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 이륜차

申请号 KR1020167010900 申请日 2013-09-27 公开(公告)号 KR1020160061400A 公开(公告)日 2016-05-31
申请人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发明人 다구마다카히로; 요시무라가즈노리; 가토다쿠미;
摘要 좌우의사이드보디커버(35L, 35R)가, 차체(20)의측방을덮고, 테일라이트유닛(62)을사이에두도록하여, 각각좌우의시트레일(14L, 14R)에부착되는자동이륜차이다. 리어센터로어커버(50)는, 커버중앙부착부(51), 커버좌측부착부(52L) 및커버우측부착부(52R)를갖는다. 커버중앙부착부(51)는, 라이트중앙부착부(65) 및중앙부착부(46)와함께, 제2 크로스플레이트(27)에부착된다. 커버좌측부착부(52L) 및커버우측부착부(52R)는, 리어펜더(40)의적어도일부를아래로부터덮도록, 각각리어펜더(40)에부착된다.
权利要求
  • 후륜의 상방에 배치되어 시트를 지지하는 시트 레일과,
    상기 시트 레일에 설치되어 후방으로 발광하는 테일라이트 유닛과,
    상기 시트 레일에 설치되어 차체의 측방을 덮고 상기 테일라이트 유닛을 사이에 두도록 덮는 좌우의 사이드 보디 커버와,
    상기 시트 레일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상기 후륜이 튀기는 흙탕물의 확산을 억제하는 리어 펜더와,
    상기 테일라이트 유닛의 하방을 덮는 리어 센터 로어 커버
    를 포함하는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상기 리어 펜더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시트 레일의 차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리어 센터 로어 커버는 차폭 방향에 대해 상기 좌우의 사이드 보디 커버와 상기 리어 펜더 사이에 개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펜더는 수평부와 후방 하향부를 구비하고,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후방 하향부의 폭은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리어 센터 로어 커버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센터 로어 커버는 상기 리어 펜더의 적어도 일부를 아래로부터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센터 로어 커버의 하부에 차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좌우의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좌우의 절곡부는 상기 후방 하향부의 양단부보다 차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는 상기 리어 센터 로어 커버를 향해 차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절곡부와 상기 후방 하향부에 의해 미로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펜더의 후면은,
    차량을 특정하는 정보가 기재되어 있는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리어 펜더에 상기 플레이트 부재를 부착하는 체결 부재와,
    상기 리어 펜더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 부재를 조사(照射)하는 조명등
    을 포함하며, 상기 리어 센터 로어 커버는 상기 조명등을 상방으로부터 덮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
  • 说明书全文

    자동 이륜차{TWO-WHEELED MOTOR VEHICLE}

    본 발명은 리어 펜더가 좌우의 사이드 보디 커버로 덮여 있는 자동 이륜차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후방부에 차체의 차폭 방향 측부를 덮는 좌우의 사이드 보디 커버를 구비하고, 이들 좌우의 사이드 보디 커버로 리어 펜더의 상부도 덮고 있는 자동 이륜차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자동 이륜차는, 차체의 후방부에 좌우의 시트 레일이 연장되고, 이들 좌우의 시트 레일이, 좌우의 사이드 보디 커버로 덮여 있다. 또한, 좌우의 시트 레일의 후방부에 리어 펜더가 설치되고, 이 리어 펜더의 차폭 방향 측방을, 리어 펜더의 상부 좌우 단부로부터 기립하도록 하여, 좌우의 사이드 보디 커버로 덮고 있다. 리어 펜더의 상부 좌우 단부는 좌우의 사이드 보디 커버에 연속되도록 차폭 방향으로 확대되어 있어, 후륜이 튀기는 흙탕물의 확산을 방지한다.

