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 이륜차의 에어백 장치

申请号 KR1020070096667 申请日 2007-09-21 公开(公告)号 KR100955831B1 公开(公告)日 2010-05-06
申请人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发明人 가토유이치; 고토히로시; 쿠로에타케시;
摘要 본 발명은 에어백의 팽창 전개시에 에어백 지지 벨트의 수납부의 커버의 이탈 범위가 제한되도록 한 자동 이륜차의 에어백 장치를 제공한다.
차체에 설치된 수납부(47)에, 에어백(14)과 차체를 연결하는 지지 벨트(15)를 수납하고, 수납부(47)에 뚜껑을 덮도록 위쪽으로부터 결합되는 벨트 커버(30L)을 구비한 자동 이륜차(1)의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벨트 커버(30L)는 에어백(14)의 팽창 전개에 따라 수납부(47)로부터 이탈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이탈시에 차체로부터 소정거리 이상 떨어지지 않도록 수납부(47)의 내부에 차체측과 연결되는 와이어(70)를 구비한다. 와이어(70)는 수납부(47)의 내부에 배치되는 동시에, 차체의 프레임(2)과 결합되는 고정 플레이트(60)에 연결된다. 와이어(70)는 고정 플레이트(60)의 관통 구멍(66)에 삽입 관통됨으로써 차체측에 연결되는 동시에, 그 양단부가 벨트 커버(30L)에 접속된다.
자동 이륜차, 에어백, 수납부, 지지 벨트
权利要求
  • 에어백(14)과 차체를 연결하는 지지 벨트(15)를 수납한 수납부(47)와, 상기 수납부(47)의 위쪽을 덮는 벨트 커버(30L,30R)를 구비한 자동 이륜차의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벨트 커버(30L,30R)는 상기 에어백(14)의 팽창 전개에 따라 상기 수납부(47)에서 이탈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벨트 커버(30L,30R)의 이탈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수납부(47)의 내부에서 차체 프레임(2)과 상기 벨트 커버(30L,30R)를 연결하고 있는 와이어(70)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와이어(70)는 상기 수납부(47)의 내부에 그 일부가 돌출하고, 상기 차체 프레임(2)에 고정되는 플레이트(60)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60)에는 2개의 관통 구멍(66)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벨트 커버(30L,30R)에는 2개의 와이어 부착용 스테이(36)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70)의 양 단부는 상기 플레이트(60)의 2개의 관통 구멍(66)을 삽입 관통하여, 상기 2개의 와이어 부착용 스테이(36)를 통해 상기 벨트 커버(30L,30R)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의 에어백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70)는 금속제이고, 상기 플레이트(60)는 금속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의 에어백 장치.
  • 说明书全文

    자동 이륜차의 에어백 장치{AIR BAG DEVICE OF AUTOMATIC TWO-WHEEL VEHICLES}

    본 발명은 자동 이륜차의 에어백 장치에 관하여, 특히, 에어백의 팽창 전개시에 에어백 지지 벨트의 수납부의 커버의 이탈 범위가 제한되도록 한 자동 이륜차의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차체에 소정치 이상의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 탑승자를 효과적으로 구속하는 에어백을 자동 이륜차에 적용하기 위한 여러 가지의 고안이 검토되어 왔다. 자동 이륜차와 4륜차와의 큰 상이점의 하나로, 탑승자가 시트 벨트 등으로 차체에 구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들 수 있지만, 이에 대응하기 위해, 차체측에 일단이 고정된 지지 벨트의 타단을 에어백에 연결해 두고, 에어백의 팽창 전개시에는, 차체 후방측으로부터 인장하도록 에어백을 지지하는 수법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스쿠터형의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프론트 커버로부터, 레그 실드, 발판부, 리어 커버에 걸쳐 설치되는 좌우 한쌍의 수납 홈에, 에어백의 지지 벨트를 수납하도록 한 에어백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에어백 장치에 따르면, 지지 벨트가 지지함으로서, 차체의 요우(yaw) 거동이나 롤 거동이 큰 경우에도 탑 승자를 효과적으로 구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27182호 공보

