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바이오틱스 조합물

申请号 KR1020037009902 申请日 2002-01-17 公开(公告)号 KR1020040012717A 公开(公告)日 2004-02-11
申请人 발리오 리미티드; 发明人 매이래-매키넨안니카; 주오말라이넨타르자; 바랄라오우티;
摘要 본 발명은 유산균(lactobacilli), 프로피온산 박테리아(propionic acid bacteria) 및/또는 비피도박테리아(bifidobacteria)의 서로 다른 조합을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조합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합물을 적합한 프리바이오틱스와 혼합하여 신바이오틱스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합물은 그 자체로 사용하거나 적합한 식품 또는 약품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예컨대, 면역 시스템을 자극하거나 전반적인 건강 증진에 치료적으로 유용하다.
权利要求
  • 미생물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GG( Lactobacillus rhamnosus LGG, ATCC 53103),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C705( Lactobacillus rhamnosus LC705, DSM 7061), 프로피오니박테리움 프로이덴라이히 아종 쉐르마니 PJS(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ssp. shermanii PJS, DSM7067) 및 비피도박테리움 중에서 3 가지 이상을 포함하거나, 프로피오니박테리움 프로이덴라이히 아종 쉐르마니 PJS(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ssp. shermanii PJS, DSM7067) 및 비피도박테리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물.
  • 제 1 항에 있어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GG (ATCC 53103),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C705 (DSM 7061), 프로피오니박테리움 프로이덴라이히 아종 쉐르마니 PJS (DSM7067) 및 비피도박테리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물.
  • 제 1 항에 있어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프로이덴라이히 아종 쉐르마니 PJS (DSM7067) 및 비피도박테리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물.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피도박테리움이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 Bbi99( Bifidobacterium infantis Bbi99, DSM 1369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물.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통상적인 발효제 미생물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물.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리바이오틱스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거나 프리바이오틱스와 함께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물.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바이오틱스가 올리고사카라이드, 크실로-올리고머 또는 폴리덱스트로오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물.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바이오틱스가 갈락토-올리고사카라이드 (GO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물.
  •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료 물질로서 사용되는 조합물.
  • 치료 물질로서 사용되며, 다음의 미생물 중에서 2 가지 이상을 포함하는 조합물: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GG (ATCC 53103),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C705 (DSM 7061), 프로피오니박테리움 프로이덴라이히 아종 쉐르마니 PJS (DSM7067) 및 비피도박테리움. 단,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GG (ATCC 53103)와 리피도박테리움의조합은 제외.
  •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합물의 식품 산업, 제약 산업, 또는 건강-증진 제품 또는 천연 제품의 제조에 있어서의 용도.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물을 유제품, 음료, 주스, 수프, 또는 유아 식품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물을 단일 분량 형태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분량 형태가 캡슐인 용도.
  • 说明书全文

    프로바이오틱스 조합물{COMBINATION OF PROBIOTICS}

    프로바이토틱스(probiotics)는, 인간 또는 동물에 투여되어, 장내 미생물 균형을 개선하여 숙주(host)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살아있는 미생물을 의미한다 (Fuller, R. Probiotics in man and animals, 1989, J. Appl. Microbiol. 66: 365-378). 가장 잘 보고된 프로바이오틱스에는 L. rhamnosus LGG), L. johnsonii LAI, L. casei Shirota 및 Bifidobacferium lactis Bbl2 등이 있다. 또한, 많은 다른 프로바이오틱스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예컨대, ME Sanders & JH in't Veld 1999. Antonie vanLeeuwenhoek 76: 293-315, Kluwer Academic Publishers 참조). 프로바이오틱스의 건강 증진 효과는 장내 균총(flora)의 밸런싱 및 유지, 면역계의 자극 및 항암 활성(anti-carcinogenic activity)을 포함한다. 프로바이오틱스의 인간 장내에서의 유용한 효과는 살아있는 박테리아 세포, 그들의 구조 및 대사산물에 기인하는 몇 몇 인자들에 기초한다. 프로바이오틱스는 통상 영양제에 포함되어 또는 캡슐 형태로 투여된다.

    다음의 요구조건을 본질적으로 만족시키는 박테리아를 프로바이오틱스라고 칭한다 (Lee, YK and Salminen, S. 1995 The coming age of probiotics. Trend Food Sci Technol, 6: 241-245): 소화관 내의 일반적인 요구 조건 (위의 낮은 pH, 소화계의 산, 등)에서 생존할 것; 장관벽에 잘 부착할 것; 장내에서 대사할 것; 기술적으로 적용가능할 것 (조작을 견딜 수 있을 것); 임상적으로 시험되고 보고된 건강 효과를 나타낼 것; 및 섭취하기에 안전할 것.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는 대장내에서 한 가지 또는 몇몇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의 성장 및 활성을 선택적으로 자극함으로써 인간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비소화성(nondigestible) 않는 식품 성분이다 (Gibson, GR and Roberfroid, MB 1995. Dietary modulation of the human colonic microbiota-introducing a concept of prebiotics. J. Nutr. 125: 1401-1412). 프리바이오틱은 일반적으로 비소화성 탄수화물(올리고- 또는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소화관 상부에서 분해되지 않거나 흡수되지 않는 당알코올(sugar alcohol)이다. 상품에서 사용되는 알려진 프리바이오틱스에는 이눌린(inulin; 프락토-올리고사카라이드, 또는 FOS) 및 트랜스갈락토-올리고사카라이드(GOS 또는 TOS) 등이 있다.

    신바이오틱스는 프리바이오틱과 프로바이오틱의 조합으로 정의되며, 상기 프리바이오틱은 첨가된 미생물의 생존력(viability) 및 장에서의 부착(착생)을 증진시킴으로써, 건강을 증진시킨다 (상기 Gibson and Roberfroid 1995). 소장을 통과한 비소화성 탄수화물이 대장에서 발효될 때, 예컨대, 단쇄 지방산(short-chain fatty acid), 다른 유기산, 알코올, 수소 및 이산화탄소 등이 생성된다 (상기 Gibson and Roberfroid 1995). 발효에 의하여 생성되는 주요한 지방산은 아세트산, 낙산(butyric acid) 및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이다 (Cummings, JH Short-chain fatty acids, in: Human Colonic Bacteria: Role in Nutrition, Physiology and Pathology, GR Gibson and GT Macfarlane (eds.), pp. 101130, CRC Press, Boca Raton, 1995). 단쇄 지방산 수의 증가는 일반적으로 이롭다. 비소화성 탄수화물은, 장내 발효시 해로운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장 미생물의 주요한 기질이다 (상기 Gibson and Roberfroid, 1995).

