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백 모듈 부착 구조

申请号 KR1020060083340 申请日 2006-08-31 公开(公告)号 KR100834824B1 公开(公告)日 2008-06-04
申请人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发明人 호리우치다다노리; 이치리키츠구히토;
摘要 본 발명은 설치 스페이스의 소용량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높은 유지 보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에어백 모듈 부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자동 이륜차의 프레임의 헤드 파이프(3)로부터 후방으로 신장하는 상부 튜브(2L, 2R)에 걸치도록, 좌측 지지 스테이(21L) 및 우측 지지 스테이(21R)에 의해 에어백 모듈(20)을 고정한다. 에어백 모듈(20)의 아래쪽의 공간에는 오디오 유닛(40) 및 에어클리너 박스(44)가 배치된다. 좌측 지지 스테이(21L)와 상부 튜브(2L)의 고정 지점은 우측의 2개소에 대하여 1개소이고, 이에 따라 에어백 모듈(20)의 이동 및 제거를 하지 않고 상기 오디오 유닛(40) 및 에어클리너 박스(44)의 상부 커버(41)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에어백 모듈(20)의 설치 스페이스의 소용량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높은 유지 보수성을 확보할 수 있다.
权利要求
  • 자동 이륜차의 에어백 모듈 부착 구조에 있어서,
    프레임의 헤드 파이프로부터 후방으로 신장하는 좌우 한 쌍의 상부 튜브 사이에 걸치도록 에어백 모듈을 배치하며,
    상기 에어백 모듈은, 상기 상부 튜브의 위쪽으로 또한 탑승자의 안착 위치보다 차체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에어백 모듈은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지지 스테이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 모듈은 상기 지지 스테이에 의해 상기 상부 튜브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부착 구조.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모듈의 아래쪽에 오디오 유닛이 배치되고, 상기 오디오 유닛은 상기 지지 스테이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부착 구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상부 튜브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오디 오 유닛의 아래쪽에 에어클리너 박스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부착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모듈의 차폭 방향의 좌우 어느 한 측면에는 상기 지지 스테이에 의해 에어백 제어 장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부착 구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모듈의 차폭 방향의 좌우 어느 한 측면 중, 상기 에어백 제어 장치가 고정되지 않은 측면에는 상기 지지 스테이에 의해 연료 분사 제어 장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부착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스테이의 상기 상부 튜브에의 고정 지점은 4개소이고, 그 중 1개소는 착탈 가능한 체결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부착 구조.
  • 说明书全文

    에어백 모듈 부착 구조{AIR BAG MODULE ATTACHMENT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 부착 구조가 적용된 자동 이륜차의 개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 부착 구조의 배치 설명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 부착 구조가 적용된 자동 이륜차의 개요 설명도.

    도 3b는 에어백에 의한 탑승자의 구속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c는 탑승자의 머리부와 접촉하는 부분의 에어백의 단면 형상.

    도 3d는 탑승자의 흉부와 접촉하는 부분의 에어백의 단면 형상.

    도 4는 자동 이륜차의 상측에서 본 에어백 모듈 부착 구조의 배치 설명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 부착 구조가 적용되는 자동 이륜차의 프레임의 사시도.

    도 5b는 지지 부재와 상부 튜브의 용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 부착 구조를 차량 좌측 방향에서 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 부착 구조를 차량 좌측 방향에서 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 부착 구조를 차량 후방측에서 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에어백 모듈 부착 구조를 차량 우측 방향에서 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 부착 구조를 차량 우측 방향에서 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자동 이륜차

    2: 프레임

    3: 헤드파이프

    2R: 상부 튜브

    2L: 상부 튜브

    20: 에어백 모듈

    21R: 우측 지지 스테이

    21L: 좌측 지지 스테이

    22: 모듈 커버

    23: 케이싱

    40: 오디오 유닛

    50: 에어백

    51: 지지 벨트

    본 발명은 에어백 모듈 부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설치 스페이스의 소용량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높은 유지 보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에어백 모듈 부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차체에 소정치 이상의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 탑승자를 효과적으로 구속하는 에어백의 자동 이륜차에의 적용에 관해서, 접힌 에어백 및 이 에어백을 팽창 전개시키기 위한 인플레이터(inflator) 등을 일체적으로 수납하는 에어백 모듈의 최적의 설치 지점이 검토되고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에서, 차체 프레임과 연결된 지지 스테이에 의해 발판용 플로어와 좌석 시트 사이에 에어백 모듈을 고정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핸들 지지부와 좌석 시트 사이에 연료 탱크가 배치된 안장형 자동 이륜차에서, 차체 프레임과 연결된 지지 스테이에 의해 연료 탱크의 전방이면서 핸들 지지부의 위쪽에 에어백 모듈을 고정하는 에어백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76553호 공보

