킥트라이시클

申请号 KR1020070131176 申请日 2007-12-14 公开(公告)号 KR1020090063712A 公开(公告)日 2009-06-18
申请人 이창수; 发明人 이창수;
摘要 A kick tricycle is provided to offer easy usability and convenience in a narrow space through simple structure, and to prevent safety accidents for a user. A kick tricycle(1) includes a support shaft(10), a steering part(14), a joint(20), and a left and right footing assemblies(17L,17R). A front wheel(13) is mounted on a lower part of the support shaft. The steering part is mounted on an upper part of the support shaft. The joint is arranged on the support shaft. The joint includes a main body, a main shaft, an auxiliary body, and left and right operating frames(16L,16R). The main body is rotated around the support shaft. The main shaft is fixed to a side of the main body. The auxiliary body is mounted on the main shaft, and rotates around the main shaft. The left and right operating frame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auxiliary body, is moved to a horizontal direction.
权利要求
  • 킥트라이시클에 있어서,
    하측에 앞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주축;
    상기 지주축의 상측에 장착되는 조향부;
    상기 지주축에 배치되는 관절부; 및
    상기 관절부에 연결되어 좌우측 방향으로 벌려지거나 오므려지는 좌우측 발판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관절부는,
    상기 지주축에 끼워져 상기 지주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주 몸체;
    상기 주 몸체의 측면에 체결 고정되는 주축;
    상기 주축에 장착되어 상기 주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보조 몸체; 및
    상기 보조 몸체의 양끝부분에 체결되어 좌우측 방향으로 벌려지거나 오므려지는 좌우측 작동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트라이시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 몸체는,
    상기 지주축에 끼워지고 상기 주 몸체의 상측에 체결되는 상측 몸체;
    상기 지주축에 끼워지고 상기 주 몸체의 하측에 체결되는 하측 몸체;
    상기 지주축에 끼워지고 상기 상측 몸체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 베어링;
    상기 지주축에 끼워지고 상기 하측 몸체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측 베어링;
    상기 상측 베어링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지주축에 체결되는 상측 체결너트; 및
    상기 하측 베어링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지주축에 체결되는 하측 체결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트라이시클.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몸체와 상기 상측 몸체의 사이에 이격되어 장착되는 상방우측 압축스프링과 상방좌측 압축스프링; 및
    상기 보조 몸체와 상기 하측 몸체의 사이에 이격되어 장착되는 하방 우측 압축스프링과 하방 좌측 압축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트라이시클.
  • 제 2 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몸체 또는 상기 하측 몸체의 좌우 양쪽에 상방우측 지지대 및 상방 좌측 지지대 또는 하방 우측 지지대 및 하방 좌측 지지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되는 킥트라이시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몸체는,
    상기 보조 몸체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된 하방 우측 받침대 및 하방 좌측 받침대와;
    상기 보조 몸체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하방 우측 받침대 및 상기 하방 좌측 받침대와 이격되어 형성된 상방 우측 받침대 및 상방 좌측 받침대와;
    상기 상방 우측 받침대 및 상기 상방 좌측 받침대에 형성된 제3 체결 구멍 및 제4 체결 구멍과;
    상기 하방 우측 받침대 및 상기 하방 좌측 받침대에 형성되고 상기 제3 체결 구멍 및 제4 체결 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7 체결 구멍 및 제8 체결 구멍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트라이시클.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작동 프레임은,
    상기 좌우측 작동 프레임에 형성된 제13 체결 구멍과;
    상기 좌우측 작동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제13 체결 구멍과 이격되어 형성된 걸림 턱과;
    상기 좌우측 작동 프레임과 상기 걸림 턱 사이에 형성된 수용 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체결 구멍과 상기 제7 체결 구멍 및 상기 제13 체결 구멍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제1 축과;
    상기 제4 체결구멍과 상기 제8 체결구멍 및 상기 제13 체결구멍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제2 축; 및
    상기 상방우측 받침대 및 상기 하방우측 받침대 또는 상기 상방좌측 받침대 및 상기 하방좌측 받침대의 사이에 고정되고 상기 수용 홈의 내부에 배치되는 우측 완충부재 또는 좌측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트라이시클.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몸체의 좌우 양쪽 상면 또는 상기 보조 몸체의 좌우 양쪽 저면에 좌측 자리 홈 또는 우측 자리 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트라이시클.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몸체는,
    상기 보조 몸체의 좌우 양쪽 상면 또는 상기 보조 몸체의 좌우 양쪽 저면에 각각 형성된 상방우측 베이스 및 상방좌측 베이스 또는 하방우측 베이스 및 하방좌측 베이스;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트라이시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발판조립체는,
    상기 좌우측 작동 프레임과 각각 연결되어 설치된 좌우측 좌우 회동부와;
    상기 좌우측 좌우 회동부를 에워싸는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좌우측 좌우 회동부에 의해 좌우로 회동하는 좌우측 발판부; 및
    상기 좌우측 발판부의 하측에 설치된 좌우측 바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트라이시클.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발판부는,
    제1 발판 플레이트와;
    상기 제1 발판 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된 논슬립 부재; 및
    상기 논슬립 부재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논슬립 부재를 에워싸면서 상기 제1 발판 플레이트와 체결되는 제2 발판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킥트라이시클.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좌우 회동부는,
    상기 좌우측 작동 프레임과 각각 연결되고 상기 논슬립 부재와 상기 제2 발판 플레이트의 사이에 회동 축이 체결 설치되어 상기 좌우측 발판부를 회동시키는 좌우측 연결 프레임과;
    상기 회동 축과 인접한 상기 좌우측 연결 프레임의 양쪽에 설치된 제1 걸림 돌기 및 제2 걸림 돌기와;
    상기 논슬립 부재와 상기 제2 발판 플레이트의 사이에 체결설치되고, 상기 회동 축과 이격되도록 체결설치되어 상기 좌우측 발판부의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제1 걸림 돌기 또는 상기 제2 걸림 돌기에 맞닿아 걸리는 제1 걸림 부재 또는 제2 걸림 부재; 및
    상기 제2 발판 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 축과 제1 걸림 부재 및 제2 걸림 부재를 체결고정하는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트라이시클.
  • 说明书全文

    킥트라이시클{KICKTRICYCLE}

    본 발명은 킥트라이시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기존 킥보드를 개선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고려하면서도 원하는 목적지까지 운동량을 최소화하여 도착할 수 있도록 하는 킥트라이시클에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종래 킥보드는 하측에 2개의 바퀴를 장착한 50cm 크기의 발판에 한 발을 얹고 추진력을 높이기 위해 다른 한 발을 이용하여 땅을 박차고 나가면서 원하는 목적지에 도착하는 기구였었다.

