콤바인

申请号 KR1020137020397 申请日 2007-08-27 公开(公告)号 KR101473369B1 公开(公告)日 2014-12-24
申请人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发明人 마사노,주니치;
摘要 배기가스를기체로부터떨어진방향으로효율적으로배출가능한배기장치를구비한콤바인을제공하는것을과제로한다. 탈곡부와, 상기탈곡부의측방에배치되고, 예취(刈取), 탈곡, 선별후의벼를저장하는곡립수용부와, 배기음을저감시키면서배기가스를배출하는배기장치를구비한콤바인으로서, 상기배기장치의테일파이프(tail pipe)를, 기체(機體)의전후방향중앙부에서상기탈곡부와곡립수용부사이에배치함과함께기체후방에연장하였다.
权利要求
  • 탈곡부와, 상기 탈곡부의 측방에 배치되고, 예취(刈取), 탈곡, 선별 후의 벼를 저장하는 곡립 수용부와, 세로 이송 오거(auger)와 가로 이송 오거를 가지며, 상기 곡립 수용부 내의 벼를 배출하는 배출 오거와, 배기음을 저감시키면서 배기 가스를 배출하는 배기 장치를 구비한 콤바인으로서,
    상기 배기 장치는, 사일렌서와, 상기 사일렌서에 연결되는 테일 파이프를 가지고,
    상기 테일 파이프(tail pipe)를, 기체(機體)의 전후 방향 중앙부에서, 상기 배출 오거의 상기 가로 이송 오거의 하방에 배치함과 함께 기체 후방에 연장하고,
    상기 테일 파이프는, 상기 사일렌서와 연결되며, 기체 진행 방향에 대하여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상류 측 단부, 상기 상류 측 단부와 연속되며, 적어도 1회는 상향으로 경사지는 각도를 변경하면서 상방으로 경사지게 굴곡되는 중간부, 및 상기 중간부와 연속되며, 배출구를 갖고, 상기 곡립 수용부와 상기 탈곡부 사이에 상기 탈곡부의 상방까지 도달한 곳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굴곡지는 하류 측 단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테일 파이프는, 지지 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탈곡부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일 파이프의 상기 하류 측 단부는 거기까지의 부분보다 좌우 방향으로 경사지게 굴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 삭제
  • 삭제
  •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테일 파이프의 상기 하류 측 단부는 단면이 비스듬하게 절단되고, 상부 측이 길어지게 돌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테일 파이프의 근방에, 상기 배출 오거의 상기 가로 이송 오거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가드 부재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 说明书全文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콤바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배기 장치가 기체(機體) 상부에 배관된 콤바인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콤바인의 배기 장치는 엔진으로부터 기체 하부를 지나 기체 후방 측에 배관되어 엔진에서 발생한 배기 가스를 기체 후방에서 배출한다. 배기 장치는 배기음을 저감시키는 배기 사일렌서(silencer)와 배기 가스를 배출하는 테일 파이프(tail pipe) 등으로 구성된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그렇지만, 배기 사일렌서와 테일 파이프 등의 배기 장치가 기체 하부에 배관되어 있으면, 주행 중에 감겨 올라온 진흙 등이 배기 장치에 걸리기 쉽다. 배기 장치에 진흙 등이 걸리면, 배기 사일렌서나 테일 파이프로 진흙 등이 끌어들여져 부착, 고화되는 경우나, 테일 파이프에 진흙 등이 침입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콤바인이 습전(濕田)에서 주행하는 경우에는 배기 장치에 진흙 등이 대량으로 부착되고, 배기 장치 안으로의 진흙 등의 침입도 증대되기 때문에 콤바인의 주행 성능의 저하가 문제가 된다.

    이 때문에 배기 장치가 기체 상부에 배관된 콤바인의 기술도 있으며, 이와 같은 배기 장치를 구비한 콤바인으로서, 예를 들어, 엔진 룸 내에 배기 사일렌서가 마련되고, 상기 배기 사일렌서에 접속된 테일 파이프가 기체 상방에 배관되고, 상기 테일 파이프의 뒷부분이 탈곡부의 상부에 고정된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2). 또한, 엔진으로부터의 배기 파이프(exhaust pipe)가 기체 상방에 배관되고, 상기 배기 파이프에 접속되는 배기 사일렌서가 탈곡부의 상부에 고정되고, 테일 파이프가 상기 배기 사일렌서에 접속된 콤바인도 있다.

    상기와 같이 배기 장치를 기체 상부에 배관한 콤바인에 따르면, 주행 중에 감겨 올라온 진흙 등이 배기 장치에 걸리기 어려워져, 배기 장치로 진흙 등이 끌어들여지는 것이나 배기 장치로 진흙 등이 침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배기 장치의 진흙 등의 끌어들여짐이나, 진흙 등의 침입에 의한 콤바인의 주행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61279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실용 공개 소61-26130호 공보

    그렇지만 배기 장치가 기체 상부에 배관된 콤바인의 경우 배기 장치의 일부가 콤바인의 상부로 돌출된다. 또한, 테일 파이프에 지푸라기나 작물 등이 걸리지 않게 하기 위해 테일 파이프의 높이를 어느 정도 높게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배출 오거(auger)를 부주의하게 부앙(俯仰), 선회시키면, 테일 파이프와 배출 오거가 간섭하여 쌍방 모두 변형, 파손될 우려가 있다. 또한, 테일 파이프가 기체 상부에 배관된 콤바인의 경우 배출 오거를 테일 파이프의 배기구에 접근시켜 배기 가스에 닿는 위치까지 선회시켜 사용할 수 있게 하면, 배기 가스에 포함된 그을음이 배출 오거에 부착되기 쉬워져 배출 오거의 표면이 더러워지기 쉬워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에 착안하여 배기 가스를 기체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효율적으로 배출 가능한 배기 장치를 구비한 콤바인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으며, 이어서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탈곡부와, 상기 탈곡부의 측방에 배치되고, 예취(刈取), 탈곡, 선별 후의 벼를 저장하는 곡립 수용부와, 배기음을 저감시키면서 배기 가스를 배출하는 배기 장치를 구비한 콤바인으로서, 상기 배기 장치의 테일 파이프(tail pipe)를, 기체(機體)의 전후 방향 중앙부에서 상기 탈곡부와 곡립 수용부 사이에 배치함과 함께 기체 후방에 연장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기 장치의 테일 파이프를, 상향으로 경사시켜 연장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테일 파이프의 배출구가, 기체 진행 방향에 대하여 후방으로부터 좌우 어느 쪽으로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지게 한 방향까지의 범위의 어느 방향을 향하여 마련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테일 파이프는, 중간부에서 적어도 1회는 상향으로 경사지는 각도를 변경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테일 파이프는, 상류 측 단부가 기체 진행 방향에 대하여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류 측 단부와 연속되는 부분이 상방으로 경사지게 굴곡되고, 또한 연속되는 부분이 후방으로 연장되게 굴곡되고, 또한 연속되는 하류 측 단부가 거기까지의 부분보다 좌우 방향으로 경사지게 굴곡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테일 파이프의 하류 측 단부는 단면이 비스듬하게 절단되고, 상부 측이 길어지게 돌출시킨 것이다.

