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어 장치 및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申请号 KR1020050065797 申请日 2005-07-20 公开(公告)号 KR101275959B1 公开(公告)日 2013-06-14
申请人 하만 베커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게엠베하; 发明人 랄프베렌스;
摘要 본발명은전자시스템, 특히차량용멀티미디어시스템을제어하기위한제어장치에관한것으로서, 상기제어장치는로터리-푸쉬-버튼스위치및 상기스위치를지지하기위한프레임을구비한다. 상기로터리-푸쉬-버튼스위치(32)는상기프레임의제1 위치와제2 위치사이에활주가능하게배열되어있고, 상기로터리-푸쉬-버튼스위치(32)의위치를감지하기위한위치감지요소(54)가마련되는데, 상기위치에따라상기로터리-푸쉬-버튼스위치가제1 모드또는제2 모드로조작된다. 본발명은또한상기의제어장치를구비하는차량용멀티미디어장치에도관련된다.
权利要求
  •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로서,
    로터리-푸쉬-버튼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으로서, 상기 로터리-푸쉬-버튼 스위치(32)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활주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는, 상기 프레임과,
    상기 로터리-푸쉬-버튼 스위치(32)의 상기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 감지 요소(54)로서, 상기 위치에 따라 상기 로터리-푸쉬-버튼 스위치가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로 작동되는, 상기 위치 감지 요소(54)와,
    상기 로터리-푸쉬-버튼 스위치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활주 이동을 위해 상기 프레임에 결합하도록 되어 있는 지지판(38)과,
    상기 로터리-푸쉬-버튼 스위치(32) 주위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판(38) 상에서 지지되는 복수 개의 스위치(3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푸쉬-버튼 스위치(32)를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에 해제가능하게 유지하는 잠금 수단(5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4개의 푸쉬 스위치(36)가 상기 로터리-푸쉬-버튼 스위치 주위에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32, 36) 또는 상기 위치 감지 요소(54)에 의해 발생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기(5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송신기 요소(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신기 요소는 블루투스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신호를 와이어를 통해 전송하기 위한 와이어-바운드(wired-bound) 송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41)은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로터리-푸쉬-버튼 스위치의 활주이동을 안내하고 제한하기 위한 2개의 평행한 장공(4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감지 요소에 할당되고, 상기 로터리-푸쉬-버튼 스위치의 위치를 상이한 색의 조명에 의해 신호하게 하는 조명 요소(6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 삭제
  •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로서,
    대쉬보드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는 전방 패널(22)과,
    상기 전방 패널에 의해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장치(24) 및
    제1항 또는 제2항의 상기 제어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전방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떨어져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 说明书全文

    제어 장치 및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CONTROLLER DEVICE AND CAR MULTIMEDIA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개략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어 장치의 측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2개의 다른 위치의 본 발명의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멀티미디어 장치 20 : 전방 패널 유닛

    22 : 전방 패널 24 : 디스플레이 장치

    30 : 제어 장치 32 : 로터리-푸쉬-버튼 스위치

    33 : 회전축 36 : 푸쉬 스위치

    38 : 지지판 41 : 프레임

    43 : 플레이트 47 : 가이드 핀

    49 : 장공 52 : 스위칭 전자 요소

    54 : 위치 감지 요소 56 : 송신기 요소

    58 : 잠금 요소 61 : 조명 요소

    본 발명은 로터리-푸쉬-버튼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을 구비하는, 전자 시스템, 특히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제어 장치는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이들 제어 장치는 예컨대 차량 내부의 오디오 컴포넌트를 제어하는 데 이용된다. 특히, 로터리-푸쉬-버튼 스위치가 채용되어, 그 스위치를 회전시킴으로써 오디오 컴포넌트의 음량을 조절하고,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컴포넌트를 온-오프시킨다.