    이러한 종래의 킥보드는 약 1m 높이로 이루어지는 별도의 손잡이(핸들)을 구비하고, 하나의 발판에 두발로 딛고 서서 균형을 잡으며 손잡이로 방향을 컨트롤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 킥보드는 빠른 속도로 진행할 때에는 균형을 잡으면서 동시에 풋 브레이크를 밟아야 하므로, 운동신경이 다소 떨어지는 탑승자에게는 매우 위험한 상황이 연출되었다.

    또한, 종래 킥보드는 평평한 길에서 속도를 내기 위해서는 탑승자가 땅을 박차고 나가면서 전진해야 하므로 운동량이 많아 매우 힘들었으며, 내리막길에서 속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별도의 제동수단 없이 풋 브레이크로 제동해야하므로 매우 위험한 상황이 연출되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탑승자의 안전을 고려하면서 원하는 목적지에까지 운동량을 최소화하여 도착할 수 있도록 개선된 킥보드의 기구 설계가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오고 있다.

    한편, 2005년 대한민국특허출원 제50858호에서는 양발을 얹는 발판과 바퀴에 제동력을 가하는 제동수단을 일체로 형성한 한 쌍의 덱(deck)과, 상기 한 쌍의 덱의 한쪽에 굴대 장착하여 한정된 범위 내에서 각 각()운동하는 한 쌍의 링크프레임, 상기 한 쌍의 링크프레임의 다른 쪽 끝 부분을 이격시켜 각각 굴대 장착하고 스프링과 같은 완충수단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며 아래쪽에 앞바퀴를 굴대 장착한 조인트 수단으로 구성되는 트리서클 킥보드가 개시된 바 있으나, 상기 트리서클 킥보드는 조인트 수단과 링크프레임의 연결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수단의 일 구성요소인 축에 링크프레임의 말단의 보스가 결합되기 때문에 보스 또는 링크프레임이 상하방향으로는 비교적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나, 링크프레임 자체를 축으로 하는 회전이 불가능하였기 때문에, 좌우측 양발을 이용하여 좌우측 덱을 교대로 지치는 동작을 수행할 경우나 진행방향을 전환하고자 할 경우 원활한 조작이 곤란하며 보스와 축의 연결부위에 강한 하중이 부과되어 쉽게 파손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은 하나의 보드에 각각 한발씩 올려놓고 인라인을 타듯 번갈아 가며 양 발을 밀어주면 링크 프레임이 회전하면서 앞으로 이동하는 원리를 채택하며, 작은 힘으로도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는 동시에 손쉽게 조작되도록 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라이딩이 가능하고 다양한 고난도 기술을 체험할 수 있는 킥트라이시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방향조절수단에서 앞바퀴까지 수직으로 연결되는 지주축과, 프레임의 연결부위에 관절부를 도입하여 프레임의 움직임이 지주축의 위치, 기울기 및 방향 등에 의하여 제한받지 않고 자유롭게 설정되도록 함으로써 작은 힘으로도 효율적인 추진력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진행방향의 컨트롤도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킥트라이시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킥트라이시클에 있어서, 하측에 앞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주축과, 지주축의 상측에 장착되는 조향부와, 지주축에 배치되는 관절부 및 관절부에 연결되어 좌우측 방향으로 벌려지거나 오므려지는 좌우측 발판조립체를 포함하고, 관절부는 지주축에 끼워져 지주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주 몸체와, 주 몸체의 측면에 체결 고정되는 주축과, 주축에 장착되어 주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보조 몸체 및 보조 몸체의 양 끝부분에 체결되어 좌우측 방향으로 벌려지거나 오므려지는 좌우측 작동프레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주 몸체는 지주축에 끼워지고 주 몸체의 상측에 체결되는 상측 몸체와, 지주축에 끼워지고 주 몸체의 하측에 체결되는 하측 몸체와, 지주축에 끼워지고 상측 몸체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 베어링과, 지주축에 끼워지고 하측 몸체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측 베어링과, 상측 베어링의 상측에 배치되어 지주축에 체결되는 상측 체결너트 및 하측 베어링의 하측에 배치되어 지주축에 체결되는 하측 체결너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보조 몸체와 상측 몸체의 사이에 이격되어 장착되는 상방우측 압축스프링과 상방좌측 압축스프링 및 보조 몸체와 하측 몸체의 사이에 이격되어 장착되는 하방우측 압축스프링과 하방좌측 압축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주 몸체의 상면에 형성된 상측 핀 홀과, 주 몸체의 저면에 형성된 하측 핀 홀과, 상측 몸체의 하측 또는 하측 몸체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측 핀 홀 또는 하측 핀 홀과 대응되도록 형성된 체결 가이드 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측 몸체 또는 하측 몸체의 좌우 양쪽에 상방우측 지지대 및 상방좌측 지지대 또는 하방우측 지지대 및 하방좌측 지지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하방우측 지지대 및 하방좌측 지지대에 제1 스프링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방우측 지지대 및 상방좌측 지지대에 제2 스프링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보조 몸체는 보조 몸체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된 하방우측 받침대 및 하방좌측 받침대와, 보조 몸체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하방우측 받침대 및 하방좌측 받침대와 이격되어 형성된 상방우측 받침대 및 상방좌측 받침대와, 상방우측 받침대 및 상방좌측 받침대에 형성된 제3 체결구멍 및 제4 체결구멍과, 하방우측 받침대 및 하방좌측 받침대에 형성되고 제3 체결 구멍 및 제4 체결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7 체결구멍 및 제8 체결구멍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좌우측 작동 프레임은 좌우측 작동 프레임에 형성된 제13 체결구멍과, 좌우측 작동 프레임에 형성되고 제13 체결구멍과 이격되어 형성된 걸림 턱과, 좌우측 작동 프레임과 걸림 턱 사이에 형성된 수용 홈과, 제3 체결구멍과 제7 체결구멍 및 제13 체결구멍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제1 축과, 제4 체결구멍과 제8 체결구멍 및 제13 체결구멍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제2 축 및 상방우측 받침대 및 하방우측 받침대 또는 상방좌측 받침대 및 하방좌측 받침대의 사이에 고정되고 수용 홈의 내부에 배치되는 우측 완충부재 또는 좌측 완충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보조 몸체의 좌우 양쪽 상면 또는 보조 몸체의 좌우 양쪽 저면에 좌측 자리 홈 또는 우측 자리 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좌측 자리 홈 또는 우측 자리 홈에 제3 스프링 가이드 돌기 또는 제4 스프링 가이드 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보조 몸체는 보조 몸체의 좌우 양쪽 상면 또는 보조 몸체의 좌우 양쪽 저면에 각각 형성된 상방우측 베이스 및 상방좌측 베이스 또는 하방우측 베이스 및 하방좌측 베이스와, 하방우측 베이스 및 하방좌측 베이스에 형성된 제3 스프링 가이드 돌기 및 상방우측 베이스 및 상방좌측 베이스에 형성된 제4 스프링 가이드 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좌우측 발판조립체는 좌우측 작동 프레임과 각각 연결되어 설치된 좌우측 좌우 회동부와, 좌우측 좌우 회동부를 에워싸는 형태로 설치되고 좌우측 좌우 회동부에 의해 좌우로 회동하는 좌우측 발판부 및 좌우측 발판부의 하측에 설치된 좌우측 바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좌우측 발판부는 제1 발판 플레이트와, 제1 발판 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된 논슬립 부재 및 논슬립 부재의 하측에 위치되어 논슬립 부재를 에워싸면서 제1 발판 플레이트와 체결되는 제2 발판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좌우측 좌우 회동부는 좌우측 작동 프레임과 각각 연결되고 논슬립 부재와 제2 발판 플레이트의 사이에 회동 축이 체결 설치되어 좌우측 발판부를 회동시키는 좌우측 연결 프레임과, 회동 축과 인접한 좌우측 연결 프레임의 양쪽에 설치된 제1 걸림 돌기 및 제2 걸림 돌기와, 논슬립 부재와 제2 발판 플레이트의 사이에 체결 설치되고, 회동 축과 이격되도록 체결 설치되 어 좌우측 발판부의 회동방향에 따라 제1 걸림 돌기 또는 제2 걸림 돌기에 맞닿아 걸리는 제1 걸림 부재 또는 제2 걸림 부재 및 제2 발판 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되어 회동 축과 제1 걸림 부재 및 제2 걸림 부재를 체결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걸림 부재 또는 제2 걸림 부재는 우레탄 연질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좌우측 바퀴부는 좌우측 발판부의 하측에 설치된 제1 바퀴 연결 프레임 및 제2 바퀴 연결 프레임과, 제1 바퀴 연결 프레임과 제2 바퀴 연결 프레임의 사이에 체결 설치된 둘 이상의 바퀴와, 제1 바퀴 연결 프레임과 제2 바퀴 연결 프레임의 사이에 위치되고 둘 이상의 바퀴와 이격되게 체결 설치되어 둘 이상의 바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바퀴를 제동하도록 설치된 제동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킥트라이시클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탑승자의 안전을 고려하면서 원하는 목적지에까지 운동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작동방법이 쉬워 탑승자들에게 흥미로움을 주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수요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셋째, 순간적인 방향전환이 가능하므로 위험한 상황에서도 쉽게 벗어날 수 있으며, 다양한 고난도 기술을 개발할 수 있다.

