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압 재료 처리 시스템에서의 재료 처리 장치 및 방법

申请号 KR1020127023799 申请日 2011-02-08 公开(公告)号 KR1020120135249A 公开(公告)日 2012-12-12
申请人 마리캡 오이; 发明人 순트홀름괴란;
摘要 폐기물과 같은 물질이, 쓰레기 슈트(3)의 투입 개구 혹은 그 밖의 투입점(200)과 같은 투입점의 투입 개구로부터 투입되고, 이는 상기 투입점과 연결되거나 그와 근접한 위치에 설치된 성형 장치(1)에 의해 처리되어 압축되어 다음 단계로 반송되고, 성형 장치(1)는 로터리 성형기(rotary shaper)이고 회전가능한 처리 장치(10A,10C)를 구비하며, 회전 장치는 회전축에 대해 중심을 달리하여 구비된 개구(11A,11C)를 구비하고, 상기 로터리 성형기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처리 수단(10B)을 구비하고, 이 경우 처리 예정 물질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력에 의해 로터리 성형기로 인도 및 통과되거나, 로터리 성형기로 인도 혹은 통과되는 공압 물질 처리 시스템에서의 물질 처리 방법으로, 처리 예정 물질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입 및/혹은 압력차에 의해 로터리 성형기로 인� �� 및 통과되거나, 로터리 성형기로 인도 혹은 통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처리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이다.
权利要求
  • 폐기물과 같은 물질이, 쓰레기 슈트(3)의 투입 개구 혹은 그 밖의 투입점(200)과 같은 투입점의 투입 개구로 투입되고, 상기 물질은 상기 투입점과 연결되거나 그와 근접한 위치에 설치된 성형 장치(1)에 의해 처리되어 압축되어 다음 단계로 반송되고, 상기 성형 장치(1)는 로터리 성형기(rotary shaper)이고 회전가능한 처리 장치(10A,10C)를 구비하며, 회전 장치는 회전축에 대해 중심을 달리하여 구비된 개구(11A,11C)를 구비하고, 상기 로터리 성형기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처리 수단(10B)을 구비하고, 처리 예정 물질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력에 의해 로터리 성형기로 인도 및 통과되거나, 로터리 성형기로 인도 혹은 통과되는 공압 물질 처리 시스템에서의 물질 처리 방법으로, 처리 예정 물질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입 및/혹은 압력차에 의해 로터리 성형기로 인� �� 및 통과되거나, 로터리 성형기로 인도 혹은 통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처리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10A,10C) 각각은 고유의 구동 장치(7A,7C)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처리 방법.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회전 중에 상기 로터리 성형기의 처리 수단(10A,10C)의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제1 방향으로 회전할 때 처리 예정 물질을 처리 수단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처리 방법.
  •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10A,10C)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비회전 처리 수단(10B)과 함께 물질을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처리 방법.
  • 제 1항 내지 제 4항에 있어서,
    로터리 성형기의 처리 수단(10A,10B,10C)을 통과하는 물질 흐름의 처리 예정 물질 진행 방향에 따른 횡단면은, 물질이 로터리 성형기 다음에 배치된 물질 반송 파이프(4,5)로 인도될 수 있도록 점점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처리 방법.
  • 제 1항 내지 제 5항에 있어서,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10A,10C)의 회전 방향은 다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처리 방법.
  • 제 1항 내지 제 6항에 있어서,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10A,10C)은 서로 상이한 속도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처리 방법.
  • 제 1항 내지 제 7항에 있어서,
    처리 예정 물질의 이동 방향을 따라 더 나아간 곳에 위치한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10C)은 물질의 이동 방향에서 그보다 앞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처리 수단(10A)보다 느리게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처리 방법.
  • 제 1항 내지 제 8항에 있어서,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의 구동 장치(7A,7C)는 전기 모터, 공압 모터 혹은 수력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처리 방법.
  • 제 1항 내지 제 9항에 있어서,
    공압 물질 처리 시스템은 물질, 더욱 상세하게는 폐기물의 파이프 반송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처리 방법.
  • 제 1항 내지 제 10항에 있어서,
    처리 수단(10A,10C)의 회전 방향은 시간 및/혹은 처리 수단의 구동 장치의 부하, 즉, 출력 파워에 기초하여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처리 방법.
  • 제 1항 내지 제 11항에 있어서,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10A,10C)은 순서대로 구동되고, 이 경우 처리 수단(10A,10C)은 제1 시간 구간(t 1 ) 동안은 제1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다음 제2 시간 구간(t 2 ) 동안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처리 방법.
  • 제 1항 내지 제 12항에 있어서,
    제1 시간 구간(t 1 )은 제2 시간 구간(t 2 )보다 길고, 바람직하게는 제2 시간 구간(t 2 )≤0.5×제1 시간 구간(t 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처리 방법.
  • 제 1항 내지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로터리 성형기와 근접한 반송 파이프(4,5)로부터 제거되며, 바람직하게는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이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교체 공기 밸브가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처리 방법.
  • 제 1항 내지 제 1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날부(14A,14C), 더욱 상세하게는 교체 가능한 날부는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10A,10C)에 설치되고, 상기 날부는 처리 수단이 제2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물질을 처리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처리 방법.
  • 제 1항 내지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7A,7C)는 일렬로 연결된 수력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처리 방법.
  • 쓰레기 슈트(3) 혹은 그 밖의 투입점(200)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투입점을 구비하고, 상기 투입점에 연결되거나 그와 근접한 곳에 설치된 성형 장치(1)와, 물질을 반송 파이프 쪽으로 반송하는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성형 장치는 로터리 성형기(1,100)이고, 그의 림 형상 처리 수단(10A,10B,10C)의 일부는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10A,10C)이고, 처리 수단은 상기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의 회전축에 대해 중심을 달리하여 구비된 개구(11A,11B,11C)를 구비하며, 일부는 고정 처리 수단(10B)이고, 여기서 처리 예정 물질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력에 의해 로터리 성형기로 인도되어 통과하도록 설치된 공압 반송 시스템과 같은 공압 물질 처리 시스템에서의 물질 처리 장치로, 처리 예정 물질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입 및/혹은 압력차에 의해 로터리 성형기로 인도되고, 그것을 통과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처리 장치.
  • 제 17항에 있어서,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10A,10C)을 위한 구동 장치(7A,7C)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10A,10C) 각각은 고유의 구동 장치(7A,7C)로 구동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처리 장치.
  • 제 17항 또는 제 18항에 있어서,
    로터리 성형기의 처리 수단(10A,10B,10C)의 적어도 일부는, 물질을 공급하는 선형 부위와 같은 표면 패턴 혹은 그에 상응하는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표면 패턴은 처리 수단(10A,10C)이 적어도 제1 방향으로 회전할 때, 처리 예정 물질을 적어도 로터리 압축기의 처리 수단으로 형성되는 압축 단계로 반송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처리 장치.
  • 제 17항 내지 제 19항에 있어서,
    물질의 이동 방향에서 로터리 성형기의 처리 수단(10A,10B,10C)을 통과하여 지나는 물질 통로(11A,11B,11C)의 횡단면은 물질의 이동 방향을 따라 점점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처리 장치.
  • 제 17항 내지 제 20항에 있어서,
    구동 장치(7A,7C)는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10A,10C)을 서로 상이한 속도로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처리 장치.
  • 제 17항 내지 제 21항에 있어서,
    처리 예정 물질의 이동 방향을 따라 더 뒤에 위치한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10C)은, 구동 장치(7A)에 의해 물질의 이동 방향에서 그보다 앞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처리 수단(10A)보다 느리게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처리 장치.
  • 제 17항 내지 제 22항에 있어서,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10A,10C)의 구동 장치(7A,7C)는 출력 파워 혹은 토크 혹은 회전 속도와 같은 동작 특성이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처리 장치.
  • 제 17항 내지 제 23항에 있어서,
    로터리 성형기의 배출 개구(37)는, 물질 반송 방향에서 그보다 뒤에 위치하는 반송 파이프(4,5)의 흐름 개구(flow aperture)보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처리 장치.
  • 제 17항 내지 제 24항에 있어서,
    로터리 성형기의 배출 개구(37)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처리 수단(10A,10B,10C)을 통과하는 자유 통로보다 크고, 이 경우 상기 배출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계란형 혹은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처리 장치.
  • 제 17항 내지 제 25항에 있어서,
    처리 수단의 개구(11A,11B,11C)는 회전축에 대해 어긋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처리 장치.
  • 제 17항 내지 제 2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날부(14A,14C), 더욱 상세하게는 교체 가능한 날부는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10A,10C) 내에 배치되고, 상기 날부는 처리 수단이 제2 방향으로 회전할 때 물질을 처리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처리 장치.
  • 제 17항 내지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7A,7C)는 일렬로 연결된 수력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처리 장치.
  • 说明书全文