    그러나, 리어 펜더의 크기는, 사이드 보디 커버를 지지하는 좌우의 시트 레일 사이의 폭에 의존하여, 리어 펜더가, 후륜의 폭에 대해 비대해지고 있다. 그래서, 좌우의 시트 레일 사이의 폭을 유지하고, 리어 펜더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2-46142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는, 좌우의 시트 레일 사이의 폭을 유지하고, 리어 펜더를 소형화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후륜의 상방에 배치되어 시트를 지지하는 시트 레일과, 시트 레일에 설치되어 후방으로 발광하는 테일라이트 유닛과, 시트 레일에 설치되어 차체의 측방을 덮고 테일라이트 유닛을 사이에 두도록 덮는 좌우의 사이드 보디 커버와, 시트 레일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후륜이 튀기는 흙탕물의 확산을 억제하는 리어 펜더와, 테일라이트 유닛의 하방을 덮는 리어 센터 로어 커버를 포함하는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리어 펜더는 적어도 일부가 시트 레일의 차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고, 리어 센터 로어 커버는 차폭 방향에 대해 좌우의 사이드 보디 커버와 리어 펜더 사이에 개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가 제공된다.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에서는, 리어 펜더는, 바람직하게는, 수평부와 후방 하향부를 구비하고,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 하향부의 폭은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리어 센터 로어 커버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에서는, 리어 센터 로어 커버는, 바람직하게는, 리어 펜더의 적어도 일부를 아래로부터 덮는다.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는, 리어 센터 로어 커버의 하부에 차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좌우의 절곡부가 형성되고, 이들 좌우의 절곡부는 후방 하향부의 양단부보다 차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수평부는 리어 센터 로어 커버를 향해 차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이 돌출부와 절곡부와 후방 하향부에 의해 미로 구조를 형성한다.

    청구항 6에 따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는, 리어 펜더의 후면은, 차량을 특정하는 정보가 기재되어 있는 플레이트 부재와, 리어 펜더에 플레이트 부재를 부착하는 체결 부재와, 리어 펜더의 상부에 설치되고, 플레이트 부재를 조사(照射)하는 조명등을 구비하며, 리어 센터 로어 커버는 조명등을 상방으로부터 덮도록 설치된다.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에서는, 리어 펜더는 적어도 일부가 시트 레일의 차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고, 리어 센터 로어 커버는 차폭 방향에 대해 좌우의 사이드 보디 커버와 리어 펜더 사이에 개재한다. 리어 펜더의 차폭 방향의 폭을 좌우의 시트 레일의 폭 내로 억제하고, 좌우의 사이드 보디 커버 사이는 리어 센터 로어 커버로 덮는다. 결과, 좌우의 시트 레일 사이의 폭을 유지하고, 리어 펜더를 소형화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에서는, 리어 펜더는 수평부와 후방 하향부를 구비한다.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 하향부의 폭은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리어 센터 로어 커버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기 때문에, 후방 하향부를 작게 형성할 수 있다. 결과, 전체로서도 리어 펜더를 보다 소형화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에서는, 리어 센터 로어 커버는 리어 펜더의 적어도 일부를 아래로부터 덮는다. 리어 센터 로어 커버에 의해, 리어 펜더의 적어도 일부를 아래로부터 덮기 때문에, 리어 펜더와 리어 센터 로어 커버 사이는 연속된다. 리어 펜더, 리어 센터 로어 커버 및 좌우의 사이드 보디 커버는 연속되기 때문에,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리어 펜더의 폭을, 좌우의 시트 레일 사이의 폭에 의존시키지 않고, 후륜이 튀기는 흙탕물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 좌우의 시트 레일 사이의 폭을 유지하고, 리어 펜더를 소형화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에서는, 리어 센터 로어 커버의 하부에 차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좌우의 절곡부가 형성된다. 좌우의 절곡부는 후방 하향부의 양단부보다 차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리어 센터 로어 커버와 리어 펜더를 겹칠 수 있고, 후륜으로부터 튀어 올라온 흙탕물이, 리어 센터 로어 커버 내에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덧붙여, 리어 센터 로어 커버의 상방에 설치되는 테일라이트 유닛도, 흙탕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에서는, 수평부는 리어 센터 로어 커버를 향해 차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구비한다. 돌출부와 절곡부와 후방 하향부에 의해 미로 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에, 한층 더 리어 센터 로어 커버 내에 흙탕물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덧붙여, 테일라이트 유닛도, 한층 더 흙탕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따른 발명에서는, 리어 펜더의 상부에 플레이트 부재를 조사하는 조명등이 설치된다. 조명등은 리어 센터 로어 커버에 덮여지기 때문에, 리어 센터 로어 커버를 벗김으로써, 조명등을 정비할 수 있다. 결과, 조명등의 정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리어 센터 로어 커버를 채용한 자동 이륜차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 이륜차의 후방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동 이륜차의 후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자동 이륜차의 후방부 구조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리어 센터 로어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화살표 6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자동 이륜차로부터 리어 센터 로어 커버를 벗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화살표 8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자동 이륜차의 후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자동 이륜차에 리어 센터 로어 커버를 부착한 후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자동 이륜차의 후방부 좌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선 12-12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선 13-13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2의 선 14-14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한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이륜차(10)는, 차체 프레임(11)과, 이 차체 프레임(11)의 후방부에 요동 가능하게 현가되는 파워 유닛(21)과, 차체 프레임(11)을 덮는 차체 커버(31)를 구비한다.

