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부상을 이용한 이동장치

申请号 KR1020030006526 申请日 2003-02-03 公开(公告)号 KR1020040070367A 公开(公告)日 2004-08-09
申请人 최군휘; 发明人 최군휘;
摘要 PURPOSE: A moving apparatus using the rise with air is provided to reduce the load applied to the moving apparatus by rising a body using air. CONSTITUTION: A moving apparatus(30) using the rise with air comprises a box type body(32) having a hollow space(31) therein; a suction unit(35) having a power generating unit(33) and a suction fan(34) to suck air to the hollow space; a ball receiving part(37) protruded at the bottom of the body; a ball(38) received in the ball receiving part; a ball guide(39) having a guide hole(40), smaller than the ball,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all receiving part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ball; and an air discharge hole(41,42) discharging air at the ball receiving part to rise the body.
权利要求
  • 공기를 이용하여 몸체를 부상시켜 이동수단에 가하여지는 부하를 줄여 보다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부상을 이용한 이동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30)는
    내부에 중공의 공간(31)을 가지고 박스타입으로 구비되는 바디(32)와;
    상기 공간(31)에 부상에 필요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수단으로 동력발생수단(33)과 흡입홴(34)으로 구성하여 설치되는 흡입수단(35)과;
    상기 바디(32)의 바닥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되게 요입시켜 형성하는 볼수용구(37)와;
    상기 볼수용구(37)에 수용되는 볼(38)과;
    상기 볼수용구(37)의 저면에 볼(38)보다 작은 크기의 가이드홀(40)을 형성하여 볼(38)의 이탈을 방지하는 볼가이드(39)와;
    상기 볼수용구(37)에는 흡입수단(35)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어 바디(32) 바디(32)가 볼(38)에 대하여 부상하도록 형성하는 공기배출공(41,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부상을 이용한 이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수용구(37)는 바디(32)와 연결관(43)으로 연결하여 바디(32)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부상을 이용한 이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수단(35)은 바디(32)상부에 형성되는 오리피스(36)를 통하여 흡입할 수 있도록 직립된 상태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부상을 이용한 이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32)상면에 중량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바디(32)의 측방에 오리피스(36)를 형성하고 흡입수단(35)을 횡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부상을 이용한 이동장치.
  • 说明书全文

    공기부상을 이용한 이동장치{Moving apparatus using air surface}

    본 발명은 공기부상을 이용한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의 힘으로 부상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중량체의 이동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당한 중량을 가지는 물건이나 물품(이하 중량물이라 한다.)을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들고 힘들게 이동시키기 보다는, 별도의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이동수단으로는 적재공간과 바퀴를 가지고 사용자의 힘을 빌어 이동하게 되는 손수레와 같은 수동이동수단과, 바퀴나 프로펠러를 모터나 엔진등과 같은 동력발생수단에 의하여 움직이도록 하는 동력이동수단으로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수동이동수단을 이용하여 중량물을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직접 중량물을 들고 이동시키는 것에 비하면 상당히 쉽게 중량물을 이동시킬 수 이있으나, 반복인 작업으로 인한 피로도가 누적되어 다음작업의 수행이 어렵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는 것은 물론 작업의 효율성이나 진척도 측면에서 상당히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바퀴를 동력을 이용하여 구동시켜 보다 용이하게 중량물을 이동시키는 동력이동수단의 경우에는 이동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는있으나, 바퀴가 지면과 연접되면서 발생하는 마찰에 의하여 상당한 동력원이 손실되는 원인이 된다.

    그리고, 동력이동수단의 경우에는 바퀴를 구동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어조합이나 밸트와 풀리조합 또는 체인과 체인기어조합과 같이 상당히 복잡한 기구적 구조를 가져야 하고, 이로 인하여 생산성이저하되고 생산원가의 상승원인이 되는 것은 물론, 정비성 등이 좋지않고 취급에도 상당하 어려움을 가지는 등 다수의 문제점들이 존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흡입홴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배출하는 힘에 의하여 부상하고 이동시 발생하는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간단한 구성의 이동장치를 제공하여 중량물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면서 제작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사후 정비성이 거의 없도록 하여 사용의 편익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예가 적용된 공기부상을 이용한 이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적용된 공기부상을 이용한 이동장치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 적용된 공기부상을 이용한 이동장치의 B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2실시예가 적용된 공기부상을 이용한 이동장치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3실시예가 적용된 공기부상을 이용한 이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30; 이동장치

