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안 도로용 생태통로

申请号 KR1020090076856 申请日 2009-08-19 公开(公告)号 KR1020110019232A 公开(公告)日 2011-02-25
申请人 강성택; 发明人 강성택;
摘要 PURPOSE: An eco-corridor for a seaside road is provided to prevent the eco-corridor installed in a cutting part of a retaining wall structure from being moved by earth pressure. CONSTITUTION: A construction method of an eco-corridor for a seaside road is as follows. A cutting part, passing through the bottom of a road(11), is formed in one side of a retaining wall structure(12). A natural stone with holes(21) is installed. A front corridor part(20)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utting part. A steel frame, filled with aggregate and soil, is installed in the rear side of the natural stone. A rear corridor part(30) with a steel net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corridor part.
权利要求
  • 해안(13) 측으로 옹벽구조물(12)이 설치되어 있고, 옹벽구조물(12)의 상부 일측으로부터 육지(10) 쪽으로 도로(11)가 설치되어 있는 해안도로용 생태통로에 있어서,
    상기 옹벽구조물(12)의 길이 방향 일측에 육지(10) 쪽으로 도로(11) 저부에 관통된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면이 옹벽구조물(12)의 외측면과 인접하도록 되어 있으며, 해안(13)으로부터 육지(10) 쪽으로 관통된 다수 개의 홀(21)이 형성되어 있는 자연석이 설치되어 구성된 전면통로부(20)가 상기 절개부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고,
    자연석의 배면 측에, 육면체 형상의 강재 프레임(31)의 내부에 골재 및 토양(33)이 채워져 있으며, 강재 프레임(31)의 외주면에 철망(32)이 설치되어 구성된 다수 개의 망태로 구성된 후면통로부(30)가 상기 전면통로부(20)의 후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도로용 생태통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통로부(30)에는 절개부와 인접한 도로(11) 저부의 토양에 일측이 삽입되어 있고, 타측은 후면통로부(30)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연결부재(40)가 양측 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도로용 생태통로.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40)는 절개부와 인접한 도로(11) 저부의 토양에 삽입되어 있는 부분이 원뿔 형태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도로용 생태통로.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연결부재(40)를 연결하는 보조연결부재(50)가 후면통로부(30)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도로용 생태통로.
  • 说明书全文

    해안 도로용 생태통로{Eco-corridor for seaside road}

    본 발명은, 해안 측으로 옹벽구조물이 설치되어 있는 해안 도로에서 옹벽구조물 일측을 절개하여 절개부를 형성한 후 절개부에 전면통로부와 후면통로부로 구성된 생태통로를 형성함으로써 육지 측과 해안 측의 생태계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 해안 도로용 생태통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를 건설하게 되면 도로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생태계가 고립되게 된다.

    그 이유는 양서류, 곤충, 짐승들은 도로의 노면층을 가로질러 이동해야 하는데, 이동시 차량의 통행 등에 의해 다치거나 죽게 되거나 건조한 환경에서 살지 못하고 습한 환경에서 사는 대부분의 곤충이나 양서류 등은 아예 이동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 개구리, 도롱뇽, 지렁이 등과 같은 소동물의 먹잇감이 되는 보다 작은 동식물들이 도로 노면 부분에 대부분 존재하지 않아 위와 같은 동물들이 도로를 통 과하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교량형 또는 통로형 생태통로가 안출되어 왔다.

    그러나, 위와 같은 생태통로는 설치하기가 쉽지 않고, 비용이 많이 들어 도로 전 구간에 설치할 수 없어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해왔다.

    그러나, 설치 간격을 충분히 좁힐 수 없는 이유 및 동물들의 활동 특성상 많은 소동물들, 주로 개구리, 쥐, 다람쥐, 족제비, 지렁이 등의 시체를 흔히 보와 왔다.

    이에, 본 출원의 발명자가 저렴한 비용과 간단히 시공할 수 있도록 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2006-0007165호 (지중 소동물용 생태통로)를 안출하였다.

    또,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2006-0009116호 (환경친화적 소동물용 생태통로)를 안출하기도 하였다.

