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바이의 안전장치

申请号 KR1020090075110 申请日 2009-08-14 公开(公告)号 KR101108556B1 公开(公告)日 2012-01-31
申请人 윤지영; 发明人 윤희윤;
摘要 본 발명에 따른 오토바이의 안전장치는 오토바이 본체 양측에 각각 장착되며, 복수 개의 부재들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 조립체와; 상기 지지 조립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바퀴와; 상기 오토바이 본체와 지지 조립체를 연결하며, 상기 지지 조립체를 밀어 지지 바퀴를 지면에 닿게 하거나 그 지지 조립체를 당겨 지지 바퀴를 지면으로부터 떨어지게 하는 밀고당김 유닛과; 상기 밀고당김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토바이가 주행중 그 오토바이 주행을 잠시 정지할 때 오토바이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오토바이 운전자가 그 오토바이를 지지하는 것을 쉽고 편리하게 한다. 또한 그 오토바이의 주행을 마치고 오토바이를 세워놓을 때 안정되게 세워놓을 수 있다. 또한, 오토바이가 굽은 길을 주행할 때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오토바이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权利要求
  • 오토바이 본체 양측에 각각 장착되며, 복수 개의 부재들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 조립체;
    상기 지지 조립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바퀴;
    상기 오토바이 본체와 지지 조립체를 연결하며, 상기 지지 조립체를 밀어 지지 바퀴를 지면에 닿게 하거나 그 지지 조립체를 당겨 지지 바퀴를 지면으로부터 떨어지게 하는 밀고당김 유닛;
    상기 밀고당김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오토바이 본체에 구비된 압력 탱크와; 상기 압력 탱크와 상기 밀고당김 유닛을 연결하는 배관들과; 상기 배관들에 연결되며, 상기 압력 탱크에 채워진 압축 공기의 유동 방향을 제어하는 밸브 유닛과, 상기 밸브 유닛을 조작하는 조작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조작 유닛은 상기 밸브 유닛에 연결되며 오토바이 본체가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면 그 기울어짐을 감지하여 상기 밸브 유닛을 개폐하는 기울기 감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오토바이의 안전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조립체는 상기 오토바이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밀고당김 유닛이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 바퀴가 결합되는 제3 부재를 포함하는 오토바이의 안전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에 상기 제2 부재의 회전각을 한정시키는 스토퍼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의 안전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의 한쪽 끝부분과 제2 부재의 한쪽 끝부분은 제1 연결핀에 의해 연결되어 제2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되며, 상기 제2 부재의 다른 한쪽 끝부분과 제3 부재의 한쪽 끝부분이 제2 연결핀에 의해 연결되어 제3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되며, 상기 제1 연결핀과 제2 연결핀은 90도이하의 사이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의 안전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고당김 유닛은 상기 지지 조립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와; 한쪽이 상기 오토바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한쪽인 로드의 단부가 상기 연결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에어 실린더와; 상기 로드에 삽입되며, 한쪽끝이 상기 에어 실린더의 본체 일면에 지지되고, 다른 한쪽끝이 상기 연결부재의 일면에 지지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오토바이의 안전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유닛은 상기 밸브 유닛에 연결되며 자동 또는 수동 모드로 변환시키는 전환 스위치와; 상기 전환 스위치와 연결되는 수동 스위치와; 상기 오토바이 본체의 속도에 따라 온오프되는 자동 스위치와; 상기 자동 스위치와 연결되어 오토바이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오토바이의 안전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고당김 유닛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압력 탱크에서 빠져나오는 오토바이 본체가 기울어진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압력을 상승시키는 압력 조절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의 안전장치.
  • 说明书全文

    오토바이의 안전장치{SAFETY APPARATUS FOR MOTORCYCLE}

    본 발명은 오토바이에 구비되는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토바이(motorcycle)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 바(10)가 구비된 본체(또는 프레임이라고 함)(20)와; 상기 본체(20)의 전후에 각각 구비되는 두 개(한 쌍)의 바퀴(30)들과; 상기 본체(20)에 장착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engine)(미도시)과; 상기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을 바퀴(3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미도시)와; 상기 바퀴(30)들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제동장치(brake system)(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에 운전자가 탑승하는 안장이 구비된다.

    상기 오토바이의 엔진에서 구동력이 발생되며 그 엔진에서 발생된 구동력이 동력전달장치를 통해 바퀴(30)에 전달된다. 상기 바퀴(30)는 동력전달장치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상기 바퀴(30)가 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므로 오토바이가 주행하게 된다.

    그리고 주행 중인 오토바이를 정지시키게 될 경우 제동장치를 작동시킨다. 상기 제동장치가 오토바이 바퀴(30)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면서 그 오토바이 바퀴(30)를 정지시킨다. 상기 오토바이 바퀴(30)가 정지함에 따라 오토바이의 주행이 정지된다.

    상기 오토바이의 주행이 정지된 상태에서 오토바이 운전자는 양발을 지면에 대고 오토바이를 지지하게 된다. 이때, 오토바이는 대략 수직상태가 된다. 그리고 다시 오토바이를 주행하게 될 경우 엔진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바퀴에 전달하여 바퀴를 회전시키게 된다.

    한편, 오토바이의 주행이 정지된 상태에서 오토바이를 더 이상 주행하지 않을 경우(주차할 경우) 그 오토바이 본체에 구비된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오토바이를 세워놓게 된다.

    상기 오토바이 지지장치의 일예로, 상기 본체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대가 결합되고 그 지지대와 본체가 스프링으로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지지대의 한쪽이 본체에 구비된 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스프링의 한쪽은 본체에 연결되고 그 스프링의 다른 한쪽은 상기 지지대의 다른 한쪽에 연결된다.

    상기 오토바이가 주행 중에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대가 지면에 대하여 수평으로 위치한다. 오토바이를 세워놓게 될 때 운전자가 그 지지대를 지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오토바이를 그 지지대쪽으로 기울여 그 지지대가 지면에 접촉시킨다. 상기 지지대와 앞바퀴 그리고 뒤바퀴가 지면에 지지됨에 의해 오토바이가 세워지게 된다. 그리고 오토바이를 주행하게 될 때 운전자가 그 지지대를 수평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오토바이는 주행 중 잠시 정지시 운전자가 안장에 앉은 상 태에서 두발로 지면을 디디면서 오토바이를 지지해야 하므로 운전자가 안장에 앉은 상태에서 운전자의 두발이 지면에 닿지 못하게 될 경우 오토바이를 기울여 한발을 지면에 디디면서 그 한발로 오토바이를 지지하게 된다. 오토바이가 수직으로 위치한 상태에는 그 오토바이의 무게 중심과 그 오토바이 바퀴의 지면 접촉점이 수직(정면 기준)을 이루게 되므로 그 오토바이를 지지하는데 발에 큰 힘이 필요하지 않게 되나(발에 큰 힘이 작용하지 않게 되나), 그 오토바이의 기울기가 커질수록 오토바이를 지지하기 위하여 발에 점점 큰 힘을 주게 된다(큰힘이 작용하게 된다). 특히, 오토바이의 무게가 무거울수록 그 오토바이가 기울어지게 되면 그 오토바이를 지지하는 힘을 점점 더 많이 주게 된다. 오토바이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운전자가 한 발로 그 오토바이를 지지하지 못하게 되면 그 오토바이는 넘어지게 된다. 오토바이의 무게가 무거운 경우 그 오토바이가 넘어지게 되면 그 오토바이를 운전자 혼자서 세우기가 어렵다.