    또한, 상기 테일 파이프의 근방에, 배출 오거의 가로 이송 오거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가드 부재를 마련한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로서,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에서는, 라디에이터로부터 배출된 배기바람을 도입함으로써 테일 파이프의 표면 온도를 저하시킨다. 또한, 머플러 파이프로의 분진 퇴적을 방지한다. 또한, 진동이 적은 탈곡부에서 지지하기 때문에 테일 파이프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테일 파이프의 내구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경량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주행 중에 감겨 올라온 진흙 등이 배기 장치에 걸리기 어려워 배기 장치로 진흙 등이 끌어들여지는 것이나 진흙 등이 침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배기 장치의 진흙 등의 끌어들여짐이나 진흙 등의 침입에 의한 콤바인의 주행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기 장치는 기체의 상방에 배관되기 때문에 테일 파이프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는 기체의 하방의 지면으로 분무되지 않아 배기 가스에 의해 먼지 등이 콤바인 주위로 감겨 올라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기 도입부는 엔진 룸 내에서 테일 파이프에 마련되고 엔진 룸 내의 외기를 테일 파이프 안으로 도입하는데, 엔진 룸 내의 외기는 지푸라기 등이 제거되어 있기 때문에 외기 도입부의 개구부 부근에 커버부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외기 도입부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배기 장치의 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운전석이나 흡기구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배기 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배기 가스가 테일 파이프로부터 배출된 후에 확산가능한 충분한 거리를 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배기를 상방으로 배출하기 때문에 테일 파이프에서의 진흙 막힘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배기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분진이 들뜨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주행 기체 하부의 구조가 단순해지기 때문에 기체가 깊게 가라앉는 습전에서의 주행도 가능해진다. 또한, 배출 오거를 그을음 등으로 더럽히지 않고, 배기가 흡기 측으로 돌아들어가지 않는다. 또한, 배기가 오퍼레이터에게 직접 닿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차고로의 격납시 등에 테일 파이프의 선단이 닿지 않는다. 또한, 격납시에 배기 가스가 천정이나 벽 등에 닿지 않아 더럽히지 않는다. 또한, 격납시나 작업 종료 후에 비막이용 시트를 기체 전체에 씌워도 비막이용 시트는 테일 파이프와 접촉하지 않아 테일 파이프의 열로 비막이용 시트를 눋게 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가드 부재에 의해 테일 파이프와 배출 오거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2는 콤바인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콤바인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배기 장치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5는 배기 장치의 정면 개략도이다.
    도 6은 배기 장치의 평면 개략도이다.
    도 7은 세로 이송 오거와 가로 이송 오거의 접속부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3의 가드판의 화살표 P에서 본 도면이다.
    도 9는 가드판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가드판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가드판의 단면도이다.
    도 12의 (a)는 종래의 외기 도입부의 평면도, (b)는 상류 측 단부를 비스듬하게 개구시킨 경우의 외기 도입부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상류 측 단부를 계단상으로 잘라낸 경우의 외기 도입부의 사시도이다.
    도 14의 (a)는 상류 측 단부를 V자 형상으로 개구시킨 경우의 외기 도입부의 측면도, (b)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6의 P 방향에서 본 배기 장치 등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1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콤바인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콤바인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배기 장치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2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배기 장치의 정면 개략도이다.
    도 2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배기 장치의 평면 개략도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따른 콤바인(11)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콤바인(11)의 전체 측면도, 도 2는 콤바인(11)의 정면도, 도 3은 콤바인(11)의 평면도, 도 4는 배기 장치(41)의 측면 개략도, 도 5는 배기 장치(41)의 정면 개략도, 도 6은 배기 장치(41)의 평면 개략도, 도 7은 세로 이송 오거(22)와 가로 이송 오거(23)의 접속부의 측면 개략도, 도 8은 도 3의 가드판의 화살표 P에서 본 도면, 도 9는 가드판(90)의 측면도, 도 10은 가드판(90)의 평면도, 도 11은 가드판(90)의 단면도, 도 12의 (a)는 종래의 외기 도입부(71)의 평면도, (b)는 상류 측 단부(62)를 비스듬하게 개구시킨 경우의 외기 도입부(71)의 평면도, 도 13은 상류 측 단부(62)를 계단상으로 잘라낸 경우의 외기 도입부(71)의 사시도, 도 14의 (a)는 상류 측 단부(62)를 V자 형상으로 개구시킨 경우의 외기 도입부의 측면도, (b)는 정면도, 도 15는 도 6의 P 방향에서 본 배기 장치(41) 등의 사시도이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콤바인(11)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콤바인(11)은 좌우의 크롤러를 포함하는 크롤러 주행 장치(12) 위에 기체(섀시)(13)가 배치되고, 기체(13)의 앞부분 우측에 엔진(34)이 탑재된다. 기체(13)의 전방에는 엔진(34)의 구동력을 변속하여 크롤러 주행 장치(12)에 전달하는 미션 케이스(31)가 배치되고, 미션 케이스(31)에는 크롤러 주행 장치(12)의 구동륜의 차축이 마련된다. 또한, 기체(13)의 앞부분에는 예취부(14), 기체(13)의 상부에서 주행 방향의 좌측에는 선별부(16)가 마련되고, 선별부(16)의 상부에는 급동(扱胴) 및 피드 체인(15a) 등을 구비한 탈곡부(15)가 마련된다. 기체(13)의 상부의 우측 앞부분에는 좌석(19) 및 캐빈(18)이 마련되고, 기체(13)의 우측 뒷부분에는 곡립 수용부로서의 그레인 탱크(17)가 마련된다. 그레인 탱크(17)의 바닥부에는 배출 컨베이어(26)가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고, 그레인 탱크(17)의 뒷부분에는 배출 오거(21)가 세워 마련된다. 그레인 탱크(17)에 저장된 곡립은 배출 컨베이어(26)에 의해 후방으로 반송되고, 배출 오거(21)의 세로 이송 오거(22), 가로 이송 오거(23)를 거쳐, 가로 이송 오거(23) 선단부의 배출구(24)로부터 트럭 등으로 배출된다. 또한, 기체(13)의 상방에는 테일 파이프(61)와 배출 오거(21)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가드 부재(81)가 마련된다. 그리고 배출 오거(21)의 가로 이송 오거(23)에는 테일 파이프(61)의 하류 측 단부(63)에 접근한 개소에 가드판(90)이 장착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콤바인(11)의 기체(13)의 전방의 캐빈(18)의 하방에는 엔진(34)이 탑재되고, 엔진(34)은 엔진 룸(32) 내에 수용된다. 엔진 룸(32)은 상면, 전면, 좌우 측면을 덮는 엔진 룸 커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성되고, 후면은 엔진 룸 뒷부분 프레임(33)에 의해 구성된다. 엔진 룸(32)에는 냉각용 외기를 취입하기 위한 개부(開部)(도시하지 않음)가 우측방에 마련되고, 캐빈(18)의 후하부(後下部)에서 엔진(34)에 걸쳐서는 에어 클리너나 흡기 사일렌서 등을 배치한 흡기 경로(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된다.

    이어서, 배기 장치(4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 장치(41)는 엔진(34)의 배기 매니폴드(36)에 접속되어 연소 후의 배기 가스를 배출하고 연소에 수반되는 배기음을 저감시키는 것이다. 배기 장치(41)는 배기 사일렌서(42), 테일 파이프(61), 외기 도입부(71)를 가진다.

