래치된 스위치 장치

申请号 KR1019980706168 申请日 1997-12-11 公开(公告)号 KR1019990082435A 公开(公告)日 1999-11-25
申请人 에이비 일렉트로닉 게엠베하; 发明人 아펠피터; 팔락클라우스;
摘要 정지 위치가 확실히 유지될 수 있고 기계적 마모가 거의 없어서 선택기 위치 발생 장치는 작동하기에 용이하고, 길이 방향의 축을 따라 이동 가능한 위치 전달 유니트가 제공되어서 위치 전달 이(teeth)가 제1 위치 선택기 유니트의 이에 대해 고정될 수 있고 이러한 위치 전달 요소의 위치는 제1 위치 감지 요소(6.1, …, 6.n)에 의해 감지될 수 있으므로 특히 각각의 작동 조건에 대해 적응하기가 용이하다. 상기 위치 전달 유니트(1)는 핑거형 본체와 함께 길이 방향의 축을 따라 리세스로 이동될 수 있어서, 제2 회전 본체는 제2 위치 선택기 유니트 상에 위치할 수 있고, 이러한 위치는 제2 위치 감지 요소(57)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전달 유니트(1)는 베이스 본체(4)에 대해 이차원적으로 제2 위치 선택기 유니트를 통해 이동 장치(32.1, …, 32.n)와 함께 이동하고, 이러한 위치는 제3 위치 감지기 요소(8.1)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权利要求
  • 특히, 차량 탑재형 컴퓨터, 세탁기, 자전거 변속기, 개인용 컴퓨터, 컴퓨터 게임기, 항법 시스템 등을 작동시키기 위한 불연속 상태 선택기에 있어서,
    제1 원통형 로터(5 또는 5')가 장착되어 있는 축(5.1)을 포함하는 상태 정보 전달 조립체(1)와,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 전달 부품(41.1, …, 41.n)이 그 주위에 분포되어 있고 제1 로터(5 또는 5')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원통형 로터(40)와,
    적어도 일부분은 제1 로터(5 또는 5')와 동축이며, 갭에 의해 분리되고 래디얼 방향으로 내측을 향하는 코그(44.1, …, 44.n)를 가지는 크라운 휠(44)을 구성하는 제1 상태 선택 조립체(2)와,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태 감지 부품(6.1, …, 6.n 또는 60.1, …, 60.n)이 제공되는 제1 상태-표시 조립체(60)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로터(5 또는 5')는 주위에 분포된 상태 정보 전달 갭(19.1, …, 19.n)에 의해 분리된 래디얼 방향의 상태 정보 전달 코그(11.1, …, 11.n)를 가지고,
    상기 제1 로터(5 또는 5')에는 자화 조립체(11)가 결합되며,
    상기 크라운 휠(44)은 적어도 하나의 영구 자석 부품(44.1', …, 44.n')을 수용하고,
    상기 상태 정보 전달 조립체(1)는 코그(44.1, …, 44.n)에 대해 제1 상태 선택 조립체(2)에 에어갭(B3)을 남기고 상태 정보 전달 코그(11.1, …, 11.n)의 위치를 전달하면서 길이 방향의 축(A)에 대해 회전하며, 그 위치는 상태 감지 부품(6.1, …, 6.n 또는 60.1, …, 60.n)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상태 선택기.
  • 특히, 자동차내 컴퓨터, 세탁기, 자전거 변속기, 개인용 컴퓨터, 컴퓨터 게임기, 항법 시스템 등을 작동시키기 위한 불연속 상태 선택기에 있어서,
    제1 원통형 로터(5 또는 5')가 장착되어 있는 축(5.1)을 포함하는 상태 정보 전달 조립체(1)와,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 전달 부품(41.1, …, 41.n)이 그 주위에 분포되어 있고 제1 로터(5 또는 5')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원통형 로터(40)와,
    제2 로터(40) 상에 위치하고 압력이 가해진 핑거형 돌기(42)와,
    적어도 일부분은 제1 로터(5 또는 5')와 동축이며, 갭에 의해 분리되고 래디얼 방향으로 내측을 향하는 코그(44.1, …, 44.n)를 가지는 크라운 휠(44)을 구성하는 제1 상태 선택 조립체(2)와,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태 감지 부품(6.1, …, 6.n 또는 60.1, …, 60.n)이 제공되는 제1 상태-표시 조립체(60)와,
    돌기(42)가 통과하여 연장하는 절결부를 구비하는 제2 상태 선택 조립체(29)와,
    적어도 하나의 상태 감지 부품(57)을 구비하는 제2 상태-표시 조립체(8 및 29)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로터(5 또는 5')는 주위에 분포된 상태 정보 전달 갭(19.1, …, 19.n)에 의해 분리된 래디얼 방향의 상태 정보 전달 코그(11.1, …, 11.n)를 가지고,
    상기 제1 로터(5 또는 5')에는 자화 조립체(11)가 결합되며,
    상기 크라운 휠(44)은 적어도 하나의 영구 자석 부품(44.1', …, 44.n')을 수용하고,
    상기 상태 정보 전달 조립체(1)는 코그(44.1, …, 44.n)에 대해 제1 상태 선택 조립체(2)에 에어갭(B3)을 남기고 상태 정보 전달 코그(11.1, …, 11.n)의 위치를 전달하면서 길이 방향의 축(A)에 대해 회전하며, 그 위치는 상태 감지 부품(6.1, …, 6.n 또는 60.1, …, 60.n)에 의해 감지될 수 있고,
    정보 전달 조립체(1)는 절결부 내의 돌기(42)가 제2 로터(40) 상에 놓인 상태로 제2 상태 선택 조립체(29) 상부의 소정 범위까지 길이 방향의 축(A)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이 위치는 제2 상태 감지 부품(57)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상태 선택기.
  • 특히, 자동차내 컴퓨터, 세탁기, 자전거 변속기, 개인용 컴퓨터, 컴퓨터 게임기, 항법 시스템 등을 작동시키기 위한 불연속 상태 선택기에 있어서,
    제1 원통형 로터(5 또는 5')가 장착되어 있는 축(5.1)을 포함하는 상태 정보 전달 조립체(1)와,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 전달 부품(41.1, …, 41.n)이 그 주위에 분포되어 있고 제1 로터(5 또는 5')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원통형 로터(40)와,
    적어도 일부분은 제1 로터(5 또는 5')와 동축이며, 갭에 의해 분리되고 래디얼 방향으로 내측을 향하는 코그(44.1, …, 44.n)를 가지는 크라운 휠(44)을 구성하는 제1 상태 선택 조립체(2)와,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태 감지 부품(6.1, …, 6.n 또는 60.1, …, 60.n)이 제공되는 제1 상태-표시 조립체(60)와,
    제1 상태-표시 조립체(60)를 향하는 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영구 자석(38 또는 58.1, …, 58.4)이 장착되고 길이 방향의 축(A)에 수직인 평면(E)과 결합한 베이스(4)와,
    적어도 한 개의 제3 상태 감지 부품(8.2, 59.1, … 또는 59'.1, …, 59'.n)을 구비하는 제3 상태-표시 조립체(13 또는 56)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로터(5 또는 5')는 주위에 분포된 상태 정보 전달 갭(19.1, …, 19.n)에 의해 분리된 래디얼 방향의 상태 정보 전달 코그(11.1, …, 11.n)를 가지고,
    상기 제1 로터(5 또는 5')에는 자화 조립체(11)가 결합되며,
    상기 크라운 휠(44)은 적어도 하나의 영구 자석 부품(44.1', …, 44.n')을 수용하고,
    상기 상태 정보 전달 조립체(1)는 코그(44.1, …, 44.n)에 대해 제1 상태 선택 조립체(2)에 에어갭(B3)을 남기고, 상태 정보 전달 코그(11.1, …, 11.n)의 위치를 전달하면서 길이 방향의 축(A)에 대해 회전하며, 그 위치는 상태 감지 부품(6.1, …, 6.n 또는 60.1, …, 60.n)에 의해 감지될 수 있으며,
    제2 영구 자석(8.1)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2 상태-표시 조립체(13)의 제1 영구 자석(38 또는 58.1, …, 58.4)을 향하며,
    상태 정보 전달 조립체(1)는 제2 상태-표시 조립체(60) 상에서 드라이버(21.1 내지 21.4, 32.1 내지 32.4 또는 58.1 내지 58.4)에 의해 베이스(4)를 향해 이차원적으로 전진할 수 있고, 이러한 위치는 제3 상태 감지 부품(8.1 및 59.1, …, 59.n 또는 8.1 및 59'.1, …, 59'.n)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상태 선택기.
