序号 专利名 申请号 申请日 公开(公告)号 公开(公告)日 发明人
181 에스컬레이터용 안전 브러쉬 KR2020040021555 2004-07-28 KR200364559Y1 2004-10-15 최호경; 이창규
본 고안은 에스컬레이터용 안전 브러쉬에 관한 것으로, 에스컬레이터(1)의 스텝(2) 좌우측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스커트 가드(3)의 하부에 안전 브러쉬(4)가 설치되되, 상기 안전 브러쉬(4)는 합성수지물로 이루어진 경질의 브러쉬 몸체(5)와 연질의 브러쉬 가닥(6)이 일체로 성형되어 조립설치되고, 상기 브러쉬 몸체(5)와 브러쉬 가닥(6)이 각각 경질과 연질의 이중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2중 압출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는 한편, 상기 브러쉬 가닥(6)이 브러쉬 몸체(5)에 대해 수직된 방향으로 연장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브러쉬 가닥(6)의 상하부가 브러쉬 몸체(5)에 수직한 임의의 두 수직선과 팽행하거나 내측 방향으로 기울어져 연장 배열된 구조로서, 상기 에스컬레이터용 안전 브러쉬에 의해 에스컬레이터의 스텝과 스커트 가드 사이공간을 완전히 막� ��줌으로써 옷자락이나 인체의 일부가 끼여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수지의 2중 압출을 통해 안전 브러쉬를 제조함으로써 그 제조경비를 절감함과 아울러 제조시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고무 및 수지를 압출하여 안전 브러쉬를 제작함으로써 별도의 금형이 필요없이 곡선부위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182 에스컬레이터의 안전장치 KR2020040006926 2004-03-13 KR200351934Y1 2004-06-01 정영수
본 고안은 에스컬레이터의 발판 양측부와 근접된 스커트가드에 간격유지부재를 설치하여 발판에 올라탄 사용자가 발판 양측부와 스커트가드 사이의 틈새와 효과적으로 이격되게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에스컬레이터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계단식으로 이루어진 에스컬레이터의 스커트가드에 안내홈을 가지는 브라켓을 볼트를 이용하여 장착한 후, 상기 브라켓의 안내홈으로 브러시가 식모된 지지구가 삽입되어 브러시가 발판의 상면과 근접설치 된 것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 ㄷ " 형상으로 형성하되, 일측의 수직면에 볼트공(42)을 등간격으로 형성하며, 내측면 상하로 가이드돌기(41)가 대향되게 돌출 형성되어서 스커트가드(11)에 장착되어지는 고정브라켓(40)과; 상기 고정브라켓(40)의 가이드돌기(41)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홈(51)이 일측으로 형성되고, 이의 반대쪽으로는 발판(13)쪽으로 돌출되어지는 접면부(52)가 형성된 간격유지부재(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183 에스컬레이터용 스위치 KR1019860009253 1986-11-03 KR1019950002027B1 1995-03-08 한스-유르겐랑거; 페터레만
내용없음.
184 승객컨베이어의 제어장치 KR1019900011696 1990-07-31 KR1019930009961B1 1993-10-13 이와다아키오
내용 없음.
185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스트라이프 KR1020130168445 2013-12-31 KR101503479B1 2015-03-18 박창규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 스텝의 양측에 설치되는 스커트 가드의 안전 스트라이프에 관한 것으로, 브러쉬 하우징의 내부의 챤넬 삽입공의 측벽에 가이드 홈을 형성하고, 브러쉬의 고정 챤넬에 가이드 삽입부를 돌출성형하여 가이드 홈에 가이드 삽입부를 삽입시켜 브러쉬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고, 브러쉬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186 경량 조립형 디딤판 및 안전커버를 갖는 에스컬레이터 KR1020120024792 2012-03-12 KR1020130103848A 2013-09-25 배근한; 박원귀; 최동선; 안운형; 김창수; 강광식; 김병재; 최승웅; 류수정
PURPOSE: An escalator having lightweight prefabricated steps and safety covers is provided to prevent accidents by blocking gap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teps using a safety cover. CONSTITUTION: An escalator having lightweight prefabricated steps and safety covers comprises skeleton frames (10, 11), multiple lightweight prefabricated steps, covers, and safety covers. The lightweight prefabricated steps are assembled between the skeleton frames. The covers are made of a lightweight aluminum material and cover the tops and front surfaces of the steps. The safety covers are formed on the gap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teps in a fan shape and block the gaps.