    인간 소화관은 숙주와 공생하며 생존하는 많은 수의 박테리아를 수용한다. 미생물 존재량에 있어서 소화관의 서로 다른 부분 사이에 많은 차이가 있으며, 모든 장내 박테리아의 약 95%가 내장 중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인 대장에 존재한다. 약 400 종의 박테리아의 대장 내에서의 번식을 평가하였다. 이들에 더하여, 내장은 일시적 미생물로 알려진 미생물을 포함한다 (GR Gibson and MB Roberfroid (eds.) Colonic Microbiota; Nutirition and Health. Kluwer Academic Publisher, Dordrecht, 1999). 다음과 같은 종이 우세하다: 박테로이드( Bacteroides ), 비피도박테리움( Bifidobacterium ), 코프로코커스( Coprococcus ), 펩토스트렙토코커스( Peptostreptococcus ), 유박테리움( Eubacterium ) 및 루미노코커스( Ruminococcus ). 유산균( Lactobacillus ), 스트렙토코커스( Streptococcus ), 푸조박테리움( Fusobacterium ), 베일로넬라( Veillonella ), 프로피오니박테리움( Propionibacterium ) 및 장내세균과( Enterobacteriaceae )의 수는 약간 적다. 상기 종들 중 몇몇은 유용한 미생물이지만, 나머지는 해로울 수도 있다. 배설물 내의 평균적인 미생물 존재량은 10 12 cfu/g (건조량 기준)이다. 박테리아는 소장에서 흡수되지 않은 식품 성분을 대장에서 분해하고 발효시키며, 발효의 최종 산물은 신체에 사용되기 위하여 장내로 흡수된다. 영양분 이외에도, 대장의 미생물 균형이 인간의 건강 상태에 매우 중요하다 (Tannock, GW 1998. Studies of the intestinal microflora : A prerequisite for the development of probiotics, Int. Dairy J. 8: 527-533). 장내 균총 조성의 변화 또는 그 양의 갑작스런 감소 (심한 설사, 항생제 치료 등에 기인함)는 잠재적 병원성 종의 감염성을 증가시키고, 이는 심각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돌발성 알레르기, 장질환, 암).

    예컨대, 장내 박테리아에 의하여 생산되는 β-글루쿠로니다제 (β-gtucuronidase) 효소는 발암성 화합물을 형성하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스테로이드 및 다른 발암성 화합물은 간에서 대사된 후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과 접합한다. 담즙은 접합된 글루쿠론(glucurone) 화합물을 소장으로 운반하고, 거기에서부터 상기 화합물은 글루쿠로니다제(glucuronidase) 효소가 이들 화합물을 가수분해할 수 있는 대장까지 더 이동하여, 대장내로 독성 화합물을 방출한다(Rowland, IR 1995. Toxicology of the colon : role of the intestinal microflora, in: Human Colonic Bacteria, Role in nutrition, physiology, and pathology. Editors: Gibson, GR and Macfarlane, GT, pp. 155-174, Boca Raton: CRC Press). 유박테리움( Eubacterium ), 박테로이드( Bacteroides ) 및 클로스트리듐( Clostridium ) 종류들이 비피도박테리움( Bifidobacterium ) 및 유산균( Lactobacillus ) 종류들보다 많은 양의 이들 유해한 효소들을 장으로 방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는 장내 균총이 비피도박테리움 및 유산균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유리한 이유 중 하나를 제공한다.

    또한, 식물 또는 예컨대, 차에서 유래하는 글리코시드는 소장에서 흡수되지 않고 대장까지 이동하며, 여기서 β-글리코시다제의 작용에 의하여 가수분해되어 독성 또는 변이유발성 아글리콘 화합물 (mutagenic aglycone compounds)를 생성할 수 있다 (Goldin, BR 1990. Intestinal Microflora : metabolism of drugs and carcinogens. Annals of Medicine 22: 43-48).

    또한, 장내 균총은 요소를 암모니아로 분해하는 우레아제 효소를 생산한다. 많은 양의 암모니아는 장의 상피(epithel) 세포에 유독할 수 있다 (Mobley, HLT and Hausinger, RP 1989. Microbial ureases: significance, regulation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Microbiological Reviews 53: 85-108).

    인간 장내 균총은 일생 중 초년기에 형성되고, 그 이후로 그 구성에 있어서 큰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단지, 종 내에서의 작은 변화만 발생할 뿐이다 (예컨대, 비피도박테리움 내에서).

    따라서, 장내 균총의 중요성에 대한 증대된 이해와 함께, 연구는 유익한 박테리아 종은 강화시키고 유해한 것은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균총의 구성 및 그의 작용 (생존력)에 영향을 미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인자들을 발견하는데 적극적으로 초점이 맞추어졌다. 미생물의 작용이 유익균을 증진시키는 프리바이오틱스에 의하여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생각된다. 연구를 디-. 트리-, 테트라-, 펜타- 및 헥사사카라이드류이고 본래 갈락토오즈 단위체를 포함하는 갈락토올리고사카라이드류(GOS)로 확대하여 수행하였다. 이들을 락토오스로부터 효소적으로 제조하며, 최종 생성물의 양은 사용된 효소에 따라 달라진다 (Matsumoto, K. et al. 1993. Galactooligosaccharides, in: Oligosaccharides. Production, properties and applications. Ed. Nakakuki, T., Japanese Technology Reviews. Vol. 3. No. 2., pp. 90-116, Gordon and Breach Science Publishers, Switzerland, Australia). GOS는 이미 예컨대, 비피도제닉(bifidogenic) 특성, 즉 비피도박테리아의 성장을 촉진하는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Ito, M. et al. 1990. Effect of administration of galactooligosaccharides on the human faecal microflora, stool weight, and abdominal sensation. Microb. Ecol Health Dis. 3: 285-292).

    단일 프로바이오틱 균주를 함유하는 생산물 및 많은 수의 상이한 프로바이오틱스의 조합을을 함유하는 산물 모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문헌에 풍부하게 기재되어 있다. 신바이오틱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예컨대, 유럽공개특허 EP 904 784 (NV Nutricia)에는 비피도박테리움( Bifidobacterium ), 엔테로코커스 파에시움( Enterococcus faecium ) 및 유산균( Lactobacillus )를 함유하는 프로바이오틱스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산물은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비-분해성 녹말, 및 면역글로불린, 비타민 등과 같은 프리바이오틱스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공개특허에 따르면, 상기 산물은, 예컨대, 면역시스템을 자극하여 건강 증진 효과를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는 임상적인 시험에 의하여 보여진 것이 아니고 다른 어떤 생물학적 활성도 연구된 바가 없다.

    국제공개 WO 00/33854 (NV Nutricia)에는 프로바이오틱스와 올리고사카라이드를 포함하는 산물이 기재되어 있다. 프로바이오틱스로서 페디오코커스( Pediococcus ), 프로피오니박테리움( Propionibacterium ), 로이코노스토크( Leuconostoc ) 및 사카로마이세스( Saccharomyces )도 언급되어 있지만, 특별히 언급된 프로바이오틱스는 유산균( Lactobacillus )과 비피도박테리움( Bifidobacterium )이다. 수반되는 프리바이오틱스는 트랜스갈락토올리고사카라이드(TOS) 및 프룩토올리고사카라이드(FOS)를 포함한다. 상기 공개 특허에 따르면, 특히 유리한 조합물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와 트랜스갈락토올리고사카라이드 또는 감자 갈락탄(potato galactane)의 가수분해 산물을 포함하며, 이러한 조합 및 그의 제조 또한 실시예에 예시되어 있다. 상기 공개 특허에 따르면, 상기 산물은 건강 증진 효과를 가지며 특히 장질환의 치료에 유용하다. 그러나, 그의 활성은 어떤 방법으로도 나타나있지 않다.

