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장형 차량

申请号 KR1020147029310 申请日 2013-02-08 公开(公告)号 KR1020140139003A 公开(公告)日 2014-12-04
申请人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发明人 스기모토고이치로; 마타요시고타; 이이다치히로;
摘要 전륜에 대하여 좌우로 나누어져 있는 브레이크 호스와 하네스를 효율적으로 묶을 수 있는 배선 구조를 갖는 안장형 차량을 제공한다.
차륜 속도 센서(49)가 설치되어 있는 쪽의 아우터 튜브(282L)의 상부에 차륜 속도 센서(49)용 하네스(51)를 고정하는 제1 클램프부(57)를 설치한다. 캘리퍼(47)가 설치되어 있는 쪽의 아우터 튜브(282R)의 상부에 제1 클램프부(57)와 대략 동일한 높이에서 하네스(51) 및 브레이크 호스(50)를 묶어 더욱 상방을 향해 배선하는 제2 클램프부(58)를 설치한다. 제2 클램프부(58)가 하네스(51)를 고정하는 하네스 제2 유지부(641)와, 하네스(51)의 지향 방향을 전환시켜 브레이크 호스(50)를 따르도록 지향시켜 고정하는 하네스 제3 유지부(642)를 포함한다. 하네스(51)와 브레이크 호스(50)는 제2 클램프부(58)와 하부 브릿지(27) 사이에서 좌우 방향으로 만곡된 요동부(B1)를 형성한다.
权利要求
  • 좌우 한 쌍의 이너 튜브(281L, 281R) 및 상기 이너 튜브(281L, 281R)의 하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아우터 튜브(282L, 282R)를 포함하며 상기 아우터 튜브(282L, 282R)의 하단에서 전륜(WF)을 지지하는 프론트 포크(28)와, 디스크 브레이크(40)와, 전륜(WF)의 회전을 검출하는 차륜 속도 센서(49)를 갖는 안장형 차량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40)가, 전륜(WF)의 좌우 일방측에만 설치된 전륜용의 싱글 디스크 브레이크이고,
    상기 차륜 속도 센서(49)가, 전륜(WF)의 좌우 타방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브레이크 호스(50) 및 상기 하네스(51)가,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40) 및 상기 차륜 속도 센서(49)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배선되고,
    상기 아우터 튜브(282L, 282R) 중, 상기 차륜 속도 센서(49)가 설치되어 있는 쪽(282L)의 상부에서 상기 하네스(51)를 고정하는 제1 클램프부(57)와,
    상기 아우터 튜브(282L, 282R) 중,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40)가 설치되어 있는 쪽(282R)의 상부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프부(57)와 대략 동일한 높이에서 상기 제1 클램프부(57)를 경유하여 배선되는 상기 하네스(51) 및 상기 브레이크 호스(50)를 묶어서 고정하고, 그 고정 위치로부터 더욱 상방을 향해 배선하는 제2 클램프부(5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형 차량.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램프부(58)가,
    상기 제1 클램프부(57)로부터 그 제2 클램프부(58)쪽을 향해서 지향되는 상기 하네스(51)를 그 지향 자세로 고정하는 제1 하네스 고정 수단(641)과,
    상기 제1 하네스 고정 수단(641)으로 고정되는 하네스(51)의 지향 방향을 전환시켜,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40)로부터 인출되어 상방으로 배선되는 상기 브레이크 호스(50)를 따르도록 지향시켜 고정하는 제2 하네스 고정 수단(642)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형 차량.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램프부(58)가, 상기 제2 하네스 고정 수단(642)과 대략 동일한 높이에서 브레이크 호스(50)를 고정하는 제1 호스 고정 수단(643)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형 차량.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이너 튜브(281L, 281R)를, 차체 전방부에 설치되는 헤드 파이프(30)의 하부에서 서로 연결하는 하부 브릿지(27)와,
    상기 제2 클램프부(58)로부터 상방으로 배선되는 상기 하네스(51) 및 브레이크 호스(50)를 상기 하부 브릿지(27)에 고정하는 제3 클램프부(59)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클램프부(58)와 상기 제3 클램프부(59) 사이에서는, 상기 브레이크 호스(50) 및 상기 하네스(51)가,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40)가 부착되어 있는 쪽으로부터 상기 차륜 속도 센서(49)가 부착되어 있는 쪽으로 볼록해지도록 만곡된 요동부(B1)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2 클램프부(58) 및 상기 제3 클램프부(59)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형 차량.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호스(50)가, 통형상의 프로텍터 부재(501) 및 그 프로텍터 부재(501)에 수용되는 호스 본체(502)를 포함하며,
    상기 하네스(51)의 외경이 상기 프로텍터 부재(501)의 외경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2 클램프부(58)와 상기 제3 클램프부(59) 사이에서 상기 브레이크 호스(50)에 묶이는 상기 하네스(51)가, 상기 브레이크 호스(50)의 후방으로 배선되도록 상기 제2 클램프부(58) 및 상기 제3 클램프부(59)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형 차량.
  •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클램프부(59)가, 차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램프부(58)가 설치되어 있는 쪽과 동일한 쪽으로 치우쳐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형 차량.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클램프부(59)가, 상기 하네스(51)를 유지하는 제3 하네스 고정 수단(742)과, 상기 브레이크 호스(50)를 유지하는 제2 호스 고정 수단(741)을 포함하며,
    상기 제3 하네스 고정 수단(742) 및 상기 제2 호스 고정 수단(741)이,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형 차량.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네스 고정 수단(641), 상기 제2 하네스 고정 수단(642) 및 상기 제1 호스 고정 수단(643)을, 상기 이너 튜브(282R)에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제2 스테이(63)와,
    상기 제3 하네스 고정 수단(742) 및 상기 제2 호스 고정 수단(741)을 일체적으로 상기 이너 튜브(282R)에 고정하는 제3 스테이(73)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형 차량.
  • 说明书全文

    안장형 차량{SADDLED VEHICLE}

    본 발명은, 안장형 차량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전륜의 차륜 속도 센서와, 차륜 속도 센서로부터 인출되는 센서용 하네스와, 센서용 하네스를 전륜 브레이크 호스와 함께 배선하는 부착부를 갖는 안장형 차량에 관한 것이다.

