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글리코실 헤스페리딘 및 그 제조방법

申请号 KR1019900008191 申请日 1990-06-04 公开(公告)号 KR100153529B1 公开(公告)日 1998-10-15
申请人 가부시끼가이샤 하야시바라 세이부쓰 가가꾸 겐꾸조; 发明人 히지야히로미; 미야께도시오;
摘要 내용 없음.
权利要求
  • 헤스페리딘에 D-글루코오스 잔기가 등몰 이상 α-결합하여 있는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 제1항에 있어서, α-글루코실 헤스페리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 (a) α-글루코실 당화합물과 함께 헤스페리딘을 함유하는 액체에 당전이 효소를 작용시켜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을 생성시키고, (b) 생성된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을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 제3항에 있어서, 회수단계는 (a) 단계에서 수득한 혼합물을 액체를 다공성 합성 흡착제와 접촉시켜서 정제하고, 정제된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을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당전이 효소가 α-글루코시다아제 (EC 3. 2. 1. 20), 시크로말토덱스트린 글루카노트랜스페라아제 (EC 2. 4. 1. 19) 및 α-아밀라아제(EC 3. 2. 1. 1)로 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의 제조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가 적어도 0.005w/v%의 헤스페리딘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의 제조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α-글루코실 당화합물은 전분 부분 가수분해물, 액화 전분 및 호화 전분 및 이들의 혼합물로 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의 제조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α-글루코실 당화합물의 농도가 헤스페리딘의 농도보다 0.5배 내지 50배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의 제조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가 현탁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의 제조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가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의 제조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는 헤스페리딘을 용매중에 가열, 용해시켜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의 제조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가 pH 7.0을 초과하는 알칼리성 pH에서 용매중에 헤스페리딘을 용해시켜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ㄹ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의 제조방법.
  • 제3항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의 제조방법.
  • 说明书全文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및 그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한예로서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시료(I)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예로서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시료(II)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신규의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 말하면 헤스페리딘에 D-글루코스 잔기가 등몰(equimolar)이상 α결합하고 있는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헤스페이딘과 α-글루코실 당화합물을 함유하는 용액에 당전이 효소를 작용시켜 신규의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을 생성시키고, 이것을 채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얻을 수 있는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을 함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가공식품 등의 음식물, 감수성 질한의 예방제, 치료제 즉 항감수성 질환제, 피부 순화제, 피부 색백제 등의 화장품 등에 관한 것이다.

    헤스페이딘은 다음에 나타낸 화학구조를 갖고 있고 모세혈관의 강화, 출혈 예방, 혈압 조정 등의 생리작용을 지닌 비타민 P로서, 또한 황색색소로서 옛날부터 알려져 있으며 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에 이용되고 있다.

    비타민 P는 생체내에서 비타민 C의 생리활성, 예컨데 생체결합 조직의 주성분인 콜라겐의 합성에 필요한 프롤린이나 리진(lysine)의 하드록실화 반응에 관여하고, 또 예컨데 시토크롬 C의 Fe +++ 을 환원하여 Fe ++ 로 하는 등의 산화환원 반응에 관여하고, 나아가서는 백혈구 증가에 의한 면역증강 작용에 관여하는 등이 알려져 있으며 생체의 건강 유지, 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헤스페이딘의 용도는 단순히 영양소로서의 비타민 P 강화제에 머물지 않고 그 화학구조, 생리작용으로 부터 단독으로 또는 그 밖의 비타민 등과 병용하여, 예컨데 황색 착색제, 산화 방지제, 안정제, 품질 개량제, 자외선 흡수제 등으로서 음식물 등에, 또한 비루스성 질환, 세균성 질환, 순환기 질환, 악성 종양 등의 감수성 질환의 예방제, 치료제, 즉 항감수성 질환제에, 나아가서는 황색 착색제, 안정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멜라닌 생성 억제제 등의 피부 순화제, 피부 색백제 등으로서 화장품에가지 미치고, 그 범위는 극히 넓다. 그러나 헤스페이딘은 물에 녹기 어렵고, 실온에서는 50ℓ의 물에 겨우 1g정도(약 0.002 w/v%) 밖에 녹지 않으므로, 사용상 극히 곤란하다.

    이 수용성을 개선하는 방법으로서는 헤스페이딘에 디메틸 황산을 작용시켜 헤스페리딘의 메틸 유도체로 하여 수용성을 증대시키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유기화학적 수법에 따라 이루어져서 반응에 유독한 디메틸황산이 사용되며, 수득되는 유도체의 정체가 상당히 곤란하므로, 그 무독성, 안정성의 확보, 경제성 등의 점에서 만족할 만한 것이 못되었다. 또, 수득되는 메틸 유도체가 쓴맛을 가지고 있다는 결점도 있다.

