说明书全文 |
관절염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갖는 아이디-씨비티5101(ID-CBT5101) 및 이의 용도{ID-CBT5101 having effect of preventing and treating arthritis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관절염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갖는 틴달화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ID-CBT5101 ; Clostridium butyricum Tyndallizate 5101) 및 이의 용도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절염의 바이오마커인 COX-2 및 염증성 싸이토카인인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의 수치를 낮춰 관절염을 예방하고 증상을 완화시키는데 기여하는 틴달화된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 사균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가장 흔히 접하는 염증성 관절염으로 침범된 관절의 활막 증식과 뼈 및 연골이 파괴되는 증상이다. 류마티스 관절염의 발병기전은 명확하지 않으나 관절염 동물모델이나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활막에서 많은 종류의 싸이토카인 발현이 보고되고 이들 싸이토카인의 억제가 관절염의 증상, 이학적 소견뿐만 아니라 관절파괴도 막는다는 연구결과들이 있어 질환의 발병과 지속에 싸이토카인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류마티스 관절염의 발병기전은 명확하지 않고 여러 가지 모델이 제시되고 있는데 크게는 항원-특이적 기전과 항원-비특이적 기전으로 나눌 수 있다. 항원-특이적 기전의 경우는 원인이 되는 T세포 항원이 아직 밝혀져 있지 않지만 바이러스나 세균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며, 항원제시 세포(Antigen presenting cell, APC)가 주조직 적합항원(class II major histochmpatibility complex, MHC)을 통해 관절염 유발 펩타이드(arthritogenic peptide)를 T세포에 제공하여 T세포를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T세포가 자가항원(self-antigen)과 교차 반응(cross-react)하여 대식세포를 자극함으로써 관절염이 시작된다. 항원-비특이적 기전의 관절염 발생은 반복되는 감염, 조직손상, 알레르기, 예방접종등과 같은 비특이적 자극에 의해 활막 내 대식세포가 활성화되고 활성화된 대식세포로부터 생산된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나 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GM-CSF)등의 싸이토카인에 의해 수지상 세포(dendritic cells)의 분화가 유도되며 분화된 수지상세포가 강력한 항원제시 세포로 기능하여 자가항원을 autoreactive T cell에 전달함으로써 T세포가 자극되어 관절염이 시작된다. 관절염이 유발된 후 활막에서 생산되어 paracrine 또는 autocrine으로 작용하는 싸이토카인들이 만성적인 관절 염증의 지속과 악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류마티스 관절염 조직 및 활액의 싸이토카인 발현에 대한 연구에서 TNF-α, IL-1β, IL-6, GM-CSF, IL-8 등과 같은 많은 종류의 염증성 싸이토카인의 발현이 밝혀졌고, IL-10, TGF-β와 같은 항염증성 싸이토카인과 IL-1 receptor antagonist (IL-1Ra), soluble TNFR와 같은 염증성 싸이토카인 억제물질의 발현 증가도 보고되었으나 이들 염증조절물질의 생성이 염증성 싸이토카인의 작용을 중화시키기에는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되었다. 따라서 염증성 싸이토카인을 포함한 염증물질과 항염증 물질 생성의 불균형에 의해 류마티스 관절염이 지속되고 악화될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염증성 자가면역질환인 류마티스 관절염을 장관면역을 통해 치료 및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었으며, 장관면역을 조절할 수 있는 소재로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과 같은 프로바이오틱스를 사용한 연구들이 있다. 류마티스 관절염 마우스 모델에서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의 섭취가 관절염 억제에 효과가 있었으며 (Life Science, 1998; 63(8) : 635-644), 루이스 래트(Lewis rat)를 이용한 관절염 동물모델에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Lactobacillus rhamnosus GG)의 섭취가 관절염 억제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다 (Journal of Nutrition, 2004;134(8);1964-1969). 선행연구에서 유산균 생균(live cell)의 섭취 후 효능에 관한 것으로 장관면역의 자극(immunostimulation)을 일정수준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정수의 생균이 장관에 부착해야함이 알려졌다. 그러나 유산균은 위장관을 통과하는 동안 위산과 담즙산에 의한 공격으로 죽게 되어 장관 면역을 자극 시킬 수 있는 농도 이하가 되기 쉽다. 