    차체 프레임(11)은, 헤드 파이프(12)와, 이 헤드 파이프(12)로부터 후방 하향으로 연장되는 메인 프레임(13)과, 이 메인 프레임(13)의 후단으로부터 후방 상향으로 연장되는 시트 레일(14)로 이루어진다. 차체(20)는 차체 프레임(1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헤드 파이프(12)의 하부에 보텀 브리지(bottom bridge; 15)를 통해 프론트 포크(16L)(이하, L은 좌측을 나타내는 첨자, R은 우측을 나타내는 첨자로 한다.)가 지지되고, 이 프론트 포크(16L)에 회전 가능하게 전륜(17)이 지지된다. 또한, 헤드 파이프(12)의 상부에 전륜(17)을 조타하는 핸들(18)이 설치되고, 좌우의 시트 레일(14L)의 상부에 탑승자가 착석하는 시트(19)가 설치된다.

    파워 유닛(21)은, 흡기계의 에어 클리너(22)와, 배기계의 머플러(23)와, 구동륜으로서의 후륜(24)을 구비한다. 파워 유닛(21)과 시트 레일(14L) 사이에 좌우의 리어 쿠션(25L)이 설치되고, 리어 쿠션(25L)에 의해 충격이 흡수된다.

    차체 커버(31)는, 헤드 파이프(12)의 전방을 덮는 프론트 커버(32)와, 메인 프레임(13)의 상방을 덮는 메인 프레임 커버(33)와, 메인 프레임(13)의 차폭 방향 측방을 덮는 프론트 사이드 커버(34)와, 좌우의 시트 레일(14L)을 덮는 좌우의 사이드 보디 커버(35L)와, 좌우의 사이드 보디 커버(35L)와 리어 펜더(40) 사이에 개재하는 리어 센터 로어 커버(50)로 이루어진다. 전륜(17)의 상방은 프론트 펜더(61)로 덮여지고, 후륜(24)의 상방은 리어 펜더(40)로 덮여진다.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레일(14L)의 후방부에는, 후방으로 발광하는 테일라이트 유닛(62)이 설치되어 있다. 이 테일라이트 유닛(62)의 하방은 리어 센터 로어 커버(50)에 의해 덮여 있다. 시트 레일(14L)의 후방부에는, 테일라이트 유닛(62)의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그래브 레일(grab rail; 7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리어 펜더(40)에 자동 이륜차(20)(이하, 차량(20)이라고 한다.)를 특정하는 정보가 기재되어 있는 플레이트 부재(63)가 설치되어 있다.