    또한, 오토바이의 주행을 마치고 그 오토바이를 세워놓을 경우 지지대와 두 개의 바퀴에 의해 오토바이가 지지되므로 오토바이의 세워진 상태가 안정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토바이가 주행을 잠시 멈출 때 오토바이 운전자가 그 오토바이를 지지하는 것을 쉽고 편리하게 하고, 또한 그 오토바이의 주행을 마치고 오토바이를 세워놓을 때 안정되게 세워놓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오토바이 본체 양측에 각각 장착되며, 복수 개의 부재들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 조립체와; 상기 지지 조립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바퀴와; 상기 오토바이 본체와 지지 조립체를 연결하며, 상기 지지 조립체를 밀어 지지 바퀴를 지면에 닿게 하거나 그 지지 조립체를 당겨 지지 바퀴를 지면으로부터 떨어지게 하는 밀고당김 유닛과; 상기 밀고당김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오토바이의 안전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지지 조립체는 상기 오토바이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밀고당김 유닛이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 바퀴가 결합되는 제3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부재의 한쪽 끝부분과 제2 부재의 한쪽 끝부분은 서로 움직임 가능하게 제1 연결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 부재의 다른 한쪽 끝부분과 제3 부재의 한쪽 끝부분이 서로 움직임 가능하게 제2 연결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1 연 결핀과 제2 연결핀은 90도이하의 사이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고당김 유닛은 상기 지지 조립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와; 한쪽이 상기 오토바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한쪽인 로드의 단부가 상기 연결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에어 실린더와; 상기 로드에 삽입되며, 한쪽끝이 상기 에어 실린더의 본체 일면에 지지되고, 다른 한쪽끝이 상기 연결 부재의 일면에 지지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오토바이 본체에 구비된 압력 탱크와; 상기 압력 탱크와 상기 밀고당김 유닛을 연결하는 배관들과; 상기 배관들에 연결되며, 상기 압력 탱크에 채워진 압축 공기의 유동 방향를 제어하는 밸브 유닛과, 상기 밸브 유닛을 조작하는 조작 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작 유닛은 상기 밸브 유닛에 연결되며, 자동 또는 수동 모드로 변환시키는 전환 스위치와; 상기 전환 스위치와 연결되는 수동 스위치와; 상기 오토바이 본체의 속도에 따라 온/오프(on/off)되는 자동 스위치와; 상기 자동 스위치와 연결되어 오토바이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 유닛은 상기 압력 탱크와 상기 밸브 유닛을 연결하는 배관들 중 하나에 서로 병렬로 구비되는 제1,2 개폐 밸브와; 상기 제1 개폐 밸브에 연결되며, 자동 또는 수동 모드로 변환시키는 전환 스위치와; 상기 전환 스위치와 연결되는 수동 스위치와; 상기 오토바이 본체의 속도에 따라 온/오프되는 자동 스위치와; 상기 자동 스위치와 연결되어 오토바이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센서와; 상기 제2 개폐 밸브와 연결되며, 오토바이 본체가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면 그 기울어짐 을 감지하여 상기 제2 개폐 밸브를 개폐하는 기울기 감지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고당김 유닛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압력 탱크에서 빠져나오는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오토바이의 안전장치는 오토바이 주행 중 오토바이 본체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지지 바퀴를 오토바이 본체쪽으로 당겨 그 지지 바퀴가 지면에 닿지 않게 하고 오토바이 주행이 정지될 때 그 지지 바퀴들을 지면쪽으로 밀어 지면에 접촉 지지되게 한다. 따라서, 오토바이가 주행 중 잠시 멈출 때 오토바이 본체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지지 바퀴가 지면쪽으로 움직여 그 지면에 접촉 지지되므로 오토바이 운전자가 지면에 발을 딛어 오토바이 본체를 지지하지 않아도 오토바이 본체가 수직 상태로 위치하게 되어 오토바이 운전자가 편리하고 안전하게 된다. 또한 그 오토바이의 주행을 마치고 오토바이를 세워놓을 때 오토바이 본체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지지바퀴가 오토바이 본체를 지지하게 되므로 오토바이를 안정되게 세워놓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토바이가 굽은 길을 주행할 때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면 그 기울어진 쪽에 위치한 지지 바퀴가 지면에 접촉 지지되므로 오토바이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오토바이가 넘어져 그 오토바이를 일으켜 세울 경우, 넘어진 쪽의 제어 유닛을 제어하여 밀고당김 유닛이 지지 조립체 및 지지 바퀴를 밀게 함으로써 그 지지 바퀴가 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오토바이 본체를 밀게 되어 운전자가 오토 바이를 일으켜 세우는데 힘이 적게 들게 된다.

    또한, 오토바이 주행 중 오토바이가 옆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넘어질 때 지지 바퀴가 먼저 노면에 닿게 되어 운전자가 다치는 것을 최소화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오토바이의 안전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토바이의 안전장치의 일실시예가 구비된 오토바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토바이 안전장치의 일실시예가 구비된 오토바이의 일부분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오토바이의 안전장치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상기 오토바이는 핸들 바(10)가 구비된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전후에 각각 구비되는 두 개(한 쌍)의 바퀴(30)들과; 상기 본체(20)에 장착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미도시)과; 상기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을 바퀴(3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미도시)와; 상기 바퀴(30)들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제동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오토바이 본체(20)에 운전자가 탑승하는 안장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오토바이의 안전장치는 오토바이 본체(20)에 설치된다.

    상기 오토바이 안전장치는 두 개의 지지 조립체(100)들과, 두 개의 지지 바퀴(200)들과, 밀고당김 유닛(300)들과, 그리고 제어 유닛(400)들을 포함한다.