    공압 물질 처리 시스템에서의 물질 처리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MATERIAL IN A PNEUMATIC MATERIALS HANDLING SYSTEM}

    본 발명의 대상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정의된 방법이다.

    본 발명의 대상은 청구항 제17항의 전제부에 정의된 장치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부분 진공 이송 시스템과 같은 물질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생활 폐기물의 운반과 같은 폐기물의 집하 및 운반에 관한 것이다.

    폐기물이 압력차에 의해 생성되는 흡인력 또는/및 흡입에 의하여 파이프로 옮겨지는 시스템은 이미 알려져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폐기물은 파이프 내에서 장거리를 이동한다. 이들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압력차를 만들어내기 위해 부분 진공 장치를 이용하며, 부분 진공 장치에서 부분 진공은 반송 파이프에서 진공 펌프와 같은 부분 진공 생성기 혹은 이젝터(ejector) 장치에 의하여 형성된다. 반송 파이프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밸브 수단을 구비하고, 이를 개폐함으로써 반송 파이프로 유입되는 공기의 교체가 조절된다. 물질 투입 말단에 위치한 투입점(input point)이 시스템에 사용되고 폐기물 등의 물질은 투입점을 통해 시스템으로 반송된다. 또한 시스템은 폐기물 등의 물질이 투입되는 쓰레기 슈트(chute)를 포함할 수 있고, 반송될 물질은 배출 밸브 수단을 개방함으로써 쓰레기 슈트에서 반송 파이프로 이동한다. 이 경우 반송 파이프에서 일어나는 부분 진공의 도움을 받아 형성되는 흡입 작용이나 쓰레기 슈트에서 일어나는 주변 공기압에 의하여 봉투에 담긴 폐기물과 같은 물질은 쓰레기 슈트에서 반송 파이프로 옮겨진다. 논의가 되고 있는 공압 폐기물 반송 시스템은 특히 인구가 집약된 도심지에서는 잘 활용될 수 있다. 이런 지역에는 고층 빌딩이 많이 들어서 있고 공압 폐기물 반송 시스템에 폐기물을 투입하는 것은 빌딩 내에 구비된 쓰레기 슈트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쓰레기 슈트는 수직 파이프이고,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투입점을 구비한다. 이러한 투입점들은 공간적으로 멀리 이격되어 쓰레기 슈트의 벽에 구비된다. 고층 빌딩은 수십 혹은 수백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경우 쓰레기 슈트는 매우 높은 파이프 형상이 된다.

    폐기물은 폐쇄 시스템 내에서 공압식으로 수거소(reception station)로 운반되며, 여기로 운송이 이루어지면 비로소 폐기물은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다. 공압 운반 시스템의 파이프는 보통의 경우 500mm로 비교적 큰 지름을 가진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 폐기물 그라인더(waste grinder) 등과 같은 폐기물 분쇄기(waste mill)은 폐기물 투입 장소와 인접하거나 연결되어 있고, 투입될 폐기물은 이에 의하여 작은 크기로 분쇄된다. 폐기물 분쇄기는 폐기물을 분쇄하기는 하지만 압축하지는 않는다. 문제점이 있는 이러한 방법은 폐기물 분쇄기의 칼날이 큰 스트레스를 견뎌야 하기 때문에 교체가 자주 이루어져야 한다.