    32; 바디

    35; 흡입수단

    36; 오리피스

    39; 볼가이드

    41, 42; 공기배출공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예가 적용된 공기부상을 이용한 이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적용된 공기부상을 이용한 이동장치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 적용된 공기부상을 이용한 이동장치의 B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2실시예가 적용된 공기부상을 이용한 이동장치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3실시예가 적용된 공기부상을 이용한 이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공기를 이용하여 몸체를 부상시켜 이동수단에 가하여지는 부하를 줄여 보다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부상을 이용한 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장치(30)는

    내부에 중공의 공간(31)을 가지는 박스타입의 바디(32)를 구비하고 상기 공간(31)에는 부상에 필요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수단으로 엔진과 같은 동력발생수단(33)과 흡입홴(34)으로 구성되는 흡입수단(35)을 설치한다.

    상기 흡입수단(35)은 바디(32) 내부에서 직립된 상태로 설치하여 바디(32) 상부에 형성되는 오리피스(36)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도록 하여도 되나, 도 5에서와 같이 바디(32) 상면에 중량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바디(32)의 측방에 오리피스(36)를 형성하고 흡입수단(35)을 횡방향으로 설치하여도 된다.

    상기 바디(32)의 바닥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되게 요입시켜 형성되는 볼수용구(37)을 형성하여 이동수단으로 볼(38)을 수용하고, 상기 볼(38)은 바디(32)의 저면과 연결되는 판상의 볼가이드(39)에 볼(38)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가이드홀(40)에 의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물론, 상기 볼수용구(37)에는 흡입수단(35)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어 바디(32) 바디(32)가 볼(38)에 대하여 부상함으로서 볼(38)의 마찰력을 줄일 수 있도록 내부와 연결되는 공기배출공(41,42)을 형성한다.

    그리고, 4에서와 같이 볼수용구(37)를 바디(32)와 연결관(43)으로 연결하여 바디(32)의 외측에 위치시켜도 무방하며, 이때 볼가이드(39)는 볼수공구(37)에 착탈가능하게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초기상태에는 볼(38)이 볼수용구(37)와 밀착된 상태에 있어 이동이 불가능하며, 이러한 상태에서 중량물을 얹어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바디(32) 내부에 설치된 흡입수단(35)의 동력발생수단(33)과 흡입홴(34)을 작동시켜 바디(32)의 상측에 형성된 오리피스(36)를 통하여 외부공기를 강하게 지속적으로 흡입한다.

    상기와 같이 흡입된 공기는 바디(32) 내부에서 일정한 압력으로 작동하여 유일한 배출구인 볼수용구(37)에 형성된 공기배출공(41,42)을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배출되는 공기는 볼수용구(37)에 수용된 볼(38)에 작용하여 볼(38)을 강하게 밀어내는 형태가 되고, 상기 볼(38)은 볼가이드(39)에 의하여 이탈되지 않음으로서 바디(32)는 배출되는 강한 공기의 반작용에 의하여 볼(38)에 대하여 일정높이(아주 미세함)로 부상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바디(32)에 중량물을 얹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바디(32) 또는 안치된 중량물을 밀어주면 볼(38)은 상부중량이 없고 볼(38)과 지면과의 마찰만 작용하게 됨으로서 보다 쉽게 이동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바디(32)에 안치하여 이동시키고자 하는 중량물의 종류에 따라 흡입수단(35)의 공기흡입정도와 공기배출공(41,42)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일정한 범위내에서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면 된다.

    물론, 상기 볼수용구((37)와 볼(38)은 이동하고자 하는 중량물의 종류에 따라 가감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흡입홴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배출하는 힘에 의하여 부상하고 이동시 발생하는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간단한 구성의 이동장치를 제공하여 중량물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면서 제작의 용이성과 사후 정비성이 우수하면서 사용의 편익성을 제공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발명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