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용 안정장치

申请号 KR1019910700709 申请日 1990-02-26 公开(公告)号 KR1019950001784B1 公开(公告)日 1995-03-02
申请人 도날드웰튼세퍼드; 发明人 도날드웰튼세퍼드;
摘要 내용 없음.
权利要求
  • 이륜차량용 안정장치에 있어서, 이 장치가 차량의 바퀴측에 또는 이에 근접하여 일측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암(25), 이 암의 타측단부에 연결된 횡축(26), 이횡축에 착설된 한쌍의 안정기(27), 안정기(27) 사이에서 횡축(26)에 착설된 바퀴결합소자(51)와, 안정기가 지면에 닿지않는 상승위치와 안정지가 지면에 닿으며 바퀴(11)가 지면에 닿지않고 결합소자(51)에 결합하는 하강위치 사이로 암을 이동시키기 위한수단(22,2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윤차량용 안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안정기(27)가 고정되어 있을때에 차량바퀴(11)가 회전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자전거용 안정장치에 있어서, 이 장치가 뒷바퀴의 평면에 대하여 평행한 평면에서 운동토록 뒷바퀴축선(12)에 또는 이에 인접하여 일측단부가 자전거의 프레임에 축설된 암(25), 이 아암의 타측단부에 착설되어 있고 타이어(13)의 주행면에 결합 가능한 원주면(50)과 타이어의 양측에 여유있게 접하는 플랜지(52)를 갖는 로울러(51), 암의 상기 타측단부에 착설되고 뒷바퀴의 양측에서 지면에 닿을 수 있게 된 안정기(27)와, 안정기(27)가 지면에 닿지않는 상승위치와 안정기가 지면에 닿으며 뒷바퀴가 지면에 닿지않고 로울러(51)에 결합하는 하강 위치 사이로 암을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22,2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용 안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안정기(27)가 바퀴 또는 로울러이고 암(25)의 하측단부에 착설된 횡축(26)을 포함하며, 로울러(51)와 안정기 (27)가 횡축(26)에 착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1-2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암(25)이 뒷바퀴 스핀들(12)을 중심으로하여 회전 가능하게 착설된 스프링 탄지형의 신축형 암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스프링의 예장된 힘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62)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바퀴결합소자(51)가 상승시에 바퀴(11)로부터 벗어나 있으나 하강시 바퀴측에 점진적으로 접근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안정기(27)의 전체폭이 250mm 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안정기(27)의 전체폭이 175-225mm 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페달자전거에 조합되어 착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암(25)이 하강위치에 있을때에 이 암에 5°-10°의 범위내에서 수직선에 대하여 경사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10항 또는 11항에 있어서, 암(25)의 하강수단(22,24)이 탑승자의 역추진운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스풀(24)과, 이 스풀에 권취되고 암에 연결된 가요성 링크(22;22')로 구성된 암의 하강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가요성 링크(22')가 암(25)의 반대측에서 자전거의 뒷바퀴(11)에 나란히 지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암(25)을 상승위치로 탄지하는 스프링 후퇴수단(23,81-88)이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암(25)과 자전거프레임의 한 고정점(88) 사이에 연장된 연결토글(84,85,86)을 포함하고 스프링(23)이 이 토글을 당기도록 배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说明书全文

    자전거용 안정장치

    제1도는 설명을 간편히 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부품의 도시가 생략되고 안정장치가 하강위치, 즉 작동 위치에 있음을 보인 자전거 뒷부분의 측면도.

    제2도는 안정장치가 상측의 비작동위치에 있음을 보인 자전거 뒷부분의 측면도.

    제3도는 제1도와 제2도에서 보인 안정장치의 제2도 III-III선 확대 단면도.

    제4도는 안정장치의 스풀구성부를 보인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VV선 단면도.

    제6도는 수정형태를 보인 제3도와 유사한 단면도.

    본 발명은 탑승자에 의하여 구동되는 이륜차량, 특히 자전거용 안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 탑승자는 도시지역에서 교차로, 교통혼잡, 도로공사나 다른 장애물에 의하여 자주 정지하고 출발하여야 하는 경험을 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은 시골이나 도시지역에서 자전거 타는 사람들에게는 공통적인 현상이며 자전거 타는 사람이 갑자기 정지하게 되어 자신의 균형이 흐트러지는 경우에 잠재적 위험상황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교통조건에서, 자전거 탑승자는 매번 정지시마다 자신의 한 발 또는 양발을 지면에 내려 놓아야하고 많은 경우 아예 자전거에서 내려서야하는 경우가 있다. 자전거를 타는 도중에 빈번하고 급격히 정지하고 출발하는 것은 자전거 탑승자에게는 매우 번거러운 일이다. 이들은 또한 교통혼잡이 심할 때 균형의 유지곤란 또는 요구불만 등에 의해 조급한 성질 때문에 잠재적 위험에 처할 수 있다.