    위와 같은 생태통로는 최대한 간단한 구조를 이루고, 시공이 쉽게 하여 저비용으로 생태통로를 형성함으로써 짧은 간격으로 생태통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의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다양한 생태 통로를 개발하던 중 종래의 생태통로들은 모두 내륙 즉, 모두 육지 내에서 인접한 두 지역이 도로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들만이 안출된 것을 알게 되었다.

    특히, 최근에는 해안선을 따라 다수의 해안도로가 설치되고 있는데, 해안에서 육지를 잇는 동선의 생태계가 부실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더욱이, 해안 도로(11)에 인접한 일측이 도 1과 같이 하향 경사진 옹벽구조물(12)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생태통로 설치가 용이하지 못할 뿐더러 육지(10)와 해안(13)의 생태계가 연결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해안 도로용 생태통로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해안 측으로 옹벽구조물이 설치되어 있는 해안 도로에서 옹벽구조물 일측을 절개하여 절개부를 형성한 후 절개부에 전면통로부와 후면통로부로 구성된 생태통로를 형성함으로써 육지 측과 해안 측의 생태계가 서로 연결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특히, 생태통로를 망태로 구성된 후면통로부와, 자연석으로 구성된 전면통로부로 나누어 구성함으로써 해수의 출입으로 인해 도로 저부에서 발생되는 침식으로 인해 도로가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려는 것이다.

    아울러, 후면통로부에 절개부와 인접한 토양과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삽입하여 설치함으로써 옹벽구조물을 절개함으로 인해 절개부에 설치되는 생태통로가 토압에 의해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안 도로용 생태통로는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해안 측으로 옹벽구조물이 설치되어 있고, 옹벽구조물의 상부 일측으로부터 육지 쪽으로 도로가 설치되어 있는 해안도로용 생태통로에 있어서, 상기 옹벽구조물의 길이 방향 일측에 육지 쪽으로 도로 저부에 관통된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면이 옹벽구조물의 외측면과 인접하도록 되어 있으며, 해안으로부터 육지 쪽으 로 관통된 다수 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자연석이 설치되어 구성된 전면통로부가 상기 절개부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고, 자연석의 배면 측에, 육면체 형상의 강재 프레임의 내부에 골재 및 토양이 채워져 있으며, 강재 프레임의 외주면에 철망이 설치되어 구성된 다수 개의 망태로 구성된 후면통로부가 상기 전면통로부의 후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 ��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후면통로부에는 절개부와 인접한 도로 저부의 토양에 일측이 삽입되어 있고, 타측은 후면통로부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연결부재가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는 절개부와 인접한 도로 저부의 토양에 삽입되어 있는 부분이 원뿔 형태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측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보조연결부재가 후면통로부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해안 측으로 옹벽구조물이 설치되어 있는 해안 도로에서 옹벽구조물 일측을 절개하여 절개부를 형성한 후 절개부에 전면통로부와 후면통로부로 구성된 생태통로를 형성함으로써 육지 측과 해안 측의 생태계가 서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생태통로를 망태로 구성된 후면통로부와, 자연석으로 구성된 전면통로부로 나누어 구성함으로써 해수의 출입으로 인해 도로 저부에서 발생되는 침식으로 인해 도로가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후면통로부에 절개부와 인접한 토양과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삽입하여 설치함으로써 옹벽구조물을 절개함으로 인해 절개부에 설치되는 생태통로가 토압에 의해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해안 도로용 생태통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해안 도로용 생태통로를 나타낸 개략전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생태통로는 해안(13) 측으로 옹벽구조물(12)이 설치되어 있고, 옹벽구조물(12)의 상부 일측으로부터 육지(10) 쪽으로 도로(11)가 설치되어 있는 곳에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옹벽구조물(12)의 길이 방향 일측을 절개하되, 절개 방향은 해안(13)에서 육지(10) 쪽을 잇는 방향으로 절개하여 도로(11) 저부에 관통된 절개부가 형성되도록 한다.

    관통된 절개부에는 도시된 것처럼 전면통로부(20)와 후면통로부(30)가 바깥쪽에서부터 안쪽 방향으로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다.

    전면통로부(20)는 전방측이 옹벽구조물(12)의 외측면과 인접하도록 되어 있 으며, 해안(13)으로부터 육지(10) 쪽으로 관통된 다수 개의 홀(21)이 형성되어 있는 자연석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자연석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홀(21)의 크기는 직경이 1 cm 내지 30 cm 정도의 범위가 되도록 한다.

