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keeping type connector installation method for bridge drainage facilities

申请号 KR20120071564 申请日 2012-07-02 公开(公告)号 KR101194591B1 公开(公告)日 2012-11-12
申请人 发明人
摘要 PURPOSE: An installation method of a connection pipe for maintenance work for bridge drainage facilities is provided to facilitate maintenance work by changing the structure of a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a drain pipe. CONSTITUTION: An installation method of a connection pipe for maintenance work for bridge drainage facilities is as follows. A connection pipe(200) is separated from a drain pipe(100) of bridge drainage facilities(D). The separated connection pipe is symmetrically cut. Wing plates(300) are welded to the cut connection pipes. A maintenance type connection pipe(C) is manufactured by coupling wing plates to the wing plates using fastening members(400). The manufactured maintenance type connection pipe is connected to the drain pipe.
权利要求
  • 삭제
  • 배수관(100)과 연결관(200)으로 구성되는 교량 배수시설(D)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100)으로부터 연결관(200)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연결관(200)을 대칭형태로 절단하는 단계;
    상기 절단된 연결관(200)의 각각에 날개판(300)을 용접하여 접합하는 단계;
    상기 날개판(300)끼리를 체결부재(400)로 조립하여 유지관리형 연결관(C)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유지관리형 연결관(C)을 배수관(100)에 연결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배수시설용 유지관리형 연결관 설치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관리형 연결관(C)은 L형 연결관(120) 또는 T형 연결관(110)을 재사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배수시설용 유지관리형 연결관 설치방법.
  • 说明书全文

    교량 배수시설용 유지관리형 연결관 설치방법{upkeeping type connector installation method for bridge drainage facilities}

    본 발명은 교량의 배수시설용 유지관리형 연결관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용중인 교량의 연결관을 해체 및 수정 제작 후 재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교량 배수시설용 유지관리형 연결관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양측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 노면의 강우 등을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시설(D)로서 배수관(100)이 시공되고, 상기 배수관(100)은 교량의 배수구와 연결 설치된다.

    상기 배수관(100)에는 강우뿐만 아니라 토사 또는 이물질 등이 흘러가는 조건을 두루 갖추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배수관(100)은 교량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그 직경이 한정되어 많은 토사나 이물질이 유입되면 배수관(100)에 토사가 퇴적되거나 이물질 등으로 인하여 막히게 된다.