    리어 펜더(40)는,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부(41)와, 이 수평부(41)의 하측으로부터 후방 하향으로 연장되는 후방 하향부(42)를 갖는다. 플레이트 부재(63)는 후방 하향부(42)의 후면(43)에 체결 부재(64)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수평부(41)는 차량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수평 연장부(44)를 갖고, 이 수평 연장부(44)는 리어 펜더(40)의 상부에 위치한다. 리어 펜더(40)는, 수평 연장부(44)의 후단에 설치되어 플레이트 부재(63)를 조사하는 조명등(71)과, 플레이트 부재(63) 주위에 설치되어 후방으로부터의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판(7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리어 펜더(40)는, 플레이트 부재(63)가 부착되고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후면(43)과, 이 후면(43)의 차폭 방향 양단으로부터 차량 전방을 향해 형성되는 측면(45)을 갖는다.

    다음으로 차량의 후방부 구조에 대해 분해 사시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11)은, 좌우의 시트 레일(14L, 14R)의 후방부에 걸쳐지는 제1 크로스 플레이트(26)와, 좌우의 시트 레일(14L, 14R)의 후단부에 걸쳐지는 제2 크로스 플레이트(27)를 갖는다.

    리어 펜더(40)는, 중앙 부착부(46), 좌측 부착부(47L) 및 우측 부착부(47R)를 갖는다. 중앙 부착부(46)가 제2 크로스 플레이트(27)에 체결되고, 좌측 부착부(47L)가 좌측의 시트 레일(14L)에 체결되며, 우측 부착부(47R)가 우측의 시트 레일(14R)에 체결됨으로써, 리어 펜더(40)는 시트 레일(14L, 14R)에 부착된다.

    테일라이트 유닛(62)은, 라이트 중앙 부착부(65), 라이트 좌측 부착부(66L) 및 라이트 우측 부착부(66R)를 갖는다. 라이트 중앙 부착부(65)는 리어 펜더(40)의 중앙 부착부(46)와 함께 제2 크로스 플레이트(27)에 부착된다. 라이트 좌측 부착부(66L)는 수평부(41)의 좌측 부분과 함께 제1 크로스 플레이트(26)에 부착된다. 라이트 우측 부착부(66R)는 수평부(41)의 우측 부분과 함께 제1 크로스 플레이트(26)에 부착된다.

    좌우의 사이드 보디 커버(35L, 35R)는, 차체(20)의 측방을 덮고, 테일라이트 유닛(62)을 사이에 두도록 하여, 각각 좌우의 시트 레일(14L, 14R)에 부착된다.

    리어 센터 로어 커버(50)는, 커버 중앙 부착부(51), 커버 좌측 부착부(52L) 및 커버 우측 부착부(52R)를 갖는다. 커버 중앙 부착부(51)는, 라이트 중앙 부착부(65) 및 중앙 부착부(46)와 함께, 제2 크로스 플레이트(27)에 부착된다. 커버 좌측 부착부(52L) 및 커버 우측 부착부(52R)는, 리어 펜더(40)의 적어도 일부를 아래로부터 덮도록, 각각 리어 펜더(40)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리어 센터 로어 커버(50)를, 리어 펜더(40)를 고정한 후에 부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조명등(71)을 리어 펜더(40)에 고정한 후에, 리어 센터 로어 커버(50)에 의해 덮을 수 있어, 리어 센터 로어 커버(50)를 떼어내는 것만으로 조명등(71)의 정비를 할 수 있다. 결과, 조명등(71)의 정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리어 센터 로어 커버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센터 로어 커버(50)는, 테일라이트 유닛(도 2, 부호 62)을 하방으로부터 덮는 라이트 덮개부(53)와, 라이트 덮개부(53)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차체(도 2, 부호 20)를 하방으로부터 덮는 좌측 아래 덮개부(54L) 및 우측 아래 덮개부(54R)와, 라이트 덮개부(53)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조명등(도 2, 부호 71)을 위로부터 덮는 지붕부(55)를 갖는다.

