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 선로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도 선로 가이드 시스템{APPARATUS FOR GUIDING RAILROAD AND SYSTEM FOR GUIDING RAILROAD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철도 선로 가이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철도 기관사가 야간이나 악천후 시에 철도 선로의 진행 방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 선로 가이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 기관사들이 야간 운행을 하거나 악천후에 철도 운행을 하게 되면, 전방의 시야를 제대로 확보하지 못해 철도 선로의 진행 방향이나 철도 선로의 커브 각도를 정확히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철도 기관사의 입장에서는 전방의 상황을 예측하지 못해 불안감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야간이나 악천후시에도 철도 선로의 진행 방향을 미리 알려줄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또한, 철도 건널목에 건널목 차단기가 내려진 상태에서 선로에 차량이 멈추어선 경우와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철도 기관사가 이를 미리 파악하지 못하면 위험 사고로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철도 건널목의 비상 상황을 미리 알려줄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철도 기관사가 야간이나 악천후 시에도 철도 선로의 진행방향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철도 선로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도 선로 가이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철도 건널목의 비상 상황을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 선로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도 선로 가이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 선로 가이드 시스템은, 철도 차량에 설치되며, 표시등 켜짐 신호를 발생시키는 철도 차량용 통신 장치; 및 제1 표시등을 구비하고, 상기 철도 차량이 이동하는 선로 주위에 상기 선로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표시등 켜짐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 표시등을 온(On) 시키는 철도 선로 유도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 선로 가이드 장치는, 철도 차량이 이동하는 선로 주위에 상기 선로를 따라 설치되는 철도 선로 가이드 장치에 있어서, 제1 표시등; 상기 철도 차량에 설치된 철도 차량용 통신 장치로부터 표시등 켜짐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가 상기 표시등 켜짐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표시등을 온 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통신부 및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철도 차량이 철도 선로를 따라 운행할 때, 철도 차량용 통신 장치에서 송신하는 표시등 켜짐 신호의 통신 거리에 속하는 철도 선로 가이드 장치에서 표시등을 자동으로 켜줌에 따라, 야간이나 악천후와 같이 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에도 철도 선로의 진행 방향 및 커브 각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철도 건널목에서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이를 철도 선로 가이드 장치에서 표시등을 통해 철도 차량에 알려줌으로써, 철도 건널목에서 발생하는 위험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 선로 가이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도 선로 가이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 선로 가이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철도 선로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도 선로 가이드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 선로 가이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철도 선로 가이드 시스템은 철도 선로 가이드 장치(102) 및 철도 차량용 통신 장치(104)를 포함한다. 상기 철도 선로 가이드 장치(102)는 선로(111)를 따라 상기 선로(111) 주위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다. 여기서는 상기 철도 선로 가이드 장치(102)가 선로(111) 외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위치 예를 들어, 상기 선로(111) 사이를 잇는 지지대(113) 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철도 선로 가이드 장치(102)는 선로의 커브 각도가 심한 선로 또는 안개가 자주 끼는 지역의 선로 주위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철도 선로 가이드 장치(102)는 표시등을 포함하며, 상기 철도 차량용 통신 장치(104)로부터 표시등 켜짐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표시등을 온(On) 시킨다. 한편, 상기 철도 선로 가이드 장치(102)는 상기 표시등 켜짐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시간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을 경과한 후에는 상기 표시등을 오프(Off) 시킨다. 상기 철도 차량용 통신 장치(104)는 철도 차량(115)에 설치되며, 상기 철도 선로 가이드 장치(102)로 표시등 켜짐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철도 차량용 통신 장치(104)는 야간이나 악천후와 같이 전방의 시야를 확보하기 어려운 환경인 경우, 상기 철도 선로 가이드 장치(102)로 표시등 켜짐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러면, 상기 표시등 켜짐 신호의 통신 거리에 포함되는 철도 선로 가이드 장치(102)의 표시등이 켜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철도 차량(115)이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표시등 켜짐 신호의 통신 거리에 포함되는 철도 선로 가이드 장치(102)의 표시등이 순차적으로 켜지게 된다. 한편, 상기 철도 차량(115)이 지나가게 되면 철도 선로 가이드 장치(102)는 상기 표시등 켜짐 신호의 통신 거리를 벗어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철도 선로 가이드 장치(102)는 상기 표시등 켜짐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시간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표시등을 오프시킨다. 여기서, 상기 철도 차량용 통신 장치(104)는 송신 출력을 제어하여 상기 표시등 켜짐 신호의 통신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철도 차량(115)의 전방에 위치한 철도 선로 가이드 장치(102)의 표시등이 자동으로 켜지게 되므로, 야간이나 악천후와 같이 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선로(111)의 진행 방향이나 선로(111)의 커브 각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철도 기관사는 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없는 상황에서 철도 선로의 진행 방향을 미리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안정된 마음으로 운행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없는 상황에서 철도 기관사가 철도 선로에 거니는 야생 동물을 발견하지 못해 가끔 사고가 발생하곤 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철도 차량이 오기 전에 선로에 미리 표시등이 켜지기 때문에, 이를 통해 야생 동물들이 선로를 벗어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이러한 충돌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도 선로 가이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철도 선로 가이드 시스템은 철도 선로 가이드 장치(202), 철도 차량용 통신 장치(204), 및 건널목 비상 경보 장치(206)를 포함한다. 상기 철도 선로 가이드 장치(202)는 선로(211) 주위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다. 