    넷째, 지주축과 링크프레임의 연결부위에 관절부를 도입함으로써 프레임의 동작이 종전보다 월등히 자유로워짐에 따라 손쉽게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향전환에 있어서도 좁은 공간에서도 자유롭게 회전을 할 수 있게 되어 보다 다이나믹한 라이딩이 가능해진다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킥트라이시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킥트라이시클(1)은 지주축(10)의 하측에 앞바퀴(13)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지주축(10)의 상측에는 조향부(14)가 장착되며, 지주축(10)의 하측에는 관절부(20)가 배치되고, 관절부(20)에는 한 쌍의 좌우측 발판조립체(17L)(17R)가 연결된다.

    상술한 앞바퀴(13)는 포크(12)에 장착되고, 포크(12)는 고정 캡(11)에 장착되며, 고정 캡(11)은 상술한 지주축(10)의 하단에 장착된다.

    또한, 상술한 지주축(10)은 접힐 수 있게 구성될 수 있고, 접히거나 펼쳐지는 구성은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조향부(14)는 통상의 자전거 핸들처럼 구성한 것으로 제동 레버(1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제동 레버(15)는 와이어(1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술한 한 쌍의 좌우측 발판조립체(17L)(17R)에 이후에 진술할 제동 부재(150)가 배치되며, 상술한 와이어(13)는 상술한 제동 레버(15)의 조작에 의해 한 쌍의 좌우측 발판조립체(17L)(17R)의 바퀴에 제동을 가하는 구성이다.

    상술한 관절부(20)는 정면에서 볼 때에 한 쌍의 좌우측 발판조립체(17L)(17R)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인위적인 외력이 제거되면 초기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관절부(20)는 평면에서 볼 때에 좌측 발판조립체(17L)와 우측 발판 조립체(17R)가 좌우측 방향으로 벌려지거나 복귀되는 각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한다.

    특히, 상술한 좌측 발판조립체(17L)가 벌려지거나 복귀될 때에 우측 발판 조립체(17R)와 관련 없이 단독으로 움직임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킥트라이시클(1)의 관절부(20)는 좌측 발판조립체(17L)와 우측 발판 조립체(17R)를 자유롭게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및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킥트라이시클(1)이 적용될 수 있는 관절부(20)를 설명하면 다음 도 2 및 도 3과 같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킥트라이시클(1)에서 관절부(20)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면 및 배면 방향에서 본 사시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킥트라이시클(1)의 관절부(20)는 지주축(10)에서 주 몸체(3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주 몸체(30)의 후방에는 보조 몸체(7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보조 몸체(70)에는 좌측 프레임(94L)과 우측 프레임(94R)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이루어진다.

    상술한 좌측 프레임(94L)에는 좌측 작동 프레임(16L)이 연장 설치되고, 상술한 우측 프레임(94R)에는 우측 작동 프레임(16R)이 연장 설치된다.