    페달구동형 자전거의 설계와 탑승자의 물리적인 신체조건으로 이들이 앉게 되는 안장은 너무 낮아 표율적인 패달압력을 유지하기 어렵게 되거나 너무 높아 정지시 안장에 앉아 있기 어럽게 된다. 따라서 빈번히 자전거에 올랐다가 다시 내렀다하는 것을 반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탑승자가 자전거에서 내려오지 않고도 자전거를 정지시킬 수 있는 자전거용 안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자전거에 설치될 수 있거나, 제조시에 자전거의 일부로 직접 구성될 수 있는 자전거용 안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라 제공되는 단선차량, 즉 이륜차량 안정장치는 차량의 바퀴축에 또는 이에 근접하여 일측단부가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고 축방향으로 어느정도 압축가능한 암, 이 암의 타측 단부에 연결된 횡축, 이 횡축에 착설된 한쌍의 안정기, 안정기 사이에서 횡축에 착설된 바퀴결합소자화, 안정기가 지면에 닿지 않는 상승위치와 안정기가 저면에 닿으며 바퀴가 지면에 닿지 않고 결합소자에 결합하는 하강위치사이로 암을 이동시키시 위한 수단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암, 횡축 및 바퀴가 스탠드를 구성한다고 할 수 있다. 좋기로는 안정기가 고정되어 있을 때 자전거 바퀴가 회전될 수 있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서, 이륜 차량(페달자전거, 원동기가 결합된 페달 자전거 또는 모우터싸이클을 포함한다)용 안정장치는 뒷바퀴의 평면에 대하여 평행한 평면에서 운동토록 뒷바퀴축선에 또는 이에 인접하여 일측단부가 자전거의 프레임에 축설된 압축형 암, 이 암의 타측단부에 착설되어 있고 타이어의 주행면에 결합가능한 원주면과 타이어의 양측에 여유있게 접하는 플랜지를 갖는 로울러, 암의 상기 타측단부에 착설되고 뒷바퀴의 양측에서 지면에 닿을 수 있게 된 안정기와, 안정기가 지면에 닿지 않는 상승위치와 안정기가 지면에 닿으며 뒷바퀴가 지면에 닿지 않고 로울러에 결합하는 하강위치사이로 암을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안정기는 휠로 되어 있으며, 본 발명장치는 암의 하측단부에 착설된 횡축을 포함하고, 로울러와 안정기는 횡축에 착설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주요특징은 탑승자체중의 대부분이 바퀴를 통하여 지면에, 그리고 안정기에 전달되는 것이다. 이는 안정기가 착설된 암에 탑승자의 체중이 매우 적은 부분만 실리어 독일특허 제174152호에 보인 바와 같이 자전거의 양측에 이 자전거프레임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괴고 간격이 넓은 안정휠의 횡축이 착설된 회전형 암을 갖는 종래의 안정기의 경우와 같이 바퀴를 통하여 지면에 수직으로 전달된 전체 체중이 안정기 암을 통과하는 경우 보다 암을 경량구조로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자전거바퀴를 통하여 체중을 전달하므로서 하중이 지면에 접하여 있는 안정기측으로 보내어져 자전거의 경사운동으로 일어나는 힘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한쌍의 암을 사용하는 대신에 단일암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안정장치의 안정도와 견고도는 축방향의 힘이 암에 응력을 가함이 없이 로울러와 바퀴사이로 전달되므로 하중이 플랜지형 로울러를 통하여 전달되는 경우에 개선될 수 있다.

    암은 뒷바퀴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착설된 스프링탄지형의 신축형암인 것이 좋다. 스프링으로 탄지 하는 것은 코일스프링, 가스스프링 또는 탄성물질과같은 탄성 또는 반작용수단을 사용하면 된다. 또한 암은 신축형이 아닐 수도 있으며, 뒷바퀴 축에 대하여 편심되게 착설될 수 있고 이 암이 어느정도 압축성을 갖는 탄성수단을 포함살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 장치는 상승되었을때에는 바퀴로부터 벗어나고 하강된 때에는 점진적으로 바퀴에 근접하여 바퀴, 횡축 및 안정기를 통하여 자전거와 탑승자의 주요하중을 지지한다.

