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장형 차량의 후방부 구조

申请号 KR1020130100255 申请日 2013-08-23 公开(公告)号 KR1020140030044A 公开(公告)日 2014-03-11
申请人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发明人 츠츠이노리요시; 니시다요이치;
摘要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ar structure of a saddle type vehicle capable of improving properties when rider′s feet touch the ground, and securing a wide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parts. A rear fender (10) of an autobicycle has a bottom wall (13) which is arranged in the inner side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vehicle of a rear frame (70), and left and right side walls (15L, 15R) extended upward from the bottom wall (13), has an accommodation space (89) for accommodating parts on the bottom wall (13) and left and right side walls (15L, 15R), and forms left and right first bending parts (21L, 21R) which are extended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etween the bottom wall (13) and left and right side walls (15L, 15R), and where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15L, 15R) are able to be bent against the bottom wall (13), respectively. The left and right walls (15L, 15R) incline inward as facing upward along the inner side of the rear frame (70). [Reference numerals] (AA) Up; (BB) Right; (CC) Left; (DD) Down
权利要求
  • 탑승자가 앉는 시트(49)를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시트 레일(72L, 72R)과 이들 좌우 한 쌍의 시트 레일(72L, 72R)의 하방이면서 차폭 방향 외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좌우 한 쌍의 시트 레일(72L, 72R)을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서포트 프레임(71L, 71R)으로 후방부 프레임(70)을 구성하고, 이 후방부 프레임(70)에 후륜(44)에 의해 튀어 오른 진흙을 막는 리어 펜더(10)를 설치한 안장형 차량의 후방부 구조로서,
    상기 리어 펜더(10)는, 상기 후방부 프레임(70)의 차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바닥벽(13)과, 이 바닥벽(13)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좌우의 측벽(15L, 15R)을 가지며, 상기 바닥벽(13)과 상기 좌우의 측벽(15L, 15R)에 의해 부품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89)을 형성하고, 상기 바닥벽(13)과 상기 좌우의 측벽(15L, 15R) 사이에, 각각 차량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좌우의 측벽(15L, 15R)이 상기 바닥벽(13)에 대하여 각각 절곡될 수 있는 좌우의 제1 절곡부(21L, 21R)를 형성하고,
    상기 좌우의 측벽(15L, 15R)은, 상기 후방부 프레임(70)의 내측을 따라서, 상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내방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형 차량의 후방부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의 제1 절곡부(21L, 21R)는, 각각 상기 좌우의 서포트 프레임(71L, 71R)의 차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형 차량의 후방부 구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의 측벽(15L, 15R)에, 각각 상기 바닥벽(13)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닥벽(13)에 결합하고, 상기 좌우의 측벽(15L, 15R)을 정해진 경사 각도로 지지하는 좌우의 지지부(17L, 17R)가 일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형 차량의 후방부 구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의 지지부(17L, 17R)는, 상기 좌우의 측벽(15L, 15R)에 연결되어 이들 좌우의 측벽(15L, 15R)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좌우의 연결 아암부(18L, 18R)와, 이들 좌우의 연결 아암부(18L, 18R)와 상기 좌우의 측벽(15L, 15R) 사이에서, 차량 길이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고, 좌우의 연결 아암부(18L, 18R)가 상기 좌우의 측벽(15L, 15R)에 대하여 각각 절곡될 수 있는 좌우의 제2 절곡부(22L, 22R)를 가지며, 상기 바닥벽(13)에 형성되는 좌우의 개구부(29L, 29R)에, 상기 좌우의 연결 아암부(18L, 18R)의 선단이 각각 삽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형 차량의 후방부 구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의 제2 절곡부(22L, 22R)는, 상기 좌우의 시트 레일(72L, 72R)의 차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형 차량의 후방부 구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의 연결 아암부(18L, 18R)에, 각각 평면형의 접촉부(19L, 19R)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벽(13)에, 상기 접촉부(19L, 19R)가 면으로 접촉할 수 있는 피접촉면(20L, 20R)이 일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형 차량의 후방부 구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의 측벽(15L, 15R)은, 차량 길이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판형 부재이고,
    상기 제1 절곡부(21L, 21R)의 차폭 방향 내측에서, 상기 리어 펜더(10)에,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차량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의 내벽(83L, 83R)이 형성되고,
    이들 좌우의 내벽(83L, 83R)과 상기 좌우의 제1 절곡부(21L, 21R)에서 절곡된 상기 좌우의 측벽(15L, 15R)에 의해, 각각 전장 케이블을 가이드하는 좌우의 하네스 가이드(85L, 85R)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형 차량의 후방부 구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곡부(21L, 21R) 및 상기 제2 절곡부(22L, 22R)는, 모두 일반면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형 차량의 후방부 구조.
  • 说明书全文

    안장형 차량의 후방부 구조{REAR PORTION STRUCTURE FOR A SADDLE TYPE VEHICLE}

    본 발명은, 안장형 차량의 후방부 구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부품이나 물품의 배치 스페이스가 한정되어 있는 안장형 차량에 있어서, 리어 펜더의 상방에서 탑승자가 앉는 시트의 하방에, 부품 배치 스페이스를 마련한 수납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도 6) 참조).

