首页 / 专利库 / 农用化学品和农药 / 农作物保护 / 农药 / 杀虫剂 / 항노화활성을 가지는 코지산 유도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항노화활성을 가지는 코지산 유도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阅读:667发布:2023-12-21

专利汇可以提供항노화활성을 가지는 코지산 유도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专利检索,专利查询,专利分析的服务。并且PURPOSE: A kojic acid derivative with an anti-aging activity and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are provided to promote antioxidative activity and collagen production. CONSTITUTION: A kojic derivative compound with an anti-aging activity is denoted by chemical formula 1. In chemical formula 1, R1 is S, SO, or SO_2; and R2 is hydrogen, hydroxy group, or methoxy group. A method for preparing the kojic acid derivative comprises a step of reacting benzene thiol, hydroxyl benzene thiol, or methoxy benzene thiol with kojic acid chloride at 10-80°C to prepare a compound of chemical formula II. A cosmetic composition for anti-aging contains 0.1-10 wt% of the compound of chemical formula 1.,下面是항노화활성을 가지는 코지산 유도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专利的具体信息内容。

  • 항노화활성을 가지는 하기 화학식 1의 코지산 유도체 화합물.
    [화학식 1]

    (상기 화학식에서
    R 1 은 S, SO 또는 SO 2 이고, R 2 는 수소, 히드록시기 또는 메톡시기이다)
  • 피리딘 또는 트리에틸아민의 유기염기의 존재 하에서, 염화코지산과 벤젠티올, 히드록시 벤젠티올 및 메톡시 벤젠티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것을 반응온도 10~80℃에서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II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화학식 1의 코지산유도체의 제조방법.
  • 피리딘 또는 트리에틸아민의 유기염기의 존재 하에서, 염화코지산과 벤젠티올, 히드록시 벤젠티올 및 메톡시 벤젠티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것을 반응온도 10~80℃에서 반응시켜 화학식 II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화학식 II 화합물과 동일 당량의 메타클로로퍼벤조익산(MCPBA)을 25~28℃에서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III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화학식 1의 코지산유도체의 제조방법.
  • 피리딘 또는 트리에틸아민의 유기염기의 존재 하에서, 염화코지산과 벤젠티올, 히드록시 벤젠티올 및 메톡시 벤젠티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것을 반응온도 10~80℃에서 반응시켜 화학식 II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화학식 II 화합물과 2.0~2.5배 당량의 메타 옥손(Oxone)을 반응온도 25~50℃에서 테라하이드로퓨란, 아세톤 및 디옥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용매와 물이 동일 비율로 혼합된 용매에서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IV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화학식 1의 코지산유도체의 제조방법.
  • 하기 화학식 1화합물을 화장료조성물 전 중량에 대하여 0.1~10중량% 포함하는 항노화용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상기 화학식에서
    R 1 은 S, SO 또는 SO 2 이고, R 2 는 수소, 히드록시기 또는 메톡시기이다)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활성을 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콜라겐 생합성 촉진활성을 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 说明书全文

    항노화활성을 가지는 코지산 유도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Kojic acid derivative having antiaging activity,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항노화 활성을 가지는 하기 화학식 1의 코지산 유도체 화합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에서

    R 1 은 S, SO 또는 SO 2 이고, R 2 는 수소, 히드록시기 또는 메톡시기이다.

    피부는 인체의 일차 방어막으로 체내의 제기관을 온도 및 습도 변화와 자외선, 공해물질 등 외부 환경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해 주며 체온조절 등의 생체 항상성 유지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외부로부터 받는 과도한 물리적 화학적 자극 및 스트레스 영양결핍 등은 피부의 정상적인 기능을 저하시키고, 탄력손실, 각질화, 주름생성 등의 피부노화현상을 촉진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고 보다 건강하고 탄력있는 피부를 유지하기 위해서 종래 각종 식물, 미생물 등으로부터 얻은 생리활성물질들이 강화된 화장품을 사용함으로써 피부의 고유기능을 유지시키고 피부세포를 활성화시켜 피부노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한 노력이 있어 왔다. 그러나 기존의 화장품 원료들은 대부분 효능이 미진하거나 피부 부작용을 유발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피부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피부 노화 방지효과를 갖는 원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서, 신규 코지산 유도체들을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 사용하여 우수한 피부 노화 방지 효과를 발견하였다.

