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도어를 설치하거나 교체하는 장치

申请号 KR1020060088592 申请日 2006-09-13 公开(公告)号 KR100788831B1 公开(公告)日 2007-12-27
申请人 한국철도공사; 发明人 조태일; 소병학; 박병모; 신성일;
摘要 A device for installing or replacing a tempered glass door is provided to separate or install a tempered glass door without making a worker lift up directly by using a door separation unit and to repair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a tempered glass door by rotating a support frame supporting the separated tempered glass door. A device(1) for installing or replacing a tempered glass door comprises a base frame(30) put on the ground and composed of a primary frame(31) formed in an H shape by coupling a horizontal member(34) between a pair of vertical members(33) at right angles, a secondary frame(32) formed in an H shape by coupling a horizontal member(36) between a pair of vertical members(35) at right angles, and an angle limitation unit(39) limiting the rotating angle of the primary frame and the secondary frame, a support frame(10) coupled to the top of the primary frame and the secondary frame of the base frame rotatively to support a stiffened door when separating or installing a tempered glass door, and a door separation unit(20)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a vertical member(11) of the support frame rotatively and composed of a body coupled to the vertical member of the support frame rotatively, an insertion inserted between the tempered glass door and the bottom to lift up the tempered glass door from a floor hinge and a pedal formed for a worker to step on when lifting up the tempered glass door from the floor hinge.
权利要求
  • 삭제
  • 삭제
  • 삭제
  • 지면에 놓여지며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각도제한유닛에 의해 회전각도가 제한되는 제 1 및 제 2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베이스 프레임을 갖는 통상의 강화도어를 설치하거나 교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에 브라켓이 돌출되어 강화도어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강화도어와 바닥면 사이의 틈새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페달부로 이루어져 상기 강화도어의 분리 및 결합을 위한 도어탈착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도어를 설치하거나 교체하는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강화도어를 고정하기 위한 흡착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도어를 설치하거나 교체하는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이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도어를 설치하거나 교체하는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탈착유닛이 원위치로 복구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페달부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도어를 설치하거나 교체하는 장치.
  • 说明书全文

    강화도어를 설치하거나 교체하는 장치{Appartus to Install or Replace Empered Door}

    도 1은 일반적인 강화도어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화도어를 설치하거나 교체하는 장치가 접혀진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도어를 설치하거나 교체하는 장치가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2에 표시된 "A"부의 확대도.

    도 5a 내지 5b는 본 발명의 도어탈착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용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도어를 설치하거나 교체하는 장치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강화도어를 설치하거나 교체하는 장치 10 : 지지프레임

    17 : 브라켓 18 : 고정부재

    19 : 흡착판 20 : 도어탈착유닛

    21 : 몸체부 23 : 삽입부

    25 : 페달부 27 : 탄성부재

    30 : 베이스 프레임 31,32 : 전, 후방프레임

    37 : 구름수단 39 : 각도제한유닛

    100 : 강화도어

    본 발명은 강화도어를 설치하거나 교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강화도어의 설치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강화도어(100)는 출입문으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형태로서 소정 크기의 강화유리(101)로 이루어지며, 강화유리(101)의 상·하부에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H-바(102,103)가 각각 설치되며, 각각의 H-바 내부에는 메인로드(104,105)가 내장된다.

    강화도어(100)의 상부 H-바(102)는 문틀(107)에 내설되어 있는 상롯트(108)와 축연결되고, 하부 H-바(103)는 바닥에 매설되어 있는 플로어힌지(109)와 축 연결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강화도어는 강화유리로 제작되므로 그 자체로 상당한 하중을 갖는다. 따라서, 강화도어를 장시간 사용하였을 때 강화도어에 고장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강화도어의 고장으로는 강화도어의 상부에 연결된 상롯트와 하부에 연결된 플로어힌지의 축 변형이나 플로어힌지의 자체 고장 또는 H-바에 설치된 메인로드의 부식으로 인해 발생되는 고장 등 여러 가지가 있다.

    그런데, 강화도어에 발생된 고장의 보수작업이 필요한 경우 또는 강화도어를 교체하는 경우에는 강화도어를 분리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강화도어를 들어올려서 분리하기 때문에 1인이 작업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반드시 2인 내지 3인이 1조를 이루어 작업을 하였다. 또한, 강화도어를 새로이 설치하는 경우에도 분리할 때와 마찬가지로 강화도어를 들어올려야 하기 때문에 2인 내지 3인이 1조를 이루어 작업을 하였다.

