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의 저소음 패키지

申请号 KR1020070127274 申请日 2007-12-10 公开(公告)号 KR1020080071882A 公开(公告)日 2008-08-05
申请人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산키시스템; 发明人 야베도시아끼; 시이노끼가즈아끼; 이이다가즈요시; 이께다고오지;
摘要 A low noise package for a machine is provided to improve the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of a package by minimizing reduction in the amount of cold wind. A low noise package for a machine comprises a plurality of polyester fiber-based sound absorbing pipes(40) having a cylindrical shape disposed at both sides of an intake port(11A) and an exhaust port(13A). The polyester fiber-based sound absorbing pipe is formed by cylindrically winding a high molecule-based non-woven fabric around the surface of preform of a polyester fiber. A solid shaft or an intermediate shaft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polyester fiber-based sound absorbing pipe. A metal or resin-based net structure or a hole opening structure is installed on the high molecule-based non-woven fabric.
权利要求
  • 흡입구 또는 배기구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원통 형상으로 가공한 폴리에스테르 섬유계 흡음통을 그것의 장축이 상기 흡입구 또는 상기 배기구를 흐르는 공기의 흐름 방향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지지재에 복수개 배치한 흡음 구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의 저소음 패키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계 흡음통은,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모재의 표면에 고분자계 부직포를 원통 형상으로 권취하여 복합한 흡음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의 저소음 패키지.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계 흡음통의 원통 중심에, 실축 또는 중간축을 관통시킨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의 저소음 패키지.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계 부직포 위에, 금속 혹은 수지계의 그물눈 구조체 혹은 구멍 개방 구조체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의 저소음 패키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재가 폴리에스테르 섬유계 흡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의 저소음 패키지.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계 흡음재가,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모재의 표면에 고분자계 부직포를 복합한 흡음 구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의 저소음 패키지.
  • 제2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가 글래스 울 또는 연질 우레탄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의 저소음 패키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 구조가 제거 자유로운 카세트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의 저소음 패키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재를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계 흡음통의 양단부 이외의 부위에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의 저소음 패키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재에 반원의 절결부를 복수 형성하고, 상기 절결부에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계 흡음통의 양단부를 끼워 넣음 가능한 흡음 구조로 하고, 상기 지지재와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계 흡음통의 양단부를 교대로 적층하여 배열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의 저소음 패키지.
  • 说明书全文

    기계의 저소음 패키지{LOW NOISE PACKAGE OF MACHINE}

    본 발명은, 흡입구나 배기구를 갖는 산업 기계 등의 기계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기 위해 형성된 개구부로부터 방사되는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흡음 구조를 갖는 기계의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개구부의 흡음 구조로서는, 글래스 울 등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내장 덕트, 스플리트형, 셀형 등이 가장 일반적이지만, 그들의 기본형은 흡음재 내장 덕트이다.

    흡음재 내장 덕트는 음의 파장이 단면의 직경 혹은 짧은 변보다도 작아지는 고음의 영역에서는, 음파가 빔 형상을 이루어 진행하기 때문에 감음량이 저하된다. 이 결함을 조금이라도 방지하기 위해, 덕트 단면을 흡음재로 격자 형상으로 분할하여 미세한 직로의 병렬형으로 한 셀형이나, 평판 형상의 흡음재로 유로를 평행하게 분할한 스플리터형의 흡음 덕트가 자주 이용된다.

    그러나, 이들도 감음량은 흡음재의 흡음 특성이나 흡음 처리한 덕트 길이에 지배되므로, 일반적으로 스플리트형이나 셀형 등으로 함으로써, 고음에 대해 유효하게 하는 동시에, 또한, 저음역의 흡음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흡음재의 두께 를 증가해야만 하고, 그 때문에 유체 저항을 증가하는 결과로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흡음 덕트형의 흡음 구조는, 가장 적용 대상이 많은 500 내지 2 ㎑의 대역의 소음에 대해서는, 공간이 필요로 되어, 비용, 중량 등의 문제와 함께, 소음 저감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면 기류 저항이 올라가 냉각 성능이 저하된다는 이율 배반의 문제를 안고 있다.