    국제공개 WO 97/34615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에는 한 가지 이상의 프로바이오틱스에 더하여 저항성(비-분해성) 녹말 및 올리고사카라이드를 함유하는 프로바이오틱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으며, 이 때, 상기 3 성분 간의 상승효과가 발생한다.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사카로마이세스( Saccharomyces ), 비피도박테리움( Bifidobacterium ), 박테로이드( Bacteroides ), 클로스트리듐( Clostridium ), 푸조박테리움( Fusobacterium ), 프로피오니박테리움( Propionibacterium ), 락토코커스( Lactococcus ), 스트렙토코커스( Streptococcus ), 엔테로코커스( Enterococcus ), 스타필로코커스( Staphylococcus ), 펩토스트렙토코커스( Peptostreptococcus ) 및 유산균( Lactobacillus )이 기재되어 있으며, 올리코사카라이드는 많은 다른 것들 중에서 프룩토- 및 갈락토올리고사카라이드를 포함한다. 실시예는 비피도박테리아의 양에 대한 비피도박테리아, 옥수수 녹말 및 프룩토올리고사카라이드의 상승 효과를 보여준다. 그러나, 어떠한 치료적 효과도 기재되어 있지 않다.

    미국특허 US 5,895,648 (Sitia-Yomo SpA)에는 한 가지 이상의 올리고사카라이드와 결합된 적어도 2 종 이상의 스트렙토코커스 또는 유산균 및 적어도 두 종 이상의 비피도박테리아 생균을 동결건조된 형태로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조성물은 총 4 내지 20 중량부의 프로바이오틱스 및 5 내지 22 중량부의 올리고사카라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올리고사카라이드의 예로서 갈락토- 및 프룩토올리고사카라이드, 특히 이눌린이 기재되어 있다. 기재된 프로바이오틱스는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ifidobacterium breve ),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 Bifidobacterium infantis ),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Bifidobacterium longum ),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Bifidobacterium bifidum ), 락토바실러스 악시도필러스( Lactobacillus acidophilus ),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 Lactobacillus bulgaricus ), 락토바실러스 카세이( Lactobacillus casei ),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 ) 및 스트렙토코커스 파에시움( Streptococcus faecium )을 포함한다. 상기 공개특허 따르면, 프로바이오틱스와 프리바이오틱스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우유-기재 디저트, 우유 또는 주스에 첨가하여 장의 기능의 균형을 잡아준다. 그러나 조합물의 어떠한 생물학적 활성도 기재되어 있지 않다.

    공개된 문헌 "Milchwissenschaft (1988, Vol. 53, No. 11, pp. 603-605)"에는 다음과 같은 3 종류의 박테리아 균주를 포함하는 PAB-우유가 기재되어 있다: 츠로피오니박테리움 프로이덴라이히 아종 쉐르마니 MTCC 1371(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subsp. shermanii MTCC 1371), 락토바실러스 악시도필러스 R.( Lactobacillus acidophilus R.) 및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NDRI( Bifidobacterium bifidum NDRI). 프리바이오틱스는 상기 산물에 첨가되지 않았다. 상기 공개 특허에 따르면, PAB-우유는 아기 및 어린이에게 적합하며, 락토오스 분해효소 결핍증(lactose intolerance)을 앓고 있는 사람들에게도 적합하다.

    국제공개 WO 99/10476에는 특정 박테리아 균주, 즉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 Lactobacillus rhamnosus ) HN001 (NM97/09514)와 HN067 (NM97/01925), 및 락토바실러스 악시도필러스( Lactobacillus acidophilus ) HN017 (NM97/09515)와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Bifidobacterium lactis ) HN019 (NM97/09513)가 식세포작용 (phagocytosis)을 증진시켜 면역 시스템을 자극하는 효과가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상기 균주는 단독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유제품 및 약학적 제제에 첨가될 수 있다.

    미국특허 US 5,902,578 (Abbott Laboratories)는 락토바실러스 로이테리( Lactobacillus reuterii ), 락토바실러스 악시토필러스( Lactobacillus acidophilus ) 및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 Bifidobacterium infantis )의 혼합물을 이용한 설사(diarrhea) 예방 및 치료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혼합물은 분말, 액상 또는 환약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유형의 프로바이오틱스와 신바이오틱스의 생물학적 및 치료적 효과가 또한 본 발명의 배경기술 분야에 기재되어 있다. 그 예로서, 쥐(rats)에서의 비피도박테리아( bifidobacteria ) 및 락토바실러스 악시도필러스( Lactobacillus acidophilus )의 대장암에 대한 효과가 기재되어 있고, 박테리아와 프룩토올리고사카라이드를 함께 사용할 때 가장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는 "Gallagher, D. et al. Journal of Nutrition (1996, Vol. 126, No. 5, pp. 1362-1371)", 및 개별적으로 연구된 두 종의 유산균주,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Lactobacillus rhamnosus GG)와 프로피오니박테리움 프로이덴라이히 아종 쉐르마니 JS(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subsp. shermanii JS)의 림프구 레벨 및 이에 의한 마우스의 면역 반응에 대한 양성 효과를 기재하는 "Kirjavainen, P. et al. Clinical and Diagnostic Laboratory Immunology (Nov 1999, Vol. 6, No.6, pp. 799-802)"를 들 수 있다. 이들 두 가지의 박테리아의 조합은 기재되어 있지 않고 연구되어 있지도 않다.

    프로바이오틱스를 치료적 효과를 갖는 다른 물질과 혼합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예컨대, 국제 공개 WO 97/29762와 WO 97/29763 (Procter & Gamble Company)에는 철쭉속(genus Ericaceae )의 식물 또는 이들의 추출물과 함께 갈락토- 또는 프룩토올리고사카라이드와 혼합된 유산균( lactobacilli )과 비피도박테리아( bifidobacteria )의 요로감염 및 장질환의 치료를 위한 용도가 기재되어 있으며, 국제공개 WO 00/29007 (Reddy)에는 락토코커스( Lactococcus ), 유산균( Lactobacillus ), 페디오코커스( Pediococcus ), 스트렙토코커스( Streptococcus ), 프로피오니박테리움( Propionibacterium ), 브레비박테리움( Brevibacterium ), 페니실리움( Penicillium ) 및 사카로마이세스( Saccharomyces )과 같은 프로바이오틱스를 초본-기재(herb-based) 천연물 및 약물-유사 물질과 혼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프로바이오틱스와 신바이오틱스가 광범위하게 연구되어 있지만, 충분한 모든 범위로 사용될 수 있는 우수하고 다목적의 제품을 개발하지지 못하였다. 결론적으로, 소비자에게 명백하게 입증된 프로바이오틱 효과를 가지며 예컨대, 매일 매일의 식사의 보충물(supplement) 또는 간편식(convenient part)으로서 사용가능한 형태로 생산되는 새로운 제품을 제공해야 하는 지속적이고 명백한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 조합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합물은 유산균 (lactobacilli), 프로피온산 박테리아 (propionic acid bacteria) 및/또는 비피도박테리움 (bifidobacteria)을 다양한 조합으로 포함한다. 프로바이오틱스는 바람직하게 적절한 프리바이오틱(prebiotic)과 조합되어 신바이오틱(synbiotic)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 자체로 또는, 유제품 또는 음료와 같은 적절한 식료품과 조합되어 섭취될 수 있으며, 이는, 예컨대, 면역계의 자극 및 일반적인 건강 증진에 치료적으로 유용하다.

