序号 专利名 申请号 申请日 公开(公告)号 公开(公告)日 发明人
81 Latch US3466225 1925-06-03 US1570497A 1926-01-19 JONES WILLIAM E
82 Door-stop. US1908435237 1908-05-27 US911423A 1909-02-02 MELVILL FREDRICK DANIEL
83 Gate-latch. US1907373416 1907-05-13 US866766A 1907-09-24 AUSTAD CARL J
84 Combined door holder and buffer. US1905257444 1905-04-26 US807401A 1905-12-12 ROSS JOSEPH A
85 Sash-fastener US513882D US513882A 1894-01-30
86 rosenthal US258127D US258127A 1882-05-16
87 Samuel b US225580D US225580A 1880-03-16
88 Improvement in gate-latches US192889D US192889A 1877-07-10
89 Improved gate-latch US70794D US70794A 1867-11-12
90 창문용 개폐장치의 수동개폐구조 KR1020130074882 2013-06-27 KR1020150009627A 2015-01-27 최창원
본 발명에 의한 창문용 개폐장치의 수동개폐구조는 모터의 동력으로 창문을 동력 개폐하는 동력개폐장치에서,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구동축과 종동축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창문용 개폐장치의 수동개폐구조에 있어서,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구동축에 설치되는 회전부재, 내부면에 제1치형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부재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1클러치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선단부와 다수의 제1클러치부재의 후단부를 각각 결합하는 다수의 볼트, 상기 볼트에 각각 개재되어 다수의 제1클러치부재의 후단부를 각각 탄성 지지하는 다수의 탄성부재, 그리고 외부둘레면에 다수의 종동클러치치형을 구비하여 다수의 제1클러치부재의 제1치형에 치합되어 다수의 제1클러치부재와 스플라인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구동축과 일직선 상에 배치되는 종동축의 단부에 설치되는 종동클러치부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동 개폐 작동으로 인하여 클러치 구조의 마모가 발생되더라도 제1클러치부재의 제1치형과 종동클러치부재의 종동클러치치형이 스플라인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클러치 구조의 결합력이 심각하게 저하되지 않아 창문의 동력 개폐를 원활하게 하면서도 창문을 수동으로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으며, 클러치 구조의 심각한 결합력 저하가 발생되더라도 볼트를 죄어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용이하게 강화할 수 있어 제1클러치부재와 종동클러치부재를 오랫동안 교체할 필요가 없게 된다.
91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KR2020120006221 2012-07-13 KR2020140000485U 2014-01-22 이판대
본 고안은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창틀프레임이 좁은 중소형 미닫이 창문에도 쉽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슬림(slim)하면서도 내부 구성을 간소화 하여 제조단가 절감 및 작동 안전성과 고장의 염려를 일소할 수 있도록 한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창틀프레임(2)에 고정되는 스트라이크(3)와, 창문프레임(4)에 고정되는 훅 조립체(5)로 대분되며 창문프레임(4)에 고정 설치된 핸들(6)에 결합된 사각축(7)을 결합하여 작동되도록 한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1)에 있어서;
상기 훅 조립체(5)는 창문프레임(4)에 고정되며, 일측이 개방되어 커버(52)에 의해 밀폐되는 본체(51)와; 상기 본체(51)에 스트라이크(3) 쪽으로 형성되며 상측에 작동구멍(51b)이 개구된 훅 작동공(51a)내에 제1스프링(55)으로 탄력 지지되게 설치하는 훅(56)과; 상기 훅 작동공(51a)의 옆으로 형성된 회동체 내입공(51c)에 설치되며, 상기 핸들(6)에 일체 형성된 사각축(7)이 조립되도록 중앙에 사각구멍(57a)을 형성하고, 훅(56)에 형성된 걸림작동공(56a)에 내입되는 작동간(57b)을 일체 형성한 회동체(57)와; 상기 훅(56)의 상부 후방으로 훅(56)과 직각되도록 형성한 스토퍼 조립공(51d) 내에 제2스프링(58)으로 탄력 지지되게 설치하는 스토퍼(59)로 구성한 것이다.
92 창문 개폐장치용 손잡이 모듈 KR1020110077418 2011-08-03 KR1020130015431A 2013-02-14 김광태
PURPOSE: A handle module for an automatic window open/close device is provided to simultaneously implement a handle function for providing manual force to a window according to a manual open/close operation; and a fixing function for fixing the connecting end of an actuator, thereby conveniently fixing the connecting end to the window without damage. CONSTITUTION: A handle module(100) for an automatic window open/close device(1) includes a fixing bracket(110) and a hinge pin(120). The fixing bracket is integrated with a handle(111). The hinge pin penetrates the connecting end(23a) of an actuator(20) so that the actuator is hinged at the fixing bracket.