    자동 이륜차나 삼륜차 등 안장형 차량에 있어서, 전륜을 지지하는 프론트 포크에 전륜용 브레이크 호스나 전기식 속도 센서용 케이블이 배선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자동 이륜차에서는, 차체에 대하여 좌우의 일방측, 즉 프론트 디스크 브레이크가 설치되어 있는 쪽과 동일한 쪽에 차륜 속도 검출 장치를 설치하고 있고, 프론트 디스크 브레이크의 캘리퍼로부터 인출되는 브레이크 호스와 차륜 속도 검출 장치의 전자식 회전 센서로부터 인출되는 하네스가 프론트 포크를 따라서 상측을 향해 배선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65949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배선 구조에서는, 브레이크 캘리퍼측에 차륜 속도 센서의 하네스가 배선되기 때문에, 브레이크 호스와 하네스를 묶고, 프론트 포크의 신축에 대비한 느슨함을 부여하여 헤드 파이프 내지는 상부 브릿지 방향으로 배선하면 된다. 그러나, 프론트 포크의 일방측에 싱글 브레이크 디스크를 설치하고, 타방측에 전기식 속도 센서를 설치하는 구성에서는, 브레이크 호스와 하네스를 묶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하네스를, 브레이크 호스와 묶지 않고 단독으로 배선하면, 하네스 자체는 브레이크 호스에 대하여 강성이 낮고 유연성이 있기 때문에, 가령 프론트 포크의 신축에 대응시키기 위해 느슨함을 부여했다 하더라도, 변형의 정도 및 변형의 방향이나 형상을 예측하기 어렵고, 그 때문에, 조향(轉)시에 전차륜 후방에 위치하는 라디에이터 등의 부재와 하네스가 간섭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어려웠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여, 전륜에 대하여 좌우로 나누어져 있는 브레이크 호스와 하네스를 효율적으로 묶을 수 있는 배선 구조를 갖는 안장형 차량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좌우 한 쌍의 이너 튜브(281L, 281R) 및 상기 이너 튜브(281L, 281R)의 하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아우터 튜브(282L, 282R)를 포함하며 상기 아우터 튜브(282L, 282R)의 하단에서 전륜(WF)을 지지하는 프론트 포크(28)와, 디스크 브레이크(40)와, 전륜(WF)의 회전을 검출하는 차륜 속도 센서(49)를 갖는 안장형 차량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40)가, 전륜(WF)의 좌우 일방측에만 설치된 전륜용의 싱글 디스크 브레이크이고, 상기 차륜 속도 센서(49)가, 전륜(WF)의 좌우 타방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브레이크 호스(50) 및 상기 하네스(51)가,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40) 및 상기 차륜 속도 센서(49)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배선되고, 상기 아우터 튜브(282L, 282R) 중 상기 차륜 속도 센서(49)가 설치되어 있는 쪽(282L)의 상부에서 상기 하네스(51)를 고정하는 제1 클램프부(57)와, 상기 아우터 튜브(282L, 282R) 중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40)가 설치되어 있는 쪽(282R)의 상부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프부(57)와 대략 동일한 높이에서 상기 제1 클램프부(57)를 경유하여 배선되는 상기 하네스(51) 및 상기 브레이크 호스(50)를 묶어서 고정하고 그 고정 위치로부터 더욱 상방을 향해 배선하는 제2 클램프부(58)를 구비하는 점에 제1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클램프부(58)가, 상기 제1 클램프부(57)로부터 그 제2 클램프부(58)쪽을 향해서 지향되는 상기 하네스(51)를 그 지향 자세로 고정하는 제1 하네스 고정 수단(641)과, 상기 제1 하네스 고정 수단(641)으로 고정되는 하네스(51)의 지향 방향을 전환시켜,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40)로부터 인출되어 상방으로 배선되는 상기 브레이크 호스(50)를 따르도록 지향시켜 고정하는 제2 하네스 고정 수단(642)을 갖고 있는 점에 제2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클램프부(58)가, 상기 제2 하네스 고정 수단(642)과 대략 동일한 높이에서 브레이크 호스(50)를 고정하는 제1 호스 고정 수단(643)을 더 구비하는 점에 제3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좌우 한 쌍의 이너 튜브(281L, 281R)를, 차체 전방부에 설치되는 헤드 파이프(30)의 하부에서 서로 연결하는 하부 브릿지(27)와, 상기 제2 클램프부(58)로부터 상방으로 배선되는 상기 하네스(51) 및 브레이크 호스(50)를 상기 하부 브릿지(27)에 고정하는 제3 클램프부(59)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클램프부(58)와 상기 제3 클램프부(59) 사이에서는, 상기 브레이크 호스(50) 및 상기 하네스(51)가, 차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40)가 부착되어 있는 쪽으로부터 상기 차륜 속도 센서(49)가 부착되어 있는 쪽으로 볼록해지도록 만곡된 요동부(B1)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2 클램프부(58) 및 상기 제3 클램프부(59)가 구성되는 점에 제4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브레이크 호스(50)가, 통형상의 프로텍터 부재(501) 및 그 프로텍터 부재(501)에 수용되는 호스 본체(502)를 포함하며, 상기 하네스(51)의 외경이 상기 프로텍터 부재(501)의 외경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2 클램프부(58)와 상기 제3 클램프부(59) 사이에서 상기 브레이크 호스(50)에 묶이는 상기 하네스(51)가, 상기 브레이크 호스(50)의 후방으로 배선되도록 상기 제2 클램프부(58) 및 상기 제3 클램프부(59)가 구성되는 점에 제5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3 클램프부(59)가, 차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램프부(58)가 설치되어 있는 쪽과 동일한 쪽으로 치우쳐서 배치되는 점에 제6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3 클램프부(59)가, 상기 하네스(51)를 유지하는 제3 하네스 고정 수단(742)과, 상기 브레이크 호스(50)를 유지하는 제2 호스 고정 수단(741)을 포함하며, 상기 제3 하네스 고정 수단(742) 및 상기 제2 호스 고정 수단(741)이,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는 점에 제7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하네스 고정 수단(641), 상기 제2 하네스 고정 수단(642) 및 상기 제1 호스 고정 수단(643)을 일체적으로 상기 이너 튜브(282R)에 고정하는 제2 스테이(63)와, 상기 제3 하네스 고정 수단(742) 및 상기 제2 호스 고정 수단(741)을 상기 이너 튜브(282R)에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제3 스테이(73)를 구비하는 점에 제8 특징이 있다.

