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용 식품

申请号 KR1020077005468 申请日 2005-08-09 公开(公告)号 KR101268206B1 公开(公告)日 2013-05-27
申请人 엔지모테크 리미티드; 发明人 슐만,아비도르; 펠레드,도리; 코헨,트자프라;
摘要 본발명은낮은포도당함량또는포도당이없는함량, 균형잡힌지방함량및 당뇨병환자및 당뇨병에걸리기쉬운사람을목표로사전대비제제를특징으로하는신규한식품을개시한다. 본발명의식품은당뇨병합병증및 관상동맥성혈관장애를진행시킬수 있는불균형한지질프로파일로고통받는사람에서지질농도를낮추는데임상적으로사용할수 있는기능성식품이다. 특정실시태양에서, 사전대비제제는자연발생지질, 인간에의해소화되기힘든체중증가/감소방해합성또는유사지질, 식물추출물및 이로부터유래된물질, 항산화제, 동물-유래물질, 무기질및 제약중 어느하나, 및이들의임의의혼합물일수 있다.
权利要求
  • 0 내지 5% 포도당의 낮은 포도당 함량 및 10% 미만의 균형잡힌 지방 함량을 가지고, 식용 오일 또는 지방에 분산되거나 용해되는 피토스테롤 에스테르 또는 피토스탄올 에스테르 또는 피토스테롤 에스테르 및 피토스탄올 에스테르 (PS-E)와 1,3-디아실글리세라이드 (DAG)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여기서 PS-E의 함량은 DAG 보다 많은 것인, 비만 대상 또는 당뇨병을 비롯한 대사 불균형이 있는 대상 또는 당뇨병이나 비만증에 걸리기 쉬운 사람 또는 이들 대상이나 사람 중 둘 이상에서 인슐린 저항을 감소시키고, 인슐린-저항 대상 또는 당뇨병이 발병하기 쉬운 비만 대상에서 고인슐린혈증을 완화시키며, 당뇨병이 발병하기 쉬운 비만 대상에서 인슐린 저항의 진행을 예방하기 위한 식품.
  • 제1항에 있어서, 포도당 함량이 0 내지 0.5%인 식품.
  • 제1항에 있어서, 포도당이 없거나 당(sugar)이 없거나 이들 모두가 없는 식품.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방 함량이 총 지방의 25% 미만의 포화 지방으로 이루어진 것인 식품.
  • 제4항에 있어서, 지방 함량이 총 지방의 10% 미만의 포화 지방으로 이루어진 것인 식품.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메가-3 지방산을 더 포함하는 식품.
  • 제6항에 있어서, 오메가-3 지방산이 장쇄 다불포화 지방산 (LC-PUFA) 또는 다불포화 지방산 (PUFA) 또는 이들 모두인 식품.
  • 제7항에 있어서, PUFA가 알파-리놀렌산인 식품.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타민을 비롯한 항산화제를 더 포함하는 식품.
  • 제9항에 있어서, 항산화제가 로즈마리 추출물, 리코펜, 제악산틴, 셀레늄, 아연, 비타민 C, 비타민 E, 토코페롤, 보조효소 Q 10 , 베타-카로틴 및 폴리페놀 중 어느 하나인 식품.
  • 제10항에 있어서, 폴리페놀이 히드록시티로솔인 식품.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타틴을 더 포함하는 식품.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제티미베를 더 포함하는 식품.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제품, 제과품, 조미료, 음료, 드링크제, 스낵, 캔디, 아이스크림, 냉동 디저트, 아침 곡물, 영양바, 스낵 바 초콜렛 제품, 가공 식품, 곡물 제품, 파스타, 스프, 소스 드레싱, 과자 제품, 오일 제품, 지방 제품, 유제품 음료, 우유 음료, 두유, 콩 유제품, 냉동 식품, 조리 음식, 대체 음식, 육류 제품, 치즈, 요구르트, 빵, 롤, 효모 제품, 케이크, 쿠키 및 크래커 중 어느 하나인 식품.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스파티딜세린, 징코 빌로바, 브라미 (바코파 몬니에리(Bacopa monnieri)) 및 오메가-3 함유 지방 중 어느 하나인 하나 이상의 추가 활성제를 더 포함하는 식품.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说明书全文

    당뇨병용 식품 {Food Products for Diabetics}

    본 발명은 기능성 식품 및 임상 식품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더욱 특히, 본 발명은 당뇨병 환자 및 당뇨병에 걸리기 쉬운 집단을 목표로 하는, 균형잡힌 기능성 지방 함량을 갖는 신규한 식품을 제공한다.

    본 출원 전반에 언급되는 모든 간행물 및 그 간행물에 인용된 모든 참고문헌 전체가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인용된다.

    2형 당뇨병은 인슐린의 부분적 또는 절대적 결핍에서 기인하는 탄수화물, 지방 및 단백질 대사의 장애가 있는 만성 고혈당증을 특징으로 하는 다원인성 대사 장애이다. 체내 인슐린의 결핍은 당뇨병을 일으킨다.

    당뇨병은 일반적 질환이며, 2002년의 질환 조절 및 예방 센터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조사에 따르면, 미국인 중 6.3%가 당뇨병을 앓고 있다 (성인 집단의 21.1%). 약 130만 신규 사례 (20 살 이상)가 매년 보고되며, 이는 단지 현재 당뇨병이 있는 사람들 중 약 절반만 진단된 것으로 추정된다.

    당뇨병의 결과는 장기간 손상, 기능장애 및 각종 기관의 기능상실을 포함한다. 흔히, 당뇨병 증상은 심각하지 않으나, 장기간 고혈당증은 심혈관계 질환 (CVD, 하기 참조), 망막병증 (시각상실), 신장병증 (신부전증) 및/또는 신경병증 (족부 궤양, 절단 등)을 일으킨다. 인지 기능 및 다른 뇌 기능의 급속한 저하 또는 조직 손상이 흔히 당뇨병에 의해 유도되거나 또는 이에 수반된다.

    주로 간, 근육, 및 지방 조직의 인슐린 저항에 기인하는 2형 당뇨병의 대사 이상은 혈당의 증가 및 고인슐린혈증 (높은 인슐린 혈액 농도)을 유발한다. 인슐린 저항은 또한 거의 모든 일반적 심혈관-관련 위험 인자, 특히 혈압 및 지질단백의 장애를 유발하는데, 이는 (지방 대사 이상에 기초한 과정인) 죽상동맥경화증 발생을 증가시킬 것이다. 인술린 저항으로 나타나는 높은 인슐린 농도 또한 죽상동맥경화증의 발병을 직접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다.

    복강 영역, 특히 내장 지방 구역에서의 지방 축적은 인슐린 저항의 발생과 관련이 있으며, 당뇨병과 같은 합병증을 나타낼 위험을 증가시킨다. 트리글리세라이드 (TAG)의 지방산 함량, 내장 지방 조직 축적과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의 대사 요소간의 관계는 널리 조사되어 있다 [Tremblay, AJ et al. (2004) Metabolism 53, 310-317].

    지방 조직은 에너지 저장 기관이자, 분비 기관이다. 렙틴, 레시틴, 및 아디포넥틴을 포함하는 지방세포에 의해 생성되는 조절 물질은 인슐린 저항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비만증을 일으키는 유리 지방산의 상승된 농도는 인슐린 저항의 발생을 암시한다 [Grundy SM. (2004) J Clin Endocrinol Metab, 89(6):2595-2600].

    당뇨병 환자는 비-당뇨병 환자보다 관상동맥성 심질환 (CHD) 및 뇌졸증에 걸릴 확률이 3배 내지 5배 높다. 실제로, 심질환은 당뇨병-관련 사망의 주된 원인이 다.

    많은 연구는 산화적 손상이 또한 CVD와 2형 당뇨병 사이의 주요 병태생리학적 연결 작용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Baynes JW and Thorpe SR (1999) Diabetes 48:1-9]. 자유 라디칼의 상대적인 증가인 산화적 손상은 고혈당증의 직접적인 결과이다. 이러한 대사 불균형으로 발생된 반응성 산소 분자는 혈관 평활근 세포의 증식 및 전반적인 당뇨병 혈관병증을 촉발시키는 단핵구 및 대식세포를 활성화시킨다. 이러한 과정의 주요 결과 중 하나는 (자연 LDL 수용체가 아닌) 청소 수용체를 통해 대식세포에 의해 흡수되는 산화-LDL 종을 고농도로 발생시켜, 초기 죽상동맥경화증의 지표 (hallmark)인 포말 세포 (foam cell)의 증가를 초래한다 [Griendling, KK and FitzGerald, GA (2003) Circulation 108(17): 2034-40].

    인슐린 저항 및 2형 당뇨병과 관련있는 이상지질혈증은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상승, 저농도의 HDL 콜레스테롤, 작고 조밀하여 죽종형성 가능성이 큰 LDL 콜레스테롤 입자 비율의 증가를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이상이 당뇨병이 임상적으로 진단되기 전 수년 동안 나타난다. 상승된 트리글리세라이드 농도, 감소된 HDL 콜레스테롤, 및 증가된 죽종형성 LDL 콜레스테롤 농도는 모두 CVD에 대한 위험 인자이다.

    조사한 몇몇 집단은 2형 당뇨병이 또한 치매의 위험성을 증가시킴을 보여주었다. 인지기능 저하는 정상 노화와 치매 사이의 중간 단계이다. 치매가 이의 초기 단계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지연될 수 있기 때문에, 초기 인지기능 저하에 대한 변형가능한 위험 인자로서 당뇨병을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할 수 있다. 최근, 2형 당뇨병을 앓는 여성 노인에 초점을 맞춘 대규모 연구는 당뇨병이 없는 여성에 비해, 이들 환자에서 약한 인지 기능 및 실질적인 인지기능 저하 가능성이 증가된다고 기술하였다 [Logroscino et al, (2004) BMJ. 328:548-553].

    알쯔하이머병 (AD) 환자의 뇌를 동일한 연령대 정상인의 뇌와 비교시, 도코사헥사엔산 (DHA)을 포함하는 지방산의 차이를 보였다. 또한, 낮은 혈청 DHA는 AD 발병의 상당한 위험 인자이다. 최근에 무스키에트와 그의 동료연구자들은 인지 기능에 대한 이의 관계에 비추어, 사실상 DHA 또한 필수 지방산이라고 주장하였다 [Muskiet FA et al. (2004) J Nutr. 134:183-6]. 실제로, 다른 연구자들도 ω-3 지방산의 식이 섭취 및 매주 생선의 섭취 (comsumption)가 알쯔하이머병 발생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밝혔다.

    당뇨병은 식이성 리놀레산 및 알파-리놀렌산을 감마-리놀렌산, 아라키돈산 (AA), 에이코사펜타엔산 (EPA), 및 DHA를 포함하는 장쇄 다불포화 지방산 (PUFA)으로 전환시키는 효소인, ㅿ6 및 ㅿ5 데새투라제의 활성을 감소시킴으로써, 필수 지방산 대사를 악화시킨다. 결과적으로, 적혈구 및 좌골신경을 포함하는, 몇몇 조직의 막 인지질에서 AA 및 DHA 농도가 감소된다. EPA 및 DHA를 함유하는 어유를 갖는 식이 보조제가 당뇨병 신경병증의 생리적 마커인, 당뇨병-유래 신경 전도 속도의 감소를 부분적으로 예방함이 최근에 증명되었다. 이는 또한 당뇨병 신경병증에 대한 DHA의 현저한 신경보호 작용의 증거를 나타낸 최근 보고서와 서로관련이 있다. 나아가, 혈관 합병증의 발생 속도가 감소되도록 할 수 있으며, 당뇨병의 인지 기능 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혈청 트리글리세라이드, HDL, 지질 과산화 및 항산화 효소에 대한 어유-유래 ω-3 지방산 보조제의 유익한 작용을 기술한 몇몇 보고서가 있다.

    최근 몇 년 사이에, 세계적으로 상당한 당뇨병 유병율의 증가에 의해, 높은 위험성을 가진 사람에서 당뇨병을 예방하는 중요성이 각광받기 시작했다. 유전적인 감수성은 특정한 집단에서 2형 당뇨병의 발생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집단 유전자 풀은 아주 천천히 움직이기 때문에, 현재의 유행은 신체적 활동의 감소 및 에너지 섭취의 증가를 특징으로 하는 생활방식의 현저한 변화를 반영하는 것 같다. 체중 감소, 운동 및 식이 변화가 흔히 2형 당뇨병의 고혈당증을 고친다. 따라서, 영양 습관을 포함한 집단의 습관 변화가 당뇨병 및 당뇨병 합병증의 발병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당뇨병 환자들은 우선 대부분 이들의 고혈당증 및 포도당 조절에 대한 약을 통해 치료받는다. 이는 장기간 합병증의 예방을 목표로 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혈액 포도당의 장기간 상승은 당뇨병의 만성 합병증인-조기 죽상동맥경화증, 망막병증, 신장병증, 및 신경병증을 야기시킨다.

    몇몇 사례에 있어, 이들의 심혈관 건강은 또한 주로 이들의 고지질혈증, 주로 고콜레스테롤혈증에 대한 약을 통해 해결된다. 이들의 고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에 대한 치료는 거의 없거나 전혀 없다. 이들의 대사성 장애과 관련되며 심지어는 이로 야기되는 중요한 위험 인자는 혈액 산화적 손상이다. 이 위험 인자는 죽상동맥경화증을 유발하는데, 이는 고지질혈증과 함께, 당뇨병 환자에서 심혈관 장애 치 사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당뇨병 환자는 영양 섭취 및 생활방식을 비만증, 이상지질혈증, 심혈관 질환, 고혈압, 및 신장병증의 예방 및 치료에 적절하게 변형할 것을 추천받는다. 미국 당뇨병 협회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는 최근 당뇨병의 만성 합병증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 혈액 포도당, 지질 프로파일 및 혈압을 포함하는 최적의 대사 결과를 얻고자 하는 의학적 영양 치료 목표를 공표하였다 [Franz MJ, Et al, Diabetes Care 25:148-198, 2002;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Position Statements "Nutrition Principles and Recommendations in Diabetes" (2004)]. 그럼에도, 당뇨병은 통상적으로 포도당 조절 및 이들의 고혈당증에 대한 엄격한 식이요법을 통해서만 치료될 수 있다. 이러한 식이요법은 식이성 포도당의 양을 최소량으로 낮추도록 주로 고안된다. 대부분의 경우에, 이러한 식이요법은 주요 심혈관 위험 인자는 그냥 놓아두어, 심장 건강을 증진시키도록 고안되지 않는다.

    당뇨병 환자는 특이적인 식품, 특히, 포도당의 최소 농도라는 이들의 특이한 식이물의 요건을 충족시키도록 고안된 식품을 제공받는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에, 이러한 식품은 지질, 및 특히 오일 및 지방 형태의 트리글리세라이드가 풍부하다. 이러한 지방은 포도당의 결핍 및 생성된 음식물의 감각적 품질이 떨어지는 것을 보상하기 위해 첨가된다. 이러한 첨가를 통해 실제로 원하는 감각의 식품을 얻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포도당이 풍부한 식품과 거의 비슷하게 지방이 풍부한 식품에 두려움을 가질 수 있는 당뇨병 환자에게 심각한 유해 작용을 나타낸다.