    코지산은 아스페르길러스(Aspergillus)균 등의 균주를 배양하여 얻는 물질로서, 인체 피부의 색조를 결정하는 중요인자인 멜라닌을 형성하는데 관여하는 티로시나제 효소의 활성을 강하게 억제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코지산의 활성 기작은 코지산의 5-위치의 히드록시기와 4-위치의 카르보닐기가 티로시나제에 함유되어 있는 구리이온과 킬레이트를 형성하여 티로시나제의 멜라닌 형성 작용을 저해 함으로서 이루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코지산 유도체들이 티로시나제 활성을 높이려는 목적으로 합성되어 연구되었다. 하지만 티로시나제 억제 효과 이외의 다른 효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진행된 바가 없다.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코지산 유도체를 합성하여 효과를 시험하였으며, 본 발명에 따른 코지산유도체 화합물이 항산화효과 및 콜레스테롤 생합성촉진효과가 우수하여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이용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항노화활성을 가지는 코지산 유도체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지산 유도체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코지산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피부세포에서의 항산화 효과와 콜라겐 생성 촉진효과가 우수한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항노화 활성을 가지는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코지산 유도체 화합물이 제공된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에서

    R 1 은 S, SO 또는 SO 2 이고, R 2 는 수소, 히드록시기 또는 메톡시기이다.

    상기 화학식에서 R 1 이 SO 또는 SO 2 인 코지산 유도체 화합물은 보다 안정한 형태의 화합물이므로 제형 내에서 보다 안정하다.

    상기 화합물은 염화 코지산과 벤젠티올, 히드록시 벤젠티올 또는 메톡시 벤젠티올을 염기의 존재 하에 반응시키고, 특정조건하에서 산화제를 사용하여 산화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코지산 유도체 화합물을 화장료조성물 전 중량에 대하여 0.1~10중량% 포함하는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코지산 유도체들은 피부세포에서의 항산화 효과와 콜라겐 생성 촉진효과가 우수하므로 피부주름 개선 및 항노화 화장료조성물로써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항노화 활성을 가지는 하기 화학식 1의 코지산 유도체 화합물이 제공된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에서

    R 1 은 S, SO 또는 SO 2 이고, R 2 는 수소, 히드록시기 또는 메톡시기이다.

    상기 코지산유도체 화합물은 하기의 반응식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

    [반응식 2]

    [반응식 3]


    상기 반응식에서 R 2 는 수소, 히드록시기 또는 메톡시기이다.

    이하 상기 반응식들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반응식 1은 염화 코지산으로부터 상기 화학식 II의 황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을 나타낸다. 염화 코지산과 벤젠티올, 히드록시 벤젠티올 및 메톡시 벤젠티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것을 유기염기의 존재 하에서 반응시켜 상기 화학식 II의 황화합물을 제조한다. 유기염기로서 피리딘, 트리에틸아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유기용매로는 디클로메탄, 클로로포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등이 사용 가능하다. 반응온도 10~80℃, 바람직하게는 약 40℃에서 반응시킨다.

    상기 반응식 2는 상기 반응식 1에서 제조된 황화합물을 산화시켜 상기 화학식 III의 술폭사이드 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단계에서 제조된 화학식 II 화합물의 황그룹을 산화제인 메타클로로퍼벤조익산(MCPBA)을 사용하여 산화시켜 슬폭사이드(Sulfoxide) 화합물로 전환시킨다. 이 때 산화제로는 메타클로로퍼벤조익산(MCPBA)을 정확히 화학식 II 화합물에 대해서 당량만큼 사용해야 한다. 유기용매로는 디클로메탄, 클로로포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등이 사용 가능하다. 반응온도는 25~28℃ 정도가 바람직하다. 온도가 이보다 높을 경우 술폰(Sulfone) 화합물이 생성될 수 있고 이보다 낮을 경우는 미반응물이 생성 될 수 있다.