    바퀴결합부재가 플랜지형 로울러인 경우에 플랜지의 위치는 타이어의 형태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다른 로울러가 사용될 수도 있다.

    로울러등과 같은 마찰이 적은 적당한 다른 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나, 안정기는 바퀴의 형태인 것이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탑승자가 정지하거나, 정지하여 대기하거나 이동시에 언제나 안장에 편히 앉아 있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탑승자가 핸들을 잡고 자전거를 완벽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언제나 페달에 발을 얹어 놓을 수 있도록 한다. 탑승자의 주요하중은 바퀴와 횡축을 통하여 안정기 바퀴로 전달되므로 암에는 비교적 작은 부하만 가하여지고, 암, 뒷바퀴와 횡축의 조합으로 자전거는 튼튼하게 구성되어 비록 어떤 경우에 이륜차량의 탑승자로부터 예상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어떠한 작은 균형입력이 탑승자로부터 요구되어야 한다하여도 자전거가 정지하여 있을 때 탑승자와 자전거의 안정성을 유지하는데 크게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탑승자는 정지하는 과정에서 전진운동이 있다하여도 스탠드를 내리므로서 그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으며 출발시에 스탠드는 즉시 제자리로 복귀될 수 있다. 양측의 안정기가 하강위치에서는 동시에 지면에 닿게 되어 있다.

    자전거의 뒷바퀴는 암이 완전히 하강된 위치에 이르고 자전거는 앞바퀴의 도움으로 정지하는 과정에 있는 경우에 지면으로부터 떨어져 상승된다. 이것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잇점을 준다.

    1. 탑승자는 자전거를 거의 완벽하게 제어하므로서 자신이나 도로의 다른 사람이 안전할 수 있도록 한다.

    2. 탑승자는 스탠드를 하강위치에 고정시켜 자전거를 세울 수 있고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자전거에 그대로 탑승할 수 있다.

    더욱이, 안정기가 고정되어 있을때에도 자전거 바퀴가 회전가능하므로 다음과 같은 부가적인 잇점도 있다.

    3. 변속기어를 착설하여 종래에 급정거 이후 다시 출발하는 경우에는 이용치 못하는 기어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도 바퀴가 자유롭게 회전하므로 재출발시 탑승자가 곧바로 적합한 기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4. 스탠드를 내려 고정시키고 뒷바퀴가 상승되어 있는 정지상태에서도 페달을 밟을 수 있으므로 자전거는 운동용으로 실내 또는 실외에서 보다 다양하고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는 처음부터 설계대로 제작되거나 기존 설계에 수정을 가하여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필요한 수정을 가하는데 요구되는 부품만큼 그부품이 증가한다.

    바퀴가 착설된 안정장치의 전체 폭은 자전거를 통하여 횡방향으로 측정하였을때에 250mm를 넘지 않고 암이 하강된 위치에 있을 때 안정기가 수평면에서 탑승자를 위하여 충분히 안정된 기초를 제공하므로서 탑승자가 정지시에도 안장에 앉아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하여야 한다. 175-225mm 사이의 폭이 좋다.

    암은 뒷바퀴의 둘레에서 한정된 운동범위까지, 좋기로는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충분한 간격을 두고 방사 상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어야 한다. 암이 상승된 위치에 있을때에, 즉 완전히 후퇴된 위치에 있을 때에 안정기의 하측 변부와 지면사이의 거리는 필요한 경우 비록 암이 지면의 상부 어느 위치에 있어서도 되나 150mm 이상이어야 한다.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암은 하강된 위치에 고정되어 있을때에 수직에 대하여 경사져 있어 안정기를 해제할 때에 안정장치의 후퇴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후퇴는 자전거바퀴게 대하여 전방으로 구동력을 가하므로서 더욱 촉진시킬 수 있다. 그러나, 암이 하강위치에 있을 때에 안정에 도움이 되도록 암의 경사각도는 5°- 10°의 범위로 작아야 한다.