    또한, 상술한 좌측 작동 프레임(16L)에는 좌측 발판 조립체(17L)가 장착되고, 상술한 우측 작동 프레임(16R)에는 우측 발판 조립체(17R)가 장착된다.

    지주축(10)에서 주 몸체(3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성은 첨부도면 도 4,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킥트라이시클(1)에서 관절부(20)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AA선 단면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킥트라이시클(1)에서 관절부(20)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면이며, 도 7은 도 6의 관절부를 더욱 상세하게 보인 분해도면이다.

    특히, 도 6은 관절부(20)를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2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제1 관절 그룹(21)과 제2 관절 그룹(22)으로 설명하는 것이고, 도 7은 제1 관절 그룹(21)을 더욱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며, 차후에 설명되는 도 8은 제2 관절 그룹(22)을 더욱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지주축(10)에는 고정 캡(11)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순차적으로 하측 체결 너트(61B), 하측 베어링(60B), 하측 몸체(40), 주 몸체(30), 상측 몸체(50), 상측 베 어링(60T) 및 상측 체결 너트(61T)가 끼워진다.

    특히, 상술한 하측 체결너트(61B)와 상측 체결너트(61T)는 지주축(10)에 체결되어 상술한 상측몸체(50), 주 몸체(30) 및 하측 몸체(40)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상측 베어링(60T)과 하측 베어링(60B)은 상술한 상측몸체(50), 주 몸체(30) 및 하측 몸체(40)가 상술한 지주축(10)에서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한다.

    상술한 주 몸체(30)는 도 7에 상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장착홀(31)과 나란한 방향으로 체결 탭(32T)이 형성되고, 이때 체결 탭(32T)은 관통될 수 있고 또는 소정의 깊이로 탭이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체결 탭(32T)은 상술한 바와 같이 주 몸체(30)에서 소정의 깊이로 형성될 때에 상하측이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주 몸체(30)의 상면과 저면에는 각각 상측 핀 홀(35T)과 하측 핀 홀(35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주 몸체(30)의 측면에는 메인 탭(33)이 형성되고, 특히 주 몸체(30)를 평면에서 볼 때에 제1 장착홀(31)을 기준으로 메인 탭(33)이 형성되는 쪽의 두께는 다른 쪽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고, 이렇게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메인 탭(33)을 더욱 길게 형성시켜 줄 수 있게 된다.

    즉, 메인 탭(33)의 길이를 더욱 길게 형성시켜 줌으로서 차후에 설명되는 주축(101)과 더욱 긴밀하고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상술한 하측 몸체(40)와 상측 몸체(50)는 측면 방향에서 볼 때에 서로 대칭되는 구성을 이룰 수 있다.

    하측 몸체(40)는 중앙에 제2 장착 홀(41)이 형성되고, 상술한 주 몸체(30)의 체결 탭(32T)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 체결 구멍(42)이 형성된다.

    또한, 하측 몸체(40)의 상면에는 상술한 주 몸체(30)의 하측 핀 홀(35B)과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 가이드 돌기(45)가 배치된다.

    상술한 체결 가이드 돌기(45)는 상술한 주 몸체(30)와 하측 몸체(40)를 조립할 때에 조립위치를 더욱 쉽게 설정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체결 가이드 돌기(45)는 상측 몸체(50), 하측 몸체(40), 주 몸체(30)를 연결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다른 수단에 의해서 대체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상술한 하측 몸체(40)의 후방에는 좌우측에 각각 하방우측 지지대(43R)와 하방좌측 지지대(43L)가 형성된다.

    상술한 하방우측 지지대(43R)와 하방좌측 지지대(43L)의 상면에는 제1 스프링 가이드 돌기(44)가 형성될 수 있고, 또한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않았으나 차후에 설명되는 하방우측 압축스프링(93BR)과 하방좌측 압축스프링(93BL)을 수용할 수 있는 자리 홈으로 형성시켜 줄 수도 있다.

    상술한 제1 스프링 가이드 돌기(44)는 상술한 하방우측 압축스프링(93BR)과 하방좌측 압축스프링(93BL)이 임의로 벗겨지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억류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스프링 가이드 돌기는 다른 수단으로 대체가 가능하다.

    상측 몸체(50)의 구성은 상술한 하측 몸체(40)의 구성과 동일하고 측면 방향 에서 볼 때에 서로 대향하도록 대칭되게 배치되는 구성이다.

    즉, 상측 몸체(5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측 몸체(40)의 구성 설명에 의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바 중복되는 구성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주 몸체(30)에 하측 몸체(40) 또는 상측 몸체(50)를 맞추고, 상술한 하측 체결 볼트(62B) 또는 상측 체결 볼트(62T)는 제1 체결구멍(42) 또는 제2 체결 구멍(52)을 통하여 체결 탭(32T)에 체결한다.

    즉, 하측 체결 볼트(62B) 또는 상측 체결 볼트(62T)에 의하여 하측 몸체(40) 또는 상측 몸체(50)가 주 몸체(30)에 고정 장착된다.

    상술한 주 몸체(30)의 후방에는 보조 몸체(7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성은 첨부도면 도 5, 도 6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주 몸체(30)의 측면에 형성된 메인 탭(33)에는 주축(101)이 체결 고정되고, 주축(101)에는 보조 몸체(7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보조 몸체(70)의 중심에는 주축 구멍(71)이 형성되고, 그 주축 구멍(71)에는 복수 개의 제3, 제4 베어링(99a)(99b)이 장착되어 주축(101)에서 보조 몸체(70)가 더욱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주 몸체(30) 방향 쪽에 배치되는 제3 베어링(99a)의 외측에는 베어링 칼럼(100)이 더 배치될 수 있고, 베어링 칼럼(100)은 보조 몸체(70)의 내부에서 제3 베어링(99a)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않았으나 상술한 주축(101)은 주 몸체(30)에 체결된 이후에 나사풀림 방지 수단에 의해 주축(101)이 임의로 풀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나사풀림 방지 수단으로는 주 몸체(30)의 제1 장착 홀(31)의 안쪽에서 주축(101)과 주 몸체(30)를 용접하여 영구적으로 분해할 수 없도록 할 수 있고, 다른 방법으로는 주 몸체(30)와 주축(101)을 관통하도록 핀을 꽂을 수 있다.