    최근, 소위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이 점점 더 대중화되어 가고 있다. 멀티미디어 시스템은 오디오 컴포넌트뿐만 아니라, 인터넷 브라우저, 이메일 서비스 및 네비게이션 서비스 등과 같은 몇 가지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공되는 기능과 서비스의 증가된 수 때문에, 정보의 판독 및 기능과 서비스의 선택과 관련하여 특히 이러한 시스템을 조작하는 것도 또한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다. 기능과 서비스의 선택과 조작을 허용하기 위해, 현재 상용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은 제2 로터리-푸쉬-버튼 스위치를 구비한다. 이 스위치를 회전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장치상의 커서 같은 마크를 한 가지 선택 아이템에서 다른 아이템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각각의 선택 아이템의 조작은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실행될 수도 있다.

    비록 이러한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은 잘 작동하지만, 인체공학적으로 개량된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중 하나는 인체공학적으로 개량된, 전술한 바와 같은 제어 장치 및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로터리-푸쉬-버튼 스위치가 프레임에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 활주가능하게 배열되어 있고, 상기 로터리-푸쉬-버튼 스위치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 감지 요소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로터리-푸쉬-버튼 스위치의 위치에 따라 상기 로터리-푸쉬-버튼 스위치가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로 작동되는 전술한 제어 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로터리-푸쉬-버튼 스위치는 상기 로터리-푸쉬-버튼 스위치의 회전축에 수직인 평면상에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를 움직인다. 위치 감지 요소는 로터리-푸쉬-버튼 스위치의 위치를 탐지하고, 그에 반응하여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를 작동시키도록 해 준다. 예를 들어 제1 모드에서는 로터리-푸쉬-버튼 스위치는 제어 장치를 사용하는 각각의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음량을 조절하게 해 준다. 또한, 예컨대 제2 모드에서는 동일한 로터리-푸쉬-버튼 스위치가 인터넷, 이메일 및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기능과 서비스를 선택하고 작동시키도록 해 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어 장치는 상용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로터리-푸쉬-버튼 스위치 하나를 제거하여, 2개가 아닌 1개의 로터리-푸쉬-버튼 스위치만 을 사용할 수 있게 해 준다. 그러나 이렇게 로터리-푸쉬-버튼 스위치가 감소해도, 시스템의 조작은 더 복잡해지지 않는다. 반대로, 사용자가 제1 위치와 제2 로터리-푸쉬-버튼 스위치 사이를 이동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조작은 더 개선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어 장치를 통해 인체공학적 개선이 이루어지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로터리-푸쉬-버튼 스위치를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에 해제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잠금 수단이 마련된다.

    이러한 조치는 로터리-푸쉬-버튼 스위치가 설정 위치에서 벗어난 원치 않은 이동을 하지 않도록 하여 각각의 위치에 고정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잠금 수단은 촉각적으로, 예컨대 클릭에 의해 사용자에게 양 위치 중 어느 하나에 도달했음을 지시하게 된다.

    보다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4개의 푸쉬 스위치가 상기 로터리-푸쉬-버튼 스위치 주위에 등간격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조치는 제어 수단의 융통성, 특히 다른 제어 신호의 발생 가능성이 증가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보다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위치 및/또는 상기 위치 감지 요소에 의해 발생된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기가 마련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기는 무선으로 상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송신기를 구비한다. 다시 말해서, 제어 장치는 제어 케이블이나 와이어 등을 설치할 필요없이 제어 신호를 각각의 전자 시스템, 특히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는 제어 장치의 융통성과 적용 범위를 상당히 증대시킨다. 무선 송신기 요소는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표준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게 해 주는 블루투스 요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 전송을 위해 표준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이용하면 표준 오프-더-셀프(off-the-shelf) 부품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의 측면에서 유리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어 장치는 데이터의 무선 전송에 한정되지 않는다. 물론, 케이블이나 와이어 등을 경유하여 각각의 제어 신호가 전송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프레임은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로터리-푸쉬-버튼 스위치(그리고 선택적으로는 상기 4개의 푸쉬-스위치)의 이동을 안내하고 제한하기 위한 적어도 1개, 바람직하게는 2개의 평행한 장공(長空)을 구비한다.