    상기 두 개의 지지 조립체(100)들은 상기 오토바이 본체(20)의 양측부에 각 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두 개의 지지 조립체(100)들은 오토바이 본체(20)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이 되도록 오토바이 본체(20)에 결합된다. 상기 두 개의 지지 조립체(100)에 각각 지지 바퀴(200)가 구비된다. 상기 오토바이 본체(20)의 양측에 각각 지지 조립체(100)를 밀고 당기는 밀고당김 유닛(300)이 구비된다. 상기 오토바이 본체(20)의 양측에 각각 밀고당김 유닛(300)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400)이 구비된다. 이하에서, 상기 오토바이 본체(20)의 한쪽에 위치하는 지지 조립체(100)와 지지 바퀴(200)와 밀고당김 유닛(300) 그리고 제어 유닛(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지지 조립체(100)는 상기 본체(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부재(110)와, 상기 제1 부재(110)에 움직임(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부재(120)와, 상기 제2 부재(120)에 움직임(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부재(1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부재(11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정된 두께와 사각 형태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부재(110)는 한쪽에 복수 개의 제1 관통 구멍(111)들이 구비된다. 상기 제1 부재(110)의 다른 한쪽에 연결부(112)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부재(110)의 연결부(112)는 균일한 폭과 설정된 길이를 갖는다. 상기 제1 부재(110)의 연결부(112)의 내부에 제2 관통 구멍(113)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112)의 제2 관통 구멍(113)은 상기 연결부(112)의 폭 방향으로 관통된다.

    상기 제1 부재(110)는 복수 개의 유자형 볼트(140)들과 그 유자형 볼트(140) 들에 각각 체결되는 너트(미도시)들에 의해 상기 오토바이 본체(20)를 구성하는 관(Pipe)(P)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유자형 볼트(140)들은 상기 관(P)을 감싼 후 상기 제1 부재(110)의 구비된 제1 관통 구멍(111)들에 삽입되고 그 유자형 볼트(140)들에 너트들이 각각 체결된다.

    상기 제2 부재(120)는 몸체(121)와, 그 몸체(121)의 한쪽 단부에 구비된 제1 연결부(122)들과, 그 몸체(121)의 다른 한쪽 단부에 구비된 제2 연결부(123)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부재의 몸체(121)는 원호 형상의 면적과 설정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연결부(122)는 상기 몸체(121)의 한쪽끝 평면에 돌출된 두개의 돌기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두 개의 돌기들은 설정된 간격을 가지며 그 돌기들의 내측면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 부재(110)의 연결부(112)의 폭과 같거나 크다. 상기 두 개의 돌기들에 각각 관통 구멍이 구비되며 그 두 개의 관통 구멍들의 중심선은 동일 선상에 위치한다. 상기 제2 연결부(123)는 상기 몸체(121)의 다른 한쪽끝 평면에 설정된 폭과 길이를 갖도록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 연결부(123)에 관통 구멍이 구비되며, 그 관통 구멍은 제2 연결부(123)의 폭 방향으로 관통된 것이다.

    상기 제2 부재(120)의 제1 연결부(122)가 상기 제1 부재(110)의 연결부(112)와 형합된다. 즉, 상기 제1 연결부(122)의 돌기들 사이에 상기 제1 부재(110)의 연결부(112)가 삽입된다. 상기 제1 연결부(122)의 관통 구멍의 중심선과 제2 연결부(123)의 관통 구멍의 중심선은 90도 이하의 사이각을 갖는다. 상기 제2 부재(120)의 제1 연결부 관통 구멍과 제1 부재(110)의 연결부 관통 구멍에 제1 연결 핀(150)이 삽입된다. 상기 제1 연결핀(150)을 대신하여 볼트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부재(11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 부재(120)는 제1 연결핀(150)을 축으로 하여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제1 부재(11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 부재(120)가 제1 부재(110)와 수평을 이루는 위치 이하로(아래로)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제1 부재(110)에 스토퍼(114)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114)는 상기 제1 부재(110)의 연결부(112)에 돌출된 돌기들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부재(120)는 제1 연결핀(150)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되 그 제2 부재(120)가 스토퍼(114)에 걸려 제1 부재(110)와 수평 상태를 이루는 위치 이하로 회전하지 않게 된다.

    상기 제3 부재(130)는 몸체(131)와 그 몸체(131)의 한쪽 단부에 구비된 연결부(132)와 상기 몸체(131)의 다른 한쪽 단부에 구비된 장착부(133)를 포함한다. 상기 제3 부재의 몸체(131)는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굴곡된 형태(평면에서 볼때)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부재의 연결부(132)는 상기 몸체(131)의 한쪽끝에 돌출된 두 개의 돌기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두 개의 돌기들은 설정된 간격을 가지며 그 돌기들의 내측면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2 부재(120)의 제2 연결부(123)의 폭과 같거나 크다. 상기 두 개의 돌기들에 각각 관통 구멍이 구비되며 그 두 개의 관통 구멍들의 중심선은 동일 선상에 위치한다. 상기 장착부(133)는 상기 지지 바퀴(200)가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133)는 상기 몸체(131)의 한쪽 단부에 결합된 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은 몸체(131)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3 부재(130)의 연결부(132)가 상기 제2 부재(120)의 제2 연결부(123)와 형합된다. 즉, 상기 제2 연결부(123)의 돌기들 사이에 상기 제3 부재(130)의 연결부(132)가 삽입된다. 상기 제2 부재(120)의 제2 연결부 관통 구멍과 제3 부재(130)의 연결부 관통 구멍에 제2 연결핀(160)이 삽입된다.

    상기 제2 부재(12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3 부재(130)는 상기 제2 연결 핀을 축으로 하여 움직임(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3 부재(130)의 장착부(133)에 상기 지지 바퀴(2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장착부(133)에 베어링이 결합되고, 그 베어링에 상기 지지 바퀴(200)가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지지 조립체를 두 개의 부재들과 그 두 개의 부재들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핀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제2 부재와 제3 부재를 일체로 하여 제2,3 부재를 한 개의 부재로 될 수 있다. 이때 한 개의 부재는 오토바이 본체에 연결되고 다른 한 개의 부재에 지지 바퀴가 연결된다.

    상기 밀고당김 유닛(300)은 상기 오토바이 본체(20)와 지지 조립체(100)를 연결하며, 상기 지지 조립체(100)를 지면쪽으로 밀어 지지 바퀴(200)를 지면에 닿게 하거나 그 지지 조립체(100)를 오토바이 본체(20)쪽으로 당겨 지지 바퀴(200)를 지면으로부터 떨어지게 한다.

    상기 밀고당김 유닛(300)의 일실시예로 상기 지지 조립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부재(310)와, 상기 오토바이 본체(20)와 상기 연결 부재(310) 를 연결하는 에어 실린더(320)와, 상기 에어 실린더(320)에 결합되는 스프링(330)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 부재(310)는 한쪽 끝부분에 설정된 폭과 깊이를 갖는 슬릿(311)이 구비된다. 상기 슬릿(311)은 상기 연결 부재(310)의 한쪽 끝부분의 측면과 측면을 관통하고, 아울러 상기 연결 부재(310)의 한쪽 끝면이 개구된다. 상기 연결 부재(310)의 한쪽 끝부분 양측면에 각각 그 슬릿(311)과 관통되는 구멍(312)이 구비된다. 그 두 개의 구멍(312)의 각 중심선은 동일 선상에 위치한다. 상기 연결 부재의 다른 한쪽 끝부분에 관통 구멍(313)이 구비된다. 상기 두 개의 구멍(312)의 중심선과 상기 관통 구멍(313)의 중심선은 서로 간격을 이루며 아울러 수직으로 교차한다.

