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 |
Motion estimation using orthogonal conversion-domain block matching |
JP2004063256 |
2004-03-05 |
JP2004229315A |
2004-08-12 |
ZHU DANIEL Q |
<P>PROBLEM TO BE SOLVED: To provide a block matching system for matching a motion block in one video image frame to a matching block in the other video image frame. <P>SOLUTION: The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Hadamard transform processors which transform the motion block and a plurality of trial matching blocks from the other video image frame. The converted matching blocks are then compared to the converted motion block, and the converted matching block which has the smallest difference relative to the converted motion block is determined. The matching block which corresponds to the determined converted matching block is selected as the matching block for the motion block. The block matching system can convert the motion blocks having different numbers of rows and columns. <P>COPYRIGHT: (C)2004,JPO&NCIPI |
62 |
Device for motion estimation for block matching |
JP34607396 |
1996-12-25 |
JPH09200765A |
1997-07-31 |
FURANSOWA ARUBIN; MAIKERU NII |
PROBLEM TO BE SOLVED: To estimate the motion of a video image through block matching in order to calculate an error between picture elements for each block of the image by specifying a processing circuit for each candidate of a motion vector. SOLUTION: Five pairs or groups of circuits for calculating the error integrated for each block of the pair of motion vector candidates having similar horizontal components are requested to perform a matching processing operation. Respective such circuits 8i of these processing circuits receive video inputs V1i and V2i concerning luminance. An output Si of each circuit is connected to an input Ei+1 of the next circuit. The output Si of the final circuit 8i is defined as the output of a processing group and connected to the input of a FIFO memory 9, and the output of this memory is connected to the input of a 1st circuit 8 of chain. Thus sum of these results provided by the output of the processing circuit 8i after the processing of line of the applied block is transferred into one FIFO memory 9 within the time for calculating the partial sum of the next block. |
63 |
Method for estimating image motion by block matching |
JP3380595 |
1995-02-22 |
JPH07262381A |
1995-10-13 |
SUTEIIBUN CHIYAARUZU SUU; PADOMANABUHAN ANANDAN |
PURPOSE: To provide a block matching method for generating motion vectors. CONSTITUTION: Block matching is performed on images having continuously rising resolution by improving motion vectors which are decided to images having lower resolution. In each image having rising resolution, a search area is defined in a limited search range by the motion vector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image area at the search having the next lower resolution. At at least one level of image resolution, a search block is overlapped so that a plurality of search areas in the limited search range can be obtained (2081 ,2 ) and block matching search is performed on each block at the next higher level. |