    또한, 식품 공학적 이유로 인해, 당뇨병용 식품에 사용되는 많은 지방 및 오 일은 실제로는 당뇨병 환자의 급성 심혈관 장애 위험을 더욱 더 향상시키는 포화 지방이다. 더욱이, 많은 경우에, 당뇨병용 식품은 이들의 상응물인 "일반 (regular)" 식품에 비해 더욱 고농도의 지방으로 구성된다. 지방 농도의 이 차이는 당뇨병의 특수 식품에 추가 지방이 60% 이하까지 이를 수 있다.

    따라서, 시장에서 당뇨병 집단을 목표로 하는 특수화된 식품에 대해 큰 요구가 있는데, 이 식품은 단지 포도당 요소 뿐 아니라, 이의 모든 함량이 상기 집단에서 이로울 것이다. 당뇨병 환자, 또는 당뇨병에 걸리기 쉬는 사람에게 지방 함량이 이들의 요구에 적절한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특수화된 식품에는 균형잡힌 지방이 있어야 하며, 나아가 이의 지방 함량은 당뇨병 환자 또는 당뇨병에 걸리기 쉬운 사람들에게 유익해야 한다.

    더욱이, 당뇨병 환자가 특히, 이들의 심혈관 상태 및/또는 CVD의 발병 또는 진행을 유발하는 다른 위험 인자에, 건강을 보호하는 작용 뿐 아니라 나아가 사전 대비적 유익한 건강 작용을 가질 수 있는 이들의 특수화된 1일 영양 추가 성분을 섭취할 수 있다면 유익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낮은 포도당 농도를 가지거나 또는 포도당이 없으며 균형잡힌 지질 프로파일을 가지는 식품 (food product/article)을 제공하는 것인데, 이러한 식품은 또한 1 이상의 당뇨병 사전 대비적 식이 물질 또는 제약 물질을 포함하는데, 이는 매우 고농도의 지방 및 오일을 함유하지 않으며, 가장 중요하게는, 시판되는 당뇨병 식품에 현재 사용되는 양보다 실질적으로 더 낮은, 최소량의 포화 지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용도 및 목적은 이하 기술을 통해 분명 해질 것이다.

    영양 및 의학 전문가들이 당뇨병 환자들의 구체적인 건강상 요구, 특히 이들의 심혈관 요구를 인지하고 있음에도, 그리고 더욱 건강에 좋은 오일 및 지방을 더욱 소량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식품 공학의 진보에도 불구하고, 어느 누구도 아직 세가지 (영양, 의학, 식품 공학)을 조합하여 본 발명자들에 의해 발견된 식품을 얻지 못했다. 또한, 어떠한 당뇨병 식품도 이러한 심혈관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사전 대비적인 접근법을 제안하지 못하였다.

    아마도 당뇨병 환자들의 심혈관 건강상 요구가 궁극적인 것이지만, 다른 집단도 본 발명의 식품을 섭취하여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집단에는 또한 2형 당뇨병 및 심혈관 질환이 발병할 높은 위험성이 있거나, 이러한 질환에 걸리기 쉬운 당뇨병 전단계 환자들이 포함된다. 당뇨병 전단계 환자들은 노인 뿐 아니라, 유전적 배경, 과체중, 비만증 및 특히 복강 비만증, 특수한 민족성, 공복 혈당 장애 (IFG) 또는 내당능 장애 (IGT)와 같은 사전에 확인되는 것,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임신성 당뇨병의 병력을 포함하는 상이한 증상에 비추어 2형 당뇨병이 발병할 높은 위험성을 가진 사람들이다. 몇몇 위험 인자는 동시에 존재하여, 당뇨병 증상을 발병시키는 위험성을 갑작스럽게 상승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으로부터 이득을 얻을 수 있는 다른 집단은 내당성, 고인슐린혈증, 이상지질혈증, 고혈압, 내장 비만증, 응고항진, 및 초기염증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대사성 증후군 또는 X 증후군으로 진단된 사람들이다. 상기 언급된 모든 증상은 일군의 CVD 위험 인자를 나타낸다.

    유사하게, 대사성 증후군, 비만증, 과체중,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등에 기인한 CVD 발병에 높은 위험성이 있거나 또는 CVD가 발병하기 쉬운 사람 뿐 아니라, 이미 심혈관 병 (event)을 겪었던 환자를 포함하는, CVD 환자에게 이득이 된다. 상이한 대사성 장애가 있는 다른 집단 또한 본 발명의 식품으로부터 이득을 얻을 수 있는데, 이는 대부분의 대사성 장애가 심혈관 건강 문제 및 그후의 유해 작용 및 증상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지방 함량의 관점에서, 나아가, 특히 당뇨병 환자 또는 당뇨병에 걸리기 쉬운 대상에서 CVD 및 대사성 장애의 예방 또는 억제의 사전 대비 작용도 또한 가지는 균형잡힌 식이물을 섭취하기를 원하는 건강에 관심있는 집단 또한 본 발명의 식품으로부터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최근 연구들은 IGT 대상의 치료적 개입이 2형 당뇨병의 진행을 감소시키는 가능성을 조명하였다. 예를 들어, 미국 당뇨병 예방 프로그램 [The Diabetes Prevention Program (1999) Diabetes Care 22:623-634]은 3년에 걸친 생활방식 치료적 개입 (식이요법 및 운동을 목표로 함)이 IGT에서 당뇨병으로의 진행의 위험성을 58% 만큼 감소시킨 반면, 경구 저혈당 약인, 메트포르민은 단지 31% 만큼만 위험성을 감소시켰음을 증명하였다 [Larkin, M. (2001) Lancet. 358(9281):565]. 핀란드 당뇨병 예방 기관에 의해 수행된 또다른 대규모 연구는 [Sarkkinen E. et al.,(1996) Eur J Clin Nutr 50(9):592-8] 2형 당뇨병이 발병할 높은 위험성이 있는 사람들에게 비약리적인 생활방식 치료적 개입이 질환의 발현을 막거나 또는 적어도 지연시킨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다른 연구에서, 높은 위험성을 가진 사람 (예를 들어, 내당능 장애 (IGT)를 가진 사람)을 목표로 하는 접근법이 모든 경우의 2형 당뇨병을 예방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UKPDS로부터의 데이터는 췌장의 β-세포 기능은 이미 2형 당뇨병의 임상적 진단이 내려진 시점에서 실질적으로 감소됨을 나타낸다 [UK Prospective Diabetes Study (UKPDS) Group (1998) Lancet 352(9131):837-853; UK Prospective Diabetes Study Group (1995) Diabetes 44(11):1249-1258]. 결과적으로, 저혈당 약 또는 기능성/의학적 영양 제품의 치료적 개입 또한 예방을 위해 고려되어져야 한다.

    현재 당뇨병용 특수 식품은 또한 의학적 또는 건강 위험성 관점에서 반드시 요구되지는 않는 단지 체중 감소/조절만을 추구하는 집단에 의해서도 섭취되고 있다. 이러한 집단은 이러한 식품의 포도당/슈가가 전혀없다는 표지를 저지방 및/또는 저칼로리 의미의 체중 감소/조절 식품으로 잘못 해석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당뇨병 집단을 위해 고안되고/되거나 추천되는 현재 입수가능한 식품의 모두가 아니라 하더라도 대부분은, 실제로 고농도의 지방 및 심지어는 포화 지방, 뿐 아니라 고칼로리 함량을 가지고 있다. 많은 경우에, 이렇게 특수화된 식품은 상응하는 "일반" 식품보다 더욱 고지방 함량 및/또는 고칼로리 함량을 가진다 (실시예 참조). 따라서,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체중 감소/조절 식품을 추구하는 집단은 또한 본 발명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균형잡힌 저지방 함량, 저농도의 포화 지방 및 저농도의 다른 건강에 좋지 않은 지방을 가질 뿐 아니라, 건강을 개선시킬 수 있는 성분을 임의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식품으로부터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놀랍게도, 본 발명의 식품은 또한 2형 당뇨병의 발병에 대해 예방 작용을 가 질 수 있다. 상기 균형잡힌 지방 함량, 저농도의 포도당, 및 임의로 1 이상의 활성 성분을 가지는 식품의 섭취가 당뇨병의 발현을 예방하거나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에 기초하거나 또는 이러한 식품이 풍부한 식이물은 포도당 대사 및 나아가 인슐린 분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식이물의 섭취는 췌장의 β 세포 악화 과정의 확대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인슐린 저항의 감소 또는 전환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에 기초한 식이물은 혈당 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고, 인슐린 분비를 조절할 수 있고, 나아가 내장 지방의 축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복부 지방 축적은 2형 당뇨병의 진행을 동반하는 기초적 과정으로 생각되며; 따라서, 복부에의 지방 축적 감소는 당뇨병 발현 및 진행을 예방하거나 또는 연기할 수 있다.

    발명의 요약

    제1 면에서, 본 발명은 낮은 포도당 함량을 가지거나 또는 포도당이 없으며 균형잡힌 지방 함량을 가지며 당뇨병 및 임의의 이의 합병증, 및/또는 당뇨병을 유발하는 증상에 대해 사전 대비적인 1 이상의 식이 물질 또는 제약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환자의 건강상 요구를 충족시키거나 또는 건강한 사람 또는 당뇨병에 걸리기 쉬운 사람에서 당뇨병의 발현을 예방하기 위한 식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식품에서, 당뇨병 사전 대비적 식이 물질 또는 제약 물질은 자연 발생 지질, 인간에 의해 소화되기 힘든 체중 증가 억제 합성 또는 유사 지질, 식물 추출물 및 이로부터 유래한 물질, 항산화제, 동물-유래 물질, 무기질 및 제약 중 어느 하나, 및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상기 물질은 식용 오일 또는 지방에 임의로 분산되거나 또는 용해된다.

    특정 실시태양에서, 상기 식품 중의 지질은 디아실글리세롤, 특히 1,3-디아실글리세롤, 피토스테롤 및 피토스테롤 에스테르, 피토스탄올 및 피토스탄올 에스테르, 폴리코산올, ω-3 지방산 및 이들의 유도체, 특히 장쇄 다불포화 지방산 (LC-PUFA), 다불포화 지방산 (PUFA), 특히 알파-리놀렌산, 및 공액 리놀렌산 (CLA)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있거나; 소화되기 힘든 합성 지질 또는 지질 유사물은 각각 알파 분지된 트리글리세라이드 또는 올레스트라이다.

    상기 식품 중 식물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유래된 물질 성분은 마늘 추출물, 콩 단백질, 콩 이소플라본, 리코펜, 루테인, 제악산틴, 비타민 C, 비타민 E 및 다른 토코페롤, 베타-카로틴, 폴리페놀, 특히 히드록시티로솔, 폴산, 비타민 B 6 및 비타민 B 12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항산화제는 로즈마리 추출물, 리코펜, 제악산틴, 셀레늄, 아연, 비타민 C, 비타민 E 및 다른 토코페롤, 보조효소 Q 10 , 베타-카로틴, 폴리페놀, 특히 히드록시티로솔 중 어느 하나이고; 동물-유래 물질은 유장 단백질 또는 카제인일 수 있고; 무기질은 칼슘, 셀레늄 또는 아연이고; 상기 제약 성분은 스타틴, 에제티미베, 지질 프로파일 조절 약물 또는 심혈관 질환과 관련된 다른 바이오마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은 임의로 식용 오일 또는 지방에 분산되거나 또는 용해되는 1 이상의 당뇨병 사전 대비적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또한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특별한 실시태양에서, 상기 당뇨병 사전 대비적 식이 물질은 임의로 식용 오일 또는 지방에 분산되거나 또는 용해되는 피토스테롤 및/또는 피토스탄올 에스테르와 l,3-디아실글리세라이드의 혼합물이다.

    특별한 실시태양에서, 상기 식품은 또한 1 이상의 제약 약물, 특히 당뇨병, 당뇨병을 유발하는 임의의 증상 또는 임의의 당뇨병 합병증에 대해 사전 대비적인 약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의 식품은 특히 당뇨병 환자 또는 당뇨병에 걸리기 쉬운 사람에서 심혈관 질환 (CVD) 및/또는 이의 위험 인자인 고지질혈증, 이상지질혈증, 산화적 손상 및 죽상동맥경화증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는 기능을 한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식품은 특히 당뇨병 환자 또는 당뇨병에 걸리기 쉬운 사람에서 고지질혈증, 이상지질혈증, 산화적 손상 및 죽상동맥경화증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는 기능을 한다.

    특정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의 식품은 과체중, 및/또는 비만, 및/또는 당뇨병, 및/또는 당뇨병에 걸리기 쉬운 대상에서 총 콜레스테롤 혈청 농도의 감소, 비-HDL 콜레스테롤 혈청 농도의 감소, 총 콜레스테롤/HDL 비율의 감소 및 트리글리세라이드 혈청 농도의 감소 중 1 이상의 기능을 한다.

    또다른 특정 실시태양에서, 상기 식품은 비만 및/또는 당뇨병과 같은 대사 불균형이 있는 대상 및/또는 당뇨병 또는 비만증에 걸리기 쉬운 사람에서 체중 감소, 및/또는 체중 증가 억제, 및/또는 인슐린 저항 감소의 기능을 한다.

    특별한 실시태양에서, 상기 식품은 비만 및/또는 과체중 대상 및/또는 당뇨병 대상 및/또는 당뇨병 전단계 대상 및/또는 당뇨병 또는 비만증에 걸리기 쉬운 사람에서 체지방 분포의 재구성, 백색 지방 조직 (WAT) 축적 억제 및 내장 지방 축적 감소의 기능을 한다.

    광범위한 면에서, 본 발명의 식품은 비만 및/또는 당뇨병 대상에서 생명을 위협하는 장기간 당뇨병 합병증의 위험성 및 삶의 질의 악화를 감소시키는 기능을 한다. 특정한 경우에, 상기 합병증은 거대혈관, 미세혈관 또는 신경계 기원이며 이는 망막병증, 신장병증, 다리에 공급되는 큰 혈관 질환 (하지 동맥 질환), 관상동맥성 심질환 또는 동맥 질환, 뇌혈관 질환 및 신경 기능 통증 장애, 인지 기능의 저하, 또는 시각상실, 말기 신장 질환 (ESRD) 및 절단, 심근경색증 및 뇌졸증을 유발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증상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다른 면에서, 본 발명의 식품은 인슐린-저항 대상에서 고인슐린혈증을 완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특정한 경우에, 상기 식품은 당뇨병이 발병하기 쉬운 비만 대상에서 고인슐린혈증을 완화하거나 또는 인슐린 저항의 진행을 예방하는 기능을 한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의 식품은 급성 인지기능 저하의 예방 및/또는 치료의 기능을 하는 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활성제는 포스파티딜세린, 징코 빌로바, 브라미 (바코파 몬니에리, Bacopa monnieri) 또는 ω-3 함유 지방 중 어느 하나이다.

