序号 专利名 申请号 申请日 公开(公告)号 公开(公告)日 发明人
121 유아용침받이 KR1020150035013 2015-03-13 KR1020160109849A 2016-09-21 최기한
침받이외부와내부에수납형공간을이용하여내용물인수건등을쉽게넣거나빼서사용함.
122 기능성 목밴드 KR2020120006393 2012-07-18 KR2020140000601U 2014-01-28 김홍기
본 고안은 직물성 목밴드에 탈부착이 가능한 방수턱받이가 구비되어, 인체 중요부인 목 부분을 감싸는 보온 효과와 더불어 탈부착 가능한 부분 방수턱받이의 구비로 침(타액) 또는 음식물 등의 오염으로부터 턱받이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유아용 기능성 목백드에 관한 것이다.
123 다용도 유아용 손수건 KR1020120044056 2012-04-26 KR1020130120854A 2013-11-05 박선순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handkerchief for a baby, more specifically, to a multi-purpose handkerchief for a baby, which be easily adjusted in width and length, prevents a baby from being chocked, and prevent from being easily loosened.
124 비상시 턱받이로 쓸 수 있는 애기들 목걸이 KR2020080012333 2008-09-11 KR2020100003160U 2010-03-19 김선형
휴대용 턱 받이로 쓸 수 있는 애기들 목걸이 띠로 애기들 목걸이를 만들고 거기에 집게를 달아주면 비상시 신문지나 손수건을 부착해서 애기들이 음식물을 먹을 때 턱받이로 쓸 수 있다.
125 턱받이 KR2020080009400 2008-07-15 KR2020100000771U 2010-01-25 김영만
본 고안은 식사할 때에 사용하는 턱받이로서, 목 부위에 개구부를 가진 환 스프링을 천으로 감싸 목걸이 띠를 형성하고, 허리부위에 박음질을 하여서 턱받이의 무릅 부분이 몸체와 "ㄴ" 형으로 잘 덮혀 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 것으로서, 식탁에서 사용시 목걸이 띠 부위를 약간 벌려서 간단히 목에 걸 수 있고 벗을 수 있는 것으로서, 끈으로 매듭지어서 목에 걸치는 불편함이 없이 간단한 동작만으로 턱받이를 착용할 수 있는 매우 유익한 효과를 지닌 것이다. 턱받이, 환 스프링, 스프링 통로, 목걸이, 박음질
126 유아용 턱받이 KR1020070073735 2007-07-23 KR100846187B1 2008-07-14 한완석
A bib for an infant is provided to allow the infant to move his/her neck naturally and prevent the neck from sinking down or inclining to right and left sides. A bib for an infant comprises: a breast apron(3) which receives milk, saliva/the matter vomited, or nasal mucus; a couple of male snaps(5) which are formed at the end part of one side of the breast apron; a female snap(6) which is formed at the end part of the other side of the breast apron and fastened to the male snap; and a neck protecting member(10) which is filled with an elastic body and sewn to the hem of the neck side of the breast apron to comfortably support an infant's neck when he/she falls asleep or moves.
127 간이용 턱받이 KR1020030082458 2003-11-20 KR1020050048756A 2005-05-25 신석균
본 발명은 간이용 턱받이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지류를 이용하여 다량으로 제작될 수 있으면서 턱받이 기능을 효과적이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식을 먹을 때 앞가림할 만한 크기의 쉬트상 본체(1) 상부에는 인체의 목을 걸 수 있도록 형성한 목걸이공(3)과, 본체(1)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한 길이로 절취선으로 구획시킨 절취선부(5)와, 이것과 함께 본체(1)의 목걸이공(3) 부위로부터 띠 형상으로 뜯어서 허리걸이 매기위한 절편부(2)가 구비되어져 있는 턱받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간단한 제작 방법으로 1회용이며 간이용으로 쓸 수 있는 턱받이를 제공할 수 있다.