    상기 지지 조립체(100)를 구성하는 제3 부재(130)에 상기 연결 부재(310)의 한쪽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134)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134)는 상기 제3 부재(130)의 상면에 구비된 두 개의 블록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두 개의 블록은 설정된 간격을 이룬다. 상기 두 개의 블록에 각각 동일한 중심선을 갖는 구멍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연결 부재(310)의 한쪽끝 부분이 상기 두 개의 블록들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 부재(310)의 관통 구멍(313)과 두 개의 블록들의 구멍에 볼트가 삽입된다. 상기 볼트에 너트가 체결된다.

    상기 에어 실린더(320)는 실린더 본체(321)와, 상기 실린더 본체(321)에 삽입되는 로드(322)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 본체(321)의 일측에 제1 포트(323)가 구비되고 실린더 본체(321)의 타측에 제2 포트(324)가 구비된다. 상기 실린더 본 체(321)의 제1 포트(323)와 제2 포트(324)를 통해 압축 공기가 실린더 본체(321) 내부로 유입되거나 그 실린더 본체(321) 내부에 유입된 압축 공기가 실린더 본체(321) 밖으로 배기된다. 상기 제1 포트(323)에 작용하는 공기의 압력과 제2 포트(324)에 작용하는 공기의 압력 차에 의해 로드(322)가 움직인다. 상기 에어 실린더(320)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에어 실린더(320)의 본체(321)는 상기 오토바이 본체(20)에 연결된다. 상기 에어 실린더(320)의 로드(322)의 단부에 로드 중심선의 수직 방향으로 관통 구멍이 구비된다. 상기 로드(322)의 단부가 상기 연결 부재(310)의 슬릿(311)에 삽입된다. 상기 연결 부재(310)의 구멍과 로드(322)의 관통 구멍에 볼트가 삽입된다. 상기 볼트에 너트가 체결된다.

    상기 스프링(330)은 로드(322)에 삽입된다. 상기 스프링(330)은 압축 코일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330)의 한쪽끝은 실린더 본체(321)의 일면에 지지되고 상기 스프링(330)의 다른 한쪽끝은 연결 부재(310)의 일면에 지지된다.

    상기 에어 실린더(320)의 로드와 제3 부재(130)가 볼 조인트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에어 실린더(320)의 본체(321)는 상기 오토바이 본체(20)에 움직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밀고당김 유닛(300)이 상기 지지 조립체(100)를 오토바이 본체(20)쪽으로 당긴 상태에서 상기 지지 조립체(100)의 제2 부재(120) 또는 제3 부재(130)가 오토바이 본체(20)쪽으로 과도하게 기울어지지 않도록 상기 오토바이 본체(20)에 설정된 길이를 갖는 스토퍼(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400)은 상기 에어 실린더(320)의 제1 포트(323)와 제2 포트(324)을 통해 선택적으로 에어 실린더(320)에 압력을 작용시킨다.

    상기 제어 유닛(400)이 상기 에어 실린더(320)의 제2 포트(324)에 압력을 작용시키고 상기 제1 포트(323)에 압력을 작용시키지 않게 되면 상기 에어 실린더(320)의 로드(322)가 실린더 본체(321)의 밖으로 밀려나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 유닛(400)이 상기 에어 실린더(320)의 제1 포트(323)에 압력을 작용시키고 상기 제2 포트(324)에 압력을 작용시키지 않게 되면 상기 에어 실린더(320)의 로드(322)는 실린더 본체(321)안쪽으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 로드(322)가 실린더 본체(321)밖으로 빠져나오면서 상기 지지 조립체(100)를 밀게 되고, 상기 로드(322)가 실린더 본체(321)안쪽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지지 조립체(100)를 오토바이 본체(20)쪽으로 당기게 된다.

    상기 스프링(330)은, 상기 로드(322)가 실린더 본체(321)밖으로 밀려 나와 상기 지지 바퀴(200)가 지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 바퀴(20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또한, 상기 로드(322)가 실린더 본체(321)밖으로 밀려 나와 상기 지지 바퀴(200)가 지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 본체(321) 내부에 압력이 약해진 경우 상기 스프링(33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로드(322)가 실린더 본체(321) 내부로 밀려들어오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밀고당김 유닛(300)이 지지 조립체(100)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제어 유닛(400)의 제1 실시예로, 도 3,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 유닛(400)은 상기 오토바이 본체(20)에 구비된 압력 탱크(410)와; 상기 압력 탱크(410)와 상기 밀고당김 유닛(300)을 연결하는 배관들(420)과; 상기 배관들(420)에 연결되며, 상기 압력 탱크(410)에 채워진 압축 공기의 유동 방향를 제어하는 밸브 유닛(430)과, 상기 밸브 유닛(430)을 조작하는 조작 유닛(440)을 포함한다.

    상기 압력 탱크(410)는 오토바이 본체(20)를 구성하는 컴프레서(compressor)(미도시)와 연결된다. 상기 압력 탱크(410)는 상기 컴프레서의 작동에 의해 내부에 설정된 압력이 유지된다.

    상기 배관들(420)은 상기 에어 실린더(320)의 제1 포트(323)와 상기 밸브 유닛(430)을 연결하는 제1 관(421)과, 상기 에어 실린더(320)의 제2 포트(324)와 상기 밸브 유닛(430)을 연결하는 제2 관(422)과, 상기 밸브 유닛(430)과 상기 압력 탱크(410)를 연결하는 제3 관(423)을 포함한다.

    상기 밸브 유닛(430)은 내부에 원통 형태의 밀폐 공간이 구비된 몸통체(431)와, 상기 몸통체(431) 내부에 움직임 가능하게 삽입되는 스풀(spool)(432)과, 상기 스풀(432)을 직선 왕복 운동시키는 구동유닛(433)을 포함한다.

    상기 몸통체(431)는 원통 형태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통체(431)의 양측면에 각각 제1 배기관(434)과 제2 배기관(435)이 구비된다. 상기 몸통체(431)의 측면에 상기 제1, 2, 3 포트(P1)(P2)(P3)들이 구비된다. 상기 몸통체(431)의 제1 포트(P1)에 상기 제1 관(421)이 연결된다. 상기 몸통체(431)의 제2 포트(P2)에 상기 제2 관(422)이 연결된다. 상기 몸통체(431)의 제3 포트(P3)에 상기 제3 관(423)이 연결된다. 상기 몸통체(431)의 제1 포트(P1)와 제2 포트(P2)는 설정된 간격을 갖는다. 상기 몸통체(431)의 제3 포트(P3)는 상기 몸통체(431)의 제1 포트(P1)와 제2 포트(P2)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스풀(432)은 축부(S1)와 상기 축부(S1)의 한쪽 끝에 구비된 제1 원판부(S2)와, 상기 제1 원판부(S2)와 설정된 간격을 두고 축부(S1)에 구비된 제2 원판부(S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원판부(S2)는 설정된 두께와 일정한 외경을 갖는 원판 형태이다. 상기 제2 원판부(S3)는 설정된 두께와 일정한 외경을 갖는 원판 형태이다. 상기 제1 원판부(S2)와 제2 원판부(S3)는 상기 몸통체(431)의 내부에 삽입되며, 그 축부(S1)의 한쪽 끝 부분은 상기 몸통체(431)의 일측면을 관통한다. 상기 몸통체(431)를 관통한 축부(S1)의 단부는 상기 구동유닛(433)에 연결된다.