  • 특히, 자동차내 컴퓨터, 세탁기, 자전거 변속기, 개인용 컴퓨터, 컴퓨터 게임기, 항법 시스템 등을 작동시키기 위한 불연속 상태 선택기에 있어서,
    제1 원통형 로터(5 또는 5')가 장착되어 있는 축(5.1)을 포함하는 상태 정보 전달 조립체(1)와,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 전달 부품(41.1, …, 41.n)이 그 주위에 분포되어 있고 제1 로터(5 또는 5')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원통형 로터(40)와,
    제2 로터(40) 상에 위치한 압력이 가해진 핑거형 돌기(42)와,
    적어도 일부분은 제1 로터(5 또는 5')와 동축이며, 갭에 의해 분리되고 래디얼 방향으로 내측을 향하는 코그(44.1, …, 44.n)를 가지는 크라운 휠(44)을 구성하는 제1 상태 선택 조립체(2)와,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태 감지 부품(6.1, …, 6.n 또는 60.1, …, 60.n)이 제공되는 제1 상태-표시 조립체(60)를 구비하고,
    돌기(42)가 통과하여 연장하는 절결부를 구비하는 제2 상태 선택 조립체와,
    적어도 하나의 상태 감지 부품(57)을 구비하는 제2 상태-표시 조립체(8 및 29)와,
    제1 상태-표시 조립체(60)를 향하는 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영구 자석(38 또는 58.1, …, 58.4)이 장착되고 길이 방향의 축(A)에 수직인 평면(E)과 결합한 베이스(4)와,
    적어도 한 개의 제3 상태 감지 부품(8.2, 59.1, … 또는 59'.1, …, 59'.n)을 구비하는 제3 상태-표시 조립체(13 또는 56)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로터(5 또는 5')는 주위에 분포된 상태 정보 전달 갭(19.1, …, 19.n)에 의해 분리된 래디얼 방향의 상태 정보 전달 코그(11.1, …, 11.n)를 가지고,
    상기 제1 로터(5 또는 5')에는 자화 조립체(11)가 결합되며,
    상기 크라운 휠(44)은 적어도 하나의 영구 자석 부품(44.1', …, 44.n')을 수용하고,
    상기 상태 정보 전달 조립체(1)는 코그(44.1, …, 44.n)에 대해 제1 상태 선택 조립체(2)에 에어갭(B3)을 남기고, 상태 정보 전달 코그(11.1, …, 11.n)의 위치를 전달하면서 길이 방향의 축(A)에 대해 회전하며, 그 위치는 상태 감지 부품(6.1, …, 6.n 또는 60.1, …, 60.n)에 의해 감지될 수 있으며,
    정보 전달 조립체(1)는 절결부 내의 돌기(42)가 제2 로터(40) 상에 놓인 상태로 제2 상태 선택 조립체(29) 상부의 소정 범위까지 길이 방향의 축(A)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이 위치는 제2 상태 감지 부품(57)에 의해 감지될 수 있으며,
    제2 영구 자석(8.1)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2 상태-표시 조립체(13)의 제1 영구 자석(38 또는 58.1, …, 58.4)을 향하며,
    상태 정보 전달 조립체(1)는 제2 상태-표시 조립체(60) 상에서 드라이버(21.1 내지 21.4, 32.1 내지 32.4 또는 58.1 내지 58.4)에 의해 베이스(4)를 향해 이차원적으로 전진할 수 있고, 이러한 위치는 제3 상태 감지 부품(8.1 및 59.1, …, 59.n 또는 8.1 및 59'.1, …, 59'.n)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상태 선택기.
  • 특히, 자동차내 컴퓨터, 세탁기, 자전거 변속기, 개인용 컴퓨터, 컴퓨터 게임기, 항법 시스템 등을 작동시키기 위한 불연속 상태 선택기에 있어서,
    제1 원통형 로터(5 또는 5')가 장착되어 있는 축(5.1)을 포함하는 상태 정보 전달 조립체(1)와,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 전달 부품(41.1, …, 41.n)이 그 주위에 분포되어 있고 제1 로터(5 또는 5')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원통형 로터(40)와,
    적어도 일부분은 제1 로터(5 또는 5')와 동축이며, 갭에 의해 분리되고 래디얼 방향으로 내측을 향하는 코그(44.1, …, 44.n)를 가지는 크라운 휠(44)을 구성하는 제1 상태 선택 조립체(2)와,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태 감지 부품(6.1, …, 6.n 또는 60.1, …, 60.n)이 제공되는 제1 상태-표시 조립체(60)와,
    적어도 한 개의 개별 상태 전달 자석(91.1, … 또는 290.1)을 수용하고, 적어도 한 개의 개별 상태 정보 전달 자석(189.1, …, 189.n 또는 291.1)을 수용하는 상태 정보 전달 조립체(1)에 의해 카르단식으로 고정되는 경사진 하우징 조립체(173, 184, 273, 284)의 형태의 제3 상태 선택 조립체와,
    적어도 한 개의 제4 상태 감지 부품(197.1, …, 197.n 또는 297.1)을 구비하는 제4 상태-표시 조립체(20 및 180.1, … 180.n 또는 20 및 281.1)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로터(5 또는 5')는 주위에 분포된 상태 정보 전달 갭(19.1, …, 19.n)에 의해 분리된 래디얼 방향의 상태 정보 전달 코그(11.1, …, 11.n)를 가지고,
    상기 제1 로터(5 또는 5')에는 자화 조립체(11)가 결합되며,
    상기 크라운 휠(44)은 적어도 하나의 영구 자석 부품(44.1', …, 44.n')을 수용하고,
    상기 상태 정보 전달 조립체(1)는 코그(44.1, …, 44.n)에 대해 제1 상태 선택 조립체(2)에 에어갭(B3)을 남기고, 상태 정보 전달 코그(11.1, …, 11.n)의 위치를 전달하면서 길이 방향의 축(A)에 대해 회전하며, 그 위치는 상태 감지 부품(6.1, …, 6.n 또는 60.1, …, 60.n)에 의해 감지될 수 있으며,
    상태 정보 전달 조립체(1)는 경사진 하우징 조립체(173, 184, 273, 284)로 조정되고, 그 상태는 제4 상태 감지 부품(197.1, …, 197.n 또는 297.1)에 의해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상태 선택기.
  • 특히, 자동차내 컴퓨터, 세탁기, 자전거 변속기, 개인용 컴퓨터, 컴퓨터 게임기, 항법 시스템 등을 작동시키기 위한 불연속 상태 선택기에 있어서,
    제1 원통형 로터(5 또는 5')가 장착되어 있는 축(5.1)을 포함하는 상태 정보 전달 조립체(1)와,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 전달 부품(41.1, …, 41.n)이 그 주위에 분포되어 있고 제1 로터(5 또는 5')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원통형 로터(40)와,
    제2 로터(40) 상에 위치한 압력이 가해진 핑거형 돌기(42)와,
    적어도 일부분은 제1 로터(5 또는 5')와 동축이며, 갭에 의해 분리되고 래디얼 방향으로 내측을 향하는 코그(44.1, …, 44.n)를 가지는 크라운 휠(44)을 구성하는 제1 상태 선택 조립체(2)와,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태 감지 부품(6.1, …, 6.n 또는 60.1, …, 60.n)이 제공되는 제1 상태-표시 조립체(60)와,
    돌기(42)가 통과하여 연장하는 절결부를 구비하는 제2 상태 선택 조립체(29)와,
    적어도 하나의 상태 감지 부품(57)을 구비하는 제2 상태-표시 조립체(8 및 29)와,
    적어도 한 개의 개별 상태 전달 자석(91.1, … 또는 290.1)을 수용하고, 적어도 한 개의 개별 상태 정보 전달 자석(189.1, …, 189.n 또는 291.1)을 수용하는 상태 정보 전달 조립체(1)에 의해 고정되는 경사진 하우징 조립체(173, 184, 273, 284)의 형태의 제3 상태 선택 조립체와,
    적어도 한 개의 제4 상태 감지 부품(197.1, …, 197.n 또는 297.1)을 구비하는 제4 상태-표시 조립체(20 및 180.1, … 180.n 또는 20 및 281.1)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로터(5 또는 5')는 주위에 분포된 상태 정보 전달 갭(19.1, …, 19.n)에 의해 분리된 래디얼 방향의 상태 정보 전달 코그(11.1, …, 11.n)를 가지고,
    상기 제1 로터(5 또는 5')에는 자화 조립체(11)가 결합되며,