여기서는 상기 철도 선로 가이드 장치(202)가 선로(211) 외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위치 예를 들어, 상기 선로(211) 사이를 잇는 지지대(213) 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철도 선로 가이드 장치(202)는 선로의 커브 각도가 심한 선로, 안개가 자주 끼는 지역의 선로, 및 건널목 인근의 선로 주위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철도 선로 가이드 장치(202)는 제1 표시등(203-1) 및 제2 표시등(203-2)을 포함한다. 상기 철도 선로 가이드 장치(202)는 상기 철도 차량용 통신 장치(204)로부터 표시등 켜짐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표시등(203-1)을 온(On) 시킨다. 또한, 상기 철도 선로 가이드 장치(202)는 상기 건널목 비상 경보 장치(206)로부터 비상 경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 표시등(203-2)을 온(On) 시킨다. 이때, 상기 제1 표시등(203-1)은 철도 차량(215)의 선로 진행 방향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2 표시등(203-2)은 상기 철도 차량(215)에 건널목 비상 상태를 알리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표시등(203-1)과 상기 제2 표시등(203-2)은 서로 다른 색깔의 표시등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표시등(203-1)은 녹색 표시등을 사용하고, 상기 제2 표시등(203-3)은 적색 표시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표시등(203-1) 및 상기 제2 표시등(203-2)은 LED(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으고,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유지 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철도 차량용 통신 장치(204)는 상기 철도 차량(215)에 설치되며, 상기 철도 선로 가이드 장치(202)로 표시등 켜짐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철도 차량용 통신 장치(204)는 야간이나 악천후와 같이 전방의 시야를 확보하기 어려운 환경인 경우, 상기 철도 선로 가이드 장치(202)로 표시등 켜짐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러면, 상기 철도 차량(215)의 전방에 설치된 철도 선로 가이드 장치(202)의 제1 표시등(203-1)이 켜지게 된다. 이때, 상기 표시등 켜짐 신호의 통신 거리에 속하는 철도 선로 가이드 장치(202)의 제1 표시등(203-1)이 켜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철도 차량(215)이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표시등 켜짐 신호의 통신 거리에 속하는 철도 선로 가이드 장치(202)의 제1 표시등(203-1)이 순차적으로 켜지게 된다. 상기 건널목 비상 경보 장치(206)는 예를 들어, 건널목 차단기가 내려진 상황에서 건널목에 자동차(217) 등과 같은 지장물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철도 선로 가이드 장치(202)로 비상 경보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건널목 비상 경보 장치(206)는 지장물 감지부(207) 및 통신부(208)를 포함한다. 상기 지장물 감지부(207)는 건널목에 지장물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지장물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통신부(208)로 지장물 감지 사실을 전송한다. 상기 지장물 감지부(207)는 레이저 센서, 적외선 센서 등과 같은 물체 감지 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고, 건널목을 촬영하는 카메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지장물 감지부(207)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건널목에 지장물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통신부(208)는 건널목에 지장물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철도 선로 가이드 장치(202)로 비상 경보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통신부(208)는 송신 출력을 제어하여 상기 비상 경보 신호의 통신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비상 경보 신호의 통신 거리에 속하는 철도 선로 가이드 장치(202)의 제2 표시등(203-2)이 켜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철도 차량(215)은 상기 제2 표시등(203-2)이 켜진 것을 통해 전방의 건널목에 지장물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조치를 신속히 취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 선로 가이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철도 선로 가이드 장치(300)는 통신부(302), 제1 표시등(304), 제2 표시등(306), 전원부(308), 및 제어부(310)을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302)는 철도 차량용 통신 장치(204)로부터 표시등 켜짐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302)는 건널목 비상 경보 장치(206)로부터 비상 경보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통신부(302)가 상기 표시등 켜짐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표시등(304)이 켜지게 되고, 상기 통신부(302)가 비상 경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 표시등(306)이 켜지게 된다. 상기 전원부(308)는 상기 각 구성 요소에 전원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부(308)는 솔라셀(312), 충전 회로(314), 및 충전 배터리(3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솔라셀(312)은 태양광을 전기로 바꾸어주는 역할을 하고, 상기 충전 회로(314)는 상기 솔라셀(312)에 의해 변환된 전기를 상기 충전 배터리(316)에 충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상기 철도 선로 가이드 장치(30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필요가 없으며, 자체적으로 전원을 충당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통신부(302)가 상기 철도 차량용 통신 장치(204)로부터 표시등 켜짐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표시등(304)을 온(On) 시켜 철도 차량(215)이 전방의 선로 진행 방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철도 차량(215)이 해당 철도 선로 가이드 장치(300)를 지나쳐서 점점 멀어짐에 따라 상기 표시등 켜짐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 상기 표시등 켜짐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게 되는 시간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1 표시등(304)을 오프(Off) 시킨다. 즉, 상기 제1 표시등(304)은 상기 철도 차량(215)에게 선로의 진행 방향을 알려주기 위한 것이므로, 상기 철도 차량(215)이 해당 철도 선로 가이드 장치(300)를 지나쳐 멀어져 가면, 일정 시간 후에 오프시켜 전력 소모를 줄이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통신부(302)가 상기 건널목 비상 경보 장치(206)로부터 비상 경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 표시등(306)을 온(On) 시켜 철도 차량(215)이 전방의 건널목에 비상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확인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10)는 일조 시간에 상기 전원부(308)를 제어하여 상기 솔라셀(312)에 의해 변환된 전기를 충전 배터리(316)에 충전시키도록 한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2, 202 : 철도 선로 가이드 장치 104, 204 : 철도 차량용 통신 장치 111, 211 : 선로 113, 213 : 지지대 115. 215 : 철도 차량 203-1 : 제1 표시등 203-2 : 제2 표시등 206 : 건널목 비상 경보 장치 207 : 지장물 감지부 208 : 통신부 302 : 통신부 304 : 제1 표시등 306 : 제2 표시등 308 : 전원부 310 : 제어부 312 : 솔라셀 314 : 충전 회로 316 : 충전 배터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