    제1∼8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차속 센서용 하네스는, 좌우 한 쌍인 튜브(이너 튜브 및 아우터 튜브)를 포함하는 프론트 포크의 일방측의 상부에서 제1 클램프부에 의해 고정되고, 프론트 포크의 타방측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 클램프부에 최단 거리로 배선되고, 그 제2 클램프부로 고정되고 브레이크 호스와 묶여서 상방으로 배선되기 때문에, 하네스의 길이를 쓸데없이 길게 하는 경우가 없고, 제1 클램프부 및 제2 클램프부는 모두 스프링 아래에 설치되기 때문에, 프론트 포크의 신축을 고려하여, 제1 클램프부와 제2 클램프부 사이에서 하네스에 느슨함을 부여하는 부분을 설치하거나, 하네스와 전륜 후방의 부재의 간섭을 배려하여 설계하거나 할 필요가 없다.

    제2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하네스를, 제2 클램프부에 설치되는 제1 하네스 고정 수단과 제2 하네스 고정 수단 사이에서 방향 전환시키기 때문에, 이 방향 전환부의 곡률 반경을 최소한으로 설정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스프링 위에서 필요로 되는 하네스 및 브레이크 호스의 만곡된 배선 경로를 확보하기 쉬워진다.

    제3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하네스 및 브레이크 호스가 대략 동일한 높이에서 고정되어 묶이기 때문에, 하네스와 브레이크 호스를 프론트 포크의 신축에 상관없이 동일한 방향으로 지향시키기 쉽다.

    제4 및 제7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차폭 방향에 있어서 일방측으로 만곡된 부분을 형성(즉 타방측으로 개방된 U자형 부분이 형성)되도록 하네스 및 브레이크 호스를 배선하여, 프론트 포크의 신축에 대응할 수 있는 하네스 및 브레이크 호스의 여유를 차폭 방향으로 생기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프론트 포크 후방에 스페이스를 크게 형성할 필요가 없어져, 결과적으로 차량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제5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비교적 강인하게 제작되는 브레이크 호스의 프로텍터 부재에 의해, 차체 전방으로부터 날아오는 먼지나 물 등으로부터 하네스를 보호할 수 있다.

    제6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제3 클램프부가 차폭 방향으로 치우쳐서 배치되기 때문에, 여유를 갖고 하네스 및 브레이크 호스의 만곡된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제8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클램프부 및 제3 클램프부에 있어서, 하네스 및 브레이크 호스를 공통의 스테이로 프론트 포크에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스테이의 수를 적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안장형 차량인 자동 이륜차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3은 프론트 포크 및 전륜을 나타내는 도 2의 후방으로부터 본 후면도이다.
    도 4는 하부 브릿지 및 프론트 포크를 Z 방향으로부터 본 차량의 주요부 후면도이다.
    도 5는 하부 브릿지 및 프론트 포크를 차체 좌측 아래로부터 본 차량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6은 하부 브릿지 및 프론트 포크를 차체 좌측 위로부터 본 차량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7은 하부 브릿지 및 프론트 포크를 차체 좌측 위 후방으로부터 본 차량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8은 제2 클램프부를 나타낸 도 4에서의 8-8 화살표 방향 단면도이다.
    도 9는 제3 클램프부를 나타낸 도 4에서의 9-9 화살표 방향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1 클램프부를 지지하는 제1 스테이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2 클램프부를 구성하는 누름 금구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하네스의 길이를 브레이크 호스의 길이보다 길게 한 요동부(B1)의 예를 나타내는 하부 브릿지 및 프론트 포크를 후방으로부터 본 차량의 주요부 후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안장형 차량인 자동 이륜차의 좌측면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 확대도, 도 3은 프론트 포크 및 전륜(WF)을 나타내는 도 2의 후방으로부터 본 후면도이다. 도 1∼도 3 및 그 밖의 각 도면에서 화살표와 함께 기재한 부호는 자동 이륜차에서의 방향을 나타내고, 부호 Fr은 전방, 부호 Rr은 후방, 부호 R은 오른쪽, 부호 L은 왼쪽을 각각 나타낸다.