    스탠드는 예를들어 수압장치와 같은 적당한 수단에 의하여 하강되어 지면에 접촉하고 뒷바퀴가 상승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 장치가 페달자전거에 조합되어 착설될때에 하강수단은 탑승자가 페달을 거꾸로 밟는 역추진운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스풀과, 이 스풀에 감기어 있으며 암에 연결된, 좋기로는 회축에 착설되어 암에 연결된 체인이나 제어블과 같은 가요성링크로 구성된다, 스풀은 메인페달축, 또는 페달크랭크와 페달축후브 사이의 스핀들 또는 메인구동체인휠에 대하여 자전거의 타측부에 있는 저면브라킷트에 배치될 수 있다.

    스풀은 탑승자가 역추진운동으로 페달크랭크를 회전시키므로서 가요성링크가 걸리어 감기는 주연에 다양한 깊이의 요구를 갖는다. 가요성 링크의 타측단부는 횡축의 플랜지형 칼라에 고정될 수 있다. 역추진운동과 이에 따라 가요성링크가 감기므로서 스탠드는 이 스탠드가 지면에 접촉하여 뒷바퀴가 상승될때까지 상승위치, 즉 후퇴위치로부터 하강될 수 있다.

    스탠드를 신속히 하강 및 후퇴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완전히 하강시켰을때에 스탠드가 수직에 대하여 작으나 충분히 경사진 각도를 이루도록하여, 즉 완전히 수직위치로 당기어지지 않도록 하여 연결용 가요성링크가 언제나 장력하에 놓여 있도록 하며 가요성링크가 해제되었을때에 가능한 신속히 후퇴할 수 있도록 하였다. 통상적으로 상승위치에 있을때에 자전거 뒷바퀴에 대한 최소 간극은 6mm 정도이다.

    스풀은 스핀들 또는 페달축에 인접하여, 또는 메인구동체인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이 좋다. 이는 스핀들 또는 인접페달크랭크에 배치되어 그 코아에서 영구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 스풀은 탑승자의 역추진작용을 통하여 스탠드가 최대 속도로 하강될 수 있도록 자전거 프레임의 한계내에서 충분한 직경을 가지며, 그 지렛대작용으로 뒷바퀴가 지면으로부터 상승되는 순간에 탑승자로부터 요구된 여분의 페달압력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스풀의 폭, 즉 두께는 비록 이두께가 적합하도록 변화되나 통상적으로 페달크랭크와 페달축후브 또는 저면브라킷트 사이에서 초소공간을 차지하도록 설계되기는 하나 요구내에 가요성 링크가 삽입되는데 구조적으로 견고하고 안정되도록 최소가 되게 유지되어야 하며, 통상적으로 그 폭이 9mm 정도가 되어야 한다.

    가요성링크는 요구의 최소깊이의 지점에서 스풀의 주연요구내에 걸리는 것이 좋으며, 이러한 요구의 깊이는 가요성링크가 탑승자의 역추진작용을 통하여 감길때에 요구의 깊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스탠드 바퀴가 지면에 접촉하고 자전거 뒷바퀴가 플랜지형 로울러에 결합되어지면으로부터 상승될 때에 탑승자로부터의 페달압력이 비례하여 증가됨이 없이 가요성링크를 통하여 스탠드에 증가된 지렛대작용이 가하여질 수 있도록 결정되는 것이 좋다.

    스풀의 코아는 메인페달축 또는 크랭크에 고정되고 탑승자가 페달을 역방향으로 추진시킬 때 스풀의 동채에 결합하여 이를 회전시키므로서 가요성링크를 권취하고 스탠드를 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스풀의 주동체는 탑승자가 페달을 정방향으로 추진시킬때에 회전되지 않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스풀의 주동체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은 코아와 스풀의 구동체사이에 스쿨의 주동체 착설된 스프링탄지형 폴장치를 삽입하므로서 이루어지며, 이러한 폴은 "프리 휠"과 같이 스풀의 구동체와의 경계면에서 코아에 형성된 톱니를 타고 넘게되어 있다. 이폴은 역추진시에만 톱니에 결합된다.

    이에 상승하도록 스풀의 구동체는 자유롭게 정방향 회전(케이블길이의 범위내에서)하는 것이 좋다. 즉 해제시에 정방향 추진운동에 일치하여 자유롭게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가요성링크가 이동하여 스탠드가 완전히 상승된 위치, 즉 후퇴위치로 상승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 이러한 "프리 휠"구성은 클러치 장치를 대신하여 사용되고 스탠드를 가능한 한 순간적으로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이는 탑승자가 급정거하여야 할때에 필요하다. 이러한 운동은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스풀의 권취작용의 점진적인 성질에 의하여 더욱 가속될 수 있다.