    도 1은 PHA-자극 T-세포(PHA-stimulated T-cells)에 의한 IFN-γ의 분비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2는 PHA-자극 T-세포내의 티미딘 삽입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로운 프로바이오틱스 함유 산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산물의 프로바이오틱 효과는 명백하게 입증되어 있으며, 사용에 적합하고 이용자의 건강에 유익하다.

    이러한 목적은 다수의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신규한 조합물에 의하여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두 종류의 유산균 균주, 프로피온산 박테리움(propionic acid bacterium) 및/또는 비피도박테리움( bifidobacterium )을 포함하는 신규한 조합물에 기초한 것이다. 또한, 상기 조합물은 상기한 미생물의 성장을 지원하는 프리바이오틱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두 가지의 유산균, 즉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GG( Lactobacillus rhamnosus LGG, ATCC 53103)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C705( Lactobacillus rhamnosus LC705, DSM 7061)를 주로 사용한다. 프로피온산 박테리움은 일반적으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프로이덴라이히 아종 쉐르마니 PJS (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ssp. shermanii PJS, DSM 7067)이다. 비피도박테리움은 프로바이오틱 효과를 갖는 모든 비피도박테리움일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는 비피토박테리움 브레베( Bifidobacterium breve ),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 Bifidobacterium infantis ),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Bifidobacterium longum ),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Bifidobacterium bifidum )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Bifidobacterium adolescentis ) 종을 사용한다.

    상기 조합물은 주로 상기 박테리아 중 적어도 3 가지 이상을 포함하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GG( Lactobacillus rhamnosus LGG) 및/또는 프로피오니박테리움 프로이덴라이히 아종 쉐르마니 PJS(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ssp. shermanii PJS)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한 조합물은 4 가지 균주,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GG( Lactobacillus rhamnosus LGG, ATCC 53103),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C705( Lactobacillus rhamnosus LC705, DSM 7061), 프로피오니박테리움 프로이덴라이히 아종 쉐르마니 PJS(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ssp. shermanii PJS, DSM 7067) 및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 Bbi99( Bifidobacterium infantis Bbi99, DSM 13692)의 혼합물이다. 그러나, 원한다면, 어떠한 비피도박테리움(예컨대, Bbl2)도 상기 조합물에 포함시킬 수 있다. 사용되는 프리바이오틱스는 갈락토올리고사카라이드(GOS)가 바람직하다.

    다른 바람직한 조성물은 비피도박테리움( bifidobacterium )과 프로피온산 박테리움(propionic acid bacterium)의 조합물이며, 이 때, 모든 비피도박테리움이 프로피오니박테리움 프로이덴라이히 아종 쉐르마니 PJS(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ssp. shermanii PJS, DSM 7067)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신규한 조합물은 그 자체로 사용될 수 있고 약물 또는 식품과 같은 다른 산물의 일부분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합물은 엔테로락톤(entero-lactone) 생산을 증가시키고 바람직하지 못하게 높은 pH 값을 감소시켜 인간 장내 균형에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 상기 조합물은 또한 림프구와 γ-인터페론(IFN)의 양을 증가시키고 발암성 물질의 생성을 감소시킴으로써 면역 반응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합물은 장질환, 알레르기 및 암의 예방과 치료 및 전반적인 건강 증진에 유용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합물은 또한 치료 물질로서 적용될 수 있고 치료 물질 제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균주들 중에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Lactobacillus rhamnosus GG, LGG), 락토바실러스 카세이 아종 람노서스 LC705( Lactobacillus casei ssp. rhamnosus LC705) 및 프로피오니박테리움 프로이덴라이히 아종 쉐르마니 JS(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ssp. shermanii JS, PJS)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조합물에 포함되는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 Bbi99( Bifidobacterium infantis Bbi99)는 신규한 균주이며, 매우 상세히 후술할 것이다.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Lactobacillus rhamnosus GG, LGG)는 예컨대, 미국특허 US 5,032,399 (Gorbach & Goldin)에 개시되어 있다. 이 균주는 인간 배설물로부터 분리되며, pH 3에서 잘 자랄 수 있으며, 고함량의 담즙산에서 뿐 아니라 보다 낮은 pH에서도 생존한다. 상기 균주는 점액과 상피세포 모두에 우수한 부착력(adhesion)을 나타낸다. 글루코오스로부터 얻어지는 락트산(lactic acid) 수율이 우수하다: 상기 균주를 MRS 브로스(broth)에서 키울 때 1.5 -2 %의 유산을 생산한다. 상기 균주는 락토오스를 발효시키지 않기 때문에 락토오스로부터 락트산을 생산하지 않는다. 상기 균주는 다음과 같은 탄수화물을 사용한다: D-아리비노오스, 리보오스, 갈락토오스, D-글루코오스, D-프룩토오스, D-만노오스, 람노오스, 둘시톨(dulcitol), 이노시톨(inositol), 만니톨(mannitol), 소르비톨(sorbitol), N-아세틸글루코사민, 아미그달린(amygdalin), 아르부틴(arbutin), 에스쿨린(esculin),살리신(salicin), 셀로비오스(cellobiose), 말토오스, 사카로오스, 트레할로오스(trehalose), 멜레지토오스(melezitose), 겐티비오스(gentibiose), D-타가토오스(D-tagatose), L-푸코오스(L-fucose) 및 글루코네이트(gluconate). 상기 균주는 +15 - 45 ℃에서 잘 자라며, 최적 온도는 30 - 37 ℃이다.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는 기탁기관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에 기탁번호 ATCC 53103로 기탁되었다.

    락토바실러스 카세이 아종 람노서스 LC705( Lactobacillus casei ssp. rhamnosus LC705)는 핀란드 특허 제92498호 (Valio Oy)에 매우 상세히 기재되어 잇다. LC705는 연쇄상으로 생기는 짧은 그람-양성 간균이고; 동종 발효성이며; 약하게 단백질 분해성이고; +15 - 45 ℃에서에서 잘 자라며; 아르기닌으로부터 암모니아를 생성하지 않으며; 카탈라아제-음성(catalase-negative)이고; 상기 균주를 MRS 브로스(LAB M)에서 키울 때, L(+) 입체구조의 광학 활성을 갖는 락트산을 1.6 % 생산하며; 상기 균주는 시트레이트(0.169%)를 분해하여 디아세틸 및 아세토인을 생성하고; 상기 균주는 적어도 다음과 같은 탄수화물(당, 당알코올)을 발효시킨다: 리보오스, 갈락토오스, D-글루코오스, D-프룩토오스, D-만노오스, L-소르보오스(L-sorbose), 람노오스, 만니톨, 소르비톨, 메틸-D-글루코시드, N-아세틸글루코사민, 아미그달린, 아그부틴, 에스쿨린, 살리신, 셀로비오스, 말토오스, 락토오스, 수크로오스, 트레할로오스, 멜레지토오스, 겐티오비오스, D-투라노오스(D-turanose) 및 D-타가토오스. LC705는 점액세포에 약하게 부착하지만 상피세포에는 적당하게 부착한다. 상기 균주의 생존률은 낮은 pH 값 및 고함량의 담즙산에서 우수하다. 상기균주는 5 % 염분에서 잘 생존하며, 10 % 염분에서 보다 잘 생존한다. 락토바실러스 카세이 아종 람노서스 LC705는 Deutsche Sammlung von Mikroorganismen und Zellkulturen GmbH (DSM)에 기탁번호 DMS 7061로 기탁되어 있다.