    도 1에서, 자동 이륜차(1)는, 단기통 4사이클 수냉 엔진(2)을 탑재한다. 자동 이륜차(1)의 차체 프레임(3)은, 헤드 파이프(30)의 상단 근처에 선단부가 접합되어 아래로 비스듬히 후방으로 연장되는 메인 프레임(31)과, 헤드 파이프(30)의 하단 근처에 선단부가 접합되어 아래로 비스듬히 후방으로 연장되는 다운 프레임(32)과, 메인 프레임(31)의 중간부로부터 위로 비스듬히 후방으로 연장되는 시트 프레임(33)과, 시트 프레임(33)에 후방부에서 접합되어 있고, 시트 프레임(33)과 거의 평행하고 약간 앞쪽이 내려가게 배치되는 서브 프레임(34)과, 메인 프레임(31)의 후단부 및 서브 프레임(34)의 전단부에 접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행거 브래킷(35)을 포함하고 있다. 시트 프레임(33)과 서브 프레임(34) 사이에는 리브(41, 42)가 설치된다. 차체 프레임(3)을 구성하는 전술한 각 부재는 차체의 좌우에 각각 설치되어 쌍을 이루고 있다.

    엔진(2)은, 실린더부(21), 크랭크실(22) 및 감속기부(23)를 구비한다. 실린더부(21)의 후방부에는 흡기관(24)이 접속되고, 흡기관(24)의 단부는 에어클리너(4) 내부에 연통된다. 실린더부(21)의 전방부에는 배기관(25)이 연결되고, 배기관(25)은 차체 하방을 우회하여 차체 후방부의 머플러(5)에 연결된다. 엔진(2)은, 행거 브래킷(35) 및 다운 프레임(32)의 하부에 결합되어 지지된다. 다운 프레임(32)에는, 엔진(2)의 냉각수가 순환되는 라디에이터(43)가 부착된다.

    헤드 파이프(30)에는, 도시하지 않은 스티어링 스템을 상하 방향으로 지향시켜 배치하고 있고, 스티어링 스템의 상하에는, 각각 상부 브릿지(26) 및 하부 브릿지(27)가 결합된다. 이들 상부 브릿지(26) 및 하부 브릿지(27)에 의해 프론트 포크(28)가 지지된다. 헤드 파이프(30)에는, 차체 전방을 향해서 스테이(36)가 연장되어 있고, 이 스테이(36)에 의해 헤드라이트(7) 및 미터 장치(8)가 지지된다. 프론트 포크(28)의 하단부에는 전륜(WF)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륜축(29)이 설치된다.

    상부 브릿지(26)의 상부에는 스티어링 핸들(6)이 부착되고, 스티어링 핸들(6)에는, 그립(44)(우측 그립(44R), 좌측 그립(44L)) 및 미러(45)가 부착된다. 우측 그립(44R)의 차체 중앙 근처에 인접하여, 유압으로 구동되는 전륜 디스크 브레이크용의 마스터 실린더(80)가 설치된다. 또한, 마스터 실린더(80)를 작동시키는 프론트 브레이크 레버(81)가 우측 그립(44R)의 전방에 인접하여 설치된다(도 3 참조).

    차체 프레임(3)에 접합되는 행거 브래킷(35)에는,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봇(9)이 설치되고, 이 피봇(9)에 의해 스윙 아암(10)의 전방부가 상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윙 아암(10)의 후단부에는 후륜축(11)이 설치되고, 후륜축(11)에 의해 구동륜인 후륜(WR)이 지지된다. 감속기부(23)의 출력축(46)에는 구동 스프로켓(37a)이 결합되고, 후륜축(11)에는 종동측 스프로켓(37b)이 결합되어 있고, 양 스프로켓 사이에 구동용 체인(12)이 걸쳐 있어 엔진(2)의 출력이 후륜(WR)에 전달된다.

    스윙 아암(10)은 전단부가 피봇(9)에 의해 지지되고, 쿠션 유닛(13)에 의해 중간부가 지지된다. 쿠션 유닛(13)은, 스윙 아암(10)의 피봇(9)과 후륜(WR) 사이에서 스윙 아암(10)과 차체 프레임(3)(여기서는 행거 브래킷(35))에 연결된다. 쿠션 유닛(13)의 상단부는 배터리(19)의 전방에서 행거 브래킷(35)에 지지되고, 하단부는 스윙 아암(10)보다 하방에 배치되는 링크 기구(14)를 통해 스윙 아암(10)에 연결된다. 즉 스윙 아암(10)에 접합되어 하방으로 돌출된 스테이(15)에 연결된다.

    메인 프레임(31)과 시트 프레임(33) 위의 전방부에는 연료 탱크(16)가, 후방부에는 탑승자 시트(17)가 각각 배치되고, 탑승자 시트(17)의 앞쪽 하방에는 에어클리너(4)가 배치된다. 시트 프레임(33)과 리어 프레임(34)에 의해 리어 펜더(18)가 지지되고, 행거 브래킷(35)의 상부 근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다. 리어 펜더(18)는, 후륜(WR)의 상방에 위치하여 진흙이나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는 흙받이로서 기능하고, 상부는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적어도 배터리(19)의 수납부를 포함하는 물품 수납 케이스(물품 수납부)로서 이용된다. 탑승자 시트(17)의 후방에는 리어 램프 유닛(48)이 설치된다.