    상기 배기 사일렌서(42)에 대하여 설명하면, 배기 사일렌서(42)는 엔진(34)의 배기 매니폴드(36)에 접속되어 배기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 사일렌서(42)는 단면 형상이 대략 타원의 통상체(筒狀體)이고, 일측부 부근에 배기 가스 출구인 사일렌서 출구관(43)이 마련된다. 배기 사일렌서(42)는 엔진 룸(32) 내에 배치되고, 엔진(34)의 상방에서 냉각 팬(35)의 배기바람이 닿는 위치에 마련된다. 배기 사일렌서(42)가 냉각 팬(35)의 배기바람이 닿는 위치에 마련되기 때문에, 배기 사일렌서(42)가 냉각됨과 함께 먼지가 쌓이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 사일렌서(42)는 길이 방향을 기체(13)의 좌우 방향을 향하고, 또한 배기 매니폴드(36)에 대하여 기체(13)의 좌측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배치되고, 사일렌서 출구관(43)이 기체(13)의 진행 방향의 좌측이 되게 접속된다.

    이어서 상기 테일 파이프(61)에 대하여 설명한다. 테일 파이프(61)는 배기 사일렌서(42)의 하류 측에 접속되어 엔진(34)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테일 파이프(61)의 전체 형상은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 사일렌서(42)의 사일렌서 출구관(43)에 접속되는 부분인 상류 측 단부(62)로부터 기체(13)의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이어서 엔진 룸 뒷부분 프레임(33)의 관통부의 후방에서 기체(13)의 상방을 향하여 굴곡되고, 또한 기체(13)의 좌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이어서 그레인 탱크(17)와 탈곡부(15) 사이까지 도달한 곳에서 다시 기체(13)의 후방을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굴곡되어 후방으로 연장되고, 본 기기(탈곡부(15) 또는 그레인 탱크(17)) 전후 중앙 부근에 테일 파이프(61)의 하류 측 단부(63)를 배치한다. 하류 측 단부(63)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수평면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각도 β(도 4) 굴곡되고, 또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전후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왼쪽 후방(피드 체인 측)으로 각도 α(도 6) 굴곡된다. 즉, 배기 가스를 하류 측 단부(63)(배기구)로부터 기체(13)의 상부에서, 가로 이송 오거(23)와 반대 측의 대각선 왼쪽 후상방으로 배출하게 배관된다.

    또한, 상기 테일 파이프(61)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하류 측 단부(63)의 배출구의 상단이 배출 오거(21)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가 되게 마련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작업 종료(엔진 정지) 직후에 비막이용 시트(100)를 기체 전체에 씌운 경우에도 비막이용 시트(100)가 테일 파이프(61)와 접촉하지 않아 비막이용 시트(100)를 눋게 하지 않는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테일 파이프(61)는 외관(64)과 내관(65)으로 구성된다. 내관(65)은 배기 사일렌서(42)의 사일렌서 출구관(43)에 접속되어 배기 가스가 통과하는 부분이고, 외관(64)은 내관(65)과의 사이에 단열층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내관(65)과 외관(64)은 각각 금속제의 직관과 엘보(elbow)로 구성되고, 외관(64)에 내관이 삽입된다. 외관(64)에 삽입된 내관(65)의 고정은, 내관 고정 부재를 내관(65)의 외면과 외관(64)의 내면에 용접 수단 등으로 고정하고, 내관(65)과 외관(64)과의 사이에 소정의 틈을 확보하여 고정한다. 내관(65)과 외관(64)과의 틈 부분이 단열층이 된다. 상기 틈은 테일 파이프(61)의 상류 측 단부(62)로부터 하류 측 단부(63)까지 연통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테일 파이프(61)를 외관(64)과 내관(65)으로 구성되는 2중관으로 하였지만, 내관(65)만으로 이루어지는 1중관으로 해도 되고, 혹은 외측에 파이프를 더 마련하여 3중관 이상으로 해도 된다.

    테일 파이프(61)의 하류 측 단부(63)의 형상은 외관(64)의 단부의 상류 측에 내관(65)의 단부가 위치하여, 테일 파이프(61)의 하류 측 단부(63)에서 외관(64)과 내관(65)의 단부 위치에 차이를 두고 있다. 또한, 외관(64)의 단부는 비스듬하게 절단하여 상부 측이 길어지게 돌출시켜 테일 파이프(61) 안으로 빗물 등이 침입하기 어려운 구성이다. 테일 파이프(61)의 하류 측 단부(63)에서 외관(64)과 내관(65)의 단부 위치에 차이를 두고 있기 때문에, 엔진(34)이 작동하여 배기 가스가 내관(65)의 하류단으로부터 배출되면 배기 가스의 기류에 의해 내관(65) 후단과 외관(64)과의 사이에 부압이 발생하여, 외관(64) 전단과 내관(65) 앞부분과의 사이로부터 공기가 흡입되어 내관(65)과 외관(64)과의 틈에 하류 방향의 공기의 흐름이 발생한다. 공기에 흐름이 생기면 틈 내부의 환기가 행해져 틈 내부의 공기의 온도 상승이 낮게 억제되어 내관(65)과 외관(64) 사이의 단열 효과가 높아진다. 따라서, 외관(64)의 표면 온도의 상승을 낮게 억제할 수 있어, 테일 파이프(61)에 접근시켜 하네스(harness) 등이 설치되어도 하네스 등으로의 열 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테일 파이프(61) 안으로 빗물 등을 침입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엔진 룸(32) 측의 테일 파이프(61)의 상류 측 단부(62)에서의 형상은 외관(64) 단부의 상류 측에 내관(65)의 단부가 돌출되어, 테일 파이프(61)의 상류 측 단부(62)에서 외관(64)과 내관(65)의 단부 위치에 차이를 두고 있다. 또한, 내관(65)과 외관(64)과의 사이의 틈은 테일 파이프(61)의 상류 측 단부(62)에서 외기와 연통되기 때문에, 테일 파이프(61)의 하류 측 단부(63)로부터 빗물 등이 침입해 온 경우에도 상류 측 단부(62)로부터 물이 배출된다. 따라서, 내관(65)과 외관(64)과의 틈을 통하여 배기 사일렌서(42) 내부나 엔진(34)에 빗물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테일 파이프(61)는 본 기기 중앙 부근에서 탈곡부(15)의 급실(扱室) 커버 상방으로, 또한 본 기기 진행 방향에 대하여 왼쪽 후방으로 각도 α(이하, 배출 방향 α라고 한다)로 배출되게 배관되는 형상임과 함께, 테일 파이프(61)의 하류 측 단부(63)는 본 기기 중앙 부근에 위치한다. 즉, 테일 파이프(61)는 본 기기 중앙 부근에서 하류 측 단부(63)로부터 배출 방향 α로 배출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실 커버를 최대한 상방으로 회동하여 개방한 경우의 높이보다 상방이 되는 각도 γ(이하, 배출 방향 γ라고 한다)로 배출되게 배관되는 형상이다.