    상기 크라운 휠(44)은 적어도 하나의 영구 자석 부품(44.1', …, 44.n')을 수용하고,
    상기 상태 정보 전달 조립체(1)는 코그(44.1, …, 44.n)에 대해 제1 상태 선택 조립체(2)에 에어갭(B3)을 남기고, 상태 정보 전달 코그(11.1, …, 11.n)의 위치를 전달하면서 길이 방향의 축(A)에 대해 회전하며, 그 위치는 상태 감지 부품(6.1, …, 6.n 또는 60.1, …, 60.n)에 의해 감지될 수 있으며,
    제2 로터(40)의 일부분을 제2 상태 선택 조립체(29)의 상부에 놓으며, 상태 정보 전달 조립체(1)는 돌기(42)를 절결부에 위치시키면서 길이 방향의 축(A)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이 위치는 제2 상태 감지 부품(57)에 의해 감지될 수 있으며,
    상태 정보 전달 조립체(1)는 경사진 하우징 조립체(173, 184, 273, 284)로 조정되고, 그 상태는 제4 상태 감지 부품(197.1, …, 197.n 또는 297.1)에 의해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상태 선택기.
  •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축(5.1) 및 제1 원통형 로터(5 또는 5')가 자기적으로 전도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상태 선택기.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축(5.1) 및 제1 원통형 로터(5 또는 5')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상태 선택기.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화 조립체(11)는 일부분은 축(5.1) 상에 위치하고 일부분은 제1 원통형 로터(5 또는 5') 상에 위치하는 적어도 한 개의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상태 선택기.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상태-표시 조립체(60)는 제1 홀 센서(60.1, …, 60.n)가 장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영구 자석 조립체(6.1, …, 6.n)를 향하고, 제2 로터(40) 상에 간격을 두고 장착된 자기 전도 탭을 구성하는 상태 정보 전달 부품(41.1, …,41.n)을 구비하고, 홀 센서와 영구 자석 조립체 사이에 고정되고 그 주위에서 이동 가능한 활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상태 선택기.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4)는 길이 방향의 축(A)에 수직이고 제2 상태 선택 조립체(29)를 향하며 좌표계를 구성하는 축(X 및 Y)을 따라 쌍으로 위치하는 네 개의 교차 부품(21.1, …, 21.4)이 평면(E)과 거의 같은 면(13) 상에 구비되며,
    각 교차 부품은 연결된 좌표계(X 또는 Y)의 홈 중 하나와 교차점(P)에서 교차하는 베이스(4)의 홈(21.1 및 22.2)이며,
    내부 하우징(20)은 적어도 상태 정보 전달 조립체(1)와 제1 상태 전달 및 감지 조립체를 수용하고,
    교차 부품의 교차점(P)을 구성하는 홈(21.1 및 22.2)과 같은 교차 부품 내에서 이동하고, 벽 위로 연장하며,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안내 부품(32.1 내지 32.4)이 제공되는 평면(E)과 평행하고 베이스(4)를 향하도록 벽(23)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상태 선택기.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태 정보 전달 조립체(1)와 상태 선택 조립체 중 하나는 중앙을 통과하고 바람직하게는 제1 자석 홀더(80)의 내부면과 연결되는 다른 평면(E1)을 따라 연장하는 영구 자석(48)을 구비하는 제1 자석 홀더(80)에 의해 지지되며,
    베이스(4)에는 제2 자석 홀더(90)로 끼워 맞춤하는 좌표계(X1 및 X2)를 구성하는 영구 자석의 시스템(58)이 제공되어서, 시스템의 영구 자석(58.1, …, 58.4)은 제1 자석 홀더(80)의 내부면(83)과 접촉하고, 좌표계(X1 & Y1)의 각 축을 따라 쌍으로 장착되는 제2 자석 홀더(90)의 내부면(46)에 대향하는 외부면(54)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상태 선택기.
  • 제2항, 제4항, 제5항,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상태 선택 조립체가 자기 전도 플로어(27) 상의 부싱(29)에 수용되는 영구 자석 핑거-터치 스위치 부품(8)이고, 제2 상태-표시 조립체(8 및 29)를 구성하고, 제2 중공 부품(27)의 형태인 제2 상태-표시 조립체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상태 선택기.
  • 제2항, 제4항, 제5항,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페라이트 플로어(27)에 자기적으로 끌어 당겨질 때 영구 자석 핑거-터치 스위치 부품(8)은 돌기(42)로 부싱(29) 내의 상태 정보 전달 조립체(1)에 압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상태 선택기.
  • 제3항 및 제5항에 있어서, 제3 상태-표시 조립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제2 영구 자석(8.1 및 48)에 의해 구성되고, 제3 홀 센서(8.1, …)의 형태인 제3 상태 감지 부품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상태에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상태 선택기.
  • 제5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사 하우징 조립체(173 또는 273)가 중공 원통형이거나 혹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일단부에서 폐쇄되고 덮개(184 또는 284)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된 개방 단부를 가지는 중공 블록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상태 선택기.
  • 제5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사 하우징 조립체(173 또는 273) 및 덮개(184 또는 284)가 함께 제3 상태 선택 조립체를 구성하고, 이 조립체는 개별 상태 정보 전달 자석(190.1, …, 190.n 또는 290.1)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상태 선택기.
  • 제11항에 있어서, 안내 부품(32.1 내지 32.4)이 내부 하우징(20)의 벽(23)의 함몰부에서 이동하는 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상태 선택기.
  • 제3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4)가 내부 하우징(20)을 일부분 수용하는 외부 및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인 하우징(10)의 일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상태 선택기.
  • 제19항에 있어서, 외부 하우징(10)에는 작동 버튼(30)을 구비하는 내부 하우징을 연결하는 커넥터(14.1.1, …, 14.1.n)를 수용하는 베이스(4)를 향하는 벽(14)의 개구(14.1, …, 14.n)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상태 선택기.
  • 제3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축(5.1)의 일단부에 작동 버튼(13)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상태 선택기.
  • 제21항에 있어서, 작동 버튼(13)이 버튼의 형태이고 내부 하우징(20)을 일부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상태 선택기.
  •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작동 버튼(13)에 작동을 용이하게 하는 보울(34)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상태 선택기.
  • 说明书全文