    프론트 포크(28)는 상부 브릿지(26) 및 하부 브릿지(27)에 의해 상부 및 하부에서 서로 연결되는 이너 튜브(281)와, 이너 튜브(281)의 하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아우터 튜브(282)를 구비한다. 이너 튜브(281)는 헤드 파이프(30)의 오른쪽 앞에 위치하는 우측 이너 튜브(281R)와 헤드 파이프(30)의 왼쪽 앞에 위치하는 좌측 이너 튜브(281L)를 포함하며, 아우터 튜브(282)는, 전륜(WF)을 우측에서 지지하는 우측 아우터 튜브(282R)와 전륜(WF)을 좌측에서 지지하는 좌측 아우터 튜브(282L)를 포함한다. 우측 아우터 튜브(282R)와 좌측 아우터 튜브(282L)는 펜더 브래킷(52)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전륜(WF)의 우측에는, 전륜 디스크 브레이크(40)를 구성하는 전륜 브레이크용 디스크(이하 단순히 「디스크」라고 함)(39)와 브레이크 캘리퍼(47)가 설치된다. 디스크(39)는 후륜(WF)의 휠에 결합되고, 브레이크 캘리퍼(47)는 프론트 포크(28)의 우측 아우터 튜브(282R)에 고정된다. 브레이크 캘리퍼(47)로부터 상방으로 브레이크 호스(50)가 인출되어, 스티어링 핸들(6)에 부착되는 마스터 실린더(80)에 연결된다.

    프론트 포크(28)의 좌측 아우터 튜브(282L)의 하단에는, 전륜(WF)의 회전 속도를 검지하는 전기식 차륜 속도 센서(49)가 설치된다. 차륜 속도 센서(49)에 전원을 공급하여, 속도 검지 신호를 얻기 위한 전원선, 접지선(GND) 및 신호선을 포함하는 하네스(51)가 차륜 속도 센서(49)로부터 상방으로 인출되어, 미터 장치(8) 내의 도시하지 않은 센서 출력 수용부에 접속된다. 또, 차륜 속도 센서(49)는 전륜(WF)의 회전을 검출하는 것이면 되고, 용도가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차륜 속도 센서(49)의 검출 출력에 의해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여 미터 장치(8) 내의 속도 미터에 표시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엔진의 제어, 혹은 ABS(Anti lock Brake System)용 센서로서 이용하는 것이어도 좋다.

    좌측 아우터 튜브(282L)를 따라서 상방으로 배선되는 하네스(51)는 좌측 아우터 튜브(282L)의 상부에 부착되는 제1 클램프부(57)에 고정되고, 제1 클램프부(57)에서 우측 아우터 튜브(282R)쪽으로 안내된다. 우측 아우터 튜브(282R)쪽으로 안내되는 하네스(51)는 우측 아우터 튜브(282R)의 상부에 부착되는 제2 클램프부(58)에 고정되고, 배선 방향이 상방 내측을 향해서 전환된다. 한편, 우측 아우터 튜브(282R)를 따라서 상방으로 배선되는 브레이크 호스(50)는 제2 클램프부(58)에 고정되어 상방 내측을 향해서 배선된다.

    제2 클램프부(58)에는, 적어도 제2 클램프부(58) 및 하부 브릿지(27) 사이에서, 상방으로 방향 전환된 하네스(51)가 브레이크 호스(50)를 따라서 배선되도록, 하네스(51)가 브레이크 호스(50)에 묶인다.

    제2 클램프부(58)로 묶인 하네스(51) 및 브레이크 호스(50)는, 하부 브릿지(27)에 부착되는 제3 클램프부(59)에 고정된다. 하네스(51) 및 브레이크 호스(50)가, 제2 클램프부(57) 및 제3 클램프부(59) 사이에서 차체 좌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요동부(B1)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제2 클램프부(58) 및 제3 클램프부(59)에 대한 하네스(51) 및 브레이크 호스(50)의 고정 위치, 혹은 제2 클램프부(58) 및 제3 클램프부(59)에 의한 하네스(51) 및 브레이크 호스(50)의 지향 방향을 설정한다. 요동부(B1)는, 제2 클램프부(58)와 제3 클램프부(59) 사이에서 브레이크 호스(50)나 하네스(51)가 프론트 포크(28)의 신축에 따라서 요동했을 때, 자유롭게 곡률을 변화시켜 변형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를 확보하는 데 효과가 있다.

    제3 클램프부(59)로부터 상방에서, 브레이크 호스(50) 및 하네스(51)는, 거의 우측 이너 튜브(281R)를 따라서 배선되어, 마스터 실린더(80) 및 미터 장치(8)에 각각 접속된다.

    요동부(B1)에서는, 프론트 포크(28)의 신축 동작에 따라서 제2 클램프부(58) 및 제3 클램프부(59) 사이에서 하네스(51) 및 브레이크 호스(50)가 차체 좌우 방향으로 요동한다.

    브레이크 호스(50) 및 하네스(51)의 배선 경로, 및 제1, 제2 및 제3 클램프부(57, 58, 59)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4는 하부 브릿지(27) 및 프론트 포크(28)에 직교하는 Z 방향으로부터 본 차량의 주요부 후면도, 도 5는 하부 브릿지(27) 및 프론트 포크(28)를 차체 좌측 아래로부터 본 차량의 주요부 사시도, 도 6은 하부 브릿지(27) 및 프론트 포크(28)를 차체 좌측 위로부터 본 차량의 주요부 사시도, 도 7은 하부 브릿지(27) 및 프론트 포크(28)를 차체 좌측 위 후방으로부터 본 차량의 주요부 사시도, 도 8은 제2 클램프부(58)를 나타낸 도 4에서의 8-8 화살표 방향 단면도, 도 9는 제3 클램프부(59)를 나타낸 도 4에서의 9-9 화살표 방향 단면도이다.

    우선, 도 4∼도 8에서, 우측 아우터 튜브(282R)와 좌측 아우터 튜브(282L) 사이를 연결하는 펜더 브래킷(52)이 설치된다. 펜더 브래킷(52)은, 전륜(WF)의 상방에 걸쳐 있고, 그 좌우단은, 우측 아우터 튜브(282R) 및 좌측 아우터 튜브(282L)로부터 각각 전후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우측 보스(53R) 및 좌측 보스(53L)에 볼트(54), 너트(55)로 이루어진 체결 부재로 결합된다.