    따라서, 본 기기 중앙 부근에서 하류 측 단부(63)로부터 배출되기 때문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기기 가장자리(여기에서는, 본 기기 왼쪽 뒷모서리부 부근)까지의 치수 A를 길게 하여 배출 방향 α로 배출하기 때문에, 오퍼레이터로부터 먼 곳으로 배기 가스를 배출할 수 있어 오퍼레이터에게 대한 배기 가스의 영향(구체적으로, 배기 가스를 뒤짚어 쓰거나 그을음이 부착되는 등)을 적게 할 수 있고, 본 기기 우측에 위치하는 배출 오거나 그레인 탱크로의 배기 가스의 영향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급실 커버를 최대한 개방했을 때의 높이보다 상방으로 배기 가스를 배출하기 때문에 급실 커버에 배기가 닿지 않아 오염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기기 좌측으로의 배출 방향의 각도 α는 30도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테일 파이프의 배출구는 배출 오거보다 낮은 위치에 마련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도 15와 같이, 본 기기에 비막이용 커버를 덮은 경우에도 커버가 직접 테일 파이프에 접촉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커버가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외기 도입부(71)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외기 도입부(71)는 외기를 테일 파이프(61)의 내관(65)에 도입하여 배기 가스의 온도를 외기에 의해 저하시키는 것이다. 테일 파이프(61)의 상류 측 단부(62)에는 배기 사일렌서(42)의 사일렌서 출구관(43)이 접속되고, 외기 도입부(71)는 배기 사일렌서(42)와 테일 파이프(61)와의 접속 부분에 형성된다. 엔진(34) 작동시에 내관(65)을 배기 가스가 통과하면, 배기 가스의 기류에 의해 외기 도입부(71)에 부압이 생기고, 외기 도입부(71)의 개구부로부터 내관(65)으로 외기가 흡인(吸引)된다.

    상기 테일 파이프(61)의 상류 측 단부(62)는 도 1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스듬하게 개구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종래에는 도 1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로부터 배출된 배기바람에 대하여 상류 측 단부(62)의 단면이 평행(출구관(43) 및 테일 파이프(61)의 축심에 대하여 직각)하게 마련되었기 때문에, 라디에이터로부터 배출된 배기바람을 도입하는 효율이 나빴지만, 도 1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로부터 배출된 배기바람에 대하여 상류 측 단부(62)를 비스듬하게 개구함으로써 배기바람을 효율적으로 테일 파이프 안으로 송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류 측 단부(62)를 계단상으로 잘라내고 상류 측 단부(62)와 출구관(43)의 중복 부분을 반원통 형상으로 하여 개구 측을 라디에이터 팬 측을 향하게 배치하여 보다 많은 냉각풍을 테일 파이프(61) 안으로 도입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류 측 단부(62)와 출구관(43)의 중복 부분을 라디에이터 팬 측을 향하여 대략 V자 형상으로 개구시킨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더욱 많은 냉각풍을 테일 파이프(61) 안으로 도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기 도입부(71)는 배기 사일렌서(42)에 가까운 엔진 룸(32) 내에 마련되고, 냉각 팬(35)의 배기바람이 닿는 위치에 마련된다. 냉각 팬(35)의 배기바람이 외기 도입부(71)에 항상 닿음으로써, 외기 도입부(71)로부터 낮은 온도의 공기를 도입시킬 수 있음과 함께, 외기 도입부(71)에 먼지가 쌓이는 것이 방지 가능하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일 파이프(61)와 사일렌서 출구관(43)을 접속하는 방향은 기체(13)의 전후 방향으로 한다. 엔진(34)의 진동 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사일렌서 출구관(43)을 삽입함으로써 엔진(34)의 진동에 의한 사일렌서 출구관(43)의 진동이 삽입 방향과 일치하기 때문에 테일 파이프(61)의 내관(65)에 접촉하기 어려워진다. 사일렌서 출구관(43)과 테일 파이프(61)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일렌서 출구관(43)의 삽입 방향은 엔진(34)의 진동이 큰 방향에 따른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기 도입부(71)는 배기 사일렌서(42)에 마련된 사일렌서 출구관(43)이 테일 파이프(61)에 삽입되고, 사일렌서 출구관(43)과 테일 파이프(61)와의 사이에 틈이 확보된 구성으로 되기 때문에, 배기 사일렌서(42)와 테일 파이프(61)를 접속하는 플랜지가 불필요해진다. 플랜지가 필요없기 때문에 진동체인 배기 사일렌서(42)의 질량이 저감될 수 있고, 배기 사일렌서(42)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진동에 의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어서, 배기 장치(41)의 지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일 파이프(61)는 지지 부재(82)(83)를 개재하여 탈곡부(15)에서 지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배기 장치(41)를 기체(13)의 상방에 배관, 지지시키면 배기 장치(41)에 지푸라기 등이 축적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테일 파이프(61)의 탈곡부(15)에서의 지지부에서는 테일 파이프(61)와 탈곡부(15)의 간격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어, 테일 파이프(61) 하부에 하네스, 주유 호스 등이 배치되어도 열에 의한 영향을 방지한다.

    상기 지지 부재(82)는 테일 파이프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부(61a)를 지지한다. 한편, 상기 지지 부재(83)는 테일 파이프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부(61b)를 지지한다. 복수 개소에서 지지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탈곡부(15)에서 지지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 부재에 의해 2개소에서 지지하지만 3개소 이상에서 지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어서, 배출 오거(2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출 오거(21)는 세로 이송 오거(22)와 가로 이송 오거(23)를 가진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로 이송 오거(23)의 근원(根元) 측은 세로 이송 오거(22)의 상부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다. 세로 이송 오거(22)의 측부에는 브래킷(55)이 돌출되어 마련되고, 가로 이송 오거(23)의 측부에는 브래킷(56)이 돌출되어 마련된다. 상기 브래킷(55)에는 상하 방향 구동 수단으로서의 실린더(51)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브래킷(56)에는 실린더(51)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실린더(51)의 신축에 의해 배출 오거(21)는 상하 방향으로 부앙된다. 또한, 가로 이송 오거(23)에는 상하 각도 검출 수단으로서의 회전식 전위차계(potentiometer)(53)가 마련되고, 회전식 전위차계(53)에 의해 배출 오거(21)의 상하 각도가 검출된다.

    상기 세로 이송 오거(22)의 중간부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톱니바퀴(spur wheel)(57)가 고정된다. 기체(13) 측에는 수평 방향 구동 수단으로서의 액츄에이터(52)가 마련되고, 액츄에이터(52)의 회전축에는 평톱니바퀴(58)가 마련된다. 평톱니바퀴(57)와 평톱니바퀴(58)는 끼워 마련되고, 액츄에이터(52)를 작동시킴으로써 세로 이송 오거(22) 및 가로 이송 오거(23)는 일체로 수평 방향으로 선회한다. 평톱니바퀴(58)와 동축에 수평 각도 검출 수단으로서의 회전식 전위차계(54)가 마련된다. 회전식 전위차계(54)에 의해 배출 오거(21)의 수평 각도가 검출된다. 또한, 상기 상하 각도 검출 수단 및 상기 수평 각도 검출 수단은 회전식 전위차계 외에, 리졸버(resolver), 로터리 엔코더(rotary encoder) 등의 회전 각도 검출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이어서, 가드 부재(8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콤바인(11)의 기체(13) 상방에는 가드 부재(81)가 마련된다. 가드 부재(81)는 배출 오거(21)가 테일 파이프(61)에 접근했을 때에 배출 오거(21)가 테일 파이프(61)와 접촉하지 않게 테일 파이프(61)와 배출 오거(21)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부재이다. 가드 부재(81)의 장착 위치 및 형상은 테일 파이프(61)에 간섭할 가능성이 있는 위치에 대응하는 배출 오거(21)의 상하 각도 및 수평 각도를 구한 다음, 그 상하 각도 및 수평 각도에 배출 오거(21)가 침입하기 전에 가로 이송 오거(23)가 테일 파이프(61)보다 먼저 가드 부재(81)에 접촉하는 위치 및 형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가드 부재(81)는 금속제의 파이프 또는 막대 형상 부재 또는 판 형상 부재를 대략 역 U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구성된다. 파이프의 일단을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일 파이프(61)의 후단 하방 위치로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일 파이프(61)의 후단으로부터 직접 배기가 닿지 않을 정도의 소정 길이 떨어진 위치에서 그레인 탱크(17)와 탈곡부(15) 사이의 프레임에 고정하여 세워 마련하고, 프레임으로부터 기체(13)의 상방을 향하여 연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일 파이프(61)의 후단과 대략 같은 높이의 위치로부터 'く'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기체(13)의 대각선 왼쪽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가로 가드 부재(81a)를 형성한다. 이어서, 가로 가드 부재(81a)의 뒷부분이 그레인 탱크(17)의 상단과 대략 같은 높이에 이른 곳에서 하방을 향하여 굴곡되어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세로 가드 부재(81b)를 형성한다. 세로 가드 부재(81b)를 그대로 하방으로 연장하면 탈곡부(15)에 닿게 되므로,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대략 크랭크 형상으로 절곡하여,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대략 일직선이 되는 형상으로 하여 하방으로 연장하여 탈곡부(15)의 우측 측면에 마련한 장착대에 하단을 고정한다.