    다시 말해서 그것은, 로터리-푸쉬-버튼 스위치가, 예컨대 2개의 핀을 매개로 하여 장공에 결합되는 것이다. 첫째로, 장공은 로터리-푸쉬-버튼 스위치의 활주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정지 부재(stop member)로서 작용한다. 둘째로, 장공은 로터리-푸쉬-버튼 스위치의 이동을 인도하고 확실하게 소정 경로 상으로 이동하도록 해 준다.

    이러한 조치의 이점은 본 발명의 구조적인 설계가, 로터리-푸쉬-버튼 스위치의 활주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다른 가능한 설계보다 덜 복잡하고, 따라서 덜 비싸다는 것이다.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위치 감지 요소에 할당되고, 상기 로터리-푸쉬-버튼 스위치의 위치를 광학적으로, 바람직하게는 각종 색상의 조명으로 신호하게 하는 조명 요소가 마련된다.

    즉, 광원은, 로터리-푸쉬-버튼 스위치의 지정 위치에 따라서 제1 또는 제2 색상으로 빛을 방사한다. 예를 들어, 스위치가 제1 위치에 있을 때는 광원이 적색을 방사하고, 제2 위치에 있을 때는 녹색을 방사한다. 광원 그 자신은 사용자의 직접 시야(direct field of view) 안에, 바람직하게는 로터리-푸쉬-버튼 스위치와 그 주위의 요소들 사이의 간격을 통해 빛을 방사하기 위해 제어 장치 안에 배치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 광원은 간접 조명과 같이 작동한다.

    이러한 조치의 이점은 인체공학의 개선에서 나타날 수 있다.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로터리-푸쉬-버튼 스위치 및 선택적인 4개의 추가 스위치를 지지하고 상기 활주 이동을 위한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지지판이 마련된다.

    즉, 선택적인 4개의 추가 스위치뿐만 아니라 로터리-푸쉬-버튼 스위치는, 상기 프레임에 차례로 결합되는 각각의 지지판에 의해 지지되고, 그것은 다시 유닛을 고정하고 활주 이동을 가능케 위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다. 따라서, 지지판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로터리-푸쉬-버튼 스위치와 함께 이동된다.

    이러한 조치의 이점은 매우 견고하고 신뢰성 있는 제어 장치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대쉬보드(dashboard)에 배치되도록 되는 전방 패널(front panel) 및 상기 전방 패널에 의해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고, 본 발명의 제어 장치에 의해 특징지워지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이는 다시 말해서, 전술한 본 발명의 제어 장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구성 요소로 쓰인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어 장치는 종래 기술에서 사용된 2개의 로터리-푸쉬-버튼 스위치를 제거하고, 그 대신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2개의 각기 다른 모드로 작동될 수 있는 1개의 로터리-푸쉬-버튼 스위치를 사용하도록 해 준다.

    따라서, 2개가 아닌 단지 1개의 로터리-푸쉬-버튼 스위치만을 사용함으로써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가 인체공학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 위에서 더 많은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기 위해 크기가 증가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 장치는 전방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이는 제어 장치가 대쉬보드의 중앙 및 수평부의 어느 위치(2개의 전방 시트의 사이)에도 배치될 수 있지만, 디스플레이 장치는 대쉬보드의 오디오 컴포넌트를 위해 정해진 전형적으로 표준화된 위치(설치 슬롯)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조치의 이점은 제어 장치가 챠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전방 패널의 영역 안에 배열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가 더욱 증가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더 많은 특징 및 이점이 얻어질 수 있다.

