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 이륜차의 연료 공급 장치

申请号 KR1020057014650 申请日 2004-02-10 公开(公告)号 KR1020050106424A 公开(公告)日 2005-11-09
申请人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发明人 사이토노리오; 요코야마미츠루;
摘要 In a two-wheeled motor vehicle, a downstream end of an air intake pipe to which a fuel injection valve is attached is connected to an upper side-wall of a cylinder head of an engine, a fuel feed-side pipe line and a pressure regulator are connected to a fuel feeder pipe that is connected the fuel injection valve, and a fuel return-side pipe line is connected to the pressure regulator. A front-end portion of a fuel feeder pipe (78) that is provided so as to extend in a forward-backward direction below a vehicle body frame is connected to a fuel injection valve (76). At a pressure regulator (84) that is provided below the fuel feeder pipe (78) and connected to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fuel feeder pipe (78) is provided a return- side connection pipe portion (91) to which a fuel return-side pipe line is connected in the same direction as an extending direction of a fuel feed side pipe line that is connected to a rear end portion of the fuel feeder pipe (78). The structure above enables a space for installing the pressure regulator to be easily obtained, and this is achieved without involving the increase in a vehicle body width and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vehicle body frame and the pressure regulator.
权利要求
  • 실린더 축선(C)을 수평 또는 앞쪽으로 상승되게 한 엔진(E)이 차체 프레임(20)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상기 차체 프레임(20)에 탑재되고, 상기 엔진(E)이 구비하는 실린더 헤드(65)의 상부 측벽에, 상기 차체 프레임(20)의 아래쪽에 배치됨과 동시에 연료 분사 밸브(76)가 부착되는 흡기관(72)의 하류단이 접속되며, 상기 연료 분사 밸브(76)에 접속되는 연료 공급관(78)에 연료를 유도하는 연료 공급측 관로(98)가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연료 분사 밸브(76)의 근처에 배치되는 압력 레귤레이터(84)가 접속되고, 상기 압력 레귤레이터(84)에는 연료 복귀측 관로(99)가 접속되는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20)의 아래쪽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상기 연료 공급관(78)의 전단부가 상기 연료 분사 밸브(76)에 접속되고, 상기 연료 공급관(78)의 아� �쪽에 배치되어 상기 연료 공급관(78)의 중간부에 접속되는 상기 압력 레귤레이터(84)에 상기 연료 공급관(78)의 후단부에 접속되는 상기 연료 공급측 관로(98)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연료 복귀측 관로(99)를 접속시키기 위한 복귀측 접속관부(9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의 연료 공급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관(78), 상기 연료 분사 밸브(76) 및 상기 압력 레귤레이터(84)는 탄성재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연료 분사 밸브(76)의 주위에서 상기 흡기관(72)에 밀접한 차음 커버(101)로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의 연료 공급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 커버(101)는, 무단(無端) 형상으로 이어지는 분할면(105)에 의해 서로 분리 가능한 한 쌍의 반분할 커버(102,103)가 절곡 가능하도록 상기 반분할 커버(102, 103) 양자를 일체로 연결하는 힌지(104)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반분할 커버(102, 103) 양자 사이에는 상기 분할면(105)에 상기 연료 분사 밸브(76)가 구비하는 커플러부(76a)를 삽입 관통시키는 제1 삽입 관통 구멍(110)과, 상기 연료 공급관(78)의 후단부를 삽입 관통시키는 제2 삽입 관통 구멍(111)과, 상기 복귀측 접속관부(91)를 삽입 관통시키는 제3 삽입 관통 구멍(1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의 연료 공급 장치.
  • 说明书全文

