序号 | 专利名 | 申请号 | 申请日 | 公开(公告)号 | 公开(公告)日 | 发明人 |
---|---|---|---|---|---|---|
61 | 기판에 경질 캐리어를 일시 부착시키는 방법 | KR1020097000021 | 2007-07-03 | KR101095159B1 | 2011-12-16 | 오로우르크,숀 |
본 발명은 열분해 가능한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알킬렌 카르보네이트)의 희생 층을 형성하고, 그들 사이에 위치한 희생 층으로 경질 캐리어에 가요성 기판을 결합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경질 캐리어에 기판을 일시 부착시키는 방법을 기재한다. 이어서, 전자 부품 및/또는 회로를 부착된 기판 위에 제조하거나 또는 부착된 기판 위에서 다른 반도체 가공 단계(예를 들어, 백그라인딩)를 사용할 수 있다. 제조를 완료한 후, 조립체를 가열하여 희생 층을 떼어냄으로써 기판을 경질 캐리어로부터 탈착시킬 수 있다. 경질 캐리어, 가요성 기판, 반도체, 일과성 물질막 | ||||||
62 | 점착 적층체 | KR1020117008002 | 2009-10-06 | KR1020110066166A | 2011-06-16 | 야스다데루히코; 시모마히토시; 사토히사시 |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을 사용해도 점착제 잔여물이 발생하지 않는 점착 적층체를 제공한다.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과 점착체층을 갖는 점착 적층체로서,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의 일면이 용이하게 접착 처리된 처리면으로, 점착체층이 그 처리면에 맞닿아 있고, 점착체층이 하기 실릴기 함유 중합체 (S) 를 함유하는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켜 얻어지는 층이다. 또, 실릴기 함유 중합체 (S) 는 주사슬에 폴리에테르 사슬, 폴리에스테르 사슬 및/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사슬을 갖고 분자 말단에 가수분해성 실릴기를 갖는 실릴기 함유 중합체이다. | ||||||
63 | 전기전자 기기용 밀봉재 | KR1020037013384 | 2002-02-20 | KR100626498B1 | 2006-09-20 | 다치바나가쓰히코 |
본 발명은 발포체에 압력감응 점착제 층을 형성함으로써 수득된 밀봉재로서, 먼지 입자가 점착되지 않고 취급이 용이한 전기전자 기기용 정형 밀봉재를 제공한다. 미세 기포 발포체의 표면에 저장 탄성률이 20N/cm 2 이상인 압력감응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층이 형성되어 점착력이 5.0N/20mm폭 이상인 밀봉재를 구성한다. | ||||||
64 | 전기전자 기기용 밀봉재 | KR1020037013384 | 2002-02-20 | KR1020040030581A | 2004-04-09 | 다치바나가쓰히코 |
본 발명은 발포체에 압력감응 점착제를 형성함으로써 수득된 밀봉재이지만, 먼지 입자가 점착되지 않고 취급이 용이한 전기전자 기기용 정형 밀봉재를 제공한다. 미세 기포 발포체의 표면에 저장 탄성률이 20N/cm 2 이상인 압력감응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층이 형성되어 점착력이 5.0N/20mm폭 이상인 밀봉재를 구성한다. | ||||||
65 | 수-기초 접착제 | KR1020030038551 | 2003-06-14 | KR1020040030223A | 2004-04-09 | 로프튼엘리자베스피.; 레스터크리스토퍼엘.; 로라데니스피.; 데본포트웨인 |
PURPOSE: A water-based adhesive having polymeric nanoparticles is provided to improve, as compared to properties of an adhesive without containing polymeric nanoparticles(PNPs), rheology, foam reduction, drying time, mechanical stability and wet film integrity and green strength in a wet composition and to improve specific adhesion, peel-build characteristics, water resistance, whitening, plasticizer and solvent migration resistance, gas-barrier properties, rheology for low temperature processing, and reduced edge ooze and flow in a dry composition. The adhesive imparts improved converting, cutting and stripping to the adhesive article. CONSTITUTION: The water-based adhesive comprises: at least one multi-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mer as a polymerization unit; at least one ethylenically unsaturated water soluble monomer; and 0.1-100wt%, based on the total dry weight of the adhesive, of PNP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50 nanometers. The composition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emulsion polymer with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Tg) of from -100deg.C to 50deg.C. | ||||||
66 | 피복 및 접착제를 형성하기 위한 경화성 액체 | KR1020030038536 | 2003-06-14 | KR1020040030221A | 2004-04-09 | 카우프만토마스프레더릭; 위트만데이비드윌리암 |
