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블록용 배수부재

申请号 KR1020100087247 申请日 2010-09-07 公开(公告)号 KR1020120025085A 公开(公告)日 2012-03-15
申请人 (주)씽크루트; 김봉석; 오명훈;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发明人 김봉석; 윤상필; 이욱기; 이경균;
摘要 PURPOSE: A drain member for a sidewalk block is provided to prevent rainwater from being stagnant in the top of a sidewalk block in case of rain. CONSTITUTION: A drain member for a sidewalk block comprises a drain pipe(10). The drain pipe is formed in a box shape and is installed between sidewalk blocks arranged on the ground. The drain pipe has one or more first drain holes(11) and second drain holes(12). Water on the top of the sidewalk blocks is permeated into the groun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drain holes.
权利要求
  • 지면에 배열된 보도블록 사이에 설치되고, 길이를 가지는 관 형상으로 된 배수관을 포함하되,
    상기 배수관은 보도블록 상부의 물이 내부로 유입되어 지면으로 투수될 수 있도록 양측면과 하부면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배수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록용 배수부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의 양측면에 형성된 배수홀은, 상기 배수관을 보도블록 사이에 설치할 경우 보도블록 상부의 물이 배수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각각의 상측 일부가 인접한 보도블록의 상부면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록용 배수부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된 보도블록들의 서로 인접하는 모서리 사이에 설치되고, 각각의 단부에는 상기 보도블록 사이에 설치된 배수관의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록용 배수부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 각각의 양단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의 단부 각각에는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록용 배수부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 각각의 일측 단부 또는 양단부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의 단부 각각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록용 배수부재.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재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록용 배수부재.
  • 说明书全文

    보도블록용 배수부재{Drain member for Pavement Block}

    본 발명은 보도블록용 배수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에 격자형으로 배열된 보도블록 사이에 설치되어 보도블록 상면에 고인 빗물 등이 내부로 유입되어 지면으로 투수될 수 있도록 하는 보도블록용 배수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는 차량이 통행하는 차도와 사람이 통행하는 보도로 구분되고, 상기 보도에는 사각형 또는 육각형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보도블록이 지면 상에 격자형으로 배열되어 설치된다.