93 도어의 개폐작용력 조절이 가능한 승강장 스크린 도어의구동장치 KR1020080023891 2008-03-14 KR100867735B1 2008-11-10 김병문
A drive unit of a platform screen door, capable of adjusting the operation power is provided to prevent accident generated in open and close operation of the screen door and to prevent the power transmission from being badly affected. A drive unit of a platform screen door, capable of adjusting the operation power comprises as the follows. A wall part is consists of a pair of wall part arranged laterally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ncludes a door part and a driving part in the wall part. The door part includes a guide rod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and reciprocates into/from the wall part with sliding. The driving part supplies and transmits the power for sliding the door. A guide rod supporting part, in which through-hole is formed, is formed on the inside top and bottom part of the wall frame. The driving part includes a drive motor(310) generating the power, a power transmission(320) transmitting the power from the driving motor, a frictional force adjustment pulley, a rotational pulley, a roller maintaining tens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The frictional force adjustment pulley only rotates in case the external force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94 상태 표시기를 갖는 래치 기구 KR1020187028726 2017-03-03 KR1020180118769A 2018-10-31
하우징, 캡, 및적어도하나의표시기를포함하는래치기구가제공된다. 캡은중심축을포함할수 있고그리고래치결합된포지션과래치결합해제된포지션사이에중심축을중심으로하우징에대해선택적인회전움직임을위해장착될수 있다. 적어도하나의표시기는캡과하우징사이에끼워넣어질수 있어, 캡은적어도하나의표시기의적어도일부분에대해덮는관계이다. 적어도하나의표시기는또한, 캡이래치결합된포지션으로부터래치결합해제된포지션으로회전됨에따라, 캡이적어도하나의표시기의부분에대해더 이상덮는관계가아니도록, 캡에대해중심축으로부터바깥쪽으로반경방향움직임을위해장착될수 있다.
95 라운드형 마운트를 가진 크리센트 설치용 지그 KR1020140114197 2014-08-28 KR1020160026176A 2016-03-09 강재화
본발명은라운드형마운트를가진크리센트설치용지그에관한것이다. 구성의특징으로는, 마운트(2a)의곡면과같은곡면을가지는밀착곡면(11)과, 상기밀착곡면(11) 후방양측에돌출형성되어창짝프레임의모서리면에밀착되면마운트(2a)가어느한쪽으로기울지않고정확한장착위치를설정할수 있도록유도하는한쌍의걸림턱(14'), 상기밀착곡면(11) 양단내측에내향돌출되어마운트(2a)의외주면양측에형성되어있는요부(21)에끼워지게한 위치설정돌부(12)와, 상기위치설정돌부(12)를마운트(2a)의요부(21)에손쉽게착탈시킬수 있도록제어하는탄성바(13)로이루어짐을특징으로한다. 이와같이구성된본 발명은창짝프레임(F)에라운드형의마운트(2a)를가진크리센트(200)를장착할때, 지그(100)에의해매우신속정확하게장착할수 있어장착에따른인력과시간을크게절감할수 있고, 또장착후에는지그(100)를분해하면되므로지그(100)의재사용및 재활용이가능하며, 마운트(2a)의외주면을다양한라운드형태로제조할수 있어크리센트의고급화와상품성극대화에기여할수 있는등의많은효과가따른다.
96 Safety Locking device For Fly net KR20150050459 2015-04-09 KR101549215B1 2015-09-03 KIM SUNG JIN
본 발명은 방충망용 안전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성이 간단하고, 기존 설치되어 있는 창틀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면서도 외관성이 우수하며, 외부에서 강제 개방이 불가능하여 외부침입을 방지할 수 있고, 키 타입의 잠금쇠가 부가되어 유아들이 임의로 개방하여 고층에서 추락하는 등의 위험요소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등의 기능성을 동시에 제공하는 방충망용 안전잠금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창문틀의 측면에 피스로 고정되며 창문틀 쪽으로 개방되는 작동공간이 형성되고, 방충망 쪽으로 가이드슬롯이 형성된 바디프레임과; 상기 가이드슬롯에 슬라이드되도록 결합되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훅이 결합된 훅 작동판과; 상기 바디프레임의 전면에 노출되도록 형성한 제1작동장공 및 제1작동장공과 직각으로 가이드슬롯 바닥에 형성한 제2작동장공과; 제2작동장공으로 끼워져 작동공간 내에 위치하면서 제1작동장공으로 노출되도록 훅 작동판에 직각으로 고정한 작동핀과; 상기 제1작동장공을 밀폐하도록 바디프레임에 피스로 고정하는 스탠드와; 상기 바디프레임쪽으로 개방되도록 스탠드에 형성한 설치공간에 설치되어 스탠드 전면에 노출된 핸들에 의해 회동하는 회전체 및 피니언과; 상기 회전체에 90도 방향으로 형성된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도록 설치공간상에 형성된 스토퍼 결합홈에 결합되며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강구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스토퍼와; 상기 바디프레임에 형성된 제1작동장공으로 노출되는 작동핀이 끼워지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작동구가 전방으로 돌출되며 피니언의 상부를 밀폐하는 승강대판 및 피니언에 결합되도록 작동구와 반대쪽으로 승강대판에 형성한 랙과; 상기 승강대판의 상측과 바디프레임 사이에 위치되며 작동구가 끼워지는 슬립장공이 형성된 슬립판과; 상기 훅 작동판에 결합되는 훅이 내입되어 걸림되도록 방충망프레임에 형성한 스트라이크홈을 포함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97 가전제품의 도어를 위한 도어록 장치 KR1020147021844 2013-02-15 KR1020140138619A 2014-12-04 프로무티코,파브리지오; 오씨아,에밀리아노
본 발명은, 구속 돌출부(50)를 가진 가전제품의 도어를 위한 도어록 장치(1)에 관한 것이고, 기계적 유닛(40)을 포함하고, 상기 기계적 유닛이 상기 도어가 개방될 때 상기 구속 돌출부(50)로부터 분리되는 분리 위치 및 상기 도어가 밀폐될 때 상기 구속 돌출부(50)와 연결되는 연결위치를 가지기 위해 피봇회전되고 캠(412)을 가진 구속 후크(41)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R)에 대해 피봇회전되고 상기 구속 후크(40)의 캠(412)과 상호작용하는 접촉 표면(422)을 가지는 레버(42)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50)로부터 분리된 분리위치에서 레버가 상기 구속후크(41)를 고정하는 제 1 위치 및 상기 돌출부(50)와 연결되는 연결위치에 레버가 상기 구속후크(41)를 고정하는 제 2 위치를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접촉 표면(422)이 형성되며, 상기 레버(42)의 상기 접촉 표면(422)을 상기 � ��속후크(41)의 캠(412)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레버(42)에 하중을 가하도록 배열된 가압수단(43)을 포함한다.
