β-시럼 유제품, 중성 지방이 격감되고/되거나 극성 지방이풍부한 유제품, 및 이들의 제조 방법

申请号 KR1020077010178 申请日 2005-10-12 公开(公告)号 KR1020070114108A 公开(公告)日 2007-11-29
申请人 폰테라 코-오퍼레이티브 그룹 리미티드; 发明人 플레쳐카트리나; 캐치폴오웬; 그레이존버트램; 프리처드마크;
摘要 Processes for producing dairy products having lower levels of neutral lipids, and/or higher levels of polar lipids, by extraction using near critical carbon dioxide or dimethyl ether. These products may be used as ingredients in infant formulas. Infant formulas containing beta-serum are also claimed. "Beta-serum" means an aqueous dairy ingredient separated from dairy streams containing greater than 60% fat which have been through phase inversion from an oil-in-water to a water-in-oil emulsion, such as the serum produced during the production of butter oil.
权利要求
  • 중성 지방이 격감된 β-시럼 유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1) 건조된 β-시럼을 준비하는 단계; 및
    (2) 상기 β-시럼을 근임계 이산화탄소 추출 공정(near 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process)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근임계 이산화탄소 압력은 73.2 bar 이상이고, 온도는 304.2 K 내지 373 K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이산화탄소 압력은 증기압 이상이고, 온도는 273 K 내지 304.1 K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이산화탄소 압력은 250 bar 이상이고, 온도는 313 K 내지 353 K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β-시럼내에 락토스 함량은 추출 공정 이전에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락토스 함량은 한외여과에 의해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락토스 함량은 한외여과 중에 정용여과에 의해서 추가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β-시럼내에 락토스 함량은 근임계 이산화탄소 단계 이전에 30 중량%(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함) 이하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락토스 함량은 근임계 이산화탄소 단계 이전에 25 중량%(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함) 이하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락토스 함량은 근임계 이산화탄소 단계 이전에 20 중량%(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함) 이하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락토스 함량은 근임계 이산화탄소 단계 이전에 10 중량%(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함) 이하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성 지방이 격감된 β-시럼 유제품은 포스포리피드(phospholipid), 스핑고리피드(sphingolipid) 및 글리코리피드(glycolipid)가 풍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중성 지방이 격감된 β-시럼 유제품은 대략 하기 성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 50~70 %의 단백질(TN×6.38);
    (b) 5~25 %의 포스포리피드 및 글리코리피드; 및
    (c) 0~10 %의 중성 지방.
  • 제 13 항에 있어서,
    중성 지방이 격감된 β-시럼 유제품은 하기 성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 60 % 이상의 단백질(TN×6.38);
    (b) 15~25 %의 포스포리피드 및 글리코리피드; 및
    (c) 대략 5 %의 중성 지방.
  • 제 13 항에 있어서,
    중성 지방이 격감된 β-시럼 유제품은 약 5 % 이하의 중성 지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중성 지방이 격감된 유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1) 건조된 고지방 저락토스 우유계 개시 물질(high-fat low-lactose dairy starting material)을 준비하는 단계;
    (2) 상기 개시 물질을 근임계 이산화탄소 추출 공정으로 처리하는 단계; 및
    연이어 상기 유제품을 분별하여(fractionating) 지방이 풍부한 분획물과 지방이 격감된 분획물을 생성하고,
    (3) 상기 지방이 격감된 유제품을 액체 디메틸 에테르 추출 공정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근임계 이산화탄소 압력은 73.2 bar 이상이고, 온도는 304.2 K 내지 373 K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이산화탄소 압력은 증기압 이상이고, 온도는 273 K 내지 304.1 K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이산화탄소 압력은 250 bar 이상이고, 온도는 313 K 내지 353 K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6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메틸 에테르를 액화하고 추출 공정의 온도에서 증기압 이상의 압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20 항에 있어서,
    액체 디메틸 에테르의 압력은 증기압보다 10 bar 이상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6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메틸 에테르의 온도는 273 K 내지 373 K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6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메틸 에테르의 온도는 293 K 내지 353 K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6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지방 저락토스 우유계 개시 물질은 고형물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이상의 지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24 항에 있어서,
    고지방 저락토스 우유계 개시 물질은 고형물 중량을 기준으로 15 중량% 이상의 지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25 항에 있어서,
    고지방 저락토스 우유계 개시 물질은 고형물 중량을 기준으로 20 중량% 이상의 지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6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지방 저락토스 우유계 개시 물질내에 락토스 함량은 30 중량%(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함)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27 항에 있어서,
    고지방 저락토스 우유계 개시 물질내에 락토스 함량은 25 중량%(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함)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28 항에 있어서,
    고지방 저락토스 우유계 개시 물질내에 락토스 함량은 20 중량%(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함)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29 항에 있어서,
    고지방 저락토스 우유계 개시 물질내에 락토스 함량은 10 중량%(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함)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6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지방 저락토스 우유계 개시 물질내에 락토스 함량은 추출 공정 이전에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31 항에 있어서,
    락토스 함량은 한외여과에 의해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32 항에 있어서,
    락토스 함량은 한외여과 중에 정용여과에 의해서 추가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6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지방 저락토스 우유계 개시 물질은 락토스가 감소된 β-시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6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지방 저락토스 우유계 개시 물질은 락토스가 감소된 버터우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6 항 내지 제 3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지방 저락토스 우유계 개시 물질은 근임계 이산화탄소 단계 이전에 분무 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6 항 내지 제 3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지방 저락토스 우유계 개시 물질은 근임계 이산화탄소 단계 이전에 동결 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6 항 내지 제 3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지방 저락토스 우유계 개시 물질은 근임계 이산화탄소 단계 이전에 진공 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6 항 내지 제 3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방이 풍부한 분획물은 50% 이상의 포스포리피드 및 글리코리피드를 포함하며, 중성 지방은 실질적으로 감소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6 항 내지 제 3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방이 풍부한 분획물은 80% 이상의 포스포리피드 및 글리코리피드를 포함하며, 중성 지방이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6 항 내지 제 3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방이 격감된 분획물은 유지방 구막 단백질(milk fat globule membrane protein)이 풍부하며, 하기 성분들을 분말을 기준으로 하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 65~79 %의 단백질(TN×6.38);
    (b) 8~12 %의 락토스;
    (c) 포스포리피드를 포함하는 지방 5~11 %(4~9 %의 분획물).
  • 제 41 항에 있어서,
    지방이 격감된 분획물은 하기 성분들을 분말을 기준으로 하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 약 72 %의 단백질(TN×6.38);
    (b) 9 %의 락토스;
    (c) 포스포리피드를 포함하는 지방 8 %(6 %의 분획물);
    (d) 5 %의 회분; 및
    (e) 4 %의 수분.
  • 지방이 풍부한 분획물과 지방이 격감된 분획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1) 고지방 저락토스 우유계 개시 물질을 준비하는 단계; 및
    (2) 상기 개시 물질을 액체 디메틸 에테르 추출 공정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43 항에 있어서,
    디메틸 에테르를 액화하고 추출 공정의 온도에서 증기압 이상의 압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44 항에 있어서,
    액체 디메틸 에테르의 압력은 증기압보다 10 bar 이상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43 항 내지 제 4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메틸 에테르의 온도는 273 K 내지 373 K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43 항 내지 제 4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메틸 에테르의 온도는 293 K 내지 353 K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43 항 내지 제 4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지방 저락토스 우유계 개시 물질은 고형물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이상의 지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48 항에 있어서,
    고지방 저락토스 우유계 개시 물질은 고형물 중량을 기준으로 15 중량% 이상의 지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49 항에 있어서,
    고지방 저락토스 우유계 개시 물질은 고형물 중량을 기준으로 20 중량% 이상의 지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43 항 내지 제 5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지방 저락토스 우유계 개시 물질내에 락토스 함량은 30 중량%(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함)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51 항에 있어서,
    고지방 저락토스 우유계 개시 물질내에 락토스 함량은 25 중량%(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함)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52 항에 있어서,
    고지방 저락토스 우유계 개시 물질내에 락토스 함량은 20 중량%(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함)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53 항에 있어서,
    고지방 저락토스 우유계 개시 물질내에 락토스 함량은 10 중량%(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함)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43 항 내지 제 5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지방 저락토스 우유계 개시 물질내에 락토스 함량은 추출 공정 이전에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55 항에 있어서,