    자동 이륜차의 연료 공급 장치{FUEL-FEEDING DEVICE IN TWO-WHEELED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실린더 축선을 수평 또는 앞쪽으로 상승되게 하여 차체 프레임에 탑재되는 엔진이 구비하는 실린더 헤드의 상부 측벽에 연료 분사 밸브가 부착되는 흡기관의 하류단이 접속되고, 연료 분사 밸브에 접속되는 연료 공급관에 연료 공급측 관로가 접속됨과 동시에 압력 레귤레이터가 접속되며, 상기 압력 레귤레이터에는 연료 복귀측 관로가 접속되는 자동 이륜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료 공급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자동 이륜차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0-249028호 등에 이미 공지되어 있고, 이것으로는 차체 프레임의 아래쪽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중간부에 연료 분사 밸브가 접속되는 연료 공급관의 전후 양단에 압력 레귤레이터 및 연료 공급측 관로가 접속된 구성과, 차체 프레임의 아래쪽에서 좌우로 연장됨과 동시에 중간부에 연료 분사 밸브가 접속되는 연료 공급관의 좌우 양단에 압력 레귤레이터 및 연료 공급측 관로가 접속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료 공급관의 전후 양단에 압력 레귤레이터 및 연료 공급측 관로가 접속되는 구성에서는, 연료 공급관이 차체 프레임의 아래쪽에 배치되기 때문에 차체 프레임과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압력 레귤레이터를 배치하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다. 한편, 좌우로 연장되는 연료 공급관의 좌우 양단에 압력 레귤레이터 및 연료 공급측 관로가 접속되도록 하면, 압력 레귤레이터를 배치하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은 용이하지만, 그 압력 레귤레이터의 배치에 의해서 차체 폭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

    도 1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은 자동 이륜차의 전체 측면도,

    도 2는 차체 커버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자동 이륜차의 전후 방향 중앙부의 사시도,