    래치된 스위치 장치

    에스. 힐데브란트, 파인메카니쉐 바우엘레멘테 뮤니히, 칼 한서, 퍼블리셔, 1972의 676 페이지 내지 686 페이지는 로킹 장치를 양호한 상태로 만들고 유지시키기 위해 사용된 클릭 결합식 로킹 기구를 개시한다. 그것은 본래 임계력 기구이다. 여러 부품 사이에는 기구는 작동 하지 않는 중립 세그먼트가 있다. 부품은 폴(pawl)에 의해 결합되는 회전 디스크이다. 폴은 간단한 레버와 중립 중간 상태 및 실린더와, 스프링과, 축, 정방형 볼트, 혹은 축 노치를 해제하는 이중 래칫을 구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로킹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또는 그 반대로의 상태변화는 특히 중요하다. 오래 사용하게 되면 마모될 수 있고 따라서 기계의 수명에도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여러 종류의 힘이 고려되어야 한다. 축 주위를 회전하는 코그 휠을 구비한 자기 로킹 기구도 역시 개시되어 있다. 자석에 체결된 두 개의 코그형 핀은 축으로부터 연장하고 휠을 향한다. 자석은 비자기 재료의 벽을 관통할 수 있는 어떠한 원격 작용을 가진다.

    독일 특허 공보 제A 3,138, 827호는 기어 선택기를 개시하는데, 레버의 상태는 레버 상의 자석과 결합되어 있는 자기 센서에 의해 원격적으로 연결된다. 레버의 상태는 조합 센서 또는 코드에 의해 표시되며, 레버의 각 상태에 대해 하나의 센서 또는 기어 상태보다 적은 센서가 있다.

    단점은 선택기가 기어 전환 장치의 레버의 상태를 감지하는 데에만 사용된다는 것이다.

    독일 특허 공보 제A 19 503 615호는 이차원 제어 장치 혹은 계측 장치를 개시한다. 그것은 로드와, 볼과, 소켓을 포함하고 피봇 운동을 하는 "클럽"을 포함한다. 클럽의 자석은 홀 센서를 작동한다. 이것은 물론 단지 컴퓨터와 관련지어 공지된 통상의 조이스틱이다.