    특허문헌 1의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시트 레일(38)(괄호내 숫자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부호를 나타낸다. 이하 동일.)에 의해 지지되는 시트의 하방에 배터리 수납부(87)가 설치된다. 이 배터리 수납부(87)는, 좌우 한 쌍의 측판(82)과, 이들 좌우 한 쌍의 측판(82)의 하단 사이에 걸친 바닥판(83)을 포함하고, 이들 측판(82) 및 바닥판(83)은, 리어 펜더(46)에 일체 형성된다. 이 리어 펜더(46)는 수지 성형품이다(특허문헌 1, 단락번호 [0032]).

    상세하게는, 배터리 수납부(87)의 측판(82)은, 바닥판(83)으로부터 위로 연장된 후, 일단 차폭 방향 외방으로 연장된 후, 시트 레일(38)을 피하도록 시트 레일(38)의 외방 위치에서 위로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측판(82)에, 시트 레일(38)의 차폭 방향 내방 위치에서 분기되어 위로 연장되는 격벽(89)이 설치되고, 이 격벽(89)과 측판(82)의 상부의 사이에, 와이어 하네스(91, 92)가 통과하는 배선 홈(90)이 형성된다.

    리어 펜더(46)가 수지 성형품이므로, 배터리 수납부(87)도 수지 성형품이다. 수지 성형은, 일반적으로 금형을 이용한 사출 성형법으로 제조된다. 금형으로부터 성형품을 원활하게 이형시키기 위해서는, 성형품이 되는 좌우의 측판(82) 사이의 간격을, 바닥판(83)의 폭과 동일한 간격 또는 위로 향함에 따라서 바닥판(83)의 폭보다 넓게 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바닥판(83)의 단부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좌우의 측판(82)을 연장시키는 구조와 바닥판(83)의 단부로부터 차폭 방향 경사 상측 외방으로 측판(82)을 연장시키는 구조를, 부품 등을 수납하는 수납 스페이스(공간)와 탑승자의 발이 지면에 닿을 때의 속성으로부터 비교한다.

    바닥판의 폭이 동일한 경우에 있어서, 바닥판(83)의 단부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좌우의 측판(82)을 연장시키는 구조로 하면, 바닥판(83)의 단부로부터 차폭 방향 경사 상측 외방으로 측판(82)을 연장시키는 구조에 비해, 측판의 상단 근방의 시트의 폭을 좁게 하기 쉬워, 시트의 폭이 좁아지므로, 탑승자의 발이 지면에 닿을 때의 속성은 양호하게 되지만, 수납 공간은 작아진다.

    한편, 바닥판(83)의 단부로부터 차폭 방향 경사 상측 외방으로 측판(82)을 연장시키는 구조로 하면, 바닥판(83)의 단부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좌우의 측판(82)을 연장시키는 구조에 비하여, 수납 공간은 크게 하기 쉽지만, 시트의 폭이 넓어져 탑승자의 발이 지면에 닿을 때의 속성에 개량의 여지가 있다.

    그러나, 안장형 차량에 한층 더 개선이 요구되는 가운데, 탑승자의 발이 지면에 닿을 때의 속성과 부품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의 확보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안장형 차량의 후방부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제4216965호 공보

    본 발명은, 탑승자의 발이 지면에 닿을 때의 속성을 향상시키면서, 부품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는 안장형 차량의 후방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은, 탑승자가 앉는 시트를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시트 레일과 이들 좌우 한 쌍의 시트 레일의 하방이면서 차폭 방향 외측에 각각 배치되어 좌우 한 쌍의 시트 레일을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서포트 프레임으로 후방부 프레임을 구성하고, 이 후방부 프레임에 후륜에 의해 튀어 오른 진흙을 막는 리어 펜더를 설치한 안장형 차량의 후방부 구조에 있어서, 리어 펜더는, 후방부 프레임의 차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바닥벽과, 이 바닥벽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좌우의 측벽을 가지며, 바닥벽과 좌우의 측벽으로 부품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바닥벽과 좌우의 측벽 사이에, 각각 차량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좌우의 측벽이 바닥벽에 대하여 각각 절곡될 수 있는 좌우의 제1 절곡부를 형성하고, 좌우의 측벽은, 후방부 프레임의 내측을 따라서, 상방을 향함에 따라서 내방으로 경사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에서는, 좌우의 제1 절곡부는, 각각 좌우의 서포트 프레임의 차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은, 좌우의 측벽에, 각각 저부로 연장되어 바닥벽에 결합하고, 좌우의 측벽을 정해진 경사 각도로 지지하는 좌우의 지지부가 일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에서는, 좌우의 지지부는, 좌우의 측벽에 연결되어 이들 좌우의 측벽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좌우의 연결 아암부와, 이들 좌우의 연결 아암부와 좌우의 측벽 사이에서 차량 길이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고, 좌우의 연결 아암부가 좌우의 측벽에 대하여 각각 절곡될 수 있는 좌우의 제2 절곡부를 가지며, 바닥벽에 형성되는 좌우의 개구부에, 좌우의 연결 아암부의 선단이 각각 삽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에서는, 좌우의 제2 절곡부는, 좌우의 시트 레일의 차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따른 발명은, 좌우의 연결 아암부에, 각각 평면형의 접촉부가 형성되고, 바닥벽에, 접촉부가 면으로 접촉할 수 있는 피접촉면이 일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따른 발명에서는, 좌우의 측벽은, 차량 길이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판형 부재이고, 제1 절곡부의 차폭 방향 내측에서, 리어 펜더에,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차량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좌우의 내벽이 형성되고, 이들 좌우의 내벽과 좌우의 제1 절곡부에서 절곡된 좌우의 측벽에 의해, 각각 전장 케이블을 가이드하는 좌우의 하네스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따른 발명에서는, 제1 절곡부 및 제2 절곡부는, 모두 일반면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에서는, 리어 펜더에, 바닥벽과 좌우의 측벽으로 부품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했다. 좌우의 측벽은, 후방부 프레임의 내측을 따라서, 상방을 향함에 따라서 내방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된다. 즉, 좌우의 측벽은, 하방을 향해 외방으로 경사지게 하고, 하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넓게 했기 때문에, 외방으로 경사지게 하지 않고 좌우의 측벽이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수용 공간을 넓게 할 수 있다.