    그 밖에도, 루버의 설치나 덕트 형상을 미로 형상으로 함으로써 소음 저감을 행하는 것은 가능한지만, 상기와 같은 문제를 안고 있다.

    이들의 해결책으로서, 특허 문헌 1(일본 특허 공개 평9-126666호 공보)에는, 공기 입구를 횡단하여 적어도 2개의 열로 배치되고 또한 흡음 재료로 이루어지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흡음 부재를 갖는 감음 조립체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일본 특허 공개 제2000-87725호 공보)에는, 흡음 부재와 이 흡음 부재의 한쪽측에 설치된 단면이 오목 형상인 반사면을 갖는 음향 반사 부재에 의해, 반사면에 의해 흡음 부재를 투과하여 입사한 음향을 반사시켜, 흡음 부재 내의 흡음 거리를 길게 하여 흡음시킨 후에, 음향(S)의 도래측으로 방사하도록 구성한 음향 감쇠체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일본 특허 공개 평9-26177호 공보)에는, 이온 교환 섬유를 이용한 흡음재를 기체의 유로에 장착하는 것에 의해, 흡음 효과와 아울러 이온 교환 섬유의 기체 오염 물질 제거 작용을 이용하여 기체를 청정화하는 흡음 기능을 갖는 공기 덕트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4(일본 특허 공개 제2002-266756호 공보)에는, 무기질 섬유 파이프의 표리면이 통기성이 있는 무기질 섬유, 유기질 섬유, 유리 섬유(glass cloth) 혹은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지는 비산 방지재로 피복된 원통 형상의 흡음 엘리먼트를 각통형 케이싱 내에 삽입한 흡음기가 기재되어 있다.

    종래의 흡음재 내장 덕트 혹은 그 응용으로서의 셀형이나 스플리터형은 가장 저감 요구가 큰 500 내지 2 ㎑의 대역에 대해, 감음량을 향상시키고자 하면, 덕트 길이, 내장 흡음재의 두께, 개구부를 좁게 할 필요가 있고, 그 결과, 기류 저항을 증대시키는 결과로 되어, 감음 성능과 공간, 중량, 비용 등 실용면에서 많은 과제를 안고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이나 특허 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은, 공기 흐름에 대해 교차하여 통 형상의 흡음 부재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기류 저항을 감소시키는 효과는 있지만, 흡음 효과에 대한 흡음 부재의 재질에 관해, 흡음 특성에 대해 충분히 고려되고 있지 않았다.

    또한 특허 문헌 3이나 특허 문헌 4에 기재된 구성은, 흡음재를 공기 흐름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술한 셀형이나 스플리터형과 마찬가지인 과제를 갖고 있고, 또한 흡음 효과에 대한 흡음 부재의 재질에 관해, 흡음 특성에 대해 충분히 고려되고 있지 않았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기계의 저소음 패키지는, 흡입구 또는 배기구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원통 형상으로 가공한 폴리에스테르 섬유계 흡음통을 그것의 장축이 상기 흡입구 또는 상기 배기구를 흐르는 공기의 흐름 방향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지지재에 배치한 흡음 구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계 흡음통은,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모재의 표면에 고분자계 부직포를 원통 형상으로 권취하여 복합한 흡음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계 흡음통의 원통 중심에, 실축 또는 중간축을 관통시킨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분자계 부직포 위에, 금속 혹은 수지계의 그물눈 구조체 혹은 구멍 개방 구조체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에 기재된 기계의 저소음 패키지.

