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량용 이중 우수 배수구

申请号 KR1020080112509 申请日 2008-11-13 公开(公告)号 KR100933637B1 公开(公告)日 2009-12-23
申请人 덕주건설(주); 发明人 정기순;
摘要 PURPOSE: A double rain draining device for a bridge is provided to prevent the corrosion of reinforcing rods inside the bridge and to reduce efflorescence of concrete. CONSTITUTION: A double rain draining device for a bridge comprises an upper pipe(10), a hollow cylindrical lower pipe(20) and an end projection part(30). A body(10a) of the upper pipe is inserted an asphalt layer of the bridge. The upper pipe guides the rain on the asphalt surface to a surface water inflow hole(40). The lower pipe is communic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upper pipe. The lower pipe is combined with the upper pipe through the end projection part. The end projection part has an infiltrated water inflow hole(35) in order to guide the rain on the bridge slab upper side.
权利要求
  • 우수 배수구에 있어서,
    몸체(10a)가 교량의 아스팔트층(3)에 입설되고 아스팔트 표면을 흐르는 우수가 표면수유입공(40)으로 유입되는 중공 원통형 상층관(10)과;
    상기 상층관(10)의 하부에 상층관(10)과 연통되게 구비되고 단턱부(30)를 통해 상층관(10)과 결합되는 중공 원통형 하층관(20)과;
    교량 슬라브상면(1a)을 흐르는 침투수가 유입되는 침투수유입공(35)이 구비되고 상기 상층관(10)을 상기 하층관(20)에 고정시키는 상기 단턱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층관(10)은 상광하협의 형상이며, 상기 상층관(10)의 하부는 상기 하층관(20)의 상부에 내삽되고,
    상기 단턱부(30)의 내주(內周)측은 상층관(10)의 하부 외주면에 용접 결합되고, 상기 단턱부(30)의 외주(外周)측은 하층관(20)의 상단에 용접 결합되고,
    상기 상층관(10)의 하부는 상기 단턱부(30)보다 아래로 더 연장된 치마면(12)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이중 우수 배수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관(10)의 상부에는 보강바(11)가 십자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이중 우수 배수구.
  • 제1항에 있어서,
    상층관(10)의 외주면과 단턱부(30)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선에 의해 상기 상층관(10)와 단턱부(30)는 나사결합되어,
    상층관(10)을 하층관(20) 대비 회전시킴에 의해, 상층관(10)의 상면(10a)과 단턱부(30) 상면(30b) 간의 거리(H1)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이중 우수 배수구.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관(20) 또는 단턱부(30)에는 돌출봉(50)이 더 구비되어 교량용 이중 우수 배수구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이중 우수 배수구.
  • 삭제
  • 삭제
  • 说明书全文

    교량용 이중 우수 배수구 { RAIN WATER DOUBLE DRAINING DEVICE FOR BRIDGE }

    본 발명은 교량용 이중 우수 배수구에 관한 것으로, 몸체가 교량의 아스팔트에 입설되고 아스팔트 표면을 흐르는 우수가 표면수유입공으로 유입되는 중공 원통형 상층관과, 상층관의 하부에 상층관과 연통되게 구비되고 단턱부를 통해 상층관과 결합되는 중공 원통형 하층관과, 아스팔트층으로 침투되어 교량 슬라브상면을 흐르는 침투수가 유입되도록 침투수유입공이 구비되는 단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이중 우수 배수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슬래브상에 포장되는 아스팔트포장층은 불투수층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상기 아스팔트포장층은 아스팔트재와 잔잔한 자갈이 혼합되어 있어 상기 자갈 사이에는 많은 공극들이 존재하며, 이 공극들을 통해서 상기 아스팔트층에 떨어진 우수중 일부가 침투하여 노면배수를위해 규정된 횡구배(교량폭 중심으로부터 가장자리 방향으로 형성된 노면의 기울기)로 인해 교량바깥쪽 방호벽쪽으로 모여서 슬래브상부면에 스며든다.