    상기 반응식 3은 상기 반응식 1에서 제조된 황화합물을 산화시켜 상기 화학식 IV의 술폰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단계에서 제조된 화학식 II 화합물의 황그룹을 산화제인 옥손(Oxone)을 사용하여 산화시켜 술폰(Sulfone) 화합물로 전환시킨다. 산화제로는 메타 옥손(Oxone)을 화학식 II 화합물에 대해서 2.0~2.5배 당량, 바람직하게는 2.2배당량 만큼 사용해야 한다. 용매로는 유기 용매인 테라하이드로퓨란, 아세톤, 디옥산 등과 물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물과 유기용매의 혼합 비율은 1 : 1 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반응온도는 25 ~ 50℃가 바람직하다. 이보다 온도가 낮은 경우 술폭사이드(Sulfoxide) 화합물이 함께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코지산 화합물은 피부주름 및 항산화에 우수한 효과를 보이므로 항노화용 화장료조성물에 유용하게 적용 될 수 있다. 상기 반응식 2 및 3에서 제조되는 술폭사이드(Sulfoxide)와 술폰(Sulfone)화합물은 반응식 1의 화합물 보다 안정한 형태의 화합물이므로 화장품 등의 제형내에서 보다 안정하다.

    본 발명에 따른 코지산 유도체 화합물은 피부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데,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다.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바디에센스, 메이컵 베이스, 파운데이션, 염모제, 샴푸, 린스, 바디 세정제, 연고, 패치 또는 분무제 등의 화장료 조성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들 각 제형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5-히드록시-2-((페닐티오)메틸)-4H-피란-4-온의 합성

    테트라하이드로퓨란 200mL에 클로로코지산(10.0g), 벤젠티올(7.5g), 트리에틸아민(7.5g)을 넣고 반응온도를 40℃로 오려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것을 TLC로 확인하고 농축하여 고체화합물을 얻었다. 이를 다시 초산에틸 500mL에 녹여 5% HCl 수용액 (100mL)으로 2회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켜 절반으로 농축하여 석출되는 결정을 여과하여 순수한 목적물 11.5g(수율 79%)을 얻었다.

    1 H NMR (300MHz, DMSO-d 6 ): 9.07 (s, 1H), 7.97 (s, 1H), 7.26 - 7.35 (m, 5H), 6.21 (s, 1H), 4.10 (s, 2H).

    실시예 2:2-((4-히드록시페닐티오)메틸)-5-히드록시-4H-피란-4-온의 합성

    벤젠티올 대신에 4-히드록시 벤젠티올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10.1g, 70%)을 수득하였다.

    1 H NMR (300MHz, DMSO-d 6 ) : 9.76 (s, 1H), 9.02 (s, 1H), 7.95 (s,1H), 7.17 (d, 2H, J = 8.4 Hz), 6.68 (d, 2H, J = 8.4 Hz), 5.98 (s, 1H), 3.84 (s, 2H).

    실시예 3:2-((3-히드록시페닐티오)메틸)-5-히드록시-4H-피란-4-온의 합성

    벤젠티올 대신에 3-히드록시 벤젠티올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10.0g, 65%)을 수득하였다.

    1 H NMR (300MHz, DMSO-d 6 ) : 9.62 (s, 1H), 9.08 (s, 1H), 8.03 (s,1H), 7.11 (m, 1H), 6.76 (m, 2H), 6.61 (d, 1H, J = 8.1 Hz), 6.28 (s, 1H), 4.10 (s, 2H).

    실시예 4:2-((2-히드록시페닐티오)메틸)-5-히드록시-4H-피란-4-온의 합성

    벤젠티올 대신에 2-히드록시 벤젠티올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11.2g, 72%)을 수득하였다.

    1 H NMR (300MHz, DMSO-d 6 ) : 10.02 (s, 1H), 9.10 (s, 1H), 7.97 (s, 1H), 7.21 (d, 1H, J = 7.5 Hz), 7.10 (m, 1H), 6.83 (d, 1H, J = 8.1 Hz), 6.74 (m, 1H), 6.14 (s, 1H), 4.00 (s, 2H).

    실시예 5:2-((4-메톡시페닐티오)메틸)-5-히드록시-4H-피란-4-온의 합성

    벤젠티올 대신에 4-메톡시 벤젠티올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13.2g, 80%)을 수득하였다.

    1 H NMR (300MHz, DMSO-d 6 ) : 9.02 (s, 1H), 7.96 (s, 1H), 7.29 (d, 2H, J = 8.4 Hz), 6.87 (d, 2H, J = 8.4 Hz), 6.04 (s, 1H), 3.92 (s, 2H), 3.69 (s, 3H).

    실시예 6:2-((3-메톡시페닐티오)메틸)-5-히드록시-4H-피란-4-온의 합성

    벤젠티올 대신에 3-메톡시 벤젠티올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13.4g, 82%)을 수득하였다.