    상기 구동유닛(433)은 엑츄에이터(actuator)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유닛(433)은 리니어 모터(linear motor)일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433)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433)이 상기 스풀(432)을 밀어 제1 원판부(S2)가 상기 몸통체(431)의 일측면에 접촉되면 상기 몸통체(431)의 제3 포트(P3)와 제2 포트(P2)가 연통된다. 상기 스풀(432)을 당겨 제1 원판부(S2)가 상기 몸통체(431)의 제3 포트(P3)와 제2 포트(P2)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몸통체(431)의 제3 포트(P3)와 제1 포트(P1)가 연통된다.

    상기 몸통체(431)의 제3 포트(P3)와 제2 포트(P2)가 연통되면 압력 탱크(410)의 압축 공기가 제3 관(P3)과 제2 관(P2)과 에어 실린더(320)의 제2 포 트(324)를 통해 에어 실린더 본체(321)내부에 유입되어 로드(322)를 밀게 된다. 상기 몸통체(431)의 제3 포트(P3)와 제1 포트(P1)가 연통되면 압축 탱크(410)의 압축 공기가 제3 관(423)과 제1 관(421)과 에어 실린더(320)의 제1 포트(323)를 통해 에어 실린더 본체(321) 내부에 유입되어 로드(322)를 실린더 본체(321)안으로 당기게 된다.

    상기 조작 유닛(440)은 자동 또는 수동 모드로 변환시키는 전환 스위치(441)와, 상기 전환 스위치(441)와 연결되는 수동 스위치(442)와, 상기 오토바이 본체(20)의 속도에 따라 온/오프되는 자동 스위치(443)와, 상기 자동 스위치(443)와 연결되어 오토바이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센서(444)를 포함한다.

    상기 속도 센서(444)는 오토바이의 속도 게이지(미도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속도 센서(444)는 오토바이 바퀴(30)에 별도로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 유닛은 오토바이 본체(20)의 양쪽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양쪽의 제어 유닛(400)들은 그 제어 유닛(400)을 구성하는 속도 센서(444)를 각각 구비하는 것보다 하나의 속도 센서(444)를 공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동 스위치(443)는 상기 속도 센서(444)에서 검출된 오토바이 바퀴(30)의 속도가 설정된 속도 이하이면 온되고 설정된 속도 이상이면 오프된다.

    상기 자동 스위치(443)가 온되면 상기 구동유닛(433)이 상기 스풀(432)을 밀게 되고, 상기 자동 스위치(443)가 오프되면 상기 구동유닛(433)이 상기 스풀(432)을 당기게 된다.

    상기 전환 스위치(441)와 수동 스위치(442)는 오토바이 본체(20)의 핸들 부 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토바이 운전자가 상기 조작 유닛(440)을 수동으로 선택할 경우, 상기 전환 스위치(441)를 수동 모드로 전환시킨다. 그리고 운전자가 수동 스위치(442)를 온하게 될 경우 상기 구동유닛(433)이 작동하여 스풀(432)을 밀게 된다. 상기 스풀(432)을 밀게 되면 상기 제3 관(423)과 제2 관(422)이 연통된다. 상기 제3 관(423)과 제2 관(422)이 연통됨에 따라 압력 탱크(410)의 압축 공기에 의해 상기 에어 실린더(320)의 로드(322)가 실린더 본체(321)밖으로 빠져나오면서 상기 지지 조립체(100)를 밀게 된다.

    그리고 운전자가 상기 수동 스위치(442)를 오프하게 되면 구동유닛(433)이 작동하여 스풀(432)을 당기게 된다. 상기 스풀(432)을 당기게 되면 상기 제3 관(423)과 제1 관(421)이 연통된다. 상기 제3 관(423)과 제1 관(421)이 연통됨에 따라 상기 압력 탱크(410)의 압축 공기에 의해 에어 실린더(320)의 로드(322)가 에어 실린더 본체(321)안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지지 조립체(100)를 당기게 된다.

    한편, 운전자가 상기 조작 유닛(440)을 자동으로 선택할 경우 상기 전환 스위치(441)를 자동 모드로 전환시킨다. 자동 모드에서 오토바이 속도(오토바이 바퀴 속도)가 설정된 속도 이하가 되면 자동 스위치(443)가 온되어 상기 구동유닛(433)이 스풀(432)을 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오토바이 속도가 설정된 속도 이상이되면 상기 자동 스위치(443)가 오프되어 상기 구동유닛(433)이 상기 스풀(432)을 당기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 바퀴(200)가 지면에서 떨어지도록 상기 로드(322)가 실린더 본체(321)안으로 당겨질 경우, 상기 로드(322)에 삽입된 스프링(330)이 압축되므로 상기 로드(322)가 실린더 본체(321)안으로 원활하게 당겨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에어 실린더(320)에 작용하는 압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에어 실린더(320)의 로드(322)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압력 탱크(410)에서 빠져나오는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유닛이 상기 배관들(420) 및 상기 밀고당김 유닛(300)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력 조절유닛(50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3 관(423)에 구비되어 압력을 조절하는 레귤레이터(510)와, 상기 에어 실린더(320)의 로드(322)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레귤레이터(510)를 제어하는 레귤레이터 제어유닛(520)을 포함한다.

    상기 레귤레이터 제어유닛(520)의 일실시예로 상기 실린더 본체(321)에 구비된 제1 바(bar)(521)와, 상기 연결 부재(310)에 구비된 제2 바(522)와, 상기 제2 바(522)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바(523)와, 상기 제1 바(521)와 제3 바(523)를 연결하며 상기 로드(322) 또는 연결 부재(310)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레귤레이터(510)를 조절하는 제4 바(524)를 포함한다. 상기 제4 바(524)는 설정된 길이를 갖는 연결부(525)와 상기 연결부(525)의 단부에 절곡 연장되어 상기 레귤레이터(510)에 접촉되는 접촉부(526)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525)의 한쪽 단부는 상기 제3 바(523)의 다른 한쪽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525)의 다른 한쪽 단부는 상기 제1 바(521)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로드(322)가 실린더 본체(321)안으로 당겨지거나 그 실린더 본체(321) 밖으로 빠져나옴에 따라 상기 제2 바(522)가 움직이게 된다. 상기 제2 바(522)가 움직임에 따라 제3 바(523) 및 제4 바(524)가 움직이면서 제4 바(524)의 접촉부(526)가 상기 레귤레이터(510)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로드(322)가 실린더 본체(321)안으로 당겨짐에 따라 레귤레이터 제어유닛(520)이 레귤레이터(510)를 제어하여 에어 실린더(320)에 작용하는 압축 공기의 압력을 점점 증가시키고, 상기 로드(322)가 실린더 본체(321)밖으로 빠져나옴에 따라 레귤레이터 제어유닛(520)이 레귤레이터(510)를 제어하여 에어 실린더(320)에 작용하는 압축 공기의 압력을 점점 감소시키게 된다.