따라서 부착능에 초점에 맞춰 유산균 생균을 오버도스(overdose)투여함으로써 경제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대부분이 관절염에 의한 통증반응을 줄이기 위해 NSAID 계열의 소염제나 항생제를 투여하는 현실에서 유산균 생균을 병용투여시 해당 약제에 의해 사멸되기 때문에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선행연구의 투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을 소재로 항염증 작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틴달화(tyndallization)방법을 완성하고, 틴달화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의 사균체가 류마티스 관절염 동물모델 실험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관절염 완화 효능을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최종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관절염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 균주 (기탁번호: KCTC12738BP)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균주 및 상기 균주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절염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틴달화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 (기탁번호: KCTC12738BP)의 사균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 균주 (기탁번호: KCTC12738BP)의 사균체 및 상기 균주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a)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 균주를 혐기적으로 배양하는 단계; 및 (b) 상기 배양된 균체 및 배양액을 111~150℃, 0.6 ~ 1.3 kgf/cm 2 에서 가압하여 사균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틴달화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 사균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관절염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 균주 (기탁번호: KCTC12738BP)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균주 및 상기 균주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관절염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틴달화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 (기탁번호: KCTC12738BP)의 사균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 균주 (기탁번호: KCTC12738BP)의 사균체 및 상기 균주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a)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 균주를 혐기적으로 배양하는 단계; 및 (b) 상기 배양된 균체 및 배양액을 111~150℃, 0.6 ~ 1.3 kgf/cm 2 에서 가압하여 사균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틴달화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 사균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관절염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 (기탁번호: KCTC12738BP)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균주 및 상기 균주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 (기탁번호: KCTC12738BP)이 포함되는 어떠한 형태의 조성물도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일 경우, 틴달화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식품”은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건강기능식품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건강기능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및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제형 또한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 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용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관절염 치료제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mL당 일반적으로 약 0.01~0.04g, 바람직하게는 약 0.02~0.03g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중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을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상기 특정식품 소재 1 g(또는 ㎖) 당 본 발명의 균을 1 x 10 8 내지 1 x 10 10 개(균수) 첨가하고, 바람직하게는 5 x 10 8 내지 5 x 10 9 개의 양으로 첨가한다. 