    또한 상기 지지재가 폴리에스테르 섬유계 흡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계 흡음재가,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모재의 표면에 고분자계 부직포를 복합한 흡음 구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재가 글래스 울 또는 연질 우레탄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음 구조가 제거 자유로운 카세트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재를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계 흡음통의 양단부 이외의 부위에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재에 반원의 절결부를 복수 형성하고, 상기 절결부에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계 흡음통의 양단부를 끼워 넣음 가능한 흡음 구조로 하고, 상기 지지재와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계 흡음통의 양단부를 교대로 적층하여 배열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류 저항을 저감하면서 저소음화를 실현할 수 있으므로 냉각 풍량의 저하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어, 패키지의 방열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방열 성능에 여유가 생기므로, 냉각 팬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어, 냉각 팬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의 저감, 팬 동력의 저감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흡음 구조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패키지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12는 본 실시예의 저소음 패키지가 적용되는 공기 압축기 유닛의 개략 구조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이 도12에 있어서, 공기 압축기 유닛(1)은, 그 외곽 및 골격을 형성하는 하우징(2) 내의 베이스(2a) 상에 고정되고, 하우징(2) 내에 있어서 지지 기둥(14)에 지지된 지지 부재(2b)에 고정된 이러한 종류의 것으로서 공지의 모터(3)와, 마찬가지로 하여 지지 부재(2b)에 고정된 압축 공기를 생성하는 외주 구동형 스크롤 압축기(4)와, 하우징(2) 내에 외기를 유인하여 모터(3) 및 외주 구동형 스크롤 압축기(4) 등을 공기 냉각하는 냉각 팬(5)과, 외주 구동형 스크롤 압축기(4)로부터의 압축 공기를 적정 온도까지 냉각하는 열 교환기(6)와, 이 열 교환기(6)로부터의 압축 공기를 적정 습도까지 제습하는 드라이어(7)를 구비하고 있다.

    외주 구동형 스크롤 압축기(4)는 V 풀리(8)를 구비하고 있고, 모터(3)의 회 전 구동과 함께, 모터(3)의 모터 회전축(3a)의 한쪽측(도12 중 우측)에 설치한 V 풀리(9) 및 이들 V 풀리(8, 9)에 장가(裝架)한 V 벨트(10)를 통해 회전 동력이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냉각 팬(5)은, 그 회전축이 모터 회전축(3a)의 다른 쪽측(도12 중 좌측)에 연결되고, 모터(3)의 구동과 함께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냉각 팬(5)의 구동에 의해, 도12 중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흡음통(40)을 배치한 흡입구(11A)로부터 하우징(2) 내에 외기를 유입시키고, 냉각 팬(5) 및 덕트(12)를 통해 후술하는 흡음통(40)을 배치한 배기구(13A)로부터 배출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하우징(2) 내의 모터(3) 및 스크롤 압축기(4) 등이 외기 냉각 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것과 동시에, 도12 중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입구(11A)로부터의 외기를 냉각 팬(5)을 통해 덕트(12) 내에 설치한 열 교환기(6)에 유출시키고, 그 후 배기구(13A)로부터 배출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열 교환기(6)는, 외주 구동형 스크롤 압축기(4)로부터의 압축 공기를 적정 온도까지 냉각하도록 되어 있다.

    드라이어(7)는, 압축기, 응축기, 캐필러리 및 증발기(모두 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이것에 의해 열 교환기(6)로부터의 압축 공기를 적정 습도까지 제습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때, 캐필러리(7)에는, 응축기 및 증발기를 공기 냉각하는 팬(7c)이 구비되어 있고, 도12 중 화살표 C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구(13B)로부터 배기하고 있다.

    도4는 본 실시예에 나타내는 공기 압축기 유닛(1)의 구조를, 정면 우측 경사 상방으로부터 본 조감도이다. 공기 압축기 유닛(1)은, 외주 구동형 스크롤 압축기(4), 냉각 팬(5), 모터(3)가 주인 진동, 소음의 발생원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4에 도시하는 공기 압축기 유닛(1)의 흡입구(11A)와 배기구(13A)에 흡음통(40)을 흡입구(11A)와 배기구(13A)의 면에 평행하게, 즉 흡음통(40)의 장축이 공기의 흐름 방향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복수개 배치한 흡음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흡음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흡음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1의 (a)는 측면도, 도1의 (b)는 XX 단면도이다. 흡음통(40)의 간격(W1, W2)은 흡음통(40)의 직경(D)의 50 % 내지 150 % 사이에서 흐름 저항과의 균형으로 결정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 중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음통(40)의 장축(L)이 공기의 흐름 방향(M)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복수개 배치한 흡음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본 구조로 함으로써, 흡입구(11A), 배기구(13A)로부터의 소음을 냉각풍(A, B)의 흐름 저항을 증가시키는 일없이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흡음통(40)의 배열은 지그재그 배열로 하고 있지만, 배열은 지그재그 배열 이외의 배열로 해도 상관없다.