    커버 중앙 부착부(51)는 라이트 덮개부(53)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커버 좌측 부착부(52L)는 좌측 아래 덮개부(54L)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커버 우측 부착부(52R)는 우측 아래 덮개부(54R)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라이트 덮개부(53)의 상부 내측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클로부(56)가 형성되어 있다. 이 클로부(56)를 테일라이트 유닛(62)에 걸음으로써, 리어 센터 로어 커버(50)를 테일라이트 유닛(62)에 일체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리어 센터 로어 커버(50)의 하부에 위치하는 좌측 아래 덮개부(52L)에 차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좌측의 절곡부(57L)가 형성되어 있다. 리어 센터 로어 커버(50)의 하부에 위치하는 우측 아래 덮개부(52R)에 차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우측의 절곡부(57R)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측 아래 덮개부(52L)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측 벽부(58L)가 형성되고, 이 좌측 벽부(58L)의 전단부에 좌측 지지부(59L)가 형성되어 있다. 우측 아래 덮개부(52R)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우측 벽부(58R)가 형성되고, 이 우측 벽부(58R)의 전단부에 우측 지지부(59R)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차량 후방부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펜더(40)는 수평 연장부(44)가 후방 하향부(42)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수평 연장부(44)의 후단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등(71)은 후면(43)을 조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리어 센터 로어 커버(50)의 지붕부(55)는, 조명등(71)의 차폭 방향 측방, 후방 및 상방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지붕부(55)에 의해, 조명등(71)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지붕부(55)의 하방은 개방되어 있으나, 조명등(71)의 하방은 리어 펜더(40)의 후방 하향부(42)에 의해 보호된다.

    리어 센터 로어 커버(50)의 커버 우측 부착부(52R)는 체결 부재(67)에 의해 리어 펜더(40)의 하부 부착 구멍(48)에 체결된다. 테일라이트 유닛(62)의 하부(62a)는 리어 센터 로어 커버(50)의 라이트 덮개부(53)에 의해 덮여진다. 라이트 덮개부(53)에 사이드 보디 커버(35R)가 연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라이트 덮개부(53)와 사이드 보디 커버(35R) 사이에는 간극이 없기 때문에, 흙탕물이 차체 커버(31) 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리어 펜더와 리어 센터 로어 커버의 위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9,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센터 로어 커버(50)에 의해, 리어 펜더(40)의 수평부(42)의 일부가 아래로부터 덮여 있다. 리어 센터 로어 커버(50)가, 적어도 리어 펜더(40)의 외측 하방의 일부를 덮음으로써, 리어 펜더(40)의 크기를, 좌측의 시트 레일(14L)과 우측의 시트 레일(14R)의 폭에 의존하지 않고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리어 펜더(4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덧붙여, 리어 센터 로어 커버(50)가, 적어도 리어 펜더(40)의 외측 하방의 일부를 덮기 때문에, 리어 펜더(40)뿐만이 아니라 리어 센터 로어 커버(50)에 의해서도, 흙탕물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 하향부(42)의 폭은 W1이다.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리어 센터 로어 커버(50)의 폭은 W2이며, W1<W2로 설정되어 있다. 즉, 바닥면에서 보아, 리어 펜더(40)와 리어 센터 로어 커버(50)가 겹쳐져 있어, 하방으로부터의 흙탕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 하향부(42)의 폭(W1)을, 리어 센터 로어 커버(50)의 폭(W2)보다 좁게 형성할 수 있고, 리어 펜더(4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펜더(40)의 수평 연장부(44)의 후단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등(71)은 플레이트 부재(63)의 상방에 위치한다. 후방 하향부(42)의 후면(43)은 경사져 있고, 플레이트 부재(63) 전체가 조명등(71)에 의해 조사된다.

    한편, 실시예에서는, 플레이트 부재(63)는 리어 펜더(40)에 직접 부착되어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플레이트 부재(63)를 스테이(stay)를 통해 리어 펜더(40)에 부착해도 지장이 없다. 또한, 스테이를 통해 플레이트 부재(63)를 부착함으로써, 플레이트 부재(63)의 조명등(71)에 대한 각도를 적절히 변경해도 지장이 없다.