    락토스 함량은 한외여과에 의해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56 항에 있어서,
    락토스 함량은 한외여과 중에 정용여과에 의해서 추가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43 항 내지 제 5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지방 저락토스 우유계 개시 물질은 락토스가 감소된 β-시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43 항 내지 제 5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지방 저락토스 우유계 개시 물질은 락토스가 감소된 버터우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43 항 내지 제 5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지방 저락토스 우유계 개시 물질은 액체 디메틸 에테르 추출 단계 이전에 분무 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43 항 내지 제 5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지방 저락토스 우유계 개시 물질은 액체 디메틸 에테르 추출 단계 이전에 동결 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43 항 내지 제 5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지방 저락토스 우유계 개시 물질은 액체 디메틸 에테르 추출 단계 이전에 진공 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43 항 내지 제 6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방이 풍부한 분획물은 40% 이상의 포스포리피드 및 글리코리피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43 항 내지 제 6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방이 풍부한 분획물은 하기 성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 포스포리피드를 포함하는 지방 80~90 %(35~45 %의 분획물);
    (b) 5~9 %의 회분;
    (c) 2~5 %의 락토스; 및
    (d) 2~3 %의 수분.
  • 제 43 항 내지 제 6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방이 격감된 분획물은 유지방 구막 단백질이 풍부하며, 하기 성분들을 분말을 기준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 60~80 %의 단백질(TN×6.38);
    (b) 6~12 %의 락토스; 및
    (c) 포스포리피드를 포함하는 지방의 5~11 %(5~9 %의 분획물).
  • 제 65 항에 있어서,
    지방이 격감된 분획물은 하기 성분들을 분말을 기준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 73 %의 단백질(TN×6.38);
    (b) 9 %의 락토스;
    (c) 포스포리피드를 포함하는 지방 8 %(7 %의 분획물);
    (d) 5 %의 회분; 및
    (e) 3 %의 수분.
  • 제 1 항 내지 제 6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성물.
  • 제 67 항의 생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제 67 항의 생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조제식(infant formula).
  • 제 69 항에 있어서,
    (a) 30~60 %의 락토스;
    (b) 15~35 %의 식물성 오일;
    (c) 0~40 %의 탈지 분유;
    (d) 0~40 %의 유장 단백질 농축물;
    (e) 제 67 항의 생성물 1~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조제식.
  • 제 70 항에 있어서,
    (a) 40~60 %의 락토스;
    (b) 20~30 %의 식물성 오일;
    (c) 10~15 %의 탈지 분유;
    (d) 6~8 %의 80% 단백질 유장 단백질 농축물(WPC80);
    (e) 제 67 항의 생성물 1~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조제식.
  • 제 69 항 내지 제 7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 이상의 하기 성분들을 2~4 %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조제식:
    (a) 비타민 프리믹스(premix);
    (b) 미네랄 프리믹스;
    (c) 레시틴;
    (d) 산화방지제;
    (e) 안정화제;
    (f) 뉴클레오티드.
  • 제 69 항 내지 제 7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아용 조제식은 2700 kJ/L 내지 3000 kJ/L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조제식.
  • β-시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조제식.
  • 제 74 항에 있어서,
    (a) 30~60 %의 락토스;
    (b) 15~35 %의 식물성 오일;
    (c) 0~40 %의 탈지 분유;
    (d) 0~40 %의 유장 단백질 농축물;
    (e) 1~50 %의 β-시럼 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조제식.
  • 제 75 항에 있어서,
    (a) 40~60 %의 락토스;
    (b) 20~30 %의 식물성 오일;
    (c) 10~15 %의 탈지 분유;
    (d) 6~8 %의 80% 단백질 유장 단백질 농축물(WPC80);
    (e) 1~10 %의 β-시럼 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조제식.
  • 제 76 항에 있어서,
    (a) 40~60 %의 락토스;
    (b) 20~30 %의 식물성 오일;
    (c) 10~15 %의 탈지 분유;
    (d) 6~8 %의 80% 단백질 유장 단백질 농축물(WPC80);
    (e) 2~5 %의 β-시럼 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조제식.
  • 제 74 항 내지 제 7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 이상의 하기 성분들을 2~4 %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조제식:
    (a) 비타민 프리믹스;
    (b) 미네랄 프리믹스;
    (c) 레시틴;
    (d) 산화방지제;
    (e) 안정화제;
    (f) 뉴클레오티드.
  • 제 74 항 내지 제 7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아용 조제식은 2700 kJ/L 내지 3000 kJ/L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조제식.
  • 극성 지방이 풍부하거나, 중성 지방이 격감되거나, 또는 극성 지방이 풍부하고 중성 지방이 격감된 β-시럼으로부터 수득된 분획물을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조제식.
  • 제 80 항에 있어서,
    (a) 30~60 %의 락토스;
    (b) 15~35 %의 식물성 오일;
    (c) 0~40 %의 탈지 분유;
    (d) 0~40 %의 유장 단백질 농축물;
    (e) 극성 지방이 풍부하거나, 중성 지방이 격감되거나, 또는 극성 지방이 풍부하고 중성 지방이 격감된 β-시럼으로부터 수득된 분획물 1~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조제식.
  • 제 81 항에 있어서,
    (a) 40~60 %의 락토스;
    (b) 20~30 %의 식물성 오일;
    (c) 10~15 %의 탈지 분유;
    (d) 6~8 %의 80% 유장 단백질 농축물(WPC80);
    (e) 극성 지방이 풍부하거나, 중성 지방이 격감되거나, 또는 극성 지방이 풍부하고 중성 지방이 격감된 β-시럼으로부터 수득된 분획물 1~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조제식.
  • 제 80 항 내지 제 8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 이상의 하기 성분들을 2~4 %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조제식:
    (a) 비타민 프리믹스;
    (b) 미네랄 프리믹스;
    (c) 레시틴;
    (d) 산화방지제;
    (e) 안정화제;
    (f) 뉴클레오티드.
  • 제 80 항 내지 제 8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아용 조제식은 2700 kJ/L 내지 3000 kJ/L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조제식.
  • 장 성숙(gut maturation)을 향상시키는 약제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67 항의 생성물, 제 68 항의 조성물, 또는 제 69 항 내지 제 8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아용 조제식의 용도.
  • 감염 위험을 감소시키는 약제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67 항의 생성물, 제 68 항의 조성물, 또는 제 69 항 내지 제 8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아용 조제식의 용도.
  • 장내 세균총(gut intestinal flora)의 변형 및 항원을 경쟁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67 항의 생성물, 제 68 항의 조성물, 또는 제 69 항 내지 제 8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아용 조제식의 용도.
  • 감염을 방지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67 항의 생성물, 제 68 항의 조성물, 또는 제 69 항 내지 제 8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아용 조제식의 용도.
  • 알레르기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67 항의 생성물, 제 68 항의 조성물, 또는 제 69 항 내지 제 8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아용 조제식의 용도.
  • 신경 발생을 최적화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67 항의 생성물, 제 68 항의 조성물, 또는 제 69 항 내지 제 8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아용 조제식의 용도.
  • 피부 이상(dermatological condition)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67 항의 생성물, 제 68 항의 조성물, 또는 제 69 항 내지 제 8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아용 조제식의 용도.
  • 면역 시스템 발생을 최적화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67 항의 생성물, 제 68 항의 조성물, 또는 제 69 항 내지 제 8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아용 조제식의 용도.
  • 최적 면역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67 항의 생성물, 제 68 항의 조성물, 또는 제 69 항 내지 제 8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아용 조제식의 용도.
  • 결장암(colon cancer)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67 항의 생성물, 제 68 항의 조성물, 또는 제 69 항 내지 제 8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아용 조제식의 용도.
  • 제 67 항의 생성물, 제 68 항의 조성물, 또는 제 69 항 내지 제 8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아용 조제식을 처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 성숙(gut maturation)을 향상시키는 방법.
  • 제 67 항의 생성물, 제 68 항의 조성물, 또는 제 69 항 내지 제 8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아용 조제식을 처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 위험을 감소시키는 방법.
  • 제 67 항의 생성물, 제 68 항의 조성물, 또는 제 69 항 내지 제 8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아용 조제식을 처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내 세균총(gut intestinal flora)의 변형 및 항원을 경쟁적으로 결합시키는 방법.
  • 제 67 항의 생성물, 제 68 항의 조성물, 또는 제 69 항 내지 제 8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아용 조제식을 처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을 방지하는 방법.
  • 제 67 항의 생성물, 제 68 항의 조성물, 또는 제 69 항 내지 제 8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아용 조제식을 처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레르기 발생을 방지하는 방법.
  • 제 67 항의 생성물, 제 68 항의 조성물, 또는 제 69 항 내지 제 8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아용 조제식을 처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 발생을 최적화하는 방법.
  • 제 67 항의 생성물, 제 68 항의 조성물, 또는 제 69 항 내지 제 8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아용 조제식을 처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이상(dermatological condition)을 치료하는 방법.
  • 제 67 항의 생성물, 제 68 항의 조성물, 또는 제 69 항 내지 제 8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아용 조제식을 처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시스템 발생을 최적화하는 방법.
  • 제 67 항의 생성물, 제 68 항의 조성물, 또는 제 69 항 내지 제 8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아용 조제식을 처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면역 기능을 유지하는 방법.
  • 제 67 항의 생성물, 제 68 항의 조성물, 또는 제 69 항 내지 제 8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아용 조제식을 처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장암(colon cancer)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
  • 说明书全文