PURPOSE: A curable fluid capable of forming a polymeric composition for coatings and adhesives is provided to show low viscosity before curing and high adhesiveness after being exposed at a curing condition. Further, a composite article using the curable fluid is provided. CONSTITUTION: The curable fluid comprises polymeric nanoparticles, wherein the curable fluid can form a polymeric composition after being exposed under at least one cure condition selected from elevated temperature, radiation, the mixing with moieties having complementary reactive groups and combinations thereof, wherein the polymeric nanoparticles comprise at least one multi-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mer as a polymerization unit; and the polymeric nanoparticles have an average diameter of 1-50nm. The composite article comprises a polymeric adhesive composition and at least one subsequent substrate. The article is produced by: (a) applying a layer of a curable fluid comprising polymeric nanoparticles, which comprise at least one multi-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mer as a polymerization unit, and have an average diameter of 1-50 nm; (b) contacting said layer to the subsequent substrate; and (c) exposing said curable fluid to at least one cure condition selected from elevated temperature, radiation, mixing with moieties having complementary reactive groups, and combinations thereof. | ||||||
67 | 중합체 나노입자 배합물 및 직물 케어 첨가제로서의 용도 | KR1020030038534 | 2003-06-14 | KR1020030096096A | 2003-12-24 | 고쉬티르탄카; 키난안드레아클라우데뜨 |
유연성, 방추성, 오물 및 얼룩 제거, 오물 방출, 염료 변화, 염료 고정, 정전기 조절, 및 기포 형성 방지와 같은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세제 배합물에서 직물 케어 첨가제로서 유용한, 평균 입자 직경이 1~10nm인 중합체 나노 입자가 제공된다. 이러한 나노 입자는 직물 케어 특성을 증진하기 위한 세정 배합물에서 실리콘 화합물과 함께 사용할 수 있거나 혹은 나노입자는 세정 배합물의 다양한 직물 케어 특성을 상당히 증가시키기 위하여 실리콘 기로 작용화될 수 있다. | ||||||
68 | 중합성 조성물, 중합물, 광학용 점착 시트,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KR1020157001405 | 2013-09-27 | KR101722004B1 | 2017-03-31 | 오오가카즈히코; 코우카히로토; 스즈키카이 |
화상표시장치의화상표시부와투광성의보호부사이에개재시키고중합하여중합물층을형성하기위한중합성조성물에있어서, 중합시의체적수축률이작고, 유전율이낮고, 유리등의투광성의보호부에사용되는재료로의밀착성이크고, 열에의한착색이적은중합물을제조하기위한중합성조성물을제공한다. 본발명의중합성조성물은, (성분 1) 폴리올레핀구조단위를갖는 (메타)아크릴로일기함유화합물, 수소첨가폴리올레핀구조단위를갖는 (메타)아크릴로일기함유화합물, (폴리)에스테르구조단위를갖는 (메타)아크릴로일기함유화합물및 (폴리)카보네이트구조단위를갖는 (메타)아크릴로일기함유화합물로이루어지는군으로부터선택되는적어도 1종, (성분 2) 탄소수 6 이상의탄화수소기를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화합물, (성분 3) 아미드결합을갖는비닐기함유화합물, (성분 4) 광중합개시제를포함한다. | ||||||
69 |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자가 점착성 필름 | KR1020140118884 | 2014-09-05 | KR1020150029583A | 2015-03-18 | 조현주; 박승영; 서진화; 김윤정 |
본 발명은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자가 점착성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점착성 필름은 각종 소재의 피착재에 대하여 우수한 점착 강도를 나타낼 수 있으면서도, 반복 사용시 피착재의 표면에 잔사를 남기지 않으며, 특히, 온도 및 습도 조건의 변화에 따른 점착 강도의 변화율이 낮아 다양한 환경에서 보다 안정적인 점착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가 점착성 필름은 점착 강도가 보다 넓은 범위에서 쉽게 조절될 수 있어, 유리,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 다양한 소재의 피착재에 대한 표면 보호용 필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