    상기와 같은 에어백 지지 벨트를 적용하는 경우, 그 수납부에는 날씨 등의 외적 요인에 의한 영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커버 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특허 문헌 1에는, 이러한 커버 부재에 관해서는 어떠한 개시도 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커버 부재의 고정 방법으로서는, 그 이면측에 복수의 돌기를 설치하고, 수납부측에 설치한 결합홈과 결합하는 방법 등이 알려졌지만, 이러한 결합 구조만으로는, 에어백의 팽창 전개에 따라 지지 벨트가 인출된 경우에, 커버 부재가 차체로부터 탈락하거나 할 가능성이 있고, 커버 부재의 부착 구조에 관해서는 여전히 고안의 여지가 남겨지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여, 에어백의 팽창 전개시에 에어백 지지 벨트의 수납부의 커버의 이탈 범위가 제한되도록 한 자동 이륜차의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에어백과 차체를 연결하는 지지 벨트를 수납한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위쪽을 덮는 커버를 구비한 자동 이륜차의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에어백의 팽창 전개에 따라 상기 수납부로부터 이탈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커버의 이탈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수납부의 내부에 있어서 차체측과 상기 커버를 연결하고 있는 끈 형상체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 제1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끈 형상체는 상기 수납부의 내부에 그 일부가 돌출하는 동시에 상기 차체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있는 점에 제2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끈 형상체는 금속제의 와이어이고, 상기 플레이트는 관통 구멍이 설치된 금속 부품이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 통과됨으로서 차체측에 연결되는 동시에, 그 양단부가 상기 커버에 접속되어 있는 점에 제3 특징이 있다.

    제1 발명에 따르면, 커버는 에어백의 팽창 전개에 따라 수납부에서 이탈하 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커버의 이탈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수납부의 내부에 있어서 차체측과 커버를 연결하고 있는 끈 형상체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에어백의 팽창 전개에 따라 지지 벨트가 인출되고 커버가 이탈할 때에, 커버가 차체로부터 탈락하거나, 예기치 않은 방향으로 비산하는 것을 막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커버의 한쪽 변에 힌지 등을 설치하는 구성에 비해, 간단한 구조에 의해 커버를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끈 형상체는 에어백의 팽창 전개 이전에는 수납부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으므로, 자동 이륜차의 외관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2 발명에 따르면, 끈 형상체는 수납부의 내부에 그 일부가 돌출하는 동시에 차체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차체에 가해진 충격에 의해 위치가 이동할 가능성이 있는 외장 부품 등에 끈 형상체가 연결되는 경우 에 비해, 커버를 차체측에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3 발명에 따르면, 끈 형상체는 금속제의 와이어이고, 플레이트는 관통 구멍이 설치된 금속 부품이며, 와이어는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됨으로써 차체측에 연결되는 동시에, 그 양단부가 커버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끈 형상체가 수지 등으로 형성되는 외장 부품에 연결되는 경우와 상이하고, 차체 및 외장 부품에 전달되는 충격 등이 큰 경우에도, 끈 형상체를 차체측에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끈 형상체 및 플레이트의 강도를 높이면서, 수지 등으로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양자를 작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수납부의 내부와 커버를 간단한 구조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백 장치가 적용된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이다. 자동 이륜차(1)의 프레임(2)은 헤드 파이프(3)로부터 차체 후방 경사 아래쪽을 향해 신장하는 좌우 한쌍의 상부 튜브(2a)에 의해 주로 구성되어 있다. 헤드 파이프(3)의 근방에서는 하부 튜브(4)가 아래쪽으로 신장되어 그 선단에 구동원으로서의 엔진(13)이 고정적으로 현수되어 있다. 헤드 파이프(3)에는, 핸들(4)에 의해 조타 가능하게 되는 좌우 한쌍의 프론트 포크(7)가 하부 브래킷(6)을 통해 피봇되어 있고, 프론트 포크(7)의 하단부에는, 전륜(WF)이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2)의 차체 후방에는, 메인 시트(10)나 리어 시트(11) 등을 지지하는 시트 프레임(5)이 접속되어 있고, 프레임(2)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 는 도시하지 않은 스윙 아암의 후단부에는, 구동륜으로서의 후륜(WR)이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 이륜차(1)에는, 차체에 소정치 이상의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 메인 시트(10)의 위쪽으로부터 미터 패널(12)에 접하여, 상부 카울(8)의 상단부에 부착되는 윈드 스크린(9)의 근방에까지 이르는 크기의 거의 구체로 팽창 전개하는 에어백(14)이 구비되어 있다. 이 에어백(14) 및 에어백(14)을 팽창 전개시키기 위한 가스를 발생하는 인플레이터(도시되지 않음)를 일체적으로 수납하는 에어백 모듈(20)은, 탑승자의 안착 위치보다도 차체 전방 위치에 있어서, 지지 스테이(21)에 의해 상기 상부 튜브(2a)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에어백(14)의 차체 후방에 에어백(14)을 적절한 위치에 유지하여 탑승자를 효과적으로 구속하기 위한 지지 벨트(15)가 연결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 이륜차의 일부 평면도이다. 상기 와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동등 부분을 도시한다. 에어백 모듈(20)은 상자형의 케이싱(도 3 참조)에 상기 인프레이터 및 절첩된 에어백(14)을 수납하고, 상부에 모듈 커버(22)로 뚜껑을 덮은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미터 패널(12)의 차체 후방측 단부와, 도시되지 않은 연료 탱크의 상부에 위치하는 급유구 리드(2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에어백(14)의 팽창 전개시에는, 에어백(14)에 순간적으로 공급되는 인플레이터의 가스압에 의해, 모듈 커버(22)가 차체 전방측의 한변을 축으로하여 개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급유구 리드(23)는 외장 부품으로서의 탑 셸터 센터(50)에 개폐 가능하게 피 봇 지지되어 있다. 급유구 리드(23) 및 탑 셸터 센터(50)의 양측에는, 지지 벨트(15)의 수납부의 덮개로서의 벨트 커버(30L, 30R)가 배치되고, 또한 그 차폭 방향 외측으로, 외장 부품으로서의 탑 셸터(40L, 40R)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 벨트(15)는 에어백(14)의 팽창 전개에 따라, 좌우의 벨트 커버(30L, 30R)를 강제적으로 개방하면서, 도시하는 위치까지 전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모듈 커버(22), 벨트 커버(30L, 30R), 탑 셸터(40L, 40R), 탑 셸터 센터(50)는 각각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 벨트(15)의 하단부는 메인 시트(10)의 하측에서 차체측 부재와 강고하게 체결되어 있다.