187 스텝 플랜지 커버용 조정가능한 브래킷 KR1020117025557 2009-04-03 KR101237364B1 2013-02-28 예,케; 첸,얀잉; 리앙,지안
스텝 플랜지 커버들(54)과 승객 수송장치 프레임들(60) 사이의 연결부는, 적어도 2 이상의 방향으로 무빙 발판들(18) 또는 무빙 스커트(52)에 대한 스텝 플랜지 커버(54)의 위치를 변화시키도록 조정가능하다. 조정가능한 연결부(64)는, 예를 들어 심들을 이용하는 바와 같이 허술한 조정 기술들을 이용할 필요없이, 스텝 플랜지 커버(54)가 발판들(18) 또는 스커트(52)에 대해 정밀하게 위치되게 한다.
188 측면 안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 KR1020110071514 2011-07-19 KR101137189B1 2012-04-19 우탁
PURPOSE: A lateral safety device and an escalator with the same are provided to prevent accidents that a part of user's body or clothes is jammed in cracks between escalator stairs and a guardrail without changed design of the escalator. CONSTITUTION: A lateral safety device and an escalator with the same includes a lateral safety plate(100) and a safety plate rotating space part. The lateral safety plate is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stairs in a position adjacent to a vertical plate of the stairs and projected toward the front of the vertical plate into a triangle shape. The triangle shape of the lateral safety plate includes a base side which is extended in parallel with a tread plate of stair and a hypotenuse which is extended in predetermined angle to be met with the base side. The angle of the hypotenuse is practically same with the angle of an escalator inclined section. The safety plate rotating space part is projected upward to form an internal space in a part of a lifting plate tread board. The end of the lateral safety plate is not reached to the lifting plate tread board.
189 스텝 플랜지 커버용 조정가능한 브래킷 KR1020117025557 2009-04-03 KR1020120012969A 2012-02-13 예,케; 첸,얀잉; 리앙,지안
스텝 플랜지 커버들(54)과 승객 수송장치 프레임들(60) 사이의 연결부는, 적어도 2 이상의 방향으로 무빙 발판들(18) 또는 무빙 스커트(52)에 대한 스텝 플랜지 커버(54)의 위치를 변화시키도록 조정가능하다. 조정가능한 연결부(64)는, 예를 들어 심들을 이용하는 바와 같이 허술한 조정 기술들을 이용할 필요없이, 스텝 플랜지 커버(54)가 발판들(18) 또는 스커트(52)에 대해 정밀하게 위치되게 한다.
190 브러시형 데마케이션, 브러시형 데마케이션을 갖는 에스컬레이터 스텝 KR1020100018739 2010-03-02 KR101034179B1 2011-05-12 김동수
PURPOSE: A brush type demarcation and an escalator step having the same are provided to prevent trap of a user's body without an additional safety device. CONSTITUTION: An escalator comprises skirt guards, steps(110), and demarcation bodies. Each skirt guards are fixed in parallel under a handrail. Each step is provided between the skirt guards and moves between the top and bottom of the escalator to transport passengers. The demarcation bodies are formed in an L shape and provided on concaves formed on both sides of each step to contact the skirt guides and be flush with the top of a cleat of the step. A brush is inserted and fixed to a side of each demarcation body.
191 에스컬레이터의 안전장치 KR1020080122553 2008-12-04 KR1020100064123A 2010-06-14 니시야마히데키
PURPOSE: A safety device for an escalator is provided to accurately prevent objects from being jammed in a gap between a step surface and a riser surface through a prediction. CONSTITUTION: A safety device for an escalator comprises a step sensing unit(5), an object detecting unit(6), a safe boarding notification unit(7), and a safety controller(4). The step sensing unit is installed inside the skirt guard(14) of an escalator. The object detecting unit detects an object(11) adjacent to a riser surface of a step by engaging with the step sensing unit. The safe boarding notification unit informs an escalator user who has the object that it is safe to board the escalator.
192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장치 KR1020090066953 2009-07-22 KR1020100010913A 2010-02-02 츠타다히로유키; 히라이다카시; 히라이다카히데; 요시다고지; 이토유타카; 니시야마히데키; 히키치마사키
PURPOSE: A safety system for an escalator which senses an object using a proximity sensor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speed change of the escalator and to perform sensing without a lightproof type photo-electric device. CONSTITUTION: A proximity sensor(6) is formed skirt guard(2) of an escalator, corresponding to a mobile track of a stage and senses an object on the stage approaching to the skirt guard. A time series signal generating unit(8) creates the output of the proximity sensor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tage as the time series signal. An access detection unit(410) decides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the access object by detecting the difference of the time series signal. An alarming part(11) warns passengers on the escalator according to the access scanning result of the access detection unit.