70 | 중합성 조성물, 중합물, 광학용 점착 시트,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KR1020157001405 | 2013-09-27 | KR1020150023809A | 2015-03-05 | 오오가카즈히코; 코우카히로토; 스즈키카이 |
화상 표시 장치의 화상 표시부와 투광성의 보호부 사이에 개재시키고 중합하여 중합물층을 형성하기 위한 중합성 조성물에 있어서, 중합시의 체적 수축률이 작고, 유전율이 낮고, 유리 등의 투광성의 보호부에 사용되는 재료로의 밀착성이 크고, 열에 의한 착색이 적은 중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중합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은,
(성분 1) 폴리올레핀 구조 단위를 갖는 (메타)아크릴로일기 함유 화합물, 수소 첨가 폴리올레핀 구조 단위를 갖는 (메타)아크릴로일기 함유 화합물, (폴리)에스테르 구조 단위를 갖는 (메타)아크릴로일기 함유 화합물 및 (폴리)카보네이트 구조 단위를 갖는 (메타)아크릴로일기 함유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성분 2) 탄소수 6 이상의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성분 3) 아미드 결합을 갖는 비닐기 함유 화합물, (성분 4)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한다. |
||||||
71 | 폴리이미드 수지 결합용 접착제 | KR1020137032493 | 2012-05-10 | KR1020140038984A | 2014-03-31 | 토이치에리히오토; 밀른크레이그 |
일 구현예는 복수의 기재, 및 2개 이상의 상기 복수의 기재 사이에 결합된 접착제를 포함하는 물품 및 이러한 물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접착제는 반응된 레조르시놀, 실록산, 및 비스페놀 A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코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는 제1 폴리이미드 기재, 제2 폴리이미드 기재, 및 상기 제1 기재 및 상기 제2 기재 사이에 결합된 접착제를 갖는 물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물품은 미국 연방 항공 규정(Federal Aviation Regulation) FAR 25.853(d)에 따라 FAR F25.4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될 때, 제곱미터 당 65 킬로와트-분(kW-min/m
2 ) 이하의 2분 적분된 열방출 속도(2 minute integrated heat release rate) 및 제곱미터 당 65 킬로와트(kW/m
2 ) 미만의 최대 열방출 속도(peak heat release rate)를 가질 수 있다.
|
||||||
72 | 점착 적층체 | KR1020117008002 | 2009-10-06 | KR101308253B1 | 2013-09-13 | 야스다데루히코; 시모마히토시; 사토히사시 |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을 사용해도 점착제 잔여물이 발생하지 않는 점착 적층체를 제공한다.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과 점착체층을 갖는 점착 적층체로서,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층의 일면이 용이하게 접착 처리된 처리면으로, 점착체층이 그 처리면에 맞닿아 있고, 점착체층이 하기 실릴기 함유 중합체 (S) 를 함유하는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켜 얻어지는 층이다. 또, 실릴기 함유 중합체 (S) 는 주사슬에 폴리에테르 사슬, 폴리에스테르 사슬 및/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사슬을 갖고 분자 말단에 가수분해성 실릴기를 갖는 실릴기 함유 중합체이다. | ||||||
73 | 자기 접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유리용 자기 접착 필름 | KR1020110073849 | 2011-07-26 | KR1020130014708A | 2013-02-12 | 홍승권; 전민호; 정광진; 정기남; 옥명안; 손인헌 |
PURPOSE: A self-adhesive composition is provided to have excellent adhesion, weatherability, transparency, UV resistance, and to provide high adhesion, thereby being capable of providing a highly transparent adhesive film without the loss of glass transparency. CONSTITUTION: A self-adhesive composition comprises aliphatic polycarbonate by the polymerization of an epoxide compound and carbon dioxide. The epoxide compound is one or more selected from: (C2-C20)alkyleneoxide substituted by halogen, (C1-C20)alkyloxy, (C6-C20)aryloxy, or (C6-C20)ar(C1-C20)alkyloxy; (C4-C20)cycloalkylene oxide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by the halogen, the (C1-C20)alkyloxy, the (C6-C20)aryloxy, or the (C6-C20)ar(C1-C20)alkyloxy; and (C8-C20)styrene oxide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by the halogen, the (C1-C20)alkyloxy, the (C6-C20)aryloxy, the (C6-C20)ar(C1-C20)alkyloxy, or (C1-C20)alkyl. | ||||||
