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 이륜차의 스텝 구조

申请号 KR1020020015319 申请日 2002-03-21 公开(公告)号 KR1020020077071A 公开(公告)日 2002-10-11
申请人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发明人 다케와카도모유키; 고니시가츠유키; 나카이신;
摘要 PURPOSE: To improve mounting structure for a step used for placing a foot of a rider of a motorcycle. CONSTITUTION: In this step structure for the motorcycle, a pair of step brackets 3, to each of which the base end of a step bar 4 is pivoted rotationally upward, are installed to a pair of lower frames 1 extending longitudinally via shock absorbing materials. In the step brackets 3, extension parts 3a extending inward are arranged individually, and the extension parts 3a are connected together by means of a cross member 5.
权利要求
  • 스텝 바의 기단이 상방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 한 쌍의 스텝 브래킷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하부 프레임에 완충재를 통해 부착된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이들 스텝 브래킷에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장부가 크로스 부재에 의해 상호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의 스텝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에 대한 상기 스텝 브래킷의 부착부는 상기 스텝 브래킷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형성되고, 상기 후방부가 상기 크로스 부재에 의해 상호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스텝 브래킷의 전방에서 하방에 걸쳐 각각 페달 조작부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의 스텝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부재가 리어 브레이크의 마스터 실린더 하방을 우회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의 스텝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 바가 상기 스텝 브래킷에 완충재를 통해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의 스텝 구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 바에는 탑승자의 신발 뒤쪽에 닿는 스텝 러버가 부착됨과 동시에, 상기 스텝 바가 상방으로 회전하도록 힘을 가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을 안내하는 스프링 컬러가 구비되고, 또한 상기 스프링 컬러의 위치 결정이 상기 스프링 컬러의 플랜지부에 구비된 돌기와 상기 스텝 러버에 형성된 오목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의 스텝 구조.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 브래킷의 연장부와 상기 크로스 부재가 긴 구멍을 통해 자유롭게 조정되도록 상호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의 스텝 구조.
  • 说明书全文

    자동 이륜차의 스텝 구조{STEP STRUCTURE OF MOTORCYCLE}

    본 발명은 자동 이륜차에 타는 탑승자가 발을 올려놓는 스텝에 관한 것이다.

    자동 이륜차는 프레임의 상방에 형성된 시트에 탑승자가 걸쳐 착석하고, 프레임 하부의 좌우에 측방으로 돌출시켜 구비된 스텝에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스텝의 구조로서, 종래 예컨대 일본국 특개평 4-334683호 공보에 공개된 것이 있다.

    이는 스텝의 기단을 상방에 회전 가능하게 끼운 스텝 브래킷의 가로 구멍에 러버 부시를 부착하고, 그 러버 부시의 내측 구멍을 통과한 볼트를 프레임 하부 측면의 보스에 조여 부착하고, 좌우의 스텝 브래킷의 하단을 연결 파이프의 양단에 조여 부착해 연결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종래의 스텝 구조는 좌우의 스텝 브래킷의 하단을 브래킷의 두꺼운 부분에서 크로스 부재로서의 연결 파이프에 조여 부착해 연결하므로, 브래킷의 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으면 그 부착부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곤란했다.

    또한, 연결 파이프의 전방에서 하방에 걸쳐서는 통상 체인 페달, 브레이크 페달, 마스터 실린더, 머플러 등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부재와 간섭하지 않도록 연결 파이프를 설치하는 것이 곤란했다.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1 기재의 발명은 스텝 바의 기단이 상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 한 쌍의 스텝 브래킷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하부 프레임에 완충재를 통해 부착된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상기 스텝 브래킷에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가 크로스 부재에 의해 상호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의 스텝 구조이다.

    청구항1 기재의 발명은 상기와 같이 한 쌍의 스텝 브래킷에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가 크로스 부재에 의해 연결되므로, 부착부의면적을 넓게할 수 있으므로, 판 상태 등의 크로스 부재를 이용할 수 있고, 크로스 부재의 부착 면적을 크게 하여 부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2 기재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1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에 대한 상기 스텝 브래킷의 부착부는 상기 스텝 브래킷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형성되고, 상기 후방부가 상기 크로스 부재에 의해 상호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스텝 브래킷의 전방에서 하방에 걸쳐 각각 페달 조작부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2 기재의 발명은 이와 같이 하부 프레임에 대한 스텝 브래킷의 부착부가 전후 두 곳에 구비되고, 후방부 쪽이 크로스 부재에 의해 상호 연결됨과 동시에, 스텝 브래킷의 전방에서 하방에 걸쳐 각각 페달 조작부재가 배치되므로, 크로스 부재를 페달 조작부재와 간섭하지 않고 배치할 수 있다.

