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동중장비 작업 편의 장치

申请号 KR1020110065637 申请日 2011-07-01 公开(公告)号 KR101099607B1 公开(公告)日 2011-12-29
申请人 황대연; 发明人 황대연;
摘要 PURPOSE: A work facilitating apparatus for motor-operated heavy equipment is provided to prevent a cable from twisting during a work by moving the cable along motor-operated heavy equipment. CONSTITUTION: A work facilitating apparatus(100) for motor-operated heavy equipment comprises a rail(110), a mover, a rotary guide arm, first and second wires(L1,L2), and a tension applying unit(180). The mover slides along the rail. A point of a cable(C) is fixed to the mover. The rotary guide arm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mover. One end of the first wire is connected to motor-operated heavy equipment(10),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rotary guide arm so that the rotary guide arm can be rotated when the motor-operated heavy equipment is moved. One end of the second wire is fixed to the mover. The tension applying unit applies tension to the second wire when the mover moves.
权利要求
  • 전력공급부(PS)와 상기 전력공급부(PS)에서 공급되는 전력으로 운전되는 전동중장비(10) 사이에 접속된 케이블(C)을 전동중장비(10)의 이동에 따라서 종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동중장비 작업 편의 장치로써,
    레일(110);
    상기 레일(110)을 따라서 활주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케이블(C)의 어느 한 지점이 고정되는 이동자(120);
    상기 이동자(1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가이드 암(130);
    전동중장비(10)의 이동에 종속적으로 상기 회전가이드 암(130)이 회전될 수 있도록, 일단이 전동중장비(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가이드 암(130)에 고정되는 제1 와이어(L1);
    일단이 상기 이동자(120)에 고정되는 제2 와이어(L2);
    전동중장비(10)의 이동에 종속적으로 상기 이동자(120)가 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제2 와이어(L2)의 타단과 연결되어서 제2 와이어(L2)에 장력을 제공하는 장력제공수단(18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중장비 작업 편의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L1)의 일단은 전동중장비(10)에 입설되는 포스트(11)에 고정되어서 전동중장비(10)에 연결되고,
    케이블(C)은 포스트(11)의 내부에 관통 형성된 케이블 통과홀을 통과하여 전동중장비(10)에 연결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중장비 작업 편의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C)의 다른 한 지점은 상기 회전가이드 암(130)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중장비 작업 편의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자(120)와 장력제공수단(180) 사이에서 상기 레일(110)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C)이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트롤리(19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중장비 작업 편의 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190)에는 상기 제2 와이어(L2)를 통과시켜서 제2 와이어(L2)를 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와이어 통과링(190a)이 구비되어 있는 특징으로 하는 전동중장비 작업 편의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력제공수단(180)은,
    상기 제2 와이어(L2)를 지지하도록 구비되어서, 상기 제2 와이어(L2)의 운동방향을 변경하는 고정도르래(181)와, 상기 고정도르래(181)의 후단에서 상기 제2 와이어(L2)에 안착 지지되어서 제2 와이어(L2)의 운동에 따라서 승강하는 가동도르래(182)와, 상기 가동도르래(182)의 아래에서 가동도르래(182)에 연결되어서 제2 와이어(L2)에 자중에 의해서 장력을 제공하며 제2 와이어(L2)의 움직임에 따라서 승강하는 웨이트(183)를 포함하여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중장비 작업 편의 장치.
  • 说明书全文

    전동중장비 작업 편의 장치{Work Conveniene Apparatus for Electric Heavy Vehicle}

    본 발명은 전동중장비 작업 편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장을 이동하여 작업하는 경우 전동중장비의 이동에 따라서 케이블이 전동중장비를 따라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케이블의 방해를 받지 않고 작업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작업 중에 케이블의 꼬임이나 단선 등의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으며, 천장이 있는 실내 작업장의 경우에도 원활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전동중장비 작업 편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발명의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되어서 등록된 특허등록 제 10- 0730310 호에 의한 "폐기물 처리장치"가 알려져 있다.