64 |
Motion estimation using orthogonal transformation/ domain block matching |
JP2000016921 |
2000-01-26 |
JP2000222587A |
2000-08-11 |
ZHU DANIEL Q |
PROBLEM TO BE SOLVED: To make an operating block in a video image frame match with a matching block in the other video image frame by selecting a specified trial matching block as a matching block. SOLUTION: The operating block from a present frame 21O is mapped to the matching block from the next frame 212. The operating block is generated by transforming the operating block composed of pixel values while using orthogonal transforming operation, and plural trial matching blocks are selected from a second image. The respective trial matching blocks are transformed while using the orthogonal transforming operation and plural correspondent transformed matching blocks are generated. The plural dimensions of differences between the transformed operating block and the respective plural transformed matching blocks are generated and the trial matching block corresponding to the transformed matching block having the dimension of a difference as the minimum dimension is selected as the matching block. |
65 |
가변 크기 블록 매칭 기반의 모션 추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비디오 인코딩 장치 |
KR1020090126232 |
2009-12-17 |
KR1020110069482A |
2011-06-23 |
정제창; 조영섭 |
PURPOSE: A motion estimating method and video encoding apparatus are provided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an image pixel according to the motion estimation of a variable sized block and to considerably reduce the quantity of operation. CONSTITUTION: A partition division unit(110) partitions an input frame into a plurality of partitions. An optimal selecting unit(130) selects an optimal mode of a plurality of main modes. A skip determination unit(140) skips a sub mode. A motion estimation unit(150) estimates motion of a current partition in a skipped mode. A motion compensation unit(160) performs motion compensation of a reference frame. |
66 |
블록 정합 움직임 추정을 위한 적응적 예측 방향성 탐색방법 |
KR1020000043348 |
2000-07-27 |
KR1020020010171A |
2002-02-04 |
곽진석; 이명호; 안치득; 남재열 |
PURPOSE: An adaptive prediction directivity searching method for block matching motion estimation, which estimates motion vector using time correlation in continuous frames of a motion picture and spatial correlation between blocks in the current frame, is provided to improve compression performance and prevent local searching caused by insufficient information. CONSTITUTION: A motion direction of the current frame block is calculated using motion vector of the previous frame block and motion vector of the previous blocks in the current frame. The first search point is calculated in the calculated motion direction of the current frame block. A search area is set based on the first search point, and motion vector is found from search points constructing the searching area. |