    프로피오니박테리움 프로이덴라이히 아종 쉐르마니 JS (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ssp. shermanii JS, PJS) 또한 핀랜드 특허 제92498호 (Valio Oy)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PJS는 짧은 그람-양성 간균이고; 글루코오스, 프룩토오스, 갈락토오스 및 락토오스를 발효시키고; 락테이트를 잘 발효시키고; 최적 성장 온도는 32 ℃이다. 상기 균주의 생존률은 낮은 pH 및 고함량의 담즙산에서 우수하다. 프로피오니박테리움 프로이덴라이히 아종 쉐르마니 JP는 Deutsche Sammiung von Mikroorganismen und Zellkulturen GmbH (DSM)에 기탁번호 DSM 7067로 기탁되어 있다.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 Bbi99(Bifidobacterium infantis Bbi99)를 건강한 신생아의 배설물로부터 분리하였다.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 Bbi99는 그람-양성 다형성 간균이다. 상기 균주는 카탈라아제-음성이고, 프룩토오스-6-포스페이트-포스포케토라아제(F6PPK)-양성이고, α- 및 β-갈락토시다아제 및 α- 및 β-글루코시다아제 모두에 양성이다.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 Bbi는 다음과 같은 탄수화물을 발효시킨다: 리보오스, 갈락토오스, D-글루코오스, D-프룩토오스, D-만노오스, 메틸-D-만노오스, N-아세틸글루코사민, 에스쿨린, 살리신, 셀로비오스, 말토오스, 멜리비오스 및 겐티비오스. 최적 성장 온도는 30 - 40 ℃이며 pH는 6.5 - 7.0이다. 상기 균주를 헥소오스를 포함하는 브로스에서 키우면, L-락트산 및 아세트산(2:3의비율)을 생산한다. DNA의 G+C 함량은 55 - 67 몰%이다.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 Bbi99를 부다페스트 조약에 따라 2000년 8월 28일자로 Deutsche Sammiung von Mikroorganismen und Zellkulturen GmbH (DSM)에 기탁번호 DSM 13692로 기탁하였다.

    본 발명의 조합물은 또한 낙농 산업에 사용되는 발효제(starter)에 포함된 프로바이오틱스 및 미생물과 같은 다른 미생물을 포함할 수 있다. Hansen A/S, (Denmark) 및 Danisco/Wiesby GmbH (Germany)와 같은 제조업체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많은 발효제 균주가 잘 보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합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미생물을 배양한다. 이들을 순수한 배양물로서 또는 다른 혼합 배양물로서 배양할 수 있다. 상기 배양물은 그 자체로 사용하거나, 예컨대, 정제, 농축, 동결건조 또는 마무리와 같이 원하는 바대로 처리하여 다양한 제제를 생산할 수 있다.

    원하는 프로바이오틱 효과를 얻기 위하여 충분한 양의 프로바이오틱스를 상기 조합물에 사용한다. 따라서, 각각의 프로바이오틱스의 양은, 예컨대, 사용되는 균주 및 그 수, 프로바이오틱스 세포의 총량, 1일 총 복용량 및 산물의 다른 특성 및 성분에 따라서 넓은 범위에서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조합물의 1일 복용량은 일반적으로 약 10 6 - 10 10 cfu의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한다.

    한 가지 이상의 프리바이오틱스를 상기 조합물에 첨가하여 신바이오틱스를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리바이오틱스는 상기 관련 조합물에 포함된 미생물에 따라 상기 미생물의 성장을 지원할 수 있는 것으로 선택된다. 적절한 프리바이오틱스는, 예컨대, 올리고사카라이드(oligosaccharides), 특히 갈락토올리고사카라이드(galactooligosaccharide, GOS), 팔라티노스올리고사카라이드(palatinoseoligosaccharide), 대두 올리고사카라이드(soybean oligosaccharide), 겐티오올리고사카라이드(gentiooligosaccharide), 크실로올리고머(xylooligomers), 비-분해성 녹말(non-degradable starch), 락토사카로오스(lactosaccharose), 락툴로오스(lactulose), 락티톨(lactitol), 말티톨(maltitol), 폴리덱스트로오스(polydextros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바이오틱 효과를 얻기 위하여 충분한 양의 프리바이오틱스를 신바이오틱스에 첨가한다. 충분한 양이 얼마인가는 예컨대 관련 균주, 포함된 프리바이오틱스 및 다른 내용물의 양 및 산물의 적용에 따라서 결정된다. 따라서, 그 양 또한 넓은 범위에서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1일 복용량에 있어서 0.5 내지 5 g 일 수 있다.

    프리바이오틱스를 상기 조합물에 포함시킬 것을 필수적으로 요하지 않는다. 최종 산물 및 사용 목적에 따라서, 프로바이오틱스 조합물과 거의 동시에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프리바이오틱스를 개별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보다 유리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있어서, 프로바이오틱스 조합물만을 이용하는 것으로 충분할 수 있으며, 따라서, 프리바이오틱스는 전혀 필요하지 않다. 이러한 일례는 숙주의 장내 조건이 필요한 프리바이오틱스 첨가 없이 프로바이오틱스 성장에 적합하거나, 프리바이오틱스가 정상식(예컨대 포리지 또는 호밀빵으로 된 경우)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이다.

    본 발명은 사용된 미생물이 프로바이토틱스에 대한 기준(criteria set)을 만족시킨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들은 소화관의 요구 조건에서 잘 생존하며, 장세포에 잘 부착하고, 장에서 잘 증식한다. 이들은 또한 우수한 생물학적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컨대, 이들은 장내의 건강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미생물의 수를 증가시키고 유해 미생물의 수를 감소시키며, 유해한 효소의 활성을 감소시켜 유해하거나, 심지어는 발암성인, 물질의 생성을 감소시키고, 면역 반응 자극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조합물은 그 자체로 사용되거나, 예컨대 의약품의 제조에 있어서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된 캡슐, 환약 또는 타블렛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합물은 또한 식료품(foodstuffs), 음료 또는 제과산업의 제품, 건강 증진 제품, 천연 제품 등과 같은 다양한 식용 제품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합물을 함유하는 제품으로는 유제품, 특히 요구르트 및 다른 발효유제품; 치즈 및 스프레드; 유아 식품; 주스 및 수프; 및 캡슐이 바람직하다. 캡슐 형태의 제품은 주로 프로바이오틱스 조합물만을 함유하며, 프리바이오틱스는 별도로 복용한다.

