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바퀴 전동 밸런스 트롤리

申请号 KR1020160046201 申请日 2016-04-15 公开(公告)号 KR1020160124018A 公开(公告)日 2016-10-26
申请人 절강 리닉스 모터 컴퍼니 리미티드; 发明人 황하이옌; 진시아오런; 루안시아오딩; 리우하이핑; 정레이; 장리후이; 정원밍; 진관쥔; 원옌;
摘要 본발명은일종의외바퀴전동밸런스트롤리에관한것이며, 상기외바퀴전동밸런스트롤리는휠, 상기휠 내에위치하는구동모터및 상기구동모터전원으로사용되는배터리팩, 셀프밸런스제어시스템및 밸런스시그널센서를포함하고, 상기휠 상부에쿠션을장착하며, 상기쿠션은지지대에 장착되고, 상기지지대와상기휠의고정축은고정연결되며, 상기휠의전방측면에핸들이설치되고, 상기핸들하단은지지대와연결되며, 상기지지대의전단에보조휠지지대가연결되고, 상기보조휠지지대의상단과상기지지대의전방부는접어서연결될수 있으며, 상기보조휠지지대의하단에보조휠이설치된다. 본발명의특징은운전자가편안하게운전할수 있으며차체의평형을더욱잘 제어할수 있기때문에, 예상치못한사고가발생하더라도차체의평형을잘 제어할수 있으며, 지면상에서차체를밀수있고사용하지않는경우에는차체를바로선 상태로유지시켜운전자가다시운전하기편하게해 준다.
权利要求
  • 휠, 상기 휠 내에 위치하는 구동 모터 및 상기 구동 모터 전원으로 사용되는 배터리팩, 셀프 밸런스 제어 시스템 및 밸런스 시그널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휠 상부에 쿠션을 장착하며, 상기 쿠션은 지지대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대와 상기 휠의 고정축은 고정 연결되고, 상기 휠의 전방 측면에 핸들이 설치되며, 상기 핸들 하단은 지지대와 연결되고, 상기 지지대의 전단에 보조휠 지지대가 연결되며, 상기 보조휠 지지대의 상단과 상기 지지대의 전방부는 접어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보조휠 지지대의 하단에 보조휠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바퀴 전동 밸런스 트롤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휠 지지대는 두 개의 서로 평행하는 좌측 보조휠 지지대와 우측 보조휠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보조휠 지지대의 하단과 상기 우측 보조휠 지지대의 하단에는 각각 보조휠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바퀴 전동 밸런스 트롤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보조휠 지지대의 상단과 상기 우측 보조휠 지지대의 상단은 각각 상기 지지대와 접어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좌측 보조휠 지지대와 상기 우측 보조휠 지지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지지대의 가로방향 폭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바퀴 전동 밸런스 트롤리.
  •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휠의 하단 가장자리는 상기 휠의 하단 가장자리보다 높다. 상기 보조휠의 하단 가장자리가 상기 휠의 하단 가장자리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바퀴 전동 밸런스 트롤리.
  •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각각 휠 양측에 위치하는 좌측 지지대와 우측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지지대와 상기 우측 지지대는 각각 뒤집힌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좌측 지지대의 하단과 상기 우측 지지대의 하단은 각각 휠 고정축의 양단과 고정되고, 상기 쿠션 가로 지지대는 상기 좌측 지지대와 상기 우측 지지대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바퀴 전동 밸런스 트롤리.
  •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휠 양측의 지지대에 각각 운전자가 운행할 때 두 다리를 올릴 수 있는 발판 어셈블리가 설치되고, 상기 발판 어셈블리는 상기 지지대에 용접한 백업 플레이트와 수평의 발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바퀴 전동 밸런스 트롤리.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접어서 상기 백업 플레이트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백업 플레이트 하단에는 위치제한 블록이 고정되고, 상기 위치제한 블록은 상기 발판 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고, 상기 발판에 미끄럼 방지 슬롯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바퀴 전동 밸런스 트롤리.
  •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후방에 후방 지지대를 설치하고, 상기 후방 지지대의 하단 가장자리를 상기 휠의 하단 가장자리보다 높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바퀴 전동 밸런스 트롤리.
  •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지지대는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방 지지대의 상단과 상기 지지대는 접어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후방 지지대와 수직선의 협각 a은 15 내지 45도이고, 상기 후방 지지대의 폭과 상기 지지대의 폭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바퀴 전동 밸런스 트롤리.
  •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가로부와 세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부는 좌측 가로부와 상기 우측 가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가로부와 상기 우측 가로부는 접어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좌측 가로부와 상기 우측 가로부의 연결 지점과 상기 세로부의 상단이 연결되고, 상기 세로부의 하단과 상기 지지대는 접어서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바퀴 전동 밸런스 트롤리.
  • 说明书全文

    외바퀴 전동 밸런스 트롤리{SINGLE WHEEL ELECTRIC BALANCE TROLLEY}

    본 발명은 전동 밸런스 트롤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바퀴 전동 밸런스 트롤리에 관한 것이다.