67 |
가산투영을 이용한 2단계 블럭정합 움직임 추정기 |
KR1019960009562 |
1996-03-30 |
KR100225065B1 |
1999-10-15 |
최종찬; 이철동; 조위덕; 반성범; 채승수; 박래홍; 임신일 |
본 발명은 영상의 움직임 정도를 나타내는 움직임 벡터를 가산투영을 이용한 2단계 블럭정합 방법에 의하여 실시간적으로 검출하는 가산투영을 이용한 2단계 블럭정합 움직임 추정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가산투영을 이용한 2단계 블럭정합 움직임 추정기는 현재영상 데이터 블럭 및 이전영상 데이터 블럭에 대한 수평가산투영값들을 계산하는 수평가산투영값 계산수단과, 상기 수평 및 수직가산투영값들을 이용하여 제1왜곡함수값들을 계산하는 수직가산투영값 및 제1왜곡함수값 계산수단과 상기 수평간산투영값들 및 상기 제1왜곡함수값들을 입력하여 지연출력시키기 위한 데이터 지연수단과, 상기 제1왜곡함수값들중 최소값을 판별하여 제1정합점을 출력하는 제1정합점 블럭수단과, 제2왜곡함수값들을 계산하는 제2왜곡함수값 계산수단 � �� 상기 제2왜곡함수값들 중에서 최소값을 판별하여 제2정합점 즉, 움직임 벡터를 출력하는 제2정합점 출력수단을 포함하여 종래의 전역탐색 블럭정합 알고리즘에 비하여 성능저하는 거의 없는 반면에 계산량을 줄임으로써 실시간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
68 |
가중 함수를 이용한 블록 매칭 움직임 추정 장치 |
KR1019950003960 |
1995-02-28 |
KR100174446B1 |
1999-03-20 |
정해묵 |
본 발명의 블록 매칭 움직임 추정 장치는 이전 프레임내의 각 후보블록에 대한 현재 프레임내의 탐색블록간의 변위를 나타내는 움직임 벡터들과 유사도를 나타내는 오차 함수들을 발생하고, 다수의 오차함수들에 대하여 계산된 가중함수를 가중하며 최소의 오차를 수반하는 가중된 오차함수를 선택하여 그것에 상응하는 움직임 벡터를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중함수는 상기 탐색블록내에서 규정된 국부 서브블록에 대한 국부 분산값을 포함한다. 상기 가중함수의 다른 실시예는 2차원 그레디언트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탐색블록에 대한 그레디언트 함수를 포함한다. |
69 |
가중된 블럭 정합 알고리즘에 의한 움직임 추정 방법 및장치 |
KR1019970033820 |
1997-07-19 |
KR1019990010938A |
1999-02-18 |
김진헌 |
본 발명은 이진 영상 신호의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 사이의 움직임을 추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현재 프레임의 탐색 블럭과 이전 프레임의 후보 블럭들 간의 에러를 계산하고 최소 에러를 갖는 후보 블럭의 변위 벡터를 최적 움직임 벡터로 선택하되, 인간 시각 특성에 따라 실제 주관적 화질에 영향을 많이 주는 경계 화소(boundary pixel)에 보다 많은 가중치(weight)를 부여하여 에러를 계산하는 것이다. |
70 |
교직연산을 이용한 블럭정합 움직임 추정시의 최소 평규오차 제어 장치 |
KR1019940037009 |
1994-12-23 |
KR1019960025202A |
1996-07-20 |
이강환 |
본 발명은 탐색영역의 데이터(A,B,C)와 기준블럭(RB)을 입력받아 우수 및 기수 최소평균오차값(DIST)을 발생하는 움직임추정부(12)와, 최소평균오차값을 제어하기 위한 우수 및 기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교직연산 움직임제어부(13)를 포함하는 교직연산을 이용한 블럭정합 움직임 추정장치의 최소 평균오차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추정부(12)의 최소평균오차값을 입력받고 상기 교직연산 움직임 제어부(13)의 제어신호를 새로운 평균오차값을 출력하는 다수의 기수 유지기와 다수의 우수 유지기로 구성된 유지부(21); 상기 유지부(21)의 출력인 새로운 평균오차값과 이전이 평균오차값을 입력받아 탐색 영역내의 최소평균 절대오차(MAE)값을 결정한 후 출력하여 다시 상기 유지수단으로 궤환시키는 단일교직연산움직임조정부(2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직연산을 이용한 블럭정합 움직임 추정시의 최소 평균오차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
71 |
블록 매칭 모션 평가에서 모션 벡터를 수정하기 위한시스템 및 방법 |
KR1020070118529 |
2007-11-20 |
KR1020080112075A |
2008-12-24 |
김영택; 이상근 |