    공개공보 WO8203200A1은 미분쇄, 압축 및 물품 대량 배출 장치를 개시하고 있고, 더욱 상세하게 생활 폐기물은 상기 장치를 통해 처리되어 압축된다. 상기 공개공보에 따른 방법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큰 출력 파워가 필요하기 때문에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소비 전력과 장치 구동 비용이 높아진다. 나아가 돌이나 금속 혹은 그에 상응하는 물질이 절삭날 사이를 지나는 경우 날의 파손을 가져오기도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단점을 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폐기물 투입점과 연결되거나 쓰레기 슈트 혹은 쓰레기통에 연결된 새로운 종류의 해소 방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주된 기술적 특징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부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주된 기술적 특징은 청구항 제2항 내지 제16항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주된 기술적 특징은 청구항 제17항의 특징부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주된 기술적 특징은 청구항 제18항 내지 제28항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 방법은 다수의 중요한 기술적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수단에 의하면 특히 물질 처리, 더욱 상세하게는 공압 파이프 반송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 방법을 이용하면 처리 예정 물질이 센터를 향해 집중되고, 이 경우 물질은 반송 파이프 혹은 컨테이너로 효과적으로 들어오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해결 방법에 따라, 폐기물은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성형기(rotary shaper)에 의해 효과적으로 압축될 수 있고, 형태가 불규칙한 폐기물에 비해 상당히 작은 크기의 파이프로 효율적인 이송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처리 예정 물질을 로터리 성형기에서 반송 파이프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중력에 더하여 흡입(suction)을 이용함으로써 로터리 성형기와 반송 파이프의 조합에 의한 유리한 작용을 수행한다. 로터리 성형기의 배출 개구(output aperture)를 반송 파이프 횡단면의 면적보다 다소 작게 형성함으로써, 흡입에 의해 처리 물질이 반송 파이프로 효율적으로 이송될 수 있게 있다. 상기 배출 개구의 모양을 원형을 벗어나 계란형이나 타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배출 개구의 최소 지름을 반송 파이프의 지름보다 작게 하고, 최대 지름을 반송 파이프의 지름과 일치하게 하여, 교체 공기를 처리 예정 물질 및 반송 파이프로 효율적으로 운반시킬 수 있다. 처리 수단의 개구 모양을 변형시킴으로써, 반송 처리 예정 물질의 모양을 상당히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련의 처리 수단들의 개구 가장자리 사이가 이루는 각을 특정 크기로 형성함으로써 본 장치의 효율적인 작동을 구현할 수 있다. 나아가 교체 공기의 적어도 일부를 매체 밸브(medium duct)를 통하게 하거나, 처리 수단들 사이에서 봉입부(seals)가 공기의 유입을 허용하여 흡입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기류를 만들어낼 수 있다. 이때 공기는 로터리 성형기 내의 처리 예정 물질을 배출 개구로 이송시키는데 도움을 주며 상기 물질을 배출 개구로 들어서게 한다. 교체 공기는 쓰레기 슈트와 관련하여 이루어진 것과 같은 방식 혹은 공개공보 WO/2009/13037의 해소 방안과 같은 로터리 성형기를 이용함으로써 로터리 성형기로 유입될 수 있다.

    로터리 성형기의 처리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구동 장치 및 적용 가능한 동력 전동 수단(power tranmission means)과 함께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벨트 전동은 힘(force)을 전달하는데 이용된다. 하나 이상의 구동 장치가 존재할 수 있다. 수력 모터(hydraulic motor)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2개의 모터를 사용하여 적당히 토크(torque)를 높일 수 있다. 부하, 예를 들어 출력 파워에 기초하여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모터의 전류나 수력 모터의 압력을 기초로 제어가 가능하다. 처리 예정 물질로 인해 수력 회로 내의 압력이 소정 설정치까지 증가하면 구동 장치와 회전가능한 처리 장치의 회전 방향이 제2 방향으로 전환된다.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물질에 작용하는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의 날(blade), 바람직하게는 교체가 가능한 날을 배치시켜 물질의 처리를 더욱 효율적으로 하면서 흐름이 막힐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이때 처리 예정 물질로 인해 로터리 성형기에서 막힘이 일어나는 현상은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을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처리 수단을 회전시키고, 바람직하게는 날도 함께 사용하여 처리 예정 물질을 파괴함으로써 줄일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물질이 통로에 막히는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날이 제2 처리 방향으로만 움직이도록 구비될 때는 날에 의한 절삭동작은 때때로 날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필요하다면 처리 수단의 회전 방향을 바꿈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을 주기마다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장치의 효율적인 동작을 도모할 수 있고, 일어날 수 있는 막힘 현상의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회전가능한 처리 장치의 유일한 모터를 구동 장치로 사용함으로써, 서로 다른 회전 속도, 토크 등과 요소들이 다른 처리 수단을 위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구동 장치는 수력 모터들이고, 이들은 그들이 가진 처리 수단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일렬로 연결되어 있다. 일렬로 연결된 수력 구동 장치들은 자동적으로 더 큰 부하를 가진 구동 장치로 구동력을 향하게 한다는 이점을 가져온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들은 필요하다면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들 각각이 고유의 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연결될 수 있고, 이때 회전 방향은 개별적으로 변할 수 있으며, 필요하다면 처리 수단들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나아가 필요하다면 전체 출력이 오직 하나의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만을 구동하도록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반면 처리 예정 물질은 로터리 성형기의 배출 개구와 반송 파이프 사이에서 제2 압축 단계에서 더욱 압축될 수 있다. 이 압축 단계에서의 압축 장치는 피스톤 실린더 결합체(piston-cylinder combination)이다. 제2 압축 장치에 의해 처리된 물질은 반송 파이프로 이송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각각의 실시예로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처리 수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처리 수단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c는 도 3b를 다른 방향에서 본 처리 수단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1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1 고정(비회전) 처리 수단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2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1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과 고정 처리 수단의 일 동작상태를 투입 방향에서 바라본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4e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제1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을 제외하고, 고정 처리 수단 및 제2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의 동작 상태를 투입 방향에서 바라본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의 일부 및 그의 수력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결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며, 로터리 성형기(1)는 쓰레기 슈트(3)와 연결되거나 피팅부(fitting part)(2)에 부합하여 구비된다. 도면에는 쓰레기 슈트의 일부만 도시하였다. 생활 쓰레기, 폐용지, 판지(cardboard) 혹은 그 밖의 폐기물과 같은 물질은 쓰레기 슈트(3)로 넣어지고, 피팅부(2)를 거쳐 로터리 성형기(1)의 투입 개구(6)로 들어간다. 처리 예정 물질은 로터리 성형기(1)에서 압축되고 모양이 형성되며, 처리 후에는 흡입이나 공압 파이프 반송 시스템의 구동 장치들에 의해 형성되는 압력차에 의하여 배출 커플링(output coupling)(4)을 거쳐 반송 파이프(5)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기술적 효과는 폐기물의 모양이 알맞게 형성되어 반송 파이핑(4,5)에 의한 이송에 적합해진다. 이때 상당히 작은 지름의 반송 파이프(5)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150~300mm의 범위의 지름을 가지고, 바람직하게는 200mm의 범위의 지름을 가진 파이프가 반송 파이프(5)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이 동시에 이용될 수 있고, 이 경우 처리 예정 물질을 로터리 성형기(1)의 처리 수단(10A,10B,10C)을 지나가도록 유도할 때, 상기 물질은 반송 파이프(5)와 배출 커플링(4)을 통해 흡입이나 압력차 운동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처리 수단은 림(rim)과 같은 재료일 수 있고, 각각은 첫째 면, 투입 면, 배출 면까지 개구부(11A,11B,11C)(도 4a,4b,4c)를 가진다. 적어도 처리 수단들의 일부는 구동 장치(7) 및 전동 수단(8,9A,9C)을 이용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수직축을 따라 회전된다. 도면에서 최상층에 위치한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10A)과 최하층에 위치한 회전가능한 처리수단(10C)은 회전하고, 그들 사이에 비회전 고정 처리 수단(10B)이 존재한다. 밸브의 구동 장치(56)로 구동되는 디스크 밸브와 같은 밸브 수단(55)은 로터리 성형기(1)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밸브 수단(55)은 로터리 성형기와 배출 커플링(4) 사이의 연결을 개폐하고, 그에 따라 밸브 수단(55)에 의해 반송 파이프에서 로터리 성형기로 흡입되는 작용이 조절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로터리 성형기는 도 2의 도시된 바와 같이 물질 반송 시스템의 투입점, 예컨대 부엌 쓰레기의 투입점과 연결되어 사용된다. 로터리 성형기(100)는 투입점의 피더 호퍼(feeder hopper)(200)와 연결되어 구비되며, 이 경우 처리 예정 물질은 피더 호퍼(200)로부터 로터리 성형기의 투입 개구(6)로 투입된다. 로터리 성형기에서 물질은 파이핑으로 운송하기 적당한 모양으로 형성되고, 공압 파이프 반송 시스템의 반송 파이핑(500)에 의하여 배출 커플링(400)에서 향후 처리 과정으로 인도된다.