    따라서, 강화도어의 설치 및 보수작업에 2인 내지 3인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직접 강화도어를 들고 작업을 해야 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탈착유닛으로 문틀에 설치된 강화도어를 직접 들어올려 분리하거나 문틀에 설치할 수 있어 작업자가 직접 들지 않고도 강화도어를 분리 또는 설치 할 수 있고, 분리된 강화도어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회전시킴으로써 강화도어의 상부 및 하부를 용이하게 정비할 수 있는 강화도어를 설치하거나 교체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은 강화도어를 설치하거나 교체하는 장치는 지면에 놓여지며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각도제한유닛에 의해 회전각도가 제한되는 제 1 및 제 2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베이스 프레임을 갖는 통상의 강화도어를 설치하거나 교체하는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에 브라켓이 돌출되어 강화도어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부와 몸체부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강화도어와 바닥면 사이의 틈새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몸체부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몸체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페달부로 이루어져 강화도어의 분리 및 결합을 위한 도어탈착유닛을 더 포함하는 강화도어를 설치하거나 교체하는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강화도어를 고정하기 위한 흡착판이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일단이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이 지지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지지프레임이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도어탈착유닛이 원위치로 복구될 수 있도록 일단이 지지프레임에 결합되고 타단이 페달부에 결합되는 탄성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화도어를 설치하거나 교체하는 장치가 접혀진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도어를 설치하거나 교체하는 장치가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표시된 "A"부의 확대도이고, 도 5a 내지 5b는 본 발명의 도어탈착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용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도어를 설치하거나 교체하는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강화도어를 설치하거나 교체하는 장치(1)는 지면에 놓여지는 베이스 프레임(30)과, 강화도어(100)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0) 및 도어탈착유닛(20)으로 이루어진다.

    베이스 프레임(30)은 제 1 및 제 2 프레임(32)과 각도제한유닛(39)으로 이루어지며, 제 1 프레임(31)은 한 쌍의 세로부재(33)와 세로부재(33) 사이에 가로부재(34)가 직각으로 결합된 "H"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세로부재(33)의 하단부는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프레임(32)은 제 1 프레임(31)과 마찬가지로 한 쌍의 세로부재(35)와 세로부재(35) 사이에 가로부재(36)가 직각으로 결합된 "H"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 2 프레임(32)의 세로부재(35)는 제 1 프레임(31)의 세로부재(33) 사이로 겹쳐질 수 있는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프레임(32)의 일측에는 고정부재(18)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18)는 일단부가 고리형상으로 형성된 와이어일 수 있으며, 그 타단부가 제 2 프레임(32)의 세로부재(35)에 결합된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프레임(31,32)은 각 프레임의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 1 및 제 2 프레임(31,32)이 회전되는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각도제한유닛(39)이 결합된다.

    각도제한유닛(39)은 제 1 프레임(31)의 세로부재(3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회전체(40)와, 일단이 제 1 회전체(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제 2 프레임(32)의 세로부재(3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회전체(41)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각도제한유닛(39)은 제 1 및 제 2 프레임(31,32)이 상단부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제 1 및 제 2 회전체(40,41)가 펼쳐지면서 제 1 및 제 2 프레임(31,32)이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와 동시에 제 1 및 제 2 프레임(31,32)이 회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 1 및 제 2 프레임(31,32)의 하단부에는 이동과 작업편리를 위한 구름수단(37)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구름수단(37)은 예를 들어 볼 바퀴일 수 있다.

    지지프레임(10)은 강화도어(100)를 분리하거나 설치할 때 강화도어(10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세로부재(11) 및 가로부재(13)가 직각으로 결합된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보강부재(15)가 가로부재(13)들과 나란하게 설치되고, 보강부재의 일측에는 고정돌기(15')가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프레임(10)은 베이스 프레임(30)의 제 1 및 제 2 프레임(31,32) 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지지프레임(10)의 세로부재(11)가 제 1 프레임(31)의 세로부재(33)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지지프레임(10)은 그 무게중심이 아래에 형성되도록 세로부재(11) 중심부에서 상측으로 치우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프레임(10)의 전면 하단에는 강화도어(100)를 지지하기 위한 일정 두께의 철판이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 브라켓(17)이 결합된다. 이때, 브라켓(17)은 강화도어(100)와 바닥면 사이에 삽입되도록 돌출되며, 그 하부면이 지지프레임(10)의 하단과 일치하게 결합된다. 또한, 브라켓(17)에 강화도어(100)가 지지된 상태에서 강화도어(100)의 하부 H-바(103)를 정비하기 위해서 브라켓(17)의 양측면 단부가 지지프레임(10)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지프레임(10)의 보강부재(15) 일측에는 지지프레임(10)에 지지되는 강화도어(100)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흡착판(19)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흡착판(19)의 전면은 지지프레임(10)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그 재질은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0)의 세로부재(11) 하부에는 도어탈착유닛(2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도어탈착유닛(20)은 몸체부(21)와 몸체부(21)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삽입부(23) 및 몸체부(21)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페달부(25)로 이루어진다.

