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물기용 주형 성형장치의 상하형 합형 장치

申请号 KR1020090033788 申请日 2009-04-17 公开(公告)号 KR100960404B1 公开(公告)日 2010-05-28
申请人 진봉제; 发明人 진봉제;
摘要 PURPOSE: A device of jointing an upper mold and a lower mold of a molding apparatus for a casting machine is provided to lift a molding frame which is molded in the casting machine and to joint an upper mold and a lower mold using a lift and a rotary unit which are installed in the casting machined and a transfer conveyor. CONSTITUTION: A device of jointing an upper mold and a lower mold of a molding apparatus for a casting machine comprises: a lift(1) which is fixed to a frame(F) of a casting machine(A) and lifts molding frames(B1,B2) which are settled in a transfer conveyor(C); a rotary unit which is arranged on the side of the lift and is included on the lower part of the transfer conveyor; and a protrusion(2) which is projected on both sides of the molding frame and rotates while being hung on a hanger loop.
权利要求
  • 삭제
  • 주형장치의 프레임에 고정 설치된 본체와, 상기한 본체에서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승강실린더와, 상기한 승강실린더에 연결되어 승강 가능하게 구성됨과 아울러 가이드봉에 의해 지지되는 승강부재와, 상기한 승강부재의 저면에 하나 이상 설치되어 있는 걸림고리와, 상기한 본체의 측면에 위치되도록 배치됨과 아울러 이송컨베이어에 안착되어 있는 성형틀을 회전시켜 뒤집을 수 있도록 이송컨베이어의 하부에 구성된 회전수단과, 상기한 성형틀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걸림고리에 걸려 성형틀이 승강되고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걸림돌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기용 주형 성형장치의 상하형 합형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회전수단은 이송컨베이어의 하부에 위치되고 성형틀의 걸림돌기가 걸릴 정도의 폭으로 배치된 2개의 실린더와, 상기한 실린더의 로드 상단에 설치됨과 아울러 걸림돌기가 얹혀져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회전지지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기용 주형 성형장치의 상하형 합형 장치.
  • 说明书全文

    주물기용 주형 성형장치의 상하형 합형 장치{JOIN DEVICE OF UPPER MOLD AND LOWER MOLD OF MOLD MOLDING DEVICE FOR CASTING MACHINE}

    본 발명은 주물기용 주형 성형장치의 상하형 합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형을 형성할 때 상형과 하형을 동시에 형성한 상태에서 상형과 하형을 합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주물기용 주형 성형장치의 상하형 합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물 공정은 상하형의 주형(MOLD)을 제작한 후 상기한 상하형을 결합시켜 합형하고, 상기한 주형에 용탕을 주입하여 이루어지게 되는 바, 상기한 주형은 흙 또는 주물사를 가압 또는 가열하여 제작하게 된다.

    상기한 주형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성형틀에 주형을 제작하기 위한 금형틀을 놓고 여기에 주물사 또는 흙을 충진시킨 후 일정 압력으로 가압하여 제작하게 되는 바, 상기한 압력에 의해 흙 또는 주물사가 일정 형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주형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주형 제작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87513호에 개시된 주물기의 유압조형장치가 있는 바, 이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50)에 의해 지지되는 베 이스 프레임(51) 및 탑프레임(52)과, 상기한 베이스프레임(51)과 탑프레임(52)의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된 4개의 칼럼(53)과, 상기한 칼럼((53)을 타고 승강하도록 설치된 4개의 슬라이더(54) 및 여기에 연결된 성형틀 승하강기(55)와, 상기한 성형틀승하강기(55)를 승강시키도록 설치된 승하강 실린더(56)와, 상기한 4개의 칼럼(53) 사이에 배치되어 성형틀이 이동하는 컨베이어(57)와, 상기한 컨베이어(57)의 사이에 배치되고 가압실린더(58)에 의해 승강하는 금형(59)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한 탑프레임(52)에 설치되어 이동실린더(60)에 의해 이동하면서 주물사를 가압하는 압축판(61)이 설치되어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주물기의 조형장치는 컨베이어(57)를 타고 2개의 성형틀(미 도시)이 이동되면 금형(59)이 상승함과 아울러 성형틀에 흙을 투입하고, 성형틀승하강기(55)와 금형(59)을 같이 상승시켜 압축판(61)으로 압축함으로써, 성형틀의 흙이 단단하게 되도록 하면서 주형을 성형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성형틀 승하강기(55)의 승강시에는 4개의 컬럼(53)에 의해 승강하도록 구성되어 승강 작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2개의 금형 특히, 상형과 하형을 동시에 주형한 후 컨베이어로 취출하게 되면, 작업자가 하형을 뒤집어서 상형과 합형을 해야 하는 바, 상기한 하형을 뒤집고 상형을 들어 올려서 합형을 할 때 작업자가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거나 또는 2대의 소형 크레인등을 컨베이어 측면에 설치하여 합형을 하기 때문에 작업 공간을 많이 점유하고, 작업이 불편하여 작업 효율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다.