    1 H NMR (300MHz, DMSO-d 6 ) : 9.12 (s, 1H), 8.03 (s, 1H), 7.23 (m, 1H), 6.92 (m, 2H), 6.79 (d, 1H, J = 7.5 Hz), 6.29 (s, 1H), 4.18 (s, 2H), 3.73 (S, 3H).

    실시예 7:2-((2-메톡시페닐티오)메틸)-5-히드록시-4H-피란-4-온의 합성

    벤젠티올 대신에 2-메톡시 벤젠티올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12.3g, 75%)을 수득하였다.

    1 H NMR (300MHz, DMSO-d 6 ) : 9.02 (s, 1H), 8.00 (s, 1H), 7.27 (m, 2H), 7.02 (d, 1H, J = 7.5 Hz), 6.90 (m, 1H), 6.20 (s, 1H), 4.04 (s, 2H), 3.80 (s, 3H).

    실시예 8:5-히드록시-2-((페닐설피닐)메틸)-4H-피란-4-온의 합성

    실시예 1에서 얻어진 5-히드록시-2-((페닐티오)메틸)-4H-피란-4-온(10g)을 메틸렌클라이드 200mL에 용해 시킨 후 메타클로로퍼벤조익산(MCPBA) 7.3g을 넣고 상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것을 TLC로 확인하고 농축하여 고체화합물을 얻었다. 이를 다시 초산에틸 200mL에 녹여 5% HCl 수용액(100mL)으로 2회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켜 절반으로 농축하여 석출되는 결정을 여과하여 순수한 목적물 9.4g(수율 88%)을 얻었다.

    1 H NMR (300MHz, DMSO-d 6 ) : 9.20 (s, 1H), 7.86 (s, 1H), 7.60 - 7.48 (m, 5H), 6.13 (s, 1H), 4.32 (d, 1H, J = 13.5 Hz), 4.15 (d, 1H, J = 13.5 Hz).

    실시예 9:5-히드록시-2-((4-히드록시페닐설피닐)메틸)-4H-피란-4-온의 합성

    실시예 2에서 얻어진 5-히드록시-2-((4-히드록시페닐티오)메틸)-4H-피란-4-온(20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9.1g, 80%)을 얻었다.

    1 H NMR (300MHz, DMSO-d 6 ) : 10.21 (s, 1H), 9.18 (s, 1H), 7.91(s, 1H), 7.43 (d, 2H, J = 8.4 Hz), 6.90 (d, 2H, J = 8.4 Hz), 6.13 (s, 1H), 4.18 (d, 1H, J = 13.5 Hz), 4.10 (d, 1H, J = 13.5 Hz).

    실시예 10:5-히드록시-2-((3-히드록시페닐설피닐)메틸)-4H-피란-4-온의 합성

    실시예 3에서 얻어진 5-히드록시-2-((3-히드록시페닐티오)메틸)-4H-피란-4-온(20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8.8g, 78%)을 얻었다.

    1 H NMR (300MHz, DMSO-d 6 ) : 10.00 (s, 1H), 9.17 (s, 1H), 7.90 (s, 1H), 7.39 (m, 1H), 6.97 (m, 2H), 6.85 (d, 1H, J = 8.1 Hz), 6.16 (s, 1H), 4.24 (d, 1H, J = 13.5 Hz), 4.09 (d, 1H, J = 13.5 Hz).

    실시예 11:5-히드록시-2-((2-히드록시페닐설피닐)메틸)-4H-피란-4-온의 합성

    실시예 4에서 얻어진 5-히드록시-2-((2-히드록시페닐티오)메틸)-4H-피란-4-온(20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9.4g, 83%)을 얻었다.

    1 H NMR (300MHz, DMSO-d 6 ) : 10.82 (s, 1H), 9.06 (s, 1H), 7.83 (s, 1H), 7.34 (m, 2H), 6.97 (m, 2H), 6.09 (s, 1H), 4.30 (d, 1H, J = 13.5 Hz), 4.03 (d, 1H, 13.5 Hz).

    실시예 12:5-히드록시-2-((4-메톡시페닐설피닐)메틸)-4H-피란-4-온의 합성

    실시예 5에서 얻어진 5-히드록시-2-((4-메톡시페닐티오)메틸)-4H-피란-4-온(20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9.5g, 80%)을 얻었다.

