序号 专利名 申请号 申请日 公开(公告)号 公开(公告)日 发明人
141 목받이가 구비된 유아복 KR1020110083844 2011-08-23 KR1020130021536A 2013-03-06 김주명
PURPOSE: A baby wear is provided to protect tender skin of an infant by equipping a neck bearing to the baby wear in advance. CONSTITUTION: A baby wear(1) is equipped with a neck bearing(2) at an upper part of a rear neck portion of the baby wear, such asa shoulder portion of the baby wear, by using fabric that is commonly used for an infant handkerchief. The fabric needs to have excellent sweat absorption and quick drying properties and maintaining a soft feeling even after repetitive laundry. The neck bearing is combined at a rear side of the baby wear by buttons, strings, or a Velcro. [Reference numerals] (AA) Finely stitched; (BB) Rear side
142 목걸이 일체형 옷버림방지용 네프킨 KR2020080009368 2008-07-15 KR2020100000744U 2010-01-25 조임호
본 고안은 주로 고급의 음식점이나 호텔의식당 또는 비행기 등에서 손님들이 식사를 할 때 옷에 음식물을 흘렸을 경우 옷을 버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나누어주는 턱받이용 네프킨에 관한 것으로서 목걸이 일체형 옷 버림 방지용 네프킨 이다 종래의 이러한 제품들은 제작상의 어려움이나 사용상의 불편으로 인하여 널리 보급되지못한 단점이 있었으나 본 고안에 따르면 이러한 문제점 들을 해결하여 제작이 더욱더 용이하고 사용이 간편한 네프킨 을 제공할 수 있다. 목걸이 일체형 옷 버림 방지용 네프킨. 옷 버림 방지용 네프킨. 턱밭이용 네프킨
143 유아용 턱받이 KR2020060024118 2006-09-07 KR200432893Y1 2006-12-07 전철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유아용 턱받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름철에 통기성이 우수하게 하여 유아들의 피부손상을 방지하며 보는 이의 시원함을 갖도록 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현재 유아용턱받이는 면으로 제조되어 그 이면에 코팅되어지거나 겹으로 제조됨으로 흘리는 침이나 음식물등으로 발생되는 의복의 손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이 충분한 흡수성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홑천일 경우에는 두꺼운 천을 사용하게 되거나 그 이면에 코팅을 하게 되고, 겹천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코팅을 하지 않게 되지만 두꺼운 형태를 갖게 되는 것이어서, 특히 여름철에는 땀띠의 유발이나 습에 의한 짓무름이 발생된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턱받이를 2중천으로 구성하고 상기 2중천이 서로 분리되어진 상태를 갖도록 하고 특히 기층의 천을 망사체로 형성토록 함으로서 통지성은 물론 디자인의 우수함을 갖도록 한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유아용.
144 유동식 흐름 방지 패드 KR2020030032525 2003-10-17 KR200338555Y1 2004-01-16 조창희
본 고안은 우유, 이유식, 물등과 같은 유동식을 아기에게 먹일때 유동식이 얼굴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패드에 관한 것으로, 젖꼭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아기의 얼굴에 올려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입가로 누유되는 우유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유동식 흐름 방지 패드를 제공하되, 패드의 고정을 위하여 상기 패드에 귀에 걸 수 있는 고리나, 목뒤로 묶을 수 있는 고리 혹은, 피부에 순간적으로 접착할 수 있는 접착부재등을 더 부착하거나, 우윳병의 젖꽂지 부분에 별도의 플랜지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플랜지에 패드를 접착재등의 부착수단에 의하여 부착함으로써, 입가로 흐르는 유동식을 패드가 흡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145 턱 받이 KR2020030030878 2003-09-30 KR200336944Y1 2003-12-31 홍형석
본 고안은 하단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유아, 또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침이나 음식물을 받아내기 위한 효율이 높아지도록 하고, 수거된 액상의 음식물 등이 외부로 배어나와 착용자의 신체와 옷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한 턱 받이에 관한 것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유아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 등의 착용자 목에 감겨 고정되기 위한 홀딩부가 받이본체의 상측에 형성되고, 그 하측으로 착용자의 입에서 흘러내린 침이나 음식물 등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부가 형성된 턱 받이에 있어서, 수거부는, 받이본체의 하측 전면에 음식물이 투입되는 수거창을 형성하고, 수거창이 상측으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고형의 보형물이 삽입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 받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형물은 합성수지 중 일정형태를 유지하는 연질의 실리콘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 받이를 제공한다.