    상기 및 이하에서 설명될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지시된 각각의 조합에서뿐만 아니라 다른 조합으로 또는 개별적으로도 이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에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참조 번호 10이 부여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필요한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부품의 일부분만 도시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는 복수 개의 기능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복수 개의 컴포넌트 또는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예컨대,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는 라디오 방송을 재생하기 위한 라디오 튜너 유닛; 길 안내(route guidance)를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유닛; 음악 또는 비디오 디스크를 재생하기 위한 CD 및 DVD 플레이어; 전화 통화를 하게 해 주는 GSM 모바일 유닛; 또는 이메일 등과 같은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인터넷 유닛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열거 사항은 완전한 것이 아니며, 따라서 여타의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더 많은 유닛이 마련될 수도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10)는 전방 패널(22) 및 상기 전방 패널에 결합된 디스플레이 장치(24)를 구비하는 전방 패널 유닛(20)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방 패널의 크기는 차량 대시보드에서의 DIN(Deutsche Industric Normen) ISO(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설치 슬롯의 수납구(receiving opening)의 크기에 맞추어진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는 전방 패널의 크기에 따라 각각 맞춰지는데, 여기서 실질적으로 전방 패널의 전체 영역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점유된다. 디스플레이 장치(24)는 도트 매트릭스 디스플레이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 장치(24) 상에는, 선택 가능 메뉴 아이템과 같은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메뉴 아이템은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각각의 기능과 서비스를 작동시키기 위해 필요하다. 선택 및 조작 과정은 제어 장치(30)에 의해 수행된다.

    도식적으로 나타낸 제어 장치(30)는 차량 내부에서 전방 패널 유닛(20)과 멀리 떨어진 곳에 배치되고, 이 유닛과 무선으로 통신한다. 제어 정치(30)와 전방 패널 유닛(20) 사이에는 데이터 전송 매체로서 블루투스 프로토콜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 장치(30)는 로터리-푸쉬-버튼 스위치(32 ; 이하 RP-스위치로 약칭함)를 구비한다. RP-스위치(32)는 2가지의 다른 기능을 제공하는데, 즉 로터리 스위치는 회전축(33) 주위로 회전시킴으로써 작동될 수 있고, 푸쉬 스위치는 회전축(33) 방향으로 그것을 누름으로써 작동될 수 있다. 화살표(34)는 이러한 누르는 동작의 방향을 나타낸다.

    RP-스위치(32) 주위에는 등간격으로 떨어진, 4개의 푸쉬 스위치(36.1, 36.2, 36.3, 36.4)가 마련된다. 푸쉬 스위치(36)는 회전축(33)에 수직인 평면상에 배치된다. 푸쉬 스위치(36)는 화살표(35)로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33)과 평행한 방 향으로 그것을 누름으로써 작동된다. 따라서 이러한 제어 장치는 전체적으로 5개의 푸쉬 스위치와 1개의 로터리 스위치를 제공한다.

    제어 장치(30), 즉 RP-스위치(32), 푸쉬 스위치(36) 및 지지판(38)은 프레임(도 2에 도시) 상에 활주가능하도록 배열되고,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 그리고 그 반대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방향은 화살표(39)로 표시되었다. 제어 장치(30)의 이동은 회전축(33)에 수직인 평면에서 일어나는데, 이는 지지판(38)의 이동과 평행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 장치(30)는 각각 제1 위치와 제2 위치에 고정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제어 장치(30)는 구동력이 제거되었을 때 주 위치 또는 원래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하지 않게 된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제어 장치(30)는 측 단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도 1에서와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부여되었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30)는 지지판(38)뿐만 아니라 제어 장치에 필요한 여타의 컴포넌트를 지지하도록 기능하는 프레임(41)을 구비한다.

    지지판(38)은 지지판(38)의 하측에 장착되고 플레이트(43)를 통해 연장되는 가이드 핀(47)을 구비한다. 플레이트(43)에는 가이드 핀(47)을 수용하기 위한 각각의 장공이 마련된다. 도 3a 및 도 3b에서 보일 것과 같이 장공(49)은 플레이트(43)의 반대측에 마련된다. 장공(49)은 가이드 핀(47)을 인도할 뿐만 아니라 지지판(38), 따라서 스위치(32, 36)의 양쪽 방향에서의 이동을 제한하는 정지 수단 (stop means)으로서 기능을 한다. 도 2a에서는, 지지판(38), 따라서 스위치(32, 36)가 그것의 외부 좌측 위치(제1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하고, 도 2b에서는, 지지판(38), 따라서 스위치(32, 36)가 그것의 외부 우측 위치(제2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한다.