    또한, 에어백(14)은 탑승자를 효과적으로 감싸기 위해, 양측의 지지 벨트(15)의 부착부 사이, 즉, 탑승자를 유지하는 중앙부가 거의 V 자형 단면을 갖는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에어백(14)은 지지 벨트(15)에 의해 후방에서 인장하도록 지지될 뿐만 아니라, 핸들(4)이나 미터 패널(12) 등에 의해 차체의 전방측으로부터도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도 2의 일부 확대도이다. 이 도에서는, 좌측 절반부에 있어서, 좌측 벨트 커버(30L)가 지지 벨트(15)의 수납부(47)로부터 이탈한 상태를 도시하고, 우측 절반부에 있어서는, 에어백 모듈(20)의 모듈 커버(22)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에어백 모듈(20)은 절첩된 에어백(14) 및 상기 에어백(14)을 팽창 전개시키기 위한 인프레이터(도시되지 않음)를 금속 등으로 형성된 상자형의 케이싱(24)에 수납하고, 모듈 커버(22)로 뚜껑을 덮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에어백(14)의 팽창 전개시에는, 모듈 커버(22)가 차체 전방측으로 개 방하는 동시에, 케이싱(24)의 개구부(24a)에서 에어백(14)이 팽창 전개한다. 또한, 에어백 모듈(20)에 인접하여 차체 후방측에 배치되는 탑 셸터 센터(50)에는, 급유구 리드(23)에 의해 덮개가 되는 개구부(50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 벨트(15) 및 상기 지지 벨트(15)의 수납부(47)는 거의 좌우 대칭의 형상으로 되어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좌측으로만 설명을 행한다. 수납부(47)는 좌측 탑 셸터(40L)의 연장부(41)와, 탑 셸터 센터(50)의 돌출부(51)로 형성되어 있고, 거의 중앙부에는, 좌측 벨트 커버(30L)와 접속되는 끈 형상체로서 와이어(70)를 연결하기 위한 고정 플레이트(6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고정 플레이트(60)는 상기 좌측 탑 셸터(40L)의 연장부(41)에 형성되는 개구부로부터, 차폭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벨트 커버의 연결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5는 탑 셸터 센터(50)의 사시도이며, 도 6은 고정 플레이트(60)의 평면도이다. 상기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동등 부분을 도시한다. 좌측 벨트 커버(30L)는 상기 수납부(47)의 외형과 거의 동일한 외형을 갖고 있고, 에어백(14)의 팽창 전개 이전에는, 상기 탑 셸터 센터(50) 및 좌측 탑 셸터 센터(40L)의 표면과 단차가 없고, 연속적인 매끄러운 표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좌측 벨트 커버(30L)는 차폭 방향 외측의 결합 클로(31, 32, 33)와, 차폭 방향 내측에 있어서 표면측에 세워 설치하는 스테이(37, 39)에 따라, 상기 수납부(47)에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 벨트 커버(30L)에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60)에 형성된 관통 구멍(66)을 통과하는 와이어(70)의 양단부가 와이어 부착용 스테이(36)에 의해 접속되고, 이에 따라 좌측 벨트 커버(30L)가 상기 수납부(47)에 연결되게 된다. 따라서, 좌측 벨트 커버(30L)는 에어백(14)의 팽창 전개에 따라 지지 벨트(15)가 인출되고 수납부(47)로부터 이탈하는 때에도, 와이어(70)의 소정의 길이를 넘어 수납부(47)로부터 멀어지지 않고, 이탈 범위가 제한되므로, 차체부터의 탈락이나, 예기치 않은 방향으로의 비산을 막는 것이 가능해진다.