    또한, 주축(101)의 나사부에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에서 주 몸체(30)에 주축(30)을 체결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보조 몸체(70)에서 좌측 프레임(94L)과 우측 프레임(94R)이 회전가능하게 장착하는 구성은 첨부도면 도 5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보조 몸체(70)의 좌우 양쪽에는 좌측 프레임(94L)과 우측 프레임(94R)이 각각 장착되는데, 이들의 좌측 프레임(94L)과 우측 프레임(94R)이 고정되는 구성은 평면에서 볼 때에 주축(101)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구성이다.

    상술한 보조 몸체(70)는 좌우 양쪽의 상면에는 각각 우측 자리 홈(78R)과 좌측 자리 홈(78L)이 형성되고, 또한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않았으나 보조 몸체(70)를 정면에서 볼 때에 보조 몸체(70)의 저면에는 상술한 우측 자리 홈(78R)과 좌측 자리 홈(78L)과 대칭을 이루는 다른 자리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않았으나 상술한 우측 자리 홈(78R)과 좌측 자리 홈(78L)에는 스프링 가이드 돌기가 직접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보조 몸체(70)는 정면에서 볼 때에 좌우측이 대칭을 이루도록 각각 하방우측 받침대(72R)와 하방좌측 받침대(72L)가 형성된다.

    또한, 상술한 하방우측 받침대(72R)와 수직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방우 측 받침대(73R)가 형성되고, 상술한 하방좌측 받침대(72L)와 수직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방좌측 받침대(73L)가 형성된다.

    상술한 상방우측 받침대(73R)와 상방좌측 받침대(73L)에는 수직방향으로 제3 체결구멍(77a)과 제4 체결구멍(77b)이 형성된다.

    또한, 상술한 하방우측 받침대(72R)와 하방좌측 받침대(72L)에는 상술한 제3, 제4 체결구멍(77a)(77b)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7, 제8 체결구멍(75a)(75b)이 형성된다.

    상술한 제7, 제8 체결구멍(75a)(75b)에는 암나사 같은 탭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상방우측 받침대(73R)와 상방좌측 받침대(73L)에는 평면에서 볼 때에 수직방향으로 제3 체결구멍(77a)과 제4 체결구멍(77b)의 외측에 제5 체결구멍(76a)과 제6 체결구멍(76b)이 형성된다.

    또한, 상술한 하방우측 받침대(72R)와 하방좌측 받침대(72L)에는 상술한 제5, 제6 체결구멍(76a)(76b)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1, 제2 탭(74a)(74b)이 형성된다.

    또한, 보조 몸체(70)의 상방 양측에는 별도의 상방우측 베이스(90TR)와 상방좌측 베이스(90TL)가 더 배치될 수 있고, 또한 보조 몸체(70)의 하방 양측에는 별도의 하방우측 베이스(90BR)와 하방좌측 베이스(90BL)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상방우측 베이스(90TR)와 상방좌측 베이스(90TL)는 서로 대칭되는 구성이고, 하방우측 베이스(90BR)와 하방좌측 베이스(90BL)는 서로 대칭되는 구성이다.

    즉, 상방좌측 베이스(90TL)와 하방우측 베이스(90BR)는 동일하게 구성되고 단지 배치만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상방우측 베이스(90TR), 상방좌측 베이스(90TL), 하방우측 베이스(90BR) 및 하방좌측 베이스(90BL)는 외측 표면에 각각 제3, 제4 스프링 가이드 돌기(91a)(91b)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제3 스프링 가이드 돌기(91a)는 상술한 상방우측 압축스프링(93TR)과 상방좌측 압축스프링(93TL)에 끼워져 상방우측 압축스프링(93TR)과 상방좌측 압축스프링(93TL)이 임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상방우측 압축스프링(93TR), 상방좌측 압축스프링(93TL), 하방우측 압축스프링(93BR) 및 하방좌측 압축스프링(93BL)은 설명의 편의상 "여러 개의 압축 스프링"으로 함축하여 호칭한다.

    또한, 상술한 제4 스프링 가이드 돌기(91b)는 상술한 하방우측 압축스프링(93BR)과 하방좌측 압축스프링(93BL)에 끼워져 하방우측 압축스프링(93BR)과 하방좌측 압축스프링(93BL)이 임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첨부도면 도 3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상방우측 압축스프링(93TR)과 상방좌측 압축스프링(93TL)은 전방 또는 후방에서 볼 때에 사다리 꼴 형태로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첨부도면 도 3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하방우측 압축스프링(93BR)과 하방좌측 압축스프링(93BL)은 전방 또는 후방에서 볼 때에 역사다리 꼴 형태로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즉, 상방우측 압축스프링(93TR)과 하방좌측 압축스프링(93BL)은 서로 평행하 게 배치될 수 있고, 상방좌측 압축스프링(93TL)과 하방우측 압축스프링(93BR)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방우측 압축스프링(93TR)과 상방좌측 압축스프링(93TL)이 사다리 꼴 형태로 배치되고, 또한, 하방우측 압축스프링(93BR)과 하방좌측 압축스프링(93BL)이 역사다리 꼴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사다리꼴 형태 또는 역사다리 꼴 형태는 주축(101)을 중심으로 보조 몸체(70)가 회전할 때에 여러 개의 압축 스프링에 가해지는 응력이 압축 스프링의 길이방향으로 가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주행 중에는 주몸체(30)에서 보조 몸체(70)가 불규칙한 회전운동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되는 스트레스에 여러 개의 압축 스프링이 능동적으로 견딜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스프링은 유압 또는 가스 쇼버나 판스프링 등으로 대체가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상방우측 베이스(90TR), 상방좌측 베이스(90TL), 하방우측 베이스(90BR) 및 하방좌측 베이스(90BL)는 각각 제9, 제10, 제11, 제12 체결 구멍(92a)(92b)(92c)(92d)이 형성될 수 있고, 제9, 제10, 제11, 제12 체결 구멍(92a)(92b)(92c)(92d)은 상술한 제3, 제4 체결구멍(77a)(77b)과 대응되는 위치일 수 있다.