    프레임(41)의 내부 공간에는 몇 가지 전자 컴포넌트가 수용된다. 예컨대, RP-스위치(32)의 스위칭을 감지하기 위한 전자 요소들 및 푸쉬 스위치(38)가 지지판(38)의 바로 아래에 마련된다. 이러한 요소들에는 참조 번호 52가 부여되었다. 위치 감지 요소(54)는 인접한 스위칭 전자 요소(52)에 인접해 있다. 위치 감지 요소(540는 지지판(38), 따라서 RP-스위치(32)의 이동을 감지하도록 된다. 특히, 위치 감지 요소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에의 도달을 감지한다. 이에 응답하여, 위치 감지 요소(54)는 차량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전방 패널 유닛(20)으로 전송될 위치 감지 신호를 발생시킨다.

    위치 감지 신호를 위치 감지 요소(54)뿐만 아니라 모든 스위치(32, 36)로부터 전송하기 위하여, 제어 장치(30)는 프레임(41)에 역시 마련된 송신기 요소(56)를 구비한다. 송신기(56)는 위치 감지 요소(54) 및 스위칭 전자 요소(52)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이러한 제어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이러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전방 패널 유닛에는 각각의 수신기가 마련된다. 물론 전방 패널 유닛 안의 송신기(56) 및 상응하는 수신기는 신호의 송수신을 하게 해 주는 트랜시버 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이는 전방 패널 유닛(20)과 제어 장치(30) 간의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제어 장치(30)는 스위치(32, 36)를 가진 지지판(38)을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 해제가능하게 고정하는 잠금 요소(58)를 더 구비한다. 잠금 요소(58)는 기계적 기반으로 작동되고, 제1 위치와 제2 위치에 지지판(38)을 각각 고정하며, 지지판(38) 또는 RP-스위치(32) 상에 반대 방향으로 소정의 힘이 작용하는 것에 응답하여 지지판(38)과의 결합을 풀어준다.

    제어 장치(30)가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 잠금 힘은 차량 및 지지판(38) 상에의 작용에 의해 유발된 어떠한 가속력이나 진동에 관계없이 지지판(38)이 그 위치를 이탈하지 않을 정도로 선택되어야 한다. 잠금 요소(58)는 지지판(38)이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응답해서만 그 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보증하여야 한다.

    제어 장치(30)는 지지판(38)의 방향으로 빛을 방사하는 광원(61)을 더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원(61)은 프레임(41)의 바닥에 배열된다. 그러나 광원(61)은 지지판(38)이 방향으로 빛을 방사할 수만 있다면 프레임(41) 안의 어느 위치에도 마련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광원(61)에 의해 방사된 빛은 프레임(41)의 개구(45)를 통과하고, 몇몇의 스위치(32, 36) 사이의 위치(63)에 도달한다. 광원(61)은 2개의 각기 다른 색상의 광원, 예컨대 적색 광원 및 녹색 광원을 구비한다. 지지판(38)의 위치에 따라서, 광원(61)은 적색광 또는 녹색광을 방사한다. 그 결과 사용자는 빛의 색상을 통하여 지지판(38)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도 2a는 지지판(38)을 구비한 제어 장치(30)가 제2 위치에 있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2a와의 그 이상의 다른 차이점은 광원(61)의 위치이다. 도 2b에서는 광원(61)은 프레임(41)의 바닥이 아닌 플레이트(43)에 바로 인접하여 마련된다.

    도 3a 및 도 3b에서는 제어 장치(30)의 평면도가 도시된다. 도 3a에서는 지지판(38) 및 스위치(32, 36)가 제1 위치에 있고, 반면 도 3b에서는 지지판(38)이 제2 위치에 있다. 양 도면으로부터 명백하다시피, 가이드 핀(47)은 프레임(41)의 플레이트(43) 상에 마련된 장공(49) 안에서 인도된다. 가이드 핀(47)이 제1 위치에서 장공(49)의 좌단부와 맞대어 있고, 제2 위치에서 장공(49)의 우단부와 맞대어 있는 것 역시 도 3a 및 도 3b로부터 명백하다.