    외바퀴 전동 밸런스 트롤리는 하나의 바퀴가 지탱하는 전동 밸런스 트롤리를 말하는 것으로서, 외바퀴 전동 밸런스 트롤리는 체형이 작고 휴대가 간편하며 친환경적이고 에너지 소모가 적은 장점으로 인하여 소비자들로부터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외바퀴 전동 밸런스 트롤리는 운전자가 두 다리를 각각 바퀴 양측의 발판에 놓고 종아리 내측을 차체에 끼워 신체 중심을 조절함으로써 좌우 밸런스를 유지한다. 운전자가 단지 두 다리와 종아리를 통하여 차체의 밸런스를 유지하기 때문에 밸런스를 유지하는 난이도가 아주 높고 운행 시 커브를 틀기가 쉽지 않아, 특히 초보자의 경우 다리에 힘을 주는 것과 신체의 중심을 제어하는 것이 익숙하지 않아 외바퀴 전동 밸런스 트롤리의 평형을 잘 잡지 못해 운전하는 데 상당히 힘이 들 수 있다.

    시중에 판매되는 외바퀴 전동 밸런스 트롤리는 전력이 차단되는 등 예상치 못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운전자는 차체를 제어할 수 없기 때문에 외부 충돌이 일어나거나 차체가 훼손될 수 있다.

    운전자가 외바퀴 전동 밸런스 트롤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외바퀴 전동 밸런스 트롤리에 지지대가 없기 때문에 외바퀴 전동 밸런스 트롤리를 지면에 사이드로 놔둘 경우 외바퀴 전동 밸런스 트롤리 표면이 마손될 수 있고, 운전자가 다시 사용할 때 외바퀴 전동 밸런스 트롤리를 똑바로 일으키기가 상당히 불편하다. 비록 외바퀴 전동 밸런스 트롤리는 휴대하기 편하기는 하나 밀 수 없고 장시간 휴대할 경우 운전자가 힘들다고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이 더욱 편리하고 차체 밸런스 제어 방법이 더욱 우수하여 예상치 못한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차체의 밸런스를 제어할 수 있고 지면에서 차체를 밀어 운행할 수도 있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차체를 바로 선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외바퀴 전동 밸런스 트롤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기술방안을 채택하였다. 본 발명의 외바퀴 전동 밸런스 트롤리는 휠, 상기 휠 내에 위치하는 구동 모터 및 상기 구동 모터 전원으로 사용되는 배터리팩, 셀프 밸런스 제어 시스템 및 밸런스 시그널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휠 상부에 쿠션을 장착하며, 상기 쿠션은 지지대 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대와 상기 휠의 고정축은 고정 연결되며, 상기 휠의 전방 측면에 핸들이 설치되고, 상기 핸들 하단은 지지대와 연결되며, 상기 지지대의 전단에 보조휠 지지대가 연결되고, 상기 보조휠 지지대의 상단과 상기 지지대의 전방부는 접어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휠 지지대의 하단에 보조휠이 설치된다.

    운전자가 쿠션에 앉아 상기 핸들을 사용하여 상기 외바퀴 전동 밸런스 트롤리에 대하여 좌우 밸런스 제어를 진행하고, 상기 핸들은 운전자가 트롤리를 밀고 당기는 데 사용되기도 하고, 상기 외바퀴 전동 밸런스 트롤리의 휠은 평상시 사용하는 가방 휠보다 크기 때문에, 외바퀴 전동 밸런스 트롤리를 밀고 당기는 데 사용하는 힘은 일반 가방을 밀고 당기는 데 사용하는 힘보다 훨씬 작고; 상기 보조휠은 주차 시에 외바퀴 전동 밸런스 트롤리의 밸런스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고, 차 운행 시에는 전력 차단 등 예상치 못한 상황 발생 시 상기 바퀴 전동 밸런스 트롤리의 앞뒤 밸런스를 유지해 계속해서 미끄러져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안전을 보장하여, 차가 뒤집어져 운전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하고 부딪칠 때 차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운전자가 차체의 밸런스를 더욱 잘 제어할 수 있도록 도와 운전자를 더욱 편안하게 해 준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휠 지지대는 두 개의 서로 평행하는 좌측 보조휠 지지대와 우측 보조휠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보조휠 지지대의 하단과 상기 우측 보조휠 지지대의 하단에는 각각 보조휠이 설치된다. 상기 좌측 보조휠 지지대와 상기 우측 보조휠 지지대는 상기 외바퀴 전동 밸런스 트롤리의 밸런스가 더 잘 유지되도록 해 준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좌측 보조휠 지지대의 상단과 상기 우측 보조휠 지지대의 상단은 각각 상기 지지대와 접어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좌측 보조휠 지지대와 상기 우측 보조휠 지지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지지대의 가로방향 폭과 같다.

