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터부 교환이 가능한 교량용 배수처리장치 및 그 필터부 교환방법

申请号 KR1020100093694 申请日 2010-09-28 公开(公告)号 KR1020120032191A 公开(公告)日 2012-04-05
申请人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发明人 양난경;
摘要 PURPOSE: A drainage treatment device enable to replace a filter unit for a bridge and a method of changing the filter unit are provided to remove a non-point pollution source by using a filter while raining and to maintain a purification facility more efficiently by partially replacing the filter. CONSTITUTION: A drainage treatment device enable to replace a filter unit comprises a housing unit(110) and a filter unit(120). The housing unit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a bridge slab and formed into a casing of a square in which top is opened or a circular shape. The housing unit comprises a bottom plate(111), a vertical frame(112), a side plat frame, and a rubber pad. The filter unit is installed in the rubber pad to be separated.
权利要求
  • 교량 슬래브를 관통하여 슬래브 하부로 노출되는 배수관으로부터 배출수를 처리하는 교량용 배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가 상부로부터 유입되도록 교량에 설치된 사각 또는 원형단면의 박스체로 형성되어 교량 외측으로 일 측면이 개폐되도록 제작되며 교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하우징부(110); 및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장착된 필터부(120);를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면을 개방하여 필터부를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부 교환이 가능한 교량용 배수처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110)는
    저판(111); 상기 저판을 슬래브 저면으로부터 상기 저판의 일측단부와 고정 연결된 수직프레임(112); 상기 저판의 타측단부와 힌지 연결되어 교량 외측으로 일 측면이 개폐되도록 형성 된 측판프레임(113); 및 상기 저판, 수직프레임과 측판프레임에 의한 박스체 내측면에 장착된 고무패드(114);를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부에 필터부가 수용되도록 하여, 상기 저판의 타측단부에 힌지 연결된 측판프레임을 교량 외측으로 회전시켜 하우징부의 일측면을 개방시켜 필터부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부 교환이 가능한 교량용 배수처리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120)는 하우징부 상부에 배치된 이물질 제거부 필터(121);를 포함하되, 상기 제거부 필터 하부에는 오염물질 제거부 필터(122)가 더 배치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부 교환이 가능한 교량용 배수처리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교축방향으로 다수가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도록 성시키되, 측판프레임에는 오버플로우용 관통공(117)이 더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필터부 교환이 가능한 교량용 배수처리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물질 제거부 필터(122)는 하우징부 전체 길이에 걸쳐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 필터(121)는 배수관 하부에만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이물질 제거부 필터(122)만을 교환할 수 있도록 측판프레임 상부에 상단개폐부(D)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부 교환이 가능한 교량용 배수처리장치.
  • 교량 슬래브를 관통하여 슬래브 하부로 노출되는 배수관으로부터 배출수를 처리하는 교량용 배수처리장치를 이용한 교량배수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가 상부로부터 유입되도록 교량에 설치된 사각 또는 원형단면의 박스체로 형성되며 일 측면이 개폐되도록 제작되며 교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하우징부를 설치하되 상기 하우징부는 판; 상기 저판을 슬래브 저면으로부터 상기 저판의 일측단부와 고정 연결된 수직프레임; 상기 저판의 타측단부와 힌지 연결되어 교량 외측으로 일 측면이 개폐되도록 형성 된 측판프레임; 및 상기 저판, 수직프레임과 측판프레임에 의한 박스체 내측면에 장착된 고무패드;를 포함되도록 하여 설치하고,
    상기 고무패드 내부에 이물질 제거부 필터를 설치하되 상기 이물질 제거부 필터 하부에 오염물질 제거부 필터를 설치함으로써 필터부를 하우징부 내부에 장착하고,
    상기 저판에 힌지 연결된 측판프레임을 수평으로 회전시켜 하우징부의 일측면을 개방하여 상기 필터부를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부 교환이 가능한 교량용 배수처리장치의 필터부 교환방법.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물질 제거부 필터는 하우징부 전체 길이에 걸쳐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 필터는 배수관 하부에만 배치되도록 하여 필터부를 하우징 내부에 장착시키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 필터만을 교환할 수 있도록 측판프레임 상부에 는 개폐부를 형성시켜 상기 개폐부를 통해 이물질 제거부만을 별도로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부 교환이 가능한 교량용 배수처리장치의 필터부 교환방법.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프레임은 고무패드와 함께 교축방향으로 다수로 분할되어 각각 개폐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부 교환이 가능한 교량용 배수처리장치의 필터부 교환방법.
  • 说明书全文