A system for correcting a motion vector in a block matching motion estimation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minimize the generation of visual error by reformatting video data using a corrected motion vector information. A first video frame and a second video frame including a plurality of blocks composed of pixels are received(305). A motion vector information for distinguishing the location of a plurality of match blocks which goes with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matched are obtained(310). An angle size between the second motion vector about the second block of the first motion vector about the first block of the first in-frame and the first in-frame is calculated(315). It is decided whether the first motion vector and the second motion vector come into conflict based on the calculated angle size(320). One of the first motion vector and the second motion vector is modifi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motion vector and the second motion vector come into conflict(325). |
72 |
테이블룩업벡터양자화를이용한블록정합움직임추정장치및그방법 |
KR1019980028964 |
1998-07-16 |
KR100318471B1 |
2002-02-19 |
이승준; 송준석; 민병준; 김병무; 이황수 |
1.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테이블 룩업 벡터 양자화를 이용한 블록 정합 움직임 추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움직임 추정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테이블 룩업 벡터 양자화를 이용하여 부블록들간의 차이를 미리 계산하여 메모리에 저장시킨 후 움직임 추정시 메모리에 저장된 계산값을 이용하여 고속 블록 정합 움직임 벡터를 추정할 수 있는 블록 정합 움직임 추정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블록 정합 움직임 추정 장치에 적용되는 블록 정합 움직임 추정 방법에 있어서, 움직임 추정 탐색 영역내, 이전 프레임의 블록 및 움직임 추정하고자 하는 현재 프레임의 블록을 각각 다수의 부블록으로 분할하는 제 1 단계; 분할된 탐색영역내 상기 이전 프레임의 블록내 각 부블록들을 테이블 룩업 벡터 양자화하여 벡터 양자화 인덱스를 저장하는 제 2 단계; 상기 현재 프레임의 블록내 부블록들을 테이블 룩업 벡터 양자화하여 벡터 양자화 인덱스를 저장하는 제 3 단계; 테이블 룩업 벡터 양자화된 상기 이전 프레임의 블록내 부블록과 상기 현재 프레임의 블록내 부블록의 부블록간 차이값들을 읽고 이 차이값들을 합하여 블록간 차이를 계산하는 제 4 단계; 및 계산된 상기 현재 프레임 및 상기 이전 프레임의 블록간 차이중 가장 작은 블록간 차이를 찾아내어 해당 공간 위치 차이를 전송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움직임 추정 등에 이용됨. |
73 |
가중된 블럭 정합 알고리즘에 의한 움직임 추정 방법 및장치 |
KR1019970033820 |
1997-07-19 |
KR100255748B1 |
2000-05-01 |
김진헌 |
PURPOSE: A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a motion according to a block matching algorithm weighted is provided to perform a block matching in the direction for maintaining boundary shape information sensitive to human's eyesight by giving more weights to a boundary pixel which really holds the largest quantity of information in a binary mask. CONSTITUTION: Previous video data applied through a line L20 from a frame memory are inputted to a search region shaping unit(410). The search region shaping unit(410) corresponds to a search block, and defines a search region. The search region data determined are applied to the n number of candidate block shaping unit(420-1-420-N). Binary mask data of each candidate block are outputted to the n number of block matching unit(430-1-430-N). A displacement vector DV1 or DV2 is applied to a multiplexer. |
74 |
테이블룩업벡터양자화를이용한블록정합움직임추정장치및그방법 |
KR1019980028964 |
1998-07-16 |
KR1020000008897A |
2000-02-15 |
이승준; 송준석; 민병준; 김병무; 이황수 |