    지금의 자동차는 보통 컴퓨터가 내장되어 있다. 손잡이는 윈도우 와이퍼 레버의 손잡이를 누르면 또는 현재 시간, 외부 온도 및 빙판길 신호, 평균 및 현재 연료 소비량, 현재 연료-탱크 수준, 다음 주유소까지의 남은 마일 수 및 스톱워치가 나타나고 계기판에 표시된다. 스티어링 휠의 한 쪽 상에서 라디오 방송국의 선국이 그리고 다른 쪽에서는 볼륨이 조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의 단점은 세 개의 분리된 손잡이가 개별적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운전자가 운전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사고의 위험성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은 불연속 상태 선택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차량 탑재형 컴퓨터, 세탁기, 자전거 변속기, 개인용 컴퓨터, 컴퓨터 게임기, 항법 시스템, 혹은 다른 형태의 소비 작동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것이다.

    도1a 내지 도1d는 래치된 스위치 장치의 다양한 모듈의 실시예의 길이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2는 도1a에 도시된 스위치 장치의 II-II선을 따라 본 단면도이다.

    도3a 내지 도3b는 도2의 확대된 상세도이다.

    도4a는 도1a 내지 도1d에 도시된 래치된 스위치 장치용 상태-전달 조립체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4b는 도4a에 도시된 상태-전달 조립체의 개략적인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도5a는 도1a에 도시된 래치된 스위치 장치용 베이스를 도시한다.

    도5b는 도5a에 도시된 베이스의 평면도이다.

    도6 및 도7은 지능형 회전 손잡이의 형태인 래치된 스위치 장치의 개략적인 길이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8은 도6 및 도7에 도시된 지능형 회전 손잡이의 도면이다.

    도9는 도1a 내지 도4b에 도시되고 하우징 조립체에 수용된 카르단식의 래치된 스위치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10은 도9에 도시된 카르단식 장치의 XX선을 따라 본 단면도이다.

    도11은 도1a 내지 도4b에 도시되고 하우징 조립체에 수용된 또 다른 카르단식의 래치된 스위치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12는 도11에 도시된 카르단식 래치된 스위치 장치의 XII-XII선을 따라 본 단면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상태가 마모 없이 광범위하게 선택될 수 있어 사용하기 쉽고, 여러 방면으로 응용하기가 용이한 차량 탑재형 컴퓨터와, 세탁기 제어와, 자전거 기어 등을 위한 상태 선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제시된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상태 선택 조립체는 마모 없이 자기적으로 상태-확립 조립체로 "스냅" 결합한다. 상태 선택 조립체는 어떠한 방향으로도 상태-전달 조립체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어서, 클릭 결합 제어기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상태-전달 및 상태 선택 조립체의 설계는 클릭 결합 제어기를 더욱 소형화한다. 소형화는 장치가 특히, 자동차 및 항법기의 조종석 뿐만 아니라 세탁기의 내부와 같은 제한된 공간에도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태는 접촉 또는 방해없이 폴링되고 그 후의 처리를 위해 전자 신호의 형태로 이용 가능하다.

    이러한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된 바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 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회전에 의해 얻어진 클릭 결합 제어기의 조정성은 회전에 의해 가정된 상태를 확인하는 터치 동작에 의해 증가된다. 이러한 확인 동작도 역시 접속 또는 방해없이 폴링되고 그 후의 처리를 위해 전기 신호의 형태로 이용 가능하다.

    목적은 또한 특허청구범위 제3항에 기재된 바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장점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하지만, 선택된 상태는 이차원에서 더욱 조정하여 증대된다. 이 상태는 접속 또는 방해없이 폴링되고, 그 후의 처리를 위해 전기 신호의 형태로 이용 가능하다.

    또한,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4항에 기재된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 실시예의 장점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과 제2항을 결합한 것과 동일하다. 실시예는 편리한 컴퓨터 마우스를 모방하는 것이다. 상태는 컴퓨터 스크린 상의 커서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처럼 이차원에서 변환할 수 있다. 상태-전달 조립체의 축 주위를 회전하는 것은 상이한 프로그램을 콜업하도록 한다. 상태-전달 조립체의 축을 따라서 행하는 자기 핑거-터치형 스위치 작동이 다양한 데이터 혹은 부품을 불러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더욱 편리한 실시예는 블라인드에 큰 장점을 가지고 사용될 수 있다. 축(A) 주위의 회전과, 방향(A)의 터치 작동에 의해 변할 수 있는 민감도와, 두 평면 사이의 이동은 상태를 보지 않고도 선택되며 확인되도록 한다.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5항에 기재된 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 실시예의 장점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발명의 장점과 동일하지만, 상태-전달 조립체의 축 주위의 회전은 조이스틱형 기능에 의해 증대된다. 상태는 다시 접속 또는 방해 없이 폴링될 수 있고, 그 후의 처리를 위해 전기 신호의 형태로 이용이 가능하다.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6항에 기재된 바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 실시예의 장점은 특허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된 것과 동일하지만, 상태-전달 조립체의 회전과 핑거-터치 작동은 특허청구범위 제5항과 관련하여 언급된 조이스틱형 기능에 따라 방사된 대응 신호에 의해 증대된다. 이 편리한 실시예는 상태를 제한하는 것이 그것들을 보지 않고도 작동하는 동안에 선택되고 확인되는 측면에서 특히 맹인용 개인 컴퓨터에 사용하기에 적절하다.

    종속항에 기재된 장치는 특허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6항에 기재된 상태 선택기의 유리하고 개선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1a 내지 도1c는 모듈형 불연속 상태 선택기(이하에서는 "클릭 결합 제어기")를 도시한다. 그것은 특히, 자동차 내장 컴퓨터, 세탁기 등을 작동하기 위한 것이다.

    도1c는 가장 간단한 래치된 스위치 장치의 형태를 도시한다. 그것은 일체화된 축(5.1)을 구비하는 원통형 로터(5)의 형태로 위치정보 전달 조립체를 포함한다. 축(5.1)의 주위에는 래디얼 방향으로 상태 정보 전달 코그(11.1, …, 11.n)가 분포되어 있다. 도4a 및 도4b에서 명백하듯이, 코그는 사다리꼴이고 상태-전달 갭(19.1, …, 19.n)에 맞추어서 분리된다. 따라서, 전제적인 조립체는 펄스 발생기를 구성한다.