    좌우의 측벽의 간격은, 상방을 향해서 좁아지도록 했기 때문에, 시트폭을 좁게 할 수 있다. 시트폭을 좁게 하면, 탑승자의 발이 지면에 닿을 때의 속성이 향상된다.

    그 결과, 탑승자의 발이 지면에 닿을 때의 속성이 향상되고 부품의 수용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또, 리어 펜더에 절곡부가 되는 좌우의 취약부에 의해, 좌우의 측벽을 바닥벽에 대하여 경사지게 하여 수용 공간을 구성했다. 수용 공간은 바닥벽에 대하여 좌우의 제1 절곡부에서 좌우의 측벽을 절곡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리어 펜더의 성형 금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바닥벽과 좌우의 측벽은 일체 성형되기 때문에, 리어 펜더의 조립성을 높일 수 있고,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어, 차량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에서는, 좌우의 제1 절곡부는, 각각 좌우의 서포트 프레임의 차폭 방향 내측에 배치된다. 좌우의 서포트 프레임의 내측에 제1 절곡부를 배치함으로써, 좌우의 서포트 프레임으로 좌우의 제1 절곡부를 보호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에서는, 좌우의 측벽에, 각각 바닥벽으로 연장되어 바닥벽에 결합하는 좌우의 지지부가 일체 형성된다. 이들 좌우의 지지부에 의해, 좌우의 측벽은 바닥벽에 대하여 정해진 경사 각도로 지지된다. 좌우의 측벽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좌우의 지지부에 의해, 부품수의 증가를 수반하지 않고, 좌우의 측벽을 차폭 방향 내방으로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한 상태로 지지시킬 수 있다.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에서는, 좌우의 지지부를 구성하는 좌우의 연결 아암부는, 각각 좌우의 제2 절곡부를 통해 좌우의 측벽에 연결되고, 좌우의 연결 아암부의 선단이 좌우의 개구부에 삽입된다. 좌우의 제2 절곡부에서 각각 절곡된 좌우의 연결 아암부의 선단을 좌우의 개구부에 삽입하도록 했다. 그 결과, 좌우의 지지부를 지지하는 고유의 부품이 불필요해져,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아울러, 좌우의 개구부에, 좌우의 연결 아암부의 선단을 삽입하여 조립하도록 했기 때문에, 연결 아암부를 바닥벽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어, 지지부의 조립에 따른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에서는, 좌우의 제2 절곡부는, 각각 좌우의 시트 레일의 차폭 방향 내측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좌우의 시트 레일의 내측에 제2 절곡부를 배치함으로써, 좌우의 시트 레일로 좌우의 제2 절곡부를 보호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따른 발명에서는, 바닥벽에, 연결 아암부의 접촉부가 면으로 접촉하는 피접촉면이 일체 형성된다. 바닥벽에 형성된 좌우의 개구부에, 각각 좌우의 연결 아암부의 선단을 삽입하고, 또한, 연결 아암부의 접촉부를 면으로 피접촉면에 접촉시키도록 했기 때문에, 좌우의 연결 아암부를 확실하게 바닥벽에 고정할 수 있다. 바닥벽에 확실하게 지지되는 좌우의 연결 아암부라면, 좌우의 측벽을 정해진 각도로 기울인 상태로 확실하게 지지시킬 수 있다.