PURPOSE: A block matching motion estimating system using table look-up vector quantization and a method thereof to increase the speed of the motion estimating system. CONSTITU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reading each block of a previous frame and a present frame and dividing it into subblocks, table look-up vector quantizing the divided subblocks, and storing vector quantization index; reading out a difference between the subblock in the previous frame's block and the one in the present frame's block, and compu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blocks; and finding the smallest difference between the blocks of the present frame and previous frame and transmitting a corresponding space position difference. The inventive system is applied to a desk-top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PDA, etc. since it can be easily used for motion estimation |
75 |
완전탐색블럭정합알고리즘을이용한움직임예측기 |
KR1019940034151 |
1994-12-14 |
KR100131153B1 |
1998-04-24 |
김기현; 김상범; 최장식; 천대녕; 민병기 |
본 발명은 움직임 보상을 행하는 알고리즘들 중에서 완전탐색 블럭정합 알고리즘(FBMA : Full-search Block Matching Algorithm)을 고속 파이프라인(Pipeline) 병렬구조로 구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완전탐색 블럭정합 알고리즘을 이용한 움직임 예측기(Motion Estimator)에 관한 것으로, 기준블럭과 후보블럭 사이의 차의 절대값을 계산하는 부분과 차의 절대값을 누적하는 합연산 부분으로 크게 구성되며 각 구분을 각각 하나의 파이프 상태 연결되는데 후보 블럭데이타 경로를 두가지로 변경시켜 매 동기 클럭에 맞추어 두 개의 후보 블럭데이타에 대하여 번갈아 가며 반복적으로 연산 출력을 수행시킬 수 있도록 병렬성을 추가시킨 벡터처리기가 5개 병렬로 연결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탐색 블럭정합 알고리즘을 이용한 움직임 예측기를 구성하는 벡터처리기 를 제공하면 움직임 예측기를 구성하는 PE PIPE의 효율을 100% 사용가능한 것 외에 PE의 외부에서 보면 데이타와 제어신호들의 구별이 없다는 것이다. 모든 데이타는 데이타 레지스터를 통하여 PE 사이에 파이프라인 상태로 전달되며, 모든 제어신호들도 6비트의 제어 레지스터를 통하여 PE 사이에 파이프라인 상태로 전달된다. 즉 PE PIPE의 외부에서 보면 제어신호들도 데이타와 전혀 구별됨 없이 파이프라인 데이타로 취급된다. 이러한 구조는 PE PIPE에서 데이타 버스와 제어신호 버스를 불필요하게 하여 본 발명의 PE PIPE의 안정된 동작과 고속동작에 기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
76 |
블록매칭을이용한모션추정방법및장치 |
KR1019960701282 |
1994-08-30 |
KR1019960705455A |
1996-10-09 |
미쉘니; 앙드류핵킷; 미쉘께르드랑바뜨; 나뎅볼렝데허 |
본 발명은 블록 매칭을 이용한 모션 추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블록 매칭은 텔레비젼 화상에 대한 모션 추정의 확고부동한 간단한 방법으로 잘 알려진다. 그러나 모션 추정의 목적이 예컨데 50Hz 내지 100Hz 업컨버터로 영상간의 정확한 내삽을 제공하는 것일때, 종래 블럭 매칭은 내삽될 필드보다는 최초 필드에 위치되는 문제점으로 손해를 보며 계산된 모션 필드의 에러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양면 블록 매칭을 이용한 상기 탐색 윈도우(BSW 및 FSW)는 상기 두 입력 필드(BF, FF)사이에서 상기 지원에 화소 블록(CPBB 및 CPBF)과 관련된 상기 지원 모션 벡터 모두가 내삽될 상기 필드에서 상기 동일한 점을 통과하는 방식으로 분배된다. 따라서 상기 "전류 블록"은 내삽될 상기 필드의 과념적 영역이 상기 각각의 두 탐색 모션 벡터의 반까지 확장한다.
각각의 모션 벡터는 그것의 반 값으로 상기 후방필드(BF)에 그리고 그것의 반 값으로 상기 전방 필드(FF)에 전방(FHMV)를 지적한다. 양면 블록 매칭은 상기 전류 블록(IFB)가 상기 내삽된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상의 에러 문제를 해결하며 상기 내삽된 필드의 모든 점들이 간략하게 그것에 할당된 하나의 모션 벡터를 가지므로 그것은 갭과 충돌의 상기 문제를 해결한다. |
77 |
블럭정합 움직임 추정을 위한 교직연산장치 및 그 제어방법 |
KR1019940026465 |
1994-10-15 |
KR1019960015305A |
1996-05-22 |
이강환; 곽진석; 김진웅; 정주홍; 안치득 |