    상기 좌측 보조휠 지지대의 상단과 상기 우측 보조휠 지지대의 상단은 각각 상기 지지대와 접히면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좌측 보조휠 지지대와 상기 우측 보조휠 지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지지대의 가로방향 폭과 같기 때문에 상기 외바퀴 전동 밸런스 트롤리를 가지런히 눕혀둘 때 점용 공간을 줄이는 동시에 평형을 유지할 수 있고, 상기 외바퀴 전동 밸런스 트롤리를 자동차 트렁크에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휠의 하단 가장자리는 상기 휠의 하단 가장자리보다 높다. 상기 보조휠의 하단 가장자리가 상기 휠의 하단 가장자리보다 높으면 상기 보조휠이 상기 외바퀴 전동 밸런스 트롤리 운행 시 착지하지 않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대는 각각 휠 양측에 위치하는 좌측 지지대와 우측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지지대와 상기 우측 지지대는 각각 뒤집힌 삼각형 구조이고, 상기 좌측 지지대의 하단과 상기 우측 지지대의 하단은 각각 휠 고정축의 양단과 고정되고, 상기 쿠션 가로 지지대는 상기 좌측 지지대와 상기 우측 지지대의 상부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휠 양측의 지지대에 각각 운전자가 운행할 때 두 다리를 올릴 수 있는 발판 어셈블리가 설치되고, 상기 발판 어셈블리는 상기 지지대에 용접한 백업 플레이트와 수평의 발판으로 구성된다. 삼각형 차량 지지대는 동일한 강도 하에서 재료를 절감하고 중량을 줄일 수 있어 외바퀴 전동 밸런스 트롤리를 가볍게 유지해 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판은 접어서 상기 백업 플레이트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백업 플레이트 하단에는 위치제한 블록이 고정되고, 상기 위치제한 블록은 상기 발판 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고, 상기 발판에 미끄럼 방지 슬롯이 설치된다. 상기 발판은 접어서 체적을 축소시켜 외바퀴 전동 밸런스 트롤리의 저장을 편리하게 해 주고; 상기 발판에 미끄럼 방지 슬롯은 두 다리를 외바퀴 전동 밸런스 트롤리 운행 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고 발생을 막아준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대의 후방에 후방 지지대를 설치하고, 상기 후방 지지대의 하단 가장자리를 상기 휠의 하단 가장자리보다 높게 설치한다. 상기 후방 지지대의 하단 가장자리가 상기 휠의 하단 가장자리보다 높기 때문에 외바퀴 전동 밸런스 트롤리 운행 시 후방 지지대가 지면에 닿지 않도록 해준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방 지지대는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방 지지대의 상단과 상기 지지대는 접어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후방 지지대와 수직선의 협각 a은 15 내지 45도이고, 상기 후방 지지대의 폭과 상기 지지대의 폭은 같다. 상기 후방 지지대는 외바퀴 전동 밸런스 트롤리 주차 시 평행을 유지하는 데 사용되고, 주차 시 지탱하는 작용을 나타내고; 상기 후방 지지대와 수직선의 협각 a의 크기는 주차 시 지지대가 일으키는 지탱 및 평행 작용에 영향을 미치고; 상기 후방 지지대 구조와 상기 지지대는 접어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지지대를 접음으로써 외바퀴 전동 밸런스 트롤리의 체적을 줄여 자동차 트렁크에 보관하기 쉽게 해 준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핸들은 가로부와 세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부는 좌측 가로부와 상기 우측 가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가로부와 상기 우측 가로부는 접어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좌측 가로부와 상기 우측 가로부의 연결 지점과 상기 세로부의 상단이 연결되고, 상기 세로부의 하단과 상기 지지대는 접어서 연결될 수 있다. 접어서 연결하면 외바퀴 전동 밸런스 트롤리의 점용공간을 줄일 수 있어 자동차 트렁크에 보관하기 쉽다.