    β-시럼 유제품, 중성 지방이 격감되고/되거나 극성 지방이 풍부한 유제품, 및 이들의 제조 방법{BETA-SERUM DAIRY PRODUCTS, NEUTRAL LIPID-DEPLETED AND/OR POLAR LIPID-ENRICHED DAIRY PRODUCTS, AND PROCESSES FOR THEIR PRODUCTION}

    본 발명은 유제품 및 상기 유제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제품은 유아용 조제식(infant formula)에 사용하기에 적당한 제품을 포함한다.

    시판되고 있는 유아용 조제식은 통상 사람으로부터 유래되지 않는 우유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그러나, 사람으로부터 유래된 우유의 영양 조성은 사람으로부터 유래되지 않은 우유(예컨대, 암소, 양, 들소 또는 염소의 우유)의 영양 조성과는 몇가지 측면에서 차이가 있다.

    암소, 염소 또는 양의 우유와 같이 사람으로부터 유래되지 않은 전유(whole milk)는 사람으로부터 유래된 우유보다 포화 지방산의 비율이 더 높게 포함되며, 보통의 유아의 성장에 필수적인 리놀레산 및 알파-리놀렌산, 다중불포화 지방산이 부족하다. 또한, 유지방에서 발견되는 부티르산은 유아에게 있어서 악취가 나는 구토를 일으킨다.

    그러므로, 표준 유아용 조제식은 탈지유(skim milk)와 같은 저지방 유제품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저지방 유제품을 사용한다는 것은 유지방내 바람직하지 않은 성분들이 유아용 조제식에 포함되지 않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포스포리피드(phospholipid) 및 (글리코)스핑고리피드[(glyco)sphingolipid] 수준이 사람으로부터 유래되는 우유에서보다 상당히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난 5~10 년간의 연구에서 유아용 제제에서 포스포리피드 및 (글리코)스핑고리피드 수준을 사람으로부터 유래된 우유에서 발견되는 수준[특히, 강글리오사이드(ganglioside) GM 3 , 강글리오사이드 GD 3 , 세라마이드 및 스핑고미엘린(sphingomyelin)]으로 증가시키면 하기와 같은 현상이 유도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 장 성숙(gut maturation)이 향상되어 감염의 위험을 감소시킴;

    - 장내 세균총(gut intestinal flora)의 변형 및 항원을 경쟁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감염을 방지함;

    - 알레르기의 발생을 방지함; 및

    - 최적으로 신경이 발생됨.

    그러므로, 바람직하지 않은 성분을 최소화하거나 또는 제거하면서 바람직한 지방을 충분한 수준으로 포함하는 유아용 조제식을 제조하는데 바람직하다.

    이를 달성하기위해 현재 사용되는 한가지 수단은 지방-함유 추출물 및 다른 개별의 성분을 베이스 제제에 첨가하여 목적하는 영양 프로필을 갖는 유아용 조제식을 제조하는 것이다. 지방 추출물은 종래의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 다(예를 들면 WO 94/18289에서는 용매 추출 기술을 사용하여 포스포리피드-함유 지방 농축물로부터 스핑고미엘린을 추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음). 상기 지방 추출물은 제조하는데 비용이 많이 든다. 또한, 몇몇의 관할 구역에서 규제 승인이 이들에 용도에 있어서 얻어지기 이전에 광범위한 독성 및 안전성 연구가 요구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데 사용되는 또 다른 수단은 유아용 조제식에 버터밀크를 포함하는 것이다. 버터밀크는 하기 3개의 공정들 중 하나를 실시하는 동안에 생성된 수성 부산물 스트림이다:

    (1) Fritz 버터 제조 공정 또는 배치 버터 제조 공정을 사용하는 전통적 버터 제조법;

    (2) 하기 도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크림으로부터 버터-오일(무수 유지방 또는 AMF로 알려져 있음)의 전통적 제조법;

    (3) 하기 도 2에 개시된 2개의 시럼 공정을 사용하여 크림으로부터 버터-오일의 제조법(여기서, 버터우유는 2차 탈지 스트림과 β-시럼 스트림을 함께 혼합함으로써 제조됨).

    버터우유를 포함하는 유아용 조제식은 사람으로부터 유래되지 않는 우유에서보다 바람직하지 않은 유지방 성분을 더 적게 함유하지만, 지방이 감소된 유제품에서보다 포스포리피드 및 (글리코)스핑고리피드의 수준을 더 높게 함유한다. 그러나, 상기 바람직한 지방의 수준은 사람으로부터 유래된 우유에서와 유사한 수준의 포스포리피드 및 (글리코)스핑고리피드 수준을 달성하기위해서 유장이 우세한 유아용 조제식에 사용되는 버터우유에서는 충분히 높지 않다.

    용매로서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는 초임계 추출(supercritical extraction)은 버터우유 분말로부터 중성 지방을 추출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Astaire JC, Ward R., German JB, and Jimenez-Flores R. (2003) Concentration of polar MFGM Lipids from Buttermilk by Microfiltration and Supercritical Fluid Extration J. Dairy Sci. 86, 2297-2307에서는 단백질이 풍부하고 극성 지방의 수준이 향상된 생성물을 제조하기위해서 용매로서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는 버터우유의 초임계 추출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제조된 버터우유 분말은 건조 분말 질량의 최대 2%에서 극성 지방의 수준이 낮으므로, 유아용 조제식으로 적당하지 않다.

    적당한 생성물을 제공하기위한 한가지 가능한 방법은 유제품내 지방 성분들로부터 단백질 성분들을 분리하는 것이다.

    디메틸 에테르(DME)는 날달걀 노른자(Yano 등의 US 4,157,404) 및 건조된 달걀 분말(Yano 등의 US 4,234,619)로부터 지방을 추출하는데 이미 사용되어 왔다. 상기 방법은 지방 및 단백질 성분들을 개별의 스트림으로 분획화한다. US 4,157,404에서, Yano는 지방이 날달걀 노른자(75%의 수분 함량)로부터 추출되면서 단백질은 변성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US 4,234,619에서, Yano는 달걀 노른자가 건조되는 경우 단백질이 변성되지 않으며 포스포리피드만이 일부 추출될 수 있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WO 2004/066744에서는 디메틸 에테르가 용매인 근임계 추출을 사용하여 수성 우유계 스트림으로부터 지방을 추출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WO 2004/066744에서 는 초임계 CO 2 또는 미임계(subcritical) 디메틸 에테르가 유장 단백질 농축물(WPC) 분유로부터 유용한 수득율로 지방을 추출할 수 없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은 유지방 구막 물질이 풍부한 분말로부터 지방을 추출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

    액화된 디메틸 에테르를 사용하는 추출에 의해서 높은 락토스 함량(전체 분말의 30 질량% 이상으로 높음)을 갖는 분유 스트림으로부터 지방을 추출하려는 시도는 성공적이지 못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아용 조제식에 사용될 수 있는 향상되거나 또는 대체적인 유제품을 제공하고/하거나 대중에게 유용한 선택권을 적어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낮은 수준의 중성 지방, 높은 수준의 극성 지방, 또는 낮은 수준의 중성 지방 및 높은 수준의 극성 지방을 갖는 유제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유제품은 유아용 조제식에 성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는 중성 지방이 격감된 β-시럼 유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1) 건조된 β-시럼을 준비하는 단계; 및

    (2) 상기 β-시럼을 근임계 이산화탄소 추출 공정(near 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process)으로 처리하는 단계.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β-시럼(beta-serum)"이라는 용어는 수중유적형(oil-in-water)에서 유중수적형(water-in-oil) 에멀젼으로의 상반전(phase inversion)을 통해 60 % 이상의 지방을 포함하는 우유계 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된 수성 우유계 성분을 의미한다. 크림은 β-시럼을 제조하기 위해 바람직한 개시 물질이다. 예를들면, β-시럼은 도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크림으로부터 버터오일(무수 유지방 또는 AMF로서 알려져 있음)의 제조 중에 제조된다.