    필터부 교환이 가능한 교량용 배수처리장치 및 그 필터부 교환방법{DRAIN APPARATUS FOR BRIDGE AND EXCHANGE METHOD OF FILTER PART THEREWITH}

    본 발명은 필터부 교환이 가능한 교량용 배수처리장치 및 그 필터부 교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교량을 주행하는 차량에서 발생하는 누유, 매연 및 각종 오물 등에 의해 발생하는 환경오염인자들이 대기중 오염물질과 강우시 교량의 노면으로 흐르는 우수에 포함되어 비점 형태의 수계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고자 교량의 교축방향으로 비점오염원 제거를 위한 물리적 이물질 제거와 화학적 정화시설을 갖춘 필터부 교환이 가능한 교량용 배수처리장치 및 그 필터부 교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강우시 교량 노면의 우수를 배수처리하는 장치 및 유지관리하는 방법으로, 특히 교량 상면의 강우수를 배수하는 과정에서 주행차량들로부터 낙하하는 오일 또는 대기중의 미세먼지 등의 비점오염원을 차단하여 유해물질이 수계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환경오염을 예방하는 교량용 배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a 및 1b와 같이 일반적으로 종래 교량 노면(슬래브 표면)의 배수방식은 노면의 일측 또는 양측 가장자리부를 낮게 형성하여 노면위로 유입되는 빗물 등의 노면수가 집수되도록 하고, 그 가장자리부에 교량 슬래브를 상하로 관통하는 배수구(10)를 교량의 교축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매입 설치하여 가장자리로 집수되는 노면수가 교축방향의 구배(종구배)에 의하여 교량 하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교량의 일반적인 배수방식은 노면수를 차도 가장자리부로 모아 배수구(10)를 통해 교하공간으로 낙수시키는 방식으로 배출시키기 때문에 교량하부의 수계를 오염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즉, 교량의 노면에는 자동차 운행과정과 도로자체에서 비점 오염형태로 발생되는 각종 오염물질이 혼재하는데 위와 같은 교량의 배수방식은 강우시 오염물질이 여과 없이 그대로 급속히 수계로 유입되어 환경오염을 유발하게 되므로 하천 오염이 점점 심각해진다.

    상기 비점오염원으로서의 교량 슬래브에는 탄화수소 등의 유기계 오염물질이나, 카드뮴 등의 중금속류 외에도 박테리아, 기름성분 및 질소나 인과 같은 부영양화 염류 등 다양한 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생태계에 악영향을 주는 환경호르몬과 같은 내분비계 교란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물질도 존재한다.

    이와 같이 도로에 퇴적된 오염물질은 강우에 의한 도로변의 배수시설을 따라 운반된 후 하수도와 합류되는 경우도 있지만, 교량이나 하천변의 도로는 도로에 내린 빗물을 바로 하천으로 방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우수에 씻겨 내려간 각종 오염물질로 인하여 하천이 심각하게 오염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교량 노면으로 유입되는 초기우수를 모아 별도 처리하는 배수시설의 도입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는 이미 하천에 가설된 교량의 배수시설을 초기 우수 처리 시설과 연계하여 교체하는 것 뿐만 아니라 하천에 신규로 가설되는 교량도 이 기준에 적합하도록 배수관을 설치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도 1c와 같이 근래에 들어서 교량의 슬래브에 설치된 개별 배수구를 통해 직접 하천으로 방류하던 종래 배수방식과 달리,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노면수를 교량하부에 마련된 집수정(11)으로 모아 별도의 정화시설(12)을 거쳐 정화시킨 후 하천에 유입시키도록 한 배수시설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개념의 배수시설은 다수의 수평 배수관을 교량 슬래브의 하부에 일정 구배를 갖도록 설치하고, 이 수평 배수관들을 접속관으로 교량슬래브에 매입 설치된 배수구와 연결하며, 구배방향 마지막 지점의 수평 배수관을 수직 배수관과 연결하는 한편, 이 수직 배수관을 교량하부에 설치된 집수정(11)까지 연장하여 놓은 구성으로 설치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배수시설은 교량의 노면수를 교량하부의 하천으로 직접 낙하시키지 않고 상기 집수정(11)으로 일단 모은 후 별도의 정화시설(12)을 이용해 정화시킨 다음 하천으로 방출시키므로, 교량 노면에서 비점 오염형태로 발생되는 각종 오염물질로 인한 하천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배수시설은 비점 오염물질의 처리를 위해 노면배수를 한곳으로 모아 초기 우수처리시설로 차집해야 하므로 배수관의 길이가 길어지는 것이 필연적이다.