    이와 같이 스며든 물은 슬래브상판의 방수포장층 때문에 슬래브상판의 외부로 배출되지 않음으로 인해서 상기 슬래브상판의 방수포장층상에 점차적으로 누적되어 고여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슬래브상판의 방수포장층상에 고여있는 물은 동절기에 기온이 내려감에 따라 동결되게 되며, 이러한 현상이 반복됨에 따라 상기 아스팔트포장층을 슬래브상판으로부터 들뜨게 하여 아스팔트포장층을 파괴시킨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스팔트 포장으로부터 교량의 콘크리트로 침투되는 침투수를 이중배수구로 배수함으로써 교량 내부의 철근 부식을 방지할 수 있고 콘크리트의 백화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있어 교량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중 배수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아스팔트 포장으로부터 교량의 콘크리트로 침투되는 침투수를 이중배수구로 배수함으로써 교량 하부의 미관을 보호할 수 있고 아스팔트 두께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이중 배수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이중 우수 배수구는, 몸체(10a)가 교량의 아스팔트층(3)에 입설되고 아스팔트 표면을 흐르는 우수가 표면수유입공(40)으로 유입되는 중공 원통형 상층관(10)과;

    상기 상층관(10)의 하부에 상층관(10)과 연통되게 구비되고 단턱부(30)를 통해 상층관(10)과 결합되는 중공 원통형 하층관(20)과;

    아스팔트층으로 침투되어 교량 슬라브상면(1a)을 흐르는 침투수가 유입되도록 침투수유입공(35)이 구비되고, 내측은 상층관(10)과 결합되고 외측은 하층관(20)과 결합됨으로써 상층관(10)을 하층관(20)에 고정시키는 단턱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층관(10)의 상면(10b)와 단턱부(30) 상면(30b) 간의 거리(H1)는 교량의 아스팔트층의 높이와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층관(10)은 상광하협의 형상이며 상부에는 보강바(11)가 십자형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층관(10)의 하부는 상기 단턱부(30)보다 아래로 더 연장된 치마면(12)이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층관(10)의 외주면과 단턱부(30)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선에 의해 상기 상층관(10)와 단턱부(30)는 나사결합되어, 상층관(10)을 하층관(20) 대비 회전시킴에 의해, 상층관(10)의 상면(10a)과 단턱부(30) 상면(30b) 간의 거리(H1)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 해결되며, 아스팔트 포장으로부터 교량의 콘크리트로 침투되는 침투수를 이중배수구로 배수함으로써 교량 내부의 철근 부식을 방지할 수 있고 콘크리트의 백화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있어 교량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중 배수구가 제공된다.

    또한, 아스팔트 포장으로부터 교량의 콘크리트로 침투되는 침투수를 이중배수구로 배수함으로써 교량 하부의 미관을 보호할 수 있고 아스팔트 두께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이중 배수구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교량용 이중 우수 배수구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이중 우수 배수구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이중 우수 배수구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이중 우수 배수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이중 우수 배수구 평면도이다.

    도 1 또는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은 이중 우수 배수구는 우수 배수구에 있어서, 상층관(10)과 하층관(20)과 단턱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층관(10)은 몸체(10a)가 교량의 아스팔트층(3)에 입설되고 아스팔트 표면을 흐르는 우수가 표면수유입공(40)으로 유입되는 중공 원통형이다. 상층관(10)의 상면(10b)와 단턱부(30) 상면(30b) 간의 거리(H1)는 교량의 아스팔트층의 높이와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층관(10)은 교량의 아스팔트 층에 입설되는데 정확하게 단턱부(30)의 위부분이 아스팔트층에 입설된다. 상층관(10)의 상면은 바람직하게 아스팔트층의 표면과 일치하거나 약간 낮은 높이로 설치되어 아스팔트 표면을 흐르는 우수의 입수를 용이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층관(10)의 하부는 상기 단턱부(30) 보다 아래로 더 연장된 치마면(12)이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마면(12)은 단턱부(30)보다 아래로 더 연장되기 때문에, 표면우수는 단턱부(30)로부터 아래로 이격된 위치에서 하층관(20)으로 낙하된다. 따라서, 치마면(12)이 없을 경우 표면장력에 의해 표면우수가 단턱부(30)를 타고 흘러서 침투수의 유입이 방해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층관(10)은 상광하협의 형상이며 상부에는 보강바(11)가 십자형으로 구비된다. 상층관(10)의 상부는 하부보다 직경이 커서 표면수의 입수 작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상층관(10)의 하부는 상층관(10)의 상부 대비 잘록하게 구성하여 상층관(10)의 하부가 단턱부(30)에 의해 하층관(20)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층관(10)의 최상부의 직경과 하층관(20)의 직경의 크기를 같게 구성하여 취급 및 미관성을 개선할 수 있다.