    [특허 공개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85787호 공보

    최적의 에어백 모듈의 설치 지점으로서는, 에어백을 팽창 전개시키기 위해 차체의 표면 근방에 설치하는 것 외에 에어백 모듈의 설치에 따르는 차체의 대형화를 억제하고, 또한 조종성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등의 조건을 구할 수 있다. 그러나, 특히 잉여 스페이스가 적은 자동 이륜차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최적의 설치 지점을 확보하면서, 양호한 유지 보수성을 확보하는 것은 어려운 과제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고, 설치 스페이스의 소용량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높은 유지 보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에어백 모듈 부착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자동 이륜차의 에어백 모듈 부착 구조에 있어서, 프레임의 헤드 파이프로부터 후방으로 신장하는 좌우 한 쌍의 상부 튜브 사이에 걸치도록 에어백 모듈을 배치하도록 한 점에 제1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에어백 모듈은, 상기 상부 튜브의 위쪽으로, 또한 승무원의 안착 위치보다 차체 전방에 배치되도록 한 점에 제2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에어백 모듈은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지지 스테이를 포함하고, 이 에어백 모듈은 이 지지 스테이에 의해 상기 상부 튜부에 고정되도록 한 점에 제3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에어백 모듈의 아래쪽에 오디오 유닛이 배치되고, 상기 오디오 유닛은, 상기 지지 스테이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 점에 제4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좌우 한 쌍의 상부 튜브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오디오 유닛의 아래쪽에 에어클리너 박스가 배치되도록 한 점에 제5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에어백 모듈의 차폭 방향의 좌우 어느 한 측면에는 상기 지지 스테이에 의해 에어백 제어 장치가 고정되도록 한 점에 제6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에어백 모듈의 차폭 방향의 좌우 어느 한 측면 중 상기 에어백 제어 장치가 고정되지 않은 측면에는 상기 지지 스테이에 의해 연료 분사 제어 장치가 고정되도록 한 점에 제7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 스테이의 상기 상부 튜브에의 고정 지점은 4개소이고, 그 중 1개소는 착탈 가능한 체결 구조로 한 점에 제8 특징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지지 벨트 수납 구조가 적용된 자동 이륜차(1)의 개요 설명도이다. 자동 이륜차(1)의 프레임(2)은 주로 헤드 파이프(3)로부터 차체 후방으로 경사지게 아래쪽을 향해 신장하는 좌우 한 쌍의 상부 튜브(2L 및 2R)(도 4 참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상부 튜브(2L, 2R)의 헤드 파이프(3) 근방으로부터는 하부 튜브(4)가 아래쪽으로 신장되고, 그 선단에 구동원으로서의 엔진(15)이 고정적으로 매달려 있다. 상기 헤드 파이프(3)에는 핸들(4)에 의해 조향 가능한 좌우 한 쌍의 프론트 포크(7)가 하부 브래킷(6)을 통해 피봇 부착되어 있고, 이 프론트 포크(7)의 하단부에는 전륜(WF)이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2)의 차체 후방에는 메인 시트(10)나 리어 시트(11) 등을 지지하는 시트 프레임(5)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2)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윙 아암(도시 생략)의 후단부에는 구동륜으로서의 후륜(WR)이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이륜차(1)에는 차체에 소정치 이상의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 메인 시트(10)의 위쪽으로부터 미터 케이스(meter case)(36)에 접하고, 상부 카울(cowl)(8)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윈드 스크린(9)의 근방에까지 도달하는 크기의 대략 구체(球體)로 팽창 전개하는 에어백(5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에어백(50) 및 에어백(50)을 팽창 전개시키기 위한 가스를 발생하는 인플레이터(inflator)(도시 생략)를 일체적으로 수납하는 에어백 모듈(20)은 탑승자의 안착 위치보다 차체 전방 위치에서, 지지 스테이(21)로 상기 상부 튜브(2L, 2R)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에어백(50)의 차체 후방에 연결되는 지지 벨트(51)는 탑승자를 효과적으로 구속하기 위해 에어백(50)을 적절한 위치에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지지 벨트 수납 구조가 적용된 자동 이륜차(1)의 일부 확대도이다. 상기와 동일한 부호는 상기와 동일 또는 동등 부분을 나타낸다. 상기 에어백 모듈(20)(도 1 참조)은 상자형 케이싱(23)에 상기 인플레이터 및 접힌 에어백(50)을 수납하고, 그 상부에 모듈 커버(22)로 덮은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그 설치 지점은 핸들(4)과 상기 프론트 포크(7)를 연결하는 톱 브릿지(도시 생략)의 위쪽을 덮는 이그니션 커버(12)와, 연료 탱크(도시 생략)의 위쪽에 위치하는 급유구 리드(13) 사이로 되어 있다. 그리고, 에어백(50)의 팽창 전개시에는 인플레이터에 의한 가스가 순간적으로 상기 케이싱(23) 내의 에어백(50)에 공급되고, 이 가스의 압력에 의해 상기 모듈 커버(22)가 차체 전방측의 한 변을 축으로 하여 개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통상시에 벨트 커버(14L, 14R) 하 부의 수납 스페이스(65)에 접혀 수납되어 있는 지지 벨트(51)는, 상기 에어백(50)의 팽창 전개에 따라 벨트 커버(14L, 14R)를 좌우 양방으로 강제적으로 개방하면서 도면에서 파선으로 나타낸 위치까지 전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도면에서는 핸들(4)이 좌측 방향으로 조향되어 있지만, 에어백(50)의 팽창 전개시에는 핸들(4)이 중립 상태에서의 좌측 스위치부(74L) 근방의 I부, 우측 스위치부(74R) 근방의 J부의 2개소, 그리고, 미터 케이스(36)에 의해 도면에서의 H부 및 모듈 커버(22)에 의해 도면에서의 K부의 2개소를 추가한 총 4개소에 의해 에어백(50)의 전방 하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또한, 지지 벨트(51)의 하단부는 톱 셸터(71R)의 위쪽에 위치하는 메인 시트(10)의 아래쪽에서 차체측 부재와 강고히 체결되어 있다.