    바람직하게, 건조된 β-시럼은 분말이다.

    바람직하게, 근임계 이산화탄소 압력은 73.2 bar 이상이고 온도는 304.2 K 내지 373 K(초임계 영역)이며; 또는 이산화탄소 압력은 증기압 이상이고 온도는 273 K 내지 304.1 K(미임계 영역)이다. 더 바람직하게, 이산화탄소 압력은 250 bar 이상이고 온도는 313 K 내지 353 K이다.

    바람직하게, β-시럼내에 락토스 함량은 추출 공정 이전에 감소한다. 바람직하게, 락토스 함량은 한외여과에 의해서 감소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락토스 함량은 한외여과 중에 정용여과에 의해서 추가로 감소된다.

    바람직하게, 락토스 함량은 근임계 이산화탄소 단계 이전에 30 중량%(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함) 이하로 감소된다. 더 바람직하게, 락토스 함량은 근임계 이산화탄소 단계 이전에 25 중량%(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함) 이하로 감소된다. 더 바람직하게, 락토스 함량은 근임계 이산화탄소 단계 이전에 20 중량%(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함) 이하로 감소된다. 가장 바람직하게, 락토스 함량은 근임계 이산화탄소 단계 이전에 10 중량%(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함) 이하로 감소된다.

    바람직하게, 중성 지방이 격감된 β-시럼 유제품은 포스포리피드, 스핑고리피드 및 글리코리피드가 풍부하다. 바람직하게, 유제품은 대략 50~70 %의 단백질(TN×6.38), 바람직하게는 60 % 이상의 단백질(TN×6.38); 5~25 %의 포스포리피드 및 글리코리피드, 바람직하게 15~25 %의 포스포리피드 및 글리코리피드; 및 0~10 %의 중성 지방, 바람직하게 대략 5 %의 중성 지방을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 유제품은 약 5 % 이하의 중성 지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중성 지방이 격감된 유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1) 건조된 고지방 저락토스 우유계 개시 물질(high-fat low-lactose dairy starting material)을 준비하는 단계;

    (2) 상기 개시 물질을 근임계 이산화탄소 추출 공정으로 처리하는 단계; 및

    연이어 상기 유제품을 분별하여(fractionating) 지방이 풍부한 분획물과 지방이 격감된 분획물을 생성하고,

    (3) 상기 지방이 격감된 유제품을 액체 디메틸 에테르 추출 공정으로 처리하는 단계.

    바람직하게, 근임계 이산화탄소 압력은 73.2 bar 이상이고 온도는 304.2 K 내지 373 K(초임계 영역)이며; 또는 이산화탄소 압력은 증기압 이상이고 온도는 273 K 내지 304.1 K(미임계 영역)이다. 더 바람직하게, 이산화탄소 압력은 250 bar 이상이고 온도는 313 K 내지 353 K이다.

    바람직하게, 디메틸 에테르를 액화하고 추출 공정의 온도에서 증기압 이상의 압력으로 가압하며, 더 바람직하게 증기압보다 10 bar 이상 더 높다. 바람직하게, 온도는 273 K 내지 373 K, 더 바람직하게는 293 K 내지 353 K이다.

    "고지방(high fat)"이라는 용어는 고형물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이상의 지방,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이상의 지방,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이상의 지방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저락토스(low-lactose)"라는 용어는 락토스 함량이 30 중량% 이하(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함)인 것을 의미한다. 더 바람직하게, 락토스 함량은 25 중량% 이하(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함)이다. 더 바람직하게, 락토스 함량은 20 중량% 이하(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함)이다. 가장 바람직하게, 락토스 함량은 10 중량% 이하(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함)이다.

    바람직하게, β-시럼내 락토스 함량은 추출 공정 이전에 감소한다. 바람직하게, 락토스 함량은 한외여과에 의해서 감소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락토스 함량은 한외여과 중에 정용여과에 의해서 추가로 감소된다.

    바람직하게, 고지방 저락토스 우유계 개시 물질은 락토스가 감소된 β-시럼이다. 선택적으로 고지방 저락토스 우유계 개시 물질은 락토스가 감소된 버터우유이다.

    바람직하게, 고지방 저락토스 우유계 개시 물질은 근임계 이산화탄소 단계 이전에 분무 건조된다. 선택적으로, 고지방 저락토스 우유계 개시 물질은 근임계 이산화탄소 단계 이전에 동결 건조 또는 진공 건조된다.

    지방이 풍부한 분획물은 50% 이상의 포스포리피드 및 글리코리피드를 포함하며 중성 지방이 실질적으로 감소된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 지방이 풍부한 분획물은 80% 이상의 포스포리피드 및 글리코리피드를 포함하며 중성 지방이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지방이 격감된 분획물은 유지방 구막 단백질(milk fat globule membrane protein)이 풍부하며, 분말을 기준으로 하여 65~79 %의 단백질(TN×6.38), 8~12 %의 락토스, 포스포리피드를 포함하는 지방 5~11 % (4~9 %의 분획물)를 포함하며, 더 바람직하게 약 72 %의 단백질(TN×6.38), 9 %의 락토스, 포스포리피드를 포함하는 지방 8 % (6 %의 분획물), 5 %의 회분 및 4 %의 수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지방이 풍부한 분획물과 지방이 격감된 분획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1) 고지방 저락토스 우유계 개시 물질을 준비하는 단계; 및

    (2) 상기 개시 물질을 액체 디메틸 에테르 추출 공정으로 처리하는 단계.

    지방이 격감된 분획물은 유지방 구막 단백질을 전부 포함하며, 그러므로 유지방 구막 단백질 성분과 더 강하게 결합되어 건강상의 잇점을 제공하기위해서 유아용 조제식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디메틸 에테르가 액화하고 추출 공정의 온도에서 증기압 이상의 압력으로 가압하며, 더 바람직하게 증기압보다 10 bar 이상 더 높다. 바람직하게, 온도는 273 K 내지 373 K이며, 더 바람직하게 293 K 내지 353 K이다.

    "고지방(high fat)"이라는 용어는 고형물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이상의 지방,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이상의 지방,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이상의 지방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저락토스(low-lactose)"라는 용어는 락토스 함량이 30 중량% 이하(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함)인 것을 의미한다. 더 바람직하게, 락토스 함량은 25 중량% 이하(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함)이다. 더 바람직하게, 락토스 함량은 20 중량% 이하(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함)이다. 가장 바람직하게, 락토스 함량은 10 중량% 이하(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함)이다.

    바람직하게, β-시럼내 락토스 함량은 추출 공정 이전에 감소된다. 바람직하게, 락토스 함량은 한외여과에 의해서 β-시럼 또는 개시 물질내에서 감소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락토스 함량은 한외여과 중에 정용여과에 의해서 추가로 감소된다.

    바람직하게, 고지방 저락토스 우유계 개시 물질은 락토스가 감소된 β-시럼이다. 선택적으로, 고지방 저락토스 우유계 개시 물질은 락토스가 감소된 버터우유이다.

    바람직하게, 고지방 저락토스 우유계 개시 물질은 액체 디메틸 에테르 추출 단계 이전에 분무 건조된다. 선택적으로, 고지방 저락토스 우유계 개시 물질은 액체 디메틸 에테르 추출 단계 이전에 동결 건조 또는 진공 건조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지방이 풍부한 분획물은 40% 이상의 포스포리피드 및 글리코리피드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CO 2 로 먼저 중성 지방을 반응시키지 않으며, DME는 극성 지방 및 중성 지방을 추출하기 때문에, 상기 DME 지방 추출은 공급물 중에서와 동일한 비율의 중성 지방-대-포스포리피드를 포함할 것이다. 예를들면, 약 1.2의 포스포리피드에 대한 중성 지방의 비율을 함유하는 공급물에 있어서, 3 %의 수분을 기준으로 하여 DME 지방 추출물의 조성물은 포스포리피드를 포함하는 지방 80~90 % (35~45 %의 분획물), 5~9 %의 회분, 2~5 %의 락토스 및 2~3%의 수분을 포함한다.