    따라서 교량 노면의 각종 오염물질이 초기 강우시 한꺼번에 긴 배수관로로 유입되게 되어 배수관이 막히는 일이 종종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이때, 배수관이 막히면 교량의 배수기능이 저하되고, 노면 위에 고인 물로 인하여 차량주행시 타이어와 도로 사이에 수막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교통 사고의 위험이 높아진다.

    이에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관내 관리교량에 많은 인력 및 장비를 투입하여 배수시설을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있으며, 호우철 교량 노면의 오염물질 제거와 배수관의 막힌 부위를 뚫어주는 청소를 실시하고 있지만 예산 및 점검인원이 부족하고 많은 시간이 투입되는 일이므로 애로가 많은 실정이다.

    특히, 배수관이 막혀 청소할 경우 접속부분을 해체하고 청소해야 하므로 그 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는데 심각한 어려움이 따른다.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교량의 배수관 청소를 원활히 수행토록 하기 위한 것으로, 슬래브의 유입구로부터 교량하부의 정화시설(12)까지 각 접속관의 관경을 충분히 넓게 제작하거나 접속부의 곡선을 완만하게 하여 배수관 내부의 청소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 역시 배수관 내부에 오염물질이 누적되어 대규모의 청소 또는 배수관을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교량 슬래브 상부에서부터 우수를 배수하여 교량 슬래브 표면(노면)에 고인 물이 없도록 하였으며, 우수가 배수되는 동안 필터를 이용하여 비점오염원을 제거하는 교량용 배수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량의 배수처리장치를 유지관리 함에 있어, 필터의 부분 교체를 통해 정화시설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필터를 구획별로 구분하여 필요한 곳에서만 교체를 할 수 있어 교량의 배수로를 보수하는 동안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들의 정체를 최소화하는 교량용 배수처리장치의 시공 및 필터부 교환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미관을 위하여 배수처리장치는 외관이 상부가 개방된 사각 또는 원형체의 박스체로 제작하여 설치하되,

    상기 박스체는 필터부를 수용하는 하우징부로 구성되도록 하여 교량에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필터부는 고무패드에 의하여 감싸져 교축방향(종방향)으로 연장설치되도록 하였다.