    이러한 퇴적현상이나 막힘은 주로 유속의 흐름을 바꿔주는 배수관(100)의 L형 연결관(120)이나 T형 연결관(110)에서 일어난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한 배수관(100)의 연결관(110, 120)에서 막힘 현상이 발생하면 막힌 부분을 찾아내기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배수관(100)을 전체적으로 해체하여 청소작업을 하고 재설치하거나, 새로운 자재로 교체해야 하므로 자재비와 인건비가 추가로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 설치된 배수관(100)과 연결관(200)은 원활한 배수를 위하여 적정한 구배를 적용하여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배수관(100)과 연결관(200)은 현장의 구조적 형상 여건에 맞추어 설치하게 되므로 새로운 연결관(200)을 적용하여 설치하고자 하면, 교량 배수시설(D)을 전체적으로 수정작업을 통하여 시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배수관(100)과 연결되는 연결관(200)의 구조를 변경하여 신속한 청소 및 원활한 유지관리를 이루도록 한 교량 배수시설용 유지관리형 연결관 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시설용 유지관리형 연결관 설치방법은 배수관과 연결관으로 구성되는 교량 배수시설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으로부터 연결관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연결관을 대칭형태로 절단하는 단계; 상기 절단된 연결관의 각각에 날개판을 용접하여 접합하는 단계; 상기 날개판끼리를 체결부재로 조립하여 유지관리형 연결관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유지관리형 연결관을 배수관에 연결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시설용 유지관리형 연결관 설치방법은 배수관과 연결되는 연결관 구조를 변경하여 신속한 청소 및 원활한 유지관리를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교량 배수시설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교량 배수시설의 연결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시설용 유지관리형 연결관 설치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리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시설용 유지관리형 연결관 설치구조중 L형 연결관의 제작과정을 도시한 공정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시설용 유지관리형 연결관 설치구조중 T형 연결관의 제작과정을 도시한 공정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시설용 유지관리형 연결관 설치 순서를 도시한 공정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시설용 유지관리형 연결관 설치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분리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시설용 유지관리형 연결관 설치구조는 배수관(100)과 연결관(200)으로 구성되는 교량 배수시설(D)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100)으로부터 연결관(200)을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연결관(200)을 대칭형태로 절단하며, 상기 절단된 연결관(200)의 각각에 날개판(300)을 용접하여 접합하며, 상기 날개판(300)끼리를 체결부재(400)로 조립하여 연결관(C)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관(C)을 배수관(100)에 연결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시설용 유지관리형 연결관 설치구조중 L형 연결관(120)을 유지관리형 연결관(C)으로 제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시설용 유지관리형 연결관 설치구조에서 L형 연결관(120) 제작과정은 기존의 L형 연결관(120)을 대칭으로 절단하고, 상기 절단된 L형 연결관(120)에 날개판(300)을 용접하여 각각 설치하고, 상기 날개판(300) 간을 체결부재(400)로 체결하여 L형 연결관(120)을 유지관리형 연결관(C)으로 제작한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시설용 유지관리형 연결관 설치구조중 T형 연결관(110)을 유지관리형 연결관(C)으로 제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시설용 유지관리형 연결관 설치구조에서 T형 연결관(110) 제작과정은 기존의 T형 연결관(110)을 대칭으로 절단하고, 상기 절단된 T형 연결관(110)에 날개판(300)을 용접하여 각각 설치하고, 상기 날개판(300) 간을 체결부재(400)로 체결하여 T형 연결관(110)을 유지관리형 연결관(C)으로 제작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시설용 유지관리형 연결관 설치 순서를 도시한 공정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시설용 유지관리형 연결관 설치방법은 배수관(100)과 연결관(200)으로 구성되는 교량 배수시설(D)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100)으로부터 연결관(200)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연결관(200)을 대칭형태로 절단하는 단계; 상기 절단된 연결관(200)의 각각에 날개판(300)을 용접하여 접합하는 단계; 상기 날개판(300)끼리를 체결부재(400)로 조립하여 유지관리형 연결관(C)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유지관리형 연결관(C)을 배수관(100)에 연결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유지관리형 연결관(C)은 L형 연결관(120) 또는 T형 연결관(110)을 재사용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시설용 유지관리형 연결관 설치방법은 기 설치된 배수관(100)과 연결관(200)으로 구성되는 교량 배수시설(D)에서 상기 배수관(100)으로부터 연결관(200)을 분리시킨 후, 상기 연결관(200)을 대칭형태로 절단하고, 상기 절단된 연결관(200)의 각각에 날개판(300)을 용접하여 부착한 후, 상기 날개판(300) 간에 체결부재(400)로 조립하여 유지관리형 연결관(C)을 완성한 후, 상기 완성된 유지관리형 연결관(C)을 상기 배수관(100)에 연결하여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 및 단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시설용 유지관리형 연결관 설치방법은 종래의 연결관(200) 부분의 막힘 현상에 있어서 신속한 청소 및 원활한 유지관리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연결관(200)을 재사용하여 신규자재 사용에 대한 비용을 절감하고, 기존 교량 배수시설(D)의 형상을 전체적으로 수정하지 않고도 유지관리가 용이한 교량 배수시설(D)을 구성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100: 배수관 110: T형 연결관
    120: L형 연결관 200: 연결관
    300: 날개판 400: 체결부재
    C: 유지관리형 연결관 D: 교량 배수시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