98 자동차의 도어핸들 장치 KR1020130157191 2013-12-17 KR1020140080424A 2014-06-30 게르버하랄트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otive door handle device (4) which is installed on a door external surface (1) of an automobile and is equipped with a door handle (5) and a cover element (9). The door handle is mounted to be pivoted on a door (2) in a region of a first handle end (6) and includes an operation protrusion part (8) which protrudes towards the inner space of the door (2) and operates a door lock when the door handle (5) is pivoted in order to be moved away from the door (2) by a second handle end (7) in a region of the second handle end (7) opposite to the first hand end (6). The cover element is installed on the door (2) in a region of the door external surface (1) of the door (2) in order to be adjacent to the second handle end (7). In the automotive door handle device, the door handle (5) and the cover element (9) include interaction guides (14, 15) for guiding the door handle (5) about the cover element (9) when the door handle (5) is pivoted in order to operate the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handle device assures excellent tilting stability and guidance of the door handle (5) during operation of the door handle (5), especially during pivoting of the door handle (5) for operating the door lock.
99 DOOR-LOCK DEVICE FOR A DOOR OF A HOUSEHOLD APPLIANCE PCT/IT2013000050 2013-02-15 WO2013124873A8 2013-10-31 PROMUTICO FABRIZIO; COCCIA EMILIANO
The present invention concerns a door-lock device (1) for a door of a household appliance, said door being provided with a locking prong (50), said door-lock device (1) comprising a mechanical unit (40) comprising a locking hook (41) provided with a cam (412) and pivoted so as to rotate in order to assume a disengagement position from said locking prong (50), when said door is open, and an engagement position with said closing prong (50), when said door is closed, a lever (42), pivoted so as to rotate with respect to an rotation axis (R) and provided with a contact surface (422) interacting with said cam (412) of said locking hook (40), said contact surface (422) being shaped in such a way that said lever (42) is capable of assuming a first position, in which it holds said locking hook (41) in said disengagement position from said prong (50), and a second position, in which it holds said locking hook (41 ) in said engagement position with said prong (50), and pushing means (43) arranged to exert a force on said lever (42) to maintain said contact surface (422) of said lever (42) in contact with said cam (412) of said locking hook (41).
100 DOOR-LOCK DEVICE FOR A DOOR OF A HOUSEHOLD APPLIANCE PCT/IT2013000050 2013-02-15 WO2013124873A2 2013-08-29 PROMUTICO FABRIZIO; OCCIA EMILIANO
The present invention concerns a door-lock device (1) for a door of a household appliance, said door being provided with a locking prong (50), said door-lock device (1) comprising a mechanical unit (40) comprising a locking hook (41) provided with a cam (412) and pivoted so as to rotate in order to assume a disengagement position from said locking prong (50), when said door is open, and an engagement position with said closing prong (50), when said door is closed, a lever (42), pivoted so as to rotate with respect to an rotation axis (R) and provided with a contact surface (422) interacting with said cam (412) of said locking hook (40), said contact surface (422) being shaped in such a way that said lever (42) is capable of assuming a first position, in which it holds said locking hook (41) in said disengagement position from said prong (50), and a second position, in which it holds said locking hook (41 ) in said engagement position with said prong (50), and pushing means (43) arranged to exert a force on said lever (42) to maintain said contact surface (422) of said lever (42) in contact with said cam (412) of said locking hook (41).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