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리용기의제조방법

申请号 KR1019920007775 申请日 1992-05-08 公开(公告)号 KR100203214B1 公开(公告)日 1999-06-15
申请人 피슬러 게엠베하; 发明人 하랄트파슬러;
摘要 본 발명은 주요부와 스테인레스강의 베이스 및 열전도성이 뛰어난 베이스 아래에 배치된 충전재로 구성된 조리 용기의 제조방법이다. 상기 충전재의 재질에 따라 적합한 온도에서 펀치와 다이스로된 충격 몰드로 한번 이상의 충격압력을 상기 조립체에 가한다. 따라서 상기 충전재는 상기 용기 베이스와 금속간의 결합을 한다. 상기 주요부는 최소한 한 구역이상에 장식 혹은 기술적 에나멜 작업이 행하여지며, 예를들면 눈에 두드러지게 할 목적으로 에나멜링아크를 사용해서 에나멜 용착물로 상기 주요부에 입히거나 또는 에나멜을 사용한 스토브-에나멜 작업이 제공된다. 상기 에나멜 용착물을 깨끗한 주료부에 입혀지게 된다. 에나멜 용착물을 입힌 상기 조리 용기는 충전재의 재질에 따라 적합한 온도에서 열처리 되어진 후, 상기 조립체에 이전의 장식 혹은 기술적 에나멜 작업이 이루어질때와 동일한 열로부터 중간 냉각을 그치지 않고 충격 압력이 가해진다.
权利要求
  • 덮개판 혹은 성형된 스테인레스강제의 주형 바닥을 구비한 요부(要部)와, 열전도성이 뛰어난 재질로 구성되고 용기의 바닥 아래에 위치한 충전재를 포함하는 조리 용기의 제조 방법으로, 상기 용기의 바닥과 충전재로 이루어진 조립체를 펀치와 다이스를 구비한 충격 몰드에서 중심을 맞춰 한번 이상의 충격 프레싱을 가함으로써 상기 충전재를 상기 용기의 바닥과 금속간 결합시키며, 상기 요부의 적어도 일부는 눈에 두드러지게 할 목적으로 장식적 범랑과 기술적 범랑중 한가지 이상의 범랑을 구비하며, 상기 범랑은 범랑 처리 가능한 용착물을 요부에 피복한 후 스토브 범랑 처리함으로써 형성되는 조리 용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충전재의 재질에 따라 정해지는 금속간 결합 온도에서 범랑 처리 할 수 있는 범랑 처리 가능한 용착물을 선택하는 단� ��와, 상기 용기의 바닥에 충전재 층의 금속간 결합 이전에 상기 범랑 처리 가능한 용착물을 세정된 요부에 피복시키는 단계와, 범랑 처리 가능한 용착물이 피복되어 있는 조리 용기를 충전재의 재질에 따라 정해지는 금속간 결합 온도에서 가열하는 단계와, 이미 형성된 장식적 혹은 기술적 범랑과 함께 상기 가열 단계로부터 중간 냉각 단계를 거치지 않고, 용기의 바닥과 충전재로 이루어진 조립체에 충격 프레싱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의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는 상기 충전재의 재질에 따라 정해지는 금속간 결합 온도인 약 600℃에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의 제조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는 무수(無水)의 범랑 처리 가능한 용착물을 사용함으로써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의 제조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는 함수(含水)의 덱스트린 혹은 왁스 기재(基材)의 범랑 처리 가능한 용착물을 사용함으로써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의 제조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금속간 결합 온도로의 가열은 산화 분위기에서 이루어지며, 요부, 혹은 이 요부를 향해 둥글게 굴곡되어 있는 밀폐 덮개의 칼라 영역, 혹은 충전재는 예정된 온도에서의 가열 중에 형성되어 부드러운 연마 디스크에 의해 냉각 후 제거될 산화 피복물을 구비하며, 상기 범랑은 연마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의 제조 방법.
  • 说明书全文

    조리 용기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덮개판(covering plate) 혹은 성형된 스테인레스강제의 바닥이 구비되어 있는 요부(要部)와, 열전도성이 뛰어난 재질로 구성되고 용기의 바닥 아래에 위치한 충전재(filling: 充塡材)를 포함하는 조리 용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바닥과 충전재로 이루어진 조립체를 펀치와 다이스를 구비한 충격 몰드(impact mould)에서 중심을 맞춰 한번 이상의 충격 프레싱(impulse pressing)을 가함으로써 충전재를 용기의 바닥과 금속간 결합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요부의 적어도 일부는 눈에 두드러지게 할 목적으로 장식적 혹은 기술적 범랑(enamelling)을 구비하는데, 이 범랑은 범랑 처리 가능한 용착물(enamelling)함으로써 형성된다. 이 범랑은 처리 가능한 용착물(enamellable deposit: 鎔着物)을 요부에 피복한 후 스토브 범랑 처리(stove-enamelling)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범랑 처리 가능한 용착물은 범랑 처리 아크(enamellingarc)에 의해 요부에 피복된다. 상기 충전재는 밀폐 덮개(enclosing couering)라고 불리는 것으로 덮일 수 있는데, 이 밀폐 덮개는 조리 용기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고, 전술한 충격 프레싱을 가함으로써 충전재와 금속간 결합된다. 충격 프레싱이 가해지는 온도는 보통 600℃이다 충전재는 열전도성이 뛰어난 재질, 예컨대 알루미늄 혹은 구리 합금으로 구성된다. 특정의 목적에 맞는 여러 형태의 범랑들이 공지되어 있으며, 범랑 처리 가능한 용착물의 조성은 가변적이므로 상이한 목적과 상이한 범랑 처리 온도를 위한 범랑을 형성하기 위해 아크가 사용된다. 범랑 처리 가능한 용착물은 보통 이것을 요부에 완전히 피복시킨 후 벗겨낼 수 있는 기재(基材)상에 배치된다. 여기서, 조리 용기 란, 소오스 팬, 로오스팅 포트(roasting pots), 프라이 팬 혹은 전술한 범랑 처리된 요부를 구비하는 기타의 용기들을 포괄한다.