    우측 보스(53R) 및 좌측 보스(53L)와 펜더 브래킷(52)의 좌우단과의 사이에는 고무 부시(56R, 56L)가 개재되고, 이 고무 부시(56R, 56L)를 통해 펜더 브래킷(52)과 함께 프론트 펜더(38)가 러버 마운트 형식으로 우측 아우터 튜브(282R) 및 좌측 아우터 튜브(282L)에 부착된다.

    좌측 아우터 튜브(282L)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 클램프부(57)는, 좌측 보스(53L)의 차폭방향 외측(도 4의 도시 좌측)에 접촉되어 볼트(54L) 및 너트(55L)에 의해 고정되는 제1 클램프부 스테이(이하 「제1 스테이」라고 함)(60)와, 제1 스테이(60)에 의해 지지되는 고무 또는 수지로 이루어진 통형상의 그로밋(61)을 포함한다. 제1 스테이(60)는, 좌측 보스(53L)에 부착되는 부착부(601)와, 그로밋(61)을 유지하기 위해 그로밋(61)의 외측 둘레를 따르도록 고리형으로 형성된 하네스 제1 클램프(602)를 구비한다. 하네스 제1 클램프(602)는, 좌측 아우터 튜브(282L)의 상부 후방에서, 중심으로부터 우측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그로밋(61)을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하네스 제1 클램프(602)는, 유지되는 하네스(51)가 클램프(602)의 우측에서 제2 클램프부(58)로 지향하도록, 또한 하네스 제1 클램프(602)의 좌측에서는 좌측 아우터 튜브(282L)를 따라서 하방으로 지향하도록 오른쪽이 올라가게, 즉 왼쪽이 내려가게 배치된다.

    제1 스테이(60)의 상기 부착부(601)의 하단에는, 그로밋(61)으로 유지되는 하네스(51)가 완만하게 호를 그리며 좌측 아우터 튜브(282L)를 따르고, 또한 좌측 아우터 튜브(282L)로부터 좌측으로 튀어 나오지 않게 배선되도록 하네스 가이드(62)가 용접된다. 하네스 가이드(62)는 고리형으로 형성되는 금속선(예컨대 강선)으로 이루어진다. 제1 스테이(60)의 형상은 도 10에 관해 더 후술한다.

    우측 아우터 튜브(282R)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 클램프부(58)는, 우측 보스(53R)의 외측, 즉 우측에 접촉되어 볼트(54R) 및 너트(55R)에 의해 고정되는 제2 클램프부 스테이(이하 「제2 스테이」라고 함)(63)와, 제2 스테이(63)에 용접되는 누름 금구(64)와, 누름 금구(64)에 의해 제2 스테이(63)에 유지되는 3개의 그로밋(67, 68 및 69)을 구비한다. 그로밋(67 및 68)은 하네스(51)를 유지하는 것이고, 제1 클램프부(57)의 그로밋(61)과 동일 또는 동등품이다. 한편, 그로밋(69)은 브레이크 호스(50)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네스(51)용의 그로밋(67, 68)보다는 큰 사이즈로 형성된다.

    제2 스테이(63)는, 우측 보스(53R)에 볼트(54R) 및 너트(55R)로 부착되는 부착부(631)를 포함하고, 제2 스테이(63)에 용접되는 하네스 누름 금구(64)는, 하네스(51)가 통과하는 그로밋(67, 68)의 외측 둘레의 거의 절반을 각각 따르도록 만곡시킨 제1 하네스 고정 수단인 하네스 제2 클램프(641)와 하네스 제3 클램프(642)(제2 하네스 고정 수단)를 형성한다. 또한, 누름 금구(64)에는, 그로밋(69)의 외측 둘레를 따르도록 고리형으로 형성되는 제1 호스 고정 수단으로서의 호스 제1 클램프(643)가 설치된다. 누름 금구(64)는, 이 누름 금구(64) 및 제2 스테이(63)를 관통하는 볼트(70) 및 볼트(70)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71)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하네스 제2 클램프(641), 하네스 제3 클램프(642) 및 호스 제1 클램프(643)는, 도 4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우측 아우터 튜브(282R)의 상부 후방에서, 우측 아우터 튜브(282R)의 중심으로부터 좌측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그로밋(67, 68 및 69)을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하네스 제2 클램프(641)는, 유지되는 하네스(51)가 하네스 제2 클램프(641)의 좌측에서 제1 클램프부(57)로 지향하도록, 또한 하네스 제2 클램프(641)의 우측에서는 하네스(51)의 지향 방향을 좌상측으로 전환하도록 오른쪽이 내려가게, 즉 왼쪽이 올라가게 배치된다.

    제2 하네스 고정 수단으로서의 하네스 제3 클램프(642)는, 하네스 제2 클램프(641)에 의해 방향 전환되어 좌상측으로 지향된 하네스(51)가 그대로 좌측으로 배선되도록 왼쪽이 올라가게, 즉 오른쪽이 내려가게 배치된다. 하네스 제3 클램프(642)의 경사 각도(수평으로부터의 각도)는, 제2 하네스 클램프(641)보다 크다. 즉, 제2 클램프부(58)보다 상방에서는, 하네스(51)가 보다 위를 향해 배선된다. 호스 제1 클램프(643)는, 하네스 제3 클램프(642)와 거의 평행하고, 또한 하네스 제3 클램프(642)의 후방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2 클램프부(58)보다 상방에서는, 하네스(51)는 브레이크 호스(50)를 따라서 브레이크 호스(50)의 배후(차체 후방측)로 배선된다.