    상기 레귤레이터 제어유닛(520)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400)의 제2 실시예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 유닛(400)은 상기 오토바이 본체(20)에 구비된 압력 탱크(410)와; 상기 압력 탱크(410)와 상기 밀고당김 유닛(300)을 연결하는 배관들(450)과; 상기 배관들(450)에 연결되며, 상기 압력 탱크(410)에 채워진 압축 공기의 유동 방향을 제어하는 밸브 유닛(460)과, 상기 밸브 유닛(460)을 조작하는 조작 유닛(470)을 포함한다.

    상기 압력 탱크(410)는 오토바이 본체(20)를 구성하는 컴프레서(compressor)와 연결된다. 상기 압력 탱크(410)는 상기 컴프레서(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내부에 압력이 유지된다.

    상기 배관들(450)은 상기 압력 탱크(410)와 밸브 유닛(460)을 연결하는 제1 관(451)과, 상기 밀고당김 유닛(300)를 구성하는 에어 실린더(320)의 제1 포트(323)와 상기 밸브 유닛(460)을 연결하는 제2 관(452)과, 상기 에어 실린더(320) 의 제2 포트(324)와 상기 밸브 유닛(460)을 연결하는 제3 관(453)과, 상기 제3 관(453)에서 분지되어 상기 밸브 유닛(460)에 연결되는 제4 관(454)을 포함한다. 상기 제4 관(454)의 한쪽 끝은 상기 에어 실린더의 제2 포트(324)에 인접한 제3 관 (453)부분에 연결된다.

    상기 밸브 유닛(460)은 제1 삼방 밸브(3 way valve)(V1)와, 상기 제1 삼방 밸브(V1)와 연결되는 제2 삼방 밸브(V2)와, 상기 제1 삼방 밸브(V1)의 스위치 바(461)와 상기 제2 삼방 밸브(V2)의 스위치 바(462)를 연결하는 연결 바(463)와, 상기 연결 바(463)와 연결되어 그 연결 바(463)를 직선 왕복 운동시키는 보조 에어 실린더(464)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바(463)는 상기 보조 에어 실린더(464)를 구성하는 로드(465)에 연결된다. 상기 보조 에어 실린더의 로드(465)에 스프링(466)이 삽입되며, 그 스프링(466)은 압축 코일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삼방 밸브(V1)의 스위치 바(461)와 상기 연결 바(463)는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2 삼방 밸브(V2)의 스위치 바(462)와 상기 연결 바(463)는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1 관(451)은 상기 보조 에어 실린더(464)에 연결된다. 상기 제1 관(451)의 한 부분에 분지관(455)이 연결되고, 그 분지관(455)은 상기 제1 삼방 밸브(V1)의 제1 포트(a1)에 연결된다.

    상기 제1 삼방 밸브(V1)의 제2 포트(a2)는 상기 제3 관(453)과 연결된다. 상기 제1 삼방 밸브(V1)의 제3 포트(a3)는 상기 제2 삼방 밸브(V2)의 제2 포트(b2)에 연결된다.

    상기 제2 삼방 밸브(V2)의 제1 포트(b1)는 공기가 배출되는 곳이다. 상기 제2 삼방 밸브(V2)의 제3 포트(b3)는 상기 제4 관(454)과 연결된다. 상기 제1 삼방 밸브(V1)와 제2 삼방 밸브(V2)가 연결되는 관에 상기 제2 관(452)이 연결된다.

    상기 조작 유닛(470)은 상기 제1 관(451)에 서로 병렬로 구비된 제1,2 개폐 밸브(C1)(C2)들과; 상기 제1 개폐 밸브(C1)에 연결되며, 자동 또는 수동 모드로 변환시키는 전환 스위치(471)와; 상기 전환 스위치(471)와 연결되는 수동 스위치(472)와; 상기 오토바이 본체(20)의 속도에 따라 온/오프되는 자동 스위치(473)와; 상기 자동 스위치(473)와 연결되어 오토바이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센서(474)와; 상기 제2 개폐 밸브(C2)와 연결되며, 오토바이 본체(20)가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면 그 기울어짐을 감지하여 상기 제2 개폐 밸브(C2)를 개폐하는 기울기 감지유닛(475)을 포함한다.

    상기 제1,2 개폐 밸브(C1)(C2)는 상기 보조 에어 실린더(464)에 인접하도록 상기 제1 관(451)에 구비된다. 상기 제1 개폐 밸브(C1)는 상기 제1 관(451)에 구비되어 그 제1 관(451)을 개폐한다. 그리고 상기 제1 관(451)에 병렬 연결관(456)이 연결되며, 그 병렬 연결관(456)의 일측이 상기 제1 개폐 밸브(C1)의 한쪽과 인접하게 상기 제1 관(451)에 연결되고 그 병렬 연결관(456)의 타측이 상기 제1 개폐 밸브(C1)의 다른 한쪽과 인접하게 상기 제1 관(451)에 연결된다. 상기 병렬 연결관(456)에 상기 제2 개폐 밸브(C2)가 구비되며, 그 제2 개폐 밸브(C2)는 상기 제1 개폐 밸브(C1)와 병렬 관계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1 개폐 밸브(C1) 또는 제2 개폐 밸브(C2)가 오픈되면 압력 탱크(410) 의 압력이 제1 관(451)을 통해 보조 에어 실린더(464)에 작용하여 그 보조 에어 실린더(464)의 로드(465)를 실린더 본체(467)안으로 당겨져 그 로드(465)에 연결된 연결 바(463)를 당기게 된다. 상기 제1,2 개폐 밸브(C1)(C2)가 모두 닫히게 되면 압력 탱크(410)의 압력이 상기 보조 에어 실린더(464)에 작용하지 않게 되어 상기 스프링(466)의 복원력에 의해 로드(465)가 실린더 본체(467)밖으로 빠져 나오면서 상기 연결 바(463)를 밀게 된다.