    추가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의 식품은 2형 당뇨병과 관련된 급성 안구 증상 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는 기능을 하는 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하며, 이 때 상기 활성제는 비타민, 항산화제 및 다른 천연 눈-건강 증진 성분 또는 추출물이다.

    마지막으로, 본원에 기술된 식품은 유제품, 제과물, 조미료, 음료 및 드링크제, 스낵, 캔디류, 아이스크림 및 냉동용 디저트, 아침 곡물류, 영양바, 스낵 바 초콜렛 제품, 가공 식품, 곡물 제품 및 파스타, 스프, 소스 및 드레싱, 과자 제품, 오일 및 지방 제품, 유제품 음료 (dairy drink) 및 우유 음료, 두유 및 콩 유제품 (soy dairy-like product), 냉동 식품, 조리 음식 및 대체 음식, 육류 제품, 치즈, 요구르트, 빵 및 롤빵, 효모 제품, 케이크 및 쿠키 및 크래 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1: 단일불포화 및 다불포화 지방산 영양 식이물이 공급된 당뇨병 삼모미스 오베수스 (Psammomys obesus)에서의 혈장 총 콜레스테롤 농도

    약어: HSFA - 포화 지방산이 매우 풍부한 10:1; HMUFA - 단일불포화 지방산이 매우 풍부한 오일; T. Chol - 총 콜레스테롤; mg/dL - 데시리터 당 밀리그람.

    도 2: 단일불포화 및 다불포화 지방산 영양 식이물이 공급된 당뇨병 삼모미스 오베수스에서의 혈장 비-HDL 콜레스테롤 농도

    약어: HSFA - 포화 지방산이 매우 풍부한 10:1; HMUFA - 단일불포화 지방산이 매우 풍부한 오일; Non-HDL. Chol.- 비-고밀도 지질단백 콜레스테롤; mg/dL - 데시리터 당 밀리그람.

    도 3: 단일불포화 및 다불포화 지방산 영양 식이물이 공급된 당뇨병 삼모미 스 오베수스에서의 혈장 총 콜레스테롤/HDL 비율

    약어: HSFA - 포화 지방산이 매우 풍부한 10:1; HMUFA - 단일불포화 지방산이 매우 풍부한 오일; T. Chol. - 총 콜레스테롤; HDL - 고밀도 지질단백 콜레스테롤; Rat. - 비율; mg/dL - 데시리터 당 밀리그람.

    도 4: 단일불포화 지방산 영양 식이물이 공급된 "당뇨병 전단계" 삼모미스 오베수스에서의 혈장 총 콜레스테롤 농도

    약어: HE - 고에너지; T. Chol. - 총 콜레스테롤; mg/dL - 데시리터 당 밀리그람.

    도 5: 단일불포화 지방산 영양 식이물이 공급된 "당뇨병 전단계" 삼모미스 오베수스에서의 혈장 비-HDL 콜레스테롤 농도

    약어: HE - 고에너지; Non-HDL. Chol. - 비-고밀도 지질단백 콜레스테롤; mg/dL - 데시리터 당 밀리그람.

    도 6: 단일불포화 지방산 영양 식이물이 공급된 "당뇨병 전단계" 삼모미스 오베수스에서의 혈장 총 콜레스테롤/HDL 비율

    약어: HE - 고에너지; T. Chol. - 총 콜레스테롤; HDL - 고밀도 지질단백 콜레스테롤; Rat. -비율; mg/dL - 데시리터 당 밀리그람.

    도 7: 단일불포화 지방산 영양 식이물이 공급된 "당뇨병 전단계" 삼모미스 오베수스의 체중

    약어: HE - 고에너지; EPBW - 종료시 체중; g - 그람.

    도 8: 단일불포화 지방산 영양 식이물이 공급된 "당뇨병 전단계" 삼모미스 오베수스의 부고환 지방 무게

    약어: HE - 고에너지; EPEF - 종료시 부고환 지방 무게; g - 그람.

    도 9: 단일불포화 지방산 영양 식이물이 공급된 "당뇨병 전단계" 삼모미스 오베수스의 부고환 지방/간 무게 비율

    약어: HE - 고에너지; EFW - 부고환 지방 무게; Liv. W. - 간 무게; Rat. - 비율; % - 백분율.

    도 10: 단일불포화 지방산 영양 식이물이 공급된 "당뇨병 전단계" 삼모미스 오베수스에서의 혈장 인슐린 농도

    약어: HE - 고에너지; Ins. - 인슐린; micU/ml - 밀리리터 당 마이크로 유닛.

    도 11: 단일불포화 지방산 영양 식이물이 공급된 "당뇨병 전단계" 삼모미스 오베수스에서의 체중에 대한 혈장 인슐린 농도

    약어: HE - 고에너지; Ins. - 인슐린; BW - 체중; g - 그람; micU/ml - 밀리리터 당 마이크로 유닛.

    도 12: 단일불포화 지방산 영양 식이물이 공급된 "당뇨병 전단계" 삼모미스 오베수스에서의 혈장 포도당 농도에 대한 혈장 인슐린 농도

    약어: HE - 고에너지; Ins. - 인슐린; GIu. - 포도당; mg/dL - 데시리터 당 밀리그람; micU/ml - 밀리리터 당 마이크로 유닛.

    당뇨병 및 당뇨병에 걸리기 쉬운 집단의 요구에 아주 적절한 특수화된 식품 뿐 아니라 이들이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건강 위험 인자를 해결할 건강 해결책에 대한 이들의 강한 요구의 관점에서, 본 발명자들은 신규한 식품 기준을 발견하였다.

    이에 따라, 제1 면에서, 본 발명은 식품 지방 함량이 소량의 포화되지 않은 오일 및 지방에 기초하여 균형을 이루며, 당뇨병 및 당뇨병 합병증을 유발하는 증상을 포함하여 당뇨병 환자들의 건강상 요구를 충족시키거나, 또는 건강한 사람 또는 당뇨병에 걸리기 쉬운 사람에서 당뇨병의 발현을 예방하는 1 이상의 당뇨병 사전 대비적 식이 물질 또는 제약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낮은 포도당 함량을 가지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포도당이 없는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 사용된 "당뇨병 사전 대비적 식이 물질"은 매일 매일 식품이 공급되는 경우, 당뇨병 환자의 건강 상태를 저하시키거나, 당뇨병과 관련된 임의의 위험 증상을 악화시키거나 또는 유발하는 임의의 유해 작용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당뇨병에 걸리기 쉬운 사람에서 당뇨병의 발현을 촉진시키지 않는 매일 섭취될 수 있는 임의의 영양 또는 식이 물질이며, 이 용어는 또한 제약 및 약물을 포함한다.

    "당뇨병 사전 대비적 식이품"은 낮은 포도당 함량을 가지거나, 또는 포도당이 없고, 균형잡힌 지방 함량, 바람직하게는 저농도의 포화 지방 또는 저농도의 트랜스 지방과 같은 임의의 다른 해로운 지방을 사전 대비적 성분과 함께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전 대비의 건강상 이점은 보통 당뇨병 환자 및 당뇨병에 걸리기 쉬운 사람에서 이상지질혈증, 고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산화적 손상, 높은 인슐린 혈액 농도, 복강 비만증, 또는 CVD와 관련된 다른 위험 인자를 개선시키거나 또는 예방할 수 있으므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당뇨병 사전 대비적 식이 물질은 임의로 식용 오일 또는 지방에 분산되거나 또는 용해되는 피토스테롤 및/또는 피토스탄올 에스테르 (PS-E)와 l,3-디글리세라이드 (DAG)의 혼합물이다. 몇몇 향을 갖는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DAG에 대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피토스테롤 에스테르 함량을 갖는, PS-E 및 DAG의 조합물일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식품은 당뇨병 환자의 건강상 요구를 충족시키거나 또는 건강한 사람 또는 당뇨병에 걸리기 쉬운 사람에서 당뇨병의 발현을 예방하는 제약 활성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상기 제약 활성 성분은 흔히, 당뇨병 환자 또는 당뇨병에 걸리기 쉬운 사람에서 이상지질혈증 및/또는 이상 지질 프로파일 (예를 들어 높은 콜레스테롤 혈액 농도)와 같은 심혈관 위험 인자를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바람직한 제약 활성 성분의 몇몇은 스타틴, 담즙산 봉쇄제 및 에제티미베를 비제한적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이들은 콜레스테롤 생합성을 억제, 담즙산의 재흡수를 예방 또는 식이물과 담즙성 콜레스테롤이 함께 흡수되는 것을 예방함으로써 LDL 양을 낮추는데 효과적이다. 지질 프로파일 또는 심혈관 질환과 관련된 다른 바이오마커를 조절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약물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은 추가적인 건강상 이점을 줄 수 있거나 또는 별도로 상승작용적 건강상 이점을 줄 수 있는 1 이상의 제약상 활성 성분 및/또는 1 이상의 식이물의 활성 성분을 함유한다.

    원래, 당뇨병용 특수 식품의 시장 및 생산자는 통상적으로 슈가가 풍부한 식품 또는 달콤한 식품, 예컨대 캔디류, 초콜렛, 쿠키, 과일잼, 케이크 등에 집중한다. 이들 제품에서, 이러한 탐닉 식품 (indulgence food)으로부터 섭취자가 원하는 감각적 품질은 없애지 않고, 슈가만을 없애는 것을 강조한다. 이는 다시 당뇨병의 건강상 요구, 특히 이들의 인슐린 저항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요구에 대한 영양의 작용이 기본적으로 어떻게 간과되고/되거나 무시되는지를 강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람들에 의해 섭취되며 당뇨병 환자 또는 당뇨병에 걸리기 쉬운 사람에 의해 더욱 적절하게 섭취되게 되는 전 범위의 식품에 관한 것이다. 특정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고농도의 지방, 및 특히 포화 지방을 생성하며, 당뇨병의 CVD 위험 인자를 해결하는 임의의 사전 대비적 성분을 함유하지 않으나, 이들 중 몇몇은 낮은 영양으로 인해 성공을 거둔 식품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많은 식품은 체중 증가 및 비만증에 기여하지 않는 식품의 요구에 대해, 실제로 저지방 함량을 가지며 나아가 비-슈가 (non-sugar) 탄수화물, 인공 감미료, 및 다른 식품 첨가물의 도움으로 저칼로리 값을 가지도록 고안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보통 식품의 총 지방 함량에서 높은 백분율의 포화 지방을 가지며, 나아가 이들은 당뇨병과 관련되거나 또는 당뇨병 환자에서 더욱 강조되거나 또는 당뇨병 전단계 환자에게 더욱 중요한 각종 건강 위험 인자에 대해 사전 대비적인 어떠한 기여도 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사용된 낮은 포도당 함량은 0 내지 5% 포도당, 바람직하게는 0 내지 0.5% 포도당,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미만의 포도당 함량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균형잡힌 지방 함량은 약 10% 미만의 지방 또는 오일 함량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식품의 지방 함량은 당뇨병 또는 당뇨병 전단계 집단에게 특수하지 않은 상응하는 식품에서 발견되는 지방 함량과 유사하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낮을 것이다. 또한, 지방 함량은 포화 지방이 거의 없거나 또는 전혀 없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총 지방의 약 25%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미만을 포함하여야 한다. 더욱이, 식이물의 지방 성분은 단일불포화 또는 다불포화 지방산을, 바람직하게는 총 지방산 부분의 약 20%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초과,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초과로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중요하게는, 본 발명의 지질 프로파일은 최소량의 포화 지방, 즉, 당뇨병용 식품에 현재 사용되는 양보다 확실하게 상당히 적은 양, 예를 들어, 총 지방의 50% 이하, 및 심지어는 75% 이하의 양의 포화 지방으로 구성된다. 이는 포화 지방의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첨가제 및 현대 식품 가공 방법론을 통해 달성될 수 있으며, 보통 기술적 또는 조직적인 면 (reason)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식품은 다양한 식이물의 활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분은 심혈관 건강과 관련되며 일반적으로 CVD의 위험 인자를 해결하는 건강상 이점에 기여하며, 나아가 당뇨병 환자 또는 당뇨병에 걸리기 쉬운 사람에서 CVD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활성인 기능이 있다고 생각된다.

    피토스테롤 및/또는 피토스탄올은 혈액 콜레스테롤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임상적으로 입증된 콜레스테롤의 피토-유도체이다. 이들이 구조적으로는 콜레스테롤과 유사하지만, 이들은 인간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으며, 인간 창자에서의 흡수가 매우 약하고 창자에서 식이물 유래 콜레스테롤 및 내인성 유래 콜레스테롤 모두의 흡수를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피토스테롤 및/또는 피토스탄올은 또한 지방산 에스테르의 다양한 유도체 뿐 아니라, 다른 에스테르 유도체도 포함한다. 이들 성분은 상이한 1일 섭취 농도에서 이들의 건강상 이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피토스테롤 또는 이의 유도체의 보조물에 관한 현재의 권장사항은 0.8g의 피토스테롤, 및 더욱 고농도의 스탄올 유도체를 섭취하도록 기재한다. 상이한 스테롤 유도체의 섭취 농도는 적절하게 계산된다. 피토스테롤 및/또는 피토스탄올은 일반적으로 대두 또는 나무로부터 생산되며 다른 공급원이 이용가능하다 [Law M. (2000) BMJ 320;861-4].

    디글리세라이드 (DAG)는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일-가수분해 유도체이며, 오일 및 지방으로서도 또한 공지되어 있다. DAG, 주로 1,3-디글리세라이드는 TAG와 비교하여, 인간 및 동물 모델에서 공복 및 식후 혈청 TAG 농도가 낮은 것으로 이미 밝혀져 있다. 다량으로 섭취시, DAG는 체중, 총 지방 및 복강 지방 저장량을 낮춘다. 따라서, DAG의 섭취가 비만증의 치료에 고려되어야만 한다 [Tada, N. (2004) Curr Opin Clin Nutr Metab Care 7, 145-149].