    1 H NMR (300MHz, DMSO-d 6 ) : 9.20 (s, 1H), 7.90 (s, 1H), 7.53 (d, 2H, 8.4 Hz), 7.10 (d, 2H, J = 8.4 Hz), 6.15 (s, 1H), 4.25 (d, 1H, J = 13.5 Hz), 4.13 (d, 1H, J = 13.5 Hz), 3.81 (s, 3H).

    실시예 13:5-히드록시-2-((3-메톡시페닐설피닐)메틸)-4H-피란-4-온의 합성

    실시예 6에서 얻어진 5-히드록시-2-((3-메톡시페닐티오)메틸)-4H-피란-4-온(20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9.5g, 80%)을 얻었다.

    1 H NMR (300MHz, DMSO-d 6 ) : 9.20 (s, 1H), 7.89 (s, 1H), 7.43 (m, 1H), 7.14 (m, 3H), 6.15 (s, 1H), 4.26 (d, 1H, J = 13.5 Hz), 4.09 (d, 1H, J = 13.5 Hz), 3.77 (s, 3H).

    실시예 14:5-히드록시-2-((2-메톡시페닐설피닐)메틸)-4H-피란-4-온의 합성

    실시예 7에서 얻어진 5-히드록시-2-((2-메톡시페닐티오)메틸)-4H-피란-4-온(20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8.3g, 70%)을 얻었다.

    1 H NMR (300MHz, DMSO-d 6 ) : 9.12 (s, 1H), 7.82 (s, 1H), 7.59 (m, 1H), 7.41 (d, 1H, J = 7.5 Hz), 7.20 (m, 2H), 6.07 (s, 1H), 4.25 (d, 1H, J = 13.5 Hz), 4.04 (d, 1H, J = 13.5 Hz), 3.86 (s, 3H).

    실시예 15:5-히드록시-2-((페닐슬포닐)메틸)-4H-피란-4-온의 합성

    실시예 1에서 얻어진 5-히드록시-2-((페닐티오)메틸)-4H-피란-4-온(10g)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과 물의 1 : 1 혼합액 200 mL에 용해시킨 후 옥손(Oxone) 39g을 넣고 상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것을 TLC로 확인하고 농축하여 고체화합물을 얻었다. 이를 다시 초산에틸 200mL에 녹여 5% HCl 수용액(100mL)으로 2회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켜 절반으로 농축하여 석출되는 결정을 여과하여 순수한 목적물 7.9g(수율 70%)을 얻었다.

    1 H NMR (300MHz, DMSO-d 6 ) : δ 9.32 (s, 1H), 7.96 (s, 1H), 7.65 - 7.84 (m, 5H), 6.22 (s, 1H), 4.83 (s, 2H).

    실시예 16:5-히드록시-2-((4-히드록시페닐슬포닐)메틸)-4H-피란-4-온의 합성

    실시예 2에서 얻어진 5-히드록시-2-((4-히드록시페닐티오)메틸)-4H-피란-4-온(20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9.6g, 80%)을 얻었다.

    1 H NMR (300MHz, DMSO-d 6 ) : δ 10.75 (s, 1H), 9.29 (s, 1H), 7.98 (s, 1H), 7.62 (d, 2H, J = 8.4 Hz), 6.95 (d, 2H, J = 8.4 Hz), 619(s, 1H), 4.68 (s, 2H).

    실시예 17:5-히드록시-2-((3-히드록시페닐슬포닐)메틸)-4H-피란-4-온의 합성

    실시예 3에서 얻어진 5-히드록시-2-((3-히드록시페닐티오)메틸)-4H-피란-4-온(20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9.6g, 80%)을 얻었다.

    1 H NMR (300MHz, DMSO-d 6 ) : δ 10.30 (s, 1H), 9.32 (s, 1H), 7.98 (s, 1H), 7.45 (m, 1H), 7.22 (d, 1H, J = 7.5 Hz), 7.11 (m, 2H), 6.23 (s, 1H), 4.77 (s, 2H).

    실시예 18:5-히드록시-2-((2-히드록시페닐슬포닐)메틸)-4H-피란-4-온의 합성

    실시예 4에서 얻어진 5-히드록시-2-((2-히드록시페닐티오)메틸)-4H-피란-4-온(20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8.4g, 70%)을 얻었다.

    1 H NMR (300MHz, DMSO-d 6 ) : δ 11.39 (s, 1H), 9.28 (s, 1H), 7.94 (s, 1H), 7.58 (m, 2H), 7.09 (d, 1H, J = 7.5 Hz), 6.96 (m, 1H), 6.26 (s, 1H), 4.78 (s, 2H).

