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어로프의 체결구

申请号 KR1020020009230 申请日 2002-02-21 公开(公告)号 KR1020030070194A 公开(公告)日 2003-08-29
申请人 (주)티에프에스; 发明人 이득우;
摘要 PURPOSE: A fastening device of wire ropes is provided to easily combine the fastening device to the crossing portion of each rope at the same time and strongly fix the wire ropes without moving. CONSTITUTION: A fastening device(20) of wire ropes(10) is combined to the crossing portion of each wire rope, to fix the upper and lower wire ropes of the crossing portion at a time. The fastening device comprises a first fixing part(30) forming a first insertion groove(31), in which the upper wire rope is inserted, to fix the upper wire rope; second fixing parts(40) formed on the lower ends of the first fixing part; and guide parts(50)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 ends of the second fixing parts. The second fixing part forms a second insertion groove in which the lower wire rope is inserted to fix the lower rope crossing with the upper rope. The guide part leads the lower rope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权利要求
  •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 보수공사에서 가로, 세로방향으로 엮어지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와이어로프에 있어서,
    상기 각 와이어로프의 교차부분 중 상부에 위치하는 와이어로프와 함께 상기 상부 와이어로프와 직교되게 하부에 위치하는 와이어로프를 동시에 고정하도록 상기 각 와이어로프의 교차부분에 결합되는 체결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의 체결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상단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부 와이어로프를 고정하도록 상기 상부 와이어로프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이 형성된 제1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의 하단 양측부에 연이어 형성되어 상부 와이어로프와 직교되는 하부 와이어로프를 고정하도록 상기 하부 와이어로프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이 각각 형성된 제2고정부와,
    상기 각 제2고정부의 하단에 일체로 각각 형성되어 제2삽입홈 내에 하부 와이어로프가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의 체결구.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의 상부는 단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반구형상으로 굴곡되게 연이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와이어로프의 체결구.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의 삽입홈은 다양한 굵기의 와이어로프를 고정하도록 다단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의 체결구.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의 양면은 와이어로프의 외주면과 접촉면적이 넓도록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의 체결구.
  • 제 2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2고정부의 볼록한 양면에는 삽입된 와이어로프를 고정하도록 돌출되는 돌기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의 체결구.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이드부의 일단은 제2삽입홈의 내측으로 튀어나오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의 체결구.
  • 说明书全文

    와이어로프의 체결구{A Fastener for Wire Rope}

    본 발명은 공사 현장에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크랙을 보수하기 위해 설치되는 와이어로프의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가로, 세로방향으로 엮어지는 와이어로프의 교차부분을 손쉬우면서 간단하게 한번의 작업으로 체결되도록 하는 와이어로프의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멘트와 모래에 물을 혼합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건물을 짓거나 도로를 포장하게 되는데, 이 때 타설되어 굳어진 콘크리트가 시멘트와 모래의 혼합비에 따른 불균형이나 기온의 변화 및 외부의 충격에 의해 크랙(crack) 즉, 갈라지거나 깨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상기 콘크리트에서 크랙이 발생되면 이를 보수하기 위해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와이어로프(10)를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서로 교차되게 엮어서 설치한다.