    DAG는 단지 요리용 오일로서의 식품으로 판매되었으며, 당뇨병의 영양물에 전혀 사용되지 않았다. DAG가 사람의 대부분 또는 모든 1일 식이물의 지방 섭취의 대체에 사용될 수 있는 경우에, 주로 이들에게 건강상 이점을 부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대부분의 경우에, 10g/day 초과 및 나아가 40g/day 초과의 농도가 사용되었다. DAG의 더욱 낮은 농도는 이것이 피토스테롤의 지방산 에스테르와의 특별한 조합물인 경우에, 상이한 CVD 관련 이점을 부여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발명의 식품은 실제로 DAG를 지방 함량의 일부 및 나아가 전체 지방 부분을 대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임의로 오일 및/또는 지방에 용해되거나 분산된 특별한 피토스테롤 에스테르 및 DAG 조합물, 및 이들의 특성은 동시 계류중인 공동 소유의 WO 01/75083 및 WO 03/06444에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요약하자면, 이들 제제는 식용 오일 및/또는 지방에 용해되거나 또는 분산되는 DAG, 주로 l,3-DAG와 피토스테롤 및/또는 피토스탄올 에스테르 (PSE)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일은 올리브유, 캐놀라유 또는 어유이다. 이들 조성물은 혈액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라이드 농도를 감소시키며 혈액 산화적 손상을 예방하거나 또는 치료하는 것을 도와서, 죽상동맥경화증 캐스케이드를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이 조성물은 오일 및 지방이 식이물로 섭취될 때 활성이 급격하게 감소되는 체내의 자연 방어 기전, 예컨대, 파라옥소나제 1 (PONl) 효소를 유지시키고 보존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더욱이, 지방 및 오일 중 동일한 양의 이러한 피토스테롤-에스테르 및 DAG는 ApoE˚ 녹아웃 마우스의 PON1의 정상 활성 농도를 유지시켰다 (WO 2004/069150). 피토스테롤 에스테르와 DAG의 이러한 조합물은 본 발명의 식품의 지방 함량의 일부, 대부분, 또는 모두를 대체하는데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각의 식품 아이템에서 피토스테롤 에스테르와 DAG 조합물의 농도는 적어도, 특수한 식품의 몇몇 서빙 (serving)을 섭취하거나, 피토스테롤 에스테르/DAG 조합물을 모두 함유하는 상이한 식품의 단일 서빙 (serving)을 섭취하거나 또는 특별한 식품의 단일 서빙을 섭취함으로써 권장 1일 허용량 (RDA)를 완전히 달성할 수 있는 방식으로, 현재 RDA에 따라 피토스테롤 에스테르 농도를 제공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놀랍게도 이러한 조합물은 또한 하기 실시예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당뇨병 또는 당뇨병 전단계 환자에게도 또한 유익하다는 것이 이제 밝혀졌다.

    알파-리놀렌산 (18:3) 및 특히 도코사헥사엔산 (22:6, DHA) 및 에이코사펜타엔산 (20:5, EPA)과 같은 ω-3 지방산은 심혈관 건강에 유익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상이한 해양 동물 및 유기체, 특히 냉수어 뿐 아니라, 상이한 미생물 및 해조류 공급원으로부터 생성되는 이러한 지방산은 혈액 트리글리세라이드 농도를 낮추며, 항염증, 항혈전 및 면역조절 작용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아마씨유에서 발견되는 것과 같은 ω-3 리놀렌산 또한 여성 및 남성에서 MI 및 치명적인 허혈성 심질환의 위험성을 낮추는 유익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장쇄 ω-3 지방산 (DHA, EPA)은 유익한 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현재 권장 섭취량은 650mg/day 초과, 나아가 그보다 더 많은 양이다.

    ω-3 지방산 및 특히 이들의 장쇄 다불포화원 (DHA 및 EPA)은 이들의 산화 민감성에 비추어 안정성에 문제를 겪고 있다. 이같은 산화 문제는 상기 지방산을 함유하는 제품이 "비린 (fish-like)" 냄새 및 맛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게 되는 관능적 문제와도 또한 관련이 있다. 해조류 및 미생물 ω-3 LC-PUFA가 다소 개선된 안정성 및 적은 관능적 문제를 가진다고 하더라도, 이들을 식품에 사용하는 것 또한 용이하지 않다. 최근 상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다른 방법들이 고안되었다. 그것은 상이한 식품과 혼화가능한 매트릭스에서의 ω-3 지방산의 캡슐화 뿐 아니라, 특별한 정제 및 증류 기법 및 특별한 항산화제 또는 항산화제 혼합물의 사용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품은 다양한 1일 식품 중에 이러한 유익한 식이 성분을 충분한 농도로 포함하도록 고안될 수 있다.

    산화적 손상 및 산화적 손상과 관련된 다른 유해 작용은 항산화능을 가진 상이한 식이 성분을 통해, 적어도 어느 정도는 조절되어짐이 밝혀졌다. 이들은 식물추출물, 예컨대 로즈마리 추출물, 리코펜, 제악산틴, 폴리페놀 (예컨대 올리브유, 포도, 석류, 등에서 발견되는 히드록시티로솔), 비타민 (토코페롤 및 특히 비타민 E, 아스코르브산), 무기질 (아연, 셀레늄 또는 칼슘), 보조효소 Q 1O 및 베타 카로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성분 뿐 아니라, 다른 항산화제도 널리 조사되어 있으며, 개인의 건강에 유익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항산화제는 또한 식이 보조제로서 사용되어 왔다. 이들 중 몇몇, 특히 비타민 E 및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는 식품 중에서 식품 항산화제로서 저농도로 (0.2 중량% 미만), 몇몇 경우에는 더욱 높은 농도로 사용되어, 상기 항산화제를 투여시 식품 섭취자들에게 이들의 유익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본원에 제시된 바와 같이, CVD 건강 문제를 해결하는 당뇨병 기능성 식품 방법론의 일부로서, 특수 당뇨병 식품에 항산화제를 사용하려는 어떠한 시도도 없었다.

    다양한 허브 또는 식물 추출물, 예컨대, 콩 단백질, 이소플라본, 카로테노이드 (베타-카로틴, 루테인, 제악산틴) 및 마늘 추출물은 높은 혈액 콜레스테롤 농도, 높은 혈액 트리글리세라이드 농도와 같은 상이한 CVD 위험 인자에게 유익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원에 제시된 바와 같이, CVD 건강 문제를 해결하는 당뇨병 기능성 식품 방법론의 일부로서, 특수 당뇨병 식품에 이러한 식물 추출물을 사용하려는 어떠한 시도도 없었다.

    다른 성분 또는 성분의 조합물 또한 유익한 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들은 본 발명의 식품 중 식이 성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타민 B 6 , 비타민 B 12 , 및 폴산의 조합물은, 고농도가 CVD 위험 인자 또는 바이오마커로 인식되는 호모시스테인의 혈액 농도를 낮추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CVD 관련 이점을 가지는 몇몇 식이물의 활성 성분은 상승작용적으로 작용하여 CVD의 위험성을 추가로 감소시킴이 밝혀졌다. 이러한 조합물은 혈액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피토스테롤 및 콩 단백질 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품의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식품은 특히, 당뇨병 환자 또는 당뇨병에 걸리기 쉬운 사람에서 고콜레스테롤혈증 및/또는 고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 산화적 손상 및 죽상동맥경화증일 수 있는 고지질혈증과 같은 CVD 위험 인자를 치료 및/또는 예방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품은, 특히, 당뇨병을 앓고 있는 대상이나 또는 당뇨병에 걸리기 쉬운 대상의 심혈관 건강에 대해 예방적 또는 치료적인 건강상 이점을 제공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당뇨병에 걸리기 쉬운 대상은 다음의 조건 중 1 이상을 충족시키는 사람이다: (a) 당뇨병의 가족력이 있음 (부모 또는 형제); (b) 비만이 있음; (c) 당뇨병의 발병률이 높은 종족 또는 민족, 예를 들어 아프리카계 미국인, 히스패닉계, 아메리카 원주민 등에 속함; (d) 45살 이상임; (e) 이전에 공복 혈당 장애 (IFG) 또는 내당능 장애 (IGT)를 겪었음이 확인됨; (f) 고인슐린혈증을 가짐; (g) 고혈압, 즉, 140/90 mm Hg 초과의 혈압; (h) 이상지질혈증: 35 mg/dL 미만의 HDL 및/또는 250 mg/dL 초과의 트리글리세라이드를 가짐; (i) 임신성 당뇨병의 병력 또는 4.1 kg 초과가 나가는 아기를 출산한 병력이 있음.

    대상의 공복 혈장 포도당이 126 mg/dl 이상인 경우 당뇨병으로 여길 것이다. 공복 혈장 포도당의 정상 범위는 60-109 mg/dl이다.

    본 발명의 식품의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식품은 또한 CVD 위험 인자, 예컨대 고콜레스테롤혈증 및/또는 고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을 포함하는 고지질혈증, 당뇨병 관련 위험 인자로도 또한 고려되는 비만증 및 대사성 증후군과 같은 대사성 장애, 산화적 손상 및 죽상동맥경화증의 치료 및/또는 예방 기능을 하는 1 이상의 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활성제는 본 발명에 기술된 식품의 지방 성분의 일부를 또는 바람직하게는 모두를 대체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식품은 대상, 특히 급성 CVD에 걸리기 쉬운, 당뇨병 환자 또는 당뇨병 전단계 사람이 나타내는 임의의 증상들에게 유익하다고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본원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활성제는 피토스테롤 및/또는 피토스탄올 에스테르 및 이들의 유도체, 디글리세라이드 (DAG), 피토스테롤 에스테르 및 DAG의 조합물 (특히 DAG 농도보다 더 높은 농도의 피토스테롤-에스테르를 가지며, 임의로 오일 및/또는 지방에 용해되거나 또는 분산되는 조합물), 항산화제, 천연 허브 및 식물 추출물 (예를 들어 마늘 추출물, 콩 단백질, 콩 이소플라본, 또는 리코펜), ω-3 지방산, 뿐 아니라 다른 식이 성분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다.

    항산화제는 일반적 집단의 심장-건강에 긍정적이고 건강에 좋은 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공지된, 천연 또는 합성 항산화제, 예컨대 폴리페놀, 비타민, 특히 토코페롤, 또는 무기질, 예컨대 아연 및 셀레늄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활성제는 유리 지방산, 에틸-에스테르, 트리글리세라이드, 인지질 또는 임의의 다른 유도체 또는 화학적 또는 기술적 운반 플랫폼 (flatform)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질은 일반적 집단 뿐 아니라 CVD에 걸리기 쉬운 집단에서의 일반적인 심장-건강 지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활성 성분은 또한 사실상 제약, 예컨대 스타틴, 담즙산 봉쇄제, 에제티미베, 혈액 희석제, 및 혈압 강하제일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의 식품에 포함된 활성제는 실시예 1 및 2, 도 1-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과체중 및/또는 비만 및/또는 당뇨병 대상 및/또는 당뇨병에 걸리기 쉬운 대상에서 다음의 파라미터 중 1 이상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는 임의의 성분일 수 있다: 총 콜레스테롤 혈청 농도, 비-HDL 콜레스테롤 혈청 농도, 총 콜레스테롤/HDL 비율 및 트리글리세라이드 혈청 농도.

    혈액의 높은 콜레스테롤은 심장 및 혈관 질환 예컨대 죽상동맥경화증 및 뇌졸증의 주요 위험 인자이다. 용어 "총 콜레스테롤"은 3가지 주요 종류의 콜레스테롤에 관한 것이다: 고밀도 지질단백 (HDL), 저밀도 지질단백 (LDL), 및 초저밀도 지질단백 (VLDL). 200 mg/dL 미만의 혈액 총 콜레스테롤 값, 및 100 mg/dL 이하의 LDL 콜레스테롤이 국립 심폐 및 혈액 연구소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에 의해 최적으로 고려된다.

    혈액 중 과량의 LDL 콜레스테롤은 동맥에 침착되므로, 130mg/dL 미만의 LDL 농도가 추천되며 lOOmg/dL이 최적으로 고려된다. LDL 양은 통상적으로 총 콜레스테롤, HDL, 및 트리글리세라이드 생성물로부터 이의 부분을 계산하거나 ("LDL Calc") 또는 직접 측정함으로써 추정된다.

    HDL 콜레스테롤은 동맥에 침착된 과량의 콜레스테롤을 제거하는 것을 도와 심질환에 대해 보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높은 HDL 농도는 관상동맥성 심질환의 낮은 발병률과 관련이 있다. 35 mg/dL 이상의 혈액 값이 추천된다.

    총 콜레스테롤 대 HDL 콜레스테롤 비율은 죽상동맥경화증을 예상하는데 도움이 되는 수치이며 심근경색증 (MI)의 강력한 예언자로서 유효하다. 수치는 총 콜레스테롤을 HDL 콜레스테롤로 나누어 얻어진다. (높은 비율은 심장 마비의 높은 위험성을 나타내며, 낮은 비율은 낮은 위험성을 나타낸다). 평균 비율은 약 4.5이며 바람직한 비율은 2 또는 3 또는 4 미만일 것이다.

    트리글리세라이드는 체지방의 주요 저장 형태이다. 몇몇 사람에게서, 이상적으로 높은 혈액 트리글리세라이드 농도 (고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가 유전되지만, 이는 흔히 비유전 요소, 예컨대 비만증, 과다 알콜 섭취, 당뇨병, 신장 질환, 및 에스트로겐 함유 약, 예컨대 산아 제한 환제에 의해 야기된다.

    고농도의 트리글리세라이드는 동맥에 플라크 축적을 촉진시키고 (아테로마생성) 및 혈전증의 위험성을 증가시킴으로써 관상동맥성 심질환 (CHD)의 위험성을 증가시키고, 심근경색증을 유발할 수 있다. 바람직한 트리글리세라이드 혈액 농도 범위는 150-200mg/dL이다.

    고농도의 트리글리세라이드는 저지방 식이물, 필요하다면, 약제로 적극적으로 치료되어야만 한다. 고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 치료의 제1 단계는 제한된 양의 단 물질 (sweet)로의 저지방 식이요법, 일반적 유산소 운동, 과체중의 감량, 알콜 섭취의 감소, 및 금연이다. 당뇨병 환자에서, 상승된 혈액 포도당의 꼼꼼한 조절 또한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영양품의 섭취는 매우 유익할 것으로 생각될 것이다.

    필요하다면, 또다른 제약 제제, 예컨대 피브레이트 (예를 들어 젬피브로질), 니코틴산, 및 스타틴 유도체가 영양품에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제약 제제는 또한 전체적인 지질 프로파일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로피드 (Lopid)는 트리글리세라이드 농도를 감소시킬 뿐 아니라, HDL 콜레스테롤 농도 및 LDL 콜레스테롤 입도를 증가시키고; 니코틴산은 트리글리세라이드 농도를 낮추고, HDL 콜레스테롤 농도 및 LDL 콜레스테롤의 입도를 증가시킬 뿐 아니라, Lp (a) 콜레스테롤의 농도도 낮추고; 스타틴은 트리글리세라이드 뿐 아니라 LDL 콜레스테롤 농도를 감소시키고 HDL 콜레스테롤 농도를 상승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식품은 또한 실시예 2 및 도 1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만 및/또는 당뇨병 대상에서 체중 및/또는 혈청 인슐린 농도를 감소시키는 기능을 한다.