    도 3은 엔진 및 흡기계의 측면도,

    도 4는 도 3의 4 화살표에서 본 확대도,

    도 5는 도 4의 5-5선 단면도,

    도 6은 도 5의 6-6선 단면도,

    도 7은 개방 상태에서의 커버의 정면도,

    도 8a 및 도 8b는 커버를 폐쇄한 상태를 도 7의 8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차체 폭의 증대를 회피하면서 차체 프레임과의 간섭을 회피하여 압력 레귤레이터의 설치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자동 이륜차의 연료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실린더 축선을 수평 또는 앞쪽으로 상승되게 한 엔진이 차체 프레임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상기 차체 프레임에 탑재되고, 상기 엔진이 구비하는 실린더 헤드의 상부 측벽에, 상기 차체 프레임의 아래쪽에 배치됨과 동시에 연료 분사 밸브가 부착되는 흡기관의 하류단이 접속되며, 상기 연료 분사 밸브에 접속되는 연료 공급관으로 연료를 유도하는 연료 공급측 관로가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연료 분사 밸브의 근처에 배치되는 압력 레귤레이터가 접속되고, 상기 압력 레귤레이터에는 연료 복귀측 관로가 접속되는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관은 상기 차체 프레임의 아래쪽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상기 연료 공급관의 전단부가 상기 연료 분사 밸브에 접속되고, 상기 연료 공급관� �� 아래쪽에 배치되어 상기 연료 공급관의 중간부에 접속되는 상기 압력 레귤레이터에, 상기 연료 공급관의 후단부에 접속되는 상기 연료 공급측 관로의 연장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상기 연료 복귀측 관로를 접속시키기 위한 복귀관 접속관부가 설치되는 것을 제1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압력 레귤레이터는 차체 프레임의 아래쪽에 있는 연료 공급관보다도 아래쪽에 배치되기 때문에 압력 레귤레이터가 차체 프레임과 간섭하는 일은 없고, 차체 프레임과의 간섭을 회피하여 압력 레귤레이터의 설치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전후로 연장되는 연료 공급관의 중간부에 압력 레귤레이터가 접속되기 때문에, 압력 레귤레이터가 차체 프레임의 폭 방향 중 어느 하나로 돌출되는 일은 없다. 더구나, 연료 공급관에 접속되는 연료 공급측 관로와, 압력 레귤레이터에 접속되는 연료 복귀측 관로를 통합하여 처리할 수 있어 조립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연료 공급관에 연료 분사 밸브 및 압력 레귤레이터를 조립하여 유닛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자동 이륜차의 조립 라인에서의 조립 공정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특징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연료 공급관, 상기 연료 분사 밸브 및 상기 압력 레귤레이터가 탄성재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연료 분사 밸브의 주위에서 상기 흡기관에 밀접한 차음 커버로 덮이는 것을 제2 특징으로 하고,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연료 분사 밸브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전달 부위의 거의 전부를 차음 커버로 덮도록 하여 우수한 차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특징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차음 커버는, 무단(無端) 형상으로 이어지는 분할면에 의해 서로 분리 가능한 한 쌍의 반분할 커버가 절곡 가능하도록 상기 반분할 커버 양자를 일체로 연결하는 힌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반분할 커버 양자 사이에는 상기 분할면에 상기 연료 분사 밸브가 구비하는 커플러부를 삽입 관통시키는 제1 삽입 관통 구멍과, 상기 연료 공급관의 후단부를 삽입 관통시키는 제2 삽입 관통 구멍과, 상기 복귀측 접속관부를 삽입 관통시키는 제3 삽입 관통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제3 특징으로 하고,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차음 커버 전체가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차음 커버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이 하나로 끝나기 때문에 비용면에서 유리해지고, 더구나 연료 분사 밸브의 커플러부, 연료 공급관의 후� �부 및 복귀측 접속관부를 삽입 관통시키는 제1, 제2 및 제3 삽입 관통 구멍이 반분할 커버 양자 사이에서 분할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연료 공급관, 연료 분사 밸브 및 압력 레귤레이터를 차음 커버로 덮을 때의 조립성이 향상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에 있어서, 이 자동 이륜차의 차체 프레임(20)은 전방 포크(24)를 조향 가능하게 지지하는 헤드 파이프(21)와, 상기 헤드 파이프(21)로부터 뒤로 하강하며 연장되는 메인 프레임(22)과, 메인 프레임(22)의 후방부에 연달아 설치되어 뒤로 상승하며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후방 프레임(23, …)을 구비하고, 상기 전방 포크(24)의 하단에 전륜(WF)이 피봇 지지되며, 전방 포크(24)의 상부에는 바 형상의 조향 핸들(25)이 연결되고, 전방 포크(24)에는 전륜(WF)의 위쪽을 덮는 전방 팬더(26)가 지지된다.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메인 프레임(22)은 횡단면이 사각형인 각()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 메인 프레임(22)의 중간부 양측면에 행거 플레이트(27…)가 각각 고착되며 메인 프레임(22)의 후방부 양측면에 피봇 플레이트(28)가 고착된다.

    메인 프레임(22)의 아래쪽에는 실린더 축선(C)을 수평 또는 앞쪽으로 상승되게 한 엔진(E), 이 실시예에서는 실린더 축선(C)을 앞쪽으로 약간 상승되게 한 엔진(E)이 배치되어 있고, 이 엔진(E)은 상기 행거 플레이트(27, …) 및 피봇 플레이트(28)로 지지되도록 하여 차체 프레임(20)에 현가된다.

    상기 피봇 플레이트(28)에는 후방 포크(29)의 전단부가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후방 포크(29)의 후단에 후륜(WR)이 피봇 지지된다. 또한, 차체 프레임(20)의 후방 프레임(23, …) 및 후방 포크(29) 사이에는 후방 쿠션(30)이 설치된다.

    상기 엔진(E)은 변속기(M)와 함께 파워 유닛(P)을 구성하는 것으로, 변속기(M)의 출력은 체인(31)을 통해 후륜(WR)에 전달된다.

    또한, 엔진(E)의 위쪽에는 스로틀 보디(32)와, 상기 스로틀 보디(32)보다도 앞쪽에 에어 클리너(33)가 배치되어 있고, 후륜(WR)의 위쪽에는 연료 탱크(34)가 배치되어, 상기 연료 탱크(34)의 앞쪽에 배치되는 수납 박스(35) 및 상기 연료 탱크(34)의 위쪽이, 예를 들면 탠덤형인 승차용 시트(36)로 개폐 가능하게 덮어진다.