    종래의 헤스페리딘 또는 그 유도체의 결점을 해소하여, 수용성이 우수하고, 실질적으로 무미, 무취하며 독성의 우려도 없고, 특히, 생체내에서 가수분해되어 해스페리닌 본래의 생리활성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헤스페리딘 유도체의 실현이 강하게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특히 생화학적 수법을 이용하여 신규의 헤스페리딘 유도체를 목표로 예의 연구하였다. 그 결과 헤스페리딘과 α-글루코실 당화합물을 함유하는 용액에 당전이 효소를 작용시킴으로써 D-글루코오스 잔기 동몰 이상이 α 결합을 통해 헤스페리딘에 결합한 신규의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이 생성됨을 발견하였고, 또한 이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은 수용성이 우수하고 실질적으로 무미무취이고, 독성의 우려도 없고, 생체내에서 용이하게 가수분해되어 헤스페리딘 본래의 생리활성을 발휘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그 제조 방법 및 음식물, 감수성 질환의 예방제, 치료제, 화장품 등에의 용도를 확립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또한, 이 당전이 반응에 의해 생성한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을 정제함에 있어서는 그 반응용액과 다공성 합성 흡착제를 접촉시켜, 그 흡착성의 차이를 이용함으로써 용이하게 정제할 수 있음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의 제조방법은 종래기술의 결점을 알기에 해소하여, 그 공업화의 실현을 극히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헤스페라딘은 고도로 정제된 헤스페리딘에 한정할 필요는 없고, 헤스페리딘과, 예컨대 시트로닌, 나린진, 루틴 등의 플라보노이드 배당체(flavonoid glycoside)의 혼합물, 나아가서는 헤스페리닌을 함유하고 있는 각종 식물 유래의 추출물, 또는 그 부분 정제물 등을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식물조직으로서는 예컨대 감귤류의 과실, 과피, 미숙과 등을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α-글리코실 당화합물은 동시에 사용하는 당전이 효소에 의하여 헤스페리딘으로 부터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이면 좋고, 예컨대 아밀로오스, 데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말토올리고당 등의 전분 부분 가수분해물, 나아가서는 액화 전분, 호화(糊化) 전분 등을 적당히 선택한다. 따라서,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의 생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는 당전이 효소에 가장 적합한 감수성을 가진 α-글루코실 당화합물을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당전이 효소로서 α-글리코시다아제(EC 3. 2. 1. 2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말토오스, 말토트리오스, 말토테트라오스 등의 말토올리고당, 또는 DE(dextrose eqivalant) 약 10-70의 전분 부분 가수분해물 등이 가장 적합하고, 시크로말토데스트린 굴루카노트랜스페라아제(EC 2. 4. 1. 19)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시크로덱스트린 또는 DE 1 이하의 전분 호화물로 부터 DE 60의 전분 부분 가수분해물 등이 가장 적합하고, α-아밀라아제 ((EC 3. 2. 1. 1)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DE 1 이하의 전분 호화물로 부터 DE 30의 데스트린 전분 부분 가수분해물 등이 가장 적합하다.

    또, 반응시의 α-글루코실 당화합물 농도 헤스페리딘에 대하여 약 0.5-50배의 범위가 가장 바람직하다.

    반응시의 헤스페라딘 함유액은 헤스페라딘을 가급적 고농도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데 헤스페리딘을 현탁액상으로 하거나, 또는 고온으로 용해시킨, 그렇지 않으면 pH7.0을 초과하는 알칼리쪽 pH 에서 용해시킨 용액상으로 하여 고농도로 함유하는 용액이 적합하고 그 농도는 약 0.005w/v% 이상의 고농도, 바람직하기는 약 0.01-10.0w/v% 함유하고 있는 용액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당전이 효소는 헤스페리딘과 이 효소에 가장 적합한 성질의 α-글루코실 당화합물을 함유하는 용액에 작용시킬 때, 헤스페리딘을 분해하지 않고, α-글루코실 헤스페리딘을 생성하는 것이면 좋다.

    이러한 당전이 효소의 예로서는 α-글루코시디아제의 경우 돼지의 간장, 메밀종자 등의 동식물 조직 유래의 효소 또는 무코르속(Mucor屬), 페니실륨속 등에 속하는 곰팡이, 혹은 시카로미세스속 (saccharomyces屬)에 속하는 효모 등의 미생물을 영양배지에서 배양하여 수득되는 배양물 유래의 효소를, 그리고 시키로 말토덱스트린 글루카노트랜스페라아제의 경우는 바실루스 (Bacillus)속, 클렙 시엘라속 등에 속하는 세균 배양물 유래의 효소를, α-아밀라아제의 경우는 바실루스속 등에 속하는 세균, 또는 아스페르길루스속 등에 속하는 곰팡이 배양물 유래의 효소 등을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이들 당전이 효소는 전술한 조건을 만족한다면, 반드시 정제하여 사용할 필요는 없고, 통상은 조효소(組酵素)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공지의 각종 방법으로 정제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또, 시판의 당전이 효소를 이용할수도 있다.

    당전이 효소량과 반응시간과는 밀접한 관계가 있고, 통상의 경제성의 점에서 약5-80 시간에서 반응을 종료하도록 효소량이 선택된다. 또, 고정화된 당전이 효소를 뱃치(batch)식으로 반복하고, 또는 연속식으로 반응에 이용하는 것도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응방법은 헤스페리딘의 초기농도를 높인 상태에서 당전이 효소를 작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데 헤스페리딘을 현탁액상으로 반응시키는 경우에는 약 0.1-2.0w/v%의 현탁상 헤스페리딘과 적당량의 α-글리코실 당화합물을 함유하는 헤스페리딘 고함유액을 pH 약 4.5-6.5으로 유지하고 당전이 효소가 작용할 수 있는 가급적 고온, 구체적으로는 약 70-90℃로 유지하여 여기에 당전이 효소를 작용시키면, 헤스페리딘이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으로 변환함에 따라서 현탁액상 헤스페리딘이 서서히 용해함과 동시에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이 용이하게 고농도로 생성한다.

    또한, 예컨대 헤스페리딘을 pH 7.0을 초과하는 알칼리쪽에서 반응시키는 경우에는 pH 약 7.5-10.0의 물에 약 0.2-5.0w/v%의 헤스페리딘을 가열 용해하고, 여기에 적당량의 α-글리코실 당화합물을 용해하여 수득되는 헤스페리딘 고함유액을, 당전이 효소가 작용할 수 있는 가급적 높은 pH와, 고온, 구체적으로, pH 약7.5-10.0, 온도 약50-80℃로 유지하여 여기에 당전이 효소를 작용시키면,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이 용이하게 고농도로 생성한다. 이 경우, 알칼리성 용액속의 헤스페리딘은 분해를 일으키기 쉬우므로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급적 차광 및 혐기(嫌氣) 하에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전술한 조건을 조합하는 방법, 예컨대 약 0.5-10.0w/v%의 헤스페리딘과 적당량의 α-글리코실 당화합물을 함유하는 헤스페리딘 고함유액을 pH 약 7.5-10.0, 온도 약 50-80℃로 유지하여 여기에 당전이 효소를 작용시키면,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이 용이하게 고농도로 생성한다.