    상기의 폐기물 처리장치는 전력에 의해서 동작 운전되어서 건설작업이나 각종 기계작업시 발생되는 폐기물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운반수단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특히 적은 처리 비용으로 폐기물의 이동 운반이 가능함으로써 폐기물 처리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도록 하였고, 기존의 석유 연료를 이용했던 폐기물 처리장치의 경우 발생하였던 환경오염 등의 문제점을 해결한 우수한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상기의 폐기물 처리장치는 그 등록특허공보에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으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특허등록 제 10- 0730310 호에 의한 "폐기물 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전원공급수단(3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은 전선(2)을 통해서 본체(12)에 공급되는데, 이러한 전선(2)은 본체(12)의 작업 반경이 넓다는 점을 고려하여 메인 가이드(32)와 메인가이드(32)에 설치되어서 회전하는 가이드바(35)를 통해서 전선(2)을 가이드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메인 가이드(32)와 가이드바(35)에 의한 구성을 취하더라도 넓은 반경의 작업에는 한계가 있었고, 만약 더 넓은 반경의 작업장을 커버하기 위해서는 메인 가이드(32)와 가이드바(35)의 높이를 더 높여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실내 작업장의 경우에는 천장 높이의 한계로 인하여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특히, 최근에는 폐기물 처리를 위한 작업은 모두 실내에서 작업해야 하는 작업환경의 변화에 따라서 실내 작업을 위한 경우에는 상기의 종래 기술에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전동중장비 작업 편의 장치의 목적은,

    첫째, 전력으로 운전되는 전동중장비와 전력공급부 사이에 접속된 케이블이 전동중장비의 이동을 따라갈 수 있도록 하여 전동중장비가 케이블의 방해를 받지 않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작업 중에 케이블이 단선되거나 꼬이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둘째, 레일에 이동자와 회전가이드 암을 설치하고 이동자의 직선 운동과 회전가이드 암의 360도 회전 운동으로써 작업장의 모든 영역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작업장이 천장이 있는 실내 작업장인 경우에도 레일의 높이를 낮추기만 하면 얼마든지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여 어떠한 실내 작업장의 경우에도 작업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며,

    셋째, 제1 와이어와 제2 와이어 사이에 이동자 및 회전가이드 암을 설치함으로써, 이동자의 선형운동과 회전가이드 암의 회전운동 그리고 제1 와이어와 제2 와이어에 작용하는 일정한 장력에 의해서 전동중장비의 이동에 에러 없이 그대로 종속하여 케이블이 원활하게 따라갈 수 있도록 하며,

    넷째, 전동중장비에 레일과 같은 높이의 포스트를 구비하고 이 포스트에 제1 와이어를 고정함으로써 전동중장비의 움직임에 따라서 더욱더 원활하게 제1 와이어가 종속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며,

    다섯째, 장력제공수단을 채용하여 제2 와이어에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전동중장비가 전진뿐만 아니라 후퇴하는 등 어떠한 이동 태양을 갖더라도 그 이동에 따라서 종속적으로 제1 와이어 및 제2 와이어가 일정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섯째, 회전가이드 암에서 이동자 쪽으로 탄성복원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탄성부재를 채용함으로써, 회전가이드 암이 전동중장비 쪽으로 받고 있는 회전력과 반대방향의 맞서는 회전력을 제공하여 회전가이드 암이 균형되게 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하며,