    로터리 성형기는 프레임(frame)을 포함하며, 그 위에 링 형상의 처리 수단(10A,10B,10C)이 구비된다. 수직 방향으로는 링의 첫째 면에서 둘째 면으로 인도하는 개구(11A,11B,11C)를 포함하는 복수의 링 형상 처리 수단(10A,10B,10C)이 처리 예정 물질의 투입 개구(6) 아래에 구비된다. 링 형상의 처리 수단들은 기하축(geometric axis)을 따라 상대적인 회전 운동과 연관되어 설치되어 있고, 이 기하축은 투입 슈트(input chute)의 기하축과 대부분 일치하고, 투입된 벌크 재료를, 회전하는 링과 적어도 하나의 고정(비회전) 링의 동작의 조합과 동시에 적어도 상기 벌크 재료의 모양을 형성함으로써, 중력 및/혹은 파이프 반송 시스템과 같은 공압 물질 처리 시스템의 부분 진공 생성기에 의해 형성되는 흡입/압력차를 이용해 링 형상 처리 수단을 지나 링의 중심으로 이동시킨다. 처리 수단(10A,10B,10C)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될 수 있지만 바람직한 실시예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상 링 형상 처리 수단(10B)(도면에서 가운데 위치한 처리 수단)은 모두 프레임에 고정되어 움직일 수 없게 설치되며, 링 형상 처리 수단(10A,10C)(도면에서 최상층 그리고 최하층에 위치한 처리 수단)은 항상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의 회전 속도와 방향은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은 서로 다른 회전 속도를 가진다. 한 실시예에서 물질의 주행 방향에 있어 제1 처리 수단(10A)은 더 빠르고, 그 뒤를 따르는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은 일반적으로 더 느리게 회전한다. 그래서 도면에서 최하층에 위치하는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10C)은 제1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10A)에 비해 더 느리게 회전한다. 수직 방향에서 보면 그들 사이에 비회전 처리 수단(10B)이 존재한다.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10A,10C)의 개구부(11A,11C)의 내벽 사이로 삽입(interpositioning)하는 것은 회전하는 동안 적어도 회전면에서 바뀔 수 있고, 그 효과는 물질의 효율적인 처리와 관련하여 매우 유리한 이점을 가진다.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10A,10C)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장치(7A,7C), 예를 들어 벨트 전동(8A,8B,9A,9C)과 같은 전동 수단에 의해 회전된다. 링 형상 처리 수단(10A,10C)의 외측 림(15A,15C)은 예를 들어 벨트 수단(9A,9C)을 위해 구동 장치의 동력 전동의 전동 수단의 대응면(countersurface)으로 기능 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대응면은 링의 회전을 일으키기 위해 동력 전동 장치에 포함된다. 처리 수단(10A,10C)의 외측 림(15A,15C)은 적절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는 캠퍼(camper)나 배럴(barrel) 형상이 매우 효과적임을 보였다. 처리 수단의 회전 궤도는 예를 들어 제한 수단(limiting means) 및/혹은 지탱 수단(bearing means) 그리고 링 형상 처리 장치로의 대응면을, 가장 적합하게는 림 형상 롤링면 혹은 슬라이딩면을 제한 수단 및/또는 지탱 수단이 분포하여 정렬되는 림 상에 구비되면서 이루어진다.

    도 5의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10A,10C) 각각은 고유의 구동 장치(7A,7C)에 의해 구동된다. 각 구동 장치(7A,7C)의 구동 셰프트(8A,8C)는 전동 수단(9A,9C)을 통해 처리 수단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된다.

    도면의 실시예에서 구동 장치(7A,7C)는 압력 매체로 구동되는 수력 모터(pressure medium driven hydraulic motor)이다. 구동 장치(7A,7C)는 수력 회로에서 일렬로 연결된다.

    도 5는 수력 다이어그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며, 여기서 구동 장치(7A,7C)는 일렬로 연결된다. 본 다이어그램에서 압력 매체는 구동 장치(402)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 장치(401)를 가진 구동 시스템의 압력 매체 저장부(400)로부터 회로의 배출 라인(403)으로 인도된다. 다이어그램에서 수력 회로의 회수 라인(404)은 회로 내에서 순환되고 있던 압력 매체를 압력 매체 저장부(400)로 다시 옮긴다. 배출 라인(403)에서 처리 수단의 구동 장치(7A,7C)로 압력 매체를 공급하는 것은 방향 제어 밸브(directional control valve)(406)로 제어된다. 이 밸브에 의해 압력 매체를 배출 라인이나 배관(duct)(408)으로부터 각각 배관(411) 혹은 배관(412)으로 인도함으로써 구동 장치의 회전 방향도 제어될 수 있다.구동 장치(7A,7C)는 매체 배관(410)과 일렬로 연결된다. 구동 장치(7A)는 구동 셰프트(8A)를 전동 수단(9A)이 구비된 곳을 회전하도록 하며, 이때 전동 수단(9A)은 처리 수단(10A)을 움직인다. 마찬가지로 구동 장치(7C)는 구동 셰프트(8C)를 전동 수단(9C)이 구비된 곳을 회전하도록 하며, 이때 전동 수단(9C)은 처리 수단(10C)을 움직인다. 방향 제어 밸브(406)의 위치를 바꿈으로써 제1 방향(다이어그램의 방향 제어 밸브(406)의 첫번째 위치, 도면의 좌측)에서의 움직임이 수행될 수 있고, 이때 압력 매체는 배출 라인(403)으로부터 배관(408)을 거치고 밸브의 경로를 따라 배관(412)을 거쳐 제1 구동 장치(7A)로, 매체가 순환하는 곳에서 매체 배관(410)을 거쳐 제2 구동 장치(7C)로, 그리고 거기서 배관(411) 및 방향 제어 밸브의 경로를 따라 배관(409)을 거쳐 회수 라인(404)으로 인도된다. 도면에서 방향 제어 밸브(406)의 오른쪽 위치에서, 반대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수행된다. 이때 압력 매체는 배출 라인(403)으로부터 배관(408), 밸브(406)의 경로를 따라 배관(411)으로 향해 제2 구동 장치(7C)로 인도되며, 매체가 순환하는 곳에서 매체 배관(410)을 거쳐 제1 구동 장치(7A)로 인도되며, 거기서 배관(412), 방향 제어 밸브의 경로를 거쳐 배관(409)으로 향해 회수 라인(404)으로 인도된다.