    또한, 헤스페리딘으로서는 예컨데 약0.1-1.0N 의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수산화 칼륨 수용액, 탄산 나트륨 수용액, 수산화 칼슘 수용액, 암모니아수 등의 강알칼리성 수용액에 약 0.5-10.0w/v%의 고농도로 용해시킨 것을 사용하고, 여기에 염산, 황산 등의 산성 수용액을 가하여 효소가 작용할 수 있는 pH로 조정함과 아울러 α-글리코실 당화합물을 가하고, 즉시 당전이 효소를 작용시키는 것은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이 용이하게 고농도로 생성시키게 되므로 극히 알맞다. 이 경우, 모처럼 고농도로 용해시킨 헤스페리딘 용액도 산성 수용액으로 pH를 조정함에 따라 용이하게 헤스페리딘이 석출을 일으키므로 pH조정전에 α-글리코실 당화합물 및/또는 소량의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등을 공존시켜서 헤스페리딘의 석출을 억제하면서 당전이 반응을 개시하는 것도 유리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더욱 필요하다면, 반응전의 헤스페리딘의 용해도를 높여 헤스페리딘으로의 당전이 반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헤스페리딘 고함유액에 물과 서로 용해할 수 있는 유기용매, 예컨데 메탄올, n-프로판올, n-부탄올, 아세톨(1-히드록시-2-프로판온), 아세톤 등의 저급 알코올 및 저급 케톤 등을 공존시키는 것도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을 생성시킨 반응 용액은, 그대로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제품으로 할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반응용액을 여과, 농축하여 시럽상의, 필요에 따라서는 건조, 분말화하여 분말상의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제품으로 한다.

    본 제품은 비타민 p 강화제로서 뿐 아니라 안전성이 높은 천연형의 황색 착색제, 산화 방지제, 안정제, 품질 개량제, 예방제, 치료제, 자외선 흡수제 등으로서 음식물, 기호품, 사료모이, 항감수성 질환제, 화장품, 플라스틱 제품 등의 용도로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나아가서 정제된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제품을 제조할 경우에는 다공성 합성 흡착제에 의한 흡착성의 차를 이용하여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과 α-글리코실 당화합물 등의 협잡물을 분리하여 정제하면 좋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다공성 합성 흡착제라 함은, 다공성이고 넓은 흡착 표면적을 지니며, 또한 비이온성의 스티렌-디 비닐 벤젠 중합체, 페놀-포르말린 수지, 아크릴레이트 수지,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등의 합성수지이며, 예컨데, 시판되고 있는 미합중국의 Rohm Haas 사 제조의 상품명 앰버라이트(Amberlite) XAD-1, 앰버라이트 XAD-2, 앰버라이트 XAD-4, 앰버라이트 XAD-7, 앰버라이트XAD-8, 앰버라이트 XAD-11, 앰버라이트 XAD-12 ; 일본국의 Mitsubishi 化成공업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다이아이온 (Diaion) HP-10, 다이아이온 HP-20, 다이아이온 HP-30, 다이아이온 HP-40, 다이아이온 HP-50 ; 및 네델란드국의 IMACTI 사 제조의 상품명 이마크 (imac) syn-42, 이마크 syn-44, 이마크 syn-46등이 있다.

    본 발명의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을 생성시킨 반응액의 정제방법은 반응액을, 예컨데 다공성 합성 흡착제를 충전한 칼럼에 통액하면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및 비교적 소량의 미반응 헤스페리딘이 다공성 합성 흡착제에 흡착되는 반면, 다량으로 공존하는 α-글리코실 당화합물과, 수용성 당류는 흡착되지 않고 그대로 유출한다.

    필요하다면, 당전이 효소 반응 종료 후, 다공성 합성 흡착제에 접촉시키기 까지의 동안에, 예컨대 반응액을 가열하여 생기는 불용물을 여과하여 제거한다거나, 규산 알루미늄산 마그네슘, 알루미늄산 마그네슘 등으로 처리하여 반응액 속의 단백성 물질 등을 흡착 제거한다거나, 강산성 이온교환 수지(H형) 및/또는 중염기성 또는 약염기성 이온교환 수지 (OH형)등으로 처리하여 탈염하는 등의 정제방법을 조합하여 이용하는 것도 마음대로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다공성 합성 흡착제 칼럼에 선택적으로 흡착된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과 비교적 소량의 미반응 헤스페리딘은 묽은 알칼리, 물 등으로 세정한 다음 비교적 소량의 유기용매 또는 유기용매와 물의 혼합액, 예컨대 메탄올수, 에탄올수 등을 통액하면, 먼저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이 용출하고 통액량을 증가시키거나 유기용매 농도를 높이거나 하면 미반응 헤스페리딘이 용출한다.

    이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고함유 용출액을 증류 처리하여 우선 유기용매를 제거한 다음, 적당한 농도까지 농축하면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을 주성분으로 하는 시럽상 제품을 얻을수 있다. 나아가서, 이것을 건조하여 분말화함으로써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을 주성분으로 하는 분말상 제품을 수득하게 된다.

    이 유기용매에 의한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및 미반응 헤스페리딘의 용출조작은 동시에 다공성 합성 흡착제의 재생조작도 되므로, 이 다공성 합성 흡착제의 반복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공성 합성 흡착제에 의한 정제는 α-글리코실 당화합물 및 수용성 당류뿐만 아니라, 수용성의 염류 등의 협잡물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렇게 하여 수득되는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은 다음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1)헤스페리딘과 비교하여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은 수용성이 극히 크다. (2)헤스페리딘과 비교하여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은 내광성과 안정성이 크다. (3)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은 체내의 효소에 의해 헤스페리딘과 글루코오스로 가수분해되어 헤스페리딘 본래의 생리활성 (비타민 P)을 나타낸다. 또한, 비타민 C와의 병용에 의해 이들이 지닌 생리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4)α-글리코실 당화합물을 함유하는 제품의 경우에는,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의 효과를 발휘할뿐 아니라, α-글리코실 당화합물이 부형(賦形), 증량효과나, 감미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또한 α-글리코실 당화합물을 제거한 정제 제품의 경우에는, 거의 부형, 증량하는 일이 없이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또한 실질적으로 무미, 무취이므로 마음대로 맞의 조절, 향기의 조절을 할 수있다.