    즉, 크랙된 콘크리트의 상면에 가로, 세로방향으로 엮어진 복수개의 와이어로프(10)를 설치한 후 상기 설치된 각 와이어로프(10)의 상방에 다시 새로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굳힘에 따라 상기 기존의 콘크리트와 새로 타설되는 콘크리트 사이에 와이어로프(10)가 설치되므로 상기의 각 와이어로프(10)에 의해 기존 콘크리트에서 크랙이 계속해서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크랙된 콘크리트를 손쉽게 보수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로, 세로방향으로 엮어진 와이어로프(10)의 각 교차부분은 철사(11)를 이용하여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철사(11)로 묶어서 고정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설치되는 각 와이어로프(10)가 전, 후, 좌, 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각 와이어로프(10)를 가로, 세로방향으로 엮으므로 생긴 교차부분을 철사(11)로 묶어 고정한 다음 상기 크랙이 생긴 기존 콘크리트의 상면에 각 와이어로프(10)를 얹어지도록 설치한 후 상기 각 와이어로프(10)의 상부에 새로운 콘크리트를 타설함에 따라 상기 각 와이어로프(10)의 유동됨 없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을 보수시공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각 와이어로프는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교차되는 부분을 철사로 묶어 고정할 때 상기 묶어지는 철사가 와이어로프의 교차부분을 견고하게 고정시키지 못함에 따라 상기 와이어로프가 유동될 뿐만 아니라 상기 유동되는 와이어로프에 의해 크랙을 보수하기 위한 와이어로프의 설치의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상기 와이어로프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와이어로프가 휘어질 정도로 철사를 묶어 결합하여야 하나 상기 철사의 강도를 벗어나게 되어 끊어지게 되며, 상기 강도가 강한 철사를 사용할 경우 상기 철사를 꼬아서 묶기 위한 힘이무척 많이 들어 작업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철사의 가격이 상승되어 전체적인 제조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로프의 각 교차된 부분에 철사를 묶어 고정하기 위한 작업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상기 각 교차부분을 하나씩 철사로 묶어서 고정함에 따라 작업시간도 많이 소요되므로 상기 와이어로프의 교차부분을 고정하기 위한 작업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각 와이어로프의 교차부분을 체결하는 체결구를 구비하도록 하여 상기 교차부분에 체결구를 한번에 결합함은 물론 상기 체결구에 의해 각 와이어로프의 교차부분이 유동됨 없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와이어로프의 교차부분에 한번의 작업으로 손쉬우면서 편리하게 결합하므로 공사비용 절감 및 작업 효율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설치되는 와이어로프의 기능을 최대화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와이어로프의 체결구에 의해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체결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와이어로프의 체결구에 의해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체결구가 와이어로프에 체결된 상태를 정면에서 단면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체결구가 와이어로프에 체결된 상태를 측면에서 단면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체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와이어로프 20: 체결구

    30: 제1고정부 31: 제1삽입홈

    40: 제2고정부 41: 제2삽입홈

    50: 가이드부 60: 돌기

    70: 걸림돌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졸물의 보수공사에서 가로, 세로방향으로 엮어지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와이어로프에 있어서, 상기 각 와이어로프의 교차부분 중 상부에 위치하는 와이어로프와 함께 상기 상부 와이어로프와 직교되게 하부에 위치하는 와이어로프를 동시에 고정하도록 상기 각 와이어로프의 교차부분에 결합되는 체결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의 체결구가 제공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체결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와이어로프의 체결구에 의해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체결구가 와이어로프에 체결된 상태를 정면에서 단면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체결구가 와이어로프에 체결된 상태를 측면에서 단면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 보수공사에서 콘크리트의 상면에 가로, 세로방향으로 서로 교차되도록 엮어지는 복수개의 와이어로프(10)를 설침함에 있어서,

    상기 가로, 세로방향으로 엮어짐에 따라 형성되는 상기 각 와이어로프(10)의 교차부분 중 상부에 위치하는 와이어로프 즉, 상부 와이어로프와 함께 상기 상부 와이어로프(10)와 직교되게 하부에 위치하는 와이어로프 즉, 하부 와이어로프(10)를 동시에 고정 즉, 각 와이어로프(10)의 유동됨 없이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각 와이어로프(10)의 교차부분을 한번의 작업으로 체결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체결구(20)는 도 2에서와 같이, 상단 중앙부에 상부 와이어로프(10)가 삽입되고 상기 삽입되는 상부 와이어로프(10)를 고정하는 제1고정부(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고정부(30)의 하단 양측에는 상부 와이어로프(10)와 직교되게 설치된 하부 와이어로프(10)가 삽입되고 상기 삽입되는 하부 와이어로프(10)를 각각 고정하는 제2고정부(40)가 연이어서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제2고정부(40)의 하단에는 하부 와이어로프(10)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하부 와이어로프(10)의 삽입을 안내하는 가이드부(50)가 일체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고정부(30)에는 상부 와이어로프(10)를 안착시킴과 함께 외주면과 접촉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상부 와이어로프(10)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삽입홈(31)은 다양한 굵기의 상부 와이어로프(10)의 접촉면적을 넓히면서 고정하기 위하여 상방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도록 다단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고정부(30)의 상부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본 발명의 체결구(20)를 견고하게 결합함은 물론 상기 각 와이어로프(10)의 교차부분을 체결한 체결구(20)의 상부에 의해 작업자가 다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구(20)의 외방을 향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외방을 향하는 제1고정부(30)의 단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반구형상으로 굴곡되게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고정부(40)에는 하부 와이어로프(10)를 안착시켜 고정하도록 상기 하부 와이어로프(10)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제2고정부(40)의 양면 즉, 제2삽입홈(41)을 형성하는 면은 상기 하부 와이어로프(10)를 견고히 고정하도록 상기 하부 와이어로프(10)의 외주면과 접촉면적이 넓도록 상기 체결구(20)의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제2고정부(40)의 볼록한 양면에는 제2삽입홈(41) 내로 삽입된 하부 와이어로프(10)가 탈거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삽입된 하부 와이어로프(10)의 외주면에 박혀 고정하는 돌기(60)가 상기 제2삽입홈(41)의 내측을 향하도록 돌출되게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가이드부(50)의 일단은 제2삽입홈(41) 내에 삽입된 하부 와이어로프(10)가 탈거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와이어로프(10)의 삽입을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안내에 따라 삽입된 하부 와이어로프(10)의 저면부에 걸려지는 걸림돌부(70)가 제2삽입홈(41)의 내측으로 튀어나오도록 즉,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의 체결구(20)를 이용하여 상기 가로, 세로방향으로 서로 교차되게 엮어지는 각 와이어로프(10)의 교차부분을 한번의 작업으로 체결하는 상기 와이어로프의 체결구 체결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콘크리트의 상면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와이어로프(10)를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서로 교차되게 엮어지도록 상기 각 와이어로프를 설치하고,