    일곱째, 장력제공수단을 고정도르래와 가동도르래와 웨이트로 구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제2 와이어에 일정한 장력을 제공할 수 있어서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전동중장비 작업 편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전동중장비 작업 편의 장치는, 전력공급부와 상기 전력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으로 운전되는 전동중장비 사이에 접속된 케이블을 전동중장비의 이동에 따라서 종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동중장비 작업 편의 장치로써,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서 활주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케이블의 어느 한 지점이 고정되는 이동자; 상기 이동자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가이드 암; 전동중장비의 이동에 종속적으로 상기 회전가이드 암이 회전될 수 있도록 일단이 전동중장비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가이드 암에 고정되는 제1 와이어; 일단이 상기 이동자에 고정되는 제2 와이어; 전동중장비의 이동에 종속적으로 상기 이동자가 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제2 와이어의 타단과 연결되어서 제2 와이어에 장력을 제공하는 장력제공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전동중장비 작업 편의 장치는, 상기 제1 와이어의 일단은 전동중장비에 입설되는 포스트에 고정되어서 전동중장비에 연결되고, 케이블은 포스트의 내부에 관통 형성된 케이블 통과홀을 통과하여 전동중장비에 연결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전동중장비 작업 편의 장치는, 상기 케이블의 다른 한 지점은 상기 회전가이드 암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전동중장비 작업 편의 장치는, 상기 이동자와 장력제공수단 사이에서 상기 레일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이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트롤리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전동중장비 작업 편의 장치는, 상기 트롤리에는 상기 제2 와이어를 통과시켜서 제2 와이어를 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와이어 통과링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전동중장비 작업 편의 장치는, 상기 장력제공수단이 상기 제2 와이어를 지지하도록 구비되어서, 상기 제2 와이어의 운동방향을 변경하는 고정도르래와, 상기 고정도르래의 후단에서 상기 제2 와이어에 안착 지지되어서 제2 와이어의 운동에 따라서 승강하는 가동도르래와, 상기 가동도르래의 아래에서 가동도르래에 연결되어서 제2 와이어에 자중에 의해서 장력을 제공하며 제2 와이어의 움직임에 따라서 승강하는 웨이트를 포함하여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전동중장비 작업 편의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전력으로 운전되는 전동중장비와 전력공급부 사이에 접속된 케이블이 전동중장비의 이동에 따라서 종속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전동중장비가 케이블의 방해를 받지 않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작업 중에 케이블이 단선되거나 꼬이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레일에 이동자와 회전가이드 암을 설치하고 이동자의 직선 운동과 회전가이드 암의 360도 회전 운동으로써 작업장의 모든 영역을 커버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특히 작업장이 천장이 있는 실내 작업장인 경우에도 레일의 높이를 낮추기만 하면 얼마든지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여 어떠한 실내 작업장의 경우에도 모두 커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제1 와이어와 제2 와이어 사이에 이동자 및 회전가이드 암을 설치함으로써, 이동자의 선형운동과 회전가이드 암의 회전운동 그리고 제1 와이어와 제2 와이어에 작용하는 일정한 장력에 의해서 전동중장비의 이동에 에러 없이 그대로 종속하여 케이블이 원활하게 따라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전동중장비에 레일과 같은 높이의 포스트를 구비하고 이 포스트에 제1 와이어를 고정함으로써 전동중장비의 움직임에 따라서 더욱더 원활하게 제1 와이어가 종속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장력제공수단을 채용하여 제2 와이어에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전동중장비가 전진뿐만 아니라 후퇴하는 등 어떠한 이동 태양을 갖더라도 그 이동에 따라서 종속적으로 제1 와이어 및 제2 와이어가 일정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회전가이드 암의 선단부에 원형, 타원형 또는 개곡선 등의 만곡 형상을 갖는 케이블 고정 안내부를 형성하고 상기 케이블 고정 안내부에 케이블을 고정함으로써, 회전가이드 암의 회전시에 케이블이 마찰에 의해서 마모되거나 단선되는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회전가이드 암에서 이동자 쪽으로 탄성복원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탄성부재를 채용함으로써, 회전가이드 암이 전동중장비 쪽으로 받고 있는 회전력과 반대방향의 맞서는 회전력을 제공하여 회전가이드 암이 균형되게 위치를 잡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덟째, 장력제공수단을 고정도르래와 가동도르래와 웨이트로 구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제2 와이어에 일정한 장력을 제공할 수 있어서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중장비 작업 편의 장치의 사시도 및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중장비 작업 편의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중장비 작업 편의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중장비 작업 편의 장치의 요부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중장비 작업 편의 장치의 요부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중장비 작업 편의 장치의 동작도이다.

    다음은 본 발명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중장비 작업 편의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중장비 작업 편의 장치(100)는, 전력공급부(PS)와 상기 전력공급부(PS)에서 공급되는 전력으로 운전되는 전동중장비(10) 사이에 접속된 케이블(C)이 전동중장비(10)의 이동에 따라서 종속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전동중장비(10)가 케이블(C)의 방해를 받지 않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작업 중에 케이블(C)이 단선되거나 꼬이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로써, 레일(110)과 이동자(120)와 회전가이드 암(130)과 제1 와이어(L1)와 제2 와이어(L2)와 장력제공수단(180)과 트롤리(19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동중장비 작업 편의 장치(100)가 적용되는 전동중장비(10)는 예를 들면 산업폐기물이나 건축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폐기물처리 전동중장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니며 전기로 운전되는 모든 중장비에는 적용가능하다.