    이들 특징으로 부터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은 안정성이 높은 천연형의 비타민P 강화제로서 뿐만 아니라, 황색 착색제, 산화 방지제, 안정제, 품질 개량제, 비루스성 질환, 세균성 질환, 순환기 질환, 악성 종양 등 감수성 질환의 예방제, 치료제, 자외선 흡수제 등으로서, 음식물, 기호품, 사료 모이, 항감수성 질환제, 피부 순화제, 피부 색백제 등 화장품, 나아가서는 플라스틱 제품 등에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은 신맛, 짠맛, 떫은 맛, 단맛, 쓴맛 등의 맛을 지닌 각종 물질들과 잘 조화하고, 내산성, 내열성도 크므로 보통 일반의 음식물, 기호물, 예컨대, 조미료, 일본식 과자, 양과장, 빙과, 음료, 스프레드(spreads), 페이스트, 절인 것, 병조림, 축육 가공품, 어육수산 가공품, 우유, 계란 가공품, 야채 가공품, 과실 가공품, 곡류 가공품 등 광범위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가축, 가금, 밀봉, 누에, 물고기 등의 사육동물을 위한 사료, 모이 등에 비타민 P 강화제, 기호성 향상 등의 목적으로 배합하여 이용하는 것도 알맞다.

    그밖에 담배, 트로치(troche), 간유 드롭, 복합 비타민제, 구중(口中) 청량제, 구중 향정, 가아글, 경관 영양제, 내복약, 주사제, 치약, 입술연지, 입술크림, 햇볕 그을림 방지제 등 각종 고체상, 페이스트상, 액상의 기호물, 감수성 질환의 예방제, 치료제, 즉 항감수성 질환제, 피부 순환제, 피부 색백제 등의 화장품 등에 배합하여 이용하는 것도 유리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자외선 흡수제, 열화(劣化) 방지제 등으로서 플라스틱 제품 등에 배합하여 이용하는 것도 유리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감수성 질환이라 함은,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에 의하여 예방되거나 치료되는 질환이며, 그것이 예컨대 비루스성 질환, 세균성 질환, 외상성 질환, 면역 질환, 류우머티즘, 당뇨병, 순환기 질환, 악성 종양 등이어도 좋다.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의 감수성 질환 예방제, 치료제는 그 목적에 따라서 그 형상을 자유로히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분무제, 점안제, 점비제, 가아글제, 주사제 등의 액제; 연고, 습포제, 크림 등의 페이스트제; 및 분제, 과립, 캡슐제, 정제 등의 고형제제이다.

    약제를 제조함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서, 다른 성분, 예컨데 치료제, 생리활성 물질, 항생 물질, 보조제, 증량제, 안정제, 착색제, 착향제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과 병용하는 것도 마음대로이다. 투여량은 함량, 투여 경로, 투여 빈도 등에 의하여 적당히 조절할 수 있다. 통상,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으로서, 성인 1인당 약0.001-10.0 그램의 범위가 적합하다. 또한, 화장품의 경우에도, 대체로 전술한 예방제, 치료제에 중하여 이용할 수 있다.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을 이용하는 방법으로서는 그것들의 제품이 완성하기 까지의 공정에서 예컨대 혼합, 반죽, 용해, 침지, 침투, 산포, 도포, 분무, 주입 등의 공지의 방법을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의 일예를 실험으로 설명한다.

    [실험 1]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의 제조]

    (1)당전이 반응

    헤스페리딘 1 중량부 및 덱스트린(DE 20) 6 중량부에 물 5,000 중량부를 가하여 가열 용해하고, 여기에 바실루스 스테아로더어모필루스(Bacillus stearo thermophilus) 유래의 시클로말토덱스트린 글루카노트랜스페라아제 (일본국의 주식회사 林原 생물화학 연구소 판매) 를 덱스트린 그램당 20 단위를 가하고 pH6.0, 70℃로 유지하여 18시간 반응시킨 다음, 가열하여 효소를 실활시킴으로써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함유액을 수득하였다.

    (2)정제

    (1)의 방법으로 수득한 반응액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다공성 합성 흡착제, 상품명 다이아이온 HP-10(일본국의 Mitsubishi 화성 공업 주식회사 판매)를 충전한 칼럼에 SV2에서 통액하였다. 이 칼럼을 물로 세정한 다음, 50v/v% 에탄오를 통액한 후 이 용출액을 농축하여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분말화하여 담황색의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표품(標品)(I)을 원료인 헤스페리딘 중량에 대하여 약 130%의 수율로 얻었다.

    (3)아밀라아제에 의한 가수분해

    (2)의 방법으로 얻은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표품(I)을 물에 1w/v%에 용해하고 여기에 글루코아밀라아제 (EC 3. 2. 1. 3, 일본국의 생화학 공업 주식회사 판매)를 이 표품 그램당 100단위 가하여 pH5.0, 55℃ 로 유지하여 5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가열하여 효소를 실활시키고 여과하여, 여과액을 다공성 합성 흡착제, 상품명 다이아이온 HP-10(일본국의 Mitsubishi 화성공업 주식회사 판매)의 칼럼에 SV2에서 통액하였다. 그 결과, 용액 속의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과 미반응 헤스페리딘이 다공성 합성 흡착제에 흡착하고, 글루코오스, 염류 등은 흡착하지 않고 유출하였다.