    상기 가로, 세로방향으로 서로 교차되게 엮어진 각 와이어로프(10)의 각 교차부분에서 상기 각 와이어로프(10) 중 상부에 위치하는 와이어로프(10)를 체결구(20)의 제1고정부(30) 내로 삽입한 다음,

    상기 상부 와이어로프(10)와 직교되게 설치된 하부에 위치되는 와이어로프(10)를 체결구(20)의 각 제2고정부(40) 내로 삽입하여,

    상기 제1,2고정부(30,40) 내로 삽입되는 상, 하부 와이어로프(10)를 체결구(20)로 한번의 작업으로 동시에 고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타설되어 굳어진 콘크리트의 상면에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서로 교차되게 엮어진 복수개의 와이어로프(10)를 설치하고 나서 상기 각 와이어로프(10)의 상방에 콘크리트를 다시 타설하여 굳힌다.

    이 때, 각 와이어로프(10)는 가로, 세로방향으로 엮어짐에 따라 교차되는 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교차되는 부분은 도 2와 같은 체결구(20)를 이용하여 한번의 작업으로 상기 가로, 세로방향의 각 와이어로프(10)가 유동됨 없이 고정된다.

    즉, 각 와이어로프(10)의 교차부분 상방에 체결구(20)를 위치시키고 나서 상기 각 와이어로프(10)의 교차부분 중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와이어로프(10)를 상기 체결구(20)의 제1고정부(30)에 형성된 제1삽입홈(31) 내로 삽입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상부 와이어로프(10)와 직교되도록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와이어로프(10)를 상기 체결구(20)의 각 제2고정부(40)에 형성된 제2삽입홈(41) 내로 삽입한다.

    그러므로, 상기 제1삽입홈(31) 내로 삽입된 상부 와이어로프(10)와 상기 제2삽입홈(41) 내로 삽입된 하부 와이어로프(10)는 체결구(20)에 의해 한번의 작업으로 유동됨 없이 견고하게 동시에 고정된다.