    도 5의 회로에서 구동 장치(7A,7C)는 처리 수단(10A,10C)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설치된다. 제1 구동 장치(7A) 방향의 배관(410)과 배관(412)의 연결 혹은 제2 구동 장치(7C) 방향의 배관(410)과 배관(411)의 연결 중 어느 하나를 교체함으로써, 설계가 수행될 수 있고 여기서 구동 장치들은 처리 수단들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본 다이어그램의 회로에 따르면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10A,10C)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펌프(401)의 압력 방향에 있는 매체 경로(420)가 회로 내에 설계되고, 매체 경로는 압력 센서(405) 및 방압 밸브(pressure relief valve)(421)를 포함하며, 방압 밸브의 설정치에 도달하면 펌프의 압력 방향으로 매체를 회수 라인(405)으로 들어오게 하여 매체 저장부(400)로 향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장치(7A,7C)는 수행 능력 면에서 서로 상이한 크기로 설치될 수 있다. 제2 처리 장치(10C)(도면의 실시예에서 최하층에 위치하는 처리 장치)의 구동 장치(7C)는 실질적으로 가장 큰 부하를 처리하게 되며, 이때 제1 처리 수단의 구동 장치(7A)보다는 느린 속도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하지만 제2 처리 장치(7C)의 토크는 제1 구동 장치(7A)에서 생기는 토크보다 크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터리 성형기는 바람직하게는 순서대로 구동되며, 회전 방향이 바뀐 다음, 처리 수단(10A,10C)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특정 시간 구간(t 1 )을 가진다. 이후 처리 수단(10A,10C)은 제2 시간 구간(t 2 ) 동안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제1 방향은 성형기의 실질적인 처리 방향이다. 제2 방향은 처리 장치의 날부(14A,14C)가 물질을 절삭하기 위해 적합한 방향이다. 제2 회전 방향의 회전 시간 구간(t 2 )은 일반적으로 제1 회전 시간 구간(t 1 )보다 짧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t 2 =0.5*t 1 의 수식을 따른다.

    일반적으로 제1 회전 방향의 회전 시간 구간(t 1 )은 대략 10초이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시간 구간(t 2 )은 5초이다.

    처리 중 처리 예정 물질이 일으키는 막힘과 같은 원인에 의해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10A,10C)이 정지하면 처리 수단의 회전 방향이 바뀐다.

    압력 센서(405)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회로 내의 압력 증가를 검지할 수 있고, 이는 처리 수단(10A,10C)을 정지시킨다. 그 결과 막힘 등의 문제 제거를 위해 처리 수단의 회전 방향이 바뀐다.

    처리 수단(10A,10C)은 날(14A,14C)을 구비하고, 이는 떼어질 수 있고 새것으로 교체 가능하다. 처리 예정 물질은 처리 수단(10A,10C)이 제2 방향으로 회전할 때 날(14A,14C)에 의해 처리된다. 날(14A,14C)은 바람직하게는 처리 예정 물질을 절삭하도록 구비된다.

    처리 수단(10A,10C)이 처리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 교체 공기 밸브는 개방 상태에 존재하며, 이때 반송 파이핑에서 물질을 적어도 로터리 성형기의 영향을 받는 영역 혹은 그와 근접한 부근으로부터 운반된다.

    또한 도 5의 다이어그램은 밸브 수단(55)의 구동 장치(56)의 구동 시스템을 나타낸다. 본 다이어그램에 따른 실시예에서 구동 장치(56)는 수력 모터와 같은 압력 매체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장치이다. 다이어그램에서 압력 매체는 구동 장치(402)에 의해 구동되도록 설치된 펌프 장치(401)를 가진 구동 시스템의 압력 매체 저장부(400)로부터 회로의 배출 라인(403)으로 이동된다. 다이어그램에서 수력 회로의 회수 라인(404)은 회로 내에서 순환하던 압력 매체를 다시 압력 매체 저장부(400)로 가져온다. 배출 라인(403)에서 밸브의 구동 장치(56)로의 압력 매체 공급은 방향 제어 밸브(407)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방향 제어 밸브(407)로 배출 라인 및 배관(413)으로부터 배관(416) 혹은 배관(417)으로 압력 매체를 이동시킴으로써 구동 장치(56)의 회전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방향 제어 밸브(407)의 위치를 바꿈으로써 제1 방향(다이어그램의 방향 제어 밸브(407)의 첫번째 위치, 도면의 왼쪽에 도시)에서 구동 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밸브(55)의 차단 수단을 움직일 수 있고, 이때 압력 매체는 배출 라인(403)으로부터 배관(413) 및 배관(416)의 밸브 통로를 거쳐 구동 장치(56)로 인도되며, 매체가 순환하는 곳으로부터 매체 배관(417)과 방향 제어 밸브의 통로를 따라 배관(414)을 거쳐 회수 라인(404)으로 향한다. 도면에 있어 방향 제어 밸브(407)의 오른쪽에, 구동 장치(56)에 의해 생성되는 밸브(55)의 차단 수단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때 압력 매체는 배출 라인(403)으로부터 배관(413)을 거쳐 밸브(407)의 통로를 따라 배관(417)으로 향하고 구동 장치(56)로 인도되며, 매체가 순환하는 곳에서 매체 배관(416)을 거쳐 방향 제어 밸브의 통로를 통해 배관(414)으로 향하며 회수 라인(404)으로 인도된다. 밸브(55)의 차단 수단이 움직이는 크기는 제한 스위치 등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토크는 다양할 수 있다. 처리 수단(10A,10C)은 실시예에 따라 개별적으로 회전 가능하며, 이때 각 처리 수단은 고유의 구동 장치를 가진다.

    처리 수단(10A,10C)은 전자 모터로 대체하여 구동될 수 있다.