    이리하여 가드 부재(81)는 배기 장치(41)의 오른쪽 후방에 배치되고, 가로 가드 부재(81a)가 테일 파이프(61)의 하류 측 단부(63)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여기서, 도 4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일 파이프(61)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기체 수평 방향에 대하여 상방으로 각도 β(이하, 배출 방향 β라고 한다)로 배출되게 배관되는 형상이다. 그리고, 가드 부재(81)는 테일 파이프(61)의 배출 방향 β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가드 부재(81)의 가로 가드 부재(81a)의 길이축 방향과, 테일 파이프(61)의 배출 방향 β가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테일 파이프(61)의 하류 측 단부(63)로부터 배출 방향 β의 가드 부재(81)(세로 가드 부재(81b))까지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치수 B가 이격된다.

    따라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일 파이프(61)의 하류 측 단부(63)로부터 배출 방향 β로 배기 가스가 배출되지만, 배기 가스는 가드 부재(81)에 직접 닿지 않는다. 한편, 배출 오거(21)의 가로 이송 오거(23)를 회동 조작한 경우로서, 가로 이송 오거(23)를 가드 부재(81)에 최접근시켜, 즉, 가로 이송 오거(23)를 오거 수납 위치(도 8에 나타내는 실선)에서 가로 가드 부재(81a)를 따라 좌상방으로 회동시켜도 가로 이송 오거(23)는 배출 방향 β와 평행하게 이동하고, 가로 가드 부재(81a)와 세로 가드 부재(81b)의 최접촉 위치에서도 가로 이송 오거(23)는 치수 B 이상 이격된 위치가 된다(도 8에 나타내는 2줄 점선).

    또한, 가드 부재(81)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일 파이프(61)의 배출 방향 α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가드 부재(81)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는 대략 '一'자가 되는 형상이며, 가드 부재(81)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테일 파이프(61)의 배출 방향 α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가드 부재(81)를 기체(13) 위에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어 기체(13) 위의 스페이스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어서, 가드판(9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드판(90)은 직사각형의 금속 플레이트가 절곡되어 단면 형상이 대략 C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로 이송 오거(23)의 대략 하반면을 피복하는 형상이다. 한편, 가드판(90)은 원통상으로 구성되어 가로 이송 오거(23)의 외주 전체를 덮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가드판(90)에는 흑색의 내열 도장이 되어 배기 가스에 포함된 그을음이 가드판(90)에 부착되어도 가드판(90) 표면의 오염이 눈에 띄지 않는다. 한편, 가드판(90)뿐만 아니라 가로 이송 오거(23)의 외표면 전체, 또는, 가로 이송 오거(23) 수납시에 있어서의 테일 파이프(61)의 하류 측 단부(63) 근방의 색을 흑색, 또는, 그을음에 가까운 색으로 함으로써 가드판(90) 표면의 오염을 보다 눈에 띄지 않게 할 수도 있다.

    상기 가드판(90)은 배출 오거(21)의 가로 이송 오거(23)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가드판(90)은 가로 이송 오거(23)가 수납되어 있는 위치에서의 가로 이송 오거(23)의 테일 파이프(61)의 하류 측 단부(63)의 근방 개소(하류 측 단부(63)의 상방)로서, 가로 이송 오거(23)와 가드 부재(81)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가드판(90)의 하면 바닥부가 테일 파이프(61)의 하류 측 단부(63)와 마주보게 장착된다. 또한, 가드판(90)의 형상은 본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테일 파이프(61)의 하류 측 단부(63)의 근방 개소를 피복할 수 있으면 된다.

    여기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로 이송 오거(23)의 가드판(90)의 장착 위치에는 방사 방향으로 소정 각도(대략 90도) 간격으로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6개)의 고(高)너트(또는 볼트)(91)가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하여 가드판(90)의 고너트(91)와 마주보는 위치에 볼트 홀이 개구된다. 즉, 가로 이송 오거(23)에는 가드판(90)의 전단부 및 후단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6개의 고너트(91)가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가드판(90)에는 가로 이송 오거(23)의 고너트(91)와 일치하는 위치에 볼트 홀이 천공된다. 그리고 가드판(90)의 볼트 홀과 가로 이송 오거(23)의 고너트(91)를 일치시켜 볼트(92)를 삽입하여 가로 이송 오거(23)에 가드판(90)이 장착된다. 또한, 가드판(90)의 장착 방법은 본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드판(90)이 가로 가드 부재(81a)에 고정될 수 있으면 된다.