    상기 레일(110)은 작업장(W) 내부에 바닥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서 설치되며, 작업장(W)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20)에 고정되어서 설치된다.

    또한 레일(110)은 곡선형 레일이든 직선형 레일이든 모두 본원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직선형 레일(110)의 구성을 채택하고 있는데, 이와 같이 레일(110)이 굽은 곡선형이 아니어서 곡선형인 경우에는 탈선의 문제점이 발생하나 선형으로 구현함으로써 곡선형에서와 같은 탈선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원발명에 의한 장치(100)가 설치되는 작업장(W)은 예컨대 산업 폐기물, 쓰레기 등을 처리하기 위한 작업장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니며 전동중장비(10)가 운전하여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곳이라면 어디든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이동자(120)는 레일(110)을 따라서 활주할 수 있도록 레일(110)에 설치되고, 전동중장비(10)의 이동에 종속적으로 운동하도록 가이드암(130)과 제2 와이어(L2)에 연결되며, 케이블(C)의 어느 한 지점이 클램프(C2)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 암(130)은 전동중장비(10)의 이동에 종속적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일측이 제1 와이어(L1)에 연결 고정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이동자(1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와이어(L1)는 전동중장비(10)의 이동에 종속적으로 회전가이드 암(130)이 회전될 수 있도록, 일단이 전동중장비(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가이드 암(130)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와이어(L1)의 일단은 전동중장비(10)에 입설되는 포스트(11)의 상단에 고정되어서 전동중장비(10)에 연결된다.

    상기 포스트(11)는 레일(110)의 높이에 근접하게 전동중장비(10)에 입설되는 구성으로써, 상기와 같이 레일(110)에 높이에 근접하는 포스트(11)를 통해서 제1 와이어(L1)를 연결함으로써, 전동중장비(10)의 움직임에 따라서 원활하게 제1 와이어(L1)가 종속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제2 와이어(L2)는 일단이 상기 이동자(120)에 고정되고 타단이 장력제공수단(180)에 연결된다.

    상기 장력제공수단(180)은 전동중장비(10)의 이동에 종속적으로 상기 이동자(120)가 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이동자(120)의 운동에 따라서 상기 제2 와이어(L2))에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상기 제2 와이어(L2)의 타단과 연결되는 구성이다.

    상기 트롤리(190)는 이동자(120)와 장력제공수단(140)[구체적으로는 고정도르래(181)] 사이에서 상기 레일(110)을 따라서 활주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케이블(C)이 고정되어서 케이블(C)이 전동중장비(10)의 이동에 따라서 움직일 때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케이블(C)의 쳐짐을 방지한다.