    링 형상의 처리 수단(10A,10B,10C) 혹은 적어도 그들의 일부와 그들의 개구(11A,11B,11C)의 내측면(13A,13B,13C)은 패터닝되며/되거나 그들의 회전 움직임이 동시에 물질을 개구(11A,11B,11C)로부터 배출 말단 및 배출 개구(37)로 향하도록 하는 모양으로 설계된다. 일반적으로, 적어도 회전 처리 수단(10A,10C)은 물질을 배출 말단 및 배출 커플링(4)으로 향하게 하도록 설계된다.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10A)을 나타내며, 이는 주로 투입 개구(6) 아래에 위치하는 로터리 성형기에 설치될 수 있다. 링 형상 처리 수단(10A)은 주로 둥근 원통형 플랜지(107)이고 외측 림(15A)을 가진다. 또한 플랜지(107)는 중앙 부분이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링 형상 처리 수단 혹은 적어도 그 프레임은 하나의 조각(piece)이거나 복수의 판부(101,102,103,104,105)를 겹쳐 서로 고정된 형태일 수 있다. 링 형상 처리 수단을 형성하기 위해 위로 겹쳐진 판부들은 그들 서로에 대해, 내향부(inward-pushing part)(12A)에 의해 형성된 영역을 서로 밀어내는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이때 그들은 서로에 대해 5~30°정도의 각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10~20°의 각도를 갖는다. 나아가 절삭날(14A)은 회전 방향을 바꿀 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날(14A)은 분리 및 교체가 가능하다.

    링 형상 처리 수단 혹은 적어도 그들의 일부는 일반적으로 서로에 대해 위로 겹쳐진 복수의 판부(101,102,103,104,105)일 수 있고, 그들은 서로 고정되어 있다. 판부(101,102,103,104,105)는 기계 가공 단계(machining phase)에서 정렬된 개구가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요구되는 판부의 교체를 정렬된 개구 내에서 해결할 수 있고, 판부들은 용접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도 3a의 실시예에서 그루브(groove)와 같은 대응부재(counterpart)(108)가 링 형상 수단에 배치 수단, 베어링(bearing) 수단 혹은 그에 상응하는 수단으로 배치된다.

    도 3b 및 도 3c는 링 형상 처리 수단(10A)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처리 수단은 내향부(12A) 상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절삭날(14A)을 가지고, 이 날은 스크류(screw)와 같은 고정 수단에 의해 내향부(12A)를 향해 고정된다. 도 3b 및 도 3c에 따른 실시예에서 두 개의 절삭날(14A)은 처리 수단 상에 배치되고 날들은 처리 수단(10A)의 높이 방향으로, 예를 들어 물질의 주된 삽입 방향으로 서로 이격해 있다.

    도 4a의 다이어그램에서 특별히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처리 수단(10A)은 링의 중심부를 향해 안으로 밀어내는 날개형상 부재(12A)를 구비하고, 날개형상 부재는 링을 감싸는 표면 부분을 차지하며, 처리 수단(10A)의 중심축을 향하는 날개면(13A)의 형태를 갖고, 날개면의 굴곡된 모양은 바람직하게는 이른바 아르키메데스의 나선(archimedes spiral) 형태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안으로 들어갈수록 반지름이 작아진다. 그래서 처리 수단의 중심을 향해 밀어내는 부재(12A)는 편심(eccentric) 개구(11A)가 링으로 가는 것을 제한한다. 처리 수단(10A)이 회전할 때 날개 표면(13A)은 장해가 없는 처리 수단을 통해 통로 개구(through-passage aperture)(11A)를 결정한다. 투입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하는 처리 수단이 처리 예정 물질을 개구(11A)로부터 처리 방향으로 투입할 때, 처리 수단의 내측면(13A) 특히 날개면에 실 형상의 그루브나 밴드와 같은 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절삭날(14A)은 회전 방향을 바꿀 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날(14A)은 분리 및 교체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성형기에서 비회전 처리 수단(10B)은 아래에 고정되어 최상층에 위치한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10A)을 지지하고, 비회전 처리 수단은 고정 부재로 하우징(27,28)에 고정된다. 비회전 처리 수단(10B)는 일반적으로 상술한 회전하는 링(10A)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그래서 날개형상부재(12B)의 지름은 링의 중심의 방사 방향에서 봤을 때 링의 중심부로 갈수록 줄어들고, 일 실시예에서 그 방향은 회전 처리 수단의 회전 방향에서 봤을 때 반대 방향이다.

    제2 처리 수단, 예를 들어 고정 처리 수단(10B)은 도 4b의 개략도에서 특별히 보이는 바와 같이 링의 중심부를 향해 밀어내는 날개형상부재(12B)와 날개면(13A)을 구비한다. 날개형상부재(12B)는 처리 수단(10A)에 대응하는 부재(12A)보다 처리 수단의 중심부 쪽으로 더 밀어낸다. 나아가 제2 처리 수단은 절삭날(14B)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날(14B)은 분리 및 교체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2 회전가능한 처리 장치(10C)도 도 4c의 개략도에서 특별히 보여지는 바와 같이 링의 중심부를 향해 밀어내는 날개형상부재(12C)와 날개면(13C)을 구비한다. 날개형상부재(12C)는 처리 수단(10C)의 중심부 쪽으로 다소 더 많이 밀어내어, 처리 수단(10C)이 회전할 때 장해가 없는 통로 개구를 결정하도록 하며, 개구는 처리 수단(10A,10B)에 연결된 자유로운 통로 개구보다 작다. 나아가 절삭날(14A)은 회전 방향을 바꿀 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날(14A)은 분리 및 교체가 가능하다.

    도 4d는 제1 및 제2 처리 수단(10A,10B) 이후의 자유로운 통로 개구와, 압축기의 압축 수단을 거친 다음 전보다 더 작은 크기의 배출 개구(37)를 나타낸다. 도 4E는 제2 및 제3 처리 수단(10B,10C)를 거친 후의 배출 개구(37)을 나타내며, 배출 개구는 본질적으로 압축기를 거친 후 자유로운 배출 개구가 된다.

    최하층에 위치한 회전 처리 수단(10C)은 가장 아래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링 수단에 의하여 압축된 벌크 재료를 내보내기 위한 배출 개구(37)를 구비한다.