    다음에 청구항3 기재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1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부재가 리어 브레이크의 마스터 실린더의 하방을 우회하여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청구항3 기재의 발명에서는 지면으로부터 튀어오른 진흙 등이 마스터 실린더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청구항4 기재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1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텝 바가 상기 스텝 브래킷에 완충재를 통해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청구항4 기재의 발명에는 스텝 브래킷과 스텝 바 사이에도 완충재를 개재시키므로, 스텝 브래킷과 하부 프레임 사이에만 완충재를 개재시킨 종래의것보다 방진 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또한 청구항5 기재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4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텝 바에 탑승자의 신발 뒤쪽에 닿는 스텝 러버가 부착됨과 동시에, 상기 스텝 바가 상방으로 회전하도록 힘을 가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을 안내하는 스프링 컬러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스프링 컬러의 위치 결정이 상기 스프링 컬러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돌기와 상기 스텝 러버에 형성된 오목부에 의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청구항5 기재의 발명에서는 스텝 바가 상향이 되도록 힘을 가하는 스프링을 안내하는 스프링 컬러의 위치 결정이 스프링 컬러의 플랜지에 구비된 돌기와 스텝 러버에 형성된 오목부에 의해 행해지므로, 스프링 컬러와 스텝 바가 상호 간섭하지 않고, 따라서 엔진의 진동이 스텝에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청구항6 기재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1 내지 청구항5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텝 브래킷의 연장부와 상기 크로스 부재가 긴 구멍을 통해 자유롭게 조정되도록 상호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청구항6 기재의 발명에서는 크로스 부재의 부착시에 좌우 조정이 매우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의 배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스텝 브래킷의 부착 상황을 도시하는 상세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스텝 브래킷의 연장부와 크로스 부재의 부착 상황(도 3의 V부)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실시예의 우측의 스텝과 크로스 부재를 빼내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Ⅷ선에서 본 단면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8의 Ⅸ-Ⅸ선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부 프레임 3 : 스텝 브래킷

    3a : 연장부 3b : 긴 구멍

    4 : 스텝 바 4a : 스텝 러버

    5 : 크로스 부재 6 : 체인지 페달

    7 : 브레이크 페달 8 : 마스터 실린더

    9 : 배기관 11 : T자 컬러

    12 : 러버 13 : 와셔

    14 : 볼트 15 : 극간

    21 : 러버 22a, 22b : 부시

    23 : 회전축 24 : 스프링 컬러

    24a : 플랜지 24b : 돌기

    25 : 스프링 26 : 워셔

    27 : 분할 핀 31 : 헤드 튜브

    32 : 메인 프레임 32a : 낙하부

    33 : 다운 튜브 34 : 시트 레일

    36 : 엔진 37 : 기화기

    38 : 에어 클리너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는 일실시예의 평면도, 도 3은 일실시예의 배면도이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자동 이륜차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헤드 튜브(31)의 상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메인 프레임(32)과, 헤드 튜브(31)의 하부에서 후측 하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다운 튜브(3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다운 튜브(33)의 하부와 메인 프레임(32) 후부의 낙하부(32a)의 하부는, 거의 수평인 하부 프레임(1)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다운 튜브(33)의 후방에는 엔진(36)이 배치된다. 도면에서 34는 시트 레일, 37은 기화기, 38은 에어 클리너이다.

    또한, 도 2,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자동 이륜차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한 쌍의 하부 프레임(1)에, 한 쌍의 스텝 브래킷(3)이, 전방부와 후방부 두 곳에서 완충재로서의 러버(12)를 통해 부착되고, 그 스텝 브래킷(3)에 스텝 바(4)의 기단이 상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이들 스텝 브래킷(3)의 후방부에는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3a)가 형성되고, 이들 연장부(3a)가 단면 コ자 형상의 크로스 부재(5)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서 6, 7은 양측의 스텝 브래킷(3)의 전방에 각각 구비된 체인지 페달, 브레이크 페달, 8은 리어 브레이크의 마스터 실린더, 9는 배기관을 각각 나타낸다. 상기 크로스 부재(5)는 상기 마스터 실린더(8)의 하방을 우회하여 구비되어 있다.