    이와 같이 장착함으로써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드판(90)은 가로 이송 오거(23)의 외주면에 대하여 고너트(91)의 길이까지 이격되어 장착되고, 가드판(90)과 가로 이송 오거(23)와의 사이에 틈(93)이 형성된다. 따라서, 가드판(90)과 가로 이송 오거(23)와의 사이에 틈(93)이 형성되어 양자 사이에서 단열시킬 수 있고, 가드판(90)으로부터 가로 이송 오거(23)로의 열전도가 저감된다. 한편, 가드판(90)과 가로 이송 오거(23)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단열재를 개재하거나, 내열성을 가지는 완충 부재를 겸한 단열재를 직접 가로 이송 오거(23)의 외주면에 점착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그리고 도 8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출 오거(21)의 가로 이송 오거(23)는 조작에 따라서는 가드 부재(81)에 접근하는 일이 있다. 즉, 가로 이송 오거(23)를 가로 가드 부재(81a)의 상방 및 세로 가드 부재(81b)의 측방에 접근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여기서 테일 파이프(61)의 하류 측 단부(63)로부터 도 8 및 도 10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으로 배기 가스가 배출되었을 때에 배기 가스가 가드판(90)에 의해 차단되어 배출 오거(21)의 가로 이송 오거(23)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드판(90)은 가로 이송 오거(23)와 가드 부재(81)와의 사이에 위치하게 장착되기 때문에, 가드 부재(81)에 가드판(90)이 닿아 배출 오거(21)의 가로 이송 오거(23)의 변형이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1)은 예취, 탈곡, 선별 후의 벼를 저장하는 그레인 탱크(17)와, 일단이 기체 위에 탑재된 엔진(34)에 접속되고 타단이 탈곡부(15)와 그레인 탱크(17) 사이에 연장된 배기 사일렌서(42)와 테일 파이프(61) 등에 의해 구성된 배기 장치(41)를 구비한 콤바인으로서, 상기 배기 장치(41)의 상류 측에서 엔진(34)의 배기 매니폴드(36)와 접속된 테일 파이프(61)를 탈곡부(15)에 마련한 지지 부재(82)(83)에 의해 지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라디에이터로부터 배출된 배기바람을 도입함으로써 테일 파이프(61)의 표면 온도를 저하시킨다. 또한, 머플러 파이프로의 분진의 퇴적을 방지한다. 또한, 진동이 적은 탈곡부(15)에서 지지하기 때문에 테일 파이프(61)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테일 파이프(61)의 내구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경량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배기 장치(41)는 기체 전방에 마련된 엔진 룸(32) 내에서 엔진(34)에 접속된 배기 사일렌서(42)와, 상기 배기 사일렌서(42)의 하류 측에 접속되고 기체 상방에 배관되어 엔진(34)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배출하는 테일 파이프(61)와, 상기 엔진 룸(32) 내에서 상기 테일 파이프(61)에 마련되고 엔진 룸(32) 내의 외기를 테일 파이프(61) 안으로 도입시키는 외기 도입부(71)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주행 중에 감겨 올라온 진흙 등이 배기 장치(41)에 걸리기 어려워 배기 장치(41)로 진흙 등이 끌어들여지는 것이나 진흙 등이 침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배기 장치(41)의 진흙 등의 끌어들여짐이나 진흙 등의 침입에 의한 콤바인(11)의 주행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기 장치(41)는 기체의 상방에 배관되기 때문에 테일 파이프(61)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는 기체의 하방의 지면으로 분무되지 않아 배기 가스에 의해 먼지 등이 콤바인(11) 주위로 감겨 올라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기 도입부(71)는 엔진 룸(32) 내에서 테일 파이프(61)에 마련되고 엔진 룸(32) 내의 외기를 테일 파이프(61) 안으로 도입하는데, 엔진 룸(32) 내의 외기는 지푸라기 등이 제거되어 있기 때문에 외기 도입부(71)의 개구부 부근에 커버부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외기 도입부(41)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배기 장치의 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일 파이프(61)의 배출구(63)로부터의 배출 방향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 기체 전후 좌우 중앙부에서 상기 탈곡부(15)의 후외측 모서리부를 향하여 배출하게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운전석이나 흡기구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배기 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배기 가스가 테일 파이프(61)로부터 배출된 후에 확산가능한 충분한 거리를 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예취, 탈곡, 선별 후의 벼를 저장하는 그레인 탱크(17)와, 상하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그레인 탱크(17)로부터 벼를 배출하는 배출 오거(21)와, 일단이 기체 위에 탑재된 엔진(34)에 접속되고 타단이 탈곡부(15)와 그레인 탱크(17) 사이에 연장된 배기 사일렌서(42)와 테일 파이프(61) 등에 의해 구성된 배기 장치(41)를 구비한 콤바인으로서, 상기 테일 파이프(61)의 배출구(63)를 탈곡부(15) 상방에 배치하고, 배출 방향을 수납시의 배출 오거(21)와 반대 측의 기체 대각선 후방이 되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테일 파이프(61)의 배출구(63)는 기체의 전후 방향 대략 중앙부에서 수납시의 배출 오거(21)의 가로 이송 오거(23)보다 하방에 배치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차고에 격납시 등에 테일 파이프(61)의 선단이 닿지 않는다. 또한, 격납시에 배기 가스가 천정이나 벽 등에 닿지 않아 더럽히지 않는다. 또한, 격납시나 작업 종료 후에 비막이용 시트(100)를 기체 전체에 씌워도 비막이용 시트(100)가 테일 파이프(61)와 접촉하지 않아 테일 파이프(61)의 열로 비막이용 시트(100)를 눋게 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테일 파이프(61)의 하류 측 단부보다 높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 테일 파이프(61)의 배출 방향과 평행하게 가드 부재(81)를 배치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가드 부재에 의해 테일 파이프(61)와 배출 오거(21)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2

    이어서,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콤바인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6은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 도 17은 콤바인의 정면도, 도 18은 콤바인의 평면도, 도 19는 배기 장치의 측면 개략도, 도 20은 배기 장치의 정면 개략도, 도 21은 배기 장치의 평면 개략도이다.

    먼저 콤바인(111)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 내지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콤바인(111)은 좌우의 크롤러를 포함하는 크롤러 주행 장치(112) 위에 기체(섀시)(113)가 배치되고, 기체(113)의 앞부분 우측에 엔진(134)(도 19 참조)이 탑재된다. 기체(113)의 전방에는 엔진(134)의 구동력을 변속하여 크롤러 주행 장치(112)에 전달하는 미션 케이스(131)(도 21 참조)가 배치되고, 미션 케이스(131)에는 크롤러 주행 장치(112)의 구동륜의 차축이 마련된다. 또한, 기체(113)의 앞부분에는 예취부(114), 기체(113)의 상부에서 주행 방향의 좌측에는 선별부(116)가 마련되고, 선별부(116)의 상부에는 급동 및 피드 체인(115a) 등을 구비한 탈곡부(115)가 마련되고, 선별부(116)의 하부에는 1번 컨베이어나 2번 컨베이어가 배치된다. 기체(113)의 상부의 우측 앞부분에는 좌석(119)이 마련되고, 기체(113)의 우측 뒷부분에는 벼를 일시 저장하여 봉투로 배출하는 곡립 수용부로서의 탑 사커(117)가 마련된다. 상기 선별부(116)에서 정밀선별된 곡물은 1번 컨베이어로부터 양곡통(揚穀筒)(124)을 통과하여 탑 사커(117)에 일시 저장된다. 또한, 2번 컨베이어로부터는 2번 환원 장치(120)를 통하여 선별부(116)의 앞부분으로 환원된다. 상기 탑 사커(117)의 바닥부에는 봉투 등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17a)가 마련된다. 또한, 배출구(117a)에는 셔터가 장비되어 있어 셔터를 조작함으로써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어, 봉투의 교환시나 필요에 따라서 닫을 수 있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닫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배출구(117a)의 측부에는 봉투를 매달기 위한 매달기용 기둥이 배치된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콤바인(111)의 기체(113)의 앞부분 하방에는 상기 엔진(134)이 탑재되고, 엔진(134)은 엔진 룸(132) 내에 수용된다. 엔진 룸(132)은 상면, 전면, 좌우 측면을 덮는 엔진 룸 커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성되고, 후면은 엔진 룸 뒷부분 프레임(133)에 의해 구성된다. 엔진 룸(132)에는 냉각용 외기를 취입하기 위한 개부(도시하지 않음)가 우측방에 마련되고, 좌석(119)의 후하부에서 엔진(134)에 걸쳐서는 에어 클리너나 흡기 사일렌서 등을 배치한 흡기 경로(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된다.

    이어서 배기 장치(14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 장치(141)는 엔진(134)의 배기 매니폴드(136)에 접속되어 연소 후의 배기 가스를 배출하고 폭발에 수반되는 배기음을 저감시키는 것이다. 상기 배기 장치(141)는 배기 사일렌서(142), 테일 파이프(161), 외기 도입부(171)를 가진다.