    인슐린은 세포가 포도당을 흡수하게 하여 이의 혈중 농도를 낮춤으로써 신체가 혈액 포도당을 대사시키고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펩티드 호르몬이다. 세포내에서, 포도당은 에너지를 위해 사용되거나 지방 형태로 저장된다. 인슐린은 지방 대사 불균형 및 비만증을 증진시키고, 당뇨병 및 CVD 발병의 위험 상태로 고려되는, 더 많은 탄수화물 및 더 적은 지방을 사용하게 한다. 따라서, 혈액 인슐린 농도가 정상 값을 벗어나게 되는 경우마다, 혈액 인슐린 농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상 공복 인슐린 값 범위는 5-20 mcU/mL (밀리리터 당 마이크로 유닛)이다.

    특히, 상기 식품은 인슐린-저항 대상에서 고인슐린혈증을 완화 (혈청 인슐린 농도를 감소)시키는 기능을 한다. 높은 인슐린 혈액 농도는 2형 당뇨병을 발병시키는 주요 리딩 (leading) 증상 중 하나이며, 고혈압, 심혈관 질환, 및 비만증을 앓고 있는 사람에서 보통 발생하는, 인슐린 저항의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보통, 포도당/인슐린 비율 (G/I 비율) 지수는 인슐린 저항의 진단에 사용되는데, 이의 낮은 값은 인슐린 저항도가 높음을 나타낸다. 바람직한 G/I 비율은 4.5 미만일 것이다.

    본 발명의 식품이 혈청 인슐린 농도를 감소시키므로, G/I 비율의 측정은 상기 식품의 치료 효과를 측정하는 간단한 시험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더욱 특별한 경우에, 상기 식품은 고인슐린혈증을 완화시키거나, 당뇨병이 발병하기 쉬운 비만 대상에서 인슐린 저항의 진행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이다. 신체적 활동 및 체중 감소는 신체가 인슐린에 더 잘 반응하여 인슐린 저항을 극복하는데 도움을 준다. 본 발명의 영양품을 섭취하고 신체적으로 활동함으로써 달성되는 체중 감소는 인슐린 저항 증상이 2형 당뇨병 발병으로 발전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영양 습관을 바꾸고 체중을 감소시킴으로써, 당뇨병 전단계 사람의 혈액 포도당 농도를 정상으로 되돌리고 당뇨병의 위험성을 58% 까지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의 식품은 비만, 대사 불균형 예컨대 당뇨병 또는 대사성 증후군을 갖는 대상, 또는 당뇨병 또는 비만증이 발병하기 쉬운 사람에게서 체중을 감소시키고, 체중 증가를 억제하고, 인슐린 저항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한다.

    나아가, 이러한 활성 성분은 내장 조직으로부터 말단 조직으로 지방 축적을 이동시킴으로써, WAT 축적의 억제, 체지방 분포의 재구성 및 내장 지방 무게의 감소를 도와, 비만, 과체중, 당뇨병, 당뇨병 전단계 대상, 또는 당뇨병 또는 비만증에 걸리기 쉬운 사람에서의 대사성 증후군을 예방 또는 억제시키거나 또는 당뇨병 환자의 증상을 단순히 완화시킬 수 있다.

    체중 증가 및 관리 뿐 아니라 지방 분포까지 해결하는 식이 성분은 디글리세라이드 (DAG)를 포함한다. 1일 지방 섭취를 DAG로 대체시킴으로써 체중 감소를 촉진시킴이 밝혀졌다. 또한, 공액 리놀렌산 (CLA) 또한 체중 관리와 관련된 건강상 이점과 관련되어 있음이 널리 조사되었다. 최근, 지방산의 알파 위치가 알킬 치환된 신규한 트리글리세라이드가 리파제 소화를 억제하고 포만감을 증진시켜 전체적으로 체중을 감소시킨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식이 성분 뿐 아니라, 체중 증가 및 체중 관리를 해결하고 지방 분포를 조절하는 다른 성분 또한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이다.

    치료되지 않은 당뇨병은 다양한 2차 질환 합병증의 발병으로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은 비만 및/또는 당뇨병 대상에서 생명을 위협하는 장기간 당뇨병 합병증의 위험성을 감소시키고 삶의 질의 악화를 완화시키는데 사용되도록 의도된다.

    당뇨병 합병증은 거대혈관, 미세혈관 및 신경계 기원의 3가지 주요 카테고리로 분류된다. 당뇨병이 있는 사람은 보통 심장 및 혈관 질환이 발병한다. 당뇨병은 심장 마비, 뇌졸증, 및 순환의 불량과 관련된 합병증의 위험성을 증가시킨다.

    다른 당뇨병 합병증은 신장 질환, 시각상실을 유발할 수 있는 눈 문제, 당뇨병 신경병증 및 신경 손상, 절단으로 이어질 수 있는 신경 손상 또는 불량한 혈류로부터 기인하는 많은 상이한 발의 문제, 때때로 당뇨병을 가진 사람의 1차 신호가되는 피부 장애, 위마비 및 우울증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품은 망막병증, 신장병증, 다리에 공급되는 큰 혈관 질환 (하지 동맥 질환), 관상동맥성 심질환 또는 동맥 질환, 뇌혈관 질환 및 신경 기능 통증 장애, 또는 시각상실, 말기 신장 질환 (ESRD) 및 절단, 심근경색증, 뇌졸증 또는 상기 언급된 임의의 다른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증상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임의의 일 당뇨병 합병증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는데 사용되도록 고려되어야 한다.

    추가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의 식품은 추가로 다른 당뇨병과 관련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활성제, 식이 물질 또는 제약 성분을 포함한다. 당뇨병과 관련이 있거나 또는 당뇨병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는 급성 인지기능 저하의 예방 및/또는 치료의 기능을 하는 상기 식품의 활성제는 포스파티딜세린, 징코 빌로바, 브라미 (바코파 몬네리) 및 ω-3 함유 지방 중 어느 하나이다.

    몇몇 인지기능 관련 식이 성분이 본 발명의 식품에 사용될 수 있다. 콩 인지질로부터 주로 생성되는 주요 뇌 인지질인, 포스파티딜세린은 노인 집단 및 청소년 (younger) 집단에서 기억 및 다른 인지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이미 광범위하게 밝혀져 있다. 몇몇 허브 추출물, 예컨대 징코 빌로바 또한 유사한 인지기능적 이점을 갖는 것으로 주장되었다. 심장 건강의 증진과 모두 연관있는 ω-3 지방산 및 항산화제 또한 인지 기능에 이점을 가진다. 많은 인지기능 저하 과정은 뇌 세포 및 조직의 산화적 손상의 결과이므로, 항산화제는 뇌 건강과 연관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식품은 추가로 2형 당뇨병과 관련된 급성 눈 증상의 예방 및/또는 치료의 기능이 있는 활성제를 포함하는데, 상기 활성제는 비타민, 항산화제, 및 다른 천연 눈-건강 증진 성분 또는 추출물이다.

    본 발명의 식품에 존재하는 심장, 뇌, 및 눈의 건강을 사전에 증진시키는 식이 물질 또는 제약 성분의 양은 이들의 구체적인 RDA 또는 상이한 조직의 다른 권장량에 기초하거나 또는 관련된 임상 시험의 결과에 기초할 수 있다. 특수 식품으로부터 보통 섭취되는 서빙의 평균 수 또는 동일한 성분을 전달하는 1일 섭취에 이용가능한 다양한 식품 또는 공급원에 따라, 각각의 성분은 서빙 당 이의 전체 RDA로 주어질 수 있고 또는 별법으로 각각의 서빙에 단지 일부의 RDA만이 주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침 (guiding rule)은 활성 성분이 1 이상의 식품 및/또는 서빙을 통해 이의 유익한 건강 작용을 나타내기에 충분한 농도로, 하루에 한번 또는 하루 동안 상이한 분량 (meal)으로 섭취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성분의 공식 또는 비공식 1일 섭취 권장량의 적어도 5%가 본 발명의 식품으로 제공되어야만 한다.

    활성 식이 성분 또는 제약 성분은 식품의 제조 또는 가공 동안 이의 주요 재료 (mass)를 통해 또는 충전제, 코팅제 등을 통해, 임의의 단계에서 첨가될 수 있다.

    활성 식이 성분 또는 제약 성분은 또한 식품의 기술적 또는 기능적 성질, 예컨대 조직, 안정성, 저장 수명, 관능적 및 감각적 품질 및 외관과 관련된 성질을 나타낼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품은 바람직하게는 당뇨병을 앓고 있거나 또는 당뇨병에 걸리기 쉬운 임의의 대상에 의해 사용된다. 이러한 식품은 이들의 독특한 식이요법의 일부로서, 이들의 심혈관 위험 인자를 치료하거나 또는 해결하기 위해, 당뇨병 환자들에 의해 섭취될 수 있다. 이러한 식품은 임의로, 당뇨병의 증세를 예방하거나 또는 억제하기 위해 당뇨병 전단계 사람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식품은 유제품, 제과물, 조미료, 음료 및 드링크제, 스낵, 캔디류, 아이스크림 및 냉동용 디저트, 아침 곡물류, 영양바, 초콜렛 제품, 가공 식품, 곡물 제품 및 파스타, 스프, 소스 및 드레싱, 과자 제품, 오일 및 지방 제품, 유제품 음료 및 우유 음료, 두유 및 콩 유제품, 냉동 식품, 조리 음식 및 대체 음식, 육류 제품, 치즈, 요구르트, 빵 및 롤빵, 효모 제품, 케이크 및 쿠키 및 크래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명세서의 개시 내에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하는 내용인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다.

    개시되고 기술된 본 발명은 특정례, 제조 단계, 및 이러한 제조 단계로서 본원에 개시된 물질에 제한되지 않으며, 물질은 다소 다양할 수 있음을 알린다. 또한 본원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한 실시태양을 기술할 목적으로서만 사용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되는 청구항 및 이의 균등물로 제한됨을 의도하지 않음을 알린다.

    본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항에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형 "a", "an" 및 "the"는 내용이 분명하게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물을 포함한다는 것을 인식해야만 한다.

    본 명세서 및 하기 청구항을 통해, 문맥이 달리 요구하지 않는다면, 용어 "포함한다 (comprise)" 및 이의 변형, 예컨대 "포함한다 (comprises)" 및 "포함하는 (comprising)"은 기술된 정수 또는 단계 또는 정수 또는 단계의 군을 포함하며, 임의의 다른 정수 또는 단계 또는 정수 또는 단계의 군을 배척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생체내 실험

    상이한 식이성 기능성 오일 및 지질의 CVD에 대한 작용을, 영양-의존성 2형 당뇨병에 대한 실험 동물 모델인, 삼모미스 오베수스에서, CVD 위험 인자로서 공지된 몇몇 파라미터 (체중 및 지방 무게, 혈액 지질 농도, 포도당 및 인슐린 혈액 농도)를 측정함으로서 예상하였다.

    이스라엘 모래 래트 (Israeli sand rat)인 삼모미스 오베수스는 가두어서 정제되지 않은 고에너지 (HE) 설치류 식이물에 자유롭게 접근하도록 두었을 때, 정상혈당증 및 정상인슐린혈증 동물에서부터 진행성 고혈당증 및 고인슐린혈증을 가지는 비만 당뇨병 동물에 이르는 범위의 불균일한 포도당 및 인슐린 농도를 나타내는 경향이 있는 초식 게르빌루스쥐 (herbaceous gerbil)이다. 이러한 동물에서 발병하는 비만증 및 당뇨병의 과정은 4가지 표현 단계로 특징지을 수 있다: 정상인슐린혈증 및 정상혈당증 (단계 A), 고인슐린혈증이나 정상혈당증 (단계 B), 고인슐린혈증 및 고혈당증 (단계 C), 및 β-세포의 탈과립화 및 현저히 감소된 췌장의 인슐린 함량의 결과인 저인슐린혈증 및 심각한 고혈당증 (단계 D). 삼모미스 오베수스 게르빌루스쥐 동물 모델은, 이것이 적당한 비만증과 관련이 있는 식이물-유래 당뇨병 발병의 증가된 경향을 증명하기 때문에, 인간의 2형 당뇨병 질환에 대한 이상적인 자연 모델인 것으로 많은 연구에서 밝혀졌다. 이 모델은 또한 당뇨병을 유발하는 대사성 변화, 예컨대 고인슐린혈증, 고혈당증, 및 비만증의 발병을 결정하기 위해, 당뇨병 전단계를 연구하는데 사용되었다 [Zimmet P. (2001) Nature 414:782-7, review by Ziv E. and Kalman R. (2001), In Animal models of diabetes, eds. Sima and Shafrir, Harwood academic publishers, 327-342].

    인간 뿐 아니라, 삼모미스 오베수스 모델에서도, 당뇨병은 비만증 및 영양가 와 관련이 있으며, 이들의 식이물의 특성이 질환의 발현 및 진행에 중요하다 [Shafrir E. and Gutman A. (1993) J Basic Clin Physiol Pharmacol. 4: 83-99; Kalman R. et al. (1993) J Basic Clin Physiol Pharmacol. 4: 57-68]. 본 실험 모델로서 삼모미스 오베수스의 선택은 식이성 기능성 오일 및 지질이 비만증 및 비-인슐린 의존성 당뇨병의 발병 및/또는 치료에 일정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이해하는데 기여한다.

    게르빌루스쥐 실험 모델은 햄스터 모델과 비교하여 혈액 지질을 낮추는 작용을 평가하는데 약간 더 우수함이 알려져 있다. 래트 및 마우스는 이들의 혈장 및 간 콜레스테롤이 상대적으로 식이성 콜레스테롤 투여 (challenge)에 상대적으로 덜 민감하기 때문에 부적절한 것으로 생각된다. 삼모미스 오베수스 모델에서, 인슐린 저항 및 비만증 이전에 증가되는 지방과다증에 동반하는, 정상 인슐린 민감성에서 악화된 인슐린 민감성으로의 순차적 전이는 인간 2형 당뇨병 민감성 집단에서 관찰되는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일어난다.

    물질 및 방법

    헤브류 대학의 실험동물관리위원회 (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 of Hebrew University) 및 하다사 의학 협회 (Hadassah Medical Organization)로부터 동물 실험을 승인받았다.

    동물: 하를란 연구실 (Harlan Laboratories Ltd., 이스라엘, 예루살렘에 소재)로부터 입수한 수컷 삼모미스 오베수스 게르빌루스쥐 (월령 2.0-3.5)를 헤브류 대학교 시설에서 키웠다. 수유 기간 지난 후, 삼모미스 오베수스를 2.38 kcal/g을 함유하는 저에너지 식이물 (이스라엘 페타크 틱바에 소재한 코폴크 사 (Koffolk Ltd.))에 유지시켜, 당뇨병을 유도하였다.

    실험 모델 - I

    삼모미스 오베수스를 4주 동안 2.93 kcal/g을 함유하는 고에너지 식이물 (미국 위스콘신주 매디슨에 위치한 테클레드 글로벌 사 (Tekled Global))로 교체시키고, 당뇨병이 발병한 동물 (삼모미스 오베수스 군집 중 ~70%의 동물)을 식이 치료 연구 (feeding intervention study)를 위해 선택하였다. 이들의 비-공복 혈액 포도당이 180 mg/dL보다 커졌을 때, 당뇨병 동물로 간주하였다.