    이어서 칼럼을 물을 사용하여 통액, 세정한 다음, 에탄올 수용액 농도를 단계적으로 높이면서 통액하여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획분을 채취한 다음, 감압 농축하고 분말화하여 담황색의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표품(II)을 원료인 헤스페리딘 중량에 대하여 고형물당 약 70%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또한, 글루코아밀라아제 대신에 β-아밀라아제(EC 3. 2. 1. 2), (일본국의 생화학 공업 주식회사 판매)를 사용하여 전술한 방법에 준하여,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표품(I)을 가수분해하고 정제, 농축, 분말화하여, 담황색의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표품(III)을 원료인 헤스페리딘 중량에 대하여 약 70%의 수율로 얻었다.

    [실험 2]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의 이화학적 성질]

    (1)수용성의 향상

    실험I(1)의 방법으로 당전이 반응에 의해 제조한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함유액과, 이 방법에서 사용하는 효소를 미리 가열 실활시켜 실험I(1)의 방법에 준하여 처리한 대조액을, 4℃의 냉실에 2일간 방치한 결과, 대조액에서는 헤스페리딘이 석출하여 희게 혼탁하였음에 대하여,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함유액은 투명한대로 있었다. 따라서 당전이 반응에 의해 생성한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은 수용성이 현저히 향상되어 있다.

    (2)용매에 대한 용해성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표품은 물, 0.1N 수산화 나트륨, 0.1N염산에 용이하게 녹으며, 메탄올, 에탄올에 약간 녹고, 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에는 녹지 않는다.

    (3)자외선 흡수 스펙트럼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표품을 0.1N 수산화 나트륨 용액에 용해하여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조사하였던 바, 표품(I), 표품(II), 표품(III) 의 어느 것이나 헤스페리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286nm 부근에서 흡수 극대를 가지고 있었다.

    (4)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KBr 정제법에 의하여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표품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조사하였다.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표품(I)의 결과를 제1도에, 표품(II)의 결과를 제2도에 나타내었다.

    (5)가수분해에 대한 안정성

    (a)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표품은 돼지의 간장 유래의 α-글루코시다아제(EC 3. 2. 1. 20)에 의해 가수분해되어 헤스페리딘과 D-글루코오스를 생성한다.

    (b)β-글루코시다아제에 의하여 가수분해되지 않는다.

    (6)박층(thin layer) 크로마토그래피

    (a)분석 방법

    박층판 : 메르크사 제품

    상품명 키이젤 겔(Kieselgel) 60 F254

    전기용매 : n-부탄올 : 아세트산 : 물 = 4 : 2 : 1

    발색제 : 1 w/w% 황산 제2세륨 10 w/w% 황산 수용액

    (b)분석 결과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표품을 분석하였는 바, 표품(I)의 경우에는 Rf 0.69의 헤스페리딘의 스포트 이외에 새로이 Rf 0.48, 0.34, 0.22, 0.16, 0.10, 0.04 및 원점에서 스포트가 확인되었고, 표품(II)의 경우에는 Rf 0.48의 스포트가 확인되었으며, 표품(III)의 경우에는 Rf 0.48, 0.34의 스포트가 확인되었다.

    이상의 이화학적 성질로 부터 표품(I), 표품(II) 및 표품(III)에 함유되는 Rf 0.48 을 나타내는 물질은 헤스페리딘 1몰에 D-글루코오스 잔기 1몰이 α결합한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이라 판단되며, 표품(I), 및 표품(III)에 함유되는 Rf 0.34 을 나타내는 물질은 헤스페리딘 1몰에 D-글루코오스 2몰이 α결합한 α-디글루코실 헤스페리딘이라 판단되고, 마찬가지로 표품(I)에 함유되는 Rf 0.22 이하의 복수의 스포트를 나타내는 물질은 헤스페리딘 1몰에 D-글루코오스 잔기 3몰 이상이 α결합한 α-올리고글루코실 헤스페리딘이라 판단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은 헤스페리딘에 D-글루코오스 잔기가 동몰 이상 α결합한 수용성이 양호한 신규의 헤스페리딘 당유도체로서 생체내에서 섭취되면, α-글루코시다아제에 이하여 용이하게 가수분해되어 헤스페리딘 본래의 생리활성을 발휘한다.

    [실험 3]

    [급성독성]

    7주령 되는 dd계 마우스를 사용하여, 실험 1 (2)의 방법으로 제조한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표품(I)을 경구 투여하여 급성독성 테스트를 하였던 바, 5g까지 사망한 예는 볼수 없었고, 그 이상의 투여는 곤란하였다.

    따라서, 이 물질의 독성은 극히 낮다. 더욱이 실험 1 (3)의 방법으로 제조한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표품(II)을 사용하여 이 테스트를 하였던 바, 마찬가지 결과를 얻었으며, 독성이 극히 낮다는 것을 판명하였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의 제조예를 실시예 A에서,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의 용도예를 실시예 B에서 설명한다.

    [실시예 A-1]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헤스페리딘 1 중량부를 1 N 수산화 나트륨 용액 4중량부에 용해하고, 여기에 0.01N 염산 용액을 가하여 중화함과 아울러 덱스트린(DE 10) 4 중량부를 가하고, 즉시 바실루스 스테아로더어모필루스 유래의 시크로말토덱스트린 글루카노트랜스페라아제 (일본국의 주식회사 林原 생물화학 연구소 판매) 를 덱스트린 그램당 20 단위를 가하고, pH 6.0, 75℃로 유지하여 교반하면서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였던 바 헤스페리딘 약 70%가 α-글루코실 헤스페리딘, α-디클루코실 헤스페리딘, α-트리글루코실 헤스페리딘, α-테트라글루코실 헤스페리딘, α-펜타글루코실 헤스페리딘 등의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으로 전환되어 있었다. 반응액을 가열하여 효소를 실활시키고, 여과한 후 여과액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이온교환 수지 (H형 및 OH형)로 탈염 정제하고, 농축하여 α-글리코실 당화합물을 함유하는 시럽사의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제품을 고형물당 원료 중량에 대하여 약 90%의 수율로 얻었다.