    지방이 격감된 분획물은 유지방 구막 단백질이 풍부하며, 분말을 기준으로 약 60~80 %의 단백질(TN×6.38), 6~12 %의 락토스, 포스포리피드를 포함하는 지방 5~11 % (5~9 %의 분획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73 %의 단백질(TN×6.38), 9 %의 락토스, 포스포리피드를 포함하는 지방 8 % (7 %의 분획물), 5 %의 회분 및 3 %의 수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생성물내 단백질의 수준은 시료내에 전체 질소(TN)에 인자 6.38을 곱함으로써 계산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생성물, 및 상기 생성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유아용 조제식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유아용 조제식(infant formula)"이라는 용어는 유아 0~12 개월용 조제식, 유아 6~12 개월용 조제식[성장기 조제 분유(follow-on formula)], 및 어린이(toddler and young children)용 조제식(1~7 년 성장기용 우유/분유)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하기 성분들을 포함하는 유아용 조제식을 제공한다:

    (a) 30~60 %의 락토스;

    (b) 15~35 %의 식물성 오일;

    (c) 0~40 %의 탈지 분유;

    (d) 0~40 %의 유장 단백질 농축물;

    (e)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생성물 1~50 %.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하기 성분들을 포함하는 유아용 조제식을 제공한다:

    (a) 40~60 %의 락토스;

    (b) 20~30 %의 식물성 오일;

    (c) 10~15 %의 탈지 분유;

    (d) 6~8 %의 80% 단백질 유장 단백질 농축물(WPC80);

    (e)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생성물 1~5 %.

    또한, 유아용 조제식은 하기 성분들 중 1 이상을 2~4 % 포함할 수 있다:

    (a) 비타민 프리믹스(premix);

    (b) 미네랄 프리믹스;

    (c) 레시틴;

    (d) 산화방지제;

    (e) 안정화제;

    (f) 뉴클레오티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유아용 조제식은 2700 kJ/L 내지 3000 kJ/L을 제공하도록 제제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성분으로서 β-시럼을 포함하는 유아용 조제식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유아용 조제식은 하기 성분들을 포함한다:

    (a) 30~60 %의 락토스;

    (b) 15~35 %의 식물성 오일;

    (c) 0~40 %의 탈지 분유;

    (d) 0~40 %의 유장 단백질 농축물;

    (e) 1~50 %의 β-시럼 분말.

    더 바람직하게, 유아용 조제식은 하기 성분들을 포함한다:

    (a) 40~60 %의 락토스;

    (b) 20~30 %의 식물성 오일;

    (c) 10~15 %의 탈지 분유;

    (d) 6~8 %의 80% 단백질 유장 단백질 농축물(WPC80);

    (e) 1~10 %의 β-시럼 분말.

    가장 바람직하게, 유아용 조제식은 하기 성분들을 포함한다:

    (a) 40~60 %의 락토스;

    (b) 20~30 %의 식물성 오일;

    (c) 10~15 %의 탈지 분유;

    (d) 6~8 %의 80% 단백질 유장 단백질 농축물(WPC80);

    (e) 2~5 %의 β-시럼 분말.

    또한, 유아용 조제식은 하기 성분들 중 1 이상을 2~4 % 포함한다:

    (a) 비타민 프리믹스;

    (b) 미네랄 프리믹스;

    (c) 레시틴;

    (d) 산화방지제;

    (e) 안정화제;

    (f) 뉴클레오티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유아용 조제식은 2700 kJ/L 내지 3000 kJ/L를 제공하도록 제제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극성 지방이 풍부하거나, 중성 지방이 격감되거나, 또는 극성 지방이 풍부하고 중성 지방이 격감된 β-시럼으로부터 수득된 분획물을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유아용 조제식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유아용 조제식은 하기 성분들을 포함한다:

    (a) 30~60 %의 락토스;

    (b) 15~35 %의 식물성 오일;

    (c) 0~40 %의 탈지 분유;

    (d) 0~40 %의 유장 단백질 농축물;

    (e) 극성 지방이 풍부하거나, 중성 지방이 격감되거나, 또는 극성 지방이 풍부하고 중성 지방이 격감된 β-시럼으로부터 수득된 분획물 1~50 %.

    더 바람직하게, 유아용 조제식은 하기 성분들을 포함한다:

    (a) 40~60 %의 락토스;

    (b) 20~30 %의 식물성 오일;

    (c) 10~15 %의 탈지 분유;

    (d) 6~8 %의 80% 단백질 유장 단백질 농축물(WPC80);

    (e) 극성 지방이 풍부하거나, 중성 지방이 격감되거나, 또는 극성 지방이 풍부하고 중성 지방이 격감된 β-시럼으로부터 수득된 분획물 1~5 %.

    또한, 유아용 조제식은 하기 성분들 중 1 이상을 2~4 % 포함할 수 있다:

    (a) 비타민 프리믹스;

    (b) 미네랄 프리믹스;

    (c) 레시틴;

    (d) 산화방지제;

    (e) 안정화제;

    (f) 뉴클레오티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유아용 조제식은 2700 kJ/L 내지 3000 kJ/L를 제공하도록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성물, 조성물 및 유아용 조제식은 건강에 유익함을 주도록 처방될 수 있다.

    예를들면, 하기와 같이 건강에 유익함을 주는 것이 계획되었다:

    - 장 성숙(gut maturation)을 향상시킴

    - 감염 위험을 감소시킴

    - 장내 세균총(gut intestinal flora)을 변형하고 항원을 경쟁적으로 결합시킴

    - 감염을 방지함

    - 알레르기 발생을 방지함

    - 신경 발생을 최적화함

    - 피부 이상(dermatological condition)을 치료함

    - 면역 시스템 발생을 최적화함

    - 최적 면역 기능을 유지시킴

    - 결장암(colon cancer)을 예방 또는 치료함.

    본 발명자들은 β-시럼내 포스포리피드 및 강글리오사이드의 수준이 유아용 조제식의 강화에 사용되기에 적당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고지방 저락토스(저락토스 β-시럼을 포함함)인 유제품이 처리되어 중성 지방의 수준을 낮추거나, 극성 지방의 수준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중성 지방의 수준을 낮추고 극성 지방의 수준을 증가시킴으로써, 유아용 조제식의 강화에 더 적당한 제품을 형성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에 개시된 방법들은 독성 잔류물을 남기지 않으므로 최종 유제품의 추가 처리가 요구되지 않는 공정 및 추출 기술들을 사용한다.

    부가적으로, 용매로서 이산화탄소로 한외여과 및 근임계 추출을 사용하면 아세톤 및 에탄올과 같은 종래의 용매를 사용했을 때와 비교하여 생성물 중에 용매 잔류물이 최소화되거나 또는 전혀 남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제품을 사용했을 때 규제적 승인을 획득하는 것이 더 용이하였다. 부가적으로, 종래의 용매들은 단백질을 광범위하게 변성시켜서 상기 용매를 유아용 조제식 용도를 위한 유제품을 제조하는데 적당하지 않게 만든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우유계(dairy)"라는 용어는 우유 및 이의 제품을 포함하거나 관련된 것을 의미한다. 이는 사람, 암소, 들소 및 염소에 의해서 생성된 우유를 포함하지만, 이들 동물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모든 물질들은 물질의 액체 상태와 증기 상태가 동일하게 되는 이의 "임계(critical)" 시점을 갖는다. 물질의 임계점에 근접하면, 물질은 액체와 기체 특성을 갖는 유액 상태에 있다. 유액은 액체와 유사한 밀도를 가지며 기체와 유사한 점도 및 확산도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초임계(supercritical)" 라는 용어는 물질의 임계점 이상의 압력-온도 영역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미임계(subcritical)"라는 용어는 액체의 증기압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이지만 임계 온도보다는 낮은 압력-온도 영역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근임계(near critical)"라는 용어는 "초임계" 영역과 "미임계" 영역을 모두 포함하며 임계점에 근접한 압력과 온도를 나타낸다.

