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량의 배수관 구조

申请号 KR2020110001809 申请日 2011-03-04 公开(公告)号 KR200461566Y1 公开(公告)日 2012-07-27
申请人 (주)스템즈 건설; 发明人 김창호;
摘要 본 고안은, 그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T자형으로 돌출된 T자형 레일(42)이 일체로 성형된 배수관(40)과; 상기 배수관(40)의 T자형 레일(42)에 끼워지는 T자형 구멍(44)(64)이 형성된 레일 가이드가 형성된 브라켓(43)(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교량의 배수관 구조를 제공한다.
权利要求
  • 삭제
  • 그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T자형으로 돌출된 T자형 레일(42)이 일체로 성형된 배수관(40)과;
    상기 배수관(40)의 T자형 레일(42)에 끼워지는 T자형 구멍(44)이 형성된 레일 가이드가 형성된 브라켓(4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브라켓(43)은, 상기 배수관(40)을 교량의 슬레브의 하부에 슬레브의 길이방향으로 설치할 때 사용하여 상기 배수관(40)을 행거 봉(50)과 결합하는 것으로서, 사각면체에 상부에 사각 구멍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 상기 T자형 레일(42)에 끼워지도록 T자형 구멍(44)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상부의 사각 구멍과 하부의 T자형 구멍(44) 사이에는 격벽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면에는 상기 행거 봉(50)의 하단의 나사부가 삽입되는 구멍(4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행거 브라켓(43)의 하부 T자형 구멍(44)에 대응하는 레일 가이드를 형성하는 양측면에는 나사(47)(48) 체결용 구멍(4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배수관 구조.
  • 삭제
  • 说明书全文

    교량의 배수관 구조 {Drain pipe line structure for bridge}

    본 고안은 교량의 배수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에 배수관을 설치할 때에 설치 작업이 용이하여 작업 효율이 우수하며 배수관의 안전한 지지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교량의 배수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에는 우천시 빗물이 집수구를 통해 모아진 후에 배수관을 통하여 교량의 아래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교량의 배수관(3)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량 슬래브(1)에 형성된 집수구(2)의 하부에 결합되어 교량 슬레브(1)의 저면에 결합된 행거봉(4)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상기한 종래 교량의 배수 구조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41740호에 배수관과 행거를 결합하는 밴드 타입의 브라켓이 개시되어 있다.

    그 첫 번째 밴드 타입 브라켓(11)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관(10)에 끼워지는 구조로서 그 상부에 볼트 결합 레일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밴드 타입 브라켓(11)을 이용하여 교량 슬레브(1)의 하부에 배수관(10)을 설치하려면 작업자는 배수관(10)에 밴드 타입 브라켓(11)을 끼우고, 밴드 타입 브라켓(11)의 상부에 형성된 볼트 결합 레일부(12)에 볼트(16)를 끼운 다음에 행거 브라켓(13)에 형성된 볼트 구멍에 볼트(16)를 삽입한 후에 너트(17)로 고정하고, 또한 행거봉(14)을 행거 브라켓(13) 및 연결 브라켓(15)와 너트로 고정결합하여야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조는 밴드 타입 브라켓(11)과 행거 브라켓(13)을 볼팅 결합하여야 하므로 작업자가 행거 브라켓(13)의 좁은 공간 안으로 손을 넣어 볼트(16)와 너트(17)를 체결하여야 하므로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밴드 타입 브라켓(11)을 배수관(10)의 적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수관(10)를 고정하는 구성품으로서 밴드 타입 브라켓(11)과 볼트(16) 및 너트(17)와 같이 부품이 많이 소요되어 비용이 많이 발생하고, 또한 작업 공수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볼트 결합 레일부(12)에 볼트(16)의 머리가 끼워진 구조이므로 차량이 지나감에 따라 교량의 진동에 의하여 볼트(16)의 머리가 볼트 결합 레일부(12)에서 이탈하게 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41740호에는 다른 밴드 타입 브라켓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밴드 타입 브라켓(11')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관(10)에 끼워지는 구조로서 그 상부에 행거 브라켓(13')이 레일 결합되는 결합 레일부(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조는 작업자의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지만, 배수관(10)를 고정하는 구성품으로서 밴드 타입 브라켓(11')과 같이 부품이 많이 소요되어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결합 레일부(12')에 행거 브라켓(13')의 하부 레일이 끼워지므로 차량이 지나감에 따라 교량의 진동에 의하여 행거 브라켓(13')의 하부 레일이 결합 레일부(12)에서 이탈하게 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한 종래 교량의 배수 구조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40453호에는 레일 타입의 배수관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레일 타입의 배수관(20)에는 그 상부에 일체로 볼트 결합 레일부(22)가 배수관(20)의 길이방향으로 성형되어 있다.