    즉, 상기와 같이 레일(110)을 따라서 활주할 수 있는 트롤리(190)에 케이블(C)을 간격을 두고 고정함으로써, 전동중장비(10)의 이동에 종속하여 이동자(120)가 활주할 때 이동자(120)의 운동에 따라서 케이블(C)이 모이거나 펴질 수 있게 되어서 케이블(C)이 작업장 아래로 처지지 않고 그 처리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트롤리(190)는 레일(110)의 길이에 따라서 적정한 수로 구비될 수 있고, 만약 복수로 레일(110)에 설치되는 경우 이동자(120)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트롤리(190')는 레일(110)을 따라서 활주되지 않고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190)에는 상기 제2 와이어(L2)를 통과시켜서 제2 와이어(L2)의 움직임을 안내하기 위한 와이어 통과링(190a)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과링(190a)에 제2 와이어(L2)를 통과시켜서 구성함으로써, 이동자(120)의 전후진 운동과 상기 장력제공수단(180)의 인력에 의해서 제2 와이어(L2)가 앞으로 당겨지거나 뒤로 당겨질 때 그 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케이블(C)은 전동중장비(10)의 이동에 따라서 종속적으로 회전하는 회전가이드 암(130)과 선형적으로 활주하는 이동자(120)의 움직임에 따라서 무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어느 한 지점이 회전가이드 암(130)의 일측에 클램프(C1)에 의해서 고정되고 다른 한 지점이 이동자(120)에 클램프(C2)에 의해서 고정되며, 또 다른 지점들이 트롤리(190)에 클램프(C3)에 의해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회전가이드 암(130)의 회전에 따라서 케이블(C)이 함께 회전할 수 있고 이동자(120)의 활주에 따라서 케이블(C)이 함께 움직일 수 있어서, 케이블(C)이 전동중장비(10)의 이동에 따라서 종속적으로 따라갈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전동중장비(10)에 의한 작업시에 케이블(C)에 의한 방해가 없어서 전동중장비(10)의 작업 환경이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포스트(11)의 내부에는 전동중장비(10)와 연통되도록 통과홀(미도시)이 관통형성되어 있는데, 케이블(C)은 통과홀(미도시)을 통과하여 전동중장비(10)에 연결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레일(110)에 높이에 근접하는 포스트(11)를 통해서 케이블(C)을 와 연결함으로써, 전동중장비(10)의 이동에 따라서 케이블(C)이 원활하게 전동중장비(10)의 이동을 따라갈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중장비 작업 편의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C)의 다른 한 지점을 회전가이드 암(130)에 고정할 때, 회전가이드 암(130)의 선단부에 원형, 타원형 또는 개곡선 등의 만곡 형상을 갖는 케이블 고정 안내부(131)를 형성하고, 상기 케이블 고정 안내부(131)에 케이블(C)의 다른 한 지점을 클램프(C1a)에 의해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회전가이드 암(130)의 회전시에 케이블(C)이 마찰에 의해서 마모되거나 단선되는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중장비 작업 편의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이동자(120)는 상기 레일(110)을 따라서 이동하는 복수의 차륜(121)과, 상기 차륜(121)이 하나의 집합체로써 동시에 움직일 수 있도록 연결하는 연결 부재(122a, 122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자(120)에 회전가이드 암(130)이 회전될 수 있도록 연결하기 위하여 고정륜이 상기 연결부재(122a)에 설치되고 회전륜이 회전가이드 암(130)에 설치되는 베어링(140)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중장비 작업 편의 장치(100)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이동자(120)의 차륜(121)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가이드 암(130)에 고정되어서 상기 회전가이드 암(130)에 이동자(120) 쪽으로 탄성복원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170)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탄성부재(170)는 회전가이드 암(130)은 항상 케이블(C) 또는 제1 와이어(L1)에 의해서 항상 전동중장비(10) 쪽으로 회전력을 받고 있는데, 이러한 회전가이드 암(130)이 전동중장비(10) 쪽으로 받고 있는 회전력과 반대방향의 맞서는 회전력을 제공하여 회전가이드 암(130)이 균형되게 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중장비 작업 편의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이드 암(130)에서 상방으로 돌설되는 가이드암 스토퍼(135)와, 상기 회전가이드 암(130)이 설정된 범위 이상을 회전하지 못하도록 회전가이드 암(130)이 설정된 각도 이상을 회전할 때 상기 가이드암 스토퍼(135)와 맞닿도록 상기 연결부재(122a)에 하방으로 돌설되는 고정 스토퍼(125)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중장비 작업 편의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이드 암(130)이 제1 와이어(L1)로부터 힘을 받을 때 회전가이드 암(130)이 부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회전가이드 암(130)의 길이를 따라서 형성되는 보강리브(132)와, 상기 회전가이드 암(130)이 제1 와이어(L1)에 의한 회전력을 받아서 베어링(140)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회전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회전가이드 암(130)의 후단에 설치되는 웨이트 밸런스(133)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중장비 작업 편의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장력제공수단(180)은 예컨대 상기 제2 와이어(L2)를 지지하도록 구비되어서, 상기 제2 와이어(L2)의 운동방향을 변경하는 고정도르래(181)와, 상기 고정도르래(181)의 후단에서 상기 제2 와이어(L2)에 안착 지지되어서 제2 와이어(L2)의 운동에 따라서 승강하는 가동도르래(182)와, 상기 가동도르래(182)의 아래에서 가동도르래(182)에 연결되어서 제2 와이어(L2)에 자중에 의해서 장력을 제공하며 제2 와이어(L2)의 움직임에 따라서 승강하는 웨이트(183)를 포함하여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가동도르래(182)를 경유한 제2 와이어(L2)의 후단이 고정단으로 고정되어 있는 구성을 채택하고 있으나, 제2 와이어(L2)의 후단이 예컨대 모터(미도시)에 축설된 드럼(미도시)에 권취되어서 드럼의 회전에 따라서 감기거나 풀리는 구성을 채택할 수도 있고 이 경우에도 본원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중장비 작업 편의 장치의 동작과정에 대하여 기술한다.