    상기 배기 사일렌서(142)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배기 사일렌서(142)는 엔진(134)의 배기 매니폴드(136)에 접속되어 배기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 사일렌서(142)는 단면 형상이 대략 타원의 통상체이며, 일측부 부근에 배기 가스 출구인 사일렌서 출구관(143)이 마련된다. 배기 사일렌서(142)는 엔진 룸(132) 내에 배치되고, 엔진(134)의 상방에서 냉각 팬(135)의 배기바람이 닿는 위치에 마련된다. 배기 사일렌서(142)가 냉각 팬(135)의 배기바람이 닿는 위치에 마련되기 때문에 배기 사일렌서(142)가 냉각됨과 함께 먼지가 쌓이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 사일렌서(142)는 길이 방향을 기체(113)의 좌우 방향으로 향하고, 또한 배기 매니폴드(136)에 대하여 기체(113)의 좌측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배치되고, 상기 사일렌서 출구관(143)이 기체(113)의 진행 방향 좌측이 되게 접속된다.

    이어서 상기 테일 파이프(161)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테일 파이프(161)는 상기 배기 사일렌서(142)의 하류 측에 접속되어 엔진(134)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테일 파이프(161)의 전체 형상은 도 19 내지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 사일렌서(142)의 사일렌서 출구관(143)에 접속되는 부분인 상류 측 단부(162)에서 기체(113)의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이어서 엔진 룸 뒷부분 프레임(133)의 관통부의 후방에서 기체(113)의 상방을 향하여 굴곡되면서 또한 기체(113)의 좌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이어서 탑 사커(117)와 탈곡부(115)의 사이까지 이른 곳에서 다시 기체(113)의 후방을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굴곡되어 후방으로 연장되고, 본 기기(탈곡부(115) 또는 탑 사커(117)) 전후 중앙 부근에 테일 파이프(161)의 하류 측 단부(163)를 배치한다. 하류 측 단부(163)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수평면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각도 β(도 19) 굴곡되고, 또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전후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왼쪽 후방(피드 체인 측)으로 각도 α(도 21) 굴곡된다.

    또한, 상기 테일 파이프(161)는 상기 2번 환원 장치(120) 및 양곡통(124)의 근방을 상방으로 우회하여 배치한다. 즉, 상기 테일 파이프(161)는 상방을 향하여 굴곡된 개소 부근에서 2번 환원 장치(120) 전단의 전방과, 상방에서 수평 방향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개소 부근에서 양곡통(124)과 접근하게 그 측방(진행 방향 좌측)에 배치한다. 이와 같이, 2번 환원 장치(120) 및 양곡통(124)의 근방에 상기 테일 파이프(161)를 배치함으로써, 배기 가스의 열을 2번 환원 장치(120)나 양곡통(124) 내부로 전도하여 내부의 습재를 덥혀 건조시켜 막힘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테일 파이프(161)는 외관(164)과 내관(165)으로 구성된다. 내관(165)은 배기 사일렌서(142)의 사일렌서 출구관(143)에 접속되어 배기 가스가 통과하는 부분이고, 외관(164)은 내관(165)과의 사이에 단열층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내관(165)과 외관(164)은 각각 금속제의 직관과 엘보로 구성되고, 외관(164)에 내관(165)이 삽입된다. 외관(164)에 삽입된 내관(165)의 고정은, 내관 고정 부재를 내관(165)의 외면과 외관(164)의 내면에 용접 수단 등으로 고정하여, 내관(165)과 외관(164)과의 사이에 소정의 틈을 확보하여 고정하게 되어 있다. 이 내관(165)과 외관(164)의 틈 부분이 단열층이 된다. 상기 틈은 테일 파이프(161)의 상류 측 단부(162)에서 하류 측 단부(163)까지 연통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테일 파이프(161)는 외관(164)과 내관(165)으로 구성되는 2중관으로 하였지만, 내관(165)만으로 이루어지는 1중관으로 해도 되고, 혹은, 외측에 파이프를 더 마련하여 3중관 이상으로 해도 된다.

    테일 파이프(161)의 하류 측 단부(163)의 형상은 외관(164)의 단부의 상류 측에 내관(165)의 단부가 위치하게 되어 있어, 테일 파이프(161)의 하류 측 단부(163)에서 외관(164)과 내관(165)의 단부 위치에 차이를 두고 있다. 또한, 외관(164)의 단부는 비스듬하게 절단하여 상부 측이 길어지게 돌출시켜 테일 파이프(161) 안으로 빗물 등이 침입하기 어려운 구성이다. 테일 파이프(161)의 하류 측 단부(163)에서 외관(164)과 내관(165)의 단부 위치에 차이를 두고 있기 때문에, 엔진(134)이 작동하여 배기 가스가 내관(165)의 하류단으로부터 배출되면 배기 가스의 기류에 의해 내관(165) 후단과 외관(164)과의 사이에 부압이 발생하여 외관(164) 전단과 내관(165) 앞부분과의 사이로부터 공기가 흡입되어 내관(165)과 외관(164)과의 틈에 하류 방향의 공기의 흐름이 생긴다. 공기에 흐름이 생기면 틈 내부의 환기가 행해져 틈 내부의 공기의 온도 상승이 낮게 억제되어 내관(165)과 외관(164) 사이의 단열 효과가 높아진다. 따라서, 외관(164)의 표면 온도의 상승을 낮게 억제할 수 있어 테일 파이프(161)에 접근시켜 하네스 등이 마련되어도 하네스 등으로의 열 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테일 파이프(161) 안으로 빗물 등이 침입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엔진 룸(132) 측의 테일 파이프(161)의 상류 측 단부(162)에서의 형상은 외관(164) 단부의 상류 측으로 내관(165)의 단부가 돌출되어, 테일 파이프(161)의 상류 측 단부(162)에서 외관(164)과 내관(165)의 단부 위치에 차이를 두고 있다.

    또한, 상기 테일 파이프(161)의 상류 측 단부(162)에서의 형상은 단면이 비스듬하게 절단되어 가이드를 형성한다. 가이드의 장변 측이 라디에이터로부터 배출된 배기바람과 마주보게 마련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외기 도입량을 증가시켜 테일 파이프의 표면 온도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내관(165)과 외관(164)과의 사이의 틈은 테일 파이프(161)의 상류 측 단부(162)에서 외기와 연통되기 때문에, 테일 파이프(161)의 하류 측 단부(163)로부터 빗물 등이 침입한 경우에도 상류 측 단부(162)로부터 물이 배출된다. 따라서, 내관(165)과 외관(164)과의 틈을 통하여 배기 사일렌서(142) 내부나 엔진(134)으로 빗물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테일 파이프(161)는 본 기기 중앙 부근에서 탈곡부(115)의 급실 커버 상방으로, 또한 본 기기 진행 방향에 대하여 왼쪽 후방으로 각도 α(이하, 배출 방향 α라고 한다)로 배출하게 배관되는 형상임과 함께, 테일 파이프(161)의 하류 측 단부(163)는 본 기기 중앙 부근에 위치한다. 즉, 테일 파이프(161)는 본 기기 중앙 부근에서 하류 측 단부(163)로부터 배출 방향 α로 배출하게 된다. 또한,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실 커버를 최대한 상방으로 회동하여 개방한 경우의 높이보다 상방이 되는 각도 γ(이하, 배출 방향 γ라고 한다)로 배출하게 배관된 형상이다.