    다시 설명하면, 상부 와이어로프(10)는 제1삽입홈(31) 내로 삽입되어 다단으로 형성된 제1삽입홈(31)의 외측면과 접촉되면서 고정되는데, 상기 제1삽입홈(31)을 다단으로 형성하므로 상기 제1삽입홈(31)의 내면과 와이어로프와의 접촉면적을 넓힘에 따라 상기 다양한 굵기의 와이어로프(10)는 제1삽입홈(31) 내에 원활하게 삽입됨은 물론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와이어로프(10)는 가이드부(50)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기 하부 와이어로프(10)와 접촉되는 상부 와이어로프(10)를 밀면서 상기 각 제2삽입홈(41) 내로 삽입되는데, 상기 제2고정부(40)의 양면은 볼록하게 형성 즉, 제2삽입홈(41)을 형성하는 면이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삽입홈(41) 내로 삽입된 하부 와이어로프(10)의 외주면과 상기 제2삽입홈(41)의 내면과의 접촉면적이 넓어짐과 함께 밀착됨에 따라 상기 하부 와이어로프(10)는 제2삽입홈(41) 내에 원활하게 삽입됨은 물론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제2고정부(40)의 양면은 삽입되는 하부 와이어로프(10)에 의해 외측으로 벌려졌다가 상기 하부 와이어로프(10)가 제2삽입홈(41) 내에 완전히 삽입되면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상기 하부 와이어로프(10)의 외주면을 조이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고정부(30)의 제1삽입홈(31) 내에 상부 와이어로프(1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각 제2고정부(40)의 제2삽입홈(41) 내로 하부 와이어로프(10)가 상부 와이어로프(10)를 밀면서 제2삽입홈(41) 내로 삽입되는데, 상기 상부 와이어로프(10)는 제1삽입홈(31)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하부 와이어로프(10)의 미는 힘에 의해 제1삽입홈(31) 내에서 고정될 뿐만 아니라 상기 하부 와이어로프(10)는 상부 와이어로프(10)에 밀착된 상태에서 제2삽입홈(41) 내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한편, 상기 각 제2고정부(40)의 볼록한 양면에는 제2삽입홈(41)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기(60)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각 돌기(60)는 제2삽입홈(41) 내로 삽입되는 하부 와이어로프(10)의 외주면에 박힘에 따라 상기 하부 와이어로프(10)의 유동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하부 와이어로프(10)가 탈거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각 제2고정부(4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부(50)의 일단 즉, 걸림돌부(70)가 제2삽입홈(41)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각 걸림돌부(70)는 가이드부(50)의 안내를 받으면서 제2삽입홈(41) 내로 삽입된 하부 와이어로프(10)의 저면부에 박혀 지지함에 따라 상기 하부 와이어로프(10)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상기 하부 와이어로프(10)가 제2삽입홈(41)의 하방으로 탈거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각 돌기(60)와 각 걸림돌부(70)에 의해 상기 제2삽입홈(41) 내로 삽입된 하부 와이어로프(10)의 유동 방지 및 탈거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하부 와이어로프(10)와 접촉되는 상부 와이어로프(10)도 유동되는 것이 방지됨은 물론 탈거되는 것 또한 방지된다.

    상기 각 와이어로프(10)의 교차부분은 본 발명의 체결구(20)에 의해 한번의 작업으로 유동됨 없이 견고하게 고정될 뿐만 아니라 체결된 각 와이어로프(10)의 형상이 처음 제작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콘크리트의 상면에 설치되는 각 와이어로프의 상방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상기 각 와이어로프(10)의 유동이 없으므로 상기 콘크리트의 크랙을 보수함은 물론 타설되어 굳어진 콘크리트의 강도가 보강된다.

    한편, 제1고정부(30)의 상부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외방을 향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외방으로 향하는 제1고정부(30)의 단부가 하방으로 향하도록 반구형상으로 굴곡되게 상기 제1고정부(30)의 상부와 연이어지도록 형성하므로 상기 제1고정부(30)의 상부에 의해 각 와이어로프(10)를 설치하는 작업자가 다치게 되는 경우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타설되는 콘크리트와 체결구(20)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의 와이어로프의 체결구 및 그의 체결방법은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크랙을 보수하기 위해 상기 콘크리트의 상면에 가로, 세로방향으로 서로 교차되도록 엮어진 각 와이어로프의 교차부분을 체결하는 체결구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각 와이어로프의 교차부분에서 상부에 위치하는 와이어로프와 하부에 위치하는 와이어로프가 상기 체결구에 의해 한번의 작업으로 동시에 체결될 뿐만 아니라 상기 교차부분을 체결하는 체결구의 체결력에 의해 각 와이어로프가 유동됨 없이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 각 와이어로프의 교차부분을 체결구로 한번의 작업으로 동시에 고정함으로서, 상기 각 와이어로프의 교차부분을 고정하는 작업이 손쉬우면서 편리하게 이루어져 작업속도와 시간 및 인건비 절감되는 등 제품의 제조단가가 저렴하여 전체적인 공사비용이 절감됨은 물론 작업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체결구에 의해 각 와이어로프의 교차부분이 유동됨 없이 견고하게 결합 고정됨과 함께 상기 각 와이어로프의 형상이 처음 제작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휘어짐을 방지함으로서, 상기 콘크리트의 상면에 설치되는 각 와이어로프의 상방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상기 타설되어 굳어지는 콘크리트의 강도가 보강될 뿐만 아니라 설계에 따른 작업으로 인해 상기 콘크리트의 크랙을 보수함에 따라 상기 와이어로프의 기능을 최대화하는 효과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의 효과에 의해 작업 효율성이 향상되고, 공사비용이 절감됨은 물론 제품의 품질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