128 1회용 턱받이 KR1020007011303 1999-04-14 KR100386998B1 2003-06-12 겁타어밋; 램프슨패트리샤리; 리커카렌
A bib having an area on each shoulder extension which is permanently elongated to provide extensibility and elasticity which minimizes distortion of the bib body as the shoulder extensions are fastened around a wearer's neck. The area on each shoulder extension can include a strainable network. The network can be formed in a laminate of a paper layer and a plastic film layer. The strainable network can have at least two visually distinct regions.
129 오목한 측면 에지를 갖는 일회용 턱받이 KR1019997003268 1997-09-22 KR100326210B1 2002-03-08 잭슨베벌리안쥴리안
본발명은대체로종방향으로대칭이며횡방향으로비대칭인목 개방부, 및오목한측면에지를갖는턱받이를제공한다. 대체로평면인목 개방부는눈물방울형태일수 있다. 오목한측면에지는착용자팔의움직임을수용한다. 턱받이는허리고정부재를포함할수도있다.
130 유아용 턱받이 KR2020000002980 2000-02-03 KR200192229Y1 2000-08-16 최기영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유연성을 가진 플라스틱 시트상에 유아들이 먹다가 흘리거나 엎질러진 음식물을 수용하면서 유아의 목에 손쉽게 고정할 수 있는 체결수단을 갖는 턱받이에 관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에는 흡수력이 뛰어난 거즈 또는 방수시트로 턱받이를 구성하여 목 밴드와 허리밴드로 턱받이를 착용토록 한 것으로, 전자의 거즈는 액체에 의하여 옷까지 젖는 폐단이 발생하고, 후자의 방수 시트는 손쉽게 찢어지는 단점과 엎질러진 음식물이 그대로 흘러내리는 문제점에 따라 옷이 젖는 문제점이 있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플라스틱 시트로 된 턱받이 몸체(2)의 하부에는 엎질러진 액체를 담기 위한 수용부(4)를 몸체(2)의 상부에는 한 쌍의 어깨 연장부(6)를 연설하여 이의 사이에 턱받이를 유아의 목에 착용하기 위한 개구부(8)를 개재하고, 상기 어깨 연장부(6)의 양단에는 턱받이의 착용을 위한 체결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유아용 턱받이.
131 유아용턱받이 KR2019990014787 1999-07-23 KR200165201Y1 2000-02-15 김범식
본 고안은 유야용 턱받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용 턱받이의 결속부에 착탈이 용이한 구조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턱받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유아용 턱받이에 있어서, 유아용 턱받이(1), 목 고정부(2), 목 결착부(3)로 이루어지되 상기 목결착부(3)는 결착이 자유롭게 될 수 있는 매직테이프(4)가 부착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턱받이이다.
132 유아용 턱받이 KR1019990031263 1999-07-30 KR1019990073616A 1999-10-05 장영경
본발명은턱받이에관한것으로더욱상세하게는, 타액이나콧물등의오물과음식물을많이흘리는유아들의가슴부분에착용시켜서유아의신체나옷 등을오물과흘린음식물로부터보호하기위한유아용턱받이에관한것이다. 이를위하여본 발명은, 유아용턱받이(10)에있어서, 상기턱받이(10)의전면에는단추(14)나매직테이프(15) 등의착탈수단을이용하여보조턱받이(20)를착탈자유롭게부착할수 있도록구성된것을특징으로한다.
133 자기 부착성을 가진 보호시트 KR1019890701616 1989-01-05 KR1019960002649B1 1996-02-24 오카미쯔코; 오쿠무라요시하루
내용 없음.
134 턱받기 KR1019820000097 1982-01-12 KR1019830008532A 1983-12-10 마타이.보릭-2
내용없음
135 1회용 침받이 KR1020170068579 2017-06-01 KR101906874B1 2018-10-11 이상욱
침받이는침을흡수하는재질의본체, 본체를사용자의목에걸 수있도록구성된걸이부, 및본체의내부에충진되어본체에스며든침을흡수하는 SAP(Super Absorbent Polymer)을구비한다. SAP 은본체내에서상하방향으로층을이루도록배치되어, 어느한 층내의 SAP 에침이충진된후 흘러넘쳐그 하부층 내의 SAP 에유입되도록구성된다. 본체의외면에는침의흡수에의해변색되는변색부가부착되어있다. SAP 의배치형태에의하여장시간본체의변형이최소화된상태로침받이의사용이가능하고, 침받이의교체시기를변색부의변색범위변화를통해인식할수 있다.