    즉, 컨베이어의 측면에서 2대의 크레인등으로 상형과 하형을 들어 올리고 하형은 회전을 시켜야 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작업이 매우 불편하게 됨과 아울러 작업 공간도 많이 차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형장치에서 성형된 상형과 하형이 컨베이어로 취출될 때 각각 승강 및 뒤집을 수 있도록 리프트와 회전수단을 주형장치에 설치함으로써 주형장치의 설치 공간을 절감하고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주물기용 주형 성형장치의 상하형 합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형장치의 프레임에 일정 높이로 고정 설치되어 있고 성형 후 주형장치에서 취출되어 이송컨베이어에 안착된 성형틀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리프트와, 상기한 리프트의 측면에 위치되도록 배치됨과 아울러 이송컨베이어에 안착되어 있는 성형틀을 회전시켜 뒤집을 수 있도록 이송컨베이어의 하부에 구성된 회전수단과, 상기한 성형틀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있고 걸고리에 걸려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걸림돌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주형장치에서 성형되어 나오는 성형틀을 각각 리프트 로 들어 올리고 회전수단에 의해 뒤집어서 합형시키는 작업을 주형장치와 이송컨베이어에 설치된 리프트 및 회전수단에 의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주형장치 전체의 구성을 단순화하고 합형 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도1과 도2와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주물기용 주형 성형장치의 상하형 합형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와 리프트의 사시도 및 회전지지대의 확대도로서, 주형장치(A)의 프레임(F)에 일정 높이로 고정 설치되어 있고 성형 후 주형장치(A)에서 취출되어 이송컨베이어(C)에 안착된 성형틀(상형)(B1)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리프트(1)와, 상기한 리프트(1)의 측면에 위치되도록 배치됨과 아울러 이송컨베이어(C)에 안착되어 있는 성형틀(하형)(B2)을 회전시켜 뒤집을 수 있도록 이송컨베이어(C)의 하부에 구성된 회전수단과, 상기한 성형틀(B1, B2)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있고 걸고리에 걸려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걸림돌기(2)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리프트(1)는 주형장치(A)에서 취출되는 성형틀(B1)의 걸림돌기(2)를 걸어서 들어 올리게 되고, 회전수단은 하형이 성형된 성형틀(B2)을 일정 높이로 들어 올려서 뒤집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한 리프트(1)는 주형장치(A)의 프레임(F)에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이송컨베이어(C) 방향으로 아암부(3)가 돌출 형성된 본체(4)와, 상기한 아암부(3)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승강실린더(5)와, 상기한 승강실린더(5)에 연결되어 승강 가능하게 구성됨과 아울러 아암부(3)에 수직으로 관통되어 승강되는 가이드봉(6)에 의해 지지되는 승강부재(7)와, 상기한 승강부재(7)의 저면에 하나 이상 설 치되어 성형틀(B1, B2)의 양측에 설치된 걸림돌기(2)가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고리(8)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회전수단은 이송컨베이어(C)의 하부에 위치되고 성형틀(B2)의 걸림돌기(2)가 걸릴 정도의 폭으로 배치된 2개의 실린더(9)와, 상기한 실린더(9)의 로드 상단에 설치됨과 아울러 걸림돌기(2)가 얹혀져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회전지지대(1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주형장치(A)에서 성형틀(B1, B2)에 흙을 충진함과 아울러 가압하여 상형과 하형을 동시에 성형한 후, 이를 이송컨베이어(C)로 취출하게 된다.