    이에 필터부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교체시기가 도래하면 이를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는 측판프레임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터부를 외부로 빼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교량 슬래브를 관통하여 슬래브 하부로 노출되는 배수관으로부터 배출수를 처리하는 교량용 배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가 상부로부터 유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된 사각 또는 원형단면의 박스체로 형성되어 교량 외측으로 일 측면이 개폐되도록 제작되며 교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장착된 필터부;를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면을 개방하여 필터부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필터부 교환이 가능한 교량용 배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부는 저판; 슬래브 저면으로부터 상기 저판의 일측단부와 연결된 수직프레임; 상기 저판의 타측단부와 힌지 연결되어 교량 외측으로 일 측면이 개폐되도록 형성 된 측판프레임; 및 상기 저판, 수직프레임과 측판프레임에 의한 박스체 내측면에 장착된 고무패드;를 포함하여, 상기 저판의 타측단부에 힌지 연결된 측판프레임을 교량 외측으로 회전시켜 하우징부의 일측면을 고무패드와 함께 개방시켜 필터부를 분리할 수 있는 필터부 교환이 가능한 교량용 배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부는 하우징부 상부에 배치된 이물질 제거부 필터;를 포함하되, 상기 제거부 필터 하부에는 오염물질 제거부 필터가 더 배치되도록 할 수 있는 필터부 교환이 가능한 교량용 배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부는 교축방향으로 다수가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도록 설치하되, 측판프레임에는 오버플로우용 관통공이 더 형성시킨 필터부 교환이 가능한 교량용 배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염물질 제거부 필터는 하우징부 전체 길이에 걸쳐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 필터는 배수관 하부에만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이물질 제거부 필터만을 교환할 수 있도록 측판프레임 상부에 개폐부를 형성시킨 필터부 교환이 가능한 교량용 배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물질 제거부 필터만을 교환할 수 있도록 측판프레임 상부에는 상단개폐부를 더 형성시켜 상기 상단개폐부를 통해 이물질 제거부만을 별도로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필터부 교환이 가능한 교량용 배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교량 슬래브를 관통하여 슬래브 하부로 노출되는 배수관으로부터 배출수를 처리하는 교량용 배수처리장치를 이용한 교량배수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가 상부로부터 유입되도록 교량에 설치된 사각 또는 원형단면의 박스체로 형성되며 일 측면이 개폐되도록 제작되며 교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하우징부를 설치하되 상기 하우징부는 저판; 슬래브 저면으로부터 상기 저판의 일측단부와 고정 연결된 수직프레임; 상기 저판의 타측단부와 힌지 연결되어 교량 외측으로 일 측면이 개폐되도록 형성된 측판프레임; 및 상기 저판, 수직프레임과 측판프레임에 의한 박스체 내측면에 장착된 고무패드;를 포함되도록 하여 설치하고,

    상기 고무패드 내부에 이물질 제거부 필터를 설치하되 상기 이물질 제거부 필터 하부에 오염물질 제거부 필터를 설치함으로써 필터부를 하우징부 내부에 장착하고,

    상기 저판에 힌지 연결된 측판프레임을 고무패드와 함께 수평으로 회전시켜 하우징부의 일측면을 개방하여 상기 필터부를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필터부 교환이 가능한 교량용 배수처리장치의 시공 및 필터부 교환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염물질 제거부 필터는 하우징부 전체 길이에 걸쳐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 필터는 배수관 하부에만 배치되도록 하여 필터부를 하우징 내부에 장착시키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 필터만을 교환할 수 있도록 측판프레임 상부에 는 상단개폐부를 형성시켜 상기 상단개폐부를 통해 이물질 제거부만을 별도로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필터부 교환이 가능한 교량용 배수처리장치의 시공 및 필터부 교환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판프레임은 고무패드와 함께 교축방향으로 다수로 분할되어 각각 개폐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필터부 교환이 가능한 교량용 배수처리장치의 시공 및 필터부 교환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부로 구성된 교량용 배수처리장치에 의해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교량 슬래브의 비점오염원을 제거하여 수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교량용 배수처리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이물질 제거부 필터와 오염물질 제거부 필터를 이용하여 배출수 예컨대 우수에 포함되어 있는 비점오염원을 제거하게 되고, 교량을 유지관리 함에 있어 상기 이물질 제거부 필터와 상기 오염물질 제거부 필터로 구성되는 필터부의 소모시기를 고려하여 측판프레임의 개폐를 통해 용이하게 상기 필터부의 교체를 하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교량용 배수처리장치가 상기 이물질 제거부 필터와 상기 오염물질 제거부 필터로 구성되고, 필요시 각 필터를 상하로 구분하여 교체할 수 있어 교량용 배수처리장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유지관리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측판프레임을 교축방향으로 다수개가 분할되게 설치하여 교량용 배수처리장치의 보수가 필요한 부분에 한해 상기 측판프레임을 개방하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 필터 또는 상기 오염물질 제거부 필터를 부분적으로 교체할 수 있어, 교량용 배수처리장치의 필터를 교환할 때 작업소요를 최소화하고 교량을 통과하는 차량들의 교통정체를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a는 종래 교량 배수시설의 횡단면을 사시도,
    도 1b는 종래 교량 배수시설의 측면을 단면도,
    도 1c는 종래 교량 배수시설에 집수정과 정화시설을 추가하여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교량용 배수처리장치의 조립사시도 및 설치사시도,
    도 2c 및 도 2d는 하우징부와 고무패드의 연결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필터부 교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배수처리장치와 종래 배수처리장치의 설치정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필터부 교환이 가능한 교량용 배수처리장치>