    이 제품은 비타민 P 강화제로서 뿐만 아니라, 안정성이 높은 천연형의 황색 착색제, 산화 방지제, 안정제, 품질 개량제, 예방제, 치료제, 자외선 흡수제 등으로서 음식물, 기호품, 사료, 모이, 항감수성 질환제, 화장품, 플라스틱 제품 등의 용도에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A-2]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실시예 A-1의 방법에 준하여 제조한 α-글리코실 당화합물을 함유하는 시럽상의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제품 1중량부를 물 4중량부에 용해하고, 여기에 글루코아밀라아제 (EC 3. 2. 1. 3 ; 일본국의 생화학 공업 주식회사 판매)를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제품 고형물 그램당 100단위를 가하고, 50℃에서 5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였던 바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은 α-글루코실 헤스페리딘으로 전환되어 있었다. 반응액을 가열하여 효소를 실활시키고 여과한 후, 여과액을 다공성 합성 흡착제, 상품명 다이아이온 HP-10(일본국의 Mitsubishi 화성공업 주식회사 판매)의 칼럼에 SV2으로 통액하였다. 그 결과, 용액중의 α-글루코실 헤스페리딘과 미반응 헤스페리딘이 다공성 합성 흡착제에 흡착하고, 글루코오스, 염류 등은 흡착하지 않고 유출하였다. 이어서 칼럼을 물로 통액, 세정한 다음 에탄올 수용액 농도를 단계적으로 높이면서 통액하며 α-글루코실 헤스페리딘 고함유 획분을 채취하고, 감압 농축한 다음 분말화하여, 분말상의 α-글루코실 헤스페리딘을 고형물당 원료인 헤스페리딘 중량에 대하여 약 60%의 수율로 얻었다.

    α-글루코실 헤스페리딘을 산으로 가수분해하였던 바, 헤스페리딘 1몰에 대항 람노오스(rhamnose) 1몰, D-글루코오스 2 몰을 생성하고, 또한 α-글루코실 헤스페리딘에 돼지의 간장으로 부터 추출하여 부분 정제한 α-글루코실 다아제를 작용시키면 헤스페리딘과 D-글루코오스로 가수분해된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 α-글루코실 헤스페리딘은 고도로 정제된 수용성이 높은 비타민 P 강화제로서, 또한 황색 착색제, 산화 방지제, 안정제, 품질 개량제, 예방제, 치료제, 자외선 흡수제 등으로서 음식물, 기호품, 항감수성 질환제, 화장품 등에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A-3]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헤스페리딘 1 중량부를 물 500 중량부에 Ph 9.5 에서 가열 용해하고, 별도로 덱스트린 (DE 8) 10 중량부를 물 10 중량부에 가열 용해한 다음, 이들 용액을 혼합하여 여기에 시크로말토덱스트린 글루카노트랜스페라이제를 덱스트린 그램당 30단위를 가하고 pH 8.2, 65℃로 유지하여 교반하면서 40 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였던 바, 헤스페리딘의 약 80%가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으로 전환하였다.

    반응액을 가열하여 효소를 실활시키고 여과한 후 여과액을 다공성 합성 흡착제, 상품명 앰버라이트 XAD-7(Rohm Hass 사 제조)의 칼럼에 SV1.5로 통액 하였다. 그 결과, 용액 속의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과 미반응 헤스페리딘이 다공성 합성 흡착제에 흡착되고, 덱스트린, 올리고당, 염류 등은 흡착하지 않고 유출하였다. 이 칼럼을 물로 통액, 세정한 다음 50v/v%메탄올을 통액하여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및 헤스페리딘을 용출하여, 이것을 농축하고 분말화하여 분말상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제품을 원료인 헤스페리딘 중량에 대하여 약 120%의 수율로 얻었다.

    이 제품은 수용성이 높은 비타민 P 강화제로서뿐 아니라 안전성이 높은 천연형의 황새 착색제, 산화 방지제, 안정제, 품질 개량제, 예방제, 치료제, 자외선 흡수제 등으로서 음식물, 기호품, 사료, 모이, 항감수성 질환제, 화장품, 플라스틱 제품 등의 용도에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A-4]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1)α-글루코시다아제 표품의 제조

    말토오스 4w/v%, 인산 1칼륨 0.1w/v%, 질산 암모늄 0.1w/v%, 황산 마그네슘 0.05w/v%, 염화 칼륨 0.05w/v%, 폴리펩톤 0.2w/v%, 탄산 칼슘 1w/v%(별도로 건열 멸균하여 식균시에 무균적으로 첨가) 및 물로된 액체배지 500중량부에 무코르 야바니커스(mucor javanicus) IFO 4570 을 온도 30℃에서 44시간 진탕 배양하였다.

    배양이 종료된 다음, 균사체를 채취하고, 그 습한 균사체 48중량부에 대하여, 0.5M아세트산 완충액(pH5.3)에 용해한 4M뇨소액 500 중량부를 가하여 30℃에서 40 시간 정치한 후, 원심분리 하였다. 이 상청액을 유수속에서 하루밤 투석한 다음, 황산 암모늄을 가해 0.9포화로 하여 4℃에서 하루밤 방치하여 생성한 염석물을 여과 채취하고, 0.01M 아세트산 완충액(pH5.3) 50 중량부에 현탁 용해한 다음, 원심분리하고 상청액을 채취하여α-글루코시 디아제 표품으로 하였다.

    (2)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의 제조

    헤스페리딘 5 중량부를 0.5N 수산화 나트륨 용액 100 중량부에 가열 용해하고, 여기에 0.01N 염산 용액을 가하여 pH9.5로 함과 아울러 덱스트린(ED 30) 20 중량부를 가한 다음, 즉시(1)의 방법으로 제조한 α-글루코시다아제 표품 10 중량부를 가하고, pH 8.5 로 유지하여 교반하면서 55℃에서 40 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박층 페이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였던 바, 헤스페리딘의 약 60%가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으로 전환되어 있었다.