    좌측 벨트 커버(30L)의 이면측에는, 지지 벨트(15)의 수납 시에 상기 지지 벨트(15)가 좌측 벨트 커버(30L)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한 띠 형상의 시트(34)가 배치되어 있고, 그 차량 후방측의 단부는, 체결 부재로서의 그로밋(grommet)(35)에 의해 좌측 벨트 커버(30L)에 고정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수지 등에 의해 일체 성형되는 탑 셸터 센터(50)는 거의 좌우 대칭의 형상으로 되어, 상기 수납부(47)를 구성하는 좌우의 돌출부(51L, 51R)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고정 플레이트(60) 및 탑 셸터(40L, 40R)와의 체결시에 사용되는 관통 구멍(53, 54, 55), 상기 벨트 커버(30L, 30R)의 스테이(37)가 삽입되는 결합홈(56), 상기 결합홈(56)에 인접하는 통 형상부(52), 상기 벨트 커버(30L, 30R)의 스테이(39)가 삽입되는 결합홈(5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고정 플레이트(60)는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으로 형성되는 상기 와이어(70)와 동일하게 금속제가 되고, 중앙 부재(61)와, 와이어 유지부(63L, 63R)가 형성된 외측 부재(62L, 62R)를 용접 접합한 구성을 갖는다. 또한, 고정 플레이트(60)에는, 중앙 부재(61)와 외측 부재(62L, 62R)의 접합부에 형성되는 관통 구멍(65) 외에, 상기 탑 셸터 센터(50) 및 탑 셸터(40)와의 체결시에 사용되는 관 통 구멍(64, 67)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트(80)는 탑 셸터 센터(50)의 관통 구멍(53)과, 고정 플레이트(60)의 중앙 부재(61)에 형성된 관통 구멍(64)과, 좌측 탑 셸터(40)의 연장부(41)에 형성된 관통 구멍(43)과, 상기 케이싱(24)의 차체 후방측의 판부재에 결합되는 스테이(90)를 관통하여 너트 등으로 체결된다. 또한, 그로밋(81)은 탑 셸터 센터(50)의 관통 구멍(54)과, 고정 플레이트(60)의 용접 접합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65)을 관통하여 양자를 체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고정 플레이트(60)는 자동 이륜차(1)의 프레임(2)과 간접적으로 결합되어, 차체측에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된다.