    먼저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교량용 배수처리장치(100)의 조립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상기 교량용 배수처리장치(100)의 설치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교량용 배수처리장치(100)는 강우시 노면의 배출수를 처리하는 설비로서 교량 슬래브(200) 하부에 상부가 개방된 사각 또는 원형 단면의 박스체인 하우징부(110)로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부(110) 내부에 교체되는 필터부(120)가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부(110)는 저판(111); 상기 저판을 슬래브 저면으로부터 상기 저판의 일측단부와 고정 연결된 수직프레임(112); 상기 저판의 타측단부와 힌지 연결되어 교량 외측으로 일 측면이 개폐되도록 형성 된 측판프레임(113); 및 상기 저판, 수직프레임과 측판프레임에 의한 박스체 내측면에 장착된 고무패드(114);를 포함하여, 상기 고무패드(114)에 필터부(120)가 수용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하우징부(110)는 상부가 개방된 관형태의 박스체로써 교축방향(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다.

    먼저, 상기 수직프레임(112)은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중량이 가벼운 알루미늄판재를 이용하여 교량 슬래브(200)의 배수구(210)를 따라 교축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하게 된다.

    이에 상기 수직프레임(112)의 상단부는 수평절곡시키고 교량의 슬래브(200) 저면에 앵커 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설치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수직프레임(112)의 하단에는 배수구(210)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저판(111)의 일측단부(A)가 고정되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저판(111)도 중량이 가벼운 알루미늄 판재를 이용하여 슬래브의 배수구(210)를 따라 교축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저판(111)의 타측단부(B)에는 측판프레임(113)이 상기 저판(111)과 힌지(H) 연결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되, 수직프레임(112)와 함께 하우징부(110)의 양 측벽을 형성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측판프레임(113) 상단부는 수평절곡시키고 교량의 슬래브(200) 저면에 추후 필터부(120) 교체를 위하여 탈착이 가능하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이에 수직프레임(112)은 저판(111)로 일체로 제작해도 상관은 없으며, 적어도 측면프레임(113)은 저판(111)과 수직프레임(112)와 구분하여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상기 저판(111)과 수직프레임(112)와 측판프레임(113)은 하우징부(110)를 U형 단면의 박스체 형태로 구성되어 상부가 개방되도록 하되 그 내측 공간부(S)에 필터부(114)가 수용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측판프레임(113)은 상기 저판(111)의 타측단부(B)과 힌지(H)로 연결되어 있어 측판(111)에 연결된 측판프레임(113)은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하우징부(110)의 일측면을 개방할 수 있게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110)가 교량 슬래브(200)에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량 슬래브(200) 저면에 앵글인 상단지지프레임(115)을 설치하되, 상기 상단지지프레임(115)의 일측 단부(C)는 앞서 살펴본 수직프레임(112)의 상단과 연결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상단지지프레임(115)의 타측 단부로부터 수직프레임(112)의 하단 사이에는 경사진 보강프레임(116)을 추가 설치하여 상기 하우징부(110)의 부착성능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하우징부(110)는 예컨대 교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예컨대 교각과 교각사이를 1 스판으로 하여 교량 슬래브(200)의 배수구(210)를 따라 설치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부(110)는 도 2c와 같이 그 제작, 운반 및 설치의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일정한 길이로 분할 제작되도록 하여 1개씩 설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분할된 하우징부(110)는 서로 교축방향으로 연결되도록 하되, 이는 통상의 판재 연결방법에 의하여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로써, 하우징부(110)에 장착된 측판프레임(113)도 분할하여 개폐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인력으로 측판프레임(113) 전체를 동시에 개폐시킬 수 있을 경우에는 하우징부는 굳이 다수를 분할하여 연결시키지 않고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110)는 측판프레임(113)이 저판(111)에 힌지 연결되어 있으므로 내외부를 밀폐시킬 수 없어 배수장치로써 수밀성을 확보할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은 하우징부(110) 내부에 고무패드(114)를 장착시키게 된다.