146 1회용 턱받이 KR1020007011305 1999-04-14 KR100386999B1 2003-06-12 겁타어밋; 램프슨패트리샤리
A bib having an area surrounding a neck opening which is permanently elongated to provide extensibility and elasticity of the neck opening. The area surrounding the neck opening can include a strainable network. The network can be formed in a laminate of a paper layer and a plastic film layer. The strainable network can have at least two visually distinct regions. The strainable network can provide a flexible and comfortable fit of the bib against a wearer's neck.
147 유아용 턱받이 KR2020000014219 2000-05-19 KR200203950Y1 2000-11-15 주수덕
본 고안의 목적은 가슴부분을 커버하면서 바닥으로 떨어지는 않게 음식물 등을 모아 주어 처리하는데 간편하고 가슴부분에 묻은 음식물 등을 세탁하지 않고 간편히 제거하여 연속사용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턱받이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커버부(1)의 상부에 목에 끼울 수 있도록 상단이 개방되게 형성된 원형의 목끼움부(2) 한측에는 걸림돌기(4)를 갖는 걸고리(3)를 형성하고 타측은 걸고리(3)를 끼울 수 있는 끼움공(5)을 일체로 형성함과, 상기 커버부(1)의 하단부에 전방으로 받이부(6)를 일체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148 일회용 턱받이 KR1019997003684 1997-10-24 KR1020000052850A 2000-08-25 램프슨패트리시아리; 굽타아미트; 잭슨베벌리앤줄리안; 라인하르트리차드니콜라스이세; 루이스로버트드랜난; 아르니콜라스알버트
PURPOSE: A disposable bib is provided which is relatively flexible in order to enhance fit of the bib against the wearer's body and extensible along at least one axis, such as along the longitudinal or lateral axis of the bib. CONSTITUTION: At least one portion of a bib is permanently elongated such that the portion of the bib is stretched beyond its elastic limit. The bib comprises a strainable network. The strainable network includes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The first region undergoes a substantially molecular level deformation and the second region initially undergoes a substantially geometric deformation when the laminate is subjected to an applied elongation along at least one axis.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re visually distinct from one another. The second region can include a plurality of rib like elements. The bib can comprise a laminate of a first layer and a second layer. The laminate comprises a first tissue paper layer and second body facing layer. The second body facing layer can comprise a liquid impervious polymeric film.
149 패드를 사용하고 끈 조절이 가능한 방수용 턱받이 KR2020000002294 2000-01-27 KR200189066Y1 2000-07-15 신계순
본 고안은 방수용 턱받이에 패드를 교체할 수 있도록 부착하여 침이 흘러내리면 방수용 턱받이의 침 모음 주머니에 침이 모이게 되고 모임 침은 패드에 흡수되게 하여 패드를 교체함으로서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턱받이를 사용할 수 있고 끈조절이 가능한 턱받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턱받이를 침이 흡수되지 않고 흘러내릴 수 있도록 비닐류를 사용하여 턱받이를 브레이져 모양으로 만든다. 아이가 침이 흘리면 흘린 침이 모일 수 있도록 주머니 모양으로 만들어 주머니 속에 패드를 부착하여 넣어 둔다. 이렇게 하면 흘리는 모든 침은 패드에 흡수되어 패드만 새로 교체하면 많은 양의 침이라도 패드만 교체하면 되므로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턱받이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수용 턱받이에 패드를 교체할 수 있도록 장착하면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턱받이를 사용할 수 있고 끈 조절이 가능한 턱받이에 관한 것이다.
150 턱받이 KR2019990026536 1999-11-30 KR200182001Y1 2000-05-15 오성희
본 고안은 유아 및 어린이 등의 턱받이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상체 앞면과 뒷면을 모두 카바하는 면적의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과, 상기 구멍 둘레에서 상부로 연장된 목둘레부로 구성되며, 상기 받침부(15)의 일부에는 수건(17)이 더 부착된다. 이것에 의해서, 유아, 어린이, 환자, 장애자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식사, 세면, 이발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겨울철에는 목둘레부를 두터운 것을 사용하여 보온의 효과를 주며, 끈이 없으므로 받침부가 이탈되는 일이 없는 효과가 있다.
151 턱받이 구조 KR2019990024970 1999-11-15 KR200179009Y1 2000-04-15 황천섭
본 고안은 유아나 환자들에게 사용되는 턱받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회용으로 사용가능하고, 용이한 착용이 가능하도록 된 턱받이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턱받이 구조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연결된 착용수단으로 이루어진 턱받이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종이나 펄프재로 형성되고, 착용수단이 합성수지재 탄성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152 SHOULDER BIB WITH REMOVABLE PAD PCT/US2014054162 2014-09-04 WO2015035100A3 2015-06-18 MARCUM KARMEN; CONNER MYSTERIE
A reversible infant caregiver's bib having a reversible burp cloth affixed to a shoulder pad. The shoulder pad is designed with a moisture barrier to prevent regurgitated food from leaking through the pad and thus avoiding soiling or staining events to the wearer's clothing.
