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 버퍼 적재장치

申请号 KR1020020074838 申请日 2002-11-28 公开(公告)号 KR1020040046808A 公开(公告)日 2004-06-05
申请人 현대자동차주식회사; 发明人 정상범;
摘要 PURPOSE: An automatic buffer loading device is provided to load material in a small area in case of a big volume efficiently, thereby improving workability. CONSTITUTION: An automatic buffer loading device is composed of a conveyor, and a frame(40) installed in one side of the conveyor for arranging a loading space. A sliding member(50) is installed in upper part of the frame moving vertically to the conveyor. A side moving member(60) is provided to move lengthwise of the sliding member. A vertical moving member(70) is installed to move upward of the conveyor. A loading plate(90) is installed at a support bar installed in both sides of the frame.
权利要求
  • 대상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의 양측에 설치되며 적재 공간부가 마련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더 부재;
    상기 슬라이더 부재의 길이방향을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제1구동모터의 구동력으로 이동되는 좌우이동부재;
    상기 좌우이동부재에 설치된 제2구동모터의 구동으로 상기 좌우이동부재의 하측으로 수직 이동되며 선단에는 규제부재가 장착되어 상기 대상물을 규제하여 상기 컨베이어의 상측으로 이송하는 수직 이동부재; 및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규제부재로 규제된 상기 대상물이 적재되는 적재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버퍼 적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에는 대상물을 소정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스토퍼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버퍼 적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에는 실린더 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대상물을 컨베이어 상으로 이동시켜 상기 규제부재를 통한 규제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버퍼 적재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부재의 근접부에는 대상물의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 규제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버퍼 적재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규제장치는,
    상기 실린더 부재의 근접부 측면에 설치되는 보조 실린더 부재; 및
    상기 보조 실린더 부재의 로드에 설치되어 상기 대상물의 위치를 규제하는 걸림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버퍼 적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수직 이동부재의 선단에 마련되는 안착부와, 상기 수직 이동부의 선단에 장착되어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대상물을 가압하는 가압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버퍼 적재장치.
  • 说明书全文

    자동 버퍼 적재장치{PIPE STEEL LOA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 버퍼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재 대상물의 부피가 클 경우에도 적은 면적으로 원활하게 대상물을 적재할 수 있는 자동 버퍼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형강, 파이프 강등의 생산공정은 프레스 라인 또는 롤 포밍라인(ROLL FORMING LINE)에 의해 성형 생산되어 버퍼(BUFFER) 적재장치에 중간 보관된 후 도장공장에서 페인팅된다.

    도 1은 체인 컨베이어(CHAIN CONVEYOR)를 이용한 버퍼 적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파렛트(PALLET)를 이용한 버퍼 적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버퍼 적재장치(1,3)는 프레스 공장과 도장공장의 생산능력의 차이로 적체되는 작업 대상물인 대형 형강등을 소정 시간동안 적재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서, 체인 컨베이어(5) 또는 파렛트(7)를 이용하여 작업 대상물을 적재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대형 형강등과 같이, 적재 대상물의 부피가 클 경우에는 상당히 넓은 면적을 갖는 버터 적재장치를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적재 대상물의 부피가 클 경우에도 적은 면적으로 원활하게 대상물을 적재할 수 있는 자동 버퍼 적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체인 컨베이어를 이용한 버퍼 적재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파렛트를 이용한 버퍼 적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버퍼 적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주단면도.

    도 5는 도 3의 위치 규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3의 규제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 버퍼 적재장치는, 대상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의 양측에 설치되며 적재 공간부가 마련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더 부재; 상기 슬라이더 부재의 길이방향을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제1구동모터의 구동력으로 이동되는 좌우이동부재; 상기 좌우이동부재에 설치된 제2구동모터의 구동으로 상기 좌우이동부재의 하측으로 수직 이동되며선단에는 규제부재가 장착되어 상기 대상물을 규제하여 상기 컨베이어의 상측으로 이송하는 수직 이동부재; 및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규제부재로 규제된 상기 대상물이 적재되는 적재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에는 대상물을 소정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스토퍼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에는 실린더 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대상물을 컨베이어 상으로 이동시켜 상기 규제부재를 통한 규제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부재의 근접부에는 대상물의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 규제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위치 규제장치는, 상기 실린더 부재의 근접부 측면에 설치되는 보조 실린더 부재; 및 상기 보조 실린더 부재의 로드에 설치되어 상기 대상물의 위치를 규제하는 걸림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수직 이동부재의 선단에 마련되는 안착부와, 상기 수직 이동부의 선단에 장착되어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대상물을 가압하는 가압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버퍼 적재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버퍼 적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주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버퍼 적재장치(100)는, 대상물(11)을 이송하는 컨베이어(10)와, 컨베이어(10)의 양측에 설치되며 적재 공간부가 마련된 프레임(40)과, 프레임(40)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10)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더 부재(50)와, 슬라이더 부재(50)의 길이방향을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제1구동모터(51)의 구동력으로 이동되는 좌우이동부재(60)와, 좌우이동부재(60)에 설치된 제2구동모터(61)의 구동으로 좌우이동부재(60)의 하측으로 수직 이동되며 선단에는 규제부재(80)가 장착되어 상기 대상물(11)을 규제하여 상기 컨베이어(10)의 상측으로 이송하는 수직 이동부재(70)와, 프레임(40)의 양측에 설치되는 지지바(91)와, 지지바(91)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대상물(11)이 적재되는 적재 플레이트(90)를 구비한다.

