序号 专利名 申请号 申请日 公开(公告)号 公开(公告)日 发明人
81 Verfahren zur Flüssigkeitsbehandlung von Textilmaterial EP87103274.4 1987-03-07 EP0237893A1 1987-09-23 Magin, Berthold, Dipl.-Ing.(FH)

Zur Behandlung von textilem Material, insbesondere mit kapillaraktiven Eigenschaften, beispielsweise in Form von Garnspulen (16), werden diese in ein Behandlungsgefäß (1) eingesetzt, in dem sich eine erwärmte Flüssigkeit befindet, in der Chemikalien gelöst sind. Mit Hilfe einer Vakuumpumpe (11), die über ein Zwischengefäß (9), einen Flüssigkeitsabscheider (3), Rohrleitungen (2, 6) und Ventile (2ʹ, 6ʹ, 4, 5 ) angeschlossen ist, wird im Behandlungsgefäß (1) ein solcher Unterdruck erzeugt, daß die Flüssigkeit stark kocht. Gleichzeitig wird über ein Ventil (13) Gas, beispielsweise Stickstoff, Luft oder Sauerstoff, in die Flüssigkeit eingeleitet, worauf sich das gesamte Flüssigkeitsvolumen in einen feinporigen Schaum verwandelt. An einen solchen Vakuumbehandlungsabschnitt schließt sich ein Zwischenbehandlungsabschnitt an. Hierbei wird das Gasventil (13) geschlossen und die Flüssigkeit mit Hilfe einer Umwälzpumpe (12) wie bekannt umgepumpt. Dabei wird die Flüssigkeit wieder aufgeheizt und das Vakuum wieder aufgebaut.

82 Method of activating down and fiber materials EP85304653.0 1985-06-28 EP0197215A1 1986-10-15 Iwata, Takuzo

A method of activating down and fiber materials where there are disposed a plurality of nozzles for ionized air and nozzles for normal air alternately at proper intervals in the passage of the materials to be treated. The materials are subjected to ionization by ionized air ejected from the nozzles for ionized air produced by an ozonizer connected to the ionized air nozzles. Then the materials are subjected to normalization by normal air ejected from the normal air nozzles. This process is repeated several times while the materials are passing through the passage. The repeated processes of such alternate ionization and normalization allow the materials to be gradually and intensively ionized, resulting in producing finally activated materials which are characteristic of restored bulkiness and elasticity. An enclosure can also be adopted instead of the passage. In the enclosure the stationary materials are subjected to ionization by ionized air injected and after evacuation of the ionized air from the enclosure normal air is injected which will be evacuated afterward. One of the uses of this method is activation of down to be filled in quilts. But this method is also utilized for activation of other materials such as cotton, silk, chemical fibers, wool, paper, wood etc.

83 Activation of feather and fibrous substance JP7136085 1985-04-04 JPS61231257A 1986-10-15 IWATA TAKUZO
84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treating rope-like fiber material JP13214284 1984-06-28 JPS6021960A 1985-02-04 HANSUUURURITSUHI FUON DERU ERU
85 JPS5747316B2 - JP1772974 1974-02-15 JPS5747316B2 1982-10-08
86 Dyeing of rope like fabric article JP5571978 1978-05-12 JPS53139877A 1978-12-06 HANSU URURITSUHI FUON DERU ERU; ARUBERUTO ROITERU
87 Method of single bath washing dyeing of fiber base JP5134077 1977-05-06 JPS52137088A 1977-11-16 HERUMAN EGURI; FUREERU HAGOBAN; MATSUKUSU PERINGU; HANSU PEETAA SUTEIKERUBETSUKU
88 Senizairyonosenshokuho JP1950876 1976-02-26 JPS51109379A 1976-09-28 HANSU URURITSUHI FUON DERU ERU; ARUBERUTO ROITERU
89 JPS50121581A - JP2411175 1975-02-28 JPS50121581A 1975-09-23
90 JPS50116774A - JP740675 1975-01-16 JPS50116774A 1975-09-12
91 JPS5082383A - JP1772774 1974-02-15 JPS5082383A 1975-07-03
92 JPS4957187A - JP7998573 1973-07-17 JPS4957187A 1974-06-03