    도 8에서, 하네스 제2 클램프(641) 및 하네스 제3 클램프(642)에 의해 유지되는 하네스(51)는, 차륜 속도 센서(49)에 전력을 공급하여 신호를 검지할 만큼의 비교적 소전류를 흘리기 위해 사용되는 전선으로서, 플러스 전압선(511), 접지선(512), 신호선(513)을 포함하고, 이들을 비닐 외피(514)로 피복한 것이며, 강성이 낮고 유연성이 있는 것이다. 또한, 호스 제1 클램프(643)에 의해 유지되는 브레이크 호스(50)는 프로텍터 튜브(501)와, 프로텍터 튜브(501)에 수용되는 호스 본체(502)를 포함한다. 브레이크 호스(50)의 외경(프로텍터 튜브(501)의 외경)은, 하네스(51)의 외경(외피(514)의 외경)보다 크다. 이것에 의해, 브레이크 호스(50)보다 후방으로 배선되는 하네스(51)는, 제2 클램프부(58)보다 상방, 또한 제3 클램프부(62)의 하방에서는 브레이크 호스(50)의 배후에 가려진다.

    하네스(51)를 브레이크 호스(50)의 배후에 가려지도록 배선함으로써, 전방으로부터의 먼지나 물 등으로부터 하네스(51)가 잘 오염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하네스(51)는 브레이크 호스(50)보다 외경이 작기 때문에 자유 변형하는 범위는 넓어, 변형 범위를 예측하기 어렵지만, 최소 곡률 반경은 하네스(51)보다 브레이크 호스(50)쪽이 작은 것도 상정된다. 예컨대, 하네스(51)의 최소 곡률 반경은 30 mm이며, 브레이크 호스(50)의 최소 곡률 반경은 25 mm이다. 따라서, 요동부(B1)에 있어서, 하네스(51)를 브레이크 호스(50)의 배후에 가려지도록 배선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각각의 최소 곡률 반경에 따라서, 요동부(B1)에서의 하네스(51)의 곡률 반경을 브레이크 호스(50)의 곡률 반경보다 커지도록, 이 요동부(B1)에서는, 하네스(51)의 길이가 브레이크 호스(50)의 길이보다 길게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요동부(B1)에서 하네스(51)는 비교적 큰 반경으로 여유를 부여하여 배선할 수 있다.

    도 12는, 하부 브릿지 및 프론트 포크를 후방으로부터 본 차량의 주요부 후면도이며, 하네스(51)의 길이를 브레이크 호스(50)의 길이보다 길게 한 요동부(B1)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 4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하네스(51)는 브레이크 호스(50)의 배후에 가려져 있지는 않지만, 허용되는 범위에서 보다 큰 곡률 반경으로 배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도 6 및 도 9에서, 하부 브릿지(27)에는, 제3 클램프부(59)를 위한 보스(271)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보스(271)에는 암나사(272)가 형성된다. 제3 클램프부(59)는, 상기 암나사(272)에 하방으로부터 조여지는 볼트(72)에 의해 하부 브릿지(27)의 하면에 부착되는 스테이(이하 「제3 스테이」라고 함)(73)를 갖는다. 또한, 제3 클램프부(59)는, 하네스(51) 및 브레이크 호스(50)를 제3 스테이(73)에 고정하는 유지 금구(74)를 갖고 있고, 유지 금구(74)는 볼트(75) 및 너트(76)를 사용하여 제3 스테이(73)에 결합된다. 유지 금구(74)는, 그로밋(77)을 통해 브레이크 호스(50)를 유지하기 위해, 그로밋(77)의 외측 둘레에 접촉하는 제2 호스 고정 수단으로서의 호스 제2 클램프(741)와, 브레이크 호스(50)에 평행하며 프론트 포크(28)에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고, 그로밋(78)을 통해 하네스(51)를 유지하기 위해, 그로밋(78)의 외측 둘레에 접촉하는 제3 하네스 고정 수단으로서의 하네스 제4 클램프(742)를 갖는다. 즉, 호스 제2 클램프(741) 및 하네스 제4 클램프(742)는 일체의 부품인 유지 금구(74)에 의해 스테이(73)를 통해 하부 브릿지(27)의 하방 좌측에 배치된다.

    호스 제2 클램프(741)는 브레이크 호스(50)를 차폭 방향으로 지향시켜 유지하고, 하네스 제4 클램프(742)는 브레이크 호스(50)의 배후에서, 하네스(51)를 차폭 방향으로 지향시켜 유지한다. 이 때문에, 호스 제2 클램프(741) 및 하네스 제4 클램프(742)는 차폭 방향으로 지향시켜 대략 수평으로 배치된다. 브레이크 호스(50)는, 제3 클램프부(59)로부터 상방에 있어서 마스터 실린더(80)와의 사이에서 또한 안내부인 호스 밴드(90)나 와이어(91) 등에 의해 차체에 지지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네스(51)는, 제3 클램프부(59)로부터 상방에서, 밴드(92)를 이용하여 헤드 파이프(3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브래킷(30a)(도 9 참조) 등에 지지시킬 수 있다.

    제3 스테이(73)의 차체 후방측 단부에는, 헤드라이트(7)와 미터 장치(8)와 배터리(19) 및 도시하지 않은 ECU 등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시하지 않은 메인 하네스를 유지하는 누름 금구(와이어)(93)의 우단부가 용접된다.