    당뇨병 게르빌루스쥐를 무작위로 일정군들 (군 당 8-10 동물)로 나누어, 표 2에서 구체적으로 나와있는 바와 같은, 상이한 고에너지 실험 식이물을 또다른 3.5 주 동안 먹였다. 공급된 고지방 식이물의 지방 함량은 상이하였다. 물 및 음식을 임의로 공급하였고; 삼모미스 오베수스 혈액 포도당 농도 및 체중을 매일 모니터링하였다. 시험이 끝날때쯤, 게르빌루스쥐를 케타민 (케탈라르 (Ketalar); 영국 그웬트에 위치한 파르케-데이비스 사 (Parke-Davis & Co.))으로 마취시키고, 심장 천자술을 통해 피를 뽑았다. 혈액 시료를 EDTA가 적셔진 주사기에 모아 생화학 분석에 사용하였다.

    실험 모델 - II

    6마리의 성장한 수컷 삼모미스 오베수스 게르빌루스쥐를 무작위로, 단지 지방 및 지질 함량만이 상이한, 2.93 kcal/g를 함유하는 2개의 고에너지 식이물 (n = 30)인 하를란(Harlan)-고에너지 식이물 (미국 위스콘신주 매디슨에 위치한 테클레 드 글로벌 사) 또는 식이물 C (표 2)로 나누었다. 물 및 음식을 4.5 주 동안 임의로 공급하였고; 체중 및 혈액 포도당 농도를 매일 모니터링하였다. 실험용 식이물을 4.5 주간 공급한 후, 게르빌루스쥐를 밤새 (16 h) 굶기고 케타민 (케탈라르; 영국 그웬트에 위치한 파르케-데이비스 사)으로 마취시키고, 심장 천자술을 통해 피를 뽑아서, 혈액 시료를 EDTA가 적셔진 주사기에 모았다. 간 및 부고환 지방을 절단하여 무게를 달았다. 심장으로부터 얻어진 혈액을 생화학 분석에 사용하였다.

    포도당 분석

    혈액 포도당 농도를 꼬리 정맥으로부터 얻은 혈액 시료에서 효소적 포도당 분석기인 글루코미터 엘리트 (Glucometer Elite, 미국 인디아나주 엘크하르트에 위치한 바이엘 사 (Bayer))를 통해 결정하였다.

    지질 분석

    EDTA-처리된 혈액 시료로부터 얻어진 혈장 시료 (12,000 xg에서 15 분간 분리함)의 총 콜레스테롤, 총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HDL-콜레스테롤 농도에 대해, 비색법 (독일 만하임에 위치한 베링거 만하임 사 (Boehringer Mannheim))으로 분석하였다. LDL-콜레스테롤 농도는 프리데발트 (Friedewald) 식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인슐린 분석

    인간 1차 항체를 사용한 방사능면역분석법 (파데스프 (Phadesph); 스웨덴 웁살라에 위치한 카비 파마시아 다이아그노스틱스 사 (Kabi Pharmacia Diagnostics))으로 인슐린 농도를 평가하였다.

    통계적 분석

    데이터를 일원 분산 분석 (ANOVA)으로 분석하여 실험 군 간의 차이를 평가하였다. 평균값들의 차이를 스튜던트의 양쪽 꼬리 t-검정으로 평가하였다.

    영양 식이물

    표준 밀링 과정을 이용하여 상이한 처리 오일 (미국에 위치한 하를란 테클레드 사 (Harlan Tekled Ltd)에 의해 제조된 주문품)을 표준 게르빌루스쥐 시료에 혼입시켰다. 2018SC+F 고에너지 식이물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미국 위스콘신주 매디슨에 위치한 테클레드 글로벌 사)

    주문 식이물들의 조성은 음식 및 영양 함량에 있어 유사하였다. 모든 식이물은 동일한 기본 혼합물로 이루어지며 다만 가변적인 성분은 보충되는 지방이었다. 이 기본 혼합물은 지방원이 없는 2018SC+F의 약간 농축된 양태이다. 지방원 및 콜레스테롤이 첨가되었을 때, 완제품은 지방 및 콜레스테롤 성분을 제외하고는 원 2018SC+F와 매우 유사해졌다.

    식이물을 다음의 과정을 따라 제조하였다.

    1. HSFA = 포화 지방산 오일이 매우 풍부함

    2. HMUFA = 단일불포화 지방산 오일, 즉, HOSO가 매우 풍부함

    3. 기본 오일에 대해 에스테르화된 식물 스테롤 20% (w/w) 및 기본 오일과 유사한 지방산 조성을 나타내는 식이성 디아실글리세롤 15% (w/w)를 함유함

    4. 식이성 식물 스테롤 대 콜레스테롤 비율 5:1

    실시예 1 - 당뇨병 게르빌루스쥐의 혈액 지질 함량에 대한 딘일- 및 다불포화 지방산 식이물의 작용

    본 실험으로 혈장 지질 프로파일에 대한 식이물 A (PS-E + DAG, HOSO 오일을 갖는 콩 스테롤 에스테르 (PS-E) 및 HOSO 오일로부터 유래한 디아실글리세롤 (DAG)을 포함함) 및 식이물 B (PS-E + DAG, 아마씨유를 갖는 콩 스테롤 에스테르 (PS-E) 및 아마씨유로부터 유래한 디아실글리세롤 (DAG)을 포함함, 고함량의 다불포화 지방산을 가짐) 섭취의 작용을 조사하였다.

    당뇨병 수컷 삼모미스 오베수스 게르빌루스쥐를 무작위로 지정된 식이물 군 (각각 8-10 마리의 게르빌루스쥐)으로 나누어 3.5 주 동안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먹였다. 실험 식이 기간이 끝날 때쯤, 혈장 지질 분석을 위해 혈액 시료를 모았다.

    상이한 식이물 군에서의 총 콜레스테롤 혈장 농도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우 다양하였다. 대조군과 식이-처리된 군 간에 (식이물 A 및 B) 두드러진 차이가 관찰되었으나, 모든 동물은 유사한 기저 수준의 고혈당증 및 고인슐린혈증 증상을 유지하였다. HMUFA가 공급된 당뇨병 삼모미스 오베수스 및 HSFA가 공급된 당뇨병 삼모미스 오베수스는 혈장 중 유사한 총 콜레스테롤 농도를 보였으며 (P-값=0.24), 이때 식이물 A 및 식이물 B가 공급된 다른 삼모미스 오베수스 군은 포화 지방이 공급된 게르빌루스쥐에 비해 총 콜레스테롤의 농도에 상당히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35% 및 42%, 각각; P-값=0.031, 0.028).

    이러한 결과의 높은 통계학적 유의성 (ANOVA로 나타냄, P-값=0.003)은 제제 A 및 B가 모두 매우 강력한 저콜레스테롤성 작용을 일으킴을 암시한다. 혈장 총 콜레스테롤 감소의 유사한 결과가 (~43% 감소) 4주 동안 5:1 피토스테롤 대 식이성 콜레스테롤을 자주 먹인 수컷 몽골 게르빌루스쥐 (메리오네스 언퀴큘라튜스, Meriones unquiculatus)에 대해 보고되었다 [Hayes et al. (2002) J. Nutr. 132: 1983-1988].

    유사하게,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식이물 A 또는 식이물 B의 섭취는 HSFA 식이물이 공급된 당뇨병 게르빌루스쥐에 비해 혈장 비-HDL 콜레스테롤의 농도에서 눈에띄게 현저한 감소를 일으켰다 (각각, 47% 및 59%; P-값=0.022, 0.019). HSFA 및 HMUFA 식이물 섭취 군 (대조군)에서, 유사한 비-HDL 콜레스테롤 농도가 측정되었다 (P-값=0.22). 이들 식이물 매트릭스 간의 ANOVA 비교는 매우 유의한 차이를 암시하였다 (P-값=0.001).

    비-HDL-C 혈청 농도는 반드시 어떠한 혈관 질환 증상을 나타내는 것은 아닌 환자 중 심혈관 합병증의 장래 위험성의 강력한 예언자로 간주된다. 비-HDL-C는 최근 국립 콜레스테롤 교육 프로그램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의 성인 치료 패널 III (Adult Treatment Panel III)에 의해 상승된 트리글리세라이드를 가진 환자에서 (LDL-C 이후의) 2차 치료 목표로서 최근 추천되었다.

    도 1 및 도 2 모두는 포화 지방산 또는 고올레산 해바라기유를 기초로 한 식이물의 섭취와 비교하여, 제제 A와 제제 B 모두가 총 콜레스테롤 혈장 농도 및 비-HDL 콜레스테롤 혈장 농도의 감소를 나타냄에 따른, 본 발명의 제제 A 또는 제제 B의 탁월한 저콜레스테롤성 작용을 강조한다. 대조적으로, 시험된 임의의 게르빌루스쥐 군의 혈장 HDL-콜레스테롤 농도에서는 어떠한 상당한 차이도 발견할 수 없었다 (ANOVA P-값=0.11).

    계산된 총 콜레스테롤 대 HDL-콜레스테롤 비율 (총/HDL)을 도 3에 도시하였고, 추가적 통계학적 분석 (ANOVA P=0.0005)은 상이한 식이물 처리 군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여준다. HMUFA 식이물 섭취 군에서의 총/HDL 비율은 HSFA이 공급된 비만 당뇨병 삼모미스 오베수스에서 보여지는 비율과 필적할만하다 (P-값=0.14). 이러한 결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식이물 A 또는 식이물 B를 이러한 모래 래트에 제공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해 (HSFA를 먹인 군) 총/HDL 콜레스테롤 비율에서 눈에띄게 현저한 감소가 측정되었다 (23%; P-값 < 0.012, 및 27%; P-값 < 0.007).

    2형 당뇨병 환자에서 이상지질혈증은 트리글리세라이드 농도의 상승 및 HDL 콜레스테롤 농도의 감소를 통해 암시된다. 보통, LDL 콜레스테롤 양은 2형 당뇨병 환자 및 비-당뇨병 사람에서 상당한 차이가 없으나, 몇몇 LDL은 총 콜레스테롤 및 LDL 콜레스테롤이 정상 값임에도, 죽종형성의 위험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더욱 밀도있는 입자 형성 (아포지질단백 B)로서 나타났다.

    몇몇 경우에, 당뇨병 환자는 비-HDL 콜레스테롤 (LDL + VLDL 콜레스테롤)의 상승된 농도를 가질 수 있다. 단시간 내에 비-HDL 농도를 감소시키는 식이물 A 및 B의 영양 성분의 능력은 CVD를 예방하고 치료하여,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것과 주요한 관련성이 있다. 다른 종래의 제약 약물 치료와 함께, 또는 독립적으로, A 및 B 식품 식이물 매트릭스의 사용은 이상지질혈증 및 LDL-콜레스테롤 관련 죽종형성 치료에 매우 유익한 것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식이물 A (디아실글리세롤 HOSO 매트릭스에서 장쇄 단일불포화 지방산에 대해 에스테르화된 콩 스테롤) 또는 식이물 B (디아실글리세롤 아마씨유 매트릭스에서 장쇄 다불포화 지방산에 대해 에스테르화된 콩 스테롤)로의 비만 당뇨병 삼모미스 오베수스의 식이적 치료는, 상기 식이물이 콜레스테롤로 보충되었음에도, 총 콜레스테롤 및 비-HDL 콜레스테롤 값의 상당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임의의 당뇨병 또는 비만 또는 임의의 높은 콜레스테롤-관련 합병증이 발병할 위험이 있는 대상에 유익할 수 있는 간단한 영양 습관의 조정을 통해, 단시간에 신체 지질 관리를 변화시키는, 신규한 비-제약, 비-합성 및 신체적 치료가 요구되지 않는 전술임이 밝혀졌다.

    본 발명의 영양품의 성공 효율은 당뇨병 환자 또는 당뇨병에 걸리기 쉬운 사람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낮은 포도당 함량 또는 포도당이 없는 함량, 균형잡힌 지방 함량 및 사전 대비적 (제약적 또는 영양적) 제제의 첨가라는 이의 특별한 조성에 기초한다. 개별 성분의 각각 하나가 지질 프로파일에 약간 경미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에도, 성분들의 상승작용적 활성 뿐 아니라, 본 발명의 식품 중의 이들의 상대적 비율이 당뇨병과 관련된 지질 불균형 증상의 치료에 효과적인 본 제품을 제조하는 이유이다.

    실시예 2 "당뇨병 전단계" 게르빌루스쥐에 대한 단일불포화 지방산의 작용

    당뇨병 전단계 사람은 비-당뇨병 사람과 비교하여, 높은 총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라이드 농도와 낮은 HDL 콜레스테롤 농도를 나타낼 수 있다. 본 실험은 당뇨병에 걸리기 쉬운 게르빌루스쥐에서의 지질 혈액 농도 및 지질 관리에 대해, 콜레스테롤이 없는 식이물인 식이물 C의 작용을 평가하는 것이다.

    6 마리의 성장한 수컷 삼모미스 오베수스 게르빌루스쥐를 2.93 kcal/g를 함유하고 지방 및 지질 함량만이 상이한 두개의 상이한 고에너지 식이물 (n = 30)로 무작위로 나누었다. 식이물 C의 작용을 (표 2) 기본 하를란-고에너지 식이물 (미국 위스콘신주 매디슨에 위치한 테클레드 글로벌 사)의 작용과 비교하였다. 실험 식이물을 4.5 주 동안 먹인 후, 게르빌루스쥐를 밤새 (16 h) 굶기고 희생시켰다. 간 및 부고환 지방을 수거하여 무게를 달았다. 혈액 시료를 모아서 생화학적 분석에 사용하였다.

    삼모미스 오베수스 (영양적으로 유래된 2형 당뇨병의 실험 모델)에서의 비만증 및 당뇨병의 발명에 대한 식이물 C의 작용을 설치류 표준 고에너지 (HE) 식이물과 비교하였다.

    이전의 간행물에 따르면 [Ziv and Kalman (2001), in Animal Models of Diabetes, eds. Sima and Shafrir, Harwood academic publishers, 327-342; Kalman R. et al. (1993) J Basic Clin Physiol Pharmacol. 4: 57-68], 고혈당증은 HE 식이물 섭취한지 7-14일 이내에, 상대적으로 빨리 발병된다. 보통, 게르빌루스쥐는 β-세포 기능 상실 (단계 D)로 인해, HE 식이물의 40-70일 후 사망할 것이다. 우리의 연구에서는, 식이 기간이 끝날 때쯤, HE 식이물과 비교하여 (80.0%), 식이물 C를 먹인 군에서 당뇨병 동물의 약간 낮으나 통상적인 백분율을 보였다 (73.3%). 이러한 조짐은 식이 실험의 시작 후 4.5 주인 동물들을 희생시킨 날까지, HE 식이물을 연속해서 먹인 게르빌루스쥐가 다소 낮은 생존율 (87%)을 보였고, 식이물 C를 섭취한 삼모미스 오베수스는 높은 생존율 (97%)을 나타낸 것과 서로관련이 있었다.