    로터리 성형기에서 처리 수단(10A,10B,10C)을 통해 인도되는 물질은 압축되고 최적화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터리 성형기의 배출 개구(37)는 반송 파이프(4,5)와 같은 다음 단계의 파이프 지름보다 적어도 한 방향에서는 다소 작게 형성된다. 로터리 성형기의 배출 개구를 반송 파이프의 지름보다 다소 작게 형성함으로써 처리된 물질을 흡입에 의해 반송 파이프로 효율적으로 이송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출 개구(37)는 제2 측방향의 지름이 이에 직각인 측방향의 지름보다 다소 짧게 형성되어 배출 개구는 형상적으로 타원형이 된다. 이와 다른 형상도 물론 가능하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배출 개구는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이 처리 수단으로 통하는 자유 통로보다 커서 교체 공기는 배출 개구를 통해 밖으로 인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한 수단 및/또는 베어링 수단은 최하층에 위치하는 링 형상 처리 수단(10C)과 프레임부(frame part)(28)의 베이스부(base part)(28) 사이, 최하층에 위치하는 링 형상 처리 수단(10C)과 정중앙, 가장 바람직하게는 비회전 회전 수단(10B) 사이, 그리고 비회전 처리 수단(10B)과 최상층 처리 수단(10A) 사이에 배치된다. 분리된 롤링 수단(rolling mean)을 사용하지 않는 것도 상정할 수 있지만 처리 수단 대신 서로의 위에 배치되고/되거나 프레임부의 베이스면(28)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처리 수단과 아래서 설명할 지지면(support surfaces) 사이에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출 개구(37)의 지름은 그 뒤의 반송 파이프(4,5) 지름보다 다소 작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출 개구의 최소 지름은 그 뒤의 반송 파이프 섹션보다 적어도 2~20%, 바람직하게는 4~15% 작다. 이 경우 흡입이 시작되면 처리 예정 물질은 파이프의 내벽에 달라붙지 않고 즉각 움직임을 가속화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배출 개구의 최소 지름은 그 뒤의 반송 파이프보다 적어도 5% 작다. 일 실시예에서 배출 개구(37)의 최소 지름은 180mm이고, 이때 반송 파이프의 지름은 210mm이다. 배출 개구가 계란형 혹은 타원과 같이 원형을 벗어난 모양일 때 배출 개구의 최대 지름은 반송 파이프의 지름에 대응할 수 있고(예를 들어 210mm), 최소 지름은 반송 파이프의 지름보다 다소 작을 수 있다(예를 들어 180mm).

    또한 처리 수단(10A,10C)의 회전 동작은 전기 모터 혹은 다른 구성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동작은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10A,10C) 양쪽 서로 공유하는 수력 모터(7)와 같은 수력 모터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때 통상적인 동작 과정에서 두 개의 처리 수단이 하나의 모터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로터리 성형기는 재배열부(re-arranger) 및 압축기(compactor)(예를 들어, 포맷터(formatter))로써의 기능을 한다. 흡입의 영향을 받아 로터리 성형기의 처리 수단(10A,10C)은 처리 예정 물질을 배출 개구(37)에 맞게 형태를 만든다.

    처리 수단(10A,10C)의 회전 방향은 다양하게 바뀔 수 있다. 부하가 너무 커지면 처리 수단이 정지하고 회전 방향이 바뀐다. 처리 수단 중 어느 하나에 걸리는 부하가 너무 커지면 그의 회전 방향은 바뀐다. 이와 같은 회전은 바람직하게는 구동 장치의 디버팅 풀리(diverting pulley)나 수압 시스템의 압력 센서(405)와 같은 움직임 센서(motion sensor)에 의해 검지된다.

    처리 수단의 개구는 부하의 효율적인 분산과 폐기물이 지나기 위해 충분히 큰 개구를 얻기 위해 서로 다른 크기일 수 있고 중심에서부터 서로 다르게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 수단(10A,10C)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때 처리 예정 물질은 처리 수단에 따라 회전을 시작하지 않는다. 물질의 회전은 물질의 모양을 요구되는 형태로 성형하는데 지장을 준다.

    또한 본 발명은 처리 수단을 서로 상이한 속도로 회전시키는데 유리하다. 왜냐하면 상이한 지점에서의 각 주기 변화에서의 압축과 각 폐기물의 적절한 압축을 특정 지점에서 언제나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판지나 보드지와 같은 특정 종류의 물질은 압축 수단(미도시)이 사용될 수 있고 이 압축 수단은 상술한 처리 수단에 대항하여 폐기물을 압축한다.

    또한 이와 같은 종류의 폐기물은 성형된 개구(11A,11B,11C)의 상술한 내측면(13A,13B,13C)을 필요로 하며 상기 내측면은 부분적으로 판지를 찢고 전진 방향으로 이를 공급한다.

    판지 또는 이와 상응하는 다른 종류의 물질들은 일반적으로 공압 반송에서 걸림돌로 작용한다. 왜냐하면 구부러진 판지는 쉽게 펼쳐지고 파이핑의 내측면에 대해 펴져서 공기를 통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판지는 압축되어 적절한 카트리지 형태가 되어 반송 파이핑에 적합해진다.

    처리 수단(10A)이 회전하는 동안 내측면(13A)은 장해물이 없는 처리 수단을 통해 통로 개구(11A)를 결정한다. 처리 수단이 투입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처리 예정 물질을 개구(11A)로부터 처리 방향으로 공급하는 선형 그루브나 밴드와 같은 수단은 그래서 처리 수단의 내측면(13A)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성형기에서 비회전 처리 수단(10B)은 최상층의 회전 처리 수단(10A)의 아래에 구비되어 이를 지탱하며, 비회전 처리 수단은 고정 요소에 의해 하우징(housing)에 고정된다. 비회전 처리 수단(10B)은 일반적으로 위에서 언급한 회전 링(10A)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2 회전 처리 수단(10C)은 개구(11C)를 구비하고, 이는 도 4c의 개략도에서 특별히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면(13C)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질 반송 방향에 연이어 구비된 처리 수단에 구비된 개구(11A,11B,11C) 각각은 바로 이전에 설치된 처리 수단의 개구보다 작고 배출 개구(47)로 향하는 통로는 점점 좁아진다.

    최하층 회전 처리 수단(10C)은 베이스면(28)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링 수단에 의해 압축된 벌크 재료를 배출하는 배출 개구(37)를 포함한다.

    종래 회전 압축기의 일반적인 동작은 공개공보 WO8203200A1에 개시되어 있기에 본 명세서에서는 더 이상 자세하게 기술하지 않는다.

    형태를 만드는 각도는 성형 수단의 개구 모양이나 크기에 영향을 받고 개구의 내측 가장자리의 패터닝에도 영향을 받는다. 생활 폐기물이 성형되어 계속해서 반송 파이프로 투입되고 파이프 내에서 흡입 및/혹은 압력차에 의해 폐기물 수거장 또는 이에 상응하는 수거소로 이동한다.