    상기 보조 에어 실린더(464)의 로드(465)가 연결 바(463)를 당기게 되면 상기 제1 삼방 밸브(V1)의 제1 포트(a1)와 제2 포트(a2)가 연통되고 제3 포트(a3)는 막히게 되며, 상기 제2 삼방 밸브(V2)의 제1 포트(b1)와 제2 포트(b2)가 연통되고 제3 포트(b3)는 막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압력 탱크(410)의 압축 공기가 제1 삼방 밸브(V1)의 제1,2 포트(a1)(a2)와 제3 관(453)과 그리고 에어 실린더(320)의 제2 포트(324)를 통해 에어 실린더 본체(321)내부에 위치한 로드(322)의 한쪽면에 작용하여 로드(322)를 에어 실린더 본체(321)밖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이때, 상기 에어 실린더(320)의 로드 다른 한쪽면측의 실린더 본체(321)에 채워진 공기는 에어 실린더(320)의 제1 포트(323)와 제2 관(452)과 그리고 제2 삼방 밸브(V2)의 제1,2 포트(b1)(b2)를 통해 배기된다. 상기 에어 실린더(320)의 로드(322)가 실린더 본체(321)밖으로 빠져나오게 됨에 따라 상기 에어 실린더의 로드(322)가 지지 조립체(100)를 밀게 된다.

    상기 보조 에어 실린더(464)의 로드(465)가 상기 연결 바(463)를 밀게 되면 상기 제1 삼방 밸브(V1)의 제1 포트(a1)와 제3 포트(a3)가 연통되고 제2 포트(a2) 가 막히게 되며, 상기 제2 삼방 밸브(V2)의 제1 포트(b1)와 제3 포트(b3)가 연통되고 제2 포트(b2)가 막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압력 탱크(410)의 압축 공기가 제1 삼방 밸브(V1)의 제1,3 포트(a1)(a3)와 제2 관(452)과 그리고 에어 실린더(320)의 제1 포트(323)를 통해 에어 실린더 본체(321)내부에 위치한 로드(322)의 다른 한쪽면에 작용하여 상기 에어 실린더의 로드(322)를 에어 실린더 본체(321)안으로 당기게 된다. 이때, 상기 에어 실린더(320)의 로드 한쪽면측의 에어 실린더 본체(321)에 채워진 공기는 상기 에어 실린더(320)의 제2 포트(324)와 제3 관(453)과 제4 관(454) 그리고 제2 삼방 밸브(V2)의 제1,3 포트(b1)(b3)를 통해 배기된다. 상기 에어 실린더(320)의 로드(322)가 에어 실린더 본체(321)안으로 당겨짐에 따라 상기 에어 실린더의 로드(322)가 지지 조립체(100)를 당기게 된다.

    미설명 부호 469는 배출관이다.

    상기 전환 스위치(471)와 수동 스위치(472)는 오토바이 본체(20)의 핸들 부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환 스위치(471)는 오토바이 운전자가 조작하게 된다.

    상기 전환 스위치(471)가 수동 모드일 경우 오토바이 운전자가 수동 스위치(472)를 온/오프시킴에 따라 상기 제1 개폐 밸브(C1)를 온/오프시키게 된다.

    상기 전환 스위치(471)가 자동 모드일 경우 오토바이 속도가 속도 센서(474)에 의해 감지되어 오토바이의 속도가 설정된 속도 이하가 되면 자동 스위치(473)가 온되어 상기 제1 개폐 밸브(C1)를 온하게 되고 상기 오토바이 속도가 설정된 속도 이상이되면 자동 스위치(473)가 오프되어 상기 제1 개폐 밸브(C1)를 오프하게 된 다.

    상기 제어 유닛은 오토바이 본체(20)의 양쪽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양쪽의 제어 유닛(400)들은 그 제어 유닛(400)을 구성하는 속도 센서(474)를 각각 구비하는 것보다 하나의 속도 센서(474)를 공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개폐 밸브(C1)가 온되면 압력 탱크(410)의 압축 공기가 보조 에어 실린더(464)에 작용하게 되고, 상기 제1 개폐 밸브(C1)가 오프되면 압력 탱크(410)의 압축 공기가 보조 에어 실린더(464)에 작용하지 않게 된다.

    상기 기울기 감지유닛(475)은 오토바이 본체(20)의 일측에 진자 운동 가능하게 한쪽이 결합된 막대(476)와, 상기 막대(476)가 수직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그 막대(476)와 설정된 간격을 두고 각각 위치하는 제1 리미트 스위치(477)와 제2 리미트 스위치(478)를 포함한다.

    상기 막대(476)의 한쪽 끝 부분에 관통 구멍이 구비된다. 상기 오토바이 본체(20)에 구비된 핀(479)이 구비된다. 상기 핀(479)이 상기 막대(476)의 관통 구멍에 삽입된다. 상기 막대(476)는 핀(479)을 축으로하여 진자 운동하게 된다.

    상기 오토바이를 정면으로 볼 때 상기 막대(476)를 기준으로 왼쪽에 제1 리미트 스위치(477)가 위치하고, 오른쪽에 제2 리미트 스위치(478)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리미트 스위치(477)는 오토바이 본체(20)의 왼쪽에 위치하는 제어 유닛(400)의 제2 개폐 밸브(C2)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리미트 스위치(478)는 오토바이 본체(20)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제어 유닛(400)의 제2 개폐 밸브(C2)에 연결된다.

    상기 오토바이를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오토바이가 왼쪽으로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게 되면 상기 막대(476)가 제1 리미트 스위치(477)에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오토바이가 오른쪽으로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게 되면 상기 막대(476)가 제2 리미트 스위치(478)에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오토바이가 수직 상태이거나 또는 허용된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이면 상기 막대(476)가 제1,2 리미트 스위치(477)(478)와 접촉되지 않게 된다.

    상기 막대(476)가 제1 리미트 스위치(477)에 접촉하게 되면 제2 개폐 밸브(C2)가 온되고, 상기 막대(476)가 제1 리미트 스위치(477)와 접촉하지 않게 되면 제2 개폐 밸브(C2)가 오프된다. 상기 제2 개폐 밸브(C2)가 온되면 압력 탱크(410)의 압축 공기가 상기 보조 에어 실린더(464)에 작용하게 되고, 제2 개폐 밸브(C2)가 오프되면 압력 탱크(410)의 압축 공기가 상기 보조 에어 실린더(464)에 작용하지 않게 된다.

    상기 막대(476)가 제2 리미트 스위치(478)에 접촉되면 오른쪽에 위치하는 제2 개폐 밸브(C2)를 온시키게 되고, 상기 막대(476)가 제2 리미트 스위치(478)와 접촉되지 않게 되면 제2 개폐 밸브(C2)가 오프된다.