    다음에 흡음통(4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2는 흡음통(40)의 구조를 도시하는 직경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음통(40)은 원통 형상으로 정형(整形)된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모재(40a)의 표면을 폴리에스테르 섬유계 등의 고분자계 부직포(40b)를 원통 형상으로 권취하여 복합하여 덮은 구조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두께 30 ㎜, 벌크 밀도 44 ㎏/㎥의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모재의 표면에,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를 파우더 형상 핫멜트로 열 융착하여 복합하여 흡음통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도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실험 박스(B) 안에 스피커(S)를 넣어, 핑크 노이즈를 발생시키고, 흡음통(A)으로 이루어지는 흡음 구조의 유무에서의 1/30 ct.Band 중심 주파수에 대한 음압 레벨을 마이크로폰(M)으로 측정하여 비교했다. 이 결과를 도7에 나타내지만, 케이스 1은 흡음 구조가 전혀 없는 경우, 케이스 2는 폴리에스테르 섬유(35 ㎏/㎥)의 모재의 표면에 폴리에스테르 섬유계 부직포로 복합한 흡음통을 설치한 경우, 케이스 3은 폴리에스테르 섬유(35 ㎏/㎥)의 모재만이며 표면에 폴리에스테르 섬유계 부직포로 복합하고 있지 않은 흡음통을 설치한 경우이다. 케이스 3의 경우에서도 케이스 1에 비해, 1.25 ㎑를 중심으로 500 내지 4 ㎑의 폭넓은 대역에서 감음하고 있지만, 케이스 2의 경우 더 대폭 감음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모재의 표면에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를 복합하여, 흡음 특성을 개선한 것에 있다. 그 근거를 도8에 나타낸다. 도8은 횡축에 주파수, 종축에 수직 입사 흡음률을 취하고, 모재만인 흡음통의 경우(도면 중 ○표)와 모재(폴리에스테르 섬유, 두께 : 30 ㎜, 벌크 밀도 : 44 ㎏/㎥)의 표면에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를 파우더 형상 핫멜트로 열 융착하여 복합한 흡음통(도면 중●표)을 비교한 도면이다. 이 도면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흡음통이 모재만인 경우에 비해, 표면에 부직포를 열 융착 파우더로 복합하는 것에 의해, 흡음 특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험 박스(B)에 있어서, 도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60 ㎜ × 160 ㎜로 가공한 32 ㎏/㎥의 글래스 울(G)을 40 ㎜ 간격으로 배치한 종래 구조를 설치하고, 스피커(S)를 넣어 핑크 노이즈를 발생시키고, 글래스 울(G)로 이루어지는 흡음 구조의 유무에서의 1/30 ct.Band 중심 주파수에 대한 음압 레벨을 마이크로폰(M)으로 측정한 결과를 도11에 나타낸다. 도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 구조의 케이스 4의 경우, 흡음 구조가 전혀 없는 케이스 1의 경우에 비해, 흡음 효과는 있지만, 특히 고주파수 대역에서 본 실시예보다, 상당히 열화한 결과로 되고 있고, 본 실시예의 쪽이 감음 성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흐름 저항 상에서도 유리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모재 뿐만 아니라, 그 표면에 폴리에스테르 섬유계 등의 고분자계 부직포를 복합하고 있기 때문에 비약적으로 흡음 성능이 향상되어 큰 흡음 효과가 얻어지고, 또한, 형상을 원기둥 형상으로 했기 때문에, 공기의 유통을 용이하게 하고, 행로가 짧은 것도 있어 기류 저항은 대폭 개선되어, 종래의 흡음계 덕트가 안고 있는 흡음 효과와 기류 저항의 이율 배반의 과제를 해결하고 있다.