    청구항 7에 따른 발명에서는, 리어 펜더의 일부를 구성하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의 내벽과, 좌우의 제1 절곡부에서 각각 절곡된 좌우의 측벽으로, 각각 좌우의 하네스 가이드를 형성했다. 이와 같이, 기존의 바닥벽과 좌우의 측벽으로 하네스 가이드를 형성했기 때문에, 부품수를 늘리지 않고 하네스 가이드를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따른 발명에서는, 제1 절곡부 및 제2 절곡부는, 일반면의 두께보다 얇다. 이와 같이, 제1 절곡부의 두께 및 제2 절곡부의 두께를 일반면의 두께보다 얇게 함으로써, 얇게 하지 않은 제1 절곡부 및 제2 절곡부에 비하여, 좌우의 지지부의 굽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어 펜더의 평면도(절곡 가공전의 상태)이다.
    도 2는 도 1의 2-2선 단면도이다.
    도 3은 좌우의 측벽을 제1 절곡부에서 절곡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좌우의 측벽을 제2 절곡부에서 절곡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어 펜더의 평면도(절곡 가공후의 상태)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어 펜더가 부착된 자동 이륜차의 좌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으로부터 시트를 벗겼을 때의 차량 후방부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8-8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9-9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하, 도 1∼도 5에서는, 자동 이륜차의 후방부에 부착되는 부품으로서의 리어 펜더의 구조와, 이 리어 펜더의 구성요소인 절곡부의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또, 도 6∼도 9에서는, 상기 절곡부를 갖는 리어 펜더를 안장형 차량에 부착했을 때의 구조 및 그 작용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어 펜더(10)는, 사출 성형한 판형의 중간 부품(11)을 절곡 가공하여 만들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판형의 중간 부품(11)은 수지 제품이지만, 알루미늄 등의 금속 부재라도 상관없다.

    중간 부품(11)은, 바닥벽(13)과, 이 바닥벽(13)의 길이 방향 전반부 위치에서 단부로부터 차폭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는 좌우의 측편(25L, 25R)과, 이들 좌우의 측편(25L, 25R)의 후방에서, 바닥벽(13)의 길이 방향 후반부 위치에서 단부로부터 도면 앞쪽의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좌우의 후측벽(16L, 16R)을 주요 요소로 한다. 바닥벽(13)에는, 배터리, 그 밖의 전장 부품과, 전장 부품 사이를 연결하는 하네스 등을 배치할 수 있다. 좌우의 측편(25L, 25R)은, 후속 공정에서 절곡되어 좌우의 측벽(15L, 15R)이 된다.

    좌우의 측편(25L, 25R)에는 좌우의 지지편(27L, 27R)이 포함되어 있다. 이들 좌우의 지지편(27L, 27R)은, 좌우의 측편(25L, 25R)의 일부가 돌출되어 있는 부위이며, 좌우의 측편(25L, 25R)을 구부렸을 때, 좌우의 측편(25L, 25R)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좌우의 지지편(27L, 27R)은, 절곡되어 좌우의 측벽(15L, 15R)을 지지할 때에는, 각각 좌우의 지지부(17L, 17R)로 불린다.

    다음으로, 도 2에서는, 좌우의 지지편 및 그 근방의 구조 등에 관해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형의 중간 부품(11)에 있어서, 바닥벽(13)과 좌측 측편(25L)의 경계에, 차량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취약부로서의 좌측 제1 절곡부(21L)가 형성되고, 바닥벽(13)과 우측 측편(25R)의 경계에, 차량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취약부로서의 우측 제1 절곡부(21R)가 형성된다. 여기서, 취약부란, 일반면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한 부위를 말한다.

    좌우의 측편(25L, 25R)은, 좌우의 측편 본체(26L, 26R)와, 좌우의 측편 본체(26L, 26R)의 차폭 방향 외단으로부터, 각각 하방으로 연장되는 좌우의 지지편(27L, 27R)을 포함하고, 좌우의 측편 본체(26L, 26R)와 좌우의 지지편(27L, 27R)의 경계에는, 각각 차량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취약부로서의 좌우 제2 절곡부(22L, 22R)가 형성된다.

    바닥벽(13)에는, 위로 연장된 후, 좌우 외방으로 연장되는 좌우의 볼록부(28L, 28R)가 형성되고, 이들 좌우의 볼록부(28L, 28R)에, 각각 좌우의 지지편(27L, 27R)의 선단이 삽입될 수 있는 좌우의 개구부(29L, 29R)가 형성되어 있다.

    중간 부품(11)은, 하형(35)과, 이 하형(35)에 대향 배치되는 상형(36)과, 하형(35)과 상형(36)의 사이에 좌우로부터 진퇴 가능하게 배치되는 좌우의 슬라이드형(38L, 38R)을 포함하는 성형 금형(34)에 의해 사출 성형되는 부품이다. 도면 중, 금형 내에 설치되어 있는 스풀(주입 구멍), 게이트 등은 생략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에서는, 측편을 절곡하는 가공에 관해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성형 금형(34)으로 성형된 중간 부품(11)을 절곡한다. 구체적으로는, 좌우의 측편(25L, 25R)을 바닥벽(13)에 대하여, 좌우의 제1 절곡부(21L, 21R)에서, 각각 도면 화살표 a, a 방향으로 절곡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의 제1 절곡부(21L, 21R)에서 절곡한 중간 부품(도 3, 부호 11)을 절곡한다. 구체적으로는, 좌우의 측편(25L, 25R)의 좌우의 측편 본체(26L, 26R)에 대하여 좌우의 지지편(27L, 27R)을, 좌우의 제2 절곡부(22L, 22R)에서, 각각 도면 화살표 b, b 방향으로 절곡하고, 좌우의 볼록부(28L, 28R)에 각각 형성한 좌우의 개구부(29L, 29R)에, 좌우의 지지편의 선단(37L, 37R)을 삽입한다. 좌우의 측벽을 조립한 상태를 다음 도면에서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어 펜더(10)는, 측벽을 절곡하여 조립한 상태로, 바닥벽(13)과, 이 바닥벽(13)의 길이 방향 전반부 위치에서 좌우단으로부터 도면 앞쪽으로 연장되는 좌우의 측벽(15L, 15R)과, 이들 좌우의 측벽(15L, 15R)으로부터 연장되어 좌우의 측벽과 일체 형성되고 좌우의 측벽(15L, 15R)을 지지하는 좌우의 지지부(17L, 17R)와, 바닥벽(13)의 길이 방향 후반부 위치에서 단부로부터 도면 앞쪽, 즉, 위로 연장되어 있는 좌우의 후측벽(16L, 16R)을 주요 요소로 하다. 바닥벽(13)에, 배터리(도 7, 부호 30)가 수납되는 배터리 수납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 중, 4-4선 단면은 도 4에 나타나 있다.