136 공갈 젖꼭지가 탈부착되는 턱받이 KR1020170067186 2017-05-30 KR101815883B1 2018-03-23 최성현
본발명은아기가물고있던공갈젖꼭지가입에서빠지더라도바닥에떨어지지않으므로공갈젖꼭지를바로다시물릴수 있으며, 필요에따라공갈젖꼭지를분리하여사용하는것도가능한새로운구성의공갈젖꼭지가탈부착되는턱받이에관한것이다. 본발명에따르면, 아기의목에걸 수있도록상단부양측에결속수단(110)이구비되며, 상단부전면중앙에는연결고리(120)가구비된턱받이본체(100); 상단부가상기연결고리(120)에탈부착가능하게연결되는연결스트랩(200); 상기연결스트랩(200)의하단부에구비되는공갈젖꼭지(300);를포함하는것을특징으로하는공갈젖꼭지가탈부착되는턱받이가제공된다.
137 보호자 및 영유아 겸용 신생아 머리보호 패드 KR1020160053506 2016-04-29 KR101779956B1 2017-09-19 김은이
본발명은전면부패드및 후면부패드를다양한종류의결속부재를통해결합가능하도록함으로써종래의벨크로결합방식이가지는다양한위생적문제점들을근본적으로배제시킬수 있으며특히, 보다면적이넓은전면부패드를턱받이로서변형하여활용할수도있고, 보다면적이좁은후면부패드를스카프로서변형하여활용할수 있는범용성이뛰어난보호자및 영유아겸용신생아머리보호패드에관한것이다.
138 턱받이 구조 KR2020140002597 2014-03-31 KR2020150003682U 2015-10-08 팡-칭루
본고안의턱받이구조는, 수용홈이오목하게설치되고위에서아래로의테이퍼형(Tapered shape)을가지는경사부및 받이부를포함하는트레이와, 자유단이외부로만곡되어제1파지단을형성하고자유단과상이한다른일단은상기트레이의일측에연결되는제1목걸이부, 및자유단이외부로만곡되어제2파지단을형성하고자유단과상이한다른일단은상기트레이의다른일측에연결되는제2목걸이부를포함하고, 상기제1목걸이부, 제2목걸이부및 상기트레이는둘러싸여걸이공간을형성하고, 상기걸이공간은상기트레이와마주하는위치에걸이입구가구비된다. 상기턱받이구조는열가소성고무(TPR) 등끈적함이없고세척하기쉬우며독성이없는재질로제조되는것으로서, 식사후 정리에따른작업부하를대폭경감할수 있고, 상기턱받이구조는어린이의목 부위에직접걸칠수 있어사용상아주편리하다.
139 유아용 상의 KR2020140002147 2014-03-18 KR200474078Y1 2014-08-21 황창규
본 고안은 다양한 용도 및 디자인의 옷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유아용 상의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상의는, 상의 본체: 상기 상의 본체에 적어도 둘 이상이 상호 이격해서 설치된 제1탈부착수단; 및 상기 제1탈부착수단과 결합 또는 분해를 위한 제2탈부착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제1탈부착수단과 제2탈부착수단의 결합 또는 분해에 의해 다양한 용도에 맞게 상기 상의 본체에 부착 및 탈착되는 부착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140 어깨걸침용 아기 침받이 KR2020140001574 2014-02-28 KR200473437Y1 2014-07-03 조민희
본 고안은 어깨받침용 아기 침받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호자의 가슴을 받치는 가슴받침단(11)과, 가슴받침단(11)과 연결되어 보호자의 양 어깨까지 연장된 한쌍의 어깨받침단(12)(12')과, 한쌍의 어깨받침단(12)(12')에 연결되어 보호자의 목을 감싼 후 등까지 연장되는 한쌍의 등받침단(13)(13')을 포함한다. 이때 가슴받침단(11), 어깨받침단(12)(12') 및 등받침단(13)(13')은 상호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절개된 도너츠 형상을 이룬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