또한, 본 발명의 틴달화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 식품 조성물의 1일 섭취량은 1×10 5 내지 1×10 10 CFU/kg, 바람직하게는 1×10 6 내지 1×10 8 CFU/kg이고, 섭취는 하루에 한 번 섭취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섭취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서 균주의 유효용량은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용량에 준해서 사용할 수 있으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확실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이 약학적 조성물일 경우,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5101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로는 전분, 젤라틴화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유당, 포비돈, 콜로이달실리콘디옥사이드, 인산수소칼슘, 락토스, 만니톨, 엿, 아라비아고무, 전호화전분, 옥수수전분, 분말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오파드라이, 전분글리콜산나트륨, 카르나우바 납, 합성규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칼슘, 백당, 덱스트로스, 소르비톨 및 탈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는 상기 조성물에 대해 0.1~9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실제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 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 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주사제에는 용해제, 등장화제, 현탁화제, 유화제, 안정화제, 방부제 등과 같은 종래의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료용 조성물은 임의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안정화제(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l9th Edition, Alfonso, R., ed, Mack Publishing Co.(Easton, PA: 1995))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안정화제는 사용된 투여량 및 농도에서 수용자에게 비독성이고, 완충용액, 예를 들어 인산, 시트르산 및 다른 유기산; 아스코르브산을 비롯한 항산화제; 저분자량 (약 10개 미만의 잔기) 폴리펩티드; 단백질, 예를 들어 혈청 알부민, 젤라틴 또는 면역글로불린; 친수성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비닐피롤리돈; 아미노산, 예를 들어 글리신, 글루타민, 아스파라긴, 아르기닌 또는 리신; 단당류, 이당류, 및 글루코스, 만노스 또는 덱스트린을 비롯한 다른 탄수화물; 킬레이트제, 예를 들어 EDTA; 당 알콜, 예를 들어 만니톨 또는 소르비톨; 염-형성 반대이온, 예를 들어 나트륨; 및(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트윈, 플루로닉스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인체에 대한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형태, 건강상태 및 질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0.01 - 100 mg/kg/day이며, 바람직하게는 0.1 - 50 mg/kg/day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10 mg/kg/day일 수 있다. 또한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 간격으로 분할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관절염은 퇴행성 관절염(osteoarthritis),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루프스 관절염(lupus arthritis), 반응성 관절염(reactive arthritis), 건선 관절염 등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류마티스 관절염 또는 퇴행성 관절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또한 관절염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틴달화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 (기탁번호: KCTC12738BP)의 사균체를 제공한다. 멸균법에 있어서 근래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121℃에서 15분간 고온, 고압 멸균을 하는 것이다. 하지만, 고온, 고압 조건에서의 멸균을 견딜 수 없는 대상을 멸균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이 틴달 멸균법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틴달화”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틴달 멸균법에 의해 균이 사멸된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을 틴달화 할 경우 우수한 관절염 예방 및 치료 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틴달화 조건에 따라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의 균체로부터 추출성이 상이하기 때문에, 관절염 예방 및 치료에 최적화된 틴달화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의 사균체를 생산하기 위해 틴달화 온도 조건과 가압조건별 항염증 효과를 평가하여 틴달화 방법을 최적화 하였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자들은 틴달화 온도조건을 90℃, 100℃, 110℃ 및 121℃에서 각각 10분간 가압 유지한 후, 다시 50℃로 냉각하고 다시 각각의 온도로 상승시켜 5분간 가압 유지하고 40℃로 냉각시키는 방법으로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을 틴달화 하였다(실시예 2).