    반응액을 실시예 A-3과 마찬가지로 정제하여, 농축, 분말화하여 분말상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제품을 원료인 헤스페리딘 중량에 대하여 약 110%의 수율로 얻었다.

    이 제품은 실시예-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수용성이 높은 비타민 P 강화제로서 뿐만 아니라, 안정성이 높은 천연형의 황색 착색제, 산화 방지제, 안정제, 품질 개량제, 예방제, 치료제, 자외선 흡수제 등으로서, 각종 용도에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B-1]

    [하아드 캔디]

    환원 맥아당 물엿[일본국의 林原 상사 주식회사 판매, 등록상표 마비트(MABIT)] 1,500 중량부를 가열하고, 감압하에서 수분 약 2%이하로 될 때까지 농축하고, 여기에 시트르산 15 중량부 및 실시예-3 의 방법으로 제조한 분말상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1중량부 및 소량의 레몬향료를 혼합하고, 이어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성형, 포장하여 하아드 캔디를 얻었다.

    이 제품은 비타민 P를 강화한 황색의 레몬 캔디로서 이빨이 썩지 않는 저칼로리의 것이다.

    [실시예 B-2]

    [끓인 머위(大黃 : BOG RHUBARB)]

    머위 껍질을 벗긴 다음,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여 묽은 식염수에 여러시간 동안 침지하고, 이것을 실시예 A-1의 방법으로 얻은 시럽상의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과 청색 1호를 배합하여 조제한 녹색 착색료를 함유하는 액에서 충분히 끊여서 녹색의 선명한 끓인 대위를 얻었다.

    이 제품은 각종 일본식 요리의 재료로서 착색 첨가함과 동시에, 식물섬유로서의 생리효과도 발휘한다.

    [실시예 B-3]

    [녹말 페이스트 (규우히 (Gyuhi))]

    떡살 녹말 1 중량부에 물 1.2 중량부를 혼합하여 가열 호화화하면서, 여기에 설탕 1.5 중량부, 결정성 β-말토오스 (일본국의 林原 주식회사 제조, 등록상표 선말트) 0.7 중량부, 물엿 0.3 중량부 및 실시예 A-1의 방법으로 얻은 시럽상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0.2 중량부를 혼합한 다음, 통상 방법에 따라서, 성형 포장하여 녹말 페이스트(규우히)를 제조하였다.

    이 제품은 풍미, 입에 닿았을때의 미각도 함께 양호한 녹말 페이스트로서 기장 경단 모양의 일본식 과자이다.

    [실시예 B-4]

    [혼합 감미료]

    벌꿀 100 중량부, 이성화당 50 중량부, 흑설탕 2 중량부 및 실시예 A-4의 방법으로 얻은 분말상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1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 감미료를 얻었다. 이 제품은 비타민 P를 강화한 감미료이며, 건강식품으로서 가장 적합하다.

    [실시예 B-5]

    [크리임 필링(cream filling)]

    결정성 α-말토오스 (일본국의 주식회사 林原 제조, 등록상표 파인토오스 : FINETOSE) 1,200 중량부, 쇼오트닝 (shortening) 1,000 중량부, 실시예 A-3 의 방법으로 얻은 분말상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10 중량부, 레시틴 1 중량부, 레몬 오일 1 중량부, 바닐라 오일 1 중량부를 통상방법에 따라 혼합하여 크리임 필링을 제조하였다.

    이 제품은 비타민 P 강화 및 황색으로 착색된 크리임 필링으로서, 입에 닿을때의 미각, 입에서 녹는 정도, 풍미 등도 양호하다.

    [실시예 B-6]

    [정제]

    아스코르브산 20 중량부에 결정성 β-말토오스 13 중량부, 옥수수 전분 4 중량부 및 실시예 A-2 의 방법으로 얻은 분말상 α-글루코실 헤스페리딘 3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직경 12㎜, 20 R 펀치를 사용하여, 타정하여 정체를 얻었다.

    이 제품은 아스코르브산과 α-글루코실 헤스페리딘의 복합 비타민제로서, 아스코르브산의 안정성도 좋고, 삼키기 쉬운 정제이다

    [실시예 B-7]

    [캡슐]

    아세트산 칼슘 1 수화물 10 중량부, L-락트산 마그네슘 3 수화물 50 중량부, 말토오스 57 중량부, 실시예 A-2의 방법으로 얻은 α-글루코실 헤스페리딘 20 중량부 및 에이코산 펜타엔산(eicosapentaenoic) 20% 함유의 γ-시크로덱스트린 포접 화합물 (inclusion compound) 12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과립성형기에서 과립으로 한 다음,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젤라틴 캡슐에 봉입하여 1 캡슐 150㎎들이의 캠슐제를 제조하였다.

    이 제품은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제, 면역 부활제, 피부 순화제 등으로 하여, 그리고 감수성 질환의 예방제, 치료제, 건강 증진용 식품 등으로 하여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B-8]

    [연고]

    아세트산 나트륨 3 수화물 1 중량부, DL-락트산 칼슘 4 중량부를 글리세린 10 중량부와 균일하게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와셀린 50 중량부, 식물성 왁스 10 중량부, 라놀린 10 중량부, 참기름 14.5 중량부, 실시에 A-4 의 방법으로 얻은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1 중량부 및 박하유 0.5 중량부의 혼합물에 가하여, 다시 균일하게 혼합하여 연고를 제조하였다.