    즉, 상술한 상방우측 베이스(90TR), 상방좌측 베이스(90TL), 하방우측 베이스(90BR) 및 하방좌측 베이스(90BL)는 보조 몸체(70)와 조립되었을 때에 보조 몸 체(70)와 다른 재질로 구성함으로서 이질적인 질감을 갖는 것으로 외관의 형상모양이 다르고 입체감을 돋보이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상방우측 받침대(73R)와 하방우측 받침대(72R)의 사이에는 우측 프레임(94R)이 장착된다.

    상술한 우측 프레임(94R)은 수직방향으로 제13 체결구멍(95)이 형성되고, 제13 체결구멍(95)의 전방바깥 쪽에는 걸림 턱(96)이 형성되며, 걸림턱(96)과 우측 프레임(94R)의 전방사이에는 수용 홈(97)이 형성된다.

    즉, 상술한 우측 프레임(94R)은 상술한 상방우측 받침대(73R)와 하방우측 받침대(72R)의 사이에 끼워지고, 이때 제13 체결구멍(95)은 제3 체결구멍(77a)과 제7 체결구멍(75a)이 일치되며, 제3 체결구멍(77a)에는 제1 축(103a)이 끼워진다.

    또한, 제1 축(103a)은 끝부분에 제7 체결구멍(75a)에 억지끼움 되어 고정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제1 축(103a)은 끝부분에 수나사가 형성될 수 있고 제7 체결구멍(75a)에 탭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제1 축(103a)이 제3 체결 구멍(77a)에 체결될 수도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제1 축(103a)은 끝부분에 수나사가 형성될 수 있고 제7 체결구멍의 바깥쪽에 별도의 너트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제1 축(103a)이 별도의 너트에 체결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 좌측의 좌측 프레임(94L)은 상술한 우측 프레임(94R)의 체결 구성과 대칭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좌측 프레임(94L)의 구성은 쉽게 이 해할 수 있는 것인바 좌측 프레임(94L)의 구성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술한 우측 프레임(94R)의 전방에는 우측 완충부재(98R)가 장착될 수 있다.

    상술한 우측 완충부재(98R)는 충격 흡수효율이 좋은 재질일 수 있고, 예를 들어 고무, 우레탄일 수 있으며, 관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술한 우측 완충부재(98R)는 상술한 상방우측 받침대(73R)와 하방우측 받침대(72R)의 사이에 끼워지고, 이때 우측 완충부재(98R)는 제5 체결구멍(76a)과 제1 탭(74a)이 일치되며, 제1 체결볼트(102a)가 제5 체결구멍(76a)에 끼워진 후에 제1 탭(74a)에 체결된다.

    또한, 우측 완충부재(98R)는 첨부도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우측 프레임(94R)의 수용 홈(97) 내부에 수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주 몸체(30)의 상하측에 상측몸체(50)와 하측몸체(40)가 조립되는 일례만을 나타내고 설명한 것으로써, 본 발명이 도 7의 구조의 주 몸체(30)의 상하 측에 상측몸체(50)와 하측몸체(40)가 조립되는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예를 들면, 도 7에서는 주 몸체(3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상측 몸체(50)와 하측 몸체(40)가 조립되는 것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와는 다르게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 몸체(30)와 상측 몸체(50)만으로 조립되거나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 몸체(30)와 하측 몸체(40)만으로 조립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즉, 첨부도면 도 9에서 나타낸 실시예는 보조 몸체(70)가 초기의 수평상태로 복원될 때에 상방우측 압축스프링(93TR)과 상방좌측 압축스프링(93TL)에 의해 복원력이 발생되는 것이다.

    또한, 첨부도면 도 10에서 나타낸 실시예는 보조 몸체(70)가 초기의 수평상태로 복원될 때에 하방우측 압축스프링(93BR)과 하방좌측 압축스프링(93BL)에 의해 복원력이 발생되는 것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킥트라이시클에서 좌측 발판 조립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킥트라이시클 에서 좌측 발판 조립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킥트라이시클에서 좌측 발판 조립체가 좌우로 회동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킥트라이시클의 좌측 발판조립체와 우측 발판조립체는 서로 대칭을 이루며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킥트라이시클 의 좌우측 발판조립체는 설명의 편의상 좌측 발판 조립체로 일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a 내지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킥트라이시클 의 좌측 발판조립체(17L)는 좌우측 좌우 회동부(201), 좌우측 발판부(221), 좌우측 바퀴부(241)등을 포함한다.

    좌우측 좌우 회동부(201)는 좌우측 작동 프레임(16L, 16R)과 각각 연결되어 설치된다. 더욱 자세하게는, 좌우측 좌우 회동부(201)는 좌우측 연결 프레임(202), 제1 걸림 돌기(204), 제2 걸림 돌기(206), 제1 걸림 부재(216), 제2 걸림 부 재(217), 고정 브라켓(212)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좌우측 연결 프레임(202)은 좌우측 작동 프레임(16L, 16R)과 각각 연결되고 이후에 진술할 좌우측 발판부(221)의 논슬립 부재(223)와 제2 발판 플레이트(225)의 사이에 회동 축(224a)이 좌우측 연결 프레임 홀(203)을 관통하여 체결 설치된다.

    이때, 회동 축(224a)은 제1 베어링(213) 또는 제2 베어링(215)과 체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베어링(213) 또는 제2 베어링(215)은 이후에 진술할 좌우측 발판부(221)를 더욱 지지하고 좌우측 연결 프레임(202)과의 체결성을 높혀 좌우측 연결 프레임(202)을 효율적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제1 걸림 돌기(204)와 제2 걸림 돌기(206)는 회동 축(224a)과 인접한 좌우측 연결 프레임(202)의 양쪽에 설치된다.

    또한, 제1 걸림 부재(216) 또는 제2 걸림 부재(217)는 이후에 진술할 좌우측 발판부(221)의 논슬립 부재(223)와 제2 발판 플레이트(225)의 사이에 위치되고 회동 축(224a)과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제1 걸림 부재(216) 또는 제2 걸림 부재(217)는 제1 보조용 회동 축(224b) 및 제2 보조용 회동 축(224c)에 끼워져 체결 설치된다.

    이러한, 제1 걸림 부재(216) 또는 제2 걸림 부재(217)는 이후에 진술할 좌우측 발판부(221)의 회동방향에 따라 제1 걸림 돌기(204) 또는 제2 걸림 돌기(206)에 맞닿아 걸리게 된다.