    이때, 옹벽구조물(12)에 직접 해수가 접하지 않는 구간은 30cm에 가깝게 크게 형성해도 되나, 옹벽구조물(12)에 해수가 접하는 구간에서는 홀(21)의 크기는 1 ~ 5cm로 비교적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해수가 출입하면서 전면통로부(20) 내측의 후면통로부(30) 망태에 포함되어 있는 골재 및 토양을 침식시키는 현상 및 침식 양을 최소화시켜 생태통로 상부의 도로(11)가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후면통로부(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육면체 형상의 강재 프레임(31)의 내부에 골재 및 토양(33)이 채워져 있으며, 강재 프레임(31)의 외주면에 철망(32)이 설치되어 구성된 다수 개의 망태가 상하좌우 연속하여 적재되어 구성된다.

    후면통로부(30)를 다수의 망태로 형성한 것은 망태의 틀을 유지하는 강재 프레임(31)이 생태통로 상부의 도로(11)로부터 가해지는 무게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망태에 철망(32)을 설치하는 것은 망태 내부의 골재들이 해수에 의해 휩쓸려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망태 내부의 골재와 토양의 부피 비는 골재 70 ~ 90 %, 토양 20 ~ 5 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부피비는 프레임(31)에 의해 둘러쌓인 망태 전체 부피를 의미하며, 잔량은 공극이 된다.

    골재와 토양의 부피비를 상기와 같이 한정한 것은 토양의 비율이 높아지게 되면 해수의 출입에 의해 망태 내부의 내용물이 서서히 감소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망태가 상부 압력에 대응하는 힘이 약해지기 때문이다.

    아울러, 망태 내부의 토양이 해수의 출입에 의해 소량씩 유출되더라도 그 만큼의 토양이 육지(10) 쪽에서 유입되므로 해안 도로(11)가 없을 때를 기준으로 하여 최소한의 자연적인 해안선이 이루어지는 것을 도와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옹벽구조물(12)에 절개부를 형성하고, 절개부에 생태통로를 형성함으로 육지(10) 쪽의 토양에서 가해지는 측압이 큰 지형의 경우 육지(10) 쪽의 압력이 생태통로에 가해져 생태통로가 밀려나면서 도로(11)가 붕괴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40)를 설치할 수 있다.

    도 4는 전면통로부(20)가 설치되기 전 후면통로부(30)가 절개부에 설치된 형상을 전면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연결부재(40)는 일측이 절개부와 인접한 도로(11) 저부의 토양에 삽입되어 있고, 타측은 후면통로부(30)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부재(40)는 후면통로부(30)와 인접한 양측의 도로(11) 저부 토양에 각각 일측이 삽입되어 구성됨으로써 인접한 토양과 후면통로부(30)가 연결되어 토양의 측압으로부터 밀려나가는 현상을 저하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보다 바람직한 연결부재(40)의 형상은 도시된 것처럼 절개부와 인접한 도로(11) 저부의 토양에 삽입되어 있는 부분이 원뿔 형태로 돌출되도록 하여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면서 걸림턱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더 나아가 도시된 것처럼 양측 연결부재(40)를 연결하는 보조연결부재(50)가 후면통로부(30) 내부에 삽입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즉, 양측의 연결부재(40) 일측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보조연결부재(50) 내측에 나사산을 형성함으로써 양측의 연결부재(40)가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여 지지력을 보다 강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연결부재(40) 및 보조연결부재(50)의 설치는 망태 내부에 골재와 토양을 채우기 전에 설치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해안 도로용 생태통로는 옹벽구조물(12)이 설치된 해안 도로(11) 뿐만 아니라 옹벽 구조물이 설치된 강변 등에도 설치될 수 있다 할 것이다.

    도 1은 옹벽구조물이 구비된 일반적인 해안 도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해안 도로용 생태통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후면통로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연결부재 및 보조연결부재가 추가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전면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 : 육지 11 : 도로

    12 : 옹벽구조물 13 : 해안

    20 : 전면통로부 21 : 홀

    30 : 후면통로부 31 : 프레임

    32 : 철망 33 : 골재 및 토양

    40 : 연결부재 50 : 보조연결부재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