    이송 컨베이어(C)로 상형과 하형의 성형이 완료된 2개의 성형틀(B1, B2)이 순차 이송되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컨베이어(C)에서, 상형이 성형된 성형틀(B1)은 리프트(1)의 하부에 위치되어 있고 하형이 성형된 성형틀(B2)은 회전지지대(1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정렬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승강실린더(5)가 작동하여 하향되면 작업자가 걸림고리(8)를 성형틀(B1)의 걸림돌기(2)에 걸게 되고 다시 승강실린더(5)를 작동시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틀(B1)이 이송컨베이어(C)에서 이탈되어 상승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또한, 작업자가 실린더(9)를 작동시켜서 회전지지대(10)를 상향시키게 되는 바, 상기한 회전지지대(10)에 하형이 성형된 성형틀(B2)의 걸림돌기(2)가 얹혀지면서 성형틀(B2)이 일정 높이로 들어 올려지게 된다.

    성형틀(B2)이 일정 높이로 들어 올려지게 되면 작업자가 손으로 성형틀(B2)을 회전시켜서 뒤집게 되고, 성형틀(B2)이 뒤집어지면 다시 실린더(9)를 하향시키게 되는 바, 하형이 성형된 성형틀(B2)이 뒤집어진 상태로 다시 이송 컨베이어(C)에 안착된다.

    이송 컨베이어(C)에 성형틀(B2)이 뒤집어진 상태로 안착되면,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이를 밀어서 상형이 성형된 성형틀(B1)의 하부로 위치시키게 되고, 상기한 승강실린더(5)를 작동시켜서 상형이 성형된 성형틀(B1)을 하강시키게 된다.

    상형이 성형된 성형틀(B1)이 하강되면 이는 하형이 성형된 성형틀(B2)의 상부에 안착되는 바, 상기한 성형틀(B1, B2)을 합형시킬 때는 정확하게 일치된 상태가 되도록 정렬하여 합형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리프트(1)와 회전수단이 이송컨베이어(C)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성형틀(B1, B2)을 승강시키고 회전시키는 동작이 매우 간편하게 된다.

    또한, 이송컨베이어(C)의 외부로 리프트(1) 및 회전수단이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전체적인 장치의 크기가 더 커지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장치 설치에 따른 장소 점유의 문제가 없게 된다.

    물론, 상기한 하형이 성형된 성형틀(B2)을 뒤집어서 다시 이송컨베이어(C)에 내려 놓기 전에, 이송컨베이어(C)에 판상의 플레이트(미 도시)를 놓고 그 위에 성형틀을 올려 놓게 되는 바, 이는 합형 후 이송컨베이어(C)에서 성형틀(B1, B2)들을 이동시킬 때 성형틀(B2)의 하부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2개의 성형틀(B1, B2)이 적층되면서 합형이 이루어지게 되면 작업자가 이를 밀어서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주물기용 주형 성형장치의 상하형 합형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2는 도1에서 리프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도1에서 회전지지대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4는 도1에서 상형은 리프트에 의해 상승되고 하형은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5는 도4에서 회전되어 상하가 바뀐 하형이 컨베이어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6은 도5에서 하형을 상형 하부로 이동시켜 상하형을 합형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6은 일반적인 주물기용 조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리프트 2: 걸림돌기

    3: 아암부 4: 본체

    5: 승강실린더 6: 가이드봉

    7: 승강부재 8: 걸림고리

    9: 실린더 10: 회전지지대

    C: 이송컨베이어 A: 주형장치

    F: 프레임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