본 발명은 블럭정합 움직임 추정을 위한 교직연산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블럭정합 움직임추정을 위한 연산 수행시 교직연산방법을 통해 매크로 블럭(MB : Macro Block)당 움직임 벡터(MV : Motion Vector)를 발생함으로서 움직임 추정 연산 수행시 발생하는 연산의 중복성을 제거함으로써 적은양의 하드웨어로 요구되는 성능을 만족시킴과 동시에, 기존 상용칩을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확장된 탐색영역에 대한 병렬연산에 적용함으로써 데이타 흐름의 역속성 증가 및 제어의 단순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78 |
블록 매칭 모션 평가에서 모션 벡터를 수정하기 위한시스템 및 방법 |
KR1020070118529 |
2007-11-20 |
KR101405913B1 |
2014-06-13 |
김영택; 이상근 |
본 발명은 블록 매칭 모션 평가에서 모션 벡터를 수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비디오 데이터 프로세싱 방법은 제 1 비디오 프레임 및 제 2 비디오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비디오 프레임들은 화소들로 구성된 복수의 블록들을 포함하며); 제 1 프레임 및 제 2 프레임 간의 복수의 매칭 블록(matching block)들의 위치를 식별하는 모션 벡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 1 프레임 내의 제 1 블록에 대한 제 1 모션 벡터와 제 1 프레임 내의 제 2 블록에 대한 제 2 모션 벡터 간 각도와 관련된 크기(measure)를 계산하는 단계(상기 제 2 블록은 제 1 모션 벡터에 의해 식별되는 제 2 프레임 내의 프레임 위치 주변의 제 1 프레임 내의 프레임 포지션에 위치한다.); 상기 계산된 각도 크기에 기초하여 제 1 및 제 2 모션 벡터들이 상충(conflicting)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만약 제 1 및 제 2 모션 벡터들이 상충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 1 모션 벡터 및 제 2 모션 벡터 중 하나 이상을 수정(modify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79 |
고속 실시간 처리 움직임 추정을 위한 연산방법 및 이를 위한 연산장치 |
KR1019970030135 |
1997-06-25 |
KR100246033B1 |
2000-03-02 |
유재희 |
본 발명은, 계층적 블럭 탐색에 있어서, 여러 움직임 추정 계층간의 종속성으로 인한 지연시간을 제거함으로써 하드웨어의 이용도를 향상시키고, 통일적 아키텍쳐를 바탕으로 확장성 및 가변성을 갖고, 이를 전역 탐색 알고리즘의 연산 장치에도 확장,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고속 실시간 처리 움직임 추정을 위한 연산방법 및 이를 위한 연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계층 1,2,3의 움직임 추정 프로세서( 101).(102),(103), 반화소 움직임 추정 프로세서(104), 한 마크로블럭에 대한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거프레임 저장 메모리(105-111)와 각각의 과거프레임의 마크로블럭에 대응되는 현재프레임 마크로블럭 데이터(112-118)로 이루어진다. 1,2,3 계층 탐색 움직임 추정 프로세서(101),(102),(103)는 병렬로 각 계층의 움직임 추정 연산을 수행하고, 상기 프로세서의 과거프레임 데이터는 상위 계층의 움직임 벡터에 따라, 과거프레임 탐색영역이 결정된다. 이후 이 움직임 벡터에 의한 과거프레임 데이터가 하위 계층 움직임 추정 프로세서에 입력된 후에야 연산이 시작되어야 하므로 지연 시간이 발생한다. 움직임 추정 프로세서(101-104)는, 각각 과거프레임 저장 메모리(105),(107),(109),(111)에 저장된 과거프레임 마크로블럭을 연산하여 다양한 움직임 추정 연산모드를 통일적 아키텍쳐를 바탕으로 구현가능하며, 고속 연산이 가능하고, 입력된 데이터의 중복 사용도를 높여 입출력 핀 개수의 최소화 및 하드웨어 양을 최소화 시키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
80 |
가산투영을 이용한 2단계 블럭정합 움직임 추정기 |
KR1019960009562 |
1996-03-30 |
KR1019970068665A |
1997-10-13 |
최종찬; 이철동; 조위덕; 반성범; 채승수; 박래홍; 임신일 |
본 발명은 영상의 움직임 정도를 나타내는 움직임 벡터를 가산투영을 이용한 2단계 블럭정합 방법에 의하여 실시간적으로 검출하는 가산투영을 이용한 2단계 블럭정합 움직임 추정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가산투영을 이용한 2단계 블럭정합 움직임 추정기는 현재영상 데이터 블럭 및 이전영상 데이터 블럭에 대한 수평가산투영값들을 계산하는 수평가산투영값 계산수단과, 상기 수평 및 수직가산투영값들을 이용하여 제1왜곡함수값들을 계산하는 수직가산투영값 및 제1왜곡함수값 계산수단과, 상기 수평가산투영값들 및 상기 제1왜곡함수값들을 입력하여 지연출력시키기 위한 데이터 지연수단과, 상기 제1왜곡함수값들중 최소값을 판별하여 제1정합점을 출력하는 제1정합점 출력수단과, 제2왜곡함수값들을 계산하는 제2왜곡함수값 계산수단 및 상기 제2왜곡함수값들 중에서 최소값을 판별하여 제2정합점 즉, 움직임 벡터를 출력하는 제2정합점 출력수단을 포함하여 종래의 전역탐색 블럭정합 알고리즘에 비하여 성능저하는 거의 없는 반면에 계산량을 줄임으로써 실시간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