    다음에 도 4는 하부 프레임(1)에 대한 스텝 브래킷(3)의 부착 상황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배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하부 프레임(1)에 구멍을 뚫어 형성한 구멍에 종단면 T자 형상의 T자 컬러(11)가 삽입되어 용착된다. 이 T자 컬러(11)에 러버(12)를 통해 스텝 브래킷(3)이 부착되고, 와셔(13)를 댄 후, 볼트(14)를 조여 결합된다.

    또한, 도 5는 스텝 브래킷(3)의 연장부(3a)와 크로스 부재(5)의 부착 상황(도 3의 V부)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연장부(3a)에 형성되는 볼트 구멍(3b)은 긴 구멍으로서, 크로스 부재(5)와 연결할 때, 상기 도 4에 도시된 와셔(13)와 스텝 브래킷(3) 사이에 간극(15)이 있는 것을 확인하고, 긴 구멍(3b)에서 좌우를 조정하여 맞붙인다.

    다음에 도 6은 상기 실시예의 우측 스텝과 크로스 부재를 빼내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은 실시예의 정면도, 도 8은 도 7의 Ⅷ-Ⅷ선에서 본 단면 확대도, 도 9는 도 8의 Ⅸ-Ⅸ선에서 본 단면도이다.

    우선, 도 6,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텝 바(4)에는 사용시에 탑승자의 신발 뒤쪽에 닿는 스텝 러버(4a)가 부착된다. 이 스텝 러버(4a)는 충격완화 및 미끄러짐 방지 역할을 한다.

    다음에,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텝 브래킷(3)과 스텝 바(4) 사이에도 완충재로서 러버(21)를 개재시킨다. 즉, 부시(22a, 22b) 사이에 러버(21)를 달구어 붙여 고정하고, 이에 회전축(23)을 삽입하여, 스텝 바(4)의 기단을 스텝 브래킷(3)에 끼운다. 26은 워셔, 27은 분할 핀이다. 또한, 회전축(23)의 일단부에는 스프링 컬러(24)를 가이드로 하여 스프링(25)을 감고, 스텝 바(4)가 상방으로 회전하도록 힘을 가한다. 여기서 스프링(25)과 부시(22a)가 간섭하지 않도록, 스프링 컬러(24)에는 플랜지(24a)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24a)는 또한 러버(21)가 휘어져 스텝이 아래로 쳐지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 역할도 한다.

    상기 스프링 컬러(24)의 위치 결정은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프링 컬러(24)의 플랜지(24a)에 구비된 돌기(24b)와 스텝 러버(4a)에 형성된 오목부에 의해 행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좌우의 스텝 브래킷(3)에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3a)가 구비되고, 이들 연장부(3a)가 크로스 부재(5)에 의해 연결되므로, 판 상태의 크로스 부재(5)를 이용할 수 있고, 크로스 부재(5)의 부착 면적을 크게 하는, 즉 부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부 프레임(1)에 대한 스텝 브래킷(3)의 각각의 부착부를 전후 두 곳으로 하고, 후방부 쪽을 크로스 부재(5)에 연결함과 동시에, 스텝 브래킷(3)의 전방에서 하방에 걸쳐 체인지 페달(6), 브레이크 페달(7), 마스터 실린더(8) 등을 설치하므로, 크로스 부재(5)를 페달 조작부재와 간섭시키지 않고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크로스 부재(5)가 마스터 실린더(8)의 하방을 우회하여 구비되므로, 지면으로부터 튀어오른 진흙 등이 마스터 실린더(8)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스텝 브래킷(3)과 스텝 바(4) 사이에도 완충재를 개재시키므로, 스텝 브래킷(3)과 하부 프레임(1) 사이에만 완충재를 개재시킨 경우보다 방진 효과가 더욱 높아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 컬러(24)의 위치 결정을, 스프링 컬러(24)의 플랜지(24a)에 형성된 돌기(24b)와 스텝 러버(4a)에 형성된 오목부에 의해 행하므로, 스프링 컬러(24)와 스텝 바(4)가 간섭하지 않고, 따라서 엔진의 진동이 스텝에전달되지 않는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