    로터(5)는 더 긴 외부 직경과 외측으로 올라간 환형 세그먼트가 일체로 되어 있는 다른 로터(40)에 체결된다. 상태 정보 전달 부품(41.1, …, 41.n)은 동일한 폭의 갭에 의해 분리된 금속 탭의 형태로 로터(40)에 장착된다.

    이제 설명될 위치 선택 조립체(2)는 위치정보 전달 조립체(1)를 둘러싼다. 펄스 발생기 즉, 로터(5)와 그 상태 정보 전달 코그(11.1, …, 11.n)는 내부 하우징(20)의 원통면(20.1)에 고정된 크라운 휠(44)에 의해 둘러싸인다. 크라운 휠(44)의 내부면은 적어도 한 개의 내향 돌출 코그(44.1, …, 44.n)를 가진다. 동일한 형상의 코그는 대응하는 갭에 의해 분리된다.

    크라운 휠(44)은 적어도 일부분은 원통면(20.1)의 외부면을 따라 번갈아 균일하게 분포된 영구 자석 부품(44'.1, …, 44'.n)을 수용한다. 경험상 그러한 자화 부품이 네 개일 때가 가장 효과적이다.

    크라운 휠은 내부 하우징(20)에 의해 고정되고 수용된다. 도1b에서 명백하듯이, 로터(5) 상의 상태 정보 전달 코그(11.1, …, 11.n)와 크라운 휠(44) 상의 코그(44.1, …, 44.n)는 간격(B3)에 의해 분리된다.

    도1a 및 도1b에서 명백하듯이, 내부 하우징(20)은 로터(5) 및 로터와 일체화된 축(5.1)을 향하는 코일(11)을 수용한다. 코일(11)은 상태 정보 전달 코그(11.1, …, 11.n)를 자화시키고, 따라서 각각의 코그는 개별적인 자석으로 거동한다.

    도1d 및 도4b에서 특히 명백하듯이, 내부 하우징(20)의 일부분인 슬리브(29)의 절결부에 고정된 핑거형 돌기(42)로 축(5.1)이 연장한다. 도1d에서 특히 명백하듯이, 자기적 전도 물질 특히, 강철, 철, 미세 입자의 플라스틱 등의 부품(28)을 구비한 플로어(27)에 의해 돌기(42) 근처에서 슬리브(29)가 폐쇄된다. 자화되어 있는 덕분에 계속하여 부품(28)에 대해 놓여서 핑거형 돌기(42)는 항상 부품(28) 및 자기 핑거-터치 스위치 부품(8) 사이에 보유되는 자기 핑거-터치 스위치 부품(8)이 부품(28) 아래에 수용된다. 따라서, 다음의 수학식으로 주어지는 인력이 상태 정보 전달 코그(11.1, …, 11.n)와 코그(44.1, …, 44.n)에 의해 나타내어 지는 개별적인 자석 사이에서 항상 존재할 것이다.

    [수학식]

    F=(B

    2 ·A)/μ

    0

    여기에서 A는 코그와 갭 사이의 가변 간격(B3)에 의해 구성되는 에어갭의 전체 단면적이고, B는 에어갭에서의 유도이고, μ 0 는 유도 상수이다.

    동일한 식이 자기 핑거-터치 스위치 부품(8)에 적용되는데, 이 부품은 가변 거리 혹은 부품(28)으로부터의 에어갭에 위치한다.

    길이 방향 축(A)을 따라 위치할 때 위치정보 전달 조립체(1)의 터치는 자기 핑거-터치 스위치 부품(8)을 자기적 전도 부품(28)에서 멀리 떨어지게 한다. 장력이 가해진 스프링의 그것과 유사한 힘은 극복되어야 한다. 길이 방향 축(A) 주위의 회전이 위치정보 전달 조립체(1)로 전달되면, 상태 정보 전달 코그(11.1, …, 11.n)는 코그(44.1, …, 44.n)와 네 개의 영구 자화 부품(44'.1, …, 44'.n)을 필요로 하는 개별적인 자석처럼 위치를 변경할 것이다. 거리(B3)의 변경은 에어갭의 전체 단면적을 변경시킬 것이고, 따라서 각각의 자석의 자기력도 변경시킬 것이다.

    각각의 자석은 원통형 로터를 따라 단일의 코그(44.1, …, 44.n) 또는 영구 자화 부품(44'.1, …, 44'.n)에 관해 상태 정보 전달 코그(11.1, …, 11.n)의 분포와 동일한 분포로 배치된다. 각각의 자석 즉, 상태 정보 전달 코그(11.1, …, 11.n)에 의해 코그(44.1, …, 44.n) 상에 가해지는 인력이 최대가 되므로, 위치정보 전달 조립체(1)는 위치 선택 조립체(2)에 대해 고정된 위치 선택 조립체(2)로 클릭할 것이다.

    다중 인력을 극복함으로써 하나의 고정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의 변경이 가능하다. 상태 정보 전달 코그(11.1, …, 11.n)가 코그(44.1, …, 44.n) 만큼 넓으므로 위치는 정확할 것이다.

    특징 중의 하나는 클릭이 마모 없이 일어나는 것이다. 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필요한 기계 부품이 없으므로 위치정보 전달 조립체(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든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지는 중요하지 않아서, 위치의 모든 변화는 손상 또는 파괴를 야기할 것이다.

    특별한 위치가 가정되면, 자기 핑거-터치 스위치 부품(8)에 의해 더욱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클릭 결합 제어기가 선택을 확인하려고 할 때 특히 중요하다.

    코일(11)로의 전기 공급이 방해 받거나 왜곡되면, 네 개의 영구 자화 부품(44'.1, …, 44'.n)은 인력(F)이 비교적 약하더라도 정해진 위치가 유지되는 것을 확실히 할 것이다. 비유적으로, 클릭 결합 제어기는 도1a 및 도1b에 도시된 대로의 기능을 중단하고 도1c에 도시된 가장 간단한 상태에서 기능하는 것을 시작할 것이다.

    손잡이(14)의 회전 및 가능 함몰부는 영구 자석 부품(6.1, …, 6.n)과 홀 센서(60.1, …, 60.n) 사이에서 상태 정보 전달 부품(41.1, …, 41.n)의 위치를 변경할 것이다. 이러한 부품이 서로를 향한다는 것은 도3a 및 도3b에서 명백한데, 영구 자석(60.1, …, 60.n)은 디스크(60) 상에 장착되어 있고, 상태 정보 전달 부품(41.1, …, 41.n)으로부터 거리(B2) 만큼 떨어져 있다.