93 소취사 제조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소취사 제조 방법 KR1020110034522 2011-04-14 KR101226983B1 2013-02-06 김태경
본 발명은 일반적인 염색 장치의 반응기 내에서 증열을 이용한 그라프트 중합 반응에 의해 셀룰로즈계 실을 소취 가공함으로써, 실의 세탁 내구성 및 촉감의 변화없이도 소취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소취사 제조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소취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본 발명의 소취사 제조 방법은 셀룰로즈계 실을 소취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중합 개시제와 소취성 단량체 및 물을 혼합하는 소취액 제조 단계, 셀룰로즈계 실이 권취된 보빈에 소취액을 침투시키는 소취액 처리 단계, 반응기 내부 및 보빈에 침투된 소취액을 배수 및 탈수 처리하는 단계, 반응기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여 셀룰로즈계 실을 열 그라프트 중합 반응시키는 단계, 열 그라프트 중합 반응이 이루어진 셀룰로즈계 실을 수처리 세정하는 단계 및 세정된 셀룰로즈계 실을 고온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94 소취사 제조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소취사 제조 방법 KR1020110034522 2011-04-14 KR1020120117034A 2012-10-24 김태경
PURPOSE: An apparatus for deodorizing yarn is provided to cause graft polymerization and to ensure deodorizing function without yarn durability and texture change. CONSTITUTION: An apparatus for deodorizing cellulose-based yarn comprises: a reactor(1) with a deodorizing solution inlet(11) and a deodorizing solution outlet(12); a base(21) which is mounted to connect with the deodorizing solution inlet at the upper end of the deodorizing solution inlet; a deodorizing solution tank(2) with a vertical hollow tu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ase; a plurality of spins(3) with laminated bobbins; a deodorizing solution circulator(4) for circulating the deodorizing solution in the tank and reactor; a steam supply device(5) which supplies steam inside the reactor and performs heat graft polymerization of the cellulose-based yarn; a compressor(6)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reactor; and a heat exchange coil for heating or cooling the reactor inside. [Reference numerals] (5) Steam supply device; (6) Compressor; (8) Press exhausting device; (AA) Temperature sensor
95 다중 맹글을 이용한 디지털 날염의 연속식 박막 전처리 장치 KR1020100095229 2010-09-30 KR101059782B1 2011-08-26 구홍림
PURPOSE: A continuous thin film pretreatment apparatus of digital textile printing is provided to uniformly apply a pretreatment solution without an air knife and to enable continuous process. CONSTITUTION: A continuous thin film pretreatment apparatus of digital textile printing comprises a supply vessel and a mangle part. The supply vessel(10) contains a pretreatment solution. The mangle part(20) has a rigidity roller and an elastic roller. The rigidity roller(23) has relatively high hardness. The elastic roller(24) has relatively lower hardness. A lower roller(21) is dipped in the supply vessel and lifts the pretreatment solution.
96 염색된 디지털 프린팅용 실사원단 제조장치 KR2020040004203 2004-02-18 KR200349822Y1 2004-05-08 이재광
본 고안은 기존의 디지털 프린팅용 실사 원단에서 제직된 생지의 염색등의 전처리 작업으로 생지 원단의 원가가 25%이상 상승하고, 전처리에 의한 생산성 저하을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 프린팅용 실사 원단의 전처리단계 없이 생지에 딥코팅과 동시에 염색 작업을 하고, 인쇄하고자 하는 출력용 실사원단에 잉크가 안정하게 안착되도록 하는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기존의 제직 후 호발, 정련, 표백, 염색하는 전처리 없이도 동일한 효과를 내는 디지털 코팅용 실사 원단의 염색의 개선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생산된 원단을 제공하고 또한 난연 및 방염특성을 가지는 원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97 고밀도 유체를 사용한 지속가능한 발수제의 적용 및 활성화 KR1020157026726 2014-02-28 KR1020150143454A 2015-12-23 휘트니,스테판
고밀도유체를이용한가압된시스템은지속가능한발수제를적용하고및/또는활성화할수 있다. 옷(clothing)의물품의섬유에결합된지속가능한발수제는, 가압된고밀도유체세정공정을통해오염물질을첫 번째로제거하고, 그후에상기고밀도유체와이의기체의린스주기와상기물품의상호작용을통해상기지속가능한발수제내로에너지를전가함으로써활성화될수 있다.