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 온도조건에서 틴달화된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의 항염증 효과를 COX-2 저해능을 통해 평가한 결과, 121℃에서 틴달화한 클로스티디움 부티리쿰이 그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실시예 3).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을 90℃, 100℃ 및 110℃에서 틴달화 하여 사멸시킨 사균체는 121℃에서 틴달화한 클로스티디움 부티리쿰 사균체와 비교해 COX-2 저해능이 우수하지 못했다. 이는 고압, 고온 조건하에서 균체를 멸균함에 따라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이 절편화(fragmentation)되어 크기가 작아지고,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이 반응할 수 있는 유리한 조건이 형성되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상기 121℃에서 틴달화한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 사균체의 대식세포의 염증성 싸이토카인과 항염증성 싸이토카인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결과, 틴달화한 클로스티디움 부티리쿰 IDCC 5101이 양성 대조물질인 덱사메타손과 마찬가지로 염증성 싸이토카인인 TNF-α의 분비를 직접적으로 억제하는 작용이 있음을 확인하였다(실시예 4). 또한, 틴달화한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 사균체를 관절염 동물 모델에 4주간 투여한 결과, 관절염 유발 이후 6일째부터 유의적으로 관절염 증상이 완화되는 효과를 나타냈으며, 투여 종료 후에는 양성 대조물질인 초록입 홍합추출유 투여군보다 1.5배 관절염 증상 완화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실시예 5). 뿐만 아니라, 실험동물의 뒷발을 적출하여 관절조직병리를 평가한 결과, 틴달화한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 사균체를 투여한 군에서 vehicle군과 비교해 활막 증식 및 염증세포의 침윤이 현저히 감소해 관절염 증상 완화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실시예 5). 본 발명에서 상기 틴달화는 111 ~ 150℃ 에서 균을 사멸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111~150℃, 112~150℃, 113~150℃, 114~150℃, 115~150℃, 116~150℃, 117~150℃, 118~150℃, 119~150℃, 111~145℃, 112~145℃, 113~145℃, 114~145℃, 115~145℃, 116~145℃, 117~145℃, 118~145℃, 119~145℃, 111~140℃, 112~140℃, 113~140℃, 114~140℃, 115~140℃, 116~140℃, 117~140℃, 118~140℃, 119~140℃, 111~135℃, 112~135℃, 113~135℃, 114~135℃, 115~135℃, 116~135℃, 117~135℃, 118~135℃, 119~135℃, 111~130℃, 112~130℃, 113~130℃, 114~130℃, 115~130℃, 116~130℃, 117~130℃, 118~130℃, 119~130℃, 111~125℃, 112~125℃, 113~125℃, 114~125℃, 115~125℃, 116~125℃ 또는 117~125℃ 에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118 ~ 125℃에서 가압멸균하여 균을 사멸시키는 것을 의미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틴달화 온도가 111℃ 미만인 경우에는 사균체의 절편화가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사균체가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기에 유리한 조건이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틴달화 온도가 150℃ 초과인 경우에는 사균체의 활성성분이 변성을 일으켜 항염증 작용을 나타내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틴달화 온도 조건의 설정이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CDD 5101 사균체 제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틴달화는 가압조건에서 균을 사멸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가압이란 상압조건인 1기압(atm)을 기준으로 추가적인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에서의 상기 가압조건은 상압인 1기압(atm)을 기준으로 0.1 ~ 1.3 kgf/cm 2 의 압력이 추가적으로 가해지는 것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0.2 ~ 1.3 kgf/cm 2 , 0.3 ~ 1.3 kgf/cm 2 , 0.4 ~ 1.3 kgf/cm 2 , 0.5 ~ 1.3 kgf/cm 2 , 0.6 ~1.3 kgf/cm 2 , 0.7 ~ 1.3 kgf/cm 2 , 0.8 ~ 1.3 kgf/cm 2 , 0.2 ~ 1.2 kgf/cm 2 , 0.3 ~ 1.2 kgf/cm 2 , 0.4 ~ 1.2 