    도 8은 좌측 벨트 커버(30L)의 측면도이다. 상기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동등 부분을 도시한다. 좌측 벨트 커버(30L)의 이면측에 형성되는 스테이(37)는 상기 탑 셸터 센터(50)의 결합홈(56)에 삽입되고, 관통 구멍(37a)을 관통하는 도시되지 않은 체결 부재에 의해 좌측 벨트 커버(30L)를 탑 셸터 센터(50)에 고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스테이(37)의 근원(根元)에는 폭 및 두께가 저감된 취약부(38)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에어백(14)의 팽창 전개시에는, 지지 벨트(15)가 인출되는 힘에 의해 이 취약부(38)가 파단함으로써, 상기 결합 클로(31, 32, 33), 즉, 좌측 벨트 커버(30L)의 차폭 방향 외측의 한 변을 축으로 전개하면서 좌측 벨트 커버(30L)가 수납부(47)로부터 이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취약부(38)의 형상은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벨트 커버(30L)의 전개에 필요한 하중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와이어(70)의 양단부를 접속하기 위한 와이어 부착 용 스테이(36)에는, 각각 부착용 구멍(36a)이 형성되어 있다.

    도 9는 도 4의 BB선 단면도(a) 및 와이어 체결 부재의 정면도(b)이다. 상기 와이어(70)의 단부에는, 드럼(71)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드럼(71)은 와이어 관통 홈(74)이 형성된 와이어 체결 부재(72)에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좌측 벨트 커버(30L)의 이면측에 형성된 와이어 부착용 스테이(36)의 부착용 구멍(36a)과, 와이어 체결 부재(72)에 형성된 관통 구멍(73)을 그로밋(82)으로 체결함으로서, 와이어(70)가 좌측 벨트 커버(30L)에 접속되게 된다. 또한, 상기 시트(34)의 차폭 방향 외측의 단부도, 이 그로밋(82)에 의해 모두체결 고정되어 있다.

    도 10은 도 4의 CC선 단면도이다. 탑 셸터 센터(50)의 통 형상부(52)의 차폭 방향 내측의 벽면에는, 상기 벨트 커버(30L)의 스테이(37)를 체결하기 위한 관통 구멍(52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벨트(15)는 에어백(14)의 팽창 전개 전에 있어서 수납부(47)에 절첩되어 수납되고 있다. 그리고, 통 형상부(52)는 수납부(47)의 길이 방향의 거의 중앙부에 있어서 수납 스페이스의 상하 치수를 축소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에 따라, 주행 시의 진동 등이 가해지더라도, 지지 벨트(15)는 소정 위치에 안정적으로 수납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자동 이륜차의 에어백 장치에 따르면, 지지 벨트의 수납부를 덮는 벨트 커버가 수납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또한 차체측에 결합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에어백의 팽창 전개에 따라 벨트 커버가 수납부에서 이탈할 때에, 벨트 커버가 차체로부터 탈락하거나, 예기치 않은 방향으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와이 어는 에어백의 팽창 전개 전에 수납부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으므로, 자동 이륜차의 외관성을 유지할 수 있게된다.

    또한, 탑 셸터, 탑 셸터 센터, 수납부, 벨트 커버, 고정 플레이트 와이어의 형상이나 재질 등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 이륜차의 일부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일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벨트 커버의 연결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탑 셸터 센터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와이어 연결 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7은 도 4의 AA 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벨트 커버의 측면도.

    도 9는 도 4의 BB선 단면도(a) 및 와이어 체결 부재의 정면도(b).

    도 10은 도 4의 CC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프레임 14: 에어백

    15: 지지 벨트 20: 에어백 모듈

    30: 좌측 벨트 커버(커버) 36: 와이어 부착용 스테이

    40: 좌측 탑 셸터 센터 47: 수납부

    50: 탑 셸터 센터 51: 돌출부

    60: 고정 플레이트 66: 관통 구멍

    70: 와이어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