    스풀은 페달축후브와/또는 인접한 프레임부재의 적당한 지점에 견고히 착설된 고정케이싱에 의하여 일부 또는 전부가 보호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케이싱은 스풀을 보호하여 가요성링크가 요구내애 수용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며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선축형의 축이 사용될때에 이러한 축의 취부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가요성링크가 완전히 당기어져 스탠드가 최종 상승위치, 즉 후퇴위치에 이르렀을때에 스폴주연에 형성된 제2요구 셋트에 자동적 결합되도록 래치가 배치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제2의 고정수단으로 스풀이 요구된 위치를 벗어나 계속하여 풀리는 경향을 억제하고 스탠드가 최종상승위치에 있을때에 반작용 스트러트에 필요한 압축력 또는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 록 한다. 이러한 래치는 탑승자에 의한 역추진중에 스풀이 회전되었을때에 이 제2위치로부터 자동적으로 분리될 것이다. 당연히 일련의 요구가 제공될 수 있다.

    탑승자가 정지상태로부터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스탠드를 순간적으로 후퇴시키기 위하여 기계적인 스프링, 또는 가스와 같은 다른 적당한 반작용매체가 사용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서, 후퇴수단이 암과 자전거프레임의 한 고정지검 사이로 연장된 연결토글을 포함하고 스프링이 토글을 당기도록 배설된다.

    본 발명은 자전거가 전진운동시에나 정지하는 과정에서 신속히 지면측으로 하강되는 바퀴달린 스탠드를 제공하므로서 탑승자가 안장에 앉아 있고 자신의 발을 페달에 얹어 놓은 상태에서 자신의 균형을 유지하고 핸들과 브레이크레바를 잡고 충분히 자신과 자전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지하고자할때에, 정지하여 있는 동안에, 그리고 정지상태로부터 전진하고자할때에 간단한 조작순서로 탑승자가 안전하고 보다 편안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조작순서는 다음과 같다.

    i) 먼저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며 특히 손으로 앞브레이크작동레바를 잡는다.

    ii) 제한된 역추진작용을 통하여, 일측단부가 주동체체인의 반대측에 있는 스풀 또는 페달축에 인접하여 착설되고 타측단이 뒷바퀴후브의영역에서 자전거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착설된 암에 착설되는 횡축으로 수성된 스탠드에 착설되는 가요성 링크가 권취될 수 있도록 한다. 이 스풀은 가요성 링크가 신속히 권취되도록 하려 회축의 바퀴가 신속히 지면에 닿고 자전거뒷바퀴가 상승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위치에서 적당히 착설된 래치에 의해 스풀이 자동적으로 고정된다.

    iii) 정지상태로부터 전진이동하며 케이블을 통하여 래치를 개방하는 핸들손잡이에 인접하여 척설된 레바를 당기어 스풀을 해제하고 스탠드를 해제하여 순간적으로 스탠드가 후퇴하도록 한다. 이 스탠드는 즉각 후퇴하고 래치가 스풀의 림에 형성된 제2쌍의 요구에 결합하여 스풀을 고정시킨다.

    다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자전거는 실내운동용의 고정형 자전거운동기구를 포함하는 레크리에이션/스포츠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탑승자가 자전거를 간편히 세웠다가 다시 이동시킬 수 있는 주차목적의 스탠드를 갖출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에 따른 안정장치를 갖는 자전거의 한 예가 청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1도는 뒷바퀴(11), 뒷바퀴후브(12),뒷바퀴타이어(13), 두 개의 안장지주(15), 두 개의 체인지주(15),페달크랭크(17)(제4도)와, 페달스핀들(18)로 구성되는 자전거(10)의 뒷부분을 보인 것이다. 이들 부품들은 공지된 방법으로 연결되어 있다. 나머지 자전거의 프레임이나 대부분의 전동장치들은 설명을 간편히 하도록 도시를 생략하였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전동장치는 제1도에서 보았을때에 프레임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쪽에 있으며 바퀴후브(12)에 탈선형 변속기어의 일부를 이루는 구동스프로켓(19)를 포함한다.

    상기 언급된 기본구성 이외에 자전거는 스탠드(21), 장력케이블(22), 복귀 스프링(23)과스풀(24)을 포함한다. 스탠드(21)는 일측단이 뒷바퀴스핀들레 회전가능하게 착설되고 타측단에 횡축(26)이 견고하게 착설된 신축형 암(25)으로 구성된다. 두 개의 바퀴(27)가 횡축(26)에서 자유롭게 회전토록 착설되어 있다.