    도 1은 크림으로부터 버터오일을 제조하는 전통적인 방법 및 상기 공정 동안 버터우유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크림으로부터 버터오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공정 동안 β-시럼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를 추가로 설명한다.

    실시예 1: 유장 단백질 농축물 분말의 추출

    본 실시예는 높은 농도의 유장 단백질을 갖는 분말로부터 지방을 추출함으로써 지방의 매우 낮은 수득율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80.26 중량%의 단백질, 6.83 중량%의 지방 및 3.57 중량%의 수분을 포함하는 유장 단백질 농축물 분말은 근임계 용매 이산화탄소, 프로판 및 디메틸 에테르(DME)로 추출된다. 용매, 압력, 온도, 사용된 고형물의 질량, 사용된 용매의 질량 및 추출 고형물, 및 지방 수득율이 표 1에 개시되어 있다.

    지방 수득율은 매우 낮으며, 추출 온도가 증가되어도 추출 수득율이 목적하는 수준으로 증가되지 않는다.

    실시예 2: 초임계 CO 2 에 의한 표준 락토스 β-시럼 분말의 추출

    본 실시예는 중성 지방의 추출이 표준 락토스 함량을 갖는 β-시럼 분말로부터 가능하지만, 수득율은 락토스 함량이 감소되어진 분말에서보다 상당히 적다는 것을 보여준다. 최종 분말의 단백질 및 전체 포스포리피드 함량은 낮다. 하기 조성을 갖는 β-시럼 분말은 300 bar 및 313 K에서 초임계 CO 2 로 추출된다: 배치 1 전체 단백질 29.4 %, 락토스 42.5 %, 전체 지방 19.7 %, 수분 3.1 % 및 회분 6 %; 배치 2 전체 단백질 31.7 %, 락토스 44.6 %, 전체 지방 20.6 %, 수분 2.3 % 및 회분 6.1 %. 전체 지방은 중성 지방, 포스포리피드, 강글리오사이드, 세라마이드 및 세레브로사이드, 예컨대 락토실세라마이드로 이루어진다. 지방 추출 결과 및 추출물내 포스포리피드의 중량은 표 2에 개시되어 있다. 중성 지방만이 초임계 CO 2 로 추출되며, 이는 지방의 다른 타입으로서, 특히 포스포리피드는 상기 용매 중에 용해되지 않기 때문이다.

    추출 이후에 분말 조성물은 하기와 같다: 배치 1 전체 단백질 32.0 %, 락토스 47.9 %, 전체 지방 13.6 %, 수분 3.8 % 및 회분 3 %; 배치 2 전체 단백질 34.2 %, 락토스 44.2 %, 전체 지방 11.3 %, 수분 3.5 % 및 회분 6.3 %.

    배치 2로부터 분말은 유장 단백질 변성에 있어서 시험한다. 카제인 단백질은 변성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 대표적인 분말 시료가 수득되고, 물과 혼합되어 용액내에 대략 3 %의 유장 단백질을 제공한다. 카제인은 염산으로 pH 4.6에서 침전되고, 원심분리에 의해서 용액으로부터 제거된다. 남아있는 가용성 유장 단백질의 조성은 역상 크로마토그래피(reverse phase chromatography)에 의해서 측정된다. 가용성 유장 단백질은 공급물내 단백질 100 g당 13.43 g에서 추출된 분말내 단백질 100 g당 8.39 g으로 감소된다. 이는 천연(변성되지 않은)의 β-락토글로불린에서 매우 크게 감소된다. 단백질 변성으로 실시예 3에서 기술된 생성물에서보다 유아용 조제식에 덜 적당한 분말이 만들어진다.

    실시예 3: 초임계 CO 2 로 저락토스 β-시럼 분말의 추출

    본 실시예는 90 % 이상의 수득율을 갖는 중성 지방의 추출이 저락토스 β-시럼 분말로부터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β-시럼의 락토스 함량의 감소는 한외여과에 의해서 부피 농축 인자 8로 실시된다. 최종 분말 중에 단백질 및 전체 포스포리피드 함량은 높다. 하기 조성을 갖는 저락토스 β-시럼 분말은 300 bar 및 313 K에서 초임계 CO 2 로 추출된다: 배치 3 저락토스 전체 단백질 48.3 %, 락토스 14.4 %, 전체 지방 30.1 %, 수분 3.0 % 및 회분 4.8 %; 배치 4 전체 단백질 52.0 %, 락토스 7.8 %, 전체 지방 31.9 %, 수분 2.7 % 및 회분 4.8 %. 지방 추출 결과, 추출물내 포스포리피드의 중량이 표 3에 개시되어 있다. 중성 지방만이 초임계 CO 2 에 의해서 추출되며, 이는 지방의 다른 타입으로서, 특히 포스포리피드는 상기 용매 중에 용해되지 않기 때문이다.

    추출 이후에 분말 조성물은 하기와 같다: 배치 3 전체 단백질 57.3 %, 락토스 15.1 %, 전체 지방 18.7 %, 전체 포스포리피드 14.4 %, 수분 4.1 % 및 회분 5.7 %; 배치 4 전체 단백질 61.6 %, 락토스 10.1 %, 전체 지방 21.9 %, 전체 포스포리피드 16.8 %, 수분 4.5 % 및 회분 5.6 %. 초임계 CO 2 에 의해 추출된 배치 3 및 배치 4는 ~ 0.7 중량%에서 강글리오사이드의 향상된 수준을 갖는다. 잔류 분말내에 전체 지방과, 포스포리피드 및 강글리오사이드 사이의 남아 있는 차이는 대개 세라마이드 및 세레브로사이드, 특히 락토실세라마이드로 이루어진다.

    배치 3(저락토스) 및 배치 4(매우 적은 락토스)로부터의 분말을 단백질 변성 시험을 실시하여 실시예 2에서와 같이 유아용 조제식에 사용하기에 적당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가용성 유장 단백질은 배치 3에 있어서 공급물내 단백질 100 g 당 12.20 g에서 추출된 분말내 단백질 100 g 당 13.57 g 으로 증가되었고; 배치 4에 있어서 공급물내 단백질 100 g 당 12.44 g에서 추출된 분말내 단백질 100 g 당 12.94 g으로 증가되었다. 단백질 변성의 결여, 및 추출된 저락토스 분말내의 높은 단백질 및 포스포리피드 함량은 유아용 조제식으로 매우 적당하다.

    실시예 4: 초임계 CO 2 연이어 근임계 디메틸 에테르에 의한 표준 및 저락토스 β-시럼 분말의 추출

    본 실시예는 초임계 CO 2 로 먼저 추출되어진 β-시럼 분말로부터 고수득율로 포스포리피드를 추출하는 것이 분말 중의 락토스 함량이 감소되는 경우에만 가능하며; 디메틸 에테르 추출 온도는 추출 수득율에 영향을 주는 것을 보여준다. 본 실시예는 추출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추출 이후에 분말내에 최종 포스포리피드 함량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2 및 3에서 제조된 일부 탈지된 분말 배치 2(표준 락토스 함량, 공급물 중량 4318.7 g), 3(저락토스, 공급물 중량 2952.6 g) 및 4(매우 적은 락토스, 공급물 중량 2668.2 g)는 40 bar 및 293 K에서 디메틸 에테르로 각각 12.236 ㎏, 13.828 ㎏ 및 5.117 ㎏을 사용하여 재추출한 후; 40 bar 및 323 K에서 디메틸 에테르로 각각 13.037 ㎏, 10.962 ㎏ 및 6.965 ㎏을 사용하여 재추출한다. 추출 수득율 결과는 표 4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전체 지방 추출물은 293 K에서 배치 4에 있어서 2.5 중량%; 323 K에서 배치 4에 있어서 1 중량%에서 상당한 수준의 강글리오사이드를 포함한다. 모든 분말내 단백질 함량은 디메틸 에테르 추출 이후에 공급물에 대해 증가한다. CO 2 및 디메틸 에테르 추출 이후에 분말 조성물은 하기와 같다: 배치 2 전체 단백질 34.6 %, 락토스 47.1 %, 전체 지방 8.9 %, 전체 포스포리피드 6.3 %, 수분 2.7 % 및 회분 6.7 %; 배치 3 전체 단백질 64.4 %, 락토스 17.9 %, 전체 지방 8.4 %, 전체 포스포리피드 5.7 %, 수분 3.6 % 및 회분 5.4 %; 배치 4 전체 단백질 73.2 %, 락토스 8.7 %, 전체 지방 7.6 %, 수분 4.3 % 및 회분 5.1 %. 두 분말들은 대략 0.4 중량%에서 상당한 수준의 강글리오사이드를 포함한다. 잔류 분말내 전체 지방과, 포스포리피드 및 강글리오사이드 함량 사이의 남아 있는 차이는 대부분 세라마이드 및 세레브로사이드, 특히 락토실세라마이드로 이루어진다.