    내부 하우징(20)은 동일한 폭을 가지고 동일한 간격으로 분리되어 있는 영구 자석 부품(6.1, …, 6.n)의 형태로 자기 부품을 수용한다. 상호 분리되어 있는 홀 센서(6.1, …, 6.n)는 이러한 부품을 향하고 또한, 디스크(60) 상에 장착된다. 상태 정보 전달 부품(41.1, …, 41.n)은 영구 자석 부품(6.1, …, 6.n)과 홀 센서(60.1, …, 60.n) 사이에서 이동한다. 홀 센서는 상태 정보 전달 부품(41.1, …, 41.n)을 그 후의 처리를 위한 전자 신호로 변환한다. 다른 홀 센서(57)는 핑거-터치 스위치 부품(8)을 향하고 위치를 감지하며, 또한 그 후의 처리를 위한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도1b에 도시된 클릭 결합 제어기는 베이스(4)와, 내부 하우징(20)을 둘러싸는 외부 하우징(10)의 적어도 일부분 상에 장착된 자석 홀더(90)를 구비하여 도1a에 도시된 대로 그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 외부 하우징(10)은 도1b 및 도1c에 개략적으로 잘 표시되어 있다.

    도1b에 도시된 클릭 결합 제어기의 내부 하우징(20)은 볼(32.1 내지 32.4)의 형태인 네 개의 안내 부품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간격으로 분리되는 함몰부(33)를 구비하는 벽에 둘러싸일 수 있다. 영구 자석(8.1)은 함몰부(33)의 중앙에 고정된다. 도2는 제어기의 다른 부품과 연결된 베이스의 평면도이다. 중앙에서 교차하는 적어도 두 개의 동일한 긴 홈(22.1, 22.2)의 형태인 네 개의 부품(21.1 내지 21.4)은 면(13)에서 서로를 향하고 있다. 그러한 다른 교차 홈도 역시 가능하다. 도2는 굵은 선에 의해 표시되는 두 개의 홈(22.1 및 22.2)에 더하여 첫 번째 홈에 대해서는 45°이고 서로에 대해서는 90°인 또 다른 두 개의 홈을 도시한다. 홈이 많아질수록 안내 부품(32.1 내지 32.4)의 자유도는 커진다.

    클릭 결합 제어기가 다른 자석 홀더(80)를 포함하면, 내부 하우징(20)의 플로어는 도5a에 나타난 형상으로 증대될 것이고, 따라서, 하우징은 도5b에 나타난 형상의 자석 홀더(90)에 의해 폐쇄될 것이다. 그리스 십자가 형태의 영구 자석 조립체는 자석 홀더(90)의 중앙에 위치하고, 중앙에는 영구 자석(58.1 내지 58.4)의 형태인 네 개의 암을 구비하는 필수적인 정사각형 자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암은 평행한 리지(ridge)(55.1, …, 55.n)의 빨래판형 면을 가진다. 리지(ridge)의 단면적은 정사각형이고 따라서 리지는 직사각형 함몰부에 의해 분리된다. 시스템(58)은 전제가 자석일 필요는 없지만 중앙에 정사각형 자석과, 자기적 전도 재료 특히, 철로 만들어진 암을 가질 수 있다.

    정지 상태에서, 시스템의 중앙의 정사각형 자석은 도5a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고 자석 홀더(80)와 동일한 형상의 영구 자석(48)을 향하고 있다. 그것은 정사각형이고 각 엣지(48.1, …, 48.n)에서 벽에 의해 분리된다. 벽은 자석 위로 연장한다. 자석 홀더(80)의 부드러운 내면(83)은 평면(E1)에 대해 정지한다. 정지 상태에서, 내면(83)은 코그(54)를 향한다. 홀 센서(59.1, …, 59.n)는 내면(56)에 수용된다. 이러한 센서는 영구 자석(8.1)의 다양한 위치를 감지하고, 위치를 그 후의 처리를 위한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도5 및 도6은 지능형 회전 손잡이 형태의 클릭 결합 제어기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의 로터(5)는 그 주위에 분포된 유사 코그를 구비하는 다른 로터(5')를 향한다. 코일(11)은 두 로터 사이에 수용된다. 축과 핑거형 돌기는 여기에서 특정된 형태의 핑거-터치 스위치 부품(8)을 향한다. 동시에 양 손잡이 즉, 위치정보 전달 조립체(1)를 구성하는 하우징(100)으로 축이 이음새 없이 합쳐진다. 영구 자석은 외부 코그로 45°에서 수용된다. 여기에서 특정된 형태의 위치-선택 조립체에 의해 특별한 위치가 선택된다.

    이러한 종류의 클릭 결합 제어기는 상당히 소형화될 수 있다. 능동 부품을 수용하는 하우징(100)은 도6에 도시된 하우징 보다 훨씬 평평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질적인 것은 하우징(100)이 동시에 제어 손잡이(300)를 구성하고, 하우징(100)에는 그러한 구조에 대해 종래의 홈 등의 형태로 조종이 용이한 대강의 면이 구비되는 것이다.

    도8은 지능형 손잡이의 형태인 클릭 결합 제어기를 도시한다. 그것은 정면 벽에 직접 나사 결합될 수 있는 나사홈이 형성된 연결부를 가지고 있다. 도7에 도시된 클릭 결합 제어기는 벽 외측으로 3 ㎝ 연장하고 도8에 도시된 제어기는 단지 1.3 ㎝만 연장한다. 그러한 제어기는 자동차의 디스플레이에 쉽게 일체화되거나 스티어링 휠에도 일체화가 될 수 있다.

    도8, 도10, 도11 및 도13은 도1b에 전체적으로 도시된 형태의 클릭 결합 제어기를 도시하지만 카르단식 결합이라는 점에서 다르다.

    축(5.1)은 확실히 경사 하우징 조립체(173, 184, 273, 284)의 외측으로 연장하고 작동 손잡이(30)가 제공된다.