    이하, 절곡 가공한 후의 좌우의 측편을 좌우의 측벽(15L, 15R)이라고 부르고, 좌우의 지지편을 좌우의 지지부(17L, 17R)라고 부르기로 한다.

    도 4에서, 좌우의 지지부(17L, 17R)는, 좌우의 측벽(15L, 15R)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좌우의 연결 아암부(18L, 18R)와, 이들 좌우의 연결 아암부(18L, 18R)와 좌우의 측벽(15L, 15R) 사이에, 차량 길이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고, 좌우의 연결 아암부(18L, 18R)가 좌우의 측벽(15L, 15R)에 대하여 각각 절곡될 수 있는 좌우의 제2 절곡부(22L, 22R)를 갖는다.

    바닥벽(13)에 형성되는 좌우의 개구부(29L, 29R)에는, 좌우의 연결 아암부의 선단(좌우의 지지편의 선단(37L, 37R))이 각각 삽입된다. 삽입된 좌우의 연결 아암부(18L, 18R)로, 좌우의 측벽(15L, 15R)을 연직선(V)에 대하여 정해진 경사 각도(θ)로 내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지지하도록 했다. 좌우의 지지편의 선단(37L, 37R)은, 각각 바닥벽(13)에 형성한 개구부(29L, 29R)에 결합하고 있다. 좌우의 측벽(15L, 15R)은, 각각 연직선(V)에 대하여 경사 각도(θ)만큼 내방으로 기울어져 있다.

    좌우의 연결 아암부(18L, 18R)에, 각각 평면형의 접촉부(19L, 19R)가 형성되고, 바닥벽(13)에, 접촉부(19L, 19R)가 면으로 접촉할 수 있는 피접촉면(20L, 20R)이 일체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19L, 19R)가 접촉하는 피접촉면(20L, 20R)은, 각각 바닥벽(13)의 볼록부(28L, 28R)에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좌우의 연결 아암부의 선단(좌우의 지지편의 선단(37L, 37R))이 삽입되는 좌우의 개구부(29L, 29R)도 바닥벽(13)의 볼록부(28L, 28R)에 형성된다. 좌우의 개구부(29L, 29R)는, 볼록부(28L, 28R)에 형성되는 피접촉면(20L, 20R)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바닥벽(13)의 볼록부(28L, 28R)에 형성한 좌우의 개구부(29L, 29R)에, 각각 좌우의 연결 아암부의 선단(좌우의 지지편의 선단(37L, 37R))을 삽입하고, 또한, 연결 아암부의 접촉부(19L, 19R)를 면으로 피접촉면(20L, 20R)에 접촉시키도록 했기 때문에, 좌우의 연결 아암부(18L, 18R)를 확실하게 바닥벽(13)에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좌우의 개구부(29L, 29R)는, 볼록부(28L, 28R)에 형성되는 피접촉면(20L, 20R)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피접촉면(20L, 20R)에서 연결 아암부(18L, 18R)의 하중을 면으로 지지하면서, 이들 피접촉면(20L, 20R)의 내측에 형성한 좌우의 개구부(29L, 29R)에서 연결 아암부(18L, 18R)의 선단을 결합시켰기 때문에, 간편한 구조로 연결 아암부(18L, 18R)를 보다 확실하게 지지시킬 수 있다. 바닥벽(13)에 확실하게 지지되는 좌우의 연결 아암부(18L, 18R)라면, 간편한 구조로 좌우의 측벽(15L, 15R)을 정해진 각도로 기울인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제1 절곡부(21L, 21R) 및 제2 절곡부(22L, 22R)는, 일반면의 두께보다 얇게 한 취약부이다. 이와 같이, 제1 절곡부(21L, 21R)의 두께 및 제2 절곡부(22L, 22R)의 두께를 일반면의 두께보다 얇게 한 취약부로 했기 때문에, 얇게 하지 않은 제1 절곡부(21L, 21R) 및 제2 절곡부(22L, 22R)에 비하여, 좌우의 지지부(17L, 17R)의 굽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리어 펜더가 부착되어 있는 자동 이륜차에 관해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 이륜차(40)는, 차체 프레임(41)과, 이 차체 프레임(41)의 전단에 설치되어 전륜(43)을 지지하는 전륜 조향부(45)와, 차체 프레임(41)의 길이 방향 중간부의 하부로부터 차량 후방으로 연장되어 후륜(44)을 지지하는 후륜 현가부(46)와, 전륜 조향부(45)와 후륜 현가부(46)의 사이에서 차체 프레임(41)에 현가되는 엔진(47)과, 이 엔진(47)의 상방에서 차체 프레임(41)에 부착되는 연료 탱크(48)와, 이 연료 탱크(48)의 후방에 연속하도록 설치되어 탑승자가 앉는 시트(49)를 주요 요소로 한다. 도면 중, 「상」, 「하」, 「전」, 「후」, 「좌」, 「우」는, 각각 자동 이륜차에 승차하는 운전자로부터 본 방향을 나타낸다.