    몸체부(21)는 지지프레임(10)의 세로부재(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삽입부(23)는 강화도어(100)를 플로어힌지(109)에서 들어올리기 위한 것으로서 강화 도어(100)와 바닥면 사이에 삽입된다. 이때, 삽입부(23)는 강화도어(100)와 바닥면 사이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쐐기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부(23)의 하부면은 지지프레임(10)의 하단과 동일한 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페달부(25)는 강화도어(100)를 플로어힌지(109)에서 들어올릴 때 작업자가 발로 밟기 위한 것으로, 지지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몸체부(2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삽입부(23)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도어탈착유닛(20)은 강화도어(100)를 플로어힌지(109)와 분리 또는 결합할 때 사용되는 것과 강화도어(100)를 상롯트(105)와 결합할 때 사용되는 것 등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회전된 도어탈착유닛(20)을 원위치로 복구시키기 위한 탄성부재(27)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27)는 일단이 지지프레임(10)의 세로부재(13)에 결합되고 타단이 도어탈착유닛(20)의 페달부(25)에 결합되며, 코일스프링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어설치 및 교체장비(1)의 동작을 도 5a,5b 및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고장으로 인한 정비가 필요거나 교체가 요구되는 강화도어(100)로 강화도어를 설치하거나 교체하는 장치(1)를 이동시킨다. 이때, 베이스 프레임(30)의 하단부에 결합된 구름수단(37)에 의해 쉽게 이동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0)의 하단부에 설치된 도 어탈착유닛(20)의 삽입부(23)와 브라켓(17)을 강화도어(100)의 하부 H-바(103)와 바닥면 사이에 삽입한다. 이때, 베이스 프레임(30)의 제 1 및 제 2 프레임(31,32)이 접혀지고, 제 1 프레임(31)이 지지프레임(10)의 세로부재 사이로 접혀져 지지프레임(10)의 세로부재(11)가 바닥면과 수직하게 되도록 한다.

    상롯트(108)에서 강화도어(100)의 상부 메인로드(104)를 분리시킨 후 도어탈착유닛(20)를 사용하여 강화도어(11)를 들어올려서 플로어힌지(109)와 하부 H-바(103)의 메인로드(105)를 분리시킨다. 이때, 도어탈착유닛(20)의 페달부(25)를 밟으면 강화도어(100)의 하부 H-바(103)와 바닥면 사이에 삽입된 삽입부(23)가 몸체부(21)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강화도어(100)를 수직하게 직접 들어올림으로써 플로어힌지(109)에서 강화도어(10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후, 강화도어를 설치하거나 교체하는 장치(1)를 플로어힌지(109)가 설치된 위치에서 조금 이동시킨 다음 페달부(25)에서 발을 서서히 때면서 강화도어(100)가 브라켓(17)에 놓이도록 한다. 이때, 강화도어(100)가 지지프레임(10)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흡착판(19)으로 고정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분리된 강화도어(100)를 소정의 작업공간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베이스 프레임(30)의 제 1 및 제 2 프레임(31,32)을 펼친다. 이때, 제 1 및 제 2 프레임(31,32)은 각도제한유닛(39)에 의해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며, 지지프레임(10)은 베이스 프레임(30)의 제 1 프레임(31)과 함께 시계방향으로 기울어진다.

    강화도어(100)를 강화도어를 설치하거나 교체하는 장치(1)에 지지한 상태로 작업자의 안전과 통행자의 안전한 통로를 확보할 수가 있도록 소정의 작업장소로 이동한 다음 강화도어(100)의 상부 및 하부 H-바(102,103)의 정비를 실시한다.

    강화도어(100)의 상부 및 하부 H-바(102,103)의 정비를 위해서는 지지프레임(10)을 시계방향으로 더 기울인다. 이때, 지지프레임(10)이 기울어지는 각도는 지지프레임(10)이 지면과 수직한 상태를 0°로 하여 90°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프레임(10)의 기울어진 상태는 유지하기 위해서 보강부재(19)에 형성된 고정돌기(15')에 일단부가 고리형상으로 형성된 고정부재(18)를 끼운다. 따라서, 제 2 프레임(32)의 세로부재(35)에 연결된 고정부재(18)에 의해 지지프레임(10)의 기울어진 상태가 유지된다.

    강화도어(100)의 정비가 완료되면, 고정돌기(15')에서 고정부재(18)를 분리시키고 지지프레임(10)을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제 1 프레임(31)과 겹쳐치도록 하고, 이 상태로 강화도어(100)가 설치될 장소로 이동한다.

    강화도어(100)의 설치를 위해서는 먼저 제 1 및 제 2 프레임(31,32)을 접어 지지프레임(10)이 바닥면과 수직하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강화도어(100)의 하부 메인로드(105)를 플로어힌지(109)에 일치시켜 결합한다. 이 후, 작업자가 하부 메인로드(105) 반대측에 설치된 도어탈착유닛(20)의 페달부(25)를 밟아 상부 메인로드(104)와 상롯트(108)를 결합한다.

    강화도어(100)의 설치 및 교체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강화도어를 설치하거나 교체하는 장치(1)를 보관장소를 이동시켜 보관한다. 이때, 강화도어를 설치하거나 교체하는 장치(1)는 베이스 프레임(30)과 지지프레임(10)이 모두 접혀진 상태로 보관된다.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발명의 기술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기술 범위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설계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탈착유닛으로 문틀에 설치된 강화도어를 직접 들어올려 분리하거나 문틀에 설치할 수 있어 작업자가 직접 들지 않고도 강화도어를 분리 또는 설치할 수 있고, 분리된 강화도어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회전시킴으로써 강화도어의 상부 및 하부를 용이하게 정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삭제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