    실시예 19:5-히드록시-2-((4-메톡시페닐슬포닐)메틸)-4H-피란-4-온의 합성

    실시예 5에서 얻어진 5-히드록시-2-((4-메톡시페닐티오)메틸)-4H-피란-4-온(20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 (10.1g, 80%)을 얻었다.

    1 H NMR (300MHz, DMSO-d 6 ) : 9.31 (s, 1H), 7.98 (s, 1H), 7. 74(d, 2H, J = 8.4 Hz), 7.72 (d, 2H, J = 8.4 Hz), 6.22 (s, 1H), 4.75 (s, 2H), 3.86 (s, 3H).

    실시예 20:5-히드록시-2-((3-메톡시페닐슬포닐)메틸)-4H-피란-4-온의 합성

    실시예 6에서 얻어진 5-히드록시-2-((3-메톡시페닐티오)메틸)-4H-피란-4-온(20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8.8g, 70%)을 얻었다.

    1 H NMR (300MHz, DMSO-d 6 ) : 9.28 (s, 1H), 7.99 (s, 1H), 7.60 (m, 1H), 7.20 - 7.39 (m, 3H), 6.23 (s, 1H), 4.84 (s, 2H), 3.83 (s, 3H).

    실시예 21:5-히드록시-2-((2-메톡시페닐슬포닐)메틸)-4H-피란-4-온의 합성

    실시예 6에서 얻어진 5-히드록시-2-((2-메톡시페닐티오)메틸)-4H-피란-4-온(20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10.1g, 80%)을 얻었다.

    1 H NMR (300MHz, DMSO-d 6 ) : 9.25 (s, 1H), 7.94 (s, 1H), 7.71 (m, 2H), 7.34 (d, 1H, J = 7.5 Hz), 7.16 (m, 1H), 6.27 (s, 1H), 4.79 (s, 2H), 3.97 (s, 3H).

    시험예 1:HaCat 모델을 이용한 항산화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 ~ 21에서 제조한 코지산 유도체들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인간 각질세포 HaCaT 세포주를 60mm 디쉬당 1.0x10 6 개로 분주하고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DMEM(FBS 10%)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 2 조건에서 1일간 배양한 후 벤즈아미드 유도체를 10 -4 몰농도로 처리하였고 토코페롤, 레스베라트롤도 동일한 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상기 조성물과 동시에 4mM의 BHT(t-butyl hydroperoxide)를 처리한 후 37℃, 5% CO 2 조건에서 4시간 동안 배양 후 세포를 수득하였다. 상기 세포는 냉동/해동 공정을 반복하는 방법(freeze/thawing)으로 용해(lysis)하였으며, 이하의 시험은 분석 키트(assay kit)에 나와 있는 방법에 준하여 시행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칼바이오켐 지질과산화분석키트(Calbiochem Lipid peroxidation assay kit; Cat. No. 437634)를 시약으로 사용하였고, 말론디알데하이드(malondialdehyde, MDA) 및 4-히드록시알케날(hydoxyalkenals; 4-hydroxy-2(E)-nonenal, 4-HNE)과 같은 장쇄 불포화지방산과 연관된 에스테르의 과산화물이 상기 시약과 반응하여 586nm에서 안정한 화합물을 형성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지질과산화(lipid peroxidation)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물질 MDA, HNE 물질 MAD, HNE
    비처리군 100 실시예 10 167
    t-BHT 320 실시예 11 165
    코지산 280 실시예 12 180
    실시예 1 200 실시예 13 160
    실시예 2 160 실시예 14 165
    실시예 3 165 실시예 15 170
    실시예 4 162 실시예 16 165
    실시예 5 175 실시예 17 158
    실시예 6 180 실시예 18 155
    실시예 7 181 실시예 19 190
    실시예 8 190 실시예 20 188
    실시예 9 161 실시예 21 170

    상기 표 1의 항산화시험 결과로부터 실시예 1 ~ 21에서 제조한 코지산 유도체들은 코지산 보다 높은 항 산화 효능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실시예 2, 3, 4, 9, 10, 11, 16, 17, 18과 같이 벤젠링에 히드록시 그룹을 가지는 화합물이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2: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