    차체 프레임(20)에는 상기 차체 프레임(20), 상기 엔진(E)의 일부, 스로틀 보디(32), 에어 클리너(33), 연료 탱크(34) 및 수납 박스(35)를 덮는 합성 수지제 차체 커버(38)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차체 커버(38)는 메인 프레임(22)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전방 측부 커버(39, …)와, 운전수의 레그부를 앞쪽으로부터 덮도록 하여 전방 측부 커버(39, …) 양자의 전방부에 이어지는 레그 실드(40, …)와, 헤드 파이프(21)를 앞쪽으로부터 덮도록 하여 레그 실드(40,…) 양자에 이어지는 전방 상부 커버(41)와, 헤드 파이프(21)를 후방측으로부터 덮음과 동시에 메인 프레임(22)을 위쪽으로부터 덮도록 하여 전방 상부 커버(41)에 이어지는 메인 프레임 상부 커버(42)와, 상기 전방 측부 커버(39, …) 양자의 하부에 이어지는 하부 커버(43, …)와, 연료 탱크(34) 및 수납 박스(35)를 양측에서 덮는 후방 측부 커버(44)로 구성된다.

    상기 승차용 시트(36)는 수납 박스(35)로의 물품의 수납 및 추출과 연료 탱크(34)로의 급유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개폐 가능하게 하여 후방 측부 커버(44)의 상부에 배치되고, 후륜(WR)의 후방부 위쪽을 덮는 후방 팬더(45)가 후방 측부 커버(44)에 연달아 설치된다.

    스로틀 보디(32)는 엔진(E)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버터플라이형의 스로틀 밸브(도시하지 않음)가 보디(47)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스로틀 밸브에 이어져 보디(47)의 옆쪽에 배치되는 스로틀 드럼(48)에 스로틀 와이어(49)가 감아 걸려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보디(47)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 드럼(48)의 반대 측면에는 컨트롤 유닛(도시하지 않음)을 수용하는 하우징(51)이 부착된다. 상기 하우징(51)의 상부는 보디(47)의 상부에 걸쳐 스로틀 드럼(48)측까지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고, 스로틀 드럼(48)과 동일한 측으로 개구되는 커플러(52)가 상기 하우징(51)에 일체로 형성된다.

    도 3에 주목하여, 에어 클리너(33)가 구비하는 합성 수지제의 클리너 케이스(53)는 메인 프레임(22)에 지지되는 사발형의 케이스 주체(54)와, 상기 케이스 주체(54)에 대향하여 개구된 사발형의 커버(55)가 이들 54, 55 의 주연부 사이에 여과 유닛(56)을 협지하여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클리너 케이스(53) 내는 커버(55)측의 미정화실(57)과 케이스 주체(54)측의 정화실(58)로 구획된다.

    클리너 케이스(53)의 케이스 주체(54)에는 에어 클리너(33)로부터의 정화 공기를 스로틀 보디(32)로 유도하기 위한 커넥팅 튜브(59)가 그 상류단을 정화실(58)내에 돌입시키도록 하여 고정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이 커넥팅 튜브(59)의 하류 단부는 스로틀 보디(32)의 보디(47)의 상류측 접속부가 접속되고, 커넥팅 튜브(59)의 스로틀 보디(32)로의 접속 상태를 고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고정용 밴드(60)가 커넥팅 튜브(59)의 하류 단부에 권취되어 있으며, 나사 부재(61)에 의해 고정용 밴드(60)가 체결됨으로써 커넥팅 튜브(59)의 스로틀 보디(32)로의 접속 상태가 고정적으로 유지된다.