    상기 보도블록은 지면 위에 모래를 적정 두께로 깔아주고 그 위에 보도블록을 밀착시켜 고정되도록 설치되는데, 근래에는 보행자의 보행시 충격을 완충시키고 폐자원의 재활용도를 제고하기 위하여 폐타이어를 분쇄한 칩이나 분말을 이용한 고무 재질의 보도블록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보도블록은 시멘트 또는 흙과 같은 투수성 재질로 이루어진 기존의 보도블록과는 달리 그 자체로는 투수성이 매우 적기 때문에 우천시 보도블록 상면에 고인 물이 지면으로 원활하게 투수되지 못하게 되어 보행자의 통행에 불편을 초래함은 물론 보도블록 하부 토양의 미생물 서식을 방해하여 토양의 사막화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보도블록의 상층부를 이루는 고무 분말 알갱이를 일정 크기로 성형하여 알갱이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을 통해 투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보도블록의 상부 표면에 투수용 홈이나 구멍을 형성하는 방법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고무 알갱이의 공극을 이용하여 투수시키는 방법의 경우 보도블록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고무 알갱이의 크기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크게 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고무 알갱이 사이의 공극을 통해 투수되는 양이 매우 적을 뿐만 아니라 투수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어 집중호우와 같이 다량의 물이 보도블록 상면에 유입될 경우에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도블록의 상부 표면에 홈이나 구멍을 형성하는 방법의 경우에도 상기 홈이나 구멍에 여성들의 하이힐이나 노약자의 지팡이 등과 같이 뾰족한 물건이 끼이게 되어 보도블록의 표면을 찢거나 파손시키는 폐단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보도블록의 잦은 보수에 의해 보행자의 불편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보도블록의 유지?관리 비용을 크게 증가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무 재질로 된 보도블록의 시공시 상기 보도블록들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보도블록의 상부면에 고이게 되는 빗물 등이 그 내부로 유입되어 지면으로 신속하게 투수되도록 하는 보도블록용 배수부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용 배수부재는, 지면에 배열된 보도블록 사이에 설치되고, 길이를 가지는 관 형상으로 된 배수관을 포함하되, 상기 배수관은 보도블록 상부의 물이 내부로 유입되어 지면으로 투수될 수 있도록 양측면과 하부면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배수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관의 양측면에 형성된 배수홀은, 상기 배수관을 보도블록 사이에 설치할 경우 보도블록 상부의 물이 배수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각각의 상측 일부가 인접한 보도블록의 상부면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열된 보도블록들의 서로 인접하는 모서리 사이에 설치되고, 각각의 단부에는 상기 보도블록 사이에 설치된 배수관의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관 각각의 양단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의 단부 각각에는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관 각각의 일측 단부 또는 양단부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의 단부 각각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용 배수부재는 배수관의 양측면과 하부면에 각각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배수홀을 통하여 보도블록 상부에 고인 빗물 등을 지면으로 신속하게 투수시키기 때문에 우천시에도 보도블록 상면에 빗물이 고이지 않게 하고, 이로 인하여 보행자가 보도블록에 고인 빗물 등에 의하여 통행에 불편을 겪게 되거나 미끄러져 다치게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용 배수부재는 보도블록의 상부 표면이 아니라 측면을 향해 형성된 배수관의 배수홀을 통하여 빗물 등이 유입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보행자의 신발이나 지팡이에 의하여 보도블록이 파손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보도블록의 유지 및 보수에 소용되는 비용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도블록용 배수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한 배수부재의 AA 단면도,
    도3은 도1에 도시한 배수부재가 보도블록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4a 내지 도4c는 각각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수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5은 도4a 내지 도4c에 도시한 배수부재가 보도블록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도6a와 도6b는 각각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배수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 실시예1 )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도블록용 배수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한 배수부재의 AA 단면도이며, 도3은 도1에 도시한 배수부재가 보도블록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도블록용 배수부재는 길이를 가지는 사각형의 관 형상이고, 양측면과 하부면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제1배수홀(11)과 제2배수홀(12)이 형성된 배수관(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배수관(10)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에 배열된 보도블록(1) 사이에 설치되는데, 이와 같이 설치될 경우 배수관(10)의 양측면에 형성된 상기 제1배수홀(11)은 보도블록(1) 상부의 물이 배수관(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각각의 상측 일부가 인접한 보도블록(1)의 상부면과 연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배수홀(11)의 상측 일부는 인접한 보도블록(1)의 상부면으로부터 빗물 등이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보도블록(1)의 상부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각의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배수관(10)의 외측 상부면은 보행자의 통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보도블록(10)의 상부면과 동일한 높이의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10)은 인접에 설치되는 보도블록(1)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도블록(1)이 폐타이어 등을 이용한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보도블록(1)이 PVC 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거나 시멘트 또는 흙과 같은 재질로 구성된 경우에도 본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10)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수관(10)을 폐타이어 등의 분말이나 칩을 이용하여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 내에서는 합성 수지 재질 또는 성형이 가능한 여러 가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10)의 경우 제1배수홀(11)의 상측 일부가 인접한 보도블록(1)의 상부면과 연통됨과 동시에 상기 인접한 보도블록(1)의 상부면보다 낮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우천시와 같은 경우에 보도블록(1) 상부면에 빗물 등이 고이게 되더라도 상기 제1배수홀(11)을 통해 배수관(10)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유입된 빗물 등은 제2배수홀(12)을 통하여 보도블록(1)이 설치된 지면 위에 깔려 있는 모래층을 통하여 지면으로 신속하게 투수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10)의 경우 보도블록(1)의 상부면과 연통되는 제1배수홀(11)이 보도블록(1)의 상부에서 볼 때 상기 보도블록(1)의 측면 방향으로 노출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보도블록(1)의 상부 표면에 배수공이나 배수홈을 형성하여 보행자의 신발이나 지팡이 등에 의하여 보도블록(1)이 손상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현저하게 감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배수관(10)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보도블록(1) 사이에 설치된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다른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보도블록(1)에도 마찬가지로 설치될 수 있으며, 배수관(10)의 단면 형상의 경우에도 필요에 따라서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또는 트랙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배수관(10)의 길이는 본 실시예와 같이 시공되는 보도블록(1)의 길이에 맞출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여러 가지 다양한 길이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실시예)