kgf/cm 2 , 0.5 ~ 1.2 kgf/cm 2 , 0.6 ~ 1.2 kgf/cm 2 , 0.7 ~ 1.2 kgf/cm 2 , 또는 0.8 ~ 1.2 kgf/cm 2 , 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9 ~ 1.1 kgf/cm 2 ,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틴달화 압력이 0.1 kgf/cm 2 미만인 경우에는 사균체의 절편화가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사균체가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기에 유리한 조건이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틴달화 압력이 1.3 kgf/cm 2 ,초과인 경우에는 사균체의 활성성분이 변성을 일으켜 항염증 작용을 나타내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틴달화 압력 조건의 설정이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CDD 5101 사균체 제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틴달화 클로스트리디움 IDCC 5101 사균체는 대식세포에서 종양괴사인자-α(tumor necrosis factor-α, TNF-α)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관절염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관절염은 대표적인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체내 수많은 사이토카인 등의 작용으로 염증 반응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러한 염증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물질이 종양괴사인자-α(TNF-α)이다. TNF-α는 류마티스 관절염, 건선성 관절염, 크론병, 건선, 강직성 척수염과 같은 염증성 질환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pro-inflammatory 사이토카인이다. 임상적으로 볼 때 과잉 생산된 TNF-α는 관절염 환자의 대식세포를 자극해 염증반응을 증폭시키는 염증성 매개체를 생산하고, 혈관내피세포에서 부착분자를 발현하게 해 더 많은 염증세포들이 염증이 일어난 부위로 모일 수 있도록 하며, 섬유아세포로 하여금 단백 분해효소를 생산하게해 연골, 뼈, 인대 등에 손상을 입혀 질병을 악화시키게 된다. 뿐만 아니라, TNF-α는 혈관 내피세포에서 vascular cellular adhesion molecule 1 (VCAM-1),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 1 (ICAM-1)과 E-selectin등과 같은 유착분자 (adhesion molecule) 발현을 증가시켜 염증세포의 침윤을 유도하며, 항-TNF-α항체를 투여한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활막조직에서 T 림프구의 수가 감소하고 VCAM-1이나 E-selectin의 발현이 억제되어 염증세포의 염증부위로의 이동에 TNF-α가 중요한 역할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TNF-α는 prostaglandin (PG)의 생성에 관여하는 secretory phospholipase A2 (sPLA2), cyclooxygenase-2 (COX-2)나 microsomal PGE2 synthase(mPGES)의 발현을 증가시켜 PG의 생성을 촉진하고, 또 다른 염증 물질인 nitric oxide (NO)의 생성에 관여하는 효소인 inducible NO synthase (iNOS)의 발현을 촉진한다. 그 외에도 TNF-α는 활막 섬유아세포에 작용하여 세포증식을 촉진하여 활막 과형성 (synovial hyperplasia)와 섬유화를 유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TNF-α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이 관절염의 치료 전략에 있어서 핵심이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의 사균체가 대식세포에서 TNF-α의 발현을 억제한다는 것을 밝혀 관절염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실시예 4).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은 대식세포의 IL-6 및 IL-10 생성능에 큰 영향을 나타내지 못했고(결과 미도시), 상기한 바와 같은 TNF-α 생성 억제가 항염증 효과의 주요한 기전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며, 본 조성물에 관하여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은 또한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 균주 (기탁번호: KCTC12738BP)의 사균체 및 상기 균주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조성물에 관하여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배양액은 본 발명에 따른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을 적합한 액체 배지에서 배양한 배양액 자체, 상기 배양액을 여과 또는 원심분리하여 균주를 제거한 여액(여과액 또는 원심분리한 상등액), 상기 배양액을 초음파 처리하거나 상기 배양액에 용해효소(lysozyme)를 처리하여 수득한 세포 파쇄액 등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의미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배양액은 배양액의 농축액 및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사균체는 