    에어 클리너(33)의 클리너 케이스(53)의 케이스 주체(54)의 하부에는 상기 에어 클리너(33)의 아래쪽에 경사져 배치되어 있는 스로틀 보디(32) 중 적어도 스로틀 드럼(48)을 앞쪽으로부터 덮는 차폐판(62)이 일체 성형에 의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로틀 보디(32)에 있어서 하우징(51)이 구비하는 커플러(52)도 스로틀 드럼(48)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커플러(52)도 상기 차폐판(62)으로 앞쪽으로부터 덮인다. 따라서 케이스 주체(54)에 일체로 설치된 차폐판(62)에 의해 부품 개수가 증대하는 것을 회피하면서 전륜(WR)으로부터 튀는 물이나 진흙이 스로틀 드럼(48)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하우징(51)의 커플러(52)도 차폐판(62)으로 앞쪽으로부터 덮이기 때문에 커플러(52)의 방수 및 진흙 방지성도 높일 수 있다.

    상기 고정용 밴드(6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차폐판(62)에 설치된 개구부는 덮개(63)로 개폐 가능하게 폐쇄되어 있고, 덮개(63)를 개방함으로써 차폐판(62)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앞쪽에서 손가락을 삽입하여 고정용 밴드(60)를 누르고, 차폐판(62)의 옆쪽에서 고정용 밴드(60)의 체결 조작 및 느슨하게 하는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여 정비시나 조립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로틀 보디(32)의 스로틀 드럼(48)을 좌측으로부터 합성 수지제의 스로틀 드럼 가드(64)가 상기 에어 클리너(33)에 부착되어 있고, 스로틀 보디(32)의 옆쪽에서 물이나 진흙이 스로틀 드럼(48)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엔진(E)에서의 실린더 헤드(65)의 하부에는 실린더 헤드(65)의 배기 포트(도시하지 않음)에 이어지는 배기관(66)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배기 포트로부터 배기관(66)으로 흐르는 배기 가스 중에 신선한 2차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관로(67)의 하류단이 헤드 커버(68)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관로(67)의 상류단은 엔진(E)에 지지되는 2차 공기 제어 밸브(69)에 접속된다. 또한, 2차 공기 제어 밸브(69)는 메인 프레임(22)에 지지된 필터(70)에 접속된다.

    상기 필터(70)에는, 그 필터(70)로부터 메인 프레임(22)을 따라서 앞쪽으로 연장되는 공기 공급 튜브(71)의 하류단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공기 공급 튜브(71)의 상류단은 에어 클리너(33)의 위쪽까지 연장되어 있고 차체 커버(38) 내에서 대기로 개방된다.

    스로틀 보디(32)의 보디(47)의 하류측 접속부는 엔진(E)에서의 실린더 헤드(67)의 상부 측벽에 하류단이 접속되는 흡기관(72)의 상류단에 접속된다.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흡기관(72)은 스로틀 보디(32)와, 상기 스로틀 보디(32)의 아래쪽에 경사져 있는 실린더 헤드(65)를 연결하도록 하여 대략 C자형으로 만곡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 흡기관(72)은 흡기 통로(73)를 형성하는 관체(74)와, 상기 관체(74)의 표면을 덮는 고무제의 피복재(75)로 이루어지고, 피복재(75)에 일체로 설치되는 접속 통부(75a)에 상기 스로틀 보디(32)의 하류측 접속부를 긴밀하게 끼워맞춤으로써 스로틀 보디(32)가 흡기관(72)에 접속된다.

    흡기관(72)에는 실린더 헤드(65) 내에 연료를 분사하는 연료 분사 밸브(76)가 부착되고, 상기 연료 분사 밸브(76)의 개폐 작동은 상기 스로틀 보디(32)의 보디(47)에 부착된 하우징(51) 내에 수납 및 고정되는 제어 유닛에 의해서 제어된다.