    전동중장비(10)가 레일(110)로부터 멀어지는 이동을 하면 제1 와이어(L1)는 회전가이드 암(130)을 당기고 전동중장비(10)가 레일(110)로 다가가는 이동을 하면 제1 와이어(L1)는 회전가이드 암(130)을 밀게 된다.

    전동중장비(10)의 이동에 따라서 제1 와이어(L1)에 장력이 발생하고 상기 제1 와이어(L1)의 장력에 따라서 회전가이드 암(130)이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탄성부재(170)에 의한 탄성복원력을 극복하면서 회전가이드 암(130)이 회전하게 되는데, 회전가이드 암(130)이 회전한 후에 탄성부재(170)의 복원력과 제1 와이어(L1)의 장력이 상호작용하여 정역학적으로 힘의 평형이 이루어지는 순간 회전가이드 암(130)은 레일과 소정의 각도(θ)를 유지하면서 회전이 멈춘다[도 6의 (a)].

    회전가이드 암(130)이 회전하면 그에 따라서 회전가이드 암(130)에 고정된 케이블(C)도 함께 회전하게 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전동중장비(10)의 이동이 계속되어서 제1 와이어(L1)가 더 큰 힘을 받으면 회전가이드 암(130)은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10)과 평행한 위치까지 도달하게 되고, 이때부터는 제1 와이어(L1)에 작용하는 힘이 이동자(120)로 전달된다.

    제1 와이어(L1)의 힘을 전달받은 이동자(120)는 제1 와이어(L1)의 힘에 따라서 레일(110)을 따라서 이동하고, 이동자(120)의 이동에 따라서 제2 와이어(L2)도 종속적으로 움직인다.

    이동자(120)가 이동하면 이동자(120)에 고정된 케이블(C)도 함께 움직이고, 만약 이동자(120)가 고정도르래(181)가 있는 방향의 반대방향인 전방으로 전진한다면 케이블(C)이 움직임에 따라서 트롤리(190)의 간격이 넓어지게 되고 만약 이동자(120)가 고정도르래(181)가 있는 방향인 후방으로 후진한다면 케이블(C)은 아래로 쳐지도록 움직이고 그에 따라서 트롤리(190)의 간격은 좁아지게 된다.

    한편, 제2 와이어(L2)가 힘을 받아서 움직이면 제2 와이어(L2)의 움직임에 따라서 가동도르래(182) 및 웨이트(183)가 승강하면서 장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유지해준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동중장비 작업 편의 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레일(110)을 작업장(W)의 어느 곳에 설치하더라도 작업장(W) 모든 영역을 커버할 수 있는데, 이는 회전가이드 암(130)의 길이를 길게 하거나 짧게 함으로써 회전가이드 암(130)의 회전 반경(r)을 조절할 수 있고, 회전가이드 암(130)이 360도 회전가능하므로 극 좌표(r, θ)에 의해서 회전반경(r) 범위의 모든 영역을 커버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이동자(120)가 레일(110)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전동중장비(10)가 작업장(W)의 어떤 곳으로 이동하든지 케이블(C)이 따라가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100 : 전동중장비 작업 편의 장치
    110 : 레일 120 : 이동자
    121 : 차륜 122a, 122b: 연결부재
    125 : 고정 스토퍼 130 : 회전가이드 암
    131 : 케이블 고정 안내부 132 : 보강리브
    133 : 웨이트 밸런스 135 : 가이드암 스토퍼
    140 : 베어링 L1 : 제1 와이어
    L2 : 제2 와이어 170 : 탄성부재
    180 : 장력제공수단 181 : 고정도르래
    182 : 가동도르래 183 : 웨이트
    190, 190' : 트롤리 190a: 와이어 통과링
    PS : 전력공급부 10 : 전동중장비
    C : 케이블 W : 작업장
    20 : 고정프레임 C1, C2, C3, C1a : 클램프
    11 : 포스트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