    이러한 고무패드(114)는 하우징부(110) 내측공간에 맞추어 즉 수직프레임(112)의 내측면, 저판(111)의 상면, 측판프레임(113)의 내측면에 접하여 설치되도록 하되 종방향으로 수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고무패드(114)는 종방향으로 연속된 것을 이용하여 설치하게 된다.

    즉, 고무패드(114)를 따라 배수관(210)로부터 유입된 우수 등이 배수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고무패드(114)는 도 2d와 같이 교축방향으로의 연장길이에 따라 서로 밀착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하우징부(110)의 분할 제작에 있어 대응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무패드(114)에 의하여 수밀성이 확보된 내측공간에 본 발명의 필터부(12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필터부(120)는 상기 내측공간(S) 상부에 배치되는 이물질 제거부 필터(121)와 하부에 배치되는 오염물질 제거부 필터(122)로 크게 구분시켜 설치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이물질 제거부 필터(121)는 교량 슬래브(200)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배수관(210)의 아래에 배치되는 필터로써 그물망의 형태로 형성된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배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쓰레기와 같은 이물질이 상기 오염물질 제거부 필터(122)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이물질 제거부 필터(121)는 교량 슬래브(200)의 배수관(210) 아래에만 설치되는 블록형태로 설치하여 상기 배수관(210)으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을 모두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물질 제거부 필터(121)의 하부에는 오염물질 제거부 필터(122)가 배치되어 빗물에 의해 유입되는 우수 중 이물질이 제거된 오염수를 정화하게 된다.

    이때 오염물질 제거부 필터(122)는 바람직하게는 바이오매쉬의 형태로 상기 하우징부(110) 내층공간(S)의 고무패드(114)에 장착되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화학적으로 높은 흡착성을 갖고 있는 활성탄과 바이오세라믹이 혼합된 필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교량 슬래브(200)의 배수관(210)을 통해 우수 등이 유입하게 되면 이러한 우수 등은 필터부(120)를 거쳐 필터링 및 정화되어 정화된 우수 등은 고무패드(114)를 통해 교축방향으로 자연 배수되도록 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때,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상기 필터부(120)를 교체할 필요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도 3a 및 도 3b와 같이 고무패드(114)와 함께 측판프레임(113)을 수평으로 회전시켜 하우징부(110)의 일측면을 개방시키게 된다.

    이에 필터부(120)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필요한 부위의 필터부를 빼내고 교체하게 된다.

    또한 필터부(120)는 이물질 제거부 필터(121)와 상기 오염물질 제거부 필터(122)로 상하 구분되어 있으므로 교체가 필요한 부분만 교체하면 된다.

    즉, 상기 필터부(120)의 수명기간은 교량을 통행하는 교통량에 의해 결정되며, 그에 따라 상기 필터부의 교체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교체는 상기 측판프레임과 함께 고무패드를 펼쳐지도록 개방 후 실시하며, 이때 상기 이물질 제거부 필터(121)와 상기 오염물질 제거부 필터(122)를 일체 교체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필요한 필터만을 구분하여 교체한다.

    또한 상기 오염물질 제거부 필터(122)는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서 교축방향으로 구분되어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으나, 상기 이물질 제거부 필터(121)는 슬래브를 관통하는 상기 배수관 하부에만 설치되어 있어 상기 이물질 제거부 필터(121) 위치의 측판프레임 상부만을 구분 개폐하여 상기 이물질 제거부 필터만을 교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상부판을 구분 개폐시키기 위한 부위를 상단개폐부(D)라 지칭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부 내측공간에 설치된 고무패드는 유연성을 가지므로 수평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므로 측판프레임 상부만 별도로 개방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이물질 제거부 필터(121)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교량용 배수처리장치(10)는 강우시 노면의 빗물을 정화시키며 배수하는 구조로 되어있지만 장마철의 집중호우나 태풍과 같은 국지성 호우시에는 배수용량을 초과하는 우수가 유입되는데, 이러한 상황에서는 오버플로우가 발생하여 슬래브 위를 주행하는 자동차가 수막현상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오버플로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측판프레임(113)에는 배수용 관통공(117)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기 관통공(117)은 상기 고무패드(114)에도 형성되어 있어 짧은 시간 많은 양의 우수가 유입되는 집중호우를 대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무패드(114)와 상기 측판프레임(113)에 형성되는 관통공(117)은 집중호우시 처럼 교량용 배수처리장치(100)가 용량을 초과했을 경우에만 이용될 수 있도록 측판프레임(113)의 상부에 설치되어야 한다.