    흡기관(72)에는 실린더 헤드(65)측을 향해서 개구된 부착 구멍(77)이 설치되어 있고, 선단을 흡기관(72) 내의 흡기 통로(73)를 향하도록 하여 연료 분사 밸브(76)의 선단부가 부착 구멍(77)에 기밀하게 끼워맞춰진다. 또한, 연료 분사 밸브(76)의 후단부는 차체 프레임(20)의 메인 프레임(22)의 아래쪽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흡기관(72)에 볼트(79, 79)에 의해 체결되는 연료 공급관(78)의 전단부에 끼워맞춰짐으로써 연료 공급관(78)의 전단부에 액밀(液密)식으로 접속된다. 즉 연료 분사 밸브(76)는 흡기관(72) 및 연료 공급관(78) 사이에 끼워지도록 하여 흡기관(72)에 부착된다.

    상기 연료 공급관(78)에는 하류단을 상기 연료 분사 밸브(76)의 후단부 내에 연통시키도록 하여 연료 통로(80)가 설치되어 있고, 이 연료 통로(80)의 상류단으로 통하는 입구측 접속관(81)이 연료 공급관(78)의 후단부에 플랜지 결합된다.

    상기 연료 공급관(78)에는 상기 연료 통로(80)의 도중으로부터 분기된 복귀로(8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복귀로(82)에는 연료 공급관(78)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압력 레귤레이터(84)가 접속된다.

    이 압력 레귤레이터(84)가 구비하는 밸브 하우징(85)은 상기 연료 분사 밸브(76)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연료 분사 밸브(76)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밸브 하우징(85)의 상단부가, 상기 복귀로(82)로 액밀식으로 통하는 접속관(86)을 연료 공급관(78) 사이에 개재시켜 상기 연료 공급관(78)에 부착된다. 즉, 압력 레귤레이터(84)는 연료 공급관(78)으로부터 옆쪽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하여 연료 공급관(78)의 도중에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밸브 하우징(85)의 하부에는 밸브 하우징(85)과의 사이에 다이어프램(87)의 주연부를 협지하도록 하여 커버(88)가 결합되어 있고, 밸브 하우징(85) 및 다이어프램(87) 사이에는 상기 복귀로(82)로 통하는 밸브 체스트(89)가 형성되며, 다이어프램(87)과 커버(88) 사이에는 스프링 실(室)(90)이 형성된다.

    또한, 밸브 하우징(85)에는 연료 공급관(78)에 플랜지 결합된 입구측 접속관(81)의 아래쪽에서 상기 입구측 접속관(81)과 동일한 측으로 연장되는 복귀측 접속관부(91)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복귀측 접속관부(91)로 통하는 원통형의 밸브 시트 부재(92)가 밸브 체스트(89)의 중앙부에 면하여 다이어프램(87)측으로 일부를 돌출시키도록 하여 밸브 하우징(85)에 끼워맞춤 및 고착된다. 그렇게 하여 다이어프램(87)의 중앙부에는 상기 밸브 시트 부재(92)의 밸브 체스트(89)측의 단부에 안착 가능한 밸브체(93)가 다소의 요동이 가능하게 하여 유지되어 있고, 스프링 실(90)에는 상기 밸브 체스트(89)측으로 다이어프램(87)을 휘게 하는 측의 스프링 힘을 발휘하도록 하여 커버(88)와 다이어프램(87) 사이에 압축 상태로 설치되는 스프링(94)이 수용된다.

    이러한 압력 레귤레이터(84)에서는, 다이어프램(87)을 스프링 실(90)측으로 가압하는 밸브 체스트(89)측의 액압력이 다이어프램(87)을 밸브 체스트(89)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실(90)측의 스프링 력을 초과하면, 다이어프램(87)이 스프링 실(90)측으로 휘어 밸브체(93)가 밸브 시트 부재(92)로부터 분리되고 복귀로(82)를 통해 밸브 체스트(89)에 연결되는 연료 통로(80)의 액압, 즉 연료 분사 밸브(76)로의 연료 공급압이 설정압 이상이 되지 않도록 조정된다.