    여기서, 제1 걸림 부재(216) 또는 제2 걸림 부재(217)는 우레탄 연질고무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브라켓(218)은 이후에 진술할 제2 발판 플레이트(225)의 하측에 설치되고 제 1 체결볼트(219)와 제 2 체결볼트(220)에 의해 회동 축(224a)과 제1 보조용 회동 축(224b) 및 제2 보조용 회동 축(224c)을 체결 고정하도록 설치된다.

    좌우측 발판부(221)는 좌우측 좌우 회동부(201)를 에워싸는 형태로 설치되고 좌우측 좌우 회동부(201)에 의해 좌우로 회동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좌우측 발판부(221)는 제1 발판 플레이트(222), 논슬립 부재(223), 제2 발판 플레이트(225)등을 포함한다.

    제1 발판 플레이트(222)는 탑승자가 발을 올려놓도록 설치되고, 논슬립 부재(223)는 제1 발판 플레이트(222)의 하측에 설치되어 탑승자가 탑승 시에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설치된다.

    제2 발판 플레이트(225)는 논슬립 부재(223)의 하측에 위치되어 논슬립 부재(223)를 에워싸면서 제1 발판 플레이트(222)와 체결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제1 발판 플레이트(222)와 논슬립 부재(223)는 상호 체결을 위한 체결 홈(222a)과 체결 돌기(223a)등을 포함할 수도 있고, 제1 발판 플레이트(222)와 논슬립 부재(223) 및 제2 발판 플레이트(225)는 보스(226) 및 제3 체결볼트(227)와 제4 체결볼트(228)에 의해 체결 고정될 수가 있다.

    좌우측 바퀴부(241)는 좌우측 발판부(221)의 하측에 설치된다. 이때, 좌우측 바퀴부(241)는 제1 바퀴 연결 프레임(242), 제2 바퀴 연결 프레임(244), 바퀴(246), 제동 부재(250)등을 포함한다.

    제1 바퀴 연결 프레임(242) 및 제2 바퀴 연결 프레임(244)은 제2 발판 플레이트(225)의 하측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바퀴(246)는 제1 바퀴 연결 프레임(242)과 제2 바퀴 연결 프레임(244)의 사이에 둘 이상으로 위치되어 체결수단(247, 248, 249)에 의해 체결설치된다.

    제동 부재(250)는 제1 바퀴 연결 프레임(242)과 제2 바퀴 연결 프레임(244)의 사이에 위치되고 둘 이상의 바퀴(246)와 이격되게 체결 설치되어 둘 이상의 바퀴(246)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바퀴(246)를 제동하도록 설치된다.

    더욱 자세하게 말하면, 제동 부재(250)는 스토퍼(250a), 브레이크 라인 수집수단(250b), 토션 스프링(250c), 고정 핀(250d)등을 포함한다.

    스토퍼(250a)는 제1 바퀴 연결 프레임(242)과 제2 바퀴 연결 프레임(244)의 사이에 위치되고 둘 이상의 바퀴(246)와 이격되게 체결 설치되어 둘 이상의 바퀴(246)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바퀴(246)를 잡으면서 제동시킨다.

    이때, 스토퍼(250a)의 앞단에 브레이크 라인을 수집하기 위한 브레이크 라인 수집 수단(250b)이 제5 체결볼트(251)에 의해 체결 설치되고, 스토퍼(250a)의 옆 측에 위치되고 고정 핀(250d)에 의해 체결되어 스토퍼(250a)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토션 스프링(250c)이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킥트라이시클(1)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킥트라이시클(1)은 좌우측 발판조립체(17L)(17R)를 딛고 올라선 상태에서 주행하게 된다.

    특히, 조향부(14)의 핸들을 좌우 방향으로 지그재그로 움직이면서 좌측 발판 조립체(17L) 또는 우측 발판조립체(17R)를 외측방향으로 밀어내듯이 힘을 가하여 추진력을 얻어 전방으로 주행하는 것이고, 마치 인라인스케이트 또는 빙상 스케이트를 타듯이 움직이는 것이다.

    이때, 관절부(20)에서는 조향부(14)를 비틀었을 때에 주 몸체(30)에서 지주축(10)이 각 회전하여 방향을 전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탑승자의 운동방향에 따라 좌측 발판조립체(17L) 또는 우측 발판조립체(17R)는 벌려지거나 오므려지는데, 이때에는 첨부도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 발판조립체(17L) 또는 우측 발판조립체(17R)가 벌려지거나 오므려질 수 있다.

    특히, 좌측 발판조립체(17L) 또는 우측 발판조립체(17R)가 가장 바깥쪽의 한계 또는 가장 안쪽의 한계에 도달하면 좌측 프레임(94L) 또는 우측 프레임(94R)이 좌측 완충부재(98L) 또는 우측 완충부재(98R)에 걸려 더 이상 벌려지거나 오므려지지 못하도록 한다.

    특히, 도 5의 상세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내벽(97a) 또는 반대쪽의 제2 내벽(97b)은 좌측 완충부재(98L) 또는 우측 완충부재(98R)를 압축시킴과 동시에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 프레임(94L) 또는 우측 프레임(94R)의 회전 중심이 되는 제1, 제2 축(103a)(103B)은 지주축(10)의 중심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또한, 보조 몸체(70)는 주 몸체(30)의 후방 쪽에 장착된다.

    즉, 좌측 발판조립체(17L) 또는 우측 발판조립체(17R)의 각운동 반지름은 종래의 동일 유사한 사이즈의 킥트라이시클(1)에 비교할 때에 더욱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더욱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다.

    또한, 도 3,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 프레임(94L)과 우측 프레임(94R)은 보조 몸체(70)에 장착된 것으로 좌측 프레임(94L)의 선단부가 내려가면 반드시 반대쪽인 우측 프레임(94R)의 선단부가 올라간다.

    킥트라이시클(1)은 주행 중에 추진력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체중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옮기면서 좌측 또는 우측의 바깥쪽으로 땅을 밀어 내듯이 운동을 반복하는데, 이때 체중이 실리지 않은 쪽의 발판 조립체(좌측 발판조립체 또는 우측 발판조립체)는 지면과의 마찰이 일어나지 않도록 순간적으로 떠있는 상태가 연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킥트라이시클(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체중이 실리지 않는 쪽, 예를 들어 좌측 발판조립체(17L)에 체중이 실렸다면 우측 발판조립체(17R)는 지면으로부터 접하지 않도록 들려지게 된다.