    또한, 도 3a 및 도 3b는 스위치(32)와 스위치(36) 간의 간격(63)을 도시하는데, 이것을 통해서 빛이 프레임의 내부에서 외부로 투과된다.

    도 1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30)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10), 특히 전방 패널 유닛(20)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어 장치(30)는 여타의 전자 장치, 예컨대 단순 차량용 라디오 장치나 심지어는 차량용 분야를 벗어난 전자 시스템의 제어를 위해서도 역시 이용될 수 있다.

    제어 장치(30)는 지지판(38)과 그에 따른 RP-스위치(32) 및 4개의 스위치(36.1, 36.2, 36.3, 36.4)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 및 그 반대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양 위치 간의 이동은 제1 위치에 부여된 제1 스위치 모드 및 제2 위치에 부여된 제2 스위치 모드 사이에서 스위칭을 하는 데에 이용된다. 2개의 스위치 모드를 사용함으로써, RP-스위치(32) 및 4개의 스위치(36)는 2개의 각각의 스위칭 유닛(예컨대, 종래 기술의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의 로터리-푸쉬-버튼 스위치의 2개의 로터리 손잡이와 같은)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예를 들어 RP-스위치(32)는 제1 스위치 모드가 작동될 때는 오디오 유닛의 음량을 제어하기 위해 이용되고, 제2 스위치 모드가 작동되면, 메뉴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상의 커서를 움직이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단지 지지판(38)을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또는 그 반대고 이동시킴으로써 양 스위치 모드 사이를 손쉽게 토글(toggle)할 수 있다.

    간단히 예를 들자면, 제1 스위치 모드(지지판이 제1 위치에 있음)에서는, RP-스위치(32)는 음량을 제어하고(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 스위치(32)를 누름으로써 시스템을 온-오프시키시키도록 기능을 한다. 그리고 스위치(36.1, 36.2, 36.3, 36.4)는 전화 기능, 네비게이션 기능, CD/DVD 기능 및 튜너 기능을 각각 작동시키도록 한다.

    제2 스위치 모드(지지판이 제2 위치에 있음)에서는, RP-스위치(32)는 스위치(32)를 회전함으로써 메뉴 아이템을 선택하고, 스위치(32)를 누름으로써 선택된 메뉴 아이템을 작동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스위치(36.1, 36.2, 36.3, 36.4)는 백키(back key), CD/DVD 배출키, 소프트키 1 및 소프트키 2로서 각각 기능을 하도록 된다.

    이렇게 스위치에 기능을 할당하는 것은 단지 하나의 가능성이며, 달리 할당하는 것도 물론 안출가능하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간단히 요약하면, 본 발명의 제어 장치(30)는 전자 시스템, 바람직하게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매우 용이하고 인체공학적인 제어를 가능하게 함을 의미한다. 제어 장치(30)는 2개의 각기 다른 위치에서 동일한 제어 유닛을 사용함으로써, 종래 기술에서 사용된 2개의 각각의 제어 유닛을 대체하도록 해 준다. 사용자는 제1 스위치 모드에서 제2 스위치 모드로 스위칭한 결과로 제어 유닛(제어판(38) 및 스위치(32, 36))을 하나의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도면에서 도시된 실시예는 RP-스위치(32) 및 푸쉬 스위치(36)를 지지하기 위해 지지판(38)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지지판(38)이 본 발명을 실시하는 데에 있어 단지 선택적인 것이며 필수적인 것이 아님을 인지할 것이다. RP-스위치(32) 및 스위치(36)가 이동하는 것만이 단지 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는 반드시 4개의 푸쉬 버튼(36)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제어 장치(30)에 단지 RP-스위치(36) 및 1개의 푸쉬 스위치(36)만이 마련될 수도 있다.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은 이제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형태로 본 발명의 광범위한 사상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비록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되었지만, 숙련된 개업자들로서는 도면,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의 연구를 통해 여타의 변형이 명백할 것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가 이에 한정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