    <필터부 교환이 가능한 교량용 배수처리장치의 시공 및 필터부 교환방법>

    상기 교량용 배수처리장치(100)는 강우시 슬래브 표면의 우수 등을 배수 처리하는 장치로서

    도 4와 같이 교량 슬래브 하부에 사각 또는 원형 단면의 박스체인 하우징부(110)로 고정시키고,

    상기 하우징부(110)는 저판(111)과 상기 저판(111)의 양 측단부에 측벽 역할을 하는 수직프레임(112)과 측판프레임(113)으로 구성되어 있어 하우징부 내측공간에 필터부(120)를 설치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교축방향으로 상기 하우징부(110)를 분할하여 제작한 뒤,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교량 슬래브(200)의 저면에 상단지지프레임(115)을 설치하되, 상기 상단지지프레임(115)의 일측 단부(C)는 앞서 살펴본 수직프레임(112)의 상단과 연결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상단지지프레임(115)의 타측 단부로부터 수직프레임(112)의 하단 사이에는 경사진 보강프레임(116)을 추가시켜 하우징부(110)가 슬래브 저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때, 교량 슬래브(200)의 배수관(210)은 하부가 상기 내측공간(S)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게된다.

    다음으로는 상기 수직프레임, 저판 및 측면프레임의 내측면에 고무패드(114)를 교축방향으로 연장 설치한 후

    상기 고무패드(114) 내부에 필터부(120)를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필터부 중 오염물질 제거부 필터(122)를 내측공간 하부에 먼저 교축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 필터(121)는 교량 슬래브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배수관 아래에 교축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도록 하게 된다.

    이에 최종 본 발명의 하우징부(110)와 필터부(120)를 설치하게 되면 필터부 교환이 가능한 교량용 배수처리장치(100)를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는 상기 필터부(120)를 교체할 필요가 있을 경우 교량슬래브의 저면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장착된 하우징부(110)의 측판프레임(113)을 수평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노출된 필터부(120)를 교체하게 되는데 이때 측판프레임(113)과 함께 고무패드(114)도 함께 수평으로 펼쳐 지도록 하여 필터부(120)를 노출시킨다.

    이때, 상기 이물질 제거부 필터와 상기 오염물질 제거부 필터는 구분되어 탈착이 가능하므로 상기 측판프레임의 개방시 구분 교체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이물질 제거부 필터는 노면의 이물질이 많을 경우 교체주기가 단축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오염물질 제거부 필터와는 별도로 추가의 교체소요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측판프레임에는 상기 이물질 제거부 필터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측판프레임에 설치된 상부 개폐부를 통해 별도 교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설치된 고무패드는 교축방향으로 다수가 분할 또는 연속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각각 펼쳐지도록 하거나 전체가 한꺼번에 펼쳐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4와 같이 종래의 교량용 배수처리장치(100)는 교량의 측면에 수직배수관까지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배수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함이지만 이는 교량의 외관을 해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필터부 교환이 가능한 교량용 배수처리장치(100)는 교량의 교축방향 구배를 이용하여 교축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함을 알 수 있는데, 즉 우수 등의 배수를 위해 종래와 달리 교축방향 구배를 별도로 주지않고 교량의 교축방향 구배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외관이 증진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100: 필터부 교환이 가능한 교량용 배수처리장치
    110: 하우징부
    111: 저판
    112: 수직프레임
    113: 측판프레임
    114: 고무패드
    115: 상단지지프레임
    116: 보강프레임
    117: 관통공 120: 필터부
    200: 교량슬래브 210: 배수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