틴달화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틴달화는 111~150℃, 0.6 ~ 1.3 kgf/cm 2 에서 가압하여 사균화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a)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 균주를 혐기적으로 배양하는 단계; 및 (b) 상기 배양된 균체 및 배양액을 111~150℃, 0.6 ~ 1.3 kgf/cm 2 에서 가압하여 사균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틴달화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 사균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b) 단계의 사균체 제조 방법은 115~150℃, 0.1-1.3 kgf/cm 2 에서 7 ~ 15 분간 가압 유지한 후, 다시 45 ~ 55℃로 냉각하고 다시 각각의 온도로 상승시켜 3 ~ 7 분간 가압 유지하고 35 ~ 45 ℃로 냉각시키는 방법으로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을 틴달화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사균체 제조방법은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을 배양액으로부터 분리하여 균체만을 틴달화 할 수도 있으며, 상기 균주가 포함된 배양액 자체를 틴달화하여 균주를 사멸화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 단계 이후에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을 배양한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균체와 배양액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배양액을 농축하여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농축액과 미리 분리한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 균체를 혼합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틴달화된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 사균체는 관절염의 바이오 마커인 COX-2 및 염증성 싸이토카인인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의 수치를 낮출 뿐만 아니라, 틴달화된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 사균체를 투여받은 관절염 동물모델에서 관절염 증상이 완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관절염 예방 및 치료 효능을 가진 틴달화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 원료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틴달화 공정조건에 따른 염증성 단백질인 COX-2 저해효과를 western blotting 방법으로 비교한 결과이다(T121 : 121℃,1.0 kgf/cm 2 에서 틴달화, T110 : 110℃,0.6 kgf/cm 2 에서 틴달화, T100 : 100℃,0.1 kgf/cm 2 에서 틴달화, T90 : 90℃,0 kgf/cm 2 에서 틴달화). 도 3은 틴달화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이 염증성 싸이토카인인 TNF-α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4는 틴달화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이 항염증성 싸이토카인인 IL-10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5는 틴달화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의 관절염 모델동물에서 관절염 증상 완화 효과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6은 틴달화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을 투여한 관절염 동물모델에서 염증개선 효과를 조직병리학적 분석으로 나타낸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항염활성 우수균주의 선발 본 발명자들은 류마티스 관절염에 대한 항염 효과가 우수한 균주를 선발하기 위해 일동제약에서 보유하고 있는 면역관련 프로바이오틱스 50종을 대상으로 항염 활성을 확인하였다. 항염 활성은 Raw cell 264.7 cell에 각 프로바이오틱스의 생균 및 틴달샘플을 처리하여 COX-2 저해효과를 통해 선발하였다. 각 샘플의 COX-2 저해효과는 western blotting 방법을 통해 확인하였다. 프로바이오틱스 생균 50종과 틴달 50종의 샘플 중 가장 높은 항염효과를 나타낸 틴달화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을 최종 선발하였다. 그 결과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이 가장 우수한 항염증 효능을 나타냈으며, 이를 한국 미생물자원센터에 기탁하였다(기탁번호: KCTC12738BP). <실시예 2> 항염증 효과가 우수한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최적 틴달화 조건 설정 관절염 예방치료에 최적화된 틴달화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을 생산하기 위해 틴달화를 통해 균체를 사균화하였다. 틴달화 조건에 따라서 항염물질이 균체로부터 추출성이 상이하기 때문에 틴달화 온도와 가압조건별 항염효과를 평가하여 최적화하였다.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종균을 800L/1KL 발효조에서 멸균된 틴달화 생산배지인 CBT 배지 (포도당 2%(w/v), 펩톤 0.1%(w/v), 탈지분유 0.1% (w/v))에 무균적으로 접종하고 16시간 혐기적으로 배양하였다.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틴달화 온도조건을 90℃, 100℃, 110℃, 121℃에서 각각 10분간 0~1.0 kgf/cm 2 가압유지한 후, 다시 50℃로 냉각하고 다시 각각 온도로 상승시켜 5분간 0~1.0 kgf/cm 2 가압유지하고 40℃로 냉각시켜 틴달화하였다.
