,专利查询,专利检索等数据服务功能的知识产权数据服务商。

    我们的产品包含105个国家的1.26亿组数据,免费查、免费专利分析。

    申请试用

    分析报告

    专利汇分析报告产品可以对行业情报数据进行梳理分析,涉及维度包括行业专利基本状况分析、地域分析、技术分析、发明人分析、申请人分析、专利权人分析、失效分析、核心专利分析、法律分析、研发重点分析、企业专利处境分析、技术处境分析、专利寿命分析、企业定位分析、引证分析等超过60个分析角度,系统通过AI智能系统对图表进行解读,只需1分钟,一键生成行业专利分析报告。

    申请试用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