    본 발명에 기본이 되고 공지의 실시 태양인 조리 용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범랑 처리는 특정의 범랑 처리 작업에 선행하거나 가끔 후속하게 되는 소위 범랑 처리 가능한 용착물의 스토브 범랑 처리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처리 단계는 전술한 금속간 결합을 수반한다. 금속간 결합을 수반하는 상기 처리 단계는 독일 특허 제2 258 795호, 유럽 특허 제0 209 745호에 개시되어 있다. 범랑 처리 가능한 용착물의 조성은 금속간 결합을 위해 요구되는 단계와 무관하게 공지의 경항에 따라 선택된다. 상기 특허의 처리 단계는 범랑 처리 가능한 용착물의 피복을 위해 가능한 한 낮은 범랑 처리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다.

    전술한 단계는 특수한 범랑 처리 단계에이기 때문에 정교하게 진행된다. 범랑 처리 단계가 금속간 결합에 선행할 때에 일어날 수 있는 단점은 범랑 처리와 금속간 결합을 위해 별도의 가열 작업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이에 반해, 범랑 처리 단계가 금속간 결합에 후속할 때에는, 미리 완성된 금속간 손상을 입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예정된 범랑 처리 온도로 가열하는 별도의 단계를 수반하는 특정의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범랑을 도포할 수 있는 전술한 조리 용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충전재의 재질에 따라 정해지는 금속간 결합 온도에서 범랑 처리 할 수 있는 범랑 처리 가능한 용착물을 선택한다. 이 범랑 처리 가능한 용착물을 세정된 요부에 피복시킨다(용기의 바닥과 충전재 층사이의 금속간 결합 이전에). 범랑 처리 가능한 용착물이 피복되어 있는 조리 용기를 충전재의 재질에 딸 정해지는 금속간 결합 온도에서 가열시킨다. 그 다음, 이미 형성된 장식적 혹은 기술적 범랑과 함께 상기 단계로부터 중간 냉각 단계를 거치지 않고, 용기의 바닥과 충전재로 이루어진 조립체에 충격 프레싱을 가한다. 범랑 처리될 표면을 거칠게 만들거나 또는 그 표면을 평평하게 연마하면 편리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출발점은, 전술한 방식으로 용기의 바닥과 충전재로 이루어진 조립체의 금속간 결합 혹은 밀폐 덮개의 금속간 결합을 위한 가열 단계는 스토브 범랑 처리를 위한 대신에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토브 범랑 처리를 위한 특정의 단계를 거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단지 1회의 가열만을 필요로 하게 된다. 만약, 이러한 특징에 부가하여, 충전재의 재질에 따라 정해지는 금속간 결합 온도에서 스토브 범랑 처리 될 수 있도록 범랑 처리 가능한 용착물을 선택한다면, 조리 용기의 정상적인 사용에 요구되는 조건을 충족하는 범랑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이러한 범랑은 식기 세척기내에도 잘 견딜 수 있다. 놀랍게도, 범랑의 직은 충격 프레싱에 의한 금속간 결합 단계에 의해 전혀 저하되지 않았다. 금속간 결합의 특성은 물론 모든 요구 조건들을 충족한다.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성된 충전재의 경우, 금속간 결합을 행하기 위한 통상의 온도는 대략 600℃이다.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추가의 개선이 가능하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벙법에 따라 무수(無)의 범랑 처리 가능한 용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방법에 따라 함수(含水)의 덱스트린 혹은 왁스 기재(基材)의 범랑 처리 가능한 용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또, 수분은 증발된다. 상기 언급한 금속간 결합 온도로의 가열은 산화 분위기에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요부와, 혹은 이 요부를 향해 둥글게 굴곡되어 있는 밀폐 덮개의 칼라 영역, 혹은 충전재는 스토브에서 예정된 온도로의 가열 중에 형성되어 부드러운(예컨대, 직물로 피복된) 연마 디스크에 의해 냉각 후 제거될 산화 피복물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리고 완성된 범랑은 또한 연마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른 범랑처리와 금속간 결합은 모든 요구 조건들을 충족시킨다는 것과,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스토브 범랑 처리 단계를 위해 별도의 가열 단계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간단하다는 것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