153 BIB GAR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PCT/US2013057493 2013-08-30 WO2014039382A9 2014-05-08 HENNESSEY SEAN
A bib garment adapted to resist removal from a front torso of a wear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garment is disclosed. The garment includes a front panel covering the front torso of an infant, and an optional "crumb catcher" protruding from the front panel to protect the infant's clothing from soiling by liquid and solid food falling from the infant's mouth. The garment is anchored to the infant by straps and anchor arrangements. Fastener arrangements inaccessible to the infant are provided for fastening the garment to the infant. Thus, the garment is configured to resist removal by the infant while being fed, even when the infant repeatedly pulls or tugs on the garment. An embodiment of the garment for adults, such as an adult suffering from dementia who may attempt to remove the garment, allows feeding without soiling the adult's clothing and resists removal by the adult.
154 CHILD'S BIB WITH FIRST-AID INSTRUCTIONS PCT/US2010029568 2010-04-01 WO2010114965A2 2010-10-07 HERMANN LUKE; SUMMERS-HERMANN TARA
A safety bib printed with instructions for first-aid procedures.
155 BABY BIB WITH PROTECTIVE NECKLINE PCT/US2007013091 2007-06-01 WO2007143180A3 2008-08-21 KELLY SHEA
A baby bib with a protective neckline is disclosed. The bib protects the baby's clothes and skin from spilled food. A protective neck strap scrunches under a child's neck to ensure that the neckline is adequately covered and protected from food and liquid spilled or drooled out of a baby's mouth when feeding. Back straps secure the bib to the torso of the baby. The bib is removed without moving or disturbing the baby. The bib is constructed from either waterproof and washable materials or disposable materials. Other features include various accessories such as pockets and tear-off attachments and a fastening system.
156 PROTECTIVE BIB OR APRON PCT/GB2005000301 2005-01-28 WO2005072541A3 2005-12-15 BLOOM CLAUDINE NICOLA; BLOOM DAVID RICHARD
An apron for use by dentists and the like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portion and a collar portion for securing the apron to the wearer in which the collar portion is adjustably securable at any position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such that it forms a close fit around the wearer wherein the collar and body portions comprise an absorbent side and a substantially waterproof.
157 TEAR RESISTANT DISPOSABLE BIB TEAR RESISTANT DISPOSABLE BIB PCT/US9600217 1996-01-05 WO9620613A3 1996-09-19 REINHART RICHARD NICHOLAS J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ib (20) having a filamentary network (60) disposed between a paper topsheet (40) and a plastic film backsheet (80). The filamentary network (60) can comprise a polymeric net having openings sized to prevent tearing of portions of the topsheet or backsheet from the bib. In one embodiment the filamentary network can comprise a nylon net having openings with a maximum width less than about 0.25 cm.
158 Zippy Coverall Bib US15214407 2016-07-19 US20180020743A1 2018-01-25 Rachel Moore
An apparatus formed or constructed from a stain resistant fabric or material to be worn as a full body bib that covers individuals of various sizes. The apparatus has an opening at the top to form a neck strap and an opening at the bottom portion to form legs. The neck portion has a closure and the leg portion is formed by an enclosed zipper. The leg portion is constructed with leg straps to secure the bib legs to the individual's legs. A fictitious pocket is attached at the top of the zipper edge.
159 FACE AND CHIN GUARD FOR INFANTS US15045870 2016-02-17 US20170231297A1 2017-08-17 Rosemary German
A face and chin guard device includes a soft and absorbent main body having a shape and size that is suitable for extending across the face of a wearer. A pair of straps extend outward from the sides of the main body and can be fixed length, adjustable or elastic in nature. A central indentation is provided along the main body and can be adjustable in nature. The device also includes a central aperture along the main body, and a wire disposed along the indentation for allowing movement only along a single plane. The main body also includes decorative elements.
160 COLOR-CODED ACCESSORIES INDICATING A MEDICAL DIAGNOSIS OF A PATIENT AND ENHANCING PATIENT SAFETY US15159090 2016-05-19 US20170172236A1 2017-06-22 Rhonda Shakir-Fergus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color-coded accessories such as wristbands, bibs, and other patient wearables, color-coded pillows and pillow cases, and a universal chart wherein the color code is associated with a specific medical diagnosis. These accessories alert healthcare providers to the medical diagnosis of the patient and enhance patient safety by reducing medical errors during administration of treatments and medicines to the patients. These accessories also provide protection to healthcare providers assisting them to identify diagnostic categories and alerting them to take proper precautions with patients, for example those with infectious diseases, thereby decreasing or preventing transmission of infectious diseases.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