74 | 접착제 조성물 및 저온 적용성 접착 시트 | KR1020047002845 | 2002-08-27 | KR1020040044491A | 2004-05-28 | 아베,히데토시; 다까마쯔,요리노부 |
감압 접착성의 접착제 조성물은 점착성 중합체와 비점착성 중합체를 함유한다. 점착성 중합체는 동적 점탄성 측정법에 의한 유리 전이점이 -60 내지 -5℃이고, 비점착성 중합체는 시차 주사 열량계에 의한 유리 전이점이 -5℃ 이하이고, 시차 주사 열량계에 의한 융점이 25℃보다 높으며, 결정화하지 않은 상태에서 점착성 중합체와 상용 가능하다. 접착제 조성물은 저온에서의 감압 접착성과 점착력 억제 효과를 동시에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고, 접착 장소의 정확한 위치 정렬이 용이하며, 0℃ 미만의 저온 환경하에서도 압착에 의해 쉽게 접착할 수 있다. | ||||||
75 | 접착제, 접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KR1020030038577 | 2003-06-14 | KR1020040030224A | 2004-04-09 | 레스터크리스토퍼엘.; 로프톤엘리자베스피.; 로라데니스피. |
PURPOSE: An adhesive having polymeric nanoparticles is provided to improve, as compared to properties of an adhesive without containing polymeric nanoparticles(PNPs), rheology and wet film integrity, i.e., green strength in a wet composition, and to improve specific adhesion, peel-build characteristics, plasticizer and solvent migration resistance, gas-barrier properties, rheology for a low temperature processing, and reduced edge ooze and flow in a dry composition. The adhesive imparts improved converting, cutting and stripping to the adhesive article. CONSTITUTION: The adhesive comprises at least one substrate and at least one adhesive composition, wherein said adhesive composition comprises 80-100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all polymeric ingredients, of polymeric nano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50 nm, wherein said polymeric nanoparticles comprise at least one multi-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mer, as a polymerization unit. | ||||||
76 | 수성 나노입자 분산물 | KR1020030038570 | 2003-06-14 | KR1020030096102A | 2003-12-24 | 아믹데이비드리차드; 고어로버트하워드; 로라데니스폴; 닐리제임스왓슨 |
새로운 수성 PNP 분산물이 개시된다. 직경이 1~50나노미터인 용매-기초 PNPs로부터 수성 PNP 분산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PNPs의 표면에서 확장된 평균 최소 2개의 포브를 갖는 PNPs를 기초로 한 회합 증점제 조성물이 또한 개시된다. 수성 PNP 분산물은 라텍스 페인트와 같은 수성-기초 산업 및 소비자 제품에 유용하다. | ||||||
77 | 중합 나노입자 배합물 및 코팅제의 더트 픽업 저항성을향상시키는 그 용도 | KR1020030038542 | 2003-06-14 | KR1020030096098A | 2003-12-24 | 라웰로즈마리팔머; 이븐랄프크레이그; 그레씨안도나스탤리; 솔로몬로버트데이비드 |
1-50nm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중합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코팅제의 표면상에 미립자 물질을 반발시키는 배합물이 개시된다. 상기 중합 나노입자는 입자가 코팅제에 매립되거나 부착되는 기회를 최소화시키기위해 건조된 코팅제의 표면을 개질시키는 부가적인 특성을 부여하기위해 더욱 작용화될 수 있다. | ||||||
78 | 중합 나노입자 배합물 및 미생물 방지 코팅제 적용에사용되는 그 용도 | KR1020030038532 | 2003-06-14 | KR1020030096094A | 2003-12-24 | 라웰로즈마리팔머; 쉐파드아우렐리아데라크레스타 |
1-50nm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중합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코팅제의 표면상에 미생물 오염을 방지하는 배합물이 개시된다. 상기 중합 나노입자는 입자가 코팅제에 매립되거나 부착되는 기회를 최소화시키기위해 건조된 코팅제의 표면을 개질시키는 부가적인 특성을 부여하기위해 더욱 작용화될 수 있다. | ||||||
79 | 접착성 결합 라미네이트 | KR1020017016105 | 2000-06-12 | KR1020030076729A | 2003-09-29 | 싱,진,마리,살단하; 스피베이,폴,티모씨 |
접착성 결합 라미네이트(5)는 에폭시 코팅과 끈끈하게 결합될 수 있는 제 1 열가소성 접착 필름(10)과 기판(48)의 패시베이션 처리 표면에 끈끈하게 결합될 수 있는 제 2 열경화성 접착 필름(12)을 포함한다. 제 1 열가소성 접착 필름(10)은 제 2 열경화성 접착 필름(12)에 끈끈하게 결합될 수 있다. 잉크젯 프린트 헤드, 잉크젯 프린트 카트리지와 기판에 구부러질 수 있는 회로를 부착시키는 방법은 접착성 결합 라미네이트(5)를 사용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