    도 3a는 에어백(50)의 팽창 전개시에서의 자동 이륜차(1)의 사시 설명도이다. 상기 에어백(50)은 탑승자(100)를 효과적으로 감싸기 위해 팽창 전개시에서 탑승자측의 면이 대략 V자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에어백(5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 벨트(51)뿐만 아니라, 상기 핸들(4)이나 미터 케이스(36) 등, 에어백(50)의 전방 하부에 위치하는 각 부재 전체에 의해서도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에어백(50)의 상부 좌우 양면에는 탑승자를 구속하면서 적절한 속도로 상기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벤트홀(56)(예컨대, φ 45)이 마련되어 있다.

    도 3b는 에어백(50)이 팽창 전개하여 탑승자(100)를 구속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요도이다. 상기 벤트홀(56)의 아래쪽에는 좌우의 연결부(57)를 아치형으로 잇는 제2 지지 벨트(5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지지 벨트(58)는 탑승자(100)의 구속 시에 에어백(50)이 좌우 방향으로 크게 전개하는 것을 규제한다. 또한, 에어백(50)의 좌우 하부에 설치되는 핸들(4)의 볼록 형상에 대응하는 오목 형상의 도면에서의 X부도 에어백(50)의 효과적인 지지에 공헌한다.

    도 3c 및 도 3d에, 도 3b의 Y점(머리부) 및 Z점(흉부)에서의 에어백(50)의 단면 형상을 도시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에어백(50)의 배면에 형성된 V자 형상이 탑승자(100)의 머리부 및 흉부의 형상에 맞춰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탑승자(100)를 보다 효율적으로 구속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지지 벨트 수납 구조가 적용된 자동 이륜차(1)의 일부 확대도이다. 상기와 동일한 부호는 상기와 동일 또는 동등 부분을 나타낸다. 이 도면은 상기 에어백(50)이 팽창 전개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헤드 파이프(3)에 연결되는 상부 튜브(2L, 2R)는 각각 반대 방향의 호를 그리도록 차체 후방에 신장되어 있고, 상기 에어백 모듈(20)은, 이 상부 튜브(2L, 2R) 사이에 그 전폭이 수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에어백 모듈(20)의 설치에 의한 차폭 방향의 돌출부 등은 존재하지 않고, 탑승자의 승차 자세 등에 영향을 부여하지 않는다.

    도 5a는, 상기 자동 이륜차(1)의 프레임(2)의 개요 사시도이다. 상기와 동일한 부호는 상기와 동일 또는 동등 부분을 나타낸다. 상기 프레임(2)은 프론트 포크(7)를 회전 운동시키는 회전 운동축인 스템 샤프트(도시 생략)가 관통하는 헤드 파이프(3)가 형성된 헤드 부재(3a)와, 상기 상부 튜브(2L, 2R)가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차체 우측의 상부 튜브(2R)에는 상기 에어백 모듈(20)의 지지 스테이(21)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 부재(30, 31)가 용착되고, 또한 차체 좌측의 상부 튜브(2L)에는 상기 지지 스테이(21)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 부재(32)가 용착되어 있다. 또한, 도 5b의 단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 부재(32)와 좌측 상부 튜브(2L)는 용접 비드(32t, 32u)에 의해 용착되어 있다. 이 구조는, 상기 지지 부재(30, 31) 및 우측 상부 튜브(2R)에도 마찬가지이다.