    하층관(20)은 상층관(10)의 하부에 상층관(10)과 연통되게 구비되고 단턱부(30)를 통해 상층관(10)과 결합되는 중공 원통형이다.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층관(20)은 직경이 균일한 원통관으로 구성된다. 하층관(20)은 침투수유입공(35)이 구비된 단턱부(30)를 통해 상층관(10)과 결합된다.

    단턱부(30)는 아스팔트층으로 침투되어 교량 슬라브상면(1a)을 흐르는 침투 수가 유입되도록 침투수유입공(35)이 구비되고, 내측은 상층관(10)과 결합되고 외측은 하층관(20)과 결합됨으로써 상층관(10)을 하층관(20)에 고정시킨다. 단턱부(30)는 내측은 상층관(10)과 용접으로 결합되고 외측도 하층관(20)과 용접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층관(20) 또는 단턱부(30)에는 돌출봉(50)이 더 구비되어 교량용 이중 우수 배수구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하층관(20)에 결합된 상층관(10)의 상대적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게 하여, 아스팔트층의 높이 또는 다른 필요성에 의해 현장에서 상층관(10)의 상면(표면수가 입수되는 지점, 표면수유입공 입구지점)과 침투수유입공(35)이 위치한 지점 간의 거리(H1)을 조절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상층관(10)의 외주면에 수나사선을 형성하고, 단턱부(30) 내주면에 암나사선을 형성하여, 나사선에 의해 상층관(10)과 단턱부(30)가 나사결합하게 할 수 있다. 상층관(10)을 하층관(20) 대비 회전시키면, 상층관(10)의 상면(10a)과 단턱부(30) 상면(30b) 간의 거리(H1)는 증감된다.
    본 발명에 의한 교량용 이중 우수 배수구는, 몸체(10a)가 교량의 아스팔트층(3)에 입설되고 아스팔트 표면을 흐르는 우수가 표면수유입공(40)으로 유입되는 중공 원통형 상층관(10)과;
    상기 상층관(10)의 하부에 상층관(10)과 연통되게 구비되고 단턱부(30)를 통해 상층관(10)과 결합되는 중공 원통형 하층관(20)과;
    교량 슬라브상면(1a)을 흐르는 침투수가 유입되는 침투수유입공(35)이 구비되고, 상기 상층관(10)을 상기 하층관(20)에 고정시키는 상기 단턱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층관(10)은 상광하협의 형상이며, 상기 상층관(10)의 하부는 상기 하층관(20)의 상부에 내삽되고,
    침투수유입공(35)이 구비된 상기 단턱부(30)의 내주(內周)측은 상층관(10)의 하부 외주면에 용접 결합되고, 상기 단턱부(30)의 외주(外周)측은 하층관(20)의 상단에 용접 결합되고,
    상기 상층관(10)의 하부는 상기 단턱부(30)보다 아래로 더 연장된 치마면(12)이 더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됐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으로 본 발명과 균등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수 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부호는 단순히 발명의 이해를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 권리범위의 해석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함을 밝히며 기재된 도면부호에 의해 권리범위가 좁게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이중 우수 배수구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이중 우수 배수구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이중 우수 배수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이중 우수 배수구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슬라브 1a : 슬라브상면

    3 : 아스팔트층 10 : 상층관

    10a : 상층관 몸체 10b : 상층관 상면

    11 : 보강바 12 : 치마면

    20 : 하층관 30 : 단턱부

    30b : 단턱부 상면 35 : 침투수유입공

    40 : 표면수유입공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