    또한, 압력 레귤레이터(8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료 분사 밸브(76)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연료 분사 밸브(76)와 압력 레귤레이터(84) 사이를 연결하는 연료 통로(80)의 길이를 짧게 하여 그 연료 통로(80)를 유통하는 연료가 고온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료 탱크(34)에는 도시하지 않는 연료 펌프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연료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연료를 유도하는 연료 호스인 연료 공급측 관로(95)의 하류단은 수납 박스(35)의 전방부 좌측에서 한 쪽의 후방 프레임(23)의 전방부에 지지 부재(96)로 지지되는 고압 필터(97)에 접속되고, 고압 필터(97)에 상류단이 접속되는 연료 호스인 연료 공급측 관로(98)가 연료 분사 밸브(76)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해 연료 공급관(78)의 입구측 접속관(81)에 접속된다.

    더구나, 압력 레귤레이터(84)에 설치되는 복귀측 접속관부(91)는 연료 공급관(78)의 후단부에 접속되는 연료 공급측 관로(98)의 연장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연료 복귀측 관로(99)를 접속시키도록 배치되어 있고, 연료 복귀측 관로(99)는 복귀측 접속관(100)을 통해 상기 복귀측 접속관부(91)에 접속된다. 그렇게 하여, 수납 박스(35)의 좌측에서는 연료 공급측 관로(95, 98) 및 연료 복귀측 관로(99)가 병행되어 전후로 연장되게 된다.

    도 6 내지 도 8b를 함께 참조하면, 연료 공급관(78)의 적어도 일부, 이 실시예에서는 연료 공급관(78)의 후단부를 제외한 대부분과, 연료 분사 밸브(76)와, 압력 레귤레이터(84)는 합성 수지 등의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차음 커버(101)로 덮이는 것이고, 이 차음 커버(101)는 연료 분사 밸브(76)의 주위에서는 흡기관(72)의 외면 , 즉 피복재(75)에 밀접하다.

    차음 커버(101)는, 한 쌍의 반분할 커버(102, 103)가 절곡 가능하도록 반분할 커버(102, 103) 양자를 일체로 연결하는 힌지(104)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반분할 커버(102, 103) 양자는 예를 들면, 연료 분사 밸브(76)의 축선 및 압력 레귤레이터(84)의 축선을 포함하는 평면을 따르는 분할면(105)에 의해 서로 분리 가능하고, 연료 공급관(78)의 후단부를 제외한 대부분, 연료 분사 밸브(76) 및 압력 레귤레이터(84)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힌지(104)는 최상측 위치에 배치된다.

    즉, 차음 커버(101)로 연료 공급관(78)의 후단부를 제외한 대부분, 연료 분사 밸브(76) 및 압력 레귤레이터(84)를 덮을 때에는, 우선 도 8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분할 커버(102, 103) 양자가 힌지(104)를 매개로 수평으로 나열되도록 하여 연료 공급관(78)의 위쪽에 차음 커버(101)를 배치하고, 계속해서 반분할 커버(102, 103) 양자가 서로 대향하도록 힌지(104)를 절곡해 감으로써. 도 8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분할 커버(102, 103) 양자가 분할면(105)에서 서로 접촉하여 연료 공급관(78)의 후단부를 제외한 대부분, 연료 분사 밸브(76) 및 압력 레귤레이터(84)를 덮는 형태가 된다.

    그렇게 하여 한 쪽의 반분할 커버(102)의 둘레 방향 양단에는 걸어멈춤부(106) 및 걸어맞춤 훅(108)이 일체로 설치되고, 다른 쪽의 반분할 커버(103)의 둘레 방향 양단에는 상기 걸어멈춤부(106)에 탄발(彈發)적으로 걸어맞추는 걸어맞춤 훅(107)과, 상기 걸어맞춤 훅(108)을 탄발적으로 결합시키는 걸어멈춤부(109)가 설치되어 있고, 걸어맞춤 훅(107, 108)의 걸어멈춤부(106, 109)로의 탄발적인 걸어맞춤에 의해 차음 커버(101)는 연료 공급관(78)의 후단부를 제외한 대부분, 연료 분사 밸브(76) 및 압력 레귤레이터(84)를 덮는 형태를 유지하는 것이 된다.