    최종 산물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되고, 상기 조합물은, 최종 산물의 마무리동안, 제제와 함께 또는 그 이후에 첨가한다.

    다음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나,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어떠한 경우에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예 1

    조합물의 제조

    상기 조합물은 박테리아 혼합물로부터 제조하였으며, 원하는 경우, 프리바이토틱스로서 갈락토-올리고사카라이드(GOS)를 첨가하였다. 4 가지 균주, 즉,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GG(ATCC 53103),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C705 (DSM 7061), 프로피오니박테리움 프로이덴라이히 아종 쉐르마니 PJS (DSM 7067) 및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 Bbi99 (DSM 13692)의 박테리아 배양물(농축물 또는 동결건조 분말)로부터 박테리아 혼합물을 생성하였다.

    LGG 및 비피도박테리움 모두 개별적으로 배양하였다.

    LGG를 5.0%의 유장 투과물(whey permeate, Valio Oy), 카세인 가수분해물 (Valio Oy) 0.5%, 인공효모(technical yeast) 0.5% 및 MnS0 4 x H 2 0 0.0015%를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배지 성분들을 물에 용해시키고 배지를 살균하였다(120℃에서 20분 동안). 온도 37 ℃ 및 pH 5.8 (NH 4 0H로 조절)에서 약 18 시간동안 배양하였으며, 혼합속도는 100 rpm으로 하였다. 배양 후, 박테리아 세포들을 농축, 세척하고, 46%의 사카로오스 브로스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된 유사 대체물과 같은 보호제 보충물 10 %(v/v)를 사용하여 동결-건조하였다. 최종 박테리아 함량은 배양물에서는 > 1x10 9 cfu/ml, 농축물에서는 > 1x10 10 cfu/g, 동결-건조 분말에서는 > 1x10 11 cfu/g였다.

    비피도박테리아의 성장배지 조성은 다음과 같다: 유장 투과물 4% (Valio Ltd.), 카세인 가수분해물 1.0% (Valio Ltd.), 인공 효모 추출물 1.0% (LAB M), 시스테인-HCl 0.03% (Merck, Darmstadt, Germany). 배지의 다른 성분들을 우선 물에 녹이고 난 후, 시스테인-HCl을 첨가하고, 배지를 살균하였다 (120 ℃에서 20 분 동안). 온도 37 ℃ 및 pH 6.7 (NH 4 0H로 조절)에서 약 18 내지 20 시간동안 배양하고 혼합 속도는 100 rpm으로 하였다. 배양물의 박테리아 함량은 > 1x10 9 cfu/ml였다. 배양 후, 박테리아 세포들을 농축, 세척하고, 46%의 사카로오스 브로스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된 유사 대체물과 같은 보호제 보충물 10 %(v/v)를 사용하여 동결-건조하였다. 농축물의 박테리아 함량은 > 1x10 10 cfu/g, 동결-건조 분말의 박테리아 함량은 > 1x10 11 cfu/g였다.

    LC705 및 PJS 세포를 유장-기재 성장 브로스에 1:2의 비율로 인큐베이팅하여 LC705 및 PJS를 함께 배양하였다. 상기 유장-기재 성장 배지는 유장 투과물 (ValioOy)3.5-5%, 카세인 가수분해물 1.0% 및 효모 추출물 (Valio Oy) 1.0%을 포함하였다. 상기 균주들을 자동 pH 조절기에 의하여 pH를 4.5로 유지하면서 30 ℃에서 3 일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각 박테리아 균주의 함량은 > 1x10 9 cfu/ml였다. 배양 후, 박테리아 세포들을 농축, 세척하고, 46%의 사카로오스 브로스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된 유사 대체물과 같은 보호제 보충물 10 %(v/v)를 사용하여 동결-건조하였다. 농축물의 각 박테리아 함량은 > 1x10 10 cfu/g, 동결-건조 분말의 각 박테리아 함량은 > 1x10 cfu/g였다.

    상기 균주들은 또한 개별적으로 배양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LC 705는 공동 배양과 관련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배양하며, 단, 배양 기간은 30 ℃에서 하루동안으로 한다. PJS는 유장 투과물 2%, 카세인 가수분해물 1.0% 및 효모 추출물 1 %을 포함하는 유장-기재 성장 배지에서 배양한다. 상기 균주는 pH 값을 6.3로 하고 30 ℃에서 3일 동안 배양하며, 그 이후의 과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수행한다.

    상기 농축물 또는 분말을 1:1:1의 비율로 혼합한다. LC705과 PJS를 개별적으로 배양한 경우, 혼합 비율을 1:1:1:1로 한다. 얻어진 농축물 또는 동결-건조 분말의 혼합물을 조합물의 상이한 생성물 어플리케이션의 프로바이오틱스 부분으로서 사용한다. 상기 혼합물을 생산물 어플리케이션에 첨가하여 생성물 내에서 다음과 같은 최종 박테리아 함량을 얻었다:

    LGG > 10 6 cfu/g (생성물 중)

    LC705 > 10 6 cfu/g (생성물 중)

    PJS > 10 6 cfu/g (생성물 중)

    비피도박테리움 > 10 6 cfu/g (생성물 중)

    필요한 경우, 별도의 산물로서 GOS (Valio Oy)를 생성물 어플리케이션에 첨가하여 생성물 내의 GOS 농도를 약 0.55 g/dose로 하였다.

    실시예 2

    균주의 부착성 및 이들의 장내 조건에서의 내성

    프로바이오틱 균주의 점액에 대한 부착성을 Ouweland et al. (Ouwehand, AC, Kirjavainen, PV, Groniund, M.-M., Isolauri, E., and Salminen, SJ 1999. Adhesion of probiotic micro-organisms to intestinal mucus. Int. Dairy J. 9: 623-630)에 따라 시험하였다. LGG 및 프로피오닉 박테리움 PJS은 장 점액에 잘 부착하며, Bbi99는 중간정도로, LC705는 약하게 부착한다. 부착(착생)은 미생물이 장내에서 유익한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한편, LC705는 LGG와 유사하게 상피세포에 잘 부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Lehto, E. and Salminen S. 1997. Adhesion of two lactobacillus strains, one lactococcus strain and one propionibacterium strain to cultured human intestinal CaCO-2 cell lines. Bioscience Microflora 16: 13-17). 이러한 특성은 장내 불균형이 있거나 보호 점액이 약화되었을 때 유익하다.