    또한, 우측 발판조립체(17R)가 들려 오르는 정도는 탑승자의 노련함에 따라 제각각일 것이다.

    즉, 주행 중에 추진력을 발생시킴에 있어서 지면과 발생되는 불필요한 마찰 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더욱 빠른 속도를 구현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어느 한쪽의 발판조립체(좌측 발판조립체 또는 우측 발판조립체)가 들리는 것은 결국 주 몸체(30)로부터 보조 몸체(70)가 각도회전 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고, 이때 무한적 회전되는 것은 아니며 보조몸체(70)와 상측몸체(50) 또는 보조몸체(70)와 하측몸체(40)사이에 배치되는 상방우측 압축스프링(93TR), 상방좌측 압축스프링(93TL), 하방우측 압축스프링(93BR) 및 하방좌측 압축스프링(93BL)의 응력에 의해 제한될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좌우 모두에 압축스프링이 배치되었을 때에는 주축(101)을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압축스프링은 동시에 압축과 복원이 이루어질 것이고, 항상 복수 개의 압축 스프링이 스트레스에 견딤으로써 상대적으로 더욱 큰 스트레스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안정적인 주행을 기대할 수가 있게 된다.

    또 다른 한편으로, 도 9 또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의 좌우측 또는 하측의 좌우측에 압축스프링이 배치되었을 때에는 관절부(20)의 구성을 단순화 시킬 수 있고 이로서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과다한 스트레스를 가하지 않는 소형의 킥트라이시클(1)을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또 다른 한편으로, 도 13a 및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측 발판 조립체가 좌우로 회동 가능하므로, 외측방향으로 밀어내듯이 힘을 가하여 추진력을 얻으면서 전방으로 주행할 수가 있어 원하는 목적지에까지 운동량을 최소화하여 도착할 수 있는 킥트라이시클(1)을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킥트라이시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킥트라이시클에서 관절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킥트라이시클에서 관절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AA선 단면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킥트라이시클에서 관절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BB선 단면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킥트라이시클에서 관절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의 관절부를 더욱 상세하게 보인 분해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킥트라이시클에서 관절부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킥트라이시클에서 관절부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킥트라이시클에서 좌측 발판 조립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킥트라이시클에서 좌측 발판 조립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킥트라이시클에서 좌측 발판 조립체가 좌우로 회동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 킥트라이시클

    10: 지주축 11: 고정 캡

    12: 포크 13: 앞바퀴

    14: 조향부 15: 제동 레버

    16R, 16L: 우측, 좌측 작동프레임 17R, 17L: 우측, 좌측 발판조립체

    20: 관절부 21, 22: 제1, 제2 관절 그룹

    30: 주 몸체 31: 제1 장착 홀

    32T: 체결 탭 33: 메인 탭

    35T: 상측 핀 홀 35B: 하측 핀 홀

    40: 하측 몸체 41: 제2 장착 홀

    42: 제1 체결 구멍 43R: 하방우측 지지대

    43L: 하방좌측 지지대 44: 제1 스프링 가이드 돌기

    45: 체결 가이드 돌기 50: 상측 몸체

    51: 제3 장착 홀 52: 제2 체결 구멍

    53R: 상방우측 지지대 53L: 상방좌측 지지대

    54: 제2 스프링 가이드 돌기 55: 체결 가이드 돌기

    60T: 상측 베어링 60B: 하측 베어링

    61T: 상측 체결 너트 61B: 하측 체결 너트

    62T: 상측 체결 볼트 62B: 하측 체결 볼트

    70: 보조 몸체 71: 주축 구멍

    72R: 하방우측 받침대 72L: 하방좌측 받침대

    73R: 상방우측 받침대 73L: 상방좌측 받침대

    74a, 74b: 제1, 제2 탭 75a, 75b: 제7, 제8 체결 구멍

    76a, 76b: 제5, 제6 체결 구멍 77a: 77b: 제3, 제4 체결 구멍

    78R: 우측 자리 홈 78L: 좌측 자리 홈

    90TR: 상방우측 베이스 90TL: 상방좌측 베이스

    90BR: 하방우측 베이스 90BL: 하방좌측 베이스

    91a: 제3 스프링 가이드 돌기 91b: 제4 스프링 가이드 돌기

    92a, 92b, 92c, 92d: 제9, 제10, 제11, 제12 체결 구멍

    93TR: 상방우측 압축스프링 93TL: 상방좌측 압축스프링

    93BR: 하방우측 압축스프링 93BL: 하방좌측 압축스프링

    94R: 우측 프레임 94L: 좌측 프레임

    95: 제13 체결 구멍 96: 걸림 턱

    97: 수용 홈 97a, 97b: 제1, 제2 내벽

    98R: 우측 완충부재 98L: 좌측 완충부재

    99a, 99b: 제3, 제4 베어링 100: 베어링 칼럼

    101: 주축 102a, 102b: 제1, 제2 체결 볼트

    103a, 103b: 제1, 제2 축 201 : 좌우측 좌우 회동부

    202 : 좌우측 연결 프레임 203 : 좌우측 연결 프레임 홀

    204 : 제1 걸림 돌기 206 : 제2 걸림 돌기

    212 : 고정 브라켓 213 : 제1 베어링

    215 : 제2 베어링 216 : 제1 걸림 부재

    217 : 제2 걸림 부재 218 : 고정 브라켓

    219 : 제1 체결볼트 220 : 제2 체결볼트

    221 : 좌우측 발판부 222 : 제1 발판 플레이트

    222a : 체결 홈 223 : 논슬립 부재

    223a : 체결 돌기 224a : 회동 축

    224b : 제1 보조용 회동축 224c : 제2 보조용 회동축

    225 : 제2 발판 플레이트 226 : 보스

    227 : 제3 체결볼트 228 : 제4 체결볼트

    241 : 좌우측 바퀴부 242 : 제1 바퀴 연결 프레임

    244 : 제2 바퀴 연결 프레임 246 : 바퀴

    247, 248, 249 : 체결수단 250 : 제동 부재

    250a : 스토퍼 250b : 브레이크 라인 수집수단

    250c : 토션 스프링 250d : 고정 핀

    251 : 제5 체결볼트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