193 근접 초음파인식 및 안전바 구동 멀티포스터 KR1020070013951 2007-02-09 KR1020080074609A 2008-08-13 배임한; 김홍규
A multi-post of an automatic operation escalator is provided to perform a preliminary operation without a sudden operation before driving an escalator by detecting outgoing/incoming people through a supersonic wave sensor and transmitting the detected information. A multi-post of an automatic operation escalator includes a transmission unit, a receiving unit, a control unit, an ultrasonic sensor(21), and a signal amplifier. The transmission unit transmits an infrared signal. The receiving unit receive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unit. The control unit controls an escalator in response to the received signal of the receiving unit. The ultrasonic sensor is installed on a front plane of the multi-post, transmits and determines a distance through a moving direction of outgoing/incoming people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ultrasonic wave. The signal amplifier amplifies an attenuated signal when the transmitted ultrasonic wave is reflected and returne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a distance of the outgoing/incoming people and switches on/off each of functions.
194 에스컬레이터의 계단 체인 위의 계단 부착물 KR1020037006506 2001-11-15 KR100831837B1 2008-05-28 하우어우베; 스투펠안드레아스; 마이어헬무트요트.,베.; 파고리차드엔.
An escalator system includes a protective flange assembly along edges of the steps having step flanges. In one example, a first step flange member is adjacent each edge of each step and moves with the step along the escalator path. The first panel member remains stationary relative to the step along the entire path. A second panel member is associated with a corresponding link in the drive chain and remains stationary relative to the link along the entire path of the escalator. The first panel members and second panel members cooperate to provide a continuous barrier along each edge of the steps along the escalator path.
195 계단 플랜지를 구비하는 에스컬레이터 KR1020037006507 2001-11-15 KR100827049B1 2008-05-02 호이어우베; 스투펠안드레아스; 오스터마이어외르크; 산세베로프랭크; 파고리차드엔.
에스컬레이터 시스템은 계단 플랜지를 갖는 계단의 에지를 따르는 보호 플랜지 조립체를 구비한다. 한 예에서, 제1 계단 플랜지 부재는 각각의 계단의 각각의 에지에 인접하며 에스컬레이터 경로를 따라 계단과 함께 이동한다. 제1 패널 부재는 전체 경로에 걸쳐 계단에 대해 정지 상태로 유지된다. 제2 패널 부재는 구동 체인의 대응 링크와 결합되며 에스컬레이터의 전체 경로에 걸쳐 링크에 대해 정지 상태로 유지된다. 제1 패널 부재 및 제2 패널 부재는 에스컬레이터 경로에 걸쳐 계단의 각각의 에지를 따라 연속적인 장벽을 제공하도록 협동한다. 에스컬레이터 시스템, 계단 플랜지, 제1 패널 부재, 제2 패널 부재, 링크, 구동 체인, 장벽
196 에스컬레이터의 계단 체인 위의 계단 부착물 KR1020037006506 2001-11-15 KR1020030051810A 2003-06-25 하우어우베; 스투펠안드레아스; 마이어헬무트요트.,베.; 파고리차드엔.
본 발명은 여러 개의 상호 연결된 계단들(4)로 구성된 무단의 계단 밴드(6)을 구비한 에스컬레이터(2)에 관한 것으로서, 계단(4)은 디딤 표면(16) 및 전면(18)을 포함하고 구동기에 의해 하부 및 상부 반환점(22) 주위에서 구동되는 각각의 측면 계단 체인(8)에 연결되고, 계단(4)은 계단 롤러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된 적어도 하나의 계단 롤러(3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계단(4)이 계단 체인(8)에 체결된 지점(32)이 계단(4)의 전면(18) 부근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97 用于载人传送带的快速固定装置 CN201320193560.4 2013-04-17 CN203439889U 2014-02-19 陆军; 苏燕娜; 姚明亮; 桂正东; B.杜邦
本实用新型涉及用于载人传送带的快速固定装置。具体而言,涉及一种用于安装到载人传送带侧面结构的基座内的固定槽体中的快速固定装置,该快速固定装置包括相互配合的连接件和卡扣组件,此连接件具有能够发生弹性形变的支脚,而卡扣具有与连接件的支脚形成配合的特征,该配合使得连接件和卡扣能够快速结合和分离。
198 自动扶梯系统 CN201621440333.7 2016-12-26 CN206486166U 2017-09-12 A.贾西拉; T.希尔沃宁
本实用新型涉及一种自动扶梯系统(1)。为了改进安全,自动扶梯系统被构造为响应来自于位于自动扶梯的第一端部(2)中的用户接口(11)的信号来驱动自动扶梯,以及响应于在自动扶梯的第二端部中的入口盖板(8)的打开的检测来停止自动扶梯的运动。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