    프로바이오틱 균주의 부착성

    균주 부착성 %(+Std.)
    LGG 26.3 ±1.3
    LC705 0.7 ±0.2
    PJS 24.9 ±2.2
    Bbi99 4.6 ±2.3

    생체외(in vitro) 시험들은 상기 균주들이 생리적 담즙산염 함량 및 위의 낮은 pH를 견딜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상기 균주들을 락트산을 이용하여 pH가 pH 4, pH 3 및 pH 2로 조절한 MRS 브로스 내 각기 다른 pH 값에서 시험하였다. 시험할 균주 (신선한 배양물)을 1%의 pH 브로스에서 인큐베이팅하고 37 ℃에서 3 시간동안 성장시킨 후, 균주에 적합한 아가를 사용하여 살아있는 세포의 양을 측정하였다(표 5 참조). 상기 균주들은 pH 값 3에서 3-시간 공정동안 우수하게 생존력을 유지하였다. 프로피오닉 박테리움은 pH 2에서도 생존하였다. 이 시험에서, 상기 박테리아는 식품(예컨대, 지방)에 의하여 운반되는 성분들에 의하여 방어되지 않았으며, 따라서, 상기 박테리아가 생체내(in vivo)에 식품과 함께 섭취될 때 보다 양호하게 보존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pH-조절된 MRS 브로스에서 배양된 균주의 세포 함량

    초기함량 (cfu/ml) pH 4 (cfu/ml) pH 3 (cfu/ml) pH 2 (cfu/ml)
    Bbi99 1 x 10 7 2 x 10 7 < 10 < 10
    PJS 1 x 10 8 9 x 10 7 3 x 10 7 1 x 10 4
    LGG 1 x 10 7 2 x 10 7 1 x 10 7 < 10 2
    LC705 6 x 10 7 2 x 10 8 4 x 10 7 < 10 2

    담즙산염 내성과 관련하여, 상기 균주를 Oxgal (Sigma) 담즙산염을 0.3% 및0.5% 함유하는 MRS 브로스에서 시험하였는데, 1%의 상기 신선한 배양물을 시험될 상기 담즙산염 MRS 브로스에 인큐베이팅하여 수행하였다. 상기 균주를 상기 브로스에서 37 ℃에서 3 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상기 균주에 적합한 아가를 사용하여 살아있는 세포수 함량을 측정하였다 (표 5 참조). 모든 균주가 상기 처리에서 우수하게 생존하였다.

    답즙산염 함량 0.3 % 및 0.5 %에서 배양된 균주 세포함량

    초기함량 (cfu/ml) 담즙산염 0.3 % 담즙산염 0.5 %
    Bbi99 3 x 10 7 1 x 10 7 1 x 10 7
    PJS 6 x 10 7 6 x 10 7 5 x 10 7
    LGG 1 x 10 7 2 x 10 7 9 x 10 6
    LC705 1 x 10 7 2 x 10 7 1 x 10 7

    실시예 3

    조합물에 적합한 프리바이오틱스의 선택

    연구될 프리바이오틱스가 1% 첨가된 무가당 MRS 브로스에서 각각의 균주를 배양함으로써 각각의 균주에 대한 대체 가능한 프리바이오틱스를 연구하였다. 각각의 균주를 그의 최적 온도에서 1 내지 2 일 동안 배양하였다. 박테리아 성장은 분광광도측정법(spectrophotometry)에 의하여 상기 배양물의 혼탁도를 측정함으로써 시험동안 관찰하였다.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4 가지 균주 모두에 있어서 가장 우수한 성장 촉진제는 1%의 갈락토올리고사카라이드 (GOS) 보충물이었다.

    박테리아 성장에 대한 프리바이오틱스의 효과

    프리바이오틱스 LGG LC705 PJS Bbi99
    GOS ++ ++ ++ +
    FOS - - - -
    크실로올리고머 + ++ + +
    폴리덱스트로오스 ++ ++ + -
    아라비노올리고머 - - - -
    펙티노올리고머 - - - -
    크실리톨 - - - -
    말티톨 - ++ - -
    락티톨 - ++ - -

    실시예 4

    최종 산물의 제조

    기능성 음료 (핀랜드어로 'tehojuoma'; Valio Oy)를 기재로 사용하여 분량(=65ml) 당 박테리아 동결-건조 혼합물 0.1 g 및 분량 (=65ml) 당 70% GOS 시럽 3.8 g이 첨가된 주스(복용량 65 ml/일)을 제조하였다. GOS 시럽 또는 박테리아 혼합물이 첨가되지 않은 대응 주스를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완성된 주스의 박테리아 함량은 다음과 같다:

    LGG > 10 7 cfu/ml

    LC705 > 10 7 cfu/ml

    PJS > 10 8 cfu/ml

    Bbi99 > 10 7 cfu/ml

    생성물을 다음과 같은 임상 시험에 사용하였다:

    프로(pro) = 주스 + 프로바이오틱스 보충물 및

    신(syn) = 주스 + 프로바이오틱스 + 프리바이오틱스 보충물.

    실시예 5

    본 발명의 조성물의 임상효과

    상기한 프로바이오틱스 조합물(Pro) 또는 프로바이오틱스 조합물과 프리바이오틱스(Syn) 포함하는 음료를 20명의 남성에 대하여 임상시험하였다. 피험자들은 시험 계획에 따라 상기 음료를 매일 섭취하였으며 시험동안 다른 프로바이오틱스-함유 제품을 섭취하지 못하게 하였다. 시험 계획은 다음과 같다: 상기 시험은 런-인(run-in) 기간에 시작하고, 그 후에 2 주일의 프로바이오틱스 기간이 계속되며, 이어서 신바이오틱스 기간이 이어지고, 워시-아웃(wash-out) 기간으로 알려진 때에 종료한다.

    시험 계획 및 스케줄

    각 기간의 끝에서, 피험자로부터 배설물 샘플과 혈액샘플을 취하였다(= N).

    미생물 및 효소는 상기 배설물 샘플로부터 분석하였고, 엔테로락톤 함량 및 면역반응은 상기 혈액 샘플로부터 분석하였다.

    5.1. 미생물

    미생물의 양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법과 표 5에 나타낸 매개변수를 적용하여 유산균 LGG, LC705의 총함량, 프로피온산 박테리아 PJS의 총함량 및 비피도박테리아의 총함량을 측정하였다.

    측정 아가 배양온도/시간
    Lactobacilli MRS 37℃/3일 혐기성
    LGG MRS + 0.005 %반코마이신 (Sigma) 37℃/3일
    LG705 MRS + 0.005 %반코마이신 (Sigma) 37℃/3일
    Propionic bacteria Mod. YEL 30℃/7일 혐기성
    PJS Mod. YEL 30℃/7일 혐기성
    Bifidobacteria 라피노오스아가(RA) 37℃/2일 혐기성

    생체내에서의 장내 박테리아 세포 함량에 대한 효과

    프로바이오틱스-함유 산물을 사용하는 동안 피험자들의 샘플 내의 LGG, LC705 및 PJS의 함량은 상당히 증가하였다 (표 6). 비피도박테리아 함량이 시험 개시부터 높게 나타났기 때문에, 변화가 종 내에서 발생했을 것으로 추측한다.

    박테리아 함량 (log, cfu/g (배설물); ±std.)