    이 레일 타입의 배수관(20)을 교량 슬레브(1)의 하부에 설치하려면 작업자는 배수관(20)의 상부에 형성된 볼트 결합 레일부(22)에 볼트(26)를 끼운 다음에 행거 브라켓(23)에 형성된 볼트 구멍에 볼트(26)를 삽입한 후에 너트(27)로 고정하고, 또한 행거봉(24)을 행거 브라켓(23) 및 연결 브라켓(25)와 너트로 고정 결합한 다음에, 노치구(30)의 하부에 형성된 레일부에 볼트(28)의 머리부를 끼우고나서 연결 브라켓(25)에 형성된 볼트 구멍에 볼트(28)를 삽입한 후에 너트(29)로 고정하여야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조는 레일 타입 배수관의 볼트 결합 레일부(22)와 행거 브라켓(23)을 볼팅 결합하여야 하므로 작업자가 행거 브라켓(23)의 좁은 공간 안으로 손을 넣어 볼트(26)와 너트(27)를 체결하여야 하므로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수관(20)를 고정하는 구성품으로서 볼트(26) 및 너트(27)와 같이 부품이 많이 소요되어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수관(20)의 볼트 결합 레일부(22)에 볼트(26)의 머리가 끼워진 구조이므로 차량이 지나감에 따라 교량의 진동에 의하여 볼트(26)의 머리가 볼트 결합 레일부(22)에서 좌우로 이동하게 되어 배수 구조의 뒤틀림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교량에 배수관을 설치할 때에 설치 작업이 용이하여 작업 효율이 우수하며 배수관의 안전한 지지가 가능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교량의 배수관 구조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교량의 배수관 구조는, 그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T자형으로 돌출된 T자형 레일(42)이 일체로 성형된 배수관(40)과; 상기 배수관(40)의 T자형 레일(42)에 끼워지는 T자형 구멍(44)(64)이 형성된 레일 가이드가 형성된 브라켓(43)(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43)은, 상기 배수관(40)을 교량의 슬레브의 하부에 슬레브의 길이방향으로 설치할 때 사용하여 상기 배수관(40)을 행거 봉(50)과 결합하는 것으로서, 사각면체에 상부에 사각 구멍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 상기 T자형 레일(42)에 끼워지도록 T자형 구멍(44)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상부의 사각 구멍과 하부의 T자형 구멍(44) 사이에는 격벽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면에는 상기 행거 봉(50)의 하단의 나사부가 삽입되는 구멍(4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행거 브라켓(43)의 하부 T자형 구멍(44)에 대응하는 레일 가이드를 형성하는 양측면에는 나사(47)(48) 체결용 구멍(4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라켓(60)은, 상기 배수관(40)을 교량의 교각의 측면에 교각의 길이방향으로 설치할 때 사용하여 상기 배수관(40)을 교각에 볼팅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배수관(40)의 T자형 레일(42)에 끼워지도록 T자형 구멍(64)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레일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고, 이 레일 가이드의 양 측면에 나사 체결 구멍(6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레일 가이드의 밑쪽 면과 동일한 면으로 양 측면에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에 볼트 삽입 구멍(61)(6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교량에 배수관을 설치할 때에 설치 작업이 용이하여 작업 효율이 우수하다. 또한, 종래에 비하여 부품수를 줄여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배수관의 T자형 레일에 브라켓의 T자형 구멍을 끼우고서 이들을 외부에서 나사로 고정 결합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진동 등에 의하여 배수관의 레일부에서 브라켓이 이동하지 않아서 배수 구조의 뒤틀림이 발생할 우려가 없고, 이에 따라 배수관의 안전한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교량의 슬레브에 배수 시설을 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종래 교량의 배수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교량의 배수관 구조로서 교량의 슬레브의 하부에 슬레브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교량의 배수관 구조로서 교량의 교각의 측면에 교각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교량의 배수관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교량의 배수관 구조로서 교량의 슬레브의 하부에 슬레브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는 배수관(40)에 그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T자형으로 돌출된 T자형 레일(42)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T자형 레일(42)이 형성된 배수관(40)을 교량의 슬레브의 하부에 슬레브의 길이방향으로 설치할 때에는, 행거봉(50)과 결합하기 위하여 행거 브라켓(43)을 사용한다.