    상기 제어 유닛(400)의 제2 실시예의 경우에도 상기 에어 실린더(320)의 로드(322)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압력 탱크(410)에서 빠져나오는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유닛이 상기 배관들 및 상기 밀고당김 유닛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력 조절유닛은 상기 제1 관(451)에 구비되는 레귤레이터와, 상기 로드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레귤레이터를 제어하는 레귤레이터 제어 유닛을 포함한 다. 상기 압력 조절유닛은 위에서 설명한 압력 조절유닛의 구성과 같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지지 조립체(100)에 상기 지지 바퀴(20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보조 제동유닛(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오토바이 안전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오토바이가 주행 중에는 밀고당김 유닛(300)이 상기 지지 조립체(100)를 당김에 의해 상기 지지 조립체(100)의 제2 부재(120)와 제3 부재(130)가 오토바이 본체쪽으로 당겨진 상태가 된다. 이때 제3 부재(130)에 결합된 지지 바퀴(200)도 지면에서 떨어져 오토바이 본체쪽으로 이동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오토바이 주행 중 지지 바퀴(200)가 지면에 닿지 않게 된다.

    상기 주행 중인 오토바이를 정지시키게 될 경우 제동장치를 작동시킨다. 상기 제동장치가 작동하게 되면 오토바이 바퀴의 회전 속도가 줄어들게 된다. 상기 오토바이 안전장치가 수동 모드일 경우 운전자가 상기 밀고당김 유닛(300)이 지지 조립체(100)를 지면쪽으로 밀도록 상기 제어 유닛(400)를 제어한다. 상기 밀고당김 유닛(300)이 지지 조립체(100)를 밀게 됨에 따라 지지 조립체(100)의 제2 부재(120)와 제3 부재(130)가 펴지게 된다. 상기 제2,3 부재(120)(130)가 펴짐에 따라 지지 바퀴(200)가 지면에 접촉되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오토바이 본체(20)의 양쪽에 구비된 지지 바퀴(200)들이 지면에 접촉되므로 오토바이의 주행이 정지되어도 오토바이가 안정되게 수직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오토바이의 주행 정지 후 다시 주행할 때, 상기 밀고당김 유닛(300)이 상기 지지 조립체(100)의 제2,3 부재(120)(130)를 오토바이 본체(20)쪽으로 당기도록 운전자가 제어 유닛(400)을 제어한다. 상기 밀고당김 유닛(300)이 지지 조립체(100)의 제2,3 부재(120)(130)를 오토바이 본체(20)쪽으로 당김에 따라 그 제3 부재(130)에 연결된 지지 바퀴(200)가 지면에서 떨어져 오토바이 본체(20)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지지 바퀴(200)를 오토바이 본체(20)쪽으로 이동시키면서 오토바이가 다시 주행하게 된다.

    한편, 운전자가 상기 제어 유닛(400)을 자동 모드로 전환시킨 경우, 오토바이의 제동장치에 의해 오토바이 바퀴의 회전 속도가 줄어들게 되어 상기 오토바이 바퀴(30)의 회전 속도가 설정된 속도 이하가 되면 그 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밀고당김 유닛(300)이 상기 지지 조립체(100)의 제2,3 부재(120)(130)를 밀도록 제어 유닛(400)이 상기 밀고당김 유닛(300)을 제어한다. 상기 밀고당김 유닛(300)이 지지 조립체(100)를 밀게 됨에 따라 지지 조립체(100)의 제2 부재(120)와 제3 부재(130)가 펴지게 된다. 상기 제2,3 부재(120)(130)가 펴짐에 따라 지지 바퀴(200)가 지면에 접촉되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오토바이 본체(20)의 양쪽에 구비된 지지 바퀴(200)들이 지면에 접촉되므로 오토바이의 주행이 정지되어도 오토바이가 안정되게 수직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오토바이의 주행이 정지된 후 다시 주행하여 상기 오토바이 바퀴(30)의 속도가 설정된 속도 이상이 되면 그 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밀고당김 유닛(300)이 상기 지지 조립체(100)의 제2,3 부재(120)(130)를 오토바이 본체(20)쪽 으로 당기도록 제어 유닛(400)이 밀고당김 유닛(300)을 제어한다. 상기 밀고당김 유닛(300)이 지지 조립체(100)의 제2,3 부재(120)(130)를 오토바이 본체(20)쪽으로 당김에 따라 그 제3 부재(130)에 연결된 지지 바퀴(200)가 지면에서 떨어져 오토바이 본체(20)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어 유닛(400)이 상기 밀고당김 유닛(300)을 제어하는 동작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오토바이의 주행을 정지한 상태에서 오토바이를 더 이상 주행하지 않을 경우 상기 지지 바퀴(200)들을 지면에 접촉시킨 상태로 오토바이를 세워놓게 된다.

    한편, 오토바이가 굽은 길을 주행할 경우 오토바이 본체(20)를 기울여 주행하게 되는데 그 오토바이 본체(20)를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기울이게 되면 그 오토바이가 넘어지게 된다. 상기 제어 유닛(400)의 제2 실시예가 적용된 경우 오토바이 본체(20)가 설정된 각도 이상 기울어져 넘어지게 되면 기울기 감지유닛(475)이 그 오토바이 본체(20)의 기울어짐을 감지하여 그 기울어짐쪽에 위치한 밀고당김 유닛(300)이 지지 조립체(100)의 제2,3 부재(120)(130)를 밀도록 상기 기울어짐쪽에 있는 제어 유닛(400)이 상기 밀고당김 유닛(300)을 제어한다. 상기 제2,3 부재(120)(130)를 밀게 됨에 따라 기울어짐쪽의 지지 바퀴(200)가 지면에 접촉 지지되므로 그 오토바이 본체(20)가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지 않게 되어 오토바이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오토바이가 주행 중 왼쪽으로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거나 오른쪽으로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질 때 상기 지지 바퀴(200)가 지면에 접촉 지 지되어 오토바이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오토바이 주행 중 오토바이가 옆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넘어질 때 지지 바퀴가 먼저 노면에 닿게 되어 운전자가 다치는 것을 최소화하게 된다.

    또한, 오토바이가 넘어져 그 오토바이를 일으켜 세울때 넘어진 쪽의 제어 유닛(400)을 제어하여 밀고당김 유닛(300)이 지지 조립체(100) 및 지지 바퀴(200)를 밀게 함으로써 그 지지 바퀴(200)가 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오토바이 본체(20)를 밀게 되어 운전자가 오토바이를 일으켜 세우는데 힘이 적게 들게 된다.

    또한, 상기 밀고당김유닛이 상기 지지 조립체(100)의 제2,3 부재(120)(130)를 지면쪽으로 밀어 지지 바퀴가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 운전자의 뒷자석에 사람이 탑승할 경우 그 뒷자석에 타는 사람이 상기 지지 조립체를 밟고 뒷자석에 탈 수 있어 탑승이 수월하게 된다.

    도 1은 오토바이의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토바이 안전장치의 일실시예가 구비된 오토바이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토바이 안전장치의 일실시예가 구비된 오토바이의 일부분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상기 오토바이의 안전장치를 구성하는 지지 조립체의 일부분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상기 오토바이의 안전장치를 구성하는 제어 유닛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배관도,

    도 6은 상기 오토바이의 안전장치를 구성하는 압력 조절유닛을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상기 오토바이의 안전장치를 구성하는 제어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배관도.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