틴달화된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을 20배 감압농축하고 최초 배양액의 1/10 양에 해당하는 부형제를 혼합한 후, 45℃, 20시간동안 건조하여 최종 온도-압력별 틴달화된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원료를 생산하였다. <실시예 3> 조건별 틴달화된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의 COX-2 저해효과 각각의 조건별 틴달화된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의 항염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COX-2 저해효과를 측정하여 최종 공정을 선발하였다. 보다 자세하게 COX-2 저해효과 측정법은 다음과 같다. Raw 264.7 cells을 2.5 x 10 5 cells/ml이 되도록 준비하고 6-well plate에 2 ml/well에 최종 5.0 x 10 5 cells/well이 되도록 하며, 24시간 overnight하여 배양한다. 각 well에 LPS (2 ug/ml농도)를 4 ul씩, 1/5로 희선한 각 조건의 ID-CBT5101을 20 ul씩 처리한 후, 24시간 overnight 배양하였다. 배양이 종료되면 BCA법으로 단백질 정량을 하고 10% SDS-polycrylamide gel에서 정기영동으로 분리하고 poly vinylidene difluoride (PVDF) membrane (Milipore, USA)에 100V, 120분 조건으로 전이시켰다. 전이가 종료되면, membrane을 분리하고 blocking solution (5% skim milk를 함유한 0.1% TBST buffer 20 ml)에 담근 뒤 shaking하면서 30분~1시간 정도 blocking시킨 후, 0.1% TBST buffer로 washing한 뒤, 1차 항체(COX-2 및 β-actin)와 반응시켰다. COX-2 antibody ( 1: 1000, Cell Signaling, USA), β-actin antibody (1 : 5000, Cell Signaling, USA)를 이용하여 4℃에서 overnight 반응하였다. 이후, 0.1% TBST buffer로 washing, 2차 항체(anti-rabbit polyclonal antibody)와 1시간 30분 반응시켰다. 0.1% TBST buffer로 washing한 후, membrane을 OHP 필름위에 놓고 west-one substrate를 이용하여 적셔주고, Chemi Dox를 이용하여 단백질 발현을 검출하여 저해정도를 상대 비교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상기 표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121℃-1.0 kgf/cm 2 에서 틴달화한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이 COX-2 저해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이는 고압, 고온 조건하에서 균체를 멸균함에 따라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이 절편화(fragmentation)되어 크기가 작아지고, 이에 따라 대식세포와 반응할 수 있는 유리한 조건이 형성되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실시예 4> 싸이토카인(cytokines) 조절을 통한 항염증 효과 평가 실시예 1에서 도출한 T121의 틴달화샘플에 대한 염증성 싸이토카인과 항염증성 싸이토카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배양한 Raw 264.7 cell을 스크래퍼(scrapper) 혹은 trypsinize를 사용하여 회수한 뒤, 15 ml falcon tube에 넣고 500 rpm으로 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등액을 제거한 뒤 1 ml의 complete media를 넣어 재현탁시켜 1 ml당 세포수를 계수하였다. 250,000/ml이 되도록 희석하였다. 6-well plate 각 well에 희석한 cells 2 ml를 넣고 24시간 overnight하여 배양하였다. 6-well plate 각 well의 배지를 sucktion한 후 PBS로 washing하였다. 새 배지를 2 ml씩 분주한 후 모든 well에 LPS 4 ul씩 (최종 LPS 농도는 2 ul/ml) 처리하고 1번째 well에는 1 mM 덱사메타손(dexamethasone)을 양성대조물질(positive control)로 20 ul (최종농도 10 uM/ml) 처리하였다. 나머지 well에는 음성대조군(negative control)로 PBS와 1/50희석농도인 T121 틴달화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 샘플(ID-CBT5101)을 10%씩 처리한 후, 24시간 overnight 하여 배양하였다. 각 well의 배양액을 15 ml falcon tube에 옮겨 담은 후, 9,500 rpm으로 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각 tube의 상등액을 따로 회수하여 싸이토카인 실험에 사용하였다. 