    본 발명은 폐기물과 같은 물질이 쓰레기 슈트(3)의 투입 개구 혹은 그 밖의 투입점(200)과 같은 투입점의 투입 개구로부터 투입되고, 이는 상기 투입점과 연결되거나 그와 근접한 위치에 설치된 성형 장치(1)에 의해 처리되어 압축되어 다음 단계로 반송되고, 성형 장치(1)는 로터리 성형기(rotary shaper)이고 회전가능한 처리 장치(10A,10C)를 구비하며, 회전 장치는 회전축에 대해 중심을 달리하여 구비된 개구(11A,11C)를 구비하고, 상기 로터리 성형기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처리 수단(10B)을 구비하고, 이 경우 처리 예정 물질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력에 의해 로터리 성형기로 인도 및 통과되거나, 로터리 성형기로 인도 혹은 통과되는 공압 물질 처리 시스템에서의 물질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처리 예정 물질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입 및/혹은 압력차에 의해 로터리 성형기로 인도 및 통과되거나, 로터리 성형기로 인도 혹은 통과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10A,10C) 각각은 고유의 구동 장치(7A,7C)로 구동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중에 상기 로터리 성형기의 처리 수단(10A,10C)의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제1 방향으로 회전할 때 처리 예정 물질을 처리 수단으로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10A,10C)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비회전 처리 수단(10B)과 함께 물질을 성형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 예정 물질의 진행 방향에서, 로터리 성형기의 처리 수단(10A,10B,10C)을 통과하는 물질 흐름의 횡단면은, 물질이 로터리 성형기 다음에 배치된 물질 반송 파이프(4,5)로 인도될 수 있도록 점점 작아진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10A,10C)의 회전 방향은 다양한 방향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10A,10C)은 서로 상이한 속도로 회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 예정 물질의 이동 방향을 따라 더 나아간 곳에 위치한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10C)은 물질의 이동 방향에서 그보다 앞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처리 수단(10A)보다 느리게 회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의 구동 장치(7A,7C)는 전기 모터, 공압 모터 혹은 수력 모터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압 물질 처리 시스템은 물질, 더욱 상세하게는 폐기물의 파이프 반송 시스템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 수단(10A,10C)의 회전 방향은 시간 및/혹은 처리 수단의 구동 장치의 부하, 즉, 출력 파워에 기초하여 변화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10A,10C)은 순서대로 구동되고, 이 경우 처리 수단(10A,10C)은 제1 시간 구간(t 1 ) 동안은 제1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다음 제2 시간 구간(t 2 ) 동안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시간 구간(t 1 )은 제2 시간 구간(t 2 )보다 길고, 바람직하게는 제2 시간 구간(t 2 )≤0.5×제1 시간 구간(t 1 )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물질은 로터리 성형기와 근접한 반송 파이프(4,5)에서 제거되며, 바람직하게는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이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교체 공기 밸브가 개방 상태를 유지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날부(14A,14C), 더욱 상세하게 교체 가능한 날부는,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10A,10C)에 설치되고, 상기 날부는 처리 수단이 제2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물질을 처리하도록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 장치(7A,7C)는 일렬로 연결된 수력 모터이다.

    또한 본 발명은 쓰레기 슈트(3) 혹은 그 밖의 투입점(200)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투입점을 구비하고, 상기 투입점에 연결되거나 그와 근접한 곳에 설치된 성형 장치(1)와, 물질을 반송 파이프 쪽으로 반송하는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성형 장치는 로터리 성형기(1,100)이고, 그의 림 형상 처리 수단(10A,10B,10C)의 일부는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10A,10C)이고, 처리 수단은 상기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의 회전축에 대해 중심을 달리하여 구비된 개구(11A,11B,11C)를 구비하며, 일부는 고정 처리 수단(10B)이고, 여기서 처리 예정 물질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중력에 의해 로터리 성형기로 인도되어 통과하도록 설치된 공압 반송 시스템과 같은 공압 물질 처리 시스템에서의 물질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처리 예정 물질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입 및/혹은 압력차에 의해 로터리 성형기로 인도되고 그것을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10A,10C)을 위한 구동 장치(7A,7C)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10A,10C) 각각은 고유의 구동 장치(7A,7C)로 구동되도록 설치된다.

    로터리 성형기의 처리 수단(10A,10B,10C)의 적어도 일부는, 물질을 공급하는 선형 부위와 같은 표면 패턴 혹은 그에 상응하는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표면 패턴은 처리 수단(10A,10C)이 적어도 제1 방향으로 회전할 때, 처리 예정 물질을 적어도 로터리 압축기의 처리 수단으로 형성되는 압축 단계로 반송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처리 장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질의 이동 방향에서 로터리 성형기의 처리 수단(10A,10B,10C)을 통과하여 지나는 물질 통로(11A,11B,11C)의 횡단면은 물질의 이동 방향을 따라 점점 작아진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장치(7A,7C)는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10A,10C)을 서로 상이한 속도로 회전시키도록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 예정 물질의 이동 방향을 따라 더 뒤에 위치한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10C)은, 구동 장치(7A)에 의해 물질의 이동 방향에서 그보다 앞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처리 수단(10A)보다 느리게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10A,10C)의 구동 장치(7A,7C)는 출력 파워 혹은 토크 혹은 회전 속도와 같은 동작 특성이 서로 상이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터리 성형기의 배출 개구(37)는, 물질 반송 방향에서 그보다 뒤에 위치하는 반송 파이프(4,5)의 흐름 개구(flow aperture)보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작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터리 성형기의 배출 개구(37)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처리 수단(10A,10B,10C)을 통과하는 자유 통로보다 크고, 이 경우 상기 배출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계란형 혹은 타원형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 수단의 개구(11A,11B,11C)는 회전축에 대해 어긋나게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날부(14A,14C), 더욱 상세하게는 교체 가능한 날부는 회전가능한 처리 수단(10A,10C) 내에 배치되고, 상기 날부는 처리 수단이 제2 방향으로 회전할 때 물질을 처리하도록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 장치(7A,7C)는 일렬로 연결된 수력 모터이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에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본 명세서의 가능한 기술적 특징들의 결합은 가능하다면 서로 분리되어 이용될 수도 있다.

    1… … … … … … … … … … … … … 로터리 성형기
    2… … … … … … … … … … … … … 피팅부
    3… … … … … … … … … … … … … 쓰레기 슈트
    4… … … … … … … … … … … … … 배출 커플링
    5… … … … … … … … … … … … … 반송 파이프
    6… … … … … … … … … … … … … 투입 개구
    7,7A,7B,7C … … … … … … … … 구동 장치
    10A,10B,10C… … … … … … … … 처리 수단
    11A,11B,11C… … … … … … … … 개구부
    12A… … … … … … … … … … … … 내향부
    13A,13B,13C… … … … … … … … 내측면
    14A,14B,14C… … … … … … … … 날부
    101,102,103,104,105… … … … 판부
    107… … … … … … … … … … … … 플랜지
    108… … … … … … … … … … … … 대응부재

    QQ群二维码
    意见反馈