    도 6은, 상기 에어백 모듈(20)의 부착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상기와 동일한 부호는 상기와 동일 또는 동등 부분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 부착 구조는, 상기 에어백 모듈(20)이 프레임(2)의 상부 튜브(2L, 2R) 사이에 걸치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에어백 모듈(20)의 케이싱(23)의 하부에는 좌측 지지 스테이(21L) 및 우측 지지 스테이(21R)가 용착되어 있고, 각각 소정의 볼트에 의해 상기 상부 튜브(2L, 2R)에 용착된 지지 부재[30(도시 생략), 31, 32]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23)의 차량 전방측의 측면에 설치되는 커넥터(25)는 케이싱(23)에 수납되는 상기 인플레이터에 점화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이륜차(1)에서의 에어백 모듈(20)은 상부 튜브(2L, 2R)에 대하여 비교적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종래의 에어백 모듈 부착 구조에서는 이러한 배치로 하면 에어백 모듈(20)의 아래쪽 공간이 무효 공간이 되어 유효하게 이용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 부착 구조에 의하면 그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7은, 상기 에어백 모듈(20)의 주변 부품의 배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이다. 상기와 동일한 부호는 상기와 동일 또는 동등 부분을 나타낸다. 상기 자동 이륜차(1)에서는, 엔진(15)에 도입되는 외기를 여과하는 에어클리너 박스(44)가 상기 상부 튜브(2L, 2R) 사이에 끼이도록 설치되어 있고, 그 상부 커버(41)가 좌우의 상부 튜브(2L, 2R)의 상면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 부착 구조는, 상기 상부 커버(41)를 포함하는 에어클리너 박스(44)가 에어백 모듈(20) 바로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상부 커버(41)와 상기 에어백 모듈의 케이싱(23) 사이에 형성되는 스페이스에 대략 직방체의 오디오 유닛(40)이 수용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에어백 모듈(20)을 최적의 배치로 하기 위해 생성된 아래쪽 스페이스가 다른 부품의 설치 스페이스로서 유효하게 이용되고, 에어백 모듈(20)의 설치 스페이스의 소용량화가 실현된다. 또한, 이 도면과 같이 주변 부품을 배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케이싱(23)과 상부 튜브(2L) 사이에 소정의 볼트에 의해 제3 지지 스테이(33)가 설치되고, 상기 에어백 모듈(20)은 상기 상부 튜브(2L, 2R)에 총 4개소에서 고정된다.

    또한, 차량 좌전방으로 신장하는 좌측 에어 덕트(42L)는 차량 전방으로부터 상기 에어클리너 박스(44)로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 커버(41)는 복수의 볼트 체결부(45)에서 에어클리너 박스(44)의 하부 박스와 고정되어 있고, 상부 커버(41)의 측면에는 에어클리너 박스(44) 내에 배치된 흡기 온도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출력하는 커넥터(4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3 지지 스테이(33)의 상부에는 후술하는 연료 분사 제어 장치로서의 FI 유닛을 고정하기 위한 FI 유닛 지지 스테이(3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오디오 유닛(40)은, 상기 우측 지지 스테이(21R), 제3 지지 스테이(33), FI 유닛 지지 스테이(34)에 각각 마련된 총 4개의 부착용 구멍(55)에 주로 엔진(15)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하는 수지제의 링(55a)을 통해 부동(浮動)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23)의 측면에 마련되는 슬릿(24)은, 상기 지지 벨트(51)를 통과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8은, 상기 에어백 모듈(20)의 부착 구조를 차체 후방측에서 본 단면도이다. 상기와 동일한 부호는 상기와 동일 또는 동등 부분을 나타낸다. 상기 FI 유닛 지지 스테이(34) 및 제3 지지 스테이(33)를 제거하면, 상기 오디오 유닛(40)은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체 좌전방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체결부(45)의 부착 나사(48)를 느슨하게 하여 상부 커버(41)를 제거하면 에어클리너 박스 내에 수납되어 있는 에어 필터(80)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상기 에어백 모듈(20)의 부착 구조를 차체 우측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상기 우측 지지 스테이(21R)에는 차체에 가해진 충격 등을 계측하는 각종 센서로부터의 정보를 기초로 에어백(50)의 팽창 전개 작동을 제어하는 에어백 제어 장치로서의 에어백 ECU(35)이 상하 2개소에서의 볼트 고정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FI 유닛 지지 스테이(34)에 의해 고정되는 FI 유닛(37)과 상기 에어백 ECU(35)은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ハ」가 그려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FI 유닛(37) 및 에어백 ECU(35)의 배치도 잉여 스페이스를 압축하고, 에어백 모듈(20)의 설치 스페이스의 소용량화를 촉진하는 것이다. 또한, 차량 우측 전방에는, 상기 우측 지지 스테이(21R)에 의해 에어클리너 박스(44)로 외기를 도입하는 우측 에어 덕트(42R)가 설치되어 있다.