    상기 실시예 1 ~ 21 로부터 얻은 코지산 유도체들의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를 코지산과 비교 측정하였다. 콜라겐 생합성 촉진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fibroblast)를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96-well microplate)의 각 웰(well)에 1X10 4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여 디엠이엠(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한다. 배양 후 상기에서 제조한 실시예들의 코지산 유도체를 최종농도 500㎍/ml되도록 조정한 혈청이 없는 디엠이엠 배지로 교체한 후 48시간 더 배양한다. 배양 마지막 24시간 전에 아스코르빅산 50㎍/ml을 첨가하여 콜라겐 합성을 촉진시킨다. 배양 후 각 웰을 세척하고 혈청이 함유되지 않은 디엠이엠 배지로 교체한 후 24시간 더 배양한다. 배양 후 각 웰의 상층액을 모아 프로콜라겐 타입 아이씨-펩타이드(PICP, Type-I C-peptide)양을 키트(Kit, Takara, Kyoto, Japan)를 이용하여 새로 합성된 콜라겐 양을 PICP 양으로 측정하였으며 PICP 양은 ng/2X10 4 세포로 환산하여 콜라겐의 합성효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물질 (500㎍/ml) 콜라겐 합성량
    (ng/2X10 4 )
    물질 (500㎍/ml) 콜라겐 합성량
    (ng/2X10 4 )
    대조군 100 실시예 11 118
    코지산 105 실시예 12 120
    실시예 1 135 실시예 13 117
    실시예 2 137 실시예 14 120
    실시예 3 136 실시예 15 119
    실시예 4 130 실시예 16 124
    실시예 5 128 실시예 17 130
    실시예 6 127 실시예 18 135
    실시예 7 130 실시예 19 127
    실시예 8 134 실시예 20 126
    실시예 9 122 실시예 21 130
    실시예 10 129

    상기 표 2의 콜라겐 생합성 촉진 결과로부터 실시예 1 ~ 21에서 제조한 코지산 화합물들은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가 우수한 화합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코지산의 경우는 미미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제형예 1: 영양화장수(밀크로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코지산 유도체 화합물을 함유하는 영양화장수를 하기 표 3의 조성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히아루론산 추출물 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코지산 유도체 화합물(실시예 1) 2.0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8.0
    스쿠알란 5.0
    세테아릴 글루코상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세테아릴 알코올 1.0
    방부제 적량
    적량
    색소 적량
    트리에탄올아민 0.1
    정제수 잔량

    제형예 2:영양크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코지산 유도체 화합물을 함유하는 영양크림을 하기 표 4의 조성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유동파라핀 7.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코지산 유도체 화합물(실시예 1) 1.0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5.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폴리솔베이트 60 1.2
    방부제 적량
    적량
    색소 적량
    트리에탄올아민 0.1
    정제수 잔량

    제형예 3:맛사지 크림의 제조

    상기 실시예 9에서 제조한 코지산 유도체 화합물을 함유하는 영양크림을 하기 표 5의 조성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유동파라핀 4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코지산 유도체 화합물(실시예 9) 2.0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밀납 4.0
    세테아릴 글루코상이드 1.5
    세스퀴 올레인산 소르비탄 0.9
    바세린 3.0
    방부제 적량
    적량
    색소 적량
    파라핀 1.5
    정제수 잔량

    제형예 4:연고의 제조

    상기 실시예 9에서 제조한 코지산 유도체 화합물을 함유하는 연고를 하기 표 6의 조성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유동파라핀 1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코지산 유도체 화합물(실시예 9) 1.0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1.0
    세테아릴 글루코상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세테아릴 알코올 1.0
    방부제 적량
    적량
    색소 적량
    밀납 4.0
    정제수 잔량

    高效检索全球专利

    专利汇是专利免费检索,专利查询,专利分析-国家发明专利查询检索分析平台,是提供专利分析,专利查询,专利检索等数据服务功能的知识产权数据服务商。

    我们的产品包含105个国家的1.26亿组数据,免费查、免费专利分析。

    申请试用

    分析报告

    专利汇分析报告产品可以对行业情报数据进行梳理分析,涉及维度包括行业专利基本状况分析、地域分析、技术分析、发明人分析、申请人分析、专利权人分析、失效分析、核心专利分析、法律分析、研发重点分析、企业专利处境分析、技术处境分析、专利寿命分析、企业定位分析、引证分析等超过60个分析角度,系统通过AI智能系统对图表进行解读,只需1分钟,一键生成行业专利分析报告。

    申请试用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