    차체 프레임(41)을 포함하는 차체(50)는, 차체 커버(51)로 덮힌다. 차체 커버(51)는, 차체의 전방부 상방을 덮는 프론트 카울(52)과, 이 프론트 카울(52)에 연속하도록 하여 차체의 상방 및 측방을 차량 후방으로 연장하고 있는 미드 카울(53)과, 차체(50)의 후방부 측방을 덮는 리어 카울(54)을 포함한다.

    전륜 조향부(45)는, 차체 프레임(41)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전륜(43)을 지지하는 프론트 포크(61)와, 이 프론트 포크(61)의 상단에 부착되어 탑승자가 조향 조작을 행하는 핸들(62)을 갖는다. 후륜 현가부(46)는, 차체 프레임(41)에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피봇축(63)에 부착되고 후방으로 연장되어 후단에서 후륜(44)을 지지하고, 피봇축(63)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윙 아암(64)을 갖는다.

    전륜(43)의 상방에서 프론트 포크(61)에, 전륜(43)에 의해 튀어 오른 진흙을 막는 프론트 펜더(65)가 부착된다. 후륜(44)의 상방에서 차체 프레임(41)의 후방부에, 후륜(44)에 의해 튀어 오른 진흙을 막는 리어 펜더(10)가 부착되어 있다.

    다음으로, 차량 측면에서 볼 때, 리어 펜더의 일부를 노출시킨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미드 카울(53)과 리어 카울(54)의 사이에서, 시트(49)의 하방에는, 서포트 프레임(71)과 이 서포트 프레임(71)의 차폭 방향 내방에 설치되는 리어 펜더(10)가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는 노출부(73)가 형성된다. 차량 길이 방향에서 미드 카울(53)과 리어 카울(54)의 사이에, 차체 커버(51)로 덮여 있지 않은 노출부(73)를 설치했기 때문에, 차체(50)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이 노출부(73)에, 후술하는 서포트 프레임(71), 제1 서브 프레임(75) 및 제2 서브 프레임(76)이 시인 가능하게 배치된다. 노출부(73)에, 서포트 프레임(71), 제1 서브 프레임(75) 및 제2 서브 프레임(76)이 시인 가능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노출부(73)의 외관성을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미드 카울(53)과 리어 펜더(10)의 위치 관계에 관해 설명한다.

    미드 카울의 차량 길이 방향의 후방 가장자리(55)에, 미드 카울(53)보다 차폭 방향 내방에 배치되는 리어 펜더(10)의 측벽을 향해서 차폭 방향 내방으로 리브(58)가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리브(58)를 미드 카울(53)에 부설함으로써, 미드 카울(53)과 리어 펜더(10) 사이의 간극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미드 카울(53)과 리어 펜더(10) 사이의 간극에, 외방으로부터 물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시트를 벗겼을 때, 위에서 본 차량 후방부의 상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 길이 방향 후방으로 후방부 프레임(70)이 연장되고, 이 후방부 프레임(70)에 리어 펜더(10)가 부착되어 있다. 리어 펜더(10)의 전방부에 형성된 배터리 수납부(31)에는 배터리(30)가 수납되고, 리어 펜더(10)의 후방부에 전장 부품(32)이 부착되고, 바닥벽(13)의 좌우단을 따라서 하네스(33L, 33R)가 연장되어 있다.

    시트(도 6, 부호 49)를 벗겼을 때, 상방으로부터 시트(49)가 끼워지는 부위(81) 이외의 연료 탱크 후방부의 차폭 방향 중앙의 부위(82)는, 상방으로 튀어나온 볼록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료 탱크 후방부의 차폭 방향 중앙의 부위(82)를 볼록형으로 형성했기 때문에, 연료 탱크(48)에 저장 가능한 연료 용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부 프레임(70)은, 탑승자가 앉는 시트(49)를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시트 레일(72L, 72R)과, 이들 좌우 한 쌍의 시트 레일(72L, 72R)의 하방이면서 차폭 방향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서포트 프레임(71L, 71R)을 주요 요소로 한다.