    상기 행거 브라켓(43)은 예를 들면 사각면체에 상부에 사각 구멍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 상기 T자형 레일(42)에 끼워지도록 T자형 구멍(44)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상부의 사각 구멍과 하부의 T자형 구멍(44) 사이에는 격벽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행거 브라켓(43)의 상부면에는 행거 봉(50)의 하단의 나사부가 삽입되는 구멍(4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행거 브라켓(43)의 하부 T자형 구멍(44)에 대응하는 레일 가이드를 형성하는 양측면에는 나사(47)(48) 체결용 구멍(4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교량의 배수관 구조를 교량의 슬레브의 하부에 슬레브의 길이방향으로 설치할 경우에는 먼저 작업자가 배수관(40)의 T자형 레일(42)에 행거 브라켓(43)의 하부 T자형 구멍(44)을 정합하도록 하여 행거 브라켓(43)을 배수관(40)에 끼운다. 그후, 행거 봉(50)의 하단부를 행거 브라켓(43)에 너트(51)(49)로 고정한 후에 나사(47)(48)을 행거 브라켓(43)의 나사체결 구멍(45)에 끼우고 나사 체결하여 행거 브라켓(43)을 배수관(40)의 T자형 레일(42)에 고정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도 2 및 도 5의 종래 예와 같이 볼트(16)(26)를 행거 브라켓(13)(23)의 하부 구멍에 끼우고 행거 브라켓(13)(23)의 좁은 내부 공간에 손을 넣어 너트(17)(27)를 볼트(16)(26)에 끼워 볼팅 체결하여야 하는 설치 작업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으므로, 교량에 배수관을 설치할 때에 설치 작업이 용이하여 작업 효율이 우수하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도 2 및 도 5의 종래 예에서 볼트와 너트를 두 개씩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두 개의 나사만을 사용하므로 부품수를 줄여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의 종래 예와 비교하여 밴드 타입 브라켓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배수관의 T자형 레일에 행거 브라켓의 T자형 구멍을 끼우고서 이들을 외부에서 나사로 고정 결합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진동 등에 의하여 배수관의 레일부에서 행거 브라켓이 이동하지 않아서 배수 구조의 뒤틀림이 발생할 우려가 없고, 이에 따라 배수관의 안전한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교량의 배수관 구조를 교량의 교각에 설치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T자형 레일(42)이 형성된 배수관(40)을 교량의 교각의 측면에 교각의 길이방향으로 설치할 때에는 교각에 직접 볼팅하는 브라켓(60)을 사용한다.

    상기 브라켓(60)은 상기 T자형 레일(42)에 끼워지도록 T자형 구멍(64)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레일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고, 이 레일 가이드의 양 측면에 나사 체결 구멍(6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레일 가이드의 밑쪽 면과 동일한 면으로 양 측면에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에 볼트 삽입 구멍(61)(6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교량의 배수관 구조를 교량의 교각의 측면에 교각의 길이방향으로 설치할 경우에는 먼저 작업자가 배수관(40)의 T자형 레일(42)에 브라켓(60)의 하부 T자형 구멍(64)을 정합하도록 하여 브라켓(60)을 배수관(40)에 끼운다. 그후, 브라켓(60)의 볼트 삽입 구멍(61)(62)을 통하여 교각에 브라켓(60)을 볼팅 결합한 후에 T자형 구멍(64)의 양측면을 구성하는 레일 가이드의 나사 체결 구멍(65)에 나사(66)(67)를 끼우고 나사 체결하여 브라켓(60)을 배수관(40)의 T자형 레일(42)에 고정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교량에 배수관을 설치할 때에 설치 작업이 용이하여 작업 효율이 우수하다. 또한, 종래에 비하여 부품수를 줄여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배수관의 T자형 레일에 브라켓의 T자형 구멍을 끼우고서 이들을 외부에서 나사로 고정 결합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진동 등에 의하여 배수관의 레일부에서 브라켓이 이동하지 않아서 배수 구조의 뒤틀림이 발생할 우려가 없고, 이에 따라 배수관의 안전한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이 첨부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라면 본 고안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할 것이다.

    40 : 배수관 42 : T자형 레일
    43 : 행거 브라켓 44 : T자형 구멍
    47,48 : 나사 50 : 행거 봉
    60 : 브라켓 64 : T자형 구멍
    66,67 : 나사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