    따라서, 본 기기 중앙 부근에서 하류 측 단부(163)로부터 배출하기 때문에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기기 가장자리(여기에서는, 본 기기 왼쪽 뒷모서리부 부근)까지의 치수 A를 길게 취하고 배출 방향 α로 배출하기 때문에 오퍼레이터로부터 먼 곳으로 배기 가스를 배출할 수 있어 오퍼레이터에 대한 배기 가스의 영향(구체적으로, 배기 가스를 뒤짚어 쓰거나 그을음이 부착되는 등)을 적게 할 수 있고, 본 기기 우측에 위치한 탑 사커(117)로의 배기 가스의 영향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급실 커버를 최대로 개방했을 때의 높이보다 상방으로 배기 가스를 배출하기 때문에 급실 커버에 배기가 닿지 않아 오염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기기 좌측으로의 배출 방향의 각도 α는 30도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외기 도입부(171)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외기 도입부(171)는 외기를 테일 파이프(161)의 내관(165)으로 도입하여 배기 가스의 온도를 외기에 의해 저하시키는 것이다. 테일 파이프(161)의 상류 측 단부(162)에는 배기 사일렌서(142)의 사일렌서 출구관(143)이 접속되고, 외기 도입부(171)는 배기 사일렌서(142)와 테일 파이프(161)와의 접속 부분에 형성된다. 엔진(134) 작동시에 내관(165)을 배기 가스가 통과하면, 배기 가스의 기류에 의해 외기 도입부(171)에 부압이 발생하여 외기 도입부(171)의 개구부로부터 내관(165)으로 외기가 흡인된다.

    상기 테일 파이프(161)의 상류 측 단부(162)는 제1의 실시예에 따른 상류 측 단부(62)와 기본적으로 공통된 구성이고, 상기 상류 측 단부(162)를 도 12의 (b), 도 13, 도 14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기 도입부(171)는 배기 사일렌서(142)에 가까운 엔진 룸(132) 내에 마련되고, 냉각 팬(135)의 배기바람이 닿는 위치에 마련된다. 냉각 팬(135)의 배기바람이 외기 도입부(171)에 항상 닿음으로써 외기 도입부(171)로부터 낮은 온도의 공기를 도입시킬 수 있음과 함께 외기 도입부(171)에 먼지가 쌓이는 것도 방지 가능하다.

    또한,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일 파이프(161)와 사일렌서 출구관(143)을 접속하는 방향은 기체(113)의 전후 방향으로 한다. 엔진(134)의 진동 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사일렌서 출구관(143)을 삽입함으로써 엔진(134)의 진동에 의한 사일렌서 출구관(143)의 진동이 삽입 방향과 일치하기 때문에 테일 파이프(161)의 내관(165)에 접촉하기 어려워진다. 사일렌서 출구관(143)과 테일 파이프(161)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일렌서 출구관(143)의 삽입 방향은 엔진(134)의 진동이 큰 방향에 따른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기 도입부(171)는 배기 사일렌서(142)에 마련된 사일렌서 출구관(143)이 테일 파이프(161)에 삽입되고, 사일렌서 출구관(143)과 테일 파이프(161)와의 사이에 틈이 확보된 구성이기 때문에 배기 사일렌서(142)와 테일 파이프(161)를 접속하는 플랜지가 불필요해진다. 플랜지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진동체인 배기 사일렌서(142)의 질량을 저감할 수 있고, 배기 사일렌서(142)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진동에 의한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이어서, 배기 장치(141)의 지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9 내지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일 파이프(161)는 지지 부재(182)(183)(184)를 개재하여 탈곡부(115)에 지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배기 장치(141)를 기체(113)의 상방에 배관, 지지시키면, 배기 장치(141)에 지푸라기 등이 축적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테일 파이프(161)의 탈곡부(115)에서의 지지부에서는 테일 파이프(161)와 탈곡부(115)와의 간격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어, 테일 파이프(161) 하부에 하네스, 주유 호스 등이 배치되어도 열에 의한 영향을 방지한다.

    상기 탈곡부(115)의 우측면에 고정마련한 지지 부재(182)(183)는 테일 파이프(161)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부(161a)를 지지한다. 한편, 상기 탈곡부(115)의 우측의 상면에 고정마련한 지지 부재(184)는 테일 파이프(161)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부(161b)를 지지한다. 이와 같이 복수 개소에서 지지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탈곡부(115)에서 지지된다. 또한,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 부재에 의해 3개소에서 지지하고 있지만, 2개소 이하 또는 4개소 이상에서 지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11)은 예취, 탈곡, 선별 후의 벼를 저장하는 탑 사커(117)와, 일단이 기체 위에 탑재된 엔진(134)에 접속되고 타단이 탈곡부(115)와 탑 사커(117)와의 사이에 연장된 배기 사일렌서(142)와 테일 파이프(161) 등에 의해 구성된 배기 장치(141)를 구비한 콤바인으로서, 상기 배기 장치(141)의 상류 측에서 엔진(134)의 배기 매니폴드(136)와 접속되는 테일 파이프(161)를 탈곡부(115)에 마련한 지지 부재(182)(183)(184)에 의해 지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라디에이터로부터 배출된 배기바람을 도입함으로써 테일 파이프(161)의 표면 온도를 저하시킨다. 또한, 머플러 파이프로의 분진의 퇴적을 방지한다. 또한, 진동이 적은 탈곡부(115)에서 지지하기 때문에 테일 파이프(161)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테일 파이프(161)의 내구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경량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배기 장치(141)는 기체 전방에 마련된 엔진 룸(132) 내에서 엔진(134)에 접속된 배기 사일렌서(142)와, 상기 배기 사일렌서(142)의 하류 측에 접속되고 기체 상방에 배관되어 엔진(134)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배출하는 테일 파이프(161)와, 상기 엔진 룸(132) 내에서 상기 테일 파이프(161)에 마련되고 엔진 룸(132) 내의 외기를 테일 파이프(161) 안으로 도입시키는 외기 도입부(171)를 구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주행 중에 감겨 올라온 진흙 등이 배기 장치(141)에 걸리기 어려워, 배기 장치(141)로 진흙 등이 끌어들여지는 것이나 진흙 등이 침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배기 장치(141)의 진흙 등의 끌어들여짐, 진흙 등의 침입에 의한 콤바인(111)의 주행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기 장치(141)는 기체의 상방에 배관되기 때문에 테일 파이프(161)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는 기체의 하방의 지면으로 분무되지 않아 배기 가스에 의해 먼지 등이 콤바인(111) 주위로 감겨 올라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기 도입부(171)는 엔진 룸(132) 내에서 테일 파이프(161)에 마련되고 엔진 룸(132) 내의 외기를 테일 파이프(161) 안으로 도입하는데, 엔진 룸(132) 내의 외기는 지푸라기 등이 제거되어 있기 때문에 외기 도입부(141)의 개구부 부근에 커버부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외기 도입부(141)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배기 장치의 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배기 장치가 기체 상부에 배관된 콤바인의 기술에 활용할 수 있다.

    11… 콤바인
    13… 기체
    15… 탈곡부
    17… 그레인 탱크
    21… 배출 오거
    34… 엔진
    41… 배기 장치
    61… 테일 파이프
    63… 하류 측 단부
    90… 가드판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