    더구나, 차음 커버(101)의 반분할 커버(102, 103) 양자 사이에는 분할면(105)에 연료 분사 밸브(76)가 구비하는 커플러부(76a)를 삽입 관통시키는 제1 삽입 관통 구멍(110)과, 연료 공급관(78)의 후단부를 삽입 관통시키는 제2 삽입 관통 구멍(111)과, 압력 레귤레이터(84)의 복귀측 접속관부(91)를 삽입 관통시키는 제3 삽입 관통 구멍(112)이 형성된다.

    다음에 이 실시예의 작용에 관해서 설명하면, 차체 프레임(20)이 구비하는 메인 프레임(22)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엔진(E)이 구비하는 실린더 헤드(65)의 상부 측벽에는, 메인 프레임(22)의 아래쪽에 배치됨과 동시에 연료 분사 밸브(76)가 부착되는 흡기관(72)의 하류단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메인 프레임(22)의 아래쪽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연료 공급관(78)의 전단부가, 상기 흡기관(72)에 부착되는 연료 분사 밸브(76)에 접속되고, 연료 공급관(76)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상기 연료 공급관(78)의 중간부에 접속되는 압력 레귤레이터(84)에, 연료 공급관(78)의 후단부에 접속되는 연료 공급측 관로(98)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료 복귀측 관로(99)를 접속시키기 위한 복귀측 접속관부(91)가 설치된다.

    따라서, 차체 프레임이 구비하는 메인 프레임(22)의 아래쪽에 있는 연료 공급관(78)보다도 아래쪽에 압력 레귤레이터(84)가 배치되게 되고, 압력 레귤레이터(84)가 차체 프레임(20)과 간섭하는 일은 없기 때문에, 차체 프레임(20)과의 간섭을 회피하여 압력 레귤레이터(84)의 설치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전후로 연장되는 연료 공급관(78)의 중간부에 압력 레귤레이터(84)가 접속되기 때문에, 압력 레귤레이터(84)가 차체 프레임(20)의 폭 방향 중 어느 하나로 돌출되는 일은 없다.

    더구나, 연료 공급관(78)에 접속되는 연료 공급측 관로(98)와, 압력 레귤레이터(84)에 접속되는 연료 복귀측 관로(99)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기 때문에, 연료 공급측 관로(98) 및 연료 복귀측 관로(99)를 통합하여 처리하는 것이 가능해져 조립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연료 공급관(78)에 연료 분사 밸브(76) 및 압력 레귤레이터(84)를 조립하여 유닛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자동 이륜차의 조립 라인에서의 조립 공정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그런데, 연료 공급관(78), 연료 분사 밸브(76) 및 압력 레귤레이터(84)는 탄성재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연료 분사 밸브(76)의 주위에서 흡기관(72)에 밀접한 차음 커버(101)로 덮이고 있고, 연료 분사 밸브(76)로 발생하는 소리의 전달 부위 거의 모두를 차음 커버(101)로 덮도록 하여 우수한 차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차음 커버(101)는 ,무단 형상으로 이어지는 분할면(105)으로 서로 분리 가능한 한 쌍의 반분할 커버(102, 103)가 절곡 가능하도록 상기 반분할 커버 (102, 103) 양자를 일체로 연결하는 힌지(104)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차음 커버(101) 전체가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차음 커버(101)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이 하나로 끝나고 비용면에서 유리해진다.

    더구나, 차음 커버(101)의 반분할 커버(102, 103) 양자 사이에는 분할면(105)에 연료 분사 밸브(76)가 구비하는 커플러부(76a)를 삽입 관통시키는 제1 삽입 관통 구멍(110)과, 연료 공급관(78)의 후단부를 삽입 관통시키는 제2 삽입 관통 구멍(111)과, 압력 레귤레이터(84)의 복귀측 접속관부(91)를 삽입 관통시키는 제3삽입 관통 구멍(112)이 형성되기 때문에, 연료 공급관(78), 연료 분사 밸브(76) 및 압력 레귤레이터(78)를 차음 커버(101)로 덮을 때의 조립성이 향상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 설계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