    또한, 흡음통(40)은 원통 형상으로 정형된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모재(40a)의 표면을, 폴리에스테르 섬유계 등의 고분자계 부직포(40b)로 덮은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강도면에서 떨어지는 경우가 있어, 외력이 작용했을 때에 형상을 유지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흡음통(40)의 코어재로서 보강 장착을 위한 실축 또는 중간축을 관통시킨 구조로 해도 좋다.

    또한, 흡음통(40)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금속 혹은 수지계의 그물눈 구조체 혹은 구멍 개방 구조체를 흡음통(40)의 표면의 고분자 부직포(40b) 위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모재(40a) 대신에, 글래스 울이나 연질 우레탄폼의 모재라도 같은 기능을 발휘한다.

    또한 도1에 있어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음통(40)을 지지재(31, 32)에 삽입하여 배열을 구성하는 경우, 예를 들어, 우선 흡음통(40)의 일단부를 지지재(31)에 삽입한 후 타단부를 지지재(32)의 구멍에 삽입해야만 한다. 배열을 구성하는 흡음통(40)이 적은 경우에는 어떻게든 지지재(32)에 흡음통(40)의 타단부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한지만, 흡음통(40)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지지재(32)의 구멍에 흡음통(40)을 삽입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도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열은 흡음통(40)과 흡음통(40)의 고정 부재인 적층 지지재(45)에 의해 흡음 구조를 구성해도 좋다. 이 적층 지지재(45)의 흡음통 장착부에는 반원 형상의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배열의 구성은, 적층 지지재(45)의 반원 형상의 복수의 절결부에 흡음통(40)을 각각 끼워 넣고, 그 다음에, 끼워 넣어진 흡음통(40)을 사이에 끼우도록 별도의 적층 지지재(45)를 장착한다. 이것을 반복함으로써 배열을 구성한다. 이와 같이 배열을 구성하는 것에 의해, 흡음통(40)의 개수가 증가하는 것에 의한 장착의 곤란함을 해소할 수 있어, 작업성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흡음통(40)의 압축기 유닛(1)으로의 장착 방법으로서는, 도4에 도시하 는 바와 같이 압축기 유닛(1)의 흡입구(11A)와 배기구(13A)에 직접 고정해도 좋지만, 유지 보수하기 쉽도록 도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음통(40)을 조합한 부재를 카세트(43, 44)와 같이 제거 자유로운 카세트 방식으로 할 수도 있다. 카세트 구조로 함으로써 저소음화를 위한 모듈로서 간단하게 장착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서 서술한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모재의 표면에 폴리에스테르 섬유계 부직포로 복합한 흡음통에 부가하여, 이 흡음통을 지지하는 지지재에도 흡음 효과를 갖게 한 구조로 하고 있다. 즉,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모재로 하여, 그 표면에 폴리에스테르 섬유계 등의 고분자계 부직포를 복합한 폴리에스테르 섬유계 흡음재에 흡음통을 지지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고, 패키지의 개구부의 양단부에 배치하고, 흡음통을 삽입하는 구조로 하는 것에 의해, 총합적인 소음 저감을 실현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저소음 패키지가 적용되는 공기 압축기 유닛의 다른 구조는 도12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흡음통(40)의 지지는,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음통(40)의 양단부에 배치한 흡음재(41, 42)에 흡음통(40)을 지지하기 위한 구멍(41c, 42c)을 형성하고, 흡음통의 양단부를 각각 흡음재(41, 42)의 구멍(41c, 42c)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흡음재(41, 42)는 각각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모재(41a, 42a)의 표면에 폴리에스테르 섬유계 등의 고분자계 부직포(41b, 42b)를 복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흡음재(41, 42)의 흡음 효과에 대해 도9에 의해 설명한다. 도9에 있어서, 케이스 1은 흡음 구조가 전혀 없는 경우, 케이스 2는 폴리에스테르 섬유(35 ㎏/㎥)의 모재의 표면에 폴리에스테르 섬유계 부직포로 복합한 흡음통만을 설치한 경우, 케이스 3은 폴리에스테르 섬유(35 ㎏/㎥)의 모재의 표면에 폴리에스테르 섬유계 부직포로 복합한 흡음통과 상술한 폴리에스테르 섬유계 흡음재(35 ㎏/㎥, 25 ㎜ 두께)를 함께 설치한 경우이다. 도9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구조로 하는 것에 의해, 흡음통(40)에 의한 감음 효과에 흡음재(41, 42)의 흡음 효과도 부가되어, 특히 630 ㎐ 내지 1 ㎑의 범위에 있어서,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비교해도, 보다 효과적인 감음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흡입구와 배기구에 연질 우레탄폼을 이용한 흡음 덕트와 패키지 내부의 흡음 처리의 조합 종래 구조와, 흡음통(40)과 흡음재(41, 42)를 채용한 본 실시예의 경우의 감음량을 실제 기계에 의해 확인한 결과를 도13에 나타낸다. 본 실시예를 적용한 패키지는 종래 구조에 비교하여, 실제 기계에 있어서도 대폭적인 감음 효과가 얻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패키지 내의 각 부의 온도도 종래 구조의 경우와 동일한 정도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모재(41a, 42a) 대신에, 글래스 울이나 연질 우레탄폼의 모재라도 같은 기능을 발휘한다.