    이 제품은, 햇볕 그을름 방지, 피부 순화제, 피부 색백제 등으로서, 나아가서는, 외상, 화상의 치유 촉진제 등으로서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B-9]

    [주사제]

    실시예 A-2의 방법으로 얻은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을 물에 용해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정제 여과하여 파이로겐 프리이 용액으로 하여, 이 용액을 20㎖ 들이 앰푸울에 α-글루코실 헤스페리딘 50㎎ 이 되도록 나누어 넣고, 이것을 감압 건조하여 봉입함으로써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이 주사제는 단독으로, 또는 다른 비타민, 미네랄 등과 혼합하여 근육내 또는 정맥내에서 투여할 수 있다. 또한, 이 제품은 저온저장의 필요도 없고 사용시의 생리식염수 등에의 용해성은 극히 양호하다.

    [실시예 B-10]

    [주사제]

    염화 나트륨 6 중량부, 염화 칼륨 0.3 중량부, 염화 칼슘, 0.2 중량부, 락트산 나트륨 3.1 중량부, 말토오스 45 중량 부 및 실시예 A -2 의 방법으로 얻은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1 중량부를 물 1,000 중량부에 용해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서, 정제 여과하여 파이로겐 프리이 용액으로 하여, 이 용액을 멸균한 플라스틱 용기에 250㎖ 씩 충전하여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이 제품은 비타민 P 보급으로서 뿐만 아니라, 칼로리 보급, 미네랄 보급을 위한 주사제로서, 병중, 병후의 치료 촉진, 회복 촉진 등에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B-11]

    [경관(經管) 영양제]

    결정성 α-말토오스 20 중량부, 글리신 1.1 중량부, 글루탐산 나트륨 0.18 중량부, 식염 1.2 중량부, 시트르산 1 중량부, 락트산 칼슘 0.4 중량부, 탄산 마그네슘 0.1 중량부, 실시예 A - 3의 방법으로 얻은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0.1 중량부, 티아민 0.01 중량부 및 리보플라빈 0.01 중량부로 된 배합물을 제조한다. 이 배합물 24g씩을 라미네이트 알루미늄제의 작은 자루에 충전하고 열처리, 밀봉하여 경관영양제를 제조하였다.

    이 경관 영양제는 한 자루를 약 300-500㎖의 물에 용해하여 경관방법에 따라, 비강, 위, 장 등으로의 경구적 또는 비경구적 영양 보급액으로서도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B-12]

    [욕용제(浴用制)]

    DL-락트산 나트륨 21 중량부, 피루브산 나트륨 8 중량부, 실시예 A -1의 방법으로 얻은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5 중량부 및 에탄올 40 중량부를 정제수 26 중량부 및 적당량의 착색료, 향로와 혼합하여 욕용제를 제조하였다.

    이 제품은 피부 순화제, 피부 색백제로서 가장 적합하며, 입욕용의 탕에 100-10,000 배로 희석하여 이용하면 좋다. 이 제품은 입욕용의 탕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세안용수, 화장수 등으로 희석하여 이용하는 것도 유리하게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 B-13]

    [밀크로우션]

    폴리옥시에틸렌 베헤닐 에테르 0.5 중량부, 테트라올레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를 1 중량부, 친유형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린 1 중량부, 피루브산 0.5 중량부, 베헤닐 알코올 0.5 중량부, 아보카도유(avocade oil) 1 중량부, 실시예 A-3의 방법으로 얻은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1 중량부, 비타민 E 및 방부제의 적당량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가열 용해하고, 여기에 L-락트산 나트륨 1 중량부, 1.3-부틸렌 글리콜 5 중량부,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1 중량부 및 정제수 85.3 중량부를 가한 다음, 균질화기 (homogenizer)에서 에멀젼화하고, 다시 향료 적당량을 가하고 교반 혼합하여 밀크 로우션을 제조하였다.

    이 제품은 햇볕 그을림 방지, 피부 순화제, 피부 색백제 등으로서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B-14]

    [크리임]

    모노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 2 중량부,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린 5 중량부, 실시예 A-2의 방법으로 얻은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 2 중량부, 유동 파라핀 1 중량부, 트리옥탄산 글리세릴 10 중량부 및 방부제 적당량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가열 용해하고, 여기에 L-락트산 2 중량부, 1.3-부틸렌 글리콜 5 중량부 및 정제수 66 중량부를 가하고, 균질화기에서 에멀젼화하고, 다시 향료 적당량을 가하여 교반 혼합하므로서 크리임 제조하였다.

    이 제품은 햇볕 그을림 방지, 피부 순화제, 피부 백색제 등으로서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헤스페리딘에 D-글루코오스 잔기가 등목 이상 α 결합한 본 발명의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은 수용성이 우수하고, 실질적으로 무미무취하며, 독성의 우려도 없으며, 생체네에서 용이하게 헤스페리딘과 D-글루코오스로 가수분해되어 헤스페리딘 본래의 생리활성을 발휘한다.

    또한, 이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은 헤스페리딘과 α-글루코실 당화합물을 함유하는 용액에 당전이 효소를 작용시키는 생화학적 수법에 의해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음에 따라, 경제성이 우수하고 그 공업적 실시도 용이하다.

    나아가서, 헤스페리딘의 공급농도를 높여서 반응시킬 수 있고,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을 용이하게 고농도로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아룰러 이 반응액의 정제에 있어서, 반응액을 다공성 합성 흡착제와 접촉시켜서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을 정제할 수 있음도 발견하였음에 따라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의 대량 제조를 극히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수득되는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은 수용성이 양호하고, 내광성, 안정성이 양호하며, 충분한 생리활성을 발휘하는 등의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안정성이 높은 천연형의 비타민 P 강화제로서 뿐만 아니라, 황색 착색제, 산화 방지제, 안정제, 품질 개량제, 예방제, 치료제, 자외선 흡수제, 열화 방지제 등으로서, 음식물, 기호품, 사료, 모이, 항감수성 질환제, 피부 순화제, 피부 색백제 등의 화장품, 나아가서는, 플라스틱 제품 등에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α-글리코실 헤스페리딘의 공업적 제조법과 그 용도의 확립은 음식물, 화장품, 의약품, 플라스틱 산업에 있어서의 공업적 의의는 극히 크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