    위치-선택 조립체(2)를 수용하는 내부 하우징(20)은 경사 하우징(173 또는 273)에 위치하고 서로를 향하는 두 개의 축 부품(181 및 191 또는 281 및 291) 주위를 회전한다. 그 결과 도1b에 도시된 클릭 결합 제어기에 대해서 카르단식 현가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어기의 부품은 도10 및 도12에 특히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도면을 보면, 위치정보 전달 조립체(1)가 축(5.1) 주위의 코일(11)을 따라 상태 정보 전달 코그(11.1, …, 11.n)와 갭(19.1, …, 19.n)을 구비하는 것이 명백하다. 또한 내부 하우징(20)에 수용된 코그(44.1, …, 44.n)와 크라운 휠(44)을 따라 위치 선택 조립체(2)도 도시되어 있다.

    경사 하우징(173 또는 273)은 중공이며 직사각형이고, 폐쇄부의 중앙을 향해 축(5.1)이 연장하는 디스크로 병합하는 연속 반구(193 또는 293)에 의해 일단부에서 폐쇄된다.

    경사 하우징(173 또는 273)을 향하는 손잡이(30)의 단부에는 반구(193 또는 293)와 맞는 반구 함몰부(194 또는 294)가 제공된다. 따라서 손잡이(30)는 하우징 주위에서 활주할 수 있다.

    경사 하우징(173 또는 273)의 개방 단부는 덮개(184 또는 284)에 의해 폐쇄된다.

    개별 상태 정보 전달 자석(190.1, …, 190.n)은 도9에 도시된 경사 하우징(173)의 상호 마주보는 벽에 수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하우징은 부가적인 위치정보 전달 조립체의 기능을 한다.

    개별 위치정보 전달 자석(290.1)은 도1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사 하우징(273)의 캡(284)에 수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하우징은 캡(284)과 관련하여 부가적인 위치정보 전달 조립체의 기능을 한다.

    개별 상태 정보 전달 자석(190.1, …, 190.n)은 각각의 자석(180.1, …, 180.n)을 향하는데, 이 각각의 자석(180.1, …, 180.n)은 다양한 내부 거리로 내부 하우징(20)에 수용된다. 각각의 자석 및 개별 위치정보 전달 자석은 영구 자석 또는 전자석일 수 있다.

    도9에 도시된 내부 하우징(20)은 각각의 자석(189.1, …, 189.n) 뿐만 아니라 내부 하우징(20)의 위치 변화에 대한 정확하고 혼란되지 않은 정보를 전달하는 홀 센서(197.1, …, 197.n)도 수용한다.

    도11은 각각의 자석(289.1) 근처의 홀 센서(297.1)를 도시한다. 또한 이러한 접근은 그 후의 처리될 수 있는 전기 신호의 형태로 내부 하우징(20)의 위치 변화로 인한 개별 정보-전달 자석(290.n)의 위치에 대해 각각의 자석(289.1)의 위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자석 및 그 폴의 특별한 배열은 내부 하우징(20)이 항상 양호하게 형성된 제한되거나 혹은 0 위치로 되게 할 것이다. 카르단식 현가는 손잡이(30)에 의해 조이스틱형 이동을 허용한다.

    도1a에 도시된 클릭 결합 제어기의 작동 방식을 이제 설명하기로 한단.

    X 또는 Y 방향으로의 손잡이(30)의 이동은 조이스틱을 사용할 때처럼 상태를 정하면서 교차 부품(21.1 내지 21.4)의 홈(22.1 및 22.2)을 따라 볼(32.1 내지 32.4)의 형태인 안내 부품을 이동시킨다. 가정된 특별한 상태가 홀 센서(59.1)에 대해 영구 자석(8.1)의 변경된 위치에 의해 감지되고, 전기 신호의 형태로 컴퓨터로 전달된다. 그러한 과정은 예를 들어 프로그램 가능한 라디오 수신기를 선택하고 표시한다.

    작동 손잡이(3)는 축의 축(A) 주위에서 위치정보 전달 조립체(1)를 회전시키면서, 회전한다. 위치정보 전달 조립체(1) 상의 코그가 위치-선택 조립체 상의 코그를 향하면, 코일(11)에 의해 가해지는 인력은 로터(5)를 현재 위치에 보유할 것이다. 이러한 접근은 여러 방송국이 특별한 밴드에 단속적으로 홀 요소(60.1)의 도움으로 튜닝되도록 하고 그 이름과 주파수가 표시되도록 할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빙판길 등과 같은 운전 조건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방송국이 특히 운전자들에게 중요하다. 자동차가 주행하는 특별한 구역을 커버하는 방송국을 직접 선택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특정 방송국은 축(A)을 따라서 손잡이(30)를 눌러서 선택될 수 있는데, 핑거형 돌기(42)는 자기 핑거-터치 스위치 부품(8)을 자기적 전도 부품(28)으로부터 분리할 것이다. 이러한 압력은 제2 로터(40)의 작동에 의해 제한될 것이다. 자기 핑거-터치 스위치 부품(8)의 변경된 위치는 홀 센서(58)에 의해 감지될 것이고, 야기된 전기 신호는 선택된 방송국에서 로킹되면서 컴퓨터에 의해 확인될 것이다.

    손잡이(30)에 의해 압력이 작용되면, 부품(28)은 자기 핑거-터치 스위치 부품(8)에 의해 다시 당겨질 것이고, 위치정보 전달 조립체(1)가 원래 위치로 복귀되도록 힘을 가한다. 자기 핑거-터치 스위치 부품 및 자기적 전도 부품(28)의 조합은 종래의 스프링을 대체한다. 그러한 조합의 장점은 오작동을 할 수 없고 스프링처럼 부서지지도 않는다는 것이다.

    손잡이를 해제하는 것은 영구 자석(8.1)을 영구 자석(38) 위에서 활주시켜서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킬 것이다. 한편으로 위치정보 전달 조립체(1)는 정지 위치를 유지할 것이고, 방송국이 정지하거나 튜닝이 안되면, 통상적인 확인과 함께 손잡이(30)룰 전진시켜서 다시 호출한다.

    X 또는 Y 방향으로의 손잡이(13)의 이동은 손잡이가 축(A) 주위에서 회전할 때 표시된 어드레스를 통해 정렬할 수 있는 다른 기본 프로그램을 정하고, 손잡이가 축을 따라 전진하면 하나의 어드레스를 인정하거나 선택할 것이다. 이러한 어드레스는 스크린에 표시될 뿐만 아니라 일단 선택되면, 일정한 속력을 유지하는 것과 같은 특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된 클릭 결합 제어기는 제한된 공간에서도 장점을 발휘하면서 도8에 표시된 치수로 제작될 수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