염증성 싸인토카인(inflammatory cytokine)인 TNF-α와 항염증성 싸이토카인 (anti-inflammatory cytokine)인 IL-10을 통해 항염증 작용을 확인하기 위해 ELISA kit (R&D system)를 사용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121℃-1.0 kgf/cm 2 에서 틴달화된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 (ID-CBT5101) 사균체는 양성대조물질인 덱사메타손과 마찬가지로 염증 유발 싸이토카인인 TNF-α를 억제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대조적으로 항염증 기작을 나타내는 싸이토카인인 IL-10의 분비량을 늘리지는 못하는 것으로 확인됨으로써(결과 미도시), 본 발명에 따른 틴달화된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 (ID-CBT5101) 사균체는 염증완화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관절염 동물모델에서의 항염증 효능 평가 <5-1> 관절염 동물모델 확립 6주령 수컷 Lewis rat (오리엔트바이오사)을 구입하여 1주일 순화기간을 거친 후 사용 하였다. 동물 사육실 환경은 항온 (22±2℃), 항습 (50~60%)을 유지하였고 광주기(08:00~20:00) 및 암주기 (20:00~08:00)를 12시간 간격으로 조절하였다. 동물은 poly-sulfone cage에 3마리 혹은 2마리씩 분리하여 사육하였고 사료와 물은 24시간동안 자유급식으로 공급하였다. 시험물질 각 군당 9마리로 4군, 총 36마리를 사용하였고 각 군은 vehicle, 양성대조군(초록잎홍합추출유로써 100mg/kg), ID-CBT5101 5x10 8 , 5x10 9 CFU/rat 투여군이다. 관절염 유발을 위해 Chondrex사에서 구입한 Complete Freund`s Adjuvant (CFA) (M. tuberculosis 10 mg/ml in mineral oil) 100 ul를 rat 꼬리 기저부에 피내 투여하였다. 투여 후, 11일차부터 관절염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13일차에는 모든 rat에서 관절염 증상이 나타났다. <5-2> 틴달화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 효능평가 시험물질은 투여 직전에 조제하여 하루 한 번 경구로 투여하였다. 투여 기간은 CFA 투여일부터 4주간 이었다. 양성대조군인 초록잎홍합추출유는 100 mg/kg으로 투여하였으며, 틴달화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 (ID-CBT5101)은 5x10 8 , 5x10 9 CFU/ml/rat 용량으로 투여하였다. CFA 투여 후, 13일째부터 주 2회 관절염 clinical score를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은 하기 표 2와 같다. 각 발의 점수는 0~4점 사이이며, 네 발 점수의 합을 관절염 clinical score로 나타내었다.
이에 대한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틴달화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ID-CBT5101)을 투여한 실험군 모두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관절염 치료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5 x 10 9 CFU 용량으로 투여한 군에서 관절염 유발(D13)이후 7일째(D20)부터 유의적으로 관절염증상이 완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투여 종료 후에는 양성대조물질인 초록입홍합추출유 투여군보다 1.5배 관절염증상 완화효과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5-3> 관절조직병리 평가 마지막 시험물질 투여 24시간 후, 동물을 안락사시키고 뒷발을 적출하였다. 10% 중성 포르말린용액으로 고정시킨 후, 8% 포름산과 8% 염산을 1 : 1로 섞은 용액에 담궈서 탈석회시켰다. 탈석회 완료 후, 일반적인 조직 처리 과정을 거쳐 파라핀 블럭을 만들고 5 um 두께로 잘라 조직슬라이드를 제작하였다. H&E 염색 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조직 병리를 평가하였다. 모든 실험결과는 평균 ± 표준오차로 표시하였으며, vehicle 군과 시험물질군과의 비교는 Student`s t-test (Microsoft Office Excel 2010 이용)를 하여 p 값이 5% 미만일 때를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있다고 판정하였다. 조직병리 평가를 위해 뒷발 조직슬라이드를 제작하고 H&E 염색 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틴달화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 (ID-CBT5101) 투여군 모두에서 vehicle군 대비 활막 증식 및 염증세포 침윤이 감소하였으며 감소 정도는 cilinical score 감소 정도와 비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양성대조물질인 초록입홍합추출유 투여군과 ID-CBT5101 5 x 10 8 CFU 투여군은 활막 증식 및 염증세포 침윤 감소가 vehicle군 대비 가벼운 수준이었고, ID-CBT 5 x 10 9 CFU 투여군은 양성대조군과 ID-CBT5101 5 x 10 8 CFU 투여군보다 더 우수한 활막 증식 및 염증세포 침윤감소를 보여 조직병리 결과에서도 우수한 관절염 완화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틴달화된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 사균체는 관절염의 바이오 마커인 COX-2 및 염증성 싸이토카인인 Itumor necrosis factor-α (TNF-α)의 수치를 낮추고, 틴달화된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IDCC 5101 사균체를 투여받은 관절염 동물모델에서 관절염 증상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나타내 관절염 예방 및 치료제로 개발될 수 있다는 점에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2738BP 2014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