    초기함량cfu/g 프로바이오틱스 섭취 후, cfu/g 신바이오틱스 섭취 후, cfu/g 워시-아웃cfu/g
    MHB(tot) 6.0 (±1,2) 6.1 (±1,2) 6.1 (±1,0) 4.5 (±1,6)
    LGG 2.3 (±1,0) 4.7 (±1,7) 5.3 (±1,2) 3.0 (±1,6)
    LC705 2.0 (±0) 5.2 (±1,3) 5.4 (±1,0) 2.8 (±1,1)
    프로피온 2.7 (±1,4) 5.7 (±1,6) 5.6 (±1,4) 2.4 (±1,7)
    비피도박테리아 8.2 (±1,5) 8.6 (±2,1) 8.8 (±2,2) 8.3 (±2,1)

    섭취 시험에 있어서 사용되는 산물에 신바이오틱스를 첨가함으로써 장내에서의 첨가된 프로바이오틱스의 생존률이 향상되었다. 이는, 예컨대, 신바이오틱스 기간 동안의 LGG 함량의 증가에 의하여 보여진다.

    pH 값에 대한 효과

    초기 pH 레벨이 7 이상인 사람의 pH 레벨은 프로바이오틱스 혼합물 및 신바이오틱스 섭취 군에서 감소는데 반하여 초기 pH 값이 7 보다 낮은 사람에게서는 pH의 감소가 관찰되지 않았다 (표 7).

    프로바이오틱스 및 신바이오틱스 보충 후의 pH 변화

    대조군 프로바이오틱스 단독 신바이오틱스
    pH > 7 7.2 6.9 6.7
    pH < 7 6.6 6.7 6.6

    5.2. 효소

    배설물 샘플을 Ling et al. (Ling, WH., Korpela, R., Mykkanen, H., Salminen, S., and Hanninen, O. 1994 Lactobacillus GG supplementation decreases colonic hydrolytic and reductive activities in healthy female adults. Journal of Nutrition 124,18-2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처리하였다.

    β-글루쿠로니다제 및 β-글루코시다제는 Freeman (Freeman, HJ 1986. Effects of differing purified cellulose pectin, and hemicellulose fibre on faecal enzymes in 1,2-dimethylhydrazine-induced rat colon carcinogenesis. Cancer Research 46: 5529-5532)에 기재된 바에 의하여 측정하고 우레아제는 제조자의 설명서 (Boehringer Mannheim cat. no. 542946)에 따라 측정하였다.

    시험 기간 동안, 프로바이오틱스 섭취 및 신바이오틱스 섭취 동안의 β-글루쿠로니다제, 우레아제 및 β-글루코시다제의 함량이 감소하였다 (표 8). 섭취 후, 상기 효소 수준이 정상으로 돌아왔다. 신바이오틱스는 프로바이오틱스 혼합물보다 효소 수준에 대하여 보다 강력한 효과를 가졌다.

    효소 함량의 차이 (nmol/min/g of feces)

    우레아제 글루쿠로니다제 글루코시다제
    변화 % 변화 % 변화 %
    초기 수준 1080 292 746
    프로바이오틱스 895 -17 214 -27 673 -9,8
    신바이오틱스 592 -45 186 -36 448 -40
    워시-아웃 980 227 640

    클루코시다제 및 글루쿠로니다제의 대사에 의하여 발암성 화합물이 생산된다. 본 발명의 프로바이오틱스 및 신바이오틱스 조합물에 의한 생성된 효소 활성의 상당한 감소는 발암물질의 생성의 감소와 관련하여 긍정적인 효과를 명백하게 보여준다.

    5.3 엔테로락톤 함량

    엔테로락톤 함량을 Adlercreutz et al. (Adlercreutz, H., Fostis, T., Lampe, J., Wahala, K., Makila, T., Brunow, G. and Hase, T. 1993.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lignans and isoflavonoids in plasma of omnivorous and vegetarian women by isotope dilution gas-chromatography mass-spectrometry. Scan J. Clin Lab Invest 53: 5-18.)의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초기 엔테로락톤 수준이 < 10 nmol/l인 피험자의 엔테로락톤 수준은 신바이오틱스 섭취 결과 상당히 증가하였다 (11.2 레벨까지).

    시험 개시시에 이미 혈청 엔테로락톤 수준이 정상(10<x<30)인 사람의 엔테로락톤 수준에 있어서 시험 동안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상기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시험기간 동안의 엔테로락톤 함량 (초기 수준을 기초로 분류)

    10<x<30 nmol/l <10 nmol/l
    초기 수준 24.4 3.2
    프로바이오틱스 19.8 2.6
    신바이오틱스 23.9 11.2

    엔테로락톤 함량은 암에 걸릴 위험성과 명백하게 관련이 있음이 나타났다: 보다 높은 함량에서 위험성이 보다 낮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또한 암의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본 발명의 프로바이오틱스 및 신바이오틱스 조합물의 유익한 효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5.4. 면역학적 시험

    림프구 기능에 대한 효과

    신바이오틱스 산물의 섭취를 개시하기 전 및 섭취가 개시되고 4 주 후에 림프구 기능을 시험하였다.

    림프구의 기능을 다음과 같이 시험하였다:

    피콜(Ficoll) 밀도구배를 사용하여 말초 혈액으로부터 림프구를 분리하였다. 림프구를 5%의 불활성화된 AB+ 혈청 (Finnish Red Cross) 및 L-글루타민을 함유하는 RPMI 배양 브로스 (National Public Health Institute; department of nutrient broths)에서 PHA 마이토젠 (PHA mitogen, Sigma)으로 자극하였다. 48 시간 후, 사이토카인(cytokine)을 측정하기 위하여, 마이토젠을 가지고 있거나 가지고 있지 않은, 웰 내의 배양 브로스 200 ㎕ 당 200,000 개 세포의 세포 밀도를 갖는 4 개의 인접 배양물 웰로부터 세포 배양 배지를 수집하였다. 티미딘(thymidine) 첨가로부터 16 시간 후 세포들을 취하고, DNA(cpm) 내로의 방사성 티미딘의 삽입을 측정하였다. ELISA 방법을 사용하여 세포 배양 브로스로부터 사이토카인 IL-4, IL-5, TGF-β1 및 IFN-γ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추가 공정(follow-up) 동안, 림프구에 의하여 분비되는 IL-4, IL-5 및 TGF-β1 함량에 있어서 변화가 발견되지 않았다. PHA-자극(PHA-stimulated) 림프구에 의하여 분비되는 IFN-γ함량은 추가 공정 동안 상당히 증가하였다 (p=0.009, Wilcoxon test, 도 1 참조). 림프구의 자발적 증식 및 PHA-자극 증식 모두 추가 공정 동안 증가하였다(두 경우 모두 p=0.0002, Wilcoxon test, 도 1 및 2).

    따라서, 상기 연구 결과에 따르면, 신바이오틱스 산물의 사용은 피험자에 있어서 림프구의 증식 및 사이토카인 IFN-γ의 분비를 강화시킨다. IFN-γ는, 세포독성 림프구 기능을 강화시키고 사이토카인 IL-4 및 TGF-β1의 길항제인, Th1으로 알려진 것에 속한다. 알레르기가 경향이 있는 사람은 IFN-γ 분비가 낮다고 보고되어 있다. 또한, 아토피 및 알레르기 반응의 소질이 있는 유아들은 IFN-γ 분비의 느린 성장을 앓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다. 따라서, IFN-γ 분비에 대한 본 발명의 조합물의 상당한 자극 효과는 알레르기의 예방 및 치료에 있어서의 효능을 입증한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