    초임계 CO 2 및 디메틸 에테르 추출 이후에 배치 2(표준 락토스 함량), 3(저락토스) 및 4(매우 적은 락토스)로부터의 분말은 실시예 2에서와 같이 단백질 변성에 대해서 시험한다. 가용성 유장 단백질은 배치 2에 있어서 단백질의 100 g 당 13.43 g에서 DME 추출된 분말에서 단백질 100 g당 8.00 g으로 감소된다. 가용성 유장 단백질은 배치 3에 있어서 공급물내 단백질의 100 g 당 12.20 g에서 추출된 분말내 단백질 100 g당 15.23 g으로 증가되며; 배치 4에 있어서 공급물내 단백질의 100 g 당 12.44 g에서 추출된 분말내 단백질 100 g당 16.98 g으로 증가된다. 단백질 변성의 결여, 및 추출된 저락토스 분말내의 높은 단백질 및 포스포리피드 함량은 유아용 조제식에 매우 적당하다. 디메틸 에테르에 의한 추출은 명백한 유장 단백질 가용성을 증가시키는 예기치 못한 결과를 가지며, 공급물로부터 락토스의 제거에 의해서 초기에 감소된다.

    실시예 5: 디메틸 에테르에 의한 표준 및 저락토스 분말의 추출

    본 실시예는 β-시럼 분말로부터 높은 수득율로 중성 지방 및 포스포리피드의 추출은 초임계 CO 2 로 분말을 이전에 추출하지 않고 용매로서 디메틸 에테르를 사용하여 분말의 락토스 함량이 감소되는 경우에만 가능하며; 디메틸 에테르 추출 온도는 추출 수득율에 영향을 주는 것을 보여준다. 본 실시예는 추출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추출 이후에 분말내에 최종 포스포리피드 함량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2에서 제공된 바와 같은 조성을 갖는 배치 2(표준 락토스 함량, 공급물 중량 4245.6 g); 및 실시예 3에서 제공된 바와 같은 조성을 갖는 배치 3(저락토스, 공급물 중량 3407.5 g) 및 배치 4(매우 적은 락토스, 공급물 중량 3204.4 g)는 40 bar 및 293 K에서 디메틸 에테르로 각각 13.426 ㎏, 12.666 ㎏ 및 13.938 ㎏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 40 bar 및 323 K에서 디메틸 에테르로 각각 15.727 ㎏, 11.673 ㎏ 및 11.123 ㎏을 사용하여 재추출한다. 추출 수득율 결과는 표 5에 개시되어 있다.

    모든 분말들의 단백질 함량은 디메틸 에테르 추출 이후에 공급물에 대해서 증가한다. 디메틸 에테르 추출 이후에 분말 조성은 하기와 같다: 배치 2 전체 단백질 34.8 %, 락토스 44.2 %, 전체 지방 16.3 %, 포스포리피드 8.3 %, 수분 2.3 % 및 회분 6.2 %; 배치 3 전체 단백질 65.1 %, 락토스 15.3 %, 전체 지방 8.3 %, 포스포리피드 6.7 %, 수분 2.2 % 및 회분 5.3 %; 배치 4 전체 단백질 73.3 %, 락토스 8.8 %, 전체 지방 8.3 %, 전체 포스포리피드 6.8 %, 수분 2.6 % 및 회분 5.2 %. 배치 3 및 배치 4에 있어서, 전체 지방과 포스포리피드 함량 사이의 차이는 강글리오사이드, 세라마이드 및 세레브로사이드로 이루어진다.

    디메틸 에테르 추출 이후에 배치 2(표준 락토스 함량), 3(저락토스) 및 4(매우 적은 락토스)로부터의 분말은 실시예 2에서와 같이 단백질 변성에 있어서 시험한다. 가용성 유장 단백질은 배치 1에 있어서 단백질의 100 g 당 13.43 g에서 단백질 100 g당 14.38 g으로 증가되며; 배치 3에 있어서 공급물내 단백질의 100 g 당 12.20 g에서 추출된 분말내 단백질 100 g당 15.47 g으로 증가되며; 배치 4에 있어서 공급물내 단백질의 100 g 당 12.44 g에서 추출된 분말내 단백질 100 g당 15.55 g으로 증가된다. 단백질 변성의 결여, 및 DME 추출된 저락토스 분말내의 높은 단백질 함량은 넓은 범위의 식용, 특히 스포츠 영양학(sport nutrition)에 적당하다. 디메틸 에테르로의 추출은 명백하게 유장 단백질 가용성을 증가시키는 예기치 못한 결과를 가지며, 공급물로부터 락토스의 제거에 의해서 초기에 감소된다. 전체 지방 및 포스포리피드의 추출 수득율은 추출 용매로서 디메틸 에테르만을 사용하는 경우 높은 락토스 함량(배치 2)을 갖는 분말에 대해서 매우 낮다. 높은 함량의 중성 지방은 상기 분말이 유아용 조제식에 적당하지 않게 만든다.

    실시예 6: 선택된 유제품내 포스포리피드 및 강글리오사이드의 수준

    사람으로부터 유래된 우유 중의 포스포리피드 함량은 전형적으로 200~400 ㎎/L이다[Jensen RG (1989) Textbook of Gastroenterology and Nutrition in Infancy , 2 nd Edition, E. Lebenthal(Ed), Raven Press Ltd, New York, 157-208].

    Harzer G, Haug M, Dieterich I & Gentner PR (1983) Changing patterns of human milk lipids in the course of the lactation and during the day.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37, 612-621에 따르면, 사람으로부터 유래된 우유의 36일후 포스포리피드 조성은 포스파티딜콜린(PC) 24.9 %,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PE) 27.7 %, 포스파티딜세린(PS) 9.3 %, 포스파티딜이노시톨(PI) 5.4 % 및 스핑고미엘린(SM) 32.4 %.

    표 6은 하기의 포스포리피드 함량을 보여준다:

    - β-시럼 분말(생성물 A)

    - 저락토스 β-시럼 분말(생성물 B)

    - 중성 지방이 격감된 β-시럼 분말(생성물 C), 및

    - DME 추출 이후에 지방 추출물(생성물 D) 및 생성물 C의 잔류 분말(생성물 E)

    상기 생성물들은 소의 우유로부터 유래된다.

    생성물 A(β-시럼 분말)는 도 2에 개시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생성물 B(저락토스 β-시럼 분말)는 생성물 A의 한외여과에 의해서 제조된다. 생성물 C는 실시예 3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생성물 D 및 E는 실시예 4에서 배치 4에 대해서 기술된 바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되며, 단 단일 단계 DME 추출이 55 ℃에서 실시된다.

    전체 지방 함량은 변형된 Roese-Gottlieb 방법에 의해서 측정되며, 여기서 지방 추출물은 진공 증발되며, 오븐 건조에 대해서 동결 건조(저온도 건조는 지방 추출물내 암모니아의 존재에 의해서 오븐 건조하는 동안 발생되는 포스포리피드 가수분해를 최소화시킴)시킨다. 전체 포스포리피드 함량은 변형된 Roese-Gottlieb 지방 추출물의 인 함량에 25.5를 곱함으로써 계산된다[McDowell AKR (1958) Phospholipids in New Zealand dairy products. Journal of Dairy Research , 25, 192-202].

    개개의 포스포리피드는 31 P NMR에 의해서 측정된다.