    도4a 내지 도4c는 각각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수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5은 도4a 내지 도4c에 도시한 배수부재가 보도블록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수부재는 지면에 배열된 보도블록(1)의 사이에 설치되고 길이를 가진 사각의 관 형상으로 된 배수관(10a,10b)과, 상기 배열된 보도블록(1)들의 서로 인접하는 모서리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관(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수관(10a,10b)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형상의 제1배수홀(11)과 제2배수홀(12)이 형성되어 있으며, 보도블록(1)의 사이에 설치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양단 또는 일단에 관 형상의 결합돌기(13)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배수관(10a,10b)은 보도블록(1)의 모서리 사이에 설치된 2개의 연결관(20)에 연결될 수 있도록 양단에 결합돌기(13)가 형성된 형태인 제1배수관(10a)과, 어느 하나의 연결관(20)에 일단이 연결되도록 일측 단부에만 결합돌기(13)가 형성된 형태인 제2배수관(10b)으로 구분되어 성형된다.

    이 경우, 상기 제1배수관(10a)은 보도블록(1)의 전체 배열 중 내측에 배열된 보도블록(1)들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2배수관(10b)은 보도블록(1)의 전체 배열 중 테두리 부분에 배열된 보도블록(1)들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다.

    한편, 상기 연결관(20)의 단부 각각에는 서로 인접하는 보도블록(1) 사이에 설치된 배수관(10a,10b)의 일단이 연결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연결관(20)의 단부 각각에는 상기 결합돌기(13)가 끼움결합되는 관 형상의 결합홈(21)이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인접한 보도블록(1) 사이에 설치된 배수관(10a,10b)들은 연결관(20)을 통하여 서로 연통될 수 있음은 물론, 보도블록(1)의 시공시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배수관(10a,10b)을 보도블록(1)의 사이에서 격자 형태로 용이하게 배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배수부재는 보도블록(1)들 사이에서 별도의 배수라인을 형성하여 하수구(미도시) 등에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집중호우와 같은 경우에 보도블록(1)의 상부면에 고인 물이 지면으로 미처 투수되지 못한 경우에도 빗물 등이 배수관(10a,10b)과 연결관(20)으로 구성된 배수라인을 통하여 상기 하수구로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수관(10a,10b)과 연결관(20)이 결합돌기(13)와 결합홈(21)에 의하여 끼움결합되는 것을 일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결합부재 또는 접착재 등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돌기(13)와 결합홈(21)이 사각의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상호 결합이 가능한 여러 가지 형태의 홈-돌기에 의하여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보도블록(1)이 사각 형상이기 때문에 상기 연결관(20)이 4개의 단부를 가지도록 구성되었으나, 다른 예로서 보도블록(1)이 다른 형상(예를 들어, 육각)일 경우에는 상기 연결관(20)은 다른 갯수(예를 들어, 3개) 단부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실시예)

    도6a와 도6b는 각각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배수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이하에서는 전술한 제1,2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전술한 제2실시예의 경우 결합돌기(13)가 배수관(10a,10b)에 형성되고 결합홈(21)은 연결관(20)에 형성된 구성이기 때문에 보도블록(1)의 위치에 따라서 2종류의 배수관이 별도로 제작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은 생산비용의 증가 및 시공의 불편함을 야기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수부재는 이러한 제2실시예에 따른 배수부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수관(10)의 양단에 관 형상의 결합홈(14)이 형성되고 연결관(20)의 단부 각각에는 상기 결합홈(14)에 결합되는 관 형상의 결합돌기(22)가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배수부재는 배수관의 종류를 1개만 생산하는 경우에도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격자 형태의 배수라인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 보도블록 10: 배수관
    11: 제1배수홀 12: 제2배수홀
    13,22: 결합돌기 14,21: 결합홈
    20: 연결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