    제1도-제3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신축형 암(25)은 뒷바퀴 후브의 일측부에만 착설되어 탈선형 변속기어장치 또는 다른 변속기어장치가 복잡하게 되지 않도록 하며, 후브에 인접한 프레임에 고정된 브라킷트(71)에서 회전한다. 이브라킷트(71)는 뒷바퀴스핀들이 삽입되는 삽입공을 가지며 체인지주(15)의 하나를 감싸고 한쌍의 너트-볼트(74)에 의하여 이 지주에 압축되어 있는 한쌍의 고정판(73)에 견고히 착설된 수직판(72)으로 구성된다.

    또한 축(26)에는 리브형 표면과 플랜지(52)를 갖는 드럼(50)으로 구성된 로울러(51)가 척설되어 있다. 이로울러는 자유롭게 회전하며 스탠드(21)가 완전히 하강된 위치에 있을때에 사용되는 것이다. 로울러(51)는 신축형 암(25)이 폐쇄된 상태에서 자전거와 탑승자의 전 하중을 거의 지탱하며, 이 암(25)은 정지상태에서 하중을 지탱하고 탑승자가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역활을 한다.

    암(25)이 제2도에서 보인 비작동위치, 즉 완전히 상승위치에 있을때에 이는 신장되어 플랜지형 로울러와 자전거뒷바퀴 타이어(13)사이에 예를들어 6mm의 일정한 간극을 유지하며, 암이 제1도에 보인 작동위치, 즉 완전히 하강된 위치에 있을때에 암이 그 신축작용을 통하여 점진적으로 폐쇄하여 플랜지형 로울러(51)가 뒷바퀴(11)에 완전히 접촉하도록하고 동시에 뒷바퀴가 지면으로부터 예를들어 25mm의 간격을 두고 상승된다. 프랜지형 로울러(51)가 자유롭게 회전하므로 자전거가 전진운동중에 있다하여도 뒷바퀴가 동시에 쉽게 상승하여 하중을 최종적으로 지탱할 수 있도록 한다.

    두 바퀴(27)의 전체 폭은 약 200mm가 될 것이다. 이는 비록 실제로는 바퀴(27)가 어느 경우에는 무관하다하여도 통상적으로는 최적한 범위로 간주된다.

    이 장치는 주요 하중이 자전거의 뒷바퀴(11)를 통하여 로울러(52)에 전달되고 이장치의 두바퀴(27)를 통하여 지면에 전달되며, 언제나 암(25)이 이러한 하중을 지탱하는 보조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로울러(51)의 플랜지(52)는 장치가 하강위치에 있을때에 이들이 근접하여 타이어 윤곽에 중심이 맞추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근접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로울러(51)는 플랜지사이의 상이한 공간을 갖거나 또는 이러한 공간이 조절가능하게된 드럼으로 교체될 수 있다. 플랜지는 암(25)에 대한 축방향지지 구조물을 제공하며 뒷바퀴(11)에 대한 이러한 지지구조물의 고정효과로 측방향 하중을 줄이므로서 탑승자가 자전거에 타고 있는 상태에서 장치가 하강위치에 있을때에 자전거가 경사지려는 경우 이들 두 구성이 조화 있게 상호작용한다.

    신축형 암(25)은 그 상측단부에서 브라켓트(71)에 축설된 원형단면의 외측 튜우브(55)와 이 튜우브(55)내에서 신축하는 내측슬리이브(56)로 구성된다. 이 슬리이브의 하측단부에는 포크(57)가 착설되고 이에 횡축(26)이 견고히 착설된다. 튜우브(55)는 그 저면에 고정칼라(58)를 가지며 압축스프링(59)이 칼라(58)와 포크(57)의 상부사이에서 슬리이브(56)의 저면부를 둘러싸고 있다. 튜유브(55) 내에서 스리이브(56)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슬리이브로부터 돌출된 핀(60)이 튜유브(55)내의 종방향 슬로트(61)내에서 이끄럼 운동하고 튜유브내에서 슬리이브의 운동을 제한하도록 슬리이브(56)의 외향운동을 제한한다. 제2압축스프링(도시하지 않았음)이 슬리이브(56)의상측단부와, 튜유브(55)의 상측단부내에서 이에 인접하여 있는 축방향 가동접속디스크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이 디스크의 축방향 위치는 나선형 핀(62)에 의하여 조절되어 제2압축스프링의 프리스트세스를 조절하려 사이한 체중의 탑승자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

    횡축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는 바퀴(27)는 경량화될 수 있고 튼튼하며 비용면에서 잇점이 된다면 다른 적당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그 크기는 경우에 달라질 수 있으나, 직경이 120mm이고 폭이 20mm이다.