    상기 컨베이어(10)는 대형 형강등의 대상물(11)을 이송하기 위한 장치를 말한다. 상기 컨베이어(10)의 소정 위치에는 대상물(11)을 기설정된 규제위치에서 정지시키는 스토퍼부재(13)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10)의 대상물(11)이 정지되는 위치의 하부에는 실린더 부재(20)가 설치된다.

    상기 실린더 부재(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물(11)을컨베이어(10)의 상측으로 위치 이동시킴으로써, 후술하는 규제부재(80)를 통한 규제를 용이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 부재(20)의 근접 위치에는 대상물(11)의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 규제장치(30)가 설치된다.

    상기 위치 규제장치(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부재(20)의 근접부 측면에 설치되는 보조 실린더 부재(31)와, 보조 실린더 부재(31) 로드에 설치되어 대상물(11)의 위치를 규제하는 걸림부재(33)로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대상물(11)이 실린더 부재(20)에 근접되면 보조 실린더 부재(31)가 작동되어, 보조 실린더 부재(31)의 로드에 장착된 걸림부재(33)의 이동으로 대상물(11)을 기설정 위치로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40)은 컨베이어(10)의 양측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중심부에는 대상물(11)의 적재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40)의 상부에는 슬라이더 부재(50)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더 부재(50)는 프레임(40) 상부에 제1구동모터(51)의 구동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프레임(40)의 중심부에 마련된 대상물(11)의 적재 공간의 상부에서 이동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50)의 길이방향에는 좌우이동부재(60)가 설치된다.

    상기 좌우이동부재(60)는 제2구동모터(61)의 구동력으로 슬라이더 부재(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 좌우이동부재(60)의 하측에는 수직 이동부재(70)가 설치된다.

    상기 수직 이동부재(70)는 제2구동모터(61)의 구동력에 의하여좌우이동부재(70)의 수직으로 이동된다. 상기 수직 이동부재(70)의 선단에는 대상물(11)을 규제하는 규제부재(80)가 장착된다.

    상기 규제부재(8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이동부재(70)의 선단에 마련되는 안착부(81)와, 수직 이동부재(70)의 선단에 장착되어 안착부(81)에 안착되는 대상물(11)을 가압하는 가압부재(83)로 구비된다. 상기 가압부재(83)는 공압 실린더 또는 푸셔(PUSHER)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대상물(11)이 컨베이어(10)상의 기설정된 위치에 위치되면, 수직 이동부재(70)의 하강에 따른 규제부재(80)의 규제로 대상물(11)을 규제한다. 즉, 대상물(11)이 안착부(81)에 안착되도록 한 후, 가압부재(83)의 가압됨으로 안착부재(81)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규제부재(80)로 규제된 대상물(11)은 수직 이동부재(70)의 z축 제어와, 좌우이동부재(60)의 x축 제어 및 슬라이더 부재(50)의 y축 제어를 통하여 적재 플레이트(90)에 적재된다.

    상기 적재 플레이트(90)는 프레임(40)의 측면에 설치되는 지지바(91)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적재 플레이트(90)는 지지바(91)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수직 이동부재(70)와 좌우이동부재(60) 및 슬라이더 부재(50)의 제어를 통하여 대상물(11)을 순차적으로 적재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지바(91)에 결합된 최하단의 적재 플레이트(90)에 대상물(11)의 적재가 완료되면, 다음 적재 플레이트(90)가 회동되어 위치되어 계속적으로 대상물(11)을 적재한다. 이러한 대상물(11)의 언로딩(UNLOADING)은 전술한 제어의 역제어를 통하여 언로딩을 실시한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버퍼 적재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대형 형강등의 대상물(11)이 컨베이어(10) 상에서 이동되면 스토퍼부재(13)의 작동으로 기설정된 위치에 위치된다.

    그러면, 위치 규제장치(30)의 작동으로 대상물(11)이 정위치로 규제된 후, 실린더 부재(20)의 작동으로 컨베이어(10)의 상측으로 대상물(11)이 위치 이동된다.

    다음, 수직 이동부재(70)의 하강으로 그 선단에 장착된 규제부재(80)로 규제된 후 상승된다.

    이어서, 제1구동모터(51)의 구동으로 슬라이더 부재(50)를 구동하여 적재위치로 대상물(11)을 이송한다.

    그리고, 좌우이동부재(60)를 제어하여 슬라이더 부재(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적재 플레이트(90) 상의 적절한 적재위치를 찾고, 수직 이동부재(70)의 하강으로 적재 플레이트(90)에 대상물(11)을 적재한다. 하나의 적재 플레이트(90)에 대상물(11)의 적재가 완료되면, 다음 적재 플레이트(90)를 회동시키고 계속적으로 대상물(11)을 적재한다.

    상기 대상물(11)의 언로딩(UNLOADING)은 사전에 기억된 좌표에 의해 위의 작업을 역으로 실행하여 다음 공정으로 대상물을 투입시키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버퍼 적재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작업 공정간의 작업시간의 차이로 적체되는 대상물의 적재를 원활하게 하고 재투입을 실시함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적재대상물을 x, y, z축 제어를 통하여 적재를 실시함으로써,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