    식이물 C의 섭취는 HE 식이물과 비교하여, 총 콜레스테롤 농도의 주된 감소를 유도하였다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23% 감소, P-값=0.055). 더욱 현저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가 비-HDL 콜레스테롤 농도에서 관찰되었다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41% 감소, P-값=0.026).

    HE를 먹인 게르빌루스쥐와 비교하여, 총 콜레스테롤/HDL 비율의 작지만 매우 유이한 감소가 식이물 C가 공급된 게르빌루스쥐에서 관찰되었다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7% 감소, P-값=0.012). 이러한 감소는 HDL 콜레스테롤 농도의 필적하는 감소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없었는데, 이는 이들 두개의 식이물을 비교시 단지 경미한 경향만이 인지되었기 때문이다 (P-값=0.10).

    식이물 C 및 HE는 모두 어떠한 식이성 콜레스테롤 보충도 없었으므로, 사전 대비적 성분 예컨대 제제 A를 함유하는 특수 식품의 효능 (실시예 17 참조)은 식이성 및 내인성 콜래스테롤 모두의 총 콜레스테롤, 및 특히 LDL-콜레스테롤을 실질적으로 낮추는 것이 명백하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이전 보고서 [Murase et al. (2001) J. Lipid Res. 42:372-378; Murase et al. (2002) J. Lipid Res. 43:1312-1319]에서 예상했던 것처럼, 식이물 C 중 식이성 디아실글리세롤 함량은 게르빌루스쥐의 트리글리세라이드 혈장 농도에 어떠한 작용도 하지 않았다.

    비-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NIDDM) 및 인슐린 저항에 대한 위험 인자로 인식되는 비만증 및 대사성 장애 [Matsuzawa et al. (1995) Ann NY Acad Sci 748:399-406]는 에너지 흡수와 에너지 방출 사이의 불균형의 결과로서 간주된다.

    증가된 체지방 질량은 흔히 순환 유리 지방산, 인슐린, 종양 괴사 인자-α, 및 렙틴의 상을 동반하는데, 이는 이러한 분자가 비만인 사람에서 인슐린 저항을 발생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암시한다. 비만증과 인슐린 저항성 간의 연관을 설명하기 위해, 다음의 몇몇 인체계측성 파라미터를 측정하였다.

    HE가 공급된 게르빌루스쥐와 비교하여, 식이물 C의 섭취는 종료시 체중의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8.3% 감소, P-값=0.011). 또한, 간 무게가 아닌, 부고환 백색 지방 조직 (WAT) 무게 (P-값=0.41)는 HE 대조군과 비교하여 식이물 C가 공급된 게르빌루스 쥐에서 눈에띄게 감소되었다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20% 감소, P-값=0.011). 부고환 WAT 대 간 무게 비율로 표현된, 기관의 감소된 상대적 크기의 매우 유의한 상호관련성을 도 9에 도시하였다 (21% 감소, P-값=0.025).

    이러한 결과에 따라, 사전 대비적 성분 예컨대 제제 A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식품은 혈청 지질 프로파일에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체지방 축적 및 분포에도 관련이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식이물 C는 HE 대조군과 비교하여, 공복 혈장 인슐린 농도에 유의한 작용을 나타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42% 감소, P-값=0.0006). 공복 상태 하에서, 삼모미스 오베수스는 전체 고혈당증은 유사하게 남아있음에도, 고인슐린혈증은 낮게 나타났다 (P-값=0.25).

    도 11 및 도 1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식이물 C가 공급된 게르빌루스쥐는 HE가 공급된 게르빌루스쥐와 비교하여 더욱 낮은 혈청 인슐린/체중 지수 및 더욱 낮은 혈청 인슐린/혈액 포도당 농도 지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유사한 체중 또는 포도당 농도에서, 식이물 C가 공급된 동물이 더욱 낮은 혈장 인슐린 농도를 보였다 (각각, 38% 감소, P-값=0.0015 및 49% 감소, P-값=0.0015).

    공복 인슐린 감소의 중요성은 지방 조직 축적이 감소되고 인슐린 저항이 확대되는 것을 막는 (combine) 관점에서 보아야만 한다. 식이물 C 및 제제 A를 함유하는 상응 식품이 대사 불균형 상황을 전환시키는 능력을 통해, 당뇨병에 걸리기 쉬운 사람, 상이한 단계의 당뇨병 환자 및 다른 지질 불균형 고통을 겪고 있는 다른 사람을 예방 및 치료하는데 적용되어져야만 하는 이의 유익한 작용 및 효과를 입증하였다.

    이의 이로운 결과가 상대적으로 단시간 후에 명백하게 나타남으로, 본 발명의 식품, 예컨대 제제 A 함유 제품의 사용을 통해 달성될 수 있는, 제안되는 간단한 관리가 고통을 받는 사람에게 큰 이득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실시예 3: 피토스테롤이 있는 요구르트 음료

    본 발명의 과일 향의 요구르트 음료가 당뇨병 및 당뇨병 전단계 집단을 위해 처음으로 고안되었는데, 이는 어떠한 슈가도 포함하지 않고, 당뇨병 증상과 관련된 고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 및/또는 고콜레스테롤혈증에 기여하지 않는 저지방 함량을 가진다. 또한, 요구르트 음료는 추가로 높은 혈액 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추기 위해, RDA 100%를 제공하는, 콩 피토스테롤로 강화된다.

    성분: 저온살균유, 말티톨, 과일 퓨레/농축물, 분유, 가공 전분 (processed starch) (E 1422, E 1442), 천연 안정화제 (E440), 향미제, 시트르산, 콩 피토스테롤.

    영양가 (100ml): 단백질 3.1g, 탄수화물 16.4g, 지방 1.5g (1.18g 우유 지방, 0.32g 콩 피토스테롤), 칼슘 llOmg, 나트륨 76 mg.

    각각의 250ml 서빙은 0.8g의 콩 피토스테롤을 함유한다 (100% RDA).

    실시예 4; 콩 이소플라본 및 단백질이 있는 콩 음료

    본 발명의 천연 향의 콩 음료가 당뇨병 및 당뇨병 전단계 집단을 위해 처음으로 고안되었는데, 이는 어떠한 슈가도 포함하지 않고, 당뇨병 증상과 관련된 고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 및/또는 고콜레스테롤혈증에 기여하지 않는 저지방 함량을 가진다. 또한, 콩 음료는 추가로 높은 혈액 콜레스테롤 및 LDL 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추기 위해, 콩 이소플라본 및 단백질로 강화된다. 이소플라본은 혈관 탄력성을 보존할 수 있고 죽상경화성 캐스케이드를 억제할 수 있다. 콩 단백질은 또한 심혈관 보호 작용을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심질환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성분: 물, 대두, 인공 감미료, 폴리알콜, 칼슘 강화제, 산도 조절제 (E-339, E-452), 염, 향미제, 안정화제 (E-407), 콩 이소플라본.

    영양가 (100ml): 단백질 3.5g, 탄수화물 3.9g, 지방 1g (10% 포화), 칼슘 150mg, 나트륨 50 mg, 섬유질 0.9g.

    각각의 250ml 서빙은 lOOmg의 콩 이소플라본, 및 8.75g의 콩 단백질을 함유한다 (35% RDA).

    실시예 5; 마늘 추출물이 있는 샐러드 드레싱

    본 발명의 마늘 향의 샐러드 드레싱은 당뇨병 및 당뇨병 전단계 집단을 위해 처음으로 고안되었는데, 이는 어떠한 슈가도 포함하지 않고, 당뇨병 증상과 관련된 고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 및/또는 고콜레스테롤혈증에 기여하지 않는 저지방 함량을 가진다. 또한, 샐러드 드레싱은 추가로 높은 혈액 콜레스테롤 및 LDL 콜레스테롤 농도 뿐 아니라 고혈압을 낮추기 위해, 마늘 추출물로 강화된다.

    성분: 물, 식초, 올리브유, 머스타드, 염, 밀, 대두, 향신료, 섬유질, 식물 안정화제 (E-405, 구아 검), 가공된 옥수수 전분, 시트르산, 수크랄로스, 베타-카로틴, 파슬리, 마늘 추출물.

    영양가 (100ml): 단백질 0.84g, 탄수화물 3.6g (0.7g 식이 섬유), 지방 1.6g (12% 포화), 칼슘 150mg, 나트륨 300 mg, 및 마늘 추출물 800mg.

    각각의 서빙 (15 mL)은 대부분의 임상 조사에 사용되는 보편적 평균 농도인, 800mg의 마늘 추출물을 함유한다.

    비교해보면, 체중 감소에 기여하고 나아가 당뇨병에 알맞은 시판되는 샐러드 드레싱의 저지방 양태의 식이물은 약 30%가 포화된 20.9g/100g의 지방을 함유한다.

    실시예 6; 비타민 B 6 , B 12 및 폴산이 있는 유제품 음료

    본 발명의 과일 향의 우유 음료는 당뇨병 및 당뇨병 전단계 집단을 위해 처음으로 고안되었는데, 이는 어떠한 슈가도 포함하지 않고, 당뇨병 증상과 관련된 고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 및/또는 고콜레스테롤혈증에 기여하지 않는 저지방 함량을 가진다. 또한, 우유 음료는 중요한 CVD 위험 인자인, 혈액 호모시스테인 농도를 낮추기 위해, 비타민 B 6 , B 12 및 폴산으로 강화된다.

    성분: 물, 저온살균유, 분유, 폴리알콜, 과일 향미제, 과일 농축물, 천연 식품 착색제, 안정화제 E-410), 칼슘 (E-341), 염, 비타민 B 6 , B 12 및 폴산.

    영양가 (100ml): 단백질 2.5g, 탄수화물 14.6g, 지방 1.5g (15% 포화), 칼슘 100mg, 나트륨 50 mg.

    각각의 250ml 서빙은 B 6 (0.65mg, 50% RDA), B 12 (1.2mcg, 50% RDA), 및 폴산 (200mg, 50% RDA)을 함유한다.

    실시예 7: 리코펜이 있는 바베큐 소스

    본 발명의 바베큐 향의 소스는 당뇨병 및 당뇨병 전단계 집단을 위해 처음으로 고안되었는데, 이는 어떠한 슈가도 포함하지 않고, 당뇨병 증상과 관련된 고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 및/또는 고콜레스테롤혈증에 기여하지 않는 저지방 함량을 가진다. 또한, 소스는 중요한 CVD 위험 인자인, 산화적 손상을 낮추기 위해, 리코펜으로 강화된다.

    성분: 물, 토마토 농축물, 말티톨, 증류된 식초, 염, 머스타드, 토마토 섬유질, 천연 향미제, 향신료, 구아 검, 파프리카, 펙틴, 리코펜.

    영양가 (100ml): 단백질 1g, 탄수화물 36g, 지방 0.4g, 나트륨 500 mg.

    각각의 15ml 서빙은 25mg의 리코펜을 함유한다 (420mg의 6% 리코펜 제제).

    실시예 8: 아마씨유가 있는 가벼운 (light) 통밀빵

    본 발명의 가벼운 통밀빵은 당뇨병 및 당뇨병 전단계 집단을 위해 처음으로 고안되었는데, 이는 어떠한 슈가도 포함하지 않고, 당뇨병 증상과 관련된 고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 및/또는 고콜레스테롤혈증에 기여하지 않는 저지방 함량을 가진다. 또한, 빵의 지방 부분은 빵 조리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식물성 오일 및 지방 대신에, 아마씨유를 포함한다. 아마씨유는 ω-3 LC-PUFA의 전구체이고, 혈액 트리글리세라이드 농도를 낮추고 심질환의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ω-3 리놀렌산이 매우 풍부하다.

    성분: 통밀가루, 호밀가루 물, 옥수수 가루, 쌀가루, 귀리 겨, 효모, 보리 누룩, 기장, 밀 글루텐, 아마씨, 해바리기씨, 염, 대두 가루, 유화제 (E-472), 산 (E-300, E-330), 보존제, 아마씨유.

    영양가 (10Og): 단백질 12.2g, 탄수화물 21.1g, 지방 3.1g, 나트륨 410mg, 식이 섬유 13.8g.

    각각의 서빙 (슬라이스)은 약 250mg의 알파-리놀렌산에 해당하는 약 500mg의 아마씨유를 함유한다.

    실시예 9: 셀레늄이 있는 초콜렛 향의 비스켓

    본 발명의 초콜렛 향의 비스켓은 당뇨병 및 당뇨병 전단계 집단을 위해 처음으로 고안되었는데, 이는 어떠한 슈가도 포함하지 않고, 당뇨병 증상과 관련된 고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 및/또는 고콜레스테롤혈증에 기여하지 않는 저지방 함량을 가진다. 또한, 비스켓은 추가로 중요한 CVD 위험 인자인, 산화적 손상을 낮추기 위해, 많은 자연적 항산화 효소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중요한 무기질인 셀레늄으로 강화된다.

    성분: 밀가루, 말티톨, 식물유, 전분, 코코아 분말, 염, 레시틴, 발효제 (중탄산 나트륨, 나트륨 피로포스페이트), 아세술팜 K, 천연 항산화제 (로즈마리 추출물), 나트륨 셀레네이트.

    영양가 (10Og): 단백질 13.3g, 탄수화물 78g, 지방 5.5g (20% 포화), 나트륨 280 mg.

    각각의 서빙 (4 비스켓, 2Og)은 25mcg의 셀레늄을 함유한다 (50% RDI).

    비교해보면, "일반" 비스켓은 35%가 포화 지방산인 12g/100g의 지방을 함유한다. 당뇨병 환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도록 고안되어 시판되는, 상업용 당뇨병 비스켓은 약 45%가 포화된 10g/100g의 지방을 함유한다.

    실시예 10: PSE+DAG 조합물이 있는 쇼트브레드 쿠키

    본 발명의 쇼트브레드 쿠키는 당뇨병 및 당뇨병 전단계 집단을 위해 처음으로 고안되었는데, 이는 어떠한 슈가도 포함하지 않고, 당뇨병 증상과 관련된 고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 및/또는 고콜레스테롤혈증에 기여하지 않는 저지방 함량을 가진다. 또한, 쿠기의 지방 부분은 DAG 보다 더 높은 PSE 농도를 특징으로 하고, 혈액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라이드 농도를 모두 낮출 뿐 아니라, 산화적 손상을 극복하는 것으로 임상적으로 입증된, 피토스테롤 에스테르 (PSE) 및 디글리세라이드의 조합물로 대체된다 (상기 참조).

    성분: 밀가루, 말티톨, 소르비톨, 폴리덱스트로스, 말토덱스트린, 천연 향미제, 유장 단백질 농축물, 염, 중탄산 나트륨, 귀리 섬유질, 유화제, 아스파르탐, 잔탄 검, 아세술팜 K, 캐놀라 지방산의 피토스테롤 에스테르, 캐놀라유의 디글리세라이드 및 트리글리세라이드.