98 연속식 텀블건조기 KR2020050023646 2005-08-17 KR200399946Y1 2005-10-31 박광우
본 고안에 따른 연속식 텀블건조기는, 상기 각 드럼(22)의 양 측면에 회전축중심을 관통하는 소정직경의 투입샤프트(30) 및 인출샤프트(32)가 장착됨으로써 상기 투입샤프트(30) 및 인출샤프트(32)를 통해 섬유원단(S)의 투입 및 인출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투입샤프트(30)의 외측선단과 그 일측단이 자유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단이 유도롤러(28)와 근접하게 배치됨으로써 유도롤러(28)로부터 나오는 섬유원단(S)을 투입샤프트(30)로 안전하게 유도하는 투입가이드관(36)과, 상기 인출샤프트(32)의 외측선단과 그 일측단이 자유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단이 인출롤러(29)와 근접하게 배치됨으로써 인출샤프트(32)로부터 인출되는 섬유원단(S)을 인출롤러(29)로 안전하게 유도하는 인출가이드관(38)이 더욱 포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연속식 텀블건조기에 의하면 드럼이 360°이상 완전히 회전되는 특성상 건조과정에서 섬유원단에 대한 충격을 강하게 하여 유연성을 높이고, 섬유원단의 건조상태를 고르게 함으로써 축율을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개의 드럼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엇갈리게 회전하는 특성상 섬유원단이 건조과정에서 엉키지 않기 때문에 건조작업의 효율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99 Apparatus for drying non woven fabric treated by fire retardant material KR20040003624 2004-02-13 KR200349800Y1 2004-05-12
본 고안은 견면 부직포에 난연성질을 부가하기 위해 부직포에 난연액을 흡수시킨 후 건조시키는 열풍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난연처리 부직포 건조작업은 다량의 열풍이 소요되며, 제품에 골고루 열풍이 도달되어야 하고, 건조시 발생되는 다량의 수분을 건조기 밖으로 확실히 배풍을 해야 하는 기능을 필요로 한다. 본 고안은 이러한 기능을 구비한 건조기로서, 난연처리된 부직포를 열풍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제품투입부(2)의 상부에 상부 컨베어(1)와 하방향 송풍 건조룸(4-b)들을, 하부에는 하부 컨베어(3)와 상방향 송풍 건조룸(4-a)들을 배치하고, 상기 상부 컨베어(1)와 하부 컨베어(3)에 건조기 내,외부간의 열풍 이동을 차단할 수 있는 실링커텐(5)(6)을 설치하고, 상기 상방향 송풍 건조룸(4-a)과 하방향 송풍 건조룸(4-b)에 건조룸 내부에 발생된 수증기를 외부로 빼낼 수 있는 배풍구(11)(12)와, 건조기 내부에 발생된 수증기의 농도를 저하시킬 수 있도록 외부공기를 건조룸 내부에 유입시키는 통풍그릴(14-1,14-2)과, 제품에 대한 열풍의 분배를 균일하게 하고 건조룸 내부의 열풍 와류를 줄이기 위한 송풍가이드판(15-1 ~ 15-8)을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 ��징으로 하는 난연처리 부직포 건조기를 제공한다.
100 우모, 섬유물질의 활성화방법 KR1019850005736 1985-08-08 KR1019880000584B1 1988-04-16 이와따다꾸조오
The process comprises repeatedly exposing down or fibrous material alternately to ozonised air from nozzles coupled to ozonisers, and to nozzles supplying normal air, or comprises filling a down container alternatively with ozonised air and with normal air. Bulking and rendering elastic down or fibrous material compressed by packaging, esp. for use as quit filling material.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