    또한 횡축(26)에는 케이블(22)과 복귀스프링(23)의 설치를 위한 플랜지형 칼라(64)가 형성되어 있다. 이칼라(64)는 횡축(26)의 중심에 가능한 한 가깝게 위치하여 상승 및 하강시의 하중이 균일하게 되도록 한다.

    스탠드(21)를 비작동위치로 탄지하는 것은 복귀스프링(23)이며, 이는 그 상측 단부에서 수직판(72)에 대하여 그 상측단부에서 동축상의 스트리트(81)에 견고히 착설되고 이에 스프링(23)의 상측단부가 접속되는 고정상부칼라(82)와 스프링(23)의 하측단부가 접속되는 가동하부칼라(83)가 착설되어 있다. 하측칼라는 두링크(85)(86)로 구성되는 토글의 너클 조인트(84)에 착설된다. 한 링크(85)의 외측단부는 튜우브(55)에 착설된 브라킷트(87)에 축설된 반면에 다른 링크(86)의 외측단부는 수직판(72)에 견고히 착설되고 이로부터 연장된 포스트(88)의 하측단부에 축설되어 있다. 또한 포스트의 파측단부에는 페어리드(fair lead)(도시하지않았음)가 착설되어 이를 통해 케이블(22)이 안내된다.

    스트리트(81)의 하측단부는 안정장치가 제2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상측위치에 잇을때에 토글이 완전히 직선을 이루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89)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스토퍼가 없다면 조글이 거의 직선을 이루어 기친 노면을 지니면서 안정창치가 상하로 흔들리게 되는 관성력이 저항을 받게될 것이다.

    장력케이블(22)은 칼라(64)와,페달스핀들(18)에서 프레임에 가까운 부분과 저면브라킷트 또는 페달축후브(19)에 착설된 스풀(24) 사이에 연결된다.

    스폴(24)은 제4도와 제5도에소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는 프레임에 대하여 고종된 외부케이싱(28)내에 장설되고 중간에 캡부재(31)가 배치된 한쌍의 디스크(29)로 구성된다. 캠부재(31)는 디스크(29)사이에 다양한 깊이의 요구(33)를 형성하는 캠면(32)를 갖는다. 디스크(29)는 일련의 스프링탄지형 폴(35)을 장설하는 동심원상의 중심링(34)에 고정된다. 이 디스크는 3개가 도시되어 있으나, 그 이상일 수도 있다. 코아(36)가 링(34)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코아는 페달스핀들(18)에 고정되고 폴(35)에 결합하는 일련의 톱니(37)를 갖는다.

    디스크(29)의 외주연에는 요구(38)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28)에 대하여 고정된 스프링탄지형 패치(41)가 요구(38)에 결합할 수 있도록 배설된다. 이 래치(41)는 예를들어 핸들에 착설된 작동레바(도시하지 않았음)에 연결된 해제 케이블(42)을 갖는다. 장력케이블(22)은 캠면(32)에 착설되고 케이싱(28)에 형성된 통공 (도시하지 않았음)을 지난다.

    본 발명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자전거가 페달을 밟아 정상적으로 구동될때에 스탠드(21)는 제2도에서 보인 상승위치에 놓여있고 신축형암(25)은 신장되어 있으며 로울러(51)는 타이어(13)로부터 간격을 둔다. 스핀들(18)은 코아(36)를 회전시키고(도시된 상태에서 시계반대방향) 폴(35)은 톱니(37) 위를 타고 넘는다. 이와 같은 위치에서, 래치(41)는 요구(38)에 결합한다. 따라서 스풀(24) 자체는 회전하지 아니한다.

    정지하고자할 때에, 스탠드(21)는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1도에서 보인 위치로 하강한다. 바퀴(27)가 지면에 닿고, 플랜지형 로울러(51)가 뒷바퀴(11)에 결합하며 자전거뒷바퀴가 지면으로부터 25mm 가량 상승된다. 이는 페달을 역추진시켜서 이루어진다.