    도 6에서, 좌우 한 쌍의 서포트 프레임(71)(71L, 71R)은, 각각 좌우 한 쌍의 시트 레일(72)(72L, 72R)을 지지한다. 좌우의 시트 레일(72L, 72R)과 좌우의 서포트 프레임(71L, 71R) 사이에, 각각 좌우의 제1 서브 프레임(75)(75L, 75R)이 걸쳐 있고, 이들 좌우의 제1 서브 프레임(75L, 75R)의 후방 위치에서, 좌우의 시트 레일(72L, 72R)과 좌우의 서포트 프레임(71L, 71R) 사이에, 각각 좌우의 제2 서포트 프레임(76)(76L, 76R)이 걸쳐 있다. 즉, 후방부 프레임(70)에 리어 펜더(10)가 설치되어 있다.

    서포트 프레임(71)은, 좌측 서포트 프레임(71L)과 우측 서포트 프레임(71R)을 포함하고, 시트 레일(72)은, 좌측 시트 레일(72L)과 우측 시트 레일(72R)을 포함한다. 제1 서포트 프레임(75)은, 좌측 제1 서브 프레임(75L)과 우측 제1 서브 프레임(75R)을 포함하고, 제2 서브 프레임(76)은, 좌측 제2 서브 프레임(76L)과 우측 제2 서브 프레임(76R)을 포함한다.

    도 8에서, 리어 펜더(10)는, 후방부 프레임(70)의 차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바닥벽(13)과, 이 바닥벽(13)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좌우의 측벽(15L, 15R)을 갖는다. 바닥벽(13)과 좌우의 측벽(15L, 15R)으로 부품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89)을 형성하고, 바닥벽(13)과 좌우의 측벽(15L, 15R) 사이에, 각각 바닥벽(13)에 대하여 좌우의 측벽(15L, 15R)이 각각 절곡될 수 있는 좌우의 제1 절곡부(21L, 21R)를 형성한다.

    좌우의 측벽(15L, 15R)은, 후방부 프레임(70)의 내측을 따라서, 상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내방으로 경사져 있다. 좌우의 제1 절곡부(21L, 21R)는, 각각 좌우의 서포트 프레임(71L, 71R)의 차폭 방향 내측에 배치된다.

    좌우의 서포트 프레임(71L, 71R)의 내측에 제1 절곡부(21L, 21R)를 배치함으로써, 좌우의 서포트 프레임(71L, 71R)으로 좌우의 제1 절곡부(21L, 21R)를 보호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의 제2 절곡부(22L, 22R)는, 각각 좌우의 시트 레일(72L, 72R)의 차폭 방향 내측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좌우의 시트 레일(72L, 72R)의 내측에 좌우의 제2 절곡부(22L, 22R)를 배치함으로써, 좌우의 시트 레일(72L, 72R)로 좌우의 제2 절곡부(22L, 22R)를 보호할 수 있다.

    도 8에서, 좌우의 측벽(15L, 15R)은, 차량 길이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판형 부재이고, 좌우의 제1 절곡부(21L, 21R)의 차폭 방향 내측에서, 리어 펜더(10)에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차량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좌우의 내벽(83L, 83R)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좌우의 내벽(83L, 83R)과 좌우의 제1 절곡부(21L, 21R)에서 절곡된 좌우의 측벽(15L, 15R)에서, 각각 하네스(33L, 33R)를 가이드하는 좌우의 하네스 가이드(85L, 85R)가 형성된다.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의 내벽(83L, 83R)과, 좌우의 제1 절곡부(21L, 21R)에서 각각 절곡한 좌우의 측벽(15L, 15R)으로, 각각 좌우의 하네스 가이드(85L, 85R)를 형성했다. 이와 같이, 기존의 바닥벽(13)과 좌우의 측벽(15L, 15R)으로 하네스 가이드(85L, 85R)를 형성했기 때문에, 부품수를 늘리지 않고 하네스 가이드(85L, 85R)를 형성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있어서, 바닥벽(13)은, 차폭 방향 중심으로부터 좌우의 제1 절곡부(21L, 21R)에 이르는 영역이며, 좌우의 볼록부(28L, 28R)나 내벽(83L, 83R) 등의 요철부를 포함하고 있다.

    다음으로, 리어 펜더의 차체 프레임에 대한 부착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도 5에서, 좌우의 후측벽(16L, 16R)에, 각각 좌우의 시트 레일(도 7, 부호 72L, 72R)에 부착되는 체결 부재가 삽입 관통하는 체결 구멍부(87L, 87R)가 형성되고, 이들 체결 구멍부(87L, 87R)를 이용하여 리어 펜더(10)는 후방부 프레임(도 8, 부호 70)에 체결된다. 도 8에서, 좌우의 측벽(15L, 15R)에, 각각 좌우의 시트 레일(72L, 72R)에 걸리도록 차폭 방향 외방으로 좌우의 걸림부(88L, 88R)가 연장되어 있다.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리어 펜더(10)의 전방부에 설치한 좌우의 걸림부(88L, 88R)가, 각각 좌우의 시트 레일(72L, 72R)에 상방으로부터 걸리고, 리어 펜더(10)의 후방부에 설치한 좌우의 후측벽(16L, 16R)이, 각각 후방부 프레임(70)에 체결됨으로써, 리어 펜더(10)는 후방부 프레임(70)에 부착된다.