    Pan XL & Izumi T (2000)의 Variation of the ganglioside compositions of human milk, cow's milk and infant formulas. Early Human Development , 57, 25-31에서는 강글리오사이드 GD3 및 강글리오사이드 GM3은 사람으로부터 유래된 우유에서 전체 강글리오사이드의 약 60%를 나타내며 지방이 결합된 시알산(LBSA) 함량에 의해서 측정된 바와 같은 유아용 조제식의 전체 강글리오사이드 함량은 사람으로부터 유래된 우유에서보다 상당히 낮다. 사람으로부터 유래된 우유내 강글리오사이드 GD3과 강글리오사이드 GM3의 함량은 락테이션(lactation)의 단계에 따라 10~16 ㎎/L이다(Nakano et al., 2001 Sialic acid in human milk: Composition and functions. Acta Paediatrica Taiwanica, 42, 11-17). 표 6에서는 생성물 A, 생성물 B, 생성물 C, 생성물 D 및 생성물 E의 강글리오사이드 GD3 및 강글리오사이드 GM3 함량을 나타낸다. 강글리오사이드 GD3 및 강글리오사이드 GM3 수준은 하기와 같이 계산된다: 시료는 클로로포름/메탄올/물 6:3:0.45내에 용해되고 여과된다. 그 후 강글리오사이드는 강한 음이온 교환 고체상 추출에 의해서 GM3 및 GD3으로 분리되며, 시알산은 Svennerholm의 레조르시놀법에 의해서 정량화한다(Svennerholm, L. 1957. Quantitative estimation of sialic acids. Ⅱ. A colorimetric resorcinol-hydrochloric acid Method. Biochim. Biophys. Acta. 24: 604-611). 그 후 시알산 수준은 GM3 및 GD3의 농도를 계산하기위해서 사용된다.

    실시예 7: 선택된 유제품을 포함하는 유아용 조제식

    표 7은 공급 준비된(RTF) 유아용 조제식(IF)의 "전체" 강글리오사이드(강글리오사이드 GD3 + 강글리오사이드 GM3) 함량을 16 ㎎/L로 증가시키기위해서 분말을 기준으로 하여 유아용 조제식에 첨가될 필요가 있는 각 생성물(A, B, C, D 및 E)의 비율을 나타낸다.

    표준 유아용 조제식내 상기 성분들의 기준값은 0 %이며, 유아용 조제식 분말은 13 %의 전체 고형물로 재구성되며, RTF IF의 밀도는 1.0 ㎏/L인 것으로 추정된다.

    표 7에 개시된 β-시럼 생성물 첨가 비율은 유아용 조제식의 개개의 포스포리피드 함량을 사람으로부터 유래된 우유에서 발견되는 것보다는 더 큰 수준으로 증가시키며, 단 생성물 E는 예외이며, 부가된 PE 및 PS 수준은 사람으로부터 유래된 우유에서 발견되는 것보다는 약간 낮다(표준 유아용 조제식내 상기 성분들의 기준값은 아마도 상기 부족액을 보충한다). 생성물 D는 콩 레시틴 대신에 사용되며, 유아용 조제식을 인스턴트화하기위해 통상 사용되어 더 용이하게 재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 8: 유아용 조제식

    공급 준비된 전체 고형물 = 13.0 %

    유장 대 카제인 비율 = 60:40(전체 단백질 중의 유장 단백질 적어도 60.0 %)

    단백질 표적물 6 = 14 g/L

    지방 표적물 6,7 = 35.4~37.6 g/L

    탄수화물 표적물 6 = 72.1~72.9 g/L

    [ 6 철분 함유 Similac Advance와 철분 함유 Enfamil LIPIL에 기준하며, 철분 함유 Enfamil LIPIL은 100 cal당 g으로 보고되며(예컨대, g/100 g), 본 생성물에 있어서 2800 KJ/L의 RTF 에너지 함량이 추정되었다.

    7 각각 Similac과 Enfamil 제품에 있어서 추정값]

    상기 표적물 수준은 유아용 조제식의 ANZFA 에너지 요구량(energy requirement)을 만족시킨다(2700~3000 kJ/L). 단백질, 탄수화물 및 지방 수준의 총합과 13 %의 전체 고형물 표적물사이의 차이는 비타민 및 미네랄 프리믹스, 산화방지제, 레시틴(최종 유아용 조제식을 인스턴트화하기위해서 사용됨) 및 가능한 뉴클레오티드/뉴클레오사이드인 것으로 추정된다. 상기 성분들은 전형적으로 약 3 %의 분말 유아용 조제식으로 정량된다.

    유아용 조제식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오일 믹스는 사람으로부터 유래된 우유와 근접한 지방산 프로필을 달성하기위해서 통상 식물성 오일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유아용 조제식에 통상 사용되는 식물성 오일은 고급 올레산의 팜 올레인(oleic palm olein), 고급 올레산의 해바라기 오일, 고급 올레산의 잇꽃 오일, 코코넛 오일 및 대두유이다. 또한, 많은 최상의 브랜드는 각각 도코사헥사에노산 및 아라키돈산의 공급원으로서 어류/미생물 및 균류(菌類) 오일을 포함한다.

    유아용 조제식 1(β 시럼 분말-생성물 A를 사용함):

    영양 조제식(nutritional formula)은 하기를 포함한다:

    a. 약 46.54 %의 락토스

    b. 약 26.92 %의 오일 믹스(45 %의 고급 올레산의 팜 올레인, 20 %의 대두유, 20 %의 코코넛 오일 및 15 %의 고급 올레산의 잇꽃 오일 또는 고급 올레산의 해바라기 오일을 포함함)

    c. 약 13.85 %의 탈지분유(SMP)

    d. 약 6.54 %의 ALACEN 392(80 %의 단백질 유장 단백질 농축물)

    e. 약 3.15 %의 β-시럼 분말(생성물 A)

    f. 약 3.00 %의 비타민 및 미네랄 프리믹스, 레시틴, 산화방지제/안정화제, 임의 성분, 예컨대 뉴클레오티드

    유아용 조제식 2(저락토스 β 시럼 분말-생성물 B를 사용함):

    영양 조제식은 하기를 포함한다:

    a. 약 47.69 %의 락토스

    b. 약 26.92 %의 오일 믹스

    c. 약 13.85 %의 SMP

    d. 약 6.54 %의 ALACEN 392

    e. 약 1.92 %의 저락토스 β-시럼 분말(생성물 B)

    f. 약 3.08 %의 비타민 및 미네랄 프리믹스, 레시틴, 산화방지제/안정화제, 임의 성분, 예컨대 뉴클레오티드

    유아용 조제식 3(생성물 C를 사용함):

    영양 조제식은 하기를 포함한다:

    a. 약 47.69 %의 락토스

    b. 약 26.92 %의 오일 믹스

    c. 약 13.85 %의 SMP

    d. 약 6.54 %의 ALACEN 392

    e. 약 1.73 %의 생성물 C

    f. 약 3.27 %의 비타민 및 미네랄 프리믹스, 레시틴, 산화방지제/안정화제, 임의 성분, 예컨대 뉴클레오티드

    유아용 조제식 4(생성물 D를 사용함):

    영양 조제식은 하기를 포함한다:

    a. 약 46.54 %의 락토스

    b. 약 26.92 %의 오일 믹스

    c. 약 16.15 %의 SMP

    d. 약 6.77 %의 ALACEN 392

    e. 약 0.51 %의 생성물 D

    f. 약 3.11 %의 비타민 및 미네랄 프리믹스, 레시틴, 산화방지제/안정화제, 임의 성분, 예컨대 뉴클레오티드

    유아용 조제식 5(생성물 E를 사용함):

    영양 조제식은 하기를 포함한다:

    a. 약 50.77 %의 락토스

    b. 약 26.92 %의 오일 믹스

    c. 약 8.23 %의 SMP

    d. 약 6.00 %의 ALACEN 392

    e. 약 4.40 %의 생성물 E

    f. 약 3.68 %의 비타민 및 미네랄 프리믹스, 레시틴, 산화방지제/안정화제, 임의 성분, 예컨대 뉴클레오티드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를 설명하는 것이다. 당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이 수많은 변형 및 수정으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할 것이다. 예를들면, 추출에 있어서 온도 및 압력은 개시 물질의 단백질 및 락토스 함량이 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제품은 소비자에게 있어서 피부 또는 일반적 영양적 잇점으로 스포츠 영양학 및 노인용 식품과 같은 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적어도 일부로 구성되는(consisting at least in part of)' 것을 의미하며, 즉 상기 용어(term), 특징(feature)을 포함하는 본 명세서를 해석하는 경우 모두 존재할 필요가 있고 다른 특징이 또한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