    도 10은 상기 제1 스테이(60)의 사시도이다. 도 10에서, 제1 스테이(60)는 판부재(예컨대 금속판)를 굴곡시켜 형성되고, 그 제1 스테이(60)가 좌측 보스(53L)에 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부착부(601)를 형성하는 판부재의 양단부(60E, 60F)는 서로 떨어져 있어 개방되어 있고, 좌측 보스(53L)에 부착된 상태로 양단부(60E, 60F)가 겹쳐서 부착부(601)가 폐쇄된다. 양단부(60E, 60F)에는, 볼트(54L)를 통과시킬 수 있는 관통 구멍(60c, 60d)이 각각 형성된다. 도 10에는, 제1 스테이(60)와 함께 하네스 제1 클램프(602)에 의해 유지되는 그로밋(61)의 사시도를 함께 나타내고 있다. 그로밋(61)에는 하네스(51)가 통과되어, 이 상태로 그로밋(61)이 하네스 제1 클램프(602)에 유지된다. 그로밋(61)은 양단에 플랜지(611)를 갖는 통체이며, 고무, 수지 등의 탄성 부재로 형성된다. 따라서, 그로밋(61)이 하네스(51)의 둘레에 눌려지면, 고무의 반발력 내지는 탄력으로 하네스(51)가 체결되고, 플랜지(611)가 제1 스테이(60)의 단부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제1 스테이(60)에 대한 하네스(51)의 위치가 고정된다.

    도 11은 제2 클램프부(58)를 구성하는 누름 금구(64)의 사시도이다. 도 11에서, 제2 스테이(63)에 일단이 용접되는 누름 금구(64)는, 하네스(51)의 외피의 외경에 적합한 곡률로 만곡 성형된 하네스 제2 클램프(641)와, 하네스 제3 클램프(642)와, 호스 제1 클램프(643)를 구비하고, 이들 하네스 제2 클램프(641), 하네스 제3 클램프(642) 및 호스 제1 클램프(643)를 구비하는 누름 금구(64)는, 1장의 강판에 의해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이 일체형의 누름 금구(64)에 의해 그로밋(67, 68)을 유지하여 하네스(51)의 위치를 고정하고, 호스용 그로밋(69)을 함께 지지할 수 있다. 서로 용접된 누름 금구(64) 및 제2 스테이(63)에는, 이들 누름 금구(64) 및 제2 스테이(63)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632)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 구멍(632)과 누름 금구(64)의 타단에 형성되는 관통 구멍(644)을 관통시키는 볼트(70) 및 너트(71)를 사용하여 누름 금구(64)의 양단이 체결되어, 그로밋(67, 68 및 69)은 원하는 위치에서 지지된다. 제2 스테이(63)에는 좌측 아우터 튜브(282L)의 좌측 보스(53L)에 부착하기 위한 볼트(55L)를 통과시킬 수 있는 관통 구멍(631)이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1 클램프부(57)에 의해 고정된 하네스(51)가 전륜(WF)에 걸쳐 제1 클램프부(57)와는 반대측의 제2 클램프부(58)로 안내되고, 제2 클램프부(58)에서 일단 고정되어 브레이크 호스(51)에 묶일 수 있다. 그리고, 하나로 묶인 하네스(51)와 브레이크 호스(50)가 프론트 펜더(38)와 하부 브릿지(27) 사이에서 차폭 방향 내측으로 만곡된 요동부(B1)를 형성하도록 제2 클램프부(58)와 제3 클램프부(59)가 구성된다. 이 요동부(B1)는, 프론트 포크(28)의 신축 동작에 대응하여 좌측 아우터 튜브(282L) 및 우측 아우터 튜브(282R)의 사이에서 주로 차폭 방향에서 변위하여, 차체 전후 방향에서의 변위를 작게 할 수 있고, 하네스(51)는, 브레이크 호스(50)에 묶여 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요동부(B1)에서의 차체 전후 방향의 변위량은 대강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론트 포크(28)의 조향시에, 프론트 포크(28) 및 전륜(WF)에 대한 후방의 인접 부재, 예컨대 라디에이터(43)나 배기관(25)과의 간격을 높은 정밀도로 단축하더라도 인접 부재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자동 이륜차(1)의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고 효율적인 레이아웃의 설계가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한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고 상기 실시형태를 변형하여 안장형 차량(안장형 이륜차뿐만 아니라 안장형 삼륜차나 사륜차)에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제3 클램프부(57, 58, 59)를 구성하는 제1∼제3 스테이(60, 63, 73)는, 하네스(51)나 브레이크 호스(50)를 유지하여, 제1∼제3 클램프부(57, 58, 59)에 하네스(51)나 브레이크 호스(50)를 상기 방향으로 지향시키도록 되어 있으면, 형상은 임의이다. 특히, 제2 및 제3 클램프부(58, 59)는 하네스(51) 및 브레이크 호스(50)를 공통의 금구로 제2 스테이(63)나 제3 스테이(73)에 부착하도록 했지만, 하네스(51) 및 브레이크 호스(50)를 각각 개별의 금구를 사용하여 부착해도 좋다.

    1 : 자동 이륜차 27 : 하부 브릿지
    28 : 프론트 포크 29 : 전륜축
    30 : 헤드 파이프 39 : 브레이크 디스크
    40 : 디스크 브레이크 47 : 브레이크 캘리퍼
    49 : 차륜 속도 센서 50 : 차륜 속도 센서용 하네스
    51 : 브레이크 호스 52 : 펜더 브래킷
    57 : 제1 클램프부 58 : 제2 클램프부
    59 : 제3 클램프부 60 : 제1 스테이
    63 : 제2 스테이 73 : 제3 스테이
    61, 67, 68, 78 : 하네스용 그로밋 69, 77 : 호스용 그로밋
    281L, 281R : 이너 튜브 282L, 282R : 아우터 튜브
    641 : 하네스 제2 유지부(제1 하네스 고정 수단)
    642 : 하네스 제3 유지부(제2 하네스 고정 수단)
    643 : 호스 제1 유지부(제1 호스 고정 수단)
    741 : 호스 제2 유지부(제2 호스 고정 수단)
    742 : 하네스 제4 유지부(제3 하네스 고정 수단)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