    이상에 설명한 안장형 차량의 후방부 구조의 작용을 이하에 설명한다.

    도 8에서, 서포트 프레임(71L, 71R)의 상방에 배치되는 시트 레일(72L, 72R)의 차폭 방향 길이(간격)를 서포트 프레임(71L, 71R)의 차폭 방향 길이(간격)에 비하여 짧게 했다. 즉, 시트 레일(72L, 72R)을 서포트 프레임(71L, 71R)보다 내측에 배치했기 때문에, 시트 레일(72L, 72R)을 서포트 프레임(71L, 71R)과 동일한 폭으로 배치한 경우에 비해 시트폭(W)을 좁게 할 수 있다. 시트폭(W)을 좁게 하면, 탑승자의 발이 지면에 닿을 때의 속성이 향상된다.

    아울러, 리어 펜더(10)에, 바닥벽(13)과 좌우의 측벽(15L, 15R)으로 하네스(33L, 33R)를 포함하는 부품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89)을 형성했다. 좌우의 측벽(15L, 15R)은, 후방부 프레임(70)의 내측을 따라서, 상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내방으로 경사지도록 배치한다. 즉, 좌우의 측벽(15L, 15R)은, 하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외방으로 경사지게 하고, 하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넓게 했기 때문에, 좌우의 측벽(15L, 15R)이 외방으로 경사지게 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부품의 수용 공간(89)을 넓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탑승자의 발이 지면에 닿을 때의 속성이 향상되고 부품의 수용 공간을 넓게 할 수 있다.

    또, 리어 펜더(10)에 절곡부가 되는 좌우의 제1 절곡부(21L, 21R)에 의해, 좌우의 측벽(15L, 15R)을 바닥벽(13)에 대하여 차폭 방향 내방으로 경사지게 하여 부품 등의 수용 공간(89)을 구성했다. 부품의 수용 공간(89)이란, 상방이 개방되고, 바닥벽(13)과 좌우의 측벽(15L, 15R)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다.

    좌우의 제1 절곡부(21L, 21R)는, 일반면에 비하여 두께를 얇게 한 취약부이다. 수용 공간(89)은 바닥벽(13)에 대하여 좌우의 제1 절곡부(21L, 21R)에서 좌우의 측벽(15L, 15R)을 절곡함으로써 형성 가능해지기 때문에, 리어 펜더(10)의 성형 금형(도 2, 부호 34)을 간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바닥벽(13)과 좌우의 측벽(15L, 15R)은 일체 성형되기 때문에, 리어 펜더(10)의 조립성을 높일 수 있고, 부품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9에서, 좌우의 측벽(15L, 15R)에, 각각 바닥벽(13)에 형성되는 좌우의 볼록부(28L, 28R)로 연장되고 바닥벽(13)에 형성되는 좌우의 볼록부(28L, 28R)에 결합하는 좌우의 지지부(17L, 17R)가 일체 형성된다. 이들 좌우의 지지부(17L, 17R)에 의해서, 좌우의 측벽(15L, 15R)은 바닥벽(13)에 대하여 정해진 경사 각도로 지지된다. 좌우의 측벽(15L, 15R)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좌우의 지지부(17L, 17R)에 의해, 부품수의 증가를 수반하지 않고, 좌우의 측벽(15L, 15R)을 차폭 방향 내방으로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한 상태로 지지시킬 수 있다.

    좌우의 연결 아암부(18L, 18R)는, 각각 좌우의 측벽(15L, 15R)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좌우의 측벽(15L, 15R)에 좌우의 연결 아암부(18L, 18R)를 일체화했기 때문에,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또, 바닥벽(13)에 형성한 좌우의 개구부(29L, 29R)에, 좌우의 연결 아암부의 선단(좌우의 지지편의 선단(37L, 37R))을 삽입하여 조립하도록 했다. 그 결과, 연결 아암부(18L, 18R)를 바닥벽(13)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형태에서는 자동 이륜차에 적용했지만, 안장형 삼륜차에도 적용 가능하고, 일반적인 안장형 차량에 적용하는 데에 지장이 없다.

    본 발명은, 부품 수용 공간을 갖는 리어 펜더를 구비하고 있는 자동 이륜차에 적합하다.

    10 : 리어 펜더 13 : 바닥벽
    15L, 15R : 좌우의 측벽 17L, 17R : 좌우의 지지부
    18L, 18R : 좌우의 연결 아암부 19L, 19R : 좌우의 접촉부
    20L, 20R : 좌우의 피접촉면 21L, 21R : 좌우의 제1 절곡부
    22L, 22R : 좌우의 제2 절곡부 29L, 29R : 좌우의 개구부
    44 : 후륜 49 : 시트
    70 : 후방부 프레임 71L, 71R : 좌우의 서포트 프레임
    72L, 72R : 좌우의 시트 레일 83L, 83R : 좌우의 내벽
    85L, 85R : 좌우의 하네스 가이드 89 : 수용 공간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