    또한, 흡음통(40)의 지지는, 흡음통(40)의 지지를 보다 안정적으로 하기 위해, 흡음통(40)의 양단부 이외의 부분에서 행해도 상관없다. 또한, 패키지의 흡음통 지지면 이외의 면에도 폴리에스테르 섬유계 흡음재를 배치하여, 소음 저감 성능 을 높일 수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1 실시예에서 서술한 바와 같은 적층 구조의 흡음재에 의해 흡음통(40)의 배열을 구성하면, 흡음통(40)의 개수가 증가하는 것에 의한 장착의 곤란함을 해소할 수 있어, 작업성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흡음통(40)의 압축기 유닛(1)으로의 장착 방법에 대해서도, 제1 실시예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흡입구(11A)와 배기구(13A)에 직접 고정해도 좋고, 유지 보수하기 쉽도록 제거 자유로운 카세트 방식으로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카세트 구조로 함으로써 저소음화를 위한 모듈로서 간단하게 장착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모델 실험과 상기 평가에 의해, 방열성과 저소음성의 이율 배반을 해결한 본 실시예의 저소음 패키지가 우수한 성능을 실증하고 있다. 특히, 저소음성은, 흡음 효과가 크고, 그 주파수 대역도 다른 방식에 대해 넓고, 우수한 것으로 되어 있다.

    도1은 제1 실시예에 관한 흡음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1의 (a)는 측면도, 도1의 (b)는 XX 단면도.

    도2는 제1 실시예에 관한 흡음통의 구조를 도시하는 직경 방향의 단면도.

    도3은 제2 실시예에 관한 흡음 구조를 도시하는 조감도.

    도4는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관한 흡음 구조를 고정한 저소음 패키지의 조감도.

    도5는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관한 흡음 구조를 카세트식으로 한 저소음 패키지의 조감도.

    도6은 제1 실시예에 관한 흡음 구조의 흡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 장치의 단면도.

    도7은 제1 실시예에 관한 흡음 구조의 흡음 효과를 나타내는 비교도.

    도8은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모재의 표면에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를 복합한 경우의 흡음 특성을 나타내는 비교도.

    도9는 제2 실시예에 관한 흡음 구조의 흡음 효과를 나타내는 비교도.

    도10은 종래 구조의 흡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 장치의 단면도.

    도11은 종래 구조의 흡음 효과를 나타내는 비교도.

    도12는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관한 흡음 구조를 구비한 저소음 패키지의 구조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13은 실제 기계에서의 제2 실시예의 저소음 패키지와 종래 패키지의 흡음 효과를 비교한 비교도.

    도14는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관한 흡음 구조에 있어서의 적층 지지재에 의한 흡음통의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조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기 압축기 유닛

    2 : 하우징

    3 : 모터

    4 : 외주 구동형 스크롤 압축기

    5 : 냉각 팬

    6 : 열 교환기

    7 : 드라이어

    8, 9 : V 풀리

    10 : V 벨트

    11A : 흡입구

    12 : 덕트

    13A : 배기구

    40 : 흡음통

    40a : 모재

    40b, 41b, 42b : 고분자계 부직포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