    본 발명의 특징은 운전자가 편안하게 운전할 수 있으며 차체의 평형을 더욱 잘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예상치 못한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차체의 평형을 잘 제어할 수 있으며, 지면 상에서 차체를 밀수 있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차체를 바로 선 상태로 유지시켜 운전자가 다시 운전하기 편하게 해 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조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배면도이다.

    아래에서는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바퀴 전동 밸런스 트롤리에 있어서 휠(1), 휠(1) 내에 위치하는 구동 모터 및 구동 모터 전원으로 사용하는 배터리팩을 포함하고, 휠(1) 상방에 쿠션(2)을 장착하고, 휠(1)의 양측에 지지대(3)를 설치하고, 지지대(3)는 각각 휠 양측에 위치하는 좌측 지지대와 우측 지지대를 포함하고, 좌측 지지대와 우측 지지대는 각각 뒤집은 삼각형 구조이고, 좌측 지지대의 하단과 우측 지지대의 하단은 각각 휠 고정축의 양단과 암나사로 고정되고, 쿠션(2)은 좌측 지지대와 우측 지지대 상에 가로로 설치된다.

    휠(1) 전방 측면에 핸들을 설치하고, 핸들은 가로부와 세로부를 포함하고, 가로부는 좌측 가로부(4)와 우측 가로부(5)를 포함하고, 좌측 가로부(4)와 우측 가로부(5)는 접어서 연결할 수 있고 좌측 가로부(4)와 우측 가로부(5)의 연결 지점과 세로부(6)의 상단은 나사못을 통해 고정하고, 세로부(6)의 하단과 지지대(3)은 접어서 연결할 수 있다.

    지지대(3)의 전단에 보조휠 지지대(7)가 연결되고, 보조휠 지지대는 두 개의 서로 평행하는 좌측 보조휠 지지대와 우측 보조휠 지지대를 포함하고, 좌측 보조휠 지지대와 우측 보조휠 지지대의 하단에 각각 보조휠(8)을 설치하고, 좌측 보조휠 지지대의 상단과 우측 보조휠 지지대의 상단은 각각 지지대(3)와 접어서 연결할 수 잇고, 좌측 보조휠 지지대의 상단과 우측 보조휠 지지대 사이 간격(S 1 )과 지지대의 가로방향 폭(S 2 )는 같고, 보조휠(8)의 하단 가장자리는 휠(1)의 하단 가장자리보다 높다.

    휠(1) 양측의 지지대(3)에 각각 운전자 운전할 때 두 다리를 밟을 수 있는 발판 어셈블리가 설치되고, 발판 어셈블리는 지지대(3) 상에 용접된 백업 플레이트(9) 및 백업 플레이트(9)와 접어서 연결할 있는 발판(10)으로 구성하고, 백업 플레이트(9) 하단에 위치제한 블록(11)을 고정시키고, 위치제한 블록(11)은 발판(10) 하방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하고, 발판 상에 미끄럼 방지 슬롯을 설치한다.

    지지대(3)의 후단에 후방 지지대(12)를 설치하고, 후방 지지대(12)의 하단 가장자리는 휠(1)의 하단 가장자리보다 높고, 후방 지지대(12)는 직사각형 구조이고, 후방 지지대(12)의 상단은 지지대(3)와 접어서 연결할 수 있고, 후방 지지대(12)와 수직선의 협각(a)은 15 내지 45도이고, 후방 지지대(12)의 폭(S 3 )과 지지대의 가로 폭(S 2 )은 동일하다.

    운전자가 본 발명을 운전할 경우, 쿠션(2) 상에 앉고 두 다리를 발판(10) 상에 높고 핸들의 좌측 가로부(4)와 우측 가로부(5)를 움켜쥐어 차체 좌우 밸런스를 제어할 수 있고; 만약 전력이 차단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보조휠 지지대(7) 하단의 보조휠(8)을 통하여 미끄러지면서 운행하여 안전을 보장할 수 있고; 운전자가 차에서 내릴 때 차체를 기울여 후방 지지대(12)가 착지되도록 함으로써 차체 밸런스를 유지하고; 운전자가 올라타서 운전하지 않을 경우에는 핸들을 사용하여 차체를 밀고 당길 수 있고, 외바퀴 전동 밸런스 트롤리의 휠(1)이 평상시 사용하는 가방 휠보다 아주 크기 때문에, 차를 움직일 때 사용하는 힘이 일반 가방을 움직일 때 사용하는 힘보다 상당히 작고; 차체를 자동차 트렁크에 보관해야 할 경우, 후방 지지대(12), 발판(10), 보조휠 지지대(7), 핸들의 세로부(6), 핸들의 좌측 가로부(4), 핸들의 우측 가로부(5)를 접어서 자동차의 트렁크 안에 넣을 수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