    도 10은, 도 9의 상태로부터 상기 FI 유닛(37), 에어백 ECU(35), 오디오 유닛(40), 에어클리너 박스(44) 등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상기 에어백 모듈(20)은 각부의 유지 보수 작업시에도 이동 및 제거를 극히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 부착 구조에서는, 상기 지지 스테이(21)에 의한 프레임(2)과의 고정 지점은 4개소로 하고, 그 중의 1개소의 지점은 착탈 가능한 체결 구조로 함으로써, 에어백 모듈(20)의 이동 및 제거를 하지 않고, 상기 오디오 유닛(40) 및 에어클리너 박스(44)의 상부 커버(41)를 차체 좌전방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각 부품의 제거 순서를 설명한다. 상기 FI 유닛(37)(도시 생략)을 제거한 후, FI 유닛 지지 스테이(34) 및 이것과 점 용접된 제3 지지 스테이(33)를 제거하면, 상기 오디오 유닛(40)을 지지하는 4개의 링(55) 중의 2개가 제거되고, 상기 오디오 유닛(40)은 제3 지지 스테이(33)가 설치되어 있던 차량 좌전방으로부터 인출하여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계속해서, 좌측 에어 덕트(42L)를 제거하고, 상기 에어클리너 박스(44)의 체결부(45)의 볼트(도시 생략)를 모두 느슨하게 하면, 상기 상부 커버(41)를 차량 좌전방으로부터 인출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비교적 유지 보수 빈도가 높은 에어 필터(도시 생략)의 제거 등도 용이해지고, 높은 유지 보수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9에 복귀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 부착 구조에서는, 통상의 유지 보수 작업에서는 에어백 모듈(20)을 제거할 필요가 없기 때 문에, 상기 좌측 지지 스테이(21L) 및 우측 지지 스테이(21R)와 지지 부재(30, 31, 32)의 고정에는 전용 공구가 아니면 제거할 수 없는 토크볼트(30a, 31a 및 도시 생략한 32a)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백 모듈의 설치 스페이스의 소용량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높은 유지 보수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에어백 모듈의 주변에 각종 보기류를 집중적으로 레이아웃하였기 때문에 유지 보수 작업이 용이해지는 것 외에 배선 코드가 간략화되어 생산 공정의 저감이 실현된다. 또한, 매스(mass)의 집중화가 도모되는 것에 의해 조종성의 향상도 도모된다. 또한, 에어백 모듈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각종 부품의 종류나 형상, 에어백 모듈과 프레임의 체결 방법 등이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변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물론이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의 상부 튜브에 걸치도록 배치하기 때문에 에어백 모듈을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량의 충돌시에서도 에어백 모듈이 상부 튜브로 보호되기 때문에 에어백 모듈이 이동 등을 하지 않고 적절한 위치에 유지된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에어백에 의해 효율적으로 탑승자를 구속할 수 있는 위치에 에어백 모듈을 배치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지지 스테이의 높이를 최적화하는 것에 의해 에어백 모듈을 최적의 위치에 고정 배치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에어백 모듈의 아래쪽에 생성되는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오디오 유닛을 배치한 것만으로는 아직 여유가 있는 에어백 모듈 아래쪽의 스페이스를 더 유효하게 이용하여 에어백 모듈의 설치 스페이스의 소용량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6 및 7의 발명에 의하면 에어백 모듈 주변에 각종 보기류를 집중적으로 레이아웃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 보수 작업이 용이해지는 것 외에 배선 코드가 간략화되어 생산 공정이 저감된다. 또한, 매스의 집중화가 도모되는 것에 의해 조종성의 향상에도 공헌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8의 발명에 의하면 에어백 모듈을 제거하지 않고, 오디오 유닛이나 에어클리너 박스의 상부 커버 등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에어백 모듈의 설치 스페이스의 소용량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높은 유지 보수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