    탑승자가 페달을 역추진시킬 때 스핀들(18)의 도시된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이것이 코아(36)를 회전시킨다. 폴(35)이 톱니(37)에 결합하며 스풀(24)은 래치(41)가 요구(38)에 결합할때까지 회전된다. 이로써 케이블(22)이 캠면(32)의 둘레에 감기어 스탠드(21)가 스프링(23)의 작용에 대항하여 하강된다. 케이블(22)은 스풀의 요구(33)내에서 최소 깊이의 지점에 고정된다. 캠면(32)은 가요성 링크가 탑승자의 역추진 작용으로 권취될때에 요구(33)의 깊이가 점차 길어져서 탑승자로부처의 페달압력을 동등하게 증가시킬 필요 없이 케이블(22)을 통하여 스탠드(21)에 증가된 지렛대작용의 힘을 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바퀴(27)가 지면에 접촉하고 탑승자화 자전거의 조합된 하중을 지탱하며 뒷바퀴가 지면으로부터 상승될때의 한계점에서 요구(33)의 깊이와 지렛대작용의 힘이 최대가 된다.

    스탠드(21)가 하강위치에 이르렀을때에 탑승자는 자신의 발을 페달에서 떼지 않고 또한 균형을 흩으러뜨리지 아니하고 자전거를 정지시킬 수 있다. 스탠드(21)는 대치(41)의 결합으로 하강위치에서 고정된다.

    탑승자가 전진이동코자할때에 스탠드(21)를 상승시킨다. 이 스탠드(21)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래치(41)는 해제케이블(42)을 이용하여 해제된다. 따라서 래치는 요구(38)로부터 분리되고 스프링(23)이 스탠드(21)를 상승시킨다. 따라서 장력케이블(22)이 캠면(32)으로부터 풀리면서 래치(41)가 요구(38)에 재결합될 때까지 스풀(24)을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스탠드(21)는 상승된 위치에서 고정된다.

    스탠드가 작동상태에 있을때에 로울러(51)의 플랜지(52) 사이에 타이어가 잡히어 고정되므로서,탑승자의 하중대부분이 뒷바퀴(11). 로울러(51),횡축(26) 및 바퀴(27)를 통하여 지면에 전달되는 한편, 플랜지(52)는 자전거의 가벼운 경사 또는 불균일한 노면에 의한 축방향의 하중이 축(26)과 뒷바퀴(11) 사이로 전달될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바퀴(11), 후브(12), 암(25)과 횡축(26)으로 사각형 골격이 매우 튼튼하게 구성될 것이며 자전거가 경사진다하여도 암(25)이 큰 응력을 받지 않을 것이다.

    제6도는 수정형태를 보인 것이다. 이러한 수정형태의 구조는 이후 설명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도-제5도를 인용하여 설명한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이러한 동이부분에 대한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 이러한 수정형태에 잇어서, 가요성 링크(22')로부터 자전거의 프레임에 착설된 튜우브(도시하지 않았음)를 통하여 체인지주(15)의 선단에 연장되고, 평면에서 보았을때에 가요성 링크가 자전거 프레임의 반대측으로 향하도록 스풀(24)이 착설된 자전거 프레임, 즉 구동체인이 배치되는 프레임측으로부터 기다란 "S"자형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이 가요성링크(22')는 구동체인의 하측부 아래에서 암의 반대측인 뒷바퀴(11')의 측부로 튜우브의 후단에서 후향하측으로 연장되고 횡축(26')을 암에 착설하는 포크(57')에 대하여 로울러(51')의 반대측에서 칼라(64')에 의하여 횡축(26')에 고정된다.

    안정장치가 하향위치에 있을때에 이에 가하여진 하중은 횡축(26')의 축선이 뒷바퀴후브(12')의 축선을 통한 수직선의 후측에 놓이므로 횡축(26')을 후측으로 이동시키러는 경향을 보일 것이다. 따라서, 래치(41)가스풀(24)의 디스크(29)에 형성된 요구(38)에 있을때에 가요성 링크(22')은 장력하에 고정될 것이므로 횡축이 후측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에 제동을 가할 것이며 이로써 발생되는 암(25')의 종축선을 중심으로하는 포크(57')와 암(25')의 비틀림운동을 방지할 것이다.

    이와 같이 수정형태의 구조는 자전거가 정지상태에 있을때에 보다 견고하고 안정된다.

    비록, 이 실시형태에서 스풀(24)이 자전거에서 체인휠의 반대측에 놓여있고 자전거의 일측부로부터 타측으로 가용성링크(22')가 지날 수 있는 튜우브가 구성되어 있다하여도 스풀을 체인휠과 동일한 측부에 설치 할 수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