    영양가 (10Og): 단백질 7g, 탄수화물 8Og, 지방 6.6g (10% 포화), 나트륨 250 mg.

    각각의 서빙은 (8 쿠키, 3Og) 1.3g의 피토스테롤 에스테르 및 200-400mg의 DAG에 해당하는, 캐놀라유 중 2g의 PSE 및 DAG 조합물을 함유한다.

    비교해보면, 당뇨병 환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도록 고안되어 시판되는, 상업용 당뇨병 비스켓은 약 20%가 포화되어 있는 22g/100g의 지방은 함유하고, CVD와 관련된 당뇨병의 위험성을 낮추는 임의 추가적 사전 대비적 성분은 당연히 함유하지 않는다. 나아가 "일반" 쇼트브레드 쿠키는 포화 지방의 농도가 실제로 더 높다고 하더라고 (총 지방의 48%) 상업용 당뇨병 제품 보다 더 낮은 지방의 농도를 함유한다.

    실시예 11: 비타민 E+C 및 베타 카로틴이 있는 초콜렛으로 덮힌 웨이퍼

    본 발명의 초콜렛으로 덮힌 웨이퍼는 당뇨병 및 당뇨병 전단계 집단을 위해 처음으로 고안되었는데, 이는 어떠한 슈가도 포함하지 않고, 당뇨병 증상과 관련된 고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 및/또는 고콜레스테롤혈증에 기여하지 않는 저지방 함량을 가진다. 또한, 웨이퍼는 천연 항산화제인 비타민 E, 비타민 C, 및 베타-카로틴의 조합물로 강화되는데, 이는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기원하는 CVD 위험성을 낮추는 것을 촉진시킨다.

    성분: 말티톨, 분유, 코코아 버터, 코코아 덩어리, 식물유, 밀가루, 콩가루, 땅콩, 유화제, 염, 향미제, 발효제. 밀크 초콜렛은 코코아 고체 30% min., 비타민 E, 비타민 C, 베타-카로틴을 함유하였다.

    영양가 (10Og): 단백질 8g, 폴리올 39g, 탄수화물 15g, 지방 15g (20% 포화), 나트륨 71 mg.

    각각의 서빙 (45g 웨이퍼)은 90mg의 비타민 C (100% RDI), 15mg의 비타민 E (100% RDA) 및 15mg의 베타-카로틴 (100% RDI)을 함유한다.

    비교해보면, 당뇨병 환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도록 고안되어 시판되는, 상업용 당뇨병 초콜렛으로 덮힌 웨이퍼는 44%가 포화되어 있는 34g/100g의 지방은 함유하고, CVD와 관련된 당뇨병의 위험성을 낮추는 임의 추가적 사전 대비적 성분은 당연히 함유하지 않는다. 초콜렛으로 덮힌 웨이퍼의 "일반" 양태는 약간 더 낮은 농도의 지방 (33g/100g) 및 약간 더 낮은 농도의 포화 지방 (총 지방 중 "단지" 42%)를 함유한다.

    실시예 12: DHA/EPA가 있는 바닐라 향의 샌드위치 쿠키

    본 발명의 바닐라 향의 샌드위치 쿠키는 당뇨병 및 당뇨병 전단계 집단을 위해 처음으로 고안되었는데, 이는 어떠한 슈가도 포함하지 않고, 당뇨병 증상과 관련된 고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 및/또는 고콜레스테롤혈증에 기여하지 않는 상대적으로 저지방 함량을 가진다. 또한, 쿠키는 CVD 위험 인자는 낮추는 것을 증진시키고 나아가 인지 능력의 유지 또는 향상에 기여하기 위해, ω-3 LC-PUFA, 특히 DHA 및 EPA로 강화된다.

    성분: 말티톨, 밀가루, 불포화 식물성 오일, 발효제, 염, 레시틴, 시트르산, 향미제, 아세술팜 K, 항산화제 (로즈마리 추출물), DHA 및 EPA에 풍부한 오일.

    영양가 (10Og): 단백질 6.7g, 탄수화물 7Og, 지방 12g (10% 포화), 나트륨 157mg.

    각각의 서빙 (3 쿠키, 33g)은 냉수어 또는 해조류 추출물의 ω-3 풍부 오일로부터 기원하는 220mg의 DHA 및 EPA (33% RDA)을 함유한다.

    비교해보면, 당뇨병 환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도록 고안되어 시판되는, 상업용 당뇨병 샌드위치 쿠키는 25%가 포화되어 있는 20g/100g의 지방은 함유하고, CVD와 관련된 당뇨병의 위험성이나 또는 인지기능 저하를 낮추는 임의 추가적 사전 대비적 성분은 당연히 함유하지 않는다. 샌드위치 쿠키의 "일반" 양태는 단지 약간 고농도의 지방 (22g/100g) 및 실질적으로 더 낮은 농도의 포화 지방 (총 지방의 18%)을 함유한다.

    실시예 13; 스타틴이 있는 씁쓸하면서 달콤한 초콜렛

    본 발명의 씁쓸하면서 달콤한 초콜렛은 당뇨병 및 당뇨병 전단계 집단을 위해 처음으로 고안되었는데, 이는 어떠한 슈가도 포함하지 않고, 당뇨병 증상과 관련된 고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 및/또는 고콜레스테롤혈증에 기여하지 않는 상대적으로 저지방 함량을 가진다. 또한, 초콜렛은 중요한 CVD 위험 인자인 총 콜레스테롤 및 LDL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것을 촉진시키기 위해 스타틴으로 강화된다.

    성분: 말티톨, 코코아 덩어리, 코코아 버터, 유화제, 향미제, 스타틴.

    영양가 (10Og): 단백질 5g, 탄수화물 61g, 지방 25g (40% 포화), 나트륨 8mg.

    각각의 서빙 (2Og)은 낮은 용량의 스타틴, 예컨대 프라바스타틴 또는 로바스타틴, 예를 들어 2.5mg/서빙을 함유하여 콜레스테롤 낮추는 작용을 지속시킨다. 이러한 활성 성분을 전달하는 많은 또는 다양한 당뇨병 음식이 매우 적고(낮거나) 제한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타틴의 더 높은 용량이 상기 식품에서 전달될 수 있다.

    비교해보면, 당뇨병 환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도록 고안되어 시판되는, 상업용 당뇨병 씁쓸하면서 달콤한 초콜렛은 61%가 포화되어 있는 31g/100g의 지방을 함유하고, CVD와 관련된 당뇨병의 위험성을 낮추는 임의 추가적 사전 대비적 성분은 당연히 함유하지 않는다. 씁쓸하면서 달콤한 초콜렛의 "일반" 양태는 실제로 약간 낮은 농도의 지방 (28g/100g) 및 유사한 농도의 포화 지방 (총 지방의 60%)을 함유한다.

    실시예 14: 캐놀라유 및 폴리페놀이 있는 초콜렛 스프레드

    본 발명의 초콜렛 스프레드는 당뇨병 및 당뇨병 전단계 집단을 위해 처음으로 고안되었는데, 이는 어떠한 슈가도 포함하지 않고, 당뇨병 증상과 관련된 고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 및/또는 고콜레스테롤혈증에 기여하지 않는 상대적으로 저지방 함량을 가진다. 또한, 초콜렛 스프레드의 지방 부분은 CVD 위험 인자를 극복하기 위해, 고농도의 불포화 지방산을 특징으로 하는 캐놀라유를 처음으로 사용하며 강한 항산화 활성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놀로 추가로 강화된다. 실시예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식이물의 주요 지방으로서 불포화 지방 및 오일 (본 경우에는 HMUFA)만을 이용하는 것은 CVD 위험 인자, 예컨대 총 콜레스테롤, 비-HDL 콜레스테롤, 및 총 콜레스테롤/HDL 비율의 상당한 개선을 촉진시키는데 충분하지 않아서, 위험성을 낮추기 위해서는 추가적 사전 대비 제제가 필요하다.

    성분: 말티톨, 식물성 오일 및 지방 (주로 캐놀라유), 개암, 콩가루, 이눌린 (식이 섬유), 코코아 분말, 콩 레시틴 (유화제), 향미제, 폴리페놀 항산화제 (포도 추출물).

    영양가 (10Og): 단백질 6g, 탄수화물 49g, 지방 2Og (10% 포화), 나트륨 1mg.

    각각의 서빙 (25g)은 70mg의 폴리페놀 항산화제 예컨대 포도 추출물, 석류 추출물, 올리브 히드록시티로솔, 등을 함유한다.

    비교해보면, 당뇨병 환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도록 고안되어 시판되는, 상업용 당뇨병 초콜렛 스프레드는 38g/100g의 지방은 함유하고, CVD와 관련된 당뇨병의 위험성을 낮추는 임의 추가적 사전 대비적 성분은 당연히 함유하지 않는다. 초콜렛 스프레드의 "일반" 양태는 실질적으로 더 낮은 농도의 지방 (25.5g/100g)을 함유한다.

    실시예 15: 콩 단백질 및 피토스테롤이 있는 초콜렛 향의 웨이퍼

    본 발명의 초콜렛 향의 웨이퍼는 당뇨병 및 당뇨병 전단계 집단을 위해 처음으로 고안되었는데, 이는 어떠한 슈가도 포함하지 않고, 당뇨병 증상과 관련된 고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 및/또는 고콜레스테롤혈증에 기여하지 않는 상대적으로 저지방 함량을 가진다. 또한, 웨이퍼는 균형잡힌 혈액 지질 프로파일 및 CVD의 위험성을 감소시키는데 상승작용적으로 기여하는, 콩 단백질 및 나무 피토스테롤로 강화된다.

    성분: 말티톨, 식물성 오일 및 지방, 밀가루, 콩가루, 코코아 분말, 유화제 (레시틴), 향미제, 염, 발효제, 베이킹 개선제 (프로테아제), 콩 단백질 단리물, 나무 피토스테롤.

    영양가 (10Og): 단백질 6g, 탄수화물 66g, 지방 15g (13% 포화), 나트륨 60mg.

    각각의 서빙 (4 웨이퍼)은 lOOmg의 나무 피토스테롤 (12.5% EDA) 및 2.5g의 콩 단백질 (10% RDA)을 함유한다. 활성 성분의 이러한 농도는 다양한 식품이 1일 영양섭취를 통해 이러한 성분을 공급하게 될 때 가능하다.

    비교해보면, 당뇨병 환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도록 고안되어 시판되는, 상업용 당뇨병 초콜렛 향의 웨이퍼는 82%가 (!!!) 포화되어 있는 36g/100g의 지방은 함유하고, CVD와 관련된 당뇨병의 위험성을 낮추는 임의 추가적 사전 대비적 성분은 당연히 함유하지 않는다. 초콜렛 향의 웨이퍼의 "일반" 양태는 더 낮은 농도의 지방 (18.4g/100g) 및 실질적으로 더 낮은 농도의 포화 지방 (총 지방의 28%)을 실질적으로 함유한다.

    실시예 16: 캐놀라유 저지방 바닐라 초콜렛 아이스크림 및 콩 단백질

    본 발명의 저지방 바닐라 초콜렛 아이스크림은 당뇨병 및 당뇨병 전단계 집단을 위해 처음으로 고안되었는데, 이는 어떠한 슈가도 포함하지 않고, 당뇨병 증상과 관련된 고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 및/또는 고콜레스테롤혈증에 기여하지 않는 저지방 함량을 가진다. 또한 아이스크림의 지방 부분은 불포화 식물유, 예컨대 캐놀라유로 주로 구성된다. 아이스크림은 또한 균형잡힌 혈액 지질 프로파일 및 CVD의 위험성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하는 콩 단백질로 강화된다.

    성분: 우유, 고체 우유, 폴리덱스트로스, 말티톨, 이눌린 (식이 섬유), 코코아 분말, 글리세롤, 식물성 오일, 유화제, 안정화제, 향미제, 감미료 (아세술팜 K, 수크랄로스), 콩 단백질.

    영양가 (10Og): 단백질 1Og, 탄수화물 12.8g, 지방 1.5g (20% 포화), 섬유질 5g, 나트륨 70mg, 칼슘 114mg.

    각각의 서빙 (15Og)은 13.2g의 콩 단백질 (50% RDA)을 함유한다.

    비교해보면, 당뇨병 환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도록 고안되어 시판되는, 상업용 당뇨병 아이스크림은 74%가 (!!!) 포화되어 있는 1.5g/100g의 지방만을 함유하고, CVD와 관련된 당뇨병의 위험성을 낮추는 임의 추가적 사전 대비적 성분은 당연히 함유하지 않는다.

    실시예 17: 포스파티딜세린이 있는 요구르트 음료

    본 발명의 과일 향의 요구르트 음료는 당뇨병 및 당뇨병 전단계 집단을 위해 처음으로 고안되었는데, 이는 어떠한 슈가도 포함하지 않고, 당뇨병 증상과 관련된 고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 및/또는 고콜레스테롤혈증에 기여하지 않는 저지방 함량을 가진다. 또한, 요구르트 음료는 추가로 인지기능 저하에 대해 보호작용을 하고 인지기능 저하의 다른 단계들을 해결하기 위해, 이의 최소 1일 권장량 100%를 제공하는 포스파티딜세린으로 강화된다.

    성분: 저온살균유, 말티톨, 과일 퓨레/농축물, 분유, 가공 전분 (E1422, E1442), 천연 안정화제 (E440), 향미제, 시트르산, 포스파티딜세린.

    영양가 (100ml): 단백질 3.1g, 탄수화물 16.4g, 지방 1.5g (1.18g 우유 지방, 0.32g 콩 피토스테롤), 칼슘 llOmg, 나트륨 76 mg.

    각각의 250ml 서빙은 lOOmg의 대두 유래 포스파티딜세린을 함유한다 (최소 1일 권장량 100%).

    실시예 18: 당뇨병용 기능성 초콜렛 바

    바는 피토스테롤-에스테르의 1일 권장량의 50%를 제공하는 초콜렛 향미제 기능성 바이다. 바는 캐놀라유에 용해된 피토스테롤 에스테르 및 DAG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제제 A). 상기 조합물은 캐놀라유의 총 지방산 프로파일과 함께 70 중량%의 피토스테롤 에스테르 및 약 8 중량%의 DAG를 포함한다.

    바의 통상적인 조성: 피토스테롤 에스테르 및 DAG의 조합물 (약 1g) (제제 A). 슈가 알콜 (말티톨, 말티톨 시럽), 콩 단백질 단리물, 식이 섬유 (이눌린, 폴리 덱스트로스), 캐놀라유, 코코아 분말, 코코아 버터, 코코아 덩어리, 감미료 (수크랄로스), 유화제, 향미제. 각각의 바의 총 무게는 50 g이다.

    활성 성분 (g/서빙): 식물 스테롤 에스테르 (0.65 g/서빙), 디글리세라이드 (0.1 g/서빙).

    영양 정보

    비타민 및 무기질: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