    또한, 리어 센터 로어 커버(50)는, 차량 측면에서 보아, 리어 펜더(40)의 수평부(41)를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리어 센터 로어 커버(50)는, 지붕부(55)에 의해 리어 펜더(40)의 상방을 덮고, 라이트 덮개부(53)에 의해 테일라이트 유닛(62)의 하방을 덮으며, 좌측 아래 덮개부(54L)에 의해 사이드 보디 커버(35L)의 하방을 덮고 있다.

    도 12, 도 13은 자동 이륜차(10)의 후면도이다. 도 12,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센터 로어 커버(50)는 좌측 아래 덮개부(54L)의 하단부로부터 차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좌측의 절곡부(57L)를 갖는다. 이 좌측의 절곡부(57L)는 후방 하향부(42)의 차폭 방향 외측 단부보다 차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고, 후방 하향부(42)의 차폭 방향 외측 단부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리어 센터 로어 커버(50)의 차폭 방향 외측 단부는 좌측의 사이드 보디 커버(35L)의 차폭 방향 내측 단부 위에 겹쳐져 있다.

    이 때문에, 하방으로부터 튀어 올라오는 흙탕물이, 리어 센터 로어 커버(50) 내에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결과, 리어 센터 로어 커버(50)보다 상방에 설치되어 있는 테일라이트 유닛(62)도, 흙탕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리어 펜더(40)의 수평부(41)는 리어 센터 로어 커버(50)를 향해 차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49)를 갖는다. 이 돌출부(49)는 좌측의 절곡부(57)의 차폭 방향 내측 단부보다 차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좌측의 절곡부(57)의 차폭 방향 내측 단부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아래로부터, 후방 하향부(42), 좌측의 절곡부(57L) 및 돌출부(49)에 의해, 미로 구조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방으로부터 튀어 올라오는 흙탕물이, 리어 센터 로어 커버(50) 내에 침입하는 것을 한층 더 억제할 수 있다. 결과, 리어 센터 로어 커버(50)보다 상방에 설치되어 있는 테일라이트 유닛(62)도, 흙탕물로부터 한층 더 보호할 수 있다.

    미로 구조를 형성하도록 리어 센터 로어 커버(50)가, 리어 펜더(40)의 차폭 방향 중심을 향해 연장되기 때문에, 리어 펜더(40)의 차폭 방향의 폭을 좁게 해도 리어 센터 로어 커버(50)가 차체(20)의 하방을 덮으므로, 리어 펜더(40)의 후방 하향부(42)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좌측의 사이드 보디 커버(35L)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내측 돌출부(36L)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내측 돌출부(36L)는 리어 센터 로어 커버(50)의 좌측 지지부(59L)에 지지되어 있다. 리어 펜더(40)의 좌측 부착부(47L)는 체결 부재(68)에 의해 좌측의 시트 레일(14L)에 체결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센터 로어 커버(50)는 좌우의 사이드 보디 커버(35L, 35R)와 리어 펜더(4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리어 펜더(40), 리어 센터 로어 커버(50) 및 좌우의 사이드 보디 커버(35L, 35R)는 연속되어 있다. 또한, 리어 펜더(40)의 차폭 방향의 폭은 좌우의 시트 레일(14L, 14R) 사이의 폭보다 좁다. 이 때문에, 하방으로부터의 흙탕물이 좌우의 사이드 보디 커버(35L, 35R) 사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리어 펜더(4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는, 주로 차량의 좌측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의 우측의 구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은 리어 펜더가 좌우의 사이드 보디 커버로 덮여 있는 자동 이륜차에 적합하다.

    10: 자동 이륜차(차량) 14L, 14R: 시트 레일
    19: 시트 20: 차체
    24: 후륜 35L, 35R: 사이드 보디 커버
    40: 리어 펜더 41: 수평부
    42: 후방 하향부 43: 후면
    49: 돌출부 46: 오목부
    50: 리어 센터 로어 커버 57L, 57R: